KR19990026011U - 사이드 에어백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011U
KR19990026011U KR2019970038544U KR19970038544U KR19990026011U KR 19990026011 U KR19990026011 U KR 19990026011U KR 2019970038544 U KR2019970038544 U KR 2019970038544U KR 19970038544 U KR19970038544 U KR 19970038544U KR 19990026011 U KR19990026011 U KR 199900260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ousing
seat
opening
airba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8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011U/ko
Publication of KR19990026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11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시트(10) 일측에 개구부(20a)를 지닌 금속재 하우징(2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하우징(20)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20a)를 개폐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우징(20) 내측면에 지지브래킷(60)을 매개로 에어백 쿠션(40)이 부착되어 있고, 이 에어백 쿠션(40) 일측에는 공기발생장치(50)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하우징(20)이 에어백 쿠션(40)이 펼쳐지는 방향을 가이드함으로써 시트(10)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형을 흡수하여 에어백의 안정화를 찾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A side airbac)
본 고안은 사이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쿠션에서 사이드 에어백이 경로를 따라 펼쳐지면서도 시트쿠션에 내구성을 갖도록 된 사이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어느 순간 발생될 지 모르는 돌발상황에 대비해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안전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차량의 앞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와 승객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가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에서 에어백쿠션을 부풀게하는 방식에는, 충돌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에 통전, 착화하는 전기식과 감지장치가 충돌을 검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했을 경우, 그 충격력에 의해 에어백 속에 압축가스가 순간적으로 주입되어, 이 에어백이 빠른 속도로 팽창되면서 운전자와 앞좌석의 승객의 전면을 감싸 차량의 전면 유리나 전방의 물체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승객을 한층 보호하는 차원에서 전방충돌을 위한 에어백은 물론 측면충돌을 위한 사이드 에어백을 설치한다.
상기한 사이드 에어백은 시트 측면에 설치되는데, 사이드 에어백의 전형적인 한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0) 일측에 내부공간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부(110)에는 에어백 쿠션(120)이 지지브래킷(130)을 매개로 보강부재(14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쿠션(120)의 일측에는 에어백 쿠션(1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발생장치(150)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은 시트(100)의 약한 내부폼층으로 에어백 쿠션(120)이 뚫고 나올 수 있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초기사용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승객이 시트(100)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시트(100)의 변형과 함께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된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처음 설계되지 않은 위치로 에어백 쿠션(120)이 나올 수 있으므로 측면충돌 사고시에 사이드 에어백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사이드 에어백이 설계된 방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도록 된 사이드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 일측에 개구부를 지닌 금속재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지지브래킷을 매개로 에어백 쿠션이 부착되어 있고, 이 에어백 쿠션 일측에는 공기발생장치가 내장된 구조된 사이드 에어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은, 시트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은 에어백 쿠션이 나아갈 방향을 일정하게 만들어줌으로써 시트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에어백이 항상 정상작동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사이드 에어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하우징
20a : 개구부 20b : 리브
30 : 커버 40 : 에어백 쿠션
50 : 공기발생장치 60 : 지지브래킷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 일측에 금속재 하우징(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전방에 개구부(20a)를 지니고, 상단에는 다수개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브(20b)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20)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20a)를 개폐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커버(30) 일단은 하우징(20)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자체의 탄력성으로 소정의 크기로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 내측면에 지지브래킷(60)을 매개로 에어백 쿠션(40)이 부착되어 있고, 이 에어백 쿠션(40) 일측에는 공기발생장치(50)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공기발생장치(50)에서 압축공기를 발생하게 되면 에어백 쿠션(40)은 점차적으로 팽창하면서 하우징(20)의 내부를 따라 나오면서 시트(10) 측면을 뚫고 나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기발생장치(50)에는 충돌감응센서, 전자제어모듈, 그리고 인플레이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 1을 참조로 하여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이 측면 충돌시에, 공기발생장치(50)는 충돌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에어백 쿠션(40)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이 압축공기를 공급받은 에어백 쿠션(40)은 점차적으로 팽창하면서 하우징(20)의 내부를 따라 나오면서 커버(30)가 열리게 되고, 최종적으로 시트(10) 상단을 뚫고 나오면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0)이 에어백 쿠션(40)이 펼쳐지는 방향을 가이드해 줌으로써 시트(10)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형을 흡수하여 에어백을 안정화를 찾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에 따르면, 시트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은 에어백 쿠션이 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만들 수 있는 한편, 에어백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에어백이 오작동되지 않도록 안장화를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시트(10) 일측에 개구부(20a)를 지닌 금속재 하우징(20)이 설치되고, 이 하우징(20)의 하단에는 상기 개구부(20a)를 개폐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우징(20) 내측면에 지지브래킷(60)을 매개로 에어백 쿠션(40)이 부착되어 있고, 이 에어백 쿠션(40) 일측에는 공기발생장치(50)가 내장된 구조된 사이드 에어백.
KR2019970038544U 1997-12-19 1997-12-19 사이드 에어백 KR199900260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44U KR19990026011U (ko) 1997-12-19 1997-12-19 사이드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44U KR19990026011U (ko) 1997-12-19 1997-12-19 사이드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11U true KR19990026011U (ko) 1999-07-15

Family

ID=6969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544U KR19990026011U (ko) 1997-12-19 1997-12-19 사이드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0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2343B2 (en) 2011-12-12 2014-03-18 Hyundai Motor Company Mounting apparatus of side airbag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2343B2 (en) 2011-12-12 2014-03-18 Hyundai Motor Company Mounting apparatus of side airbag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361A (en) Side airbag apparatus
KR101509780B1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KR100747909B1 (ko)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 구조
KR20000069038A (ko)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US6270112B1 (en) Mechanism for securing passenger side air bag door
KR100527766B1 (ko) 에어백 도어의 보강구조
KR19990026011U (ko) 사이드 에어백
US7118128B2 (en) Low leakage airbag module
JPH081154Y2 (ja)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インフレータ取付部構造
JP4165372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9034647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802691B1 (ko) 자동차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 구조
KR100616013B1 (ko) 에어백 장치
KR100521023B1 (ko) 광역 혼 작동 영역을 갖는 에어백 모듈 커버
KR200157125Y1 (ko) 시트 쿠션 내장형 에어백
KR19990026010U (ko) 이중커버를 지닌 에어백
KR100547301B1 (ko) 크래쉬패드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0547300B1 (ko)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9990005093U (ko)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KR0137240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설치된 에어백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10094693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20040088268A (ko) 차량의 글러브 박스
KR19990026008U (ko) 뒷좌석 승객보호용 사이드에어백
KR100776017B1 (ko) 사이드 에어백용 안내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