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059A - 인공무릎관절 - Google Patents

인공무릎관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059A
KR20060130059A KR1020067011026A KR20067011026A KR20060130059A KR 20060130059 A KR20060130059 A KR 20060130059A KR 1020067011026 A KR1020067011026 A KR 1020067011026A KR 20067011026 A KR20067011026 A KR 20067011026A KR 20060130059 A KR20060130059 A KR 2006013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joint
resistance
joint
actuator
artificial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울 게. 반 데 벤
한스 디에틀
리차르트 스키에라
Original Assignee
오토 복 헬스케어 프로덕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 복 헬스케어 프로덕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토 복 헬스케어 프로덕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3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61F2/64Knee joints
    • A61F2/642Polycentric joints, without longitudinal rotation
    • A61F2/644Polycentric joints, without longitudinal rotation of the single-bar or multi-bar linka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4Operating or control means fluid, i.e. hydraulic or pneu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4Operating or control means fluid, i.e. hydraulic or pneumatic
    • A61F2/748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4Operating or control means fluid, i.e. hydraulic or pneumatic
    • A61F2/741Operating or control means fluid, i.e. hydraulic or pneumatic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or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03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having damping means, e.g. shock absorbers
    • A61F2002/5004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having damping means, e.g. shock absorbers operated by electro- or magnetorheological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07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having elastic means different from springs, e.g. including an elastomeric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72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having spr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0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 A61F2002/707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61F2002/7615Measuring means
    • A61F2002/7625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gular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 스텀프(100)의 수용부를 위한 고정장치(11)를 구비한 상부부품(10) 및 다축 관절장치에 의해 상부부품(10)과 선회축으로 연결되는 하부부품(20)을 포함하는 인공무릎관절에 관한 것이다. 하부부품(20)은 방해받지 않는 방식 으로 언제나 똑바를 수 있고 그리고 잠금장치는 관절장치의 굴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있고 의자에 앉을 때 편한 움직임을 허용하는 인공무릎관절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로, 인공무릎관절은 노인성 환자를 위하여 최대 안전을 공급하기 위하여 서있고 걷을 때 안정을 유지할 것이고 그리고 고정될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절장치는 굴곡이 미리 한정된 각도 범위 내에 후자에 반대하여 저항을 발휘하는 동안 그리고 언제나 자유로이 바르게 할 수 있는 저항요소(30)를 갖는다.
저항장치, 관절장치, 작동장치, 밸브시스템, 인공무릎관절

Description

인공무릎관절{Prosthetic knee-joint}
본 발명은 다리 스텀프(stump)용 수용부를 위한 고정장치를 가지는 상부부품과 관절장치를 통하여 상부부품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부품이 구비되는 인공무릎관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노인 인공무릎관절에 관한 것이며, 노인성 환자는 보통 많은 육체적 능력을 잃고 보통 운동감각이 쇠퇴하고 그리고 지능이 감소된 나이가 지긋한 사람으로 이해하면 된다.
노인성 환자에 적합한 많은 인공무릎관절이 현재 시장에 있다. 여기 해당하는 환자들을 위하여, 모든 인공무릎관절은 동일한 개념 즉, 항상 존재하는 마찰을 제외하고, 흔들림 양상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 없이 그리고 연장된 위치에서 무릎관절을 자동적으로 잠그는 기계적 잠금장치를 구비한 상부부품 및 하부부품의 간단한 연결을 수행한다. 해제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무릎관절은 풀리고 그리고 인공무릎관절의 굴곡된 위치에서 앉는 것을 허용하며, 인공의 하부 다리에 대하여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90°이다.
위에 기술된 개념의 문제는 완전히 연장되고 잠그게 될때에만 환자가 인공보철에 무게를 실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환자가 앉을 경우, 일어서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는 건강한 다리의 근육을 통해서 발휘해야 하고, 만약 일어나기 위해 보행 보조물 또는 팔걸이가 사용될 경우, 어깨와 팔 근육에 의해 크게 또는 작게 연장을 도와야 한다. 충분한 안정성은 단지 움직임이 완료될 때, 다시 말하면 사람이 착석 위치로부터 서있고 그리고 다리가 충분히 연장될 때 나타난다.
추가 문제는 무릎관절이 풀어질 때, 무릎관절이 더이상 어떤 저항을 공급하지 않으므로, 즉각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착석된 위치로의 제어된 움직임은, 특히 나이든 환자에게 강하지 않은 건강한 다리 또는 다리 근육의 강력한 사용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이것은 환자가 착석된 위치로 보다 큰 또는 보다 작은 연장에 대해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착석된 위치로부터 일어서기가 매우 어렵고 그리고 고생스러우며, 그리고 착석이 위험하고 그리고 상당한 위험을 수반하는 결과를 갖는다. 이것의 결과로서, 많은 환자들은 움직임 부족을 가져오는 절대적인 최소에서 그들이 일어나고 그리고 착석할 때 갖는 맥박의 빈도수를 감소시키는데, 이것은 그들 일반적인 육체적 조건에 유해하다.
한편 그가 안전하게 걷고 서며, 또 다른 한편 그가 앉을 때 자유로운 착석 및 대응하는 이동성을 보장하는 인공보철을 인공보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가로, 서있을 때부터 앉을 때까지의 이동 및 반대 이동은 인공보철 사용자를 위한 증가된 위험을 수반하는 중대한 진행이고, 앉을 때 빠르게 낙하 또는 서있을 때 뒤로 넘어지는 것은 넘어지고 그리하여 부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보철 사용자의 개선된 안전을 보증하는 인공무릎관절을 이용할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다. 위에 주된 손실은 해소되고, 무릎관절은 서있기 쉽고 그리고 의자에 안전하게 앉도록 제작하는 것을 의도한다. 더욱이, 노인성 환자에게 안전의 최고 등급을 허용하기 위하여 무릎관절은 서있고 그리고 걷는 동안 안전하고 그리고 잠글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지 않는 착석 이동을 발생하지 않고 그리고 착석 위치로 다시 위치하는 것을 피하도록, 이 목적은 운동이 정의된 각도 범위에 방해된 극단적인 경우에 지연된다는 사실에 의해 대체로 달성된다. 구조적 항목에서, 이 목적은 관절장치가 잠금으로서 작용하고 그리고 한정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굴곡(정상으로 걷는 방향과 반대로 하부부품을 선회하는)을 방지하는 저항장치를 갖고, 하부부품은 한정된 각도 범위 이상으로 굴곡 방향에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한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관절장치의 굴곡을 방지하는 저항장치는 일어서는 것을 돕도록 설계된다. 일어설 때, 무릎관절은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저항에 대하여 작동하지 않고 연장될 수 있지만, 그러나 착석된 위치로부터 단계에서 인공보철 사용자가 설 수 있도록, 잠금장치로서 작동하는 저항장치는 착석된 위치로 낙하의 위험을 가동하지 않고 굴곡 이동을 계속해서 방지한다. 대신에, 인공보철 사용자는 점차적인 방식에서 일어설 수 있다. 착석된 위치로 몸체의 부드러운 저하를 허용하는 증가된 저항을 이용하는 작동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언제나, 그리고 각각 각도 위치에서, 뒤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관절의 적당한 각도를 갖는 저항장치는 전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저항장치는 전환되게 설계되고, 고정하는 작동의 수준까지 감소하고 또는 증가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0까지 후퇴하는 이동의 지연은 인공보철 사용자가 의자로 또는 지상에 갑작스럽게 그리고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낙하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잠금가능한 무릎관절과 같이 인공무릎관절의 실시예에서, 연장된 위치에서 관절을 잠그는 캐치장치가 구비된다. 비록 인공무릎관절이 연장된 위치에 잠금으로써 캐치의 다른 구조가 상상될 수 있지만, 인공보철 사용자 특히 노인의 인공보철 사용자가 안전하게 설수 있고 걷을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는 무릎관절을 형성하기 위한 캐치장치는 일반적으로 기계의 캐치이다. 캐치장치는 단지 "잠금" 및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저항의 조정 단계 또는 중간 단계가 제공되지 않는다. 캐치장치는 작동장치를 통해 풀리고 그리고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잠근다. 무릎관절이 풀어질 때 안전성이 갑자기 잃어버리지 않는다면, 인공보철 사용자가 앉을 경우 그가 일어서 있는 위치로부터 착석된 위치까지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보장되는 캐치장치가 추가로 저항장치에 제공된다. 만일 저항장치에 의해 적절히 원조하고 그리고 충분한 안정을 공급한다면, 서있고 걷는 동안, 무릎관절은 캐치장치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잠금이 인공보철 사용자에 의해 해제되자마자, 착석된 위치에 이동이 제어된 방식에서 및 긴 시간의 기간을 넘어 부드럽게 일어나도록, 저항장치 그리고 무릎관절은 굴곡 이동에 대하여 조정가능한 저항의 높은 수준을 발휘한다. 착석된 위치에서, 한정된 각도의 범위를 넘어 발휘되는 이 저항의 높은 수준은 자동적으로 감소되거나 상쇄되고, 그리고 작은 각도 범위를 넘어 무릎관절은 착석된 위치에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굴곡 및 연장 이동을 발휘한다.
캐치장치 또는 저항장치 및 잠금장치는 굴곡이동을 무릎관절의 각각 위치에서 고정장치에 의해 방지되지만, 연장이동이 즉 걷는 방향으로 하부 다리의 선회가 여전히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상부부품에 관하여 하부부품의 각각의 각도 위치에서 작동장치를 통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일어서고 또는 착석의 각 상태에 인공보철 사용자가 착석된 위치로 가기 위하여 저항 또는 고정을 활발히 감소할 수 있도록 캐치장치 및 저항장치는 모든 위치에서 즉 저항의 해제 또는 감소에서 전환될 수 있도록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추가의 본 발명의 발달에서, 잠금장치를 잠그고 또는 풀기 위한 작동장치는 수동적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무릎으로부터 원격(remote) 위치로부터 작동장치가 작동할 수 있기 위하여, 슬라이드, 회전부재 또는 레버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갖는다. 이 케이블은 덮개를 통하여 허벅다리를 따라 보낼 수 있고 그리고 바지 허리띠 위에 또는 바지 주머니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확보될 수 있다.
선택적인 수동 작동에서 처럼, 설비는 작동장치가 모터, 에너지 축열기, 기어 및 원격제어에 의해 전환 기계장치와 연결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게 제작된다. 그러므로, 버튼의 누름 및 원격제어에 의한 누름에서, 무릎관절의 영역에서 작동장치의 수동 작동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도록, 작동장치는 전면 관절레버를 따라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잠금 또는 저항 조절를 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무릎관절에 쉽게 도달 할 수 없는 사람을 위하여 특히 유리하다. 외부 직경 및 레버 그리고 기타 비슷한 종류를 갖는 기계적 연결이 양립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수동 모듈은 모터 구동 모듈에 의해 제자리에 놓을 수 있다. 저항장치 또는 잠금장치 또는 캐치장치와 협력하기 위한 원격제어 및 작동장치는 모두 잠글 수 있는 무릎관절에 적용할 수 있고 그리고 그들과 협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원격제어는 특히 적외선, 라디오 또는 음향의 원격제어이지만, 그러나 "위성 스위치" 즉 케이블 또는 보던(Bowden) 와이어를 통하여 각각의 장치와 연결된 기계적 스위치는 아니다.
작동장치 또는 저항장치 또는 잠금장치에 배당되는 지연요소는 확보된 위치에서 무릎관절을 풀기위해 처음 인공보철 사용자에게 허용하고, 소정의 시간의 기간 후에, 인공보철 사용자가 이 시간의 기간 내에 앉을 수 없는 경우 잠그는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보증한다. 이것은 푸는 것을 잊거나 또는 풀림에 일어선 그자신을 발견하여 당황한 노인성 환자가 이것을 알지 않고 무릎관절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피한다. 인공보철 사용자가 걷기 이동을 하려고 노력하고 그리고 풀린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린다면 그러한 상태는 중대한 손상을 이끌 수 있다.
지연요소는 무릎관절이 소정의 시간의 기간을 넘어 잠그게 되어 있거나 또는 저항의 높은 수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또한 제공된다. 풀고난 후에, 인공보철 사용자는 이렇게, 예를 들어 안정된 무릎으로 서있을 수 있거나 또는 무릎관절의 굴곡이 시작되기 전에 그 스스로 지지하여 작동하기 위하여 손은 사용할 수 있다. 지연요소처럼, 모터 또는 밸브를 위한 지연 회로와 같은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중계기, 유동 특성을 갖는 탄성체 요소, 및 작동기 또는 기계적 지연 요소를 갖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하부부품에 대하여 상부부품의 각도의 기능으로 저항장치를 전환할수 있기 위하여, 제어장치, 바람직하게 기계적 제어장치는 상부부품과 연결되고 저항장치와 결합되게 제공된다. 이런 방법에서, 간단한 수단에 의해, 적당한 저항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이용할 수 있게 제작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정가능한 저항을 이용가능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저항장치는 유압(hydraulic) 또는 공기 유닛, 마찰 커플링(friction coupling) 또는 전자기 커플링처럼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압 또는 공기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실린더에 안내된 피스톤의 내부에 배열되는 제어가능한 밸브 시스템이 제공된다. 피스톤은 저항장치의 일 부분으로 형성한다. 특히 조밀한 구조는 피스톤의 내부에 밸브 시스템의 결합 및 배열에 의해 공급되고, 인공무릎관절의 경제적인 제작을 위하여, 밸브 시스템은 증가된 저항이 한정된 각도 범위를 넘어 제공되도록 하부부품에 대하여 상부부품의 각도 기능으로 저항 장치를 전환하는 기계적 제어장치와 연결된다. 이 각도범위가 초과될 때, 걷는 방향으로 추가의 굴곡에 대하여 어떤 저항도 없으며; 굴곡은 대응하는 잠금수단에 의해 언제나 방지되는데 반해, 걷는 방향과 반대로 방해받지 않는 연장은 언제나 가능하다.
이 제어장치는 상부부품에 의해 그리고 그것에 관하여 확보된 피스톤봉에 의해 형성된 회전축 주변에 배열되고, 피스톤 봉 및 그것에 의해 안내된 제어봉에 관하여 제어장치의 간단한 배열로 끝난다.
제어장치는 제어봉에 작용하고 상부부품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하부부품에 확보되는 캐리어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끌고가는 제 1 캠디스크를 갖는다. 제 1 캠디스크는 각도에 의존하는 캐리어 또는 캐리어들을 통하여 전환된다. 저항없이 무릎관절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캠디스크가 상부부품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면 일정한 굴곡 각도가 달성될 때 밸브가 개방되도록 캠디스크를 회전하고 굴곡방향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가 필요하다.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를 위한 고정장치를 갖는 상부부품, 관절장치를 통하여 상부부품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부품, 및 작동장치에 의해 잠기게 되고 풀릴수 있고 연장된 위치에서 인공무릎관절을 정지시키기 위한 캐치장치를 구비한 인공무릎관절은 취급의 용이를 위해 원격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장치를 포함한다. 캐치장치를 위한 원격제어 및 작동장치는 모두 잠금가능한 무릎관절에 적용할 수 있고 그리고 그들과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들 특히 적외선, 라디오 또는 음향 원격제어는 케이블이 없지만, 그러나 "위성 스위치" 즉, 케이블을 통하여 각각의 장치와 연결되는 스위치는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저항장치를 갖는 잠금가능한 무릎관절의 설계와 관계없이, 캐치장치는 풀림 작동 후에 시간지연 뒤에 캐치장치를 풀고 또는 다시 고정하는 지연요소를 부여한다. 지연요소는 중계기, 탄성체 또는 유동 요소 또는 작동기를 갖는 전자 회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에 관련되어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도면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뚜렷한 이유를 위해, 모든 구성부품은 모든 도면에서 참조번호를 표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허벅다리에 대한 고정된 수용부와 인공적인 하부 다리가 구비된 인공무릎관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허벅다리에 대한 수용부가 없는 도 1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부분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전면 관절부품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상부부품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고정된 관절 하부 다리를 구비한 하부부품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피스톤봉을 구비한 수압피스톤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관절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무릎관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저항장치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밸브시스템의 다른 스위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보조밸브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밸브시스템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보조밸브에 대한 조절장치를 구비한 제어봉의 분리도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상부부품, 하부부품, 저항장치 및 전면 관절부품이 구비된 인공무릎관절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제어봉을 위한 작동장치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 제 1 캠디스크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제어봉이 작동될 때 도 20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은 제 2 캠디스크 및 회전부재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24는 회전부재 및 캠디스크에 개방요소의 기계적인 연결을 도시한다.
도 25는 보조밸브가 개방된 전환된 상태에 도 24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6 및 도 27은 작동장치 상에 개방한 케이블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는 잠금 상태 및 풀린 상태에서 작동장치의 제 2 도면을 도시한다.
도 30 내지도 32는 굴곡 각도의 기능으로써 기계적인 제어 상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3은 전면 관절부품 및 작동장치의 분해도면을 도시한다.
도 34는 부속품들을 구비한 작동장치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35 및 도 36은 모터-구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릎관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7은 다른 각도로 세팅된 인공무릎관절의 두 개의 전체 도면을 도시한다.
도 38은 지연요소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부품(10) 및 하부부품(20)를 갖는 인공무릎관절의 전체도면을 나타내며, 상부부품(10) 및 하부부품(20)은 관절장치를 통하여 서로 회전축으로 연결된다. 이 관절장치는 상부부품(10) 및 또는 하부부품(20) 모두를 회전축으로 확보되는 전면 관절레버(40)를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장치로써 설계되는 저항장치(30)는 보통의 걷는 방향, 다시 말하면 앞으로 똑바로 걷는 방향과 반대로 상부부품(10)에 관하여 하부부품(20)의 제어되지 않는 굴곡운동을 방지하고, 그리고 도시에 후면 관절부품으로서 역할을 한다. 관절장치의 형상은 걷고 서있는 동안 발생하고 인공사용자에 의해 인공무릎관절(1)에 발휘되는 큰 부품의 무게가 저항장치(30)를 통하여 하부부품(20)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그들로부터 인공의 하부다리(200)로 안내되는 효과를 갖는다.
하부부품(20)에 인공의 하부다리(200)를 연결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수용부(25)가 하부부품(20)의 하단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부부품(20)과 인공의 하부다리(200)는 일체로 설계될 수 있으며, 적절하다면, 인공의 발도 장비할 수 있다.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100)가 상부부품(10)의 상단에 있고, 수용부(100)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11)를 통하여 상부부품(10)위에 확보될 수 있다.
인공무릎관절(1)은 전면 관절레버(40)위에 배열되고 그리고 무릎캡처럼 형성된 작동장치(50)를 더 포함한다. 작동장치(50)는 전면 관절레버(40)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리고 그 자체 기능은 아래에 더 기술될 것이다.
전면 관절레버(40)가 하부부품(20)의 베어링 브라켓(21)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도 2에서 볼 수 있다. 더욱이 관절레버(40)는 상부부품(10)의 전면부분(1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그러나 저항장치(30)는 앞으로 걷는 방향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부부품(10)의 후면부분(13)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도 3은 피스톤봉(31)을 통하여 상부부품(10)과 연결되는 수압 피스톤(30')을 구비한 저항장치(30)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 인공무릎관절(1)를 도시한다. 피스톤(30')은 가이드(23)에 의해 그리고 가이드(23)를 통하여 형성된 실린더(26)의 내부로 이동한다. 가이드(23)는 실린더 벽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하부부품(20)의 일체로 구조상 성분을 형성한다. 유압 유체로 채울수 있는 실린더(26)의 하단에 배열되는 마감장치가 있다.
관절구조의 개개의 부품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며, 도 4는 두 개 회전굴대를 구비한 관절수단으로 설계되는 전면 관절부품(40)을 도시한다. 도 5는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를 위한 고정장치(11)를 구비한 상부부품(10)를 나타내며;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저항장치(30) 및 전면 관절부품(40)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부부품(10)은 회전굴대를 위한 두 개 오목부를 갖는다. 도 6은 인공의 하부다리(200)를 위한 수용부(25)를 갖는 하부부품(20)을 도시하며, 하부부품은 베어링 브라켓(21)이 형성되고 또는 확보되는 실질적으로 관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하부부품(20)과 함께, 도 7에서 도시한 구조상 성분은 저항장치(30)를 형성하며, 구조상 성분은 피스톤봉(31) 및 피스톤(30')으로 구성한다. 상부부품(10)의 후면부분(13)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봉(31)을 허용하는 홈이 피스톤봉(31)의 하단에 있다.
도 8은 상부부품(10)이 베어링 브라켓(21)위에 직접적으로 접합되고 그리고 피스톤봉(31)이 후면 관절레버(12)를 통하여 상부의 후면부분(13)과 연결되는 관절장치의 양자택일 구조를 도시한다.
도 9는 저항장치의 기능을 도시하도록 하부부품(20)을 지나는 단면도를 도시 한다. 하부부품(20)의 외벽(23)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20')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원통 공간(26)을 형성한다. 피스톤(30')은 힘이 피스톤봉(31)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종래의 수압피스톤으로 설계된다. 피스톤봉(31)에서 중심으로 안내된 제어봉(76)을 통하여 전환되는 제어가능한 밸브 시스템(60)이 피스톤(30')의 내부에 중심으로 배열된다. 전환(switching)은 축 방향에서 적하되는 밸브시스템(60)의 밸브에 의하여 초래된다.
도 11에서, 밸브시스템(60)은 역류방지 밸브(nonreturn valve)로 설계되고 그리고 피스톤(30') 및 그 밖의 피스톤봉(31)의 위쪽으로 이동이 언제나 가능하지만, 그러나 피스톤(30')의 아래로 낙하 이동은 방지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피스톤(30') 내부에 배열되는 주요밸브(61)를 포함한다. 인공무릎관절(1)를 위하여, 이것은 무릎관절의 연장(extension), 즉 정상으로 걷는 방향에서 상부부품(10)에 관하여 하부부품(20)의 선회가 언제나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에 반해, 정상으로 걷는 방향과 반대로 인공보철 사용자의 불필요한 굴곡 및 결과 체력저하가 방지된다.
도 10에서, 피스톤(30')은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봉(31)은 주요밸브(61)를 아래로 누르지 않으며, 그 결과로 밸브(61)는 피스톤(30')의 아래로의 이동을 방지하지만 그러나 유압의 오일이 홈(32)을 통하여 상부 챔버로부터 하부 챔버로 방해받지 않고 흐를 수 있으므로 피스톤(30')의 위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11은 즉 피스톤(30')의 아래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주요밸브(61)의 전 환된 상태 즉 유압의 유체가 홈(32)을 통하여 하부 챔버로부터 상부 챔버로 흐를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밸브(61)는 무릎관절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의미하는 양 방향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하여 피스톤(30')을 허용한다.
도 12는 밸브시스템(60)의 단면도를 또한 도시하며, 유사한 형상의 보조밸브(62)가 주요밸브(61)의 내부에 배열되는 방법에 대해 명백하게 도시한다. 그 자체 기능은 주요밸브(61)의 그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도 12에 따른 위치에서, 제어봉(76)은 주요밸브(61)도 보조밸브(62)도 작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양 밸브(61, 62)가 피스톤(30')의 아래로 이동을 방지하고 그리고 그 때에 굴곡 이동을 방지한다. 주요밸브(62)는 상부 챔버로부터 하부 챔버로 흐름을 허용하며, 따라서 연장(extension)은 언제나 가능하다. 제어봉(76)이 각각의 밸브(61, 62)에 지정된 두 개의 숄더(761, 762)를 갖는 것을 도 12에서 볼 수 있다. 숄더(761, 762)는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갈라져 나오며, 제 2 숄더(762)는 주요밸브에 제 1 숄더(761) 보다 쉽게 보조밸브(62)와 맞물려 들어간다.
도 13은 보조 밸브가(62)가 제어봉(31)을 통하여 전환되는 즉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보조밸브(62)를 통하여 낮은 최대 유동율은 보조밸브(62)가 개방될 때, 피스톤(30')의 아래로의 이동 및 그에 따른 무릎관절의 굴곡이 허용되지만, 그러나 저항의 높은 수준과 함께, 이것은 부드러움, 감속된 이동 및 제동을 이끌고, 그러므로 서있는 위치로부터 착석된 위치까지 몸체의 제어된 저하를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액체의 유동은 화살표로 표시되고 그리고 밸브디스크(63), 밸브대(64)를 따라서 그리고 상부 원통 챔버에 대응하는 홈을 통하여 흐른다. 그것은 마찬가지로 역류방지 밸브로서 작동하고 그리고 보조밸브(62)가 밸브대(64)를 통하여 안내되는 주요밸브(61)의 내부에 개방부를 통하여 폐쇄된다. 본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보조밸브(62)는 주요밸브(61)에 관하여 동심으로 배열된다.
도 14는 그 자체위에 보조밸브(62)를 도시하며, 도면의 왼편은 밸브디스크(63)와 밸브대(64)를 갖는 완전한 보조밸브(62)를 도시한다. 도 14의 오른편은 타원형 형상을 갖는 밸브대(64)의 단면을 도시한다. 밸브디스크(63)에서 떨어진 밸브(62)의 말단에 제어봉(76)과 회전적으로 고정된 결합장치로 설계되는 평평한 영역이 있다.
밸브대(64)가 비 회전적으로 대칭적으로 단면도를 갖는 이유를 도 15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밸브(62)는 주요밸브(61)의 내부에 원형 밸브가이드에 안내되고, 그리고 밸브대(64)의 간단한 회전에 의해 안내되며, 유동율이 유동의 단면을 감소함으로써 제한되기 때문에, 보조밸브(62)를 통하여 허용되는 유동율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이 보조밸브(62)의 회전은 제어봉(76)을 통하여, 즉 피스톤봉이 수용되는 영역에 제어봉(76)을 움직이는 조정톱니바퀴(77)를 통하여 유리하게 달성된다.
도 18은 상부부품(10), 하부부품(20), 전면 관절부품(40) 및 저항장치(30)를 갖는 관절장치의 전체 도면을 도시한다. 전면 관절부품(40)은 상부 회전굴대(17) 및 하부 회전굴대(18)를 통하여 상부부품(10) 및 하부부품(2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피스톤봉(31)은 회전굴대(15)를 통하여 상부부품(10)의 후면부분(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자체 피스톤봉(31)은 하부부품(20)의 내부에 축방향 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도 19는 제어봉(76)의 단부위에 배열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압력레버(78)를 도시한다. 본 도면에 실시형태에서, 압력레버(78)는 회전굴대(15) 아래 피스톤봉(31)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축이 압력수단(78)의 회전축에 평행한 원통형의 지지몸체를 갖는다. 이 방식에 의해,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밸브(62) 및, 적절하다면, 주요밸브(61)의 정밀한 제어는 캠디스크(71)를 통하여 획득된다. 도 20은 상부(10)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압력레버(78) 위에 연장하는 방법에 대해 도시한다. 도 20에서, 서있는 동안 발휘되는 적하에 의해 수압이 언제나 역류방지 밸브(61, 62)와 반대로 작동하기 때문에, 제어봉(76)은 일반적인 위치를 나타내닌 상부 위치에 설치된다.
한정된 각도에 도달할 때, 도 21에 도시된 것 처럼, 보조밸브(62)가 첫째로 열리고 그리고 그때 주요밸브(61)가 개방되도록 캠디스크(71)에 형성된 돌기는 제어봉(76)을 아래로 누르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캠디스크(71)가 제어봉(76)을 아래로 누르고 그리고 그러므로 밸브(61, 62)를 개방될 때까지 상부(10)는 70°각도로 하부부품(20)에 대하여 선회해야 한다. 그러한 관절 위치에서, 착석된 위치에서 인공보철 사용자를 위해 유리한 무릎관절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제 1 캠디스크(71)은 밸브시스템(60)과 연합하여, 하부부품(20)의 자유로운 연장이 언제나 가능하고, 편안한 착석을 허용하도록 한정된 각도 범위보다 위로, 자유로운 굴곡이 언제나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제어장치(70)의 제 1 요소이다. 이것은 또한 저항장치(30)가 개방되지 않고 그리고 한정된 각도 범위를 넘지 않을 때 굴곡방향과 반대로 잠금 작동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증한다. 한편, 안전하고 그리고 제어된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서있는 위치로부터 착석 위치까지 교체를 허용하기 위하여, 굴곡에 대하여 제어가능하고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은 보조밸브의 개방상태에서 가능하게 한다.
보조밸브(62)가 개방되고 그리고 증가된 저항 모드로 이렇게 전환될 수 있는 그러한 방법에서 제어봉(76)을 작동하는 것이 가능한 제 2 캠디스크(72)의 형태에 제어장치(70)의 추가 구성은 도 22에 도시된다. 제 2 캠디스크(72)는 압력레버(78)에 마찬가지로 작용하며, 그러나 보조밸브(62)가 전환되지 않도록 도 22에서 배열된다. 제 2 캠디스크(72)는 캠디스크(7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2)를 통하여 전면 회전굴대(17)에 설치된 회전부재(51)와 연결된다. 회전부재(51)의 회전에 의해, 도 23에 도시되는 제 2 캠디스크(72)는 레버(52)를 통하여 회전되고, 그리고 돌기는 제어봉(76)을 아래로 누르고 그리고 보조밸브(62)를 작동시킨다. 회전에 회전부재(51)를 놓기 위하여,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추가된 레버(53)를 통하여 회전부제(51)와 연결되는 작동장치(50)는 무릎캡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24는 수단(52, 53) 및 회전부재(51)를 구비한 이동가능한 작동장치(50)의 결합을 도시하며; 도 24에 따른 위치에서, 작동장치(50)는 회전부재(51)가 왼쪽으로 최대 넓이로 회전되고 그리고, 여기 레버 배열에서, 제 2 캠디스크(72)가 왼쪽으로 최대 넓이로 마찬가지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는 낮은 위치에 있다.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장치(50)가 위로 이동된다면, 회전부재(51)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 2 캠디스크(72)도 같이 행동한다. 이것은 제 2 캠디스크(72)에 형성된 돌기가 압력레버(78)에 작용하고 그리고 보조밸브(62)가 전환된, 즉 개방된 결과로 제어봉(76)을 아래로 누르고, 그리고 서있는 위치에서 착석위치까지 부드러운 저하를 가능하게 만드는 효과를 갖는다.
무릎캡을 고정하는 것이 필요한 인공보철 사용자를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무릎으로부터 위로 안내될 수 있는 작동 케이블(55)이 제공되며, 따라서 본 도면 실시형태에 레버(53) 위에 배열된 작동 케이블(55)을 당김으로써, 부드러운 굴곡이 허용되는 개방모드로 놓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 케이블(55)은 회전부재 또는 그 자체 작동장치(50) 위에 마찬가지로 배열될 수 있다. 전체 무릎관절은 작동 케이블(55)과 함께 도 28에 평면도로 도시된다.
도 28 및 도 29는 전면 관절부품(4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리고 스프링 적하되고 전면 관절부품(40)에 형성된 오목부(46)에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요소(56)를 갖는 작동장치(5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에 도시된 것 처럼, 작동장치가 상승된다면, 여기에 볼처럼 형성된 잠금요소(56)는 적합한 형태를 갖는 오목부(46)에 맞물리고 그리고 상부 위치에 작동장치(50)를 고정한다. 이것은 보조밸브(62)가 제 2 캠디스크(72)를 통하여 개방되어 있고 그리고, 그 결과로 저항은 작동장치(50)의 단일 발동을 가지고 착석의 전체 순서동안 일정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잠금요소(56)의 스프링 설치 때문에 쉽게 제작되는 작동장치(50)가 다시 아래로 이동될 때, 제 2 캠디스크(72)는 왼쪽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수압때문에, 보조밸브(62)는 폐쇄되고 그리고 무릎관절의 추가 하락 및 굴곡은 피하게 된다. 보조밸브(62)는 개방요소(5)의 낮은 위치에서 폐쇄되어 있고; 레버(52, 53), 회전부 재(51) 및 제어봉(70)은 유압의 유동을 정지하는 힘에 의하여 무릎관절의 굴곡을 방지하는 캐치장치(catch device)를 형성한다. 인공보철 사용자는 관절의 제어되지 않는 블럭킹의 위험없이 무릎관절을 언제나 연장할 수 있다. 서있고 착석할때 이 실시형태는 노인성 환자를 돕기위한 원조로서 이렇게 사용될 수 있다.
착석된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건강한 다리에 부적당한 긴장을 할 경우에 다시 뒤로 감퇴되는 전체 몸체없이, 환자가 끊임없이 또는 스텝(stepped)방식에서 설 수 있는 제어장치(7)의 상태를 야기시키기 위하여, 주요밸브의 개방부때문에 무릎관절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허용하는 각도가 달성될 때 보조밸브(62)가 폐쇄되게 설비를 만든다. 이것은 상부부품(10)위에 배열하고 회전부재(51)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캐리어(19)에 의해, 한정된 각도로부터 시작에 의해 수행되며, 그리고 이 방법에서, 레버(53)를 통하여 잠그고, 풀림에 상부위치, 하부위치로부터 작동장치(50)를 이동시킨다.
그러한 결과는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다. 작동장치(50)가 고정상태에 있을 때, 회전부재(51)는 한정된 무릎 각도보다 위로 캐리어(19)를 통하여 왼쪽으로 회전되고, 그리고 이것은 레버(53)가 작동장치(50)를 아래로 밀고 그것에 의하여 작동장치(50)가 풀리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캐리어(19)는 상부부품(10)에 정확하게 확보되고 그리고 회전부재(51)의 가이드에 안내된다.
작동장치(50)의 아래로 이동을 원조하고 그리고, 작동장치(50)의 개방에, 보조밸브(62)의 대응하는 아래로 이동 및 가장 빠른 가능한 폐쇄를 야기시키기 위하여,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복원 스프링(57)은 작동장치(5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복원 스프링(57)은 작동장치(50)의 뒤에 오목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리고 대응하는 핀을 통하여 전면 관절부품(40)에 지지된다. 작동장치(50)의 안전한 안내는 작동장치(50)의 뒤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는 중심의 슬릿(slit)에 의해 안전하게 된다.
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그리고 원격제어에 의해 작동하고 그리고 비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작동장치(50)의 선택적인 실시형태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다. 동력(510), 에너지 축열기(520), 기어(530) 및 제어유닛(540)은 작동장치(50)의 내부에 제공되고, 작동장치는 이 레버에 의해 위 아래로 구동될 수 있다. 레버(52, 53), 회전부재(51) 및 캠디스크(72, 71)를 통하여 작동장치의 남은 기계적 연결은 위에 기술된 것과 같고, 따라서 참조가 앞에 말한 것으로 제작한다. 모듈 설계 및 수동의 호환성 및 동력구동 작동장치(50)에 의해, 변형은 요구 또는 지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원격제어에 의해,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라디오 제어에 의해 작동장치(50)의 작동은 서있고 착석에 원조를 위한 레버를 가지지 않는 다른 고정가능한 무릎관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릎을 붙잡거나 또는 걷기 원조로부터 떨어져 하나의 손을 잡는다면, 원격제어는 인공보철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나타나는 자세에서 최소의 노력으로 고정하거나 풀리도록 허용한다.
도 37은 다른 각도로 놓여진 인공무릎관절의 두 개의 전체 도면을 도시하며, 조밀한 구조 및 상부부품(10)에 관하여 하부부품(20)의 크게 선회하는 범위를 도시한다.
서있는 것부터 착석까지 제어되고, 부드럽고 그리고 느린 이동이 허용되도 록, 본 발명에 따른 보철의 이점은 수동 또는 동력으로 작동장치를 작동함으로써, 인공보철 사용자가 무릎관절의 잠금상태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상태까지 전환될 수 있고, 굴곡에 대하여 저항의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 공급되는 이동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장치는 선택적으로 인공무릎관절의 영역에서거나 또는 작동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높은 저항을 갖는 모드에 작동 순서 및 전환이 눈에 뛰지 않는 방식에서 수행될 수 있다. 작동장치의 고정에 의하여, 발동 손잡이, 작동장치 또는 작동 케이블의 고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대신에 단일 작동 기동은 높은 저항의 놓인 위치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고정은 인공보철 사용자에 의해 언제나 상쇄될 수 있고 그리고 굴곡에 관하여 증가된 저항의 모드에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인공무릎관절의 굴곡에 대하여 고정은 인공보철 사용자에 의해 언제나 달성할 수 있다.
일체 적하-베어링부품로서 하부부품에 유압 실린더의 일체에 인하여, 저장공간 뿐만 아니라 무게를 갖는 관절장치는 조밀한 구조의 이점을 갖는다. 분리된 실린더가 필요하지 않으며, 그리고 일체로된 유압 실린더의 형상의 저항장치는 동시에 적하-베어링 구성으로서 또한 역할을 한다.
도 38은 위성 스위치의 형태로 고정을 지연하는 캐치장치의 지연요소(384, 385, 386)의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8은 무릎관절의 캐치 기계장치와 연결되고 그리고 관절로부터 단부 원격에서 그립(382)과 단단히 연결되는 작동 케이블(55)을 도시한다. 스프링 지지부(384)는 작동 케이블(55)과 마찬가지로 단단히 연결된다. 그립(382)은 기본 플레이트(381)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본 플레 이트(381)은 작동 케이블(55) 및 또한 스프링지지부(384)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383)을 형성한다. 스프링 장치(385, 386)는 하우징(383)에 배열되며, 기본 플레이트는 적하가능한 구성, 예를 들어 다리 인공보철의 샤프트에 확보된다. 그립(382)에 통하여 작동 케이블(55)을 당김으로써, 유동 스프링요소(385) 예를 들면 높은 탄성 엘라스토머는 스프링지지부(384)를 통하여 적하하는 압축을 필요로하며, 작동 하는 그립(382)을 놓은 후에 잠시 당긴 위치에서 작동 케이블(55)을 유지한다. 다른 스프링 특성에 적절하다면, 하나 이상의 스프링요소(386)는 유동 스프링요소(385)의 작동을 돕고 및/또는 요구 또는 조립이 용한 제작에 의해 기능의 미세조정(fine-tuning)을 유리하게 허용한다.
스프링장치(385, 386)의 유동 특성에 의존하는, 작동 케이블(55)은 시간 지연에 복구된다. 이 시간 지연은 사용하기 편하고 그러므로 또한 환자를 위한 안전한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무릎관절의 전환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작동 케이블(55)을 당긴 후에, 당사의 수동은 이동성을 도와주는 기능을 위해 다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무릎관절은 천천히 그리고 더 제어되는 방식에서 이렇게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공보철 사용자의 개선된 안전을 보증하는 인공무릎관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릎관절은 서있기 쉽고 그리고 의자에 안전하게 앉도록 제작된다. 더욱이, 노인성 환자에게 안전의 최고등급을 허용하기 위하여 무릎관절은 서있고 그리고 걷는 동안 안전하고 그리고 잠글 수 있도록 제공된다.

Claims (13)

  1.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100)를 위한 고정장치(11)를 갖는 상부부품(10) 및 관절장치를 통하여 상기 상부부품(10)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부품(20)을 구비하는 인공무릎관절에 있어서,
    상기 인공무릎관절은 한정된 각도 범위내에서 관절 장치의 굴곡을 방지하는 저항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부품은 잠금으로서 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한정된 각도 범위이상으로 굴곡방향에 자유로이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2.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100)를 위한 고정장치(11)를 갖는 상부부품(10) 및 관절장치를 통하여 상부부품(10)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부품(20) 및 작동장치(50)에 의해 잠기고 풀릴 수 있는 캐치장치(51, 52, 53, 76, 62)를 구비하고, 상기 캐치장치에 의해 연장된 위치에서 잠기게되는 인공무릎관절에 있어서,
    상기 인공무릎관절은 한정된 각도 범위내에서 상기 관절 장치의 굴곡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부품은 상기 한정된 각도 범위이상으로 굴곡방향에 자유로이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품(20)은 언제나 자유롭게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에 대한 저항은 잠김 작동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저항장치(30)는 전환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장치(30) 및/또는 캐치장치는 저항이 증가 또는 감소되거나 또는 잠금이 해제 또는 잠겨짐을 통하여 상기 작동장치(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50)는 수동 또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50)는 원격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캠디스크(71)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하부부품(20)에 대한 상기 상부부품(10)의 굴곡 각도의 기능으로 상기 저항장치(30)를 전환하는 기계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장치(30)는 유압 또는 공기 유닛, 마찰 커플링 또는 전자석 커플링 또는 자기유동 또는 압전기 원칙에 근거한 장치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또는 공기 유닛은 실린더(26)에 안내되는 피스톤(30')의 내부에 배열되는 제어가능한 밸브시스템(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11.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100)를 위한 고정장치(11)를 갖는 상부부품(10) 및 관절장치를 통하여 상부부품(10)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부품(20) 및 작동장치(50)에 의해 잠기고 풀릴 수 있는 캐치장치(51, 52, 53, 76, 62)를 구비하고, 상기 캐치장치에 의해 연장된 위치에서 잠기게 되는 인공무릎관절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50)는 원격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12. 다리 스텀프용 수용부(100)를 위한 고정장치(11)를 갖는 상부부품(10) 및 관절장치를 통하여 상부부품(10)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부품(20) 및 작동장치(50)에 의해 잠기고 풀릴 수 있는 캐치장치(51, 52, 53, 76, 62)를 구비하고, 상기 캐치장치에 의해 연장된 위치에서 잠기게 되는 인공무릎관절에 있어서,
    지연요소(384, 385, 386)가 캐치장치(51, 52, 53, 76, 62)에 배당되고 그리고 풀림 작동 후에 시간 지연 후 상기 캐치장치(51, 52 ,53 ,76 ,62)를 풀거나 또는 다시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요소(38)는 중계기, 탄성체(386) 및/또는 유동 요소(385) 또는 작동기를 구비한 전자 회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무릎관절.
KR1020067011026A 2003-11-07 2004-11-04 인공무릎관절 KR20060130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1916.5 2003-11-07
DE10351916A DE10351916A1 (de) 2003-11-07 2003-11-07 Prothesenkniegele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059A true KR20060130059A (ko) 2006-12-18

Family

ID=3455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026A KR20060130059A (ko) 2003-11-07 2004-11-04 인공무릎관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083272A1 (ko)
EP (1) EP1699391A2 (ko)
JP (1) JP4625015B2 (ko)
KR (1) KR20060130059A (ko)
CN (1) CN1901857A (ko)
AU (1) AU2004286759A1 (ko)
CA (1) CA2544901A1 (ko)
DE (1) DE10351916A1 (ko)
RU (1) RU2006119915A (ko)
WO (1) WO200504415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43B1 (ko) * 2006-12-29 2008-02-11 선동윤 무릎 관절용 의지
KR101237392B1 (ko) * 2010-10-20 2013-02-26 하재철 의지 사용자를 위한 인공 무릎 관절
KR101385567B1 (ko) * 2012-08-13 2014-04-15 (주)대일정공 양측 관절 회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아암
KR101385569B1 (ko) * 2012-08-13 2014-04-15 (주)대일정공 관절 회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아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5025B2 (ja) * 2006-09-12 2009-10-14 国立大学法人 北海道大学 筋力補助装置
US8435309B2 (en) 2007-01-05 2013-05-07 Victhom Human Bionics Joint actuation mechanism for a prosthetic and/or orthotic device having a compliant transmission
EP2104476B1 (en) 2007-01-05 2016-01-06 Victhom Human Bionics Inc. High torque active mechanism for orthotic devices
US20080269912A1 (en) * 2007-04-26 2008-10-30 Rego Florida Corporation Artificial leg
US8894714B2 (en) * 2007-05-01 2014-11-25 Moximed, Inc. Unlinked implantable knee unloading device
DE102008024747A1 (de) 2008-05-20 2009-12-03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Orthopädische Einrichtung mit einem Gelenk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orthopädischen Einrichtung
US8231688B2 (en) * 2008-06-16 2012-07-31 Berkeley Bionics Semi-actuated transfemoral prosthetic knee
AU2010207942A1 (en) * 2009-01-30 2011-09-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odel-based neuromechanical controller for a robotic leg
DE102009052890A1 (de) * 2009-11-13 2011-05-19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ünstlichen orthetischen oder prothetischen Gelenkes
DE102009052891A1 (de) * 2009-11-13 2011-05-19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System mit zumindest einer orthopädietechnischen Einrichtung und einer Fernbedienung
JP5515899B2 (ja) * 2010-03-17 2014-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脚補助装置
DE102010046690B4 (de) 2010-09-28 2012-04-19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Gelenkeinrichtung
GB201113208D0 (en) * 2011-07-29 2011-09-14 Blatchford & Sons Ltd Leg prosthesis
DE102013004544B4 (de) * 2013-03-12 2015-01-15 Uniprox GmbH & Co. KG Prothesenkniegelenk mit Kniegelenksperre
US9028557B2 (en) 2013-03-14 2015-05-12 Freedom Innovations, Llc Prosthetic with voice coil valve
US9849002B2 (en) 2013-08-27 2017-12-26 Freedom Innovations, Llc Microprocessor controlled prosthetic ankle system for footwear and terrain adaptation
WO2015157723A1 (en) 2014-04-11 2015-10-15 össur hf Prosthetic foot with removable flexible members
CN103976807B (zh) * 2014-05-20 2016-03-02 西北工业大学 一种齿轮五杆机构的假肢膝关节
DE102014010254B4 (de) 2014-07-11 2023-06-22 Ottobock Se & Co. Kgaa Orthopädietechnische Gelenkeinrichtung
CN105310801A (zh) * 2014-07-18 2016-02-10 郑嘉宝 防倾倒的膝关节结构
CA2969884C (en) * 2014-12-08 2023-03-28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 Powered and passive assistive device and related methods
DE102015106391B4 (de) * 2015-04-24 2020-07-09 Otto Bock Healthcare Products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ünstlichen Kniegelenkes
FR3036613A1 (fr) * 2015-05-27 2016-12-02 Univ Bordeaux Articulation de membre inferieur pour la locomotion bipede
DE102015116149A1 (de) 2015-09-24 2017-03-30 Otto Bock Healthcare Gmbh Orthopädische Gelenkeinrichtung
CN105193526A (zh) * 2015-11-03 2015-12-30 李娟� 一种多轴液压控制仿生膝关节
CN105496733B (zh) * 2015-12-15 2018-01-12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行走助力装置
CN106361469B (zh) * 2016-09-09 2018-04-13 北京东方瑞盛假肢矫形器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缓冲控制智能气压膝关节及控制方法
GB2576372B (en) 2018-08-17 2023-02-01 Blatchford Products Ltd Lower limb prosthesis
DE102019118930A1 (de) * 2019-07-12 2021-01-14 Ottobock Se & Co. Kgaa Orthopädietechnische, mechatronische Gelenk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CN111012554A (zh) * 2019-12-31 2020-04-17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智能假肢膝关节
CN112043471A (zh) * 2020-10-16 2020-12-08 北京市康复辅具技术中心 一种多轴液压膝关节
CN115091441B (zh) * 2022-08-09 2024-05-10 朱岩 辅助行走支撑的下肢外骨骼
CN116025646B (zh) * 2023-03-22 2023-06-16 航天轩宇(杭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翻转装置及翻转操控系统
CN117357315B (zh) * 2023-12-07 2024-04-09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膝关节的阻力调整方法、装置、智能假肢、终端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419A (en) * 1975-08-27 1977-07-12 Hosmer/Dorrance Corporation Full extension lock for prosthetic knee joint
US4023215A (en) * 1976-02-17 1977-05-17 Moore Robert R Locking prosthetic knee
EP0068658B1 (en) * 1981-06-09 1986-02-19 J.E. HANGER & COMPANY LIMITED Knee joint for artificial legs
AT391076B (de) * 1985-11-06 1990-08-10 Bock Orthopaed Ind Drehgelenk
EP0243081A3 (en) * 1986-04-16 1990-04-25 J.E. HANGER & COMPANY LIMITED Artificial knee with improved stable link-type knee joint
JPS62266055A (ja) * 1986-05-13 1987-11-18 株式会社啓愛義肢材料販売所 骨格義足における半遊動型膝関節
GB2206494B (en) * 1987-06-24 1991-04-17 Steeper Hugh Ltd Orthoses or prostheses for co-ordinating limb movement
JPH01124452A (ja) * 1987-11-09 1989-05-17 Keiai Gishi Zairyo Hanbaishiyo:Kk 骨格義足における膝関節
DE3923057A1 (de) * 1989-07-13 1991-01-24 Bernd Dr Ing Kuenne Kniegelenk fuer eine prothese
NL9000195A (nl) * 1990-01-26 1991-08-16 Bock Orthopaed Ind Zwenkbare verbindingsinrichting voor prothese- of orthesedelen.
EP0503775A1 (en) * 1991-03-14 1992-09-16 CHAS. A. BLATCHFORD & SONS LIMITED An artificial leg
GB9105464D0 (en) * 1991-03-14 1991-05-01 Blatchford & Sons Ltd An artificial leg
US5383939A (en) * 1991-12-05 1995-01-24 James; Kelvin B. System for controlling artificial knee joint action in an above knee prosthesis
JPH05337146A (ja) * 1992-06-09 1993-12-21 Hyogo Pref Gov Shakai Fukushi Jigyodan 遊脚相コントロール義足
DE4338946C1 (de) * 1993-11-15 1995-05-24 Bock Orthopaed Ind Prothesengelenk
DE19506426C1 (de) * 1995-02-24 1996-11-28 Bock Orthopaed Ind Bremskniegelenk
DE19511890C1 (de) * 1995-03-31 1996-11-07 Bock Orthopaed Ind Prothesenbremsgelenk
FR2735018B1 (fr) * 1995-06-09 1997-07-11 Proteval Piece prothetique pneumatique pour l'articulation du genou
DE19754690A1 (de) * 1997-12-10 1999-07-01 Biedermann Motech Gmbh Beinprothese mit einem künstlichen Kniegelenk mit einer Regeleinrichtung
DE19810385C2 (de) * 1998-03-11 2000-06-21 Bock Orthopaed Ind Prothesenbremsgelenk
JP4194150B2 (ja) * 1998-11-06 2008-12-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多節リンクの膝関節を備える義足
DE19960232A1 (de) * 1999-12-14 2001-07-05 Biedermann Motech Gmbh Kniegelenk für eine Beinprothese
JP3086076U (ja) * 2001-11-16 2002-05-31 新發 申 膝関節緊迫装置
TWI276430B (en) * 2002-11-21 2007-03-21 Nabtesco Corp Prosthetic limb having knee braking function
JP3938900B2 (ja) * 2002-11-21 2007-06-2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柔軟なひざ制動機能をもつ義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43B1 (ko) * 2006-12-29 2008-02-11 선동윤 무릎 관절용 의지
KR101237392B1 (ko) * 2010-10-20 2013-02-26 하재철 의지 사용자를 위한 인공 무릎 관절
KR101385567B1 (ko) * 2012-08-13 2014-04-15 (주)대일정공 양측 관절 회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아암
KR101385569B1 (ko) * 2012-08-13 2014-04-15 (주)대일정공 관절 회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아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1857A (zh) 2007-01-24
EP1699391A2 (de) 2006-09-13
JP4625015B2 (ja) 2011-02-02
US20070083272A1 (en) 2007-04-12
JP2007509727A (ja) 2007-04-19
WO2005044155A3 (de) 2005-09-22
DE10351916A1 (de) 2005-06-09
RU2006119915A (ru) 2007-12-20
CA2544901A1 (en) 2005-05-19
WO2005044155A2 (de) 2005-05-19
AU2004286759A1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0059A (ko) 인공무릎관절
KR102510931B1 (ko) 반-능동 로봇 관절
US9913739B2 (en) Orthopedic device with a joint
US20160213549A1 (en) Wearable Posture Assisting Device
JP6527293B2 (ja) 着用可能な着座姿勢支援装置
US9060882B2 (en) Joint mechanism
EP2299962B1 (en) External walking assist device for those with lower leg injuries
KR100856998B1 (ko) 휠체어의 발판 조작 장치
CN112399838B (zh) 具有脚件、小腿件和大腿件的矫形技术装置
JP2005034455A (ja) 大腿義足油圧膝継手
JPH0197456A (ja) 肢の運動を調整するための装具または義肢
EP3107503B1 (en) Prosthetic knee
CN107205831B (zh) 具有针对位置和变化率的机械响应系统的假关节
JP7374903B2 (ja) 整形外科用装置
US20180256380A1 (en) Orthopedic joint device
JP2022541210A (ja) 整形外科用器具
JP2000139974A (ja) 多節リンクの膝関節を備える義足
RU2187981C2 (ru) Коленный сустав протеза ноги
JP2007229278A (ja) 大腿義足
CN114760897A (zh) 座椅装置、模块化座椅和旋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