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300B1 -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300B1
KR100547300B1 KR1020030046771A KR20030046771A KR100547300B1 KR 100547300 B1 KR100547300 B1 KR 100547300B1 KR 1020030046771 A KR1020030046771 A KR 1020030046771A KR 20030046771 A KR20030046771 A KR 20030046771A KR 100547300 B1 KR100547300 B1 KR 10054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dule
driver
airbag
seat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811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3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스터부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클러스터 상부에 위치되며, 크래쉬패드에 장착된다. 이에 의하여, 에어백 모듈의 장착이 간편하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멤브레인 혼 등의 스위치와 간섭이 되지 않고, 멤브레인 혼 등의 스위치가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운전석 에어백, 클러스터, 충돌센서

Description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Driver airbag module which is installed near a cluster part}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서 A-A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종래의 법규에 규정된 비정상 착좌 자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의 법규에 규정된 다른 비정상 착좌 자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20...에어백 모듈, 21...쿠션, 22...리테이너 조립품, 23...하우징 조림품, 24...인플레이터 너트, 25...인플레이터, 26...인플레이터 컨넥터, 27...플랜지 너트,
50...크래쉬패드, 51...클러스터, 52...스티어링 휠, 53...도어.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스터부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 다.
종래에는 운전석 에어백 시스템중 에어백 모듈은 차량 스티어링 휠 내에 장착되어, 차량이 정면 충돌되는 경우에 에어백이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였다. 그러나, 위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각종 편의 장치, 예를 들어 멤브레인이나 플로팅 혼과 일체형으로 스티어링 휠로 장착되어, 구조 강성이 부족하게 되서나 혼이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최근에는 스티어링 휠에 부착되었던 리모트 콘트롤 스위치도 에어백 모듈에 부착되어, 에어백 모듈은 더욱 복잡한 구조에 의하여, 기능의 오작동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북미 지역의 신법규에서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전석 승객이 비정상으로 착좌한 경우에 에어백의 전개 후 상해치가 측정된다. 구체적으로 도5는 승객이 스티어링 휠 내의 운전석 에어백에 턱을 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승객이 스티어링 휠 내의 운전석 에어백에 가슴을 된 경우를 도시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서 위 북미 지역의 신법규에서 에어백의 전개에 의한 운전석 승객의 상해가 소정의 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어,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에어백모듈은 이러한 규정을 충족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공간에 에어백의 모듈이 간편하게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 또는 플로팅 혼 등이 오작동되지 않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정상 착좌 자세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더라도 운전석 승객의 상해를 줄일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충돌센서와, 상기 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를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클러스터 상부에 위치되며, 크래쉬패드에 장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의한 운전석 에어백 시스템은 크게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20)과, 충돌센서(도시 안됨)와, 상기 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도시 안됨)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20)은 클러스터(51) 상부에 위치되며, 크래쉬패드(50)에 장착된다.
상기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는 차량에 장착되는 일종의 이씨유(ECU)이며, 상기 충돌센선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상기 충돌센서는 예를 들어 차량 충돌을 질량의 관성력 등에 의해 측정하는 센서이며, 차량의 프런트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와 연결되어, 소정의 충돌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에 의하여 운전석 에어백 모듈(20)이 전개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충돌센서는 조기충돌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종래에 스티어링 휠에 장차된 적은 용량의 운적석 에어백 모듈보다는 바람직하게는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큰 용량의 에어백 모듈(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 모듈(20)은 종래에 조수석 에어백 모듈로 흔히 장착되었다.
도4에서 좌측상부에는 조립된 에어백 모듈(20)이 도시되어 있고, 도4에서 우측하부에는 분해된 에어백 모듈(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크게 접쳐진 에어백인 쿠션(21)과, 상기 쿠션(21)이 장착되는 하우징 조립품(23)과, 상기 쿠션(21)을 부풀리어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21)은 나일론 등 천으로 이루어져 접쳐져 있고, 개봉된 끝부분은 리테이너조립품(22)과 플랜지 너트(27)를 통해 상기 하우징 조립품(23)에 조립된다. 상기 인플레이터(25)는 바람직하게는 폭발로 질소 등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실린더 형태로 상기 하우징 조립품(23)에 삽입되어, 한쪽 끝부분은 인플레이터 너트(24)로 상기 하우징 조립품(23)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인플레이터 커넥터(23)를 통해 상기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와 연결된다.
도1, 2 및 도3에 도시되듯이,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차량의 운전석 앞에 크래쉬패드(50)에 장착된 클러스터(51)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스터(51)는 속도계, 타코미터 또는 연료계 등을 포함하는 계기판이다. 이러한 에어백 모듈(20)의 장착위치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에 멤브레인 혼 등 각종 장치가 충분한 공간에 용이하게 장착되며, 에어백의 작동에 의해 오작동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클러스터(51)의 상부에 위치되며, 크래쉬패드(50) 내부 장착되고, 운전자를 향해 전개되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백용 도어(53, 도3)가 상기 크래쉬패드(50)의 일부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20)이 상기 도어(53)를 마운팅하는 브라켓에 마운팅되어, 에어백 모듈(20)이 전개될 경우에 상기 도어(5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외, 상기 도어(5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도어 자체가 없는 구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에어백의 자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테더(TEATHER)를 통해 스티어링 휠(52) 부근에서 오목하게 굴곡된 형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클러스터부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의하여, 운전석 에어백의 용량이 충분히 확대되며, 운전석 에어백의 장착 공간이 확대되어 장착이 간편해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멤브레인 이나 플로팅 혼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며, 에어백 전개시에 멤브레인 이나 플로팅 혼의 오작동이 해소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공간이 확보되어, 다른 스위치류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턱이나 가슴을 되는 비정상적인 착좌자세에 서 에어백이 전개되더라도 에어백에 의한 운전석 승객의 상해가 감소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클러스터 상부에 위치되며 크래쉬패드 내부에 장착되며, 에어백용 도어가 상기 크래쉬패드의 일부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이 상기 도어를 마운팅하는 브라켓에 마운팅되어, 에어백 모듈이 전개될 경우에 상기 도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에어백 모듈은 크게 접쳐진 에어백인 쿠션과, 상기 쿠션이 장착되는 하우징 조립품과, 상기 쿠션을 부풀리어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의 개봉된 끝부분은 리테이너조립품과 플랜지 너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 조립품에 조립되며, 상기 인플레이터는 실린더 형태로 상기 하우징 조립품에 삽입되어, 한쪽 끝부분은 인플레이터 너트로 상기 하우징 조립품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인플레이터 커넥터를 통해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2. 삭제
KR1020030046771A 2003-07-10 2003-07-10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054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771A KR100547300B1 (ko) 2003-07-10 2003-07-10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771A KR100547300B1 (ko) 2003-07-10 2003-07-10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11A KR20050006811A (ko) 2005-01-17
KR100547300B1 true KR100547300B1 (ko) 2006-01-26

Family

ID=3722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771A KR100547300B1 (ko) 2003-07-10 2003-07-10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3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11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67709A (ja) 膨張式抑止モジュール
JP364289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内蔵シートのシートパッド構造
JPH11240411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547300B1 (ko) 클러스터부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0547301B1 (ko) 크래쉬패드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1052988B1 (ko) 에어백 어셈블리
KR19990027023U (ko) 루프 에어백 구조
JP4653885B2 (ja) エアバック装置
KR100512861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 보강구조
US7118128B2 (en) Low leakage airbag module
KR100526147B1 (ko) 차량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JPH081154Y2 (ja)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インフレータ取付部構造
JPH02200548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KR100468540B1 (ko) 스티어링휠의 에어백모듈 설치구조
WO2008054266A1 (en) An air-bag arrangement
KR100547298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JPH06344842A (ja) 車両のエアバッグ構造
KR100520988B1 (ko) 차량용 측면 에어백
JPH0424142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0510359B1 (ko) 자동차용 운전석 에어백
KR100510413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547299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KR19990021607A (ko) 시트 내장형 에어백장치
KR100521034B1 (ko) 조수석 에어백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KR100512856B1 (ko) 자동차용 2단 운전석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