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933A -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933A
KR20060129933A KR1020057022013A KR20057022013A KR20060129933A KR 20060129933 A KR20060129933 A KR 20060129933A KR 1020057022013 A KR1020057022013 A KR 1020057022013A KR 20057022013 A KR20057022013 A KR 20057022013A KR 20060129933 A KR20060129933 A KR 20060129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battery device
frame
si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728B1 (ko
Inventor
히사시 아오키
히로아키 사토
요이치 미야지마
토시오 타케시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0640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299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5Window-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14, 24)는, 그들의 전면(10D, 20D)에서 그들의 하면(10C, 20C), 측면(10A, 20A)을 기준으로 한 동일한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의 전면(20D)에는 계합 오목부(26, 28)가 마련되고, 각 계합 오목부(26, 28)의 하면(20C)에 가까운 개소는 상면(20B) 및 하면(20C)에 평행한 평탄면(2402, 2602)으로서 형성되고 케이스(20)의 하면으로부터 평탄면(2402, 2602)까지의 치수와,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의 하면(10C)으로부터 상면(10B)까지의 치수는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용량이 다른 2종류의 배터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장치

Description

배터리 장치{BATTERY DEVICE}
본 발명은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좌우 방향의 폭과 상하 방향의 두께와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면, 하면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전면, 후면을 갖는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지(充電池)부와,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고 충전지부에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2002-110121호 공보 참조).
또한, 상기 배터리 장치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실을 갖는 전자기기도 제공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배터리 수용실은, 상기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폭과, 케이스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와, 케이스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와, 배터리 장치가 길이 방향을 깊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삽입된 상태에서 배터리측 단자에 접촉하는 수용실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배터리 장치에서는, 배터리 수용실의 높이가 단일(單一)한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두께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가 다른 2종류의 배터리 장치를 수용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 용도나 사용 목적에 따라 용량이 다른 배터리 장치를 분간하여 사용할 수 없고, 사용의 편리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용량이 다른 2종류의 배터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는, 전자기기의 단일한 배터리 수용실에 수용되는 두께가 다른 제 1, 제 2 배터리 장치로서, 상기 각 제 1, 제 2 배터리 장치는, 폭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면과, 두께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면 및 하면과,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충전지부에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와,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는, 폭과 길이가 개략 동등하고, 또한, 두께가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보다도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가 크게 형성되고, 제 1 배터리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와,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는, 그들의 전면에 있어서 그들의 하면, 측면을 기준으로 한 동일한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전면에는 계합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하면부터, 상기 계합 오목부를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벽부에서 상기 하면에 가까운 개소까지의 치수와,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하면부터 상면까지의 치수는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실시예 1의 제 1, 제 2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배터리 장치의 설명도.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배터리 장치에 부착되는 필름의 설명도.
도 4는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용실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제 1, 제 2 배터리 장치가 배터리 수용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배터리 수용실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의 A내지 도 7의 C는 필름의 부착시에 주름이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배터리 장치의 프레임에 경사부를 마련한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필름의 부착시에 주름의 발생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용량이 다른 2종류의 배터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는 목적을, 두께가 큰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전면에 계합 오목부를 마련함에 의해 실현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실시예 1의 제 1, 제 2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배터리 장치의 설명도,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배터리 장치에 부착되는 필름의 설명도, 도 4는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용실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제 1, 제 2 배터리 장치가 배터리 수용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A, 도 1의 B에 도시한 제 1 배터리 장치(1), 제 2 배터리 장치(2)의 두께가 다른 2종류의 배터리 장치가 도 4에 도시한 단일한 배터리 수용실(50)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우선, 배터리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배터리 장치(1)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지부(12)(도 2의 B)와, 케이스(10)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배터리 장치(2)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지부(22)(도 2의 B)와, 케이스(20)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2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 20)는, 폭방향(W)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면(10A, 20A)과, 두께 방향(D)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면(10B, 20B) 및 하면(10C, 20C)과, 길이 방향(L)의 양단에 위치하는 전면(10D, 20D) 및 후면(10E, 20E)을 갖고 있다.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와,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는, 폭과 길이가 개략 동등하고, 또한, 두께가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보다도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14, 24)는, 그들의 전면(10D, 20D)에서 그들의 하면(10C, 20C), 측면(10A, 20A)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개소에 마련되고, 각각 충전지부(22)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의 좌측면도, 평면도,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를 참조하여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와 함께,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의 개략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케이스(10, 20)는, 각각 프레임(100)을 가지며, 프레임(100)은 4변형(邊形)의 테두리형상 부재(101)와, 이 테두리형상 부재(101)의 전부(前部)에 끼워 넣어진 앞캡(102)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면(10D, 20D)은 앞캡(102)의 앞면에 구성되고, 후면(10E, 20E)은 테두리형상 부재(101)의 후부(104)의 뒷면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캡(102)과 후부(104)와의 사이는 테두리형상 부재(101)의 측벽(106)이 노출되어 있고, 충전지부(12)는 앞캡(102)에 부착되어 그들 앞캡(102)과 후부(104)와, 2개의 측벽(106)으로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 20)는,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10D, 20D)에 가까운 부분과 후면(10E, 20E)에 가까운 부분과의 사이의 앞캡(102), 후부(104), 2개의 측벽(106) 위의 모든 둘레에 필름(202)이 권장(卷裝)되어 부착되 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필름(202)은 절연성을 가지며, 상필름(204)과 하필름(20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A,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상필름(204)이, 앞캡(102)과 후부(104)와의 사이에서 상방에 노출한 충전지부(12) 부분 및 측벽(106) 부분을 덮도록 부착되고, 또한 충전지부(12)의 하면의 양측 부분에 부착된다. 계속해서, 충전지부(12)(22)의 하면의 양측 부분에 부착된 상필름(204) 부분 및 앞캡(102)과 후부(104)와의 사이에서 하방에 노출하는 충전지부(12)(22)의 하면 부분을 덮도록 하필름(206)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기 형상이 다른 것인 제 1 배터리 장치(1)와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10, 20)는 각각 프레임(100)과 필름(2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의 전면(20D)에는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계합 오목부(26, 28)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계합 오목부(26)는, 2개의 측면(20A)중 한쪽의 측면(20A) 및 전면(20D) 및 상면(20B)에 개방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계합 오목부(28)는, 2개의 측면(20A)중 다른쪽의 측면(20A) 및 전면(20D) 및 상면(20B)에 개방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계합 오목부(26, 28)를 형성하는 앞캡(202)의 벽부에서 하면(20C)에 가까운 개소는 상면(20B) 및 하면(20C)에 평행한 평탄면(2402, 260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0)의 하면부터 평탄면(2402, 2602)까지의 치수와,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의 하면(10C)부터 상면(10B)까지의 치수는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용실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실(50)은 전자기기(51)의 몸체(5102)에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 수용실(50)은, 몸체(5102)의 후면에 개구하는 삽탈용 개구(52)를 가지며, 이 삽탈용 개구(52)는 개폐덮개(5104)에 의해 개폐된다.
배터리 수용실(50)은,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 케이스(10, 20)의 폭방향(W) 양단의 측면(10A, 20A)에 맞닿음 가능한 측벽(54)과, 케이스(10, 20)의 하면(10C, 20C)에 맞닿음 가능한 당접벽(56)과, 케이스(10, 20)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마련된 속벽(奧壁)(58)과,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에 마련된 상벽(60)을 갖고 있다.
속벽(58)에는,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가 삽탈용 개구(52)로부터 길이 방향(L)을 상기 깊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측 단자(14, 24)에 접촉하는 수용실측 단자(62)가 마련되어 있다.
속벽(58)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둔 개소에는, 계합 볼록부(64, 66)가 삽탈용 개구(52)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계합 볼록부(64, 66)는,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 상면(10B)의 전연(前緣)에 계합함으로써 제 1 배터리 장치(1) 케이스(10)의 하면(10C)을 당접벽 (56)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고, 또한, 제 2 배터리 장치(2) 케이스(20)의 계합 오목부(26, 28)에 계합함으로써 제 2 배터리 장치(2) 케이스(20)의 하면(20C)을 당접벽(56)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계합 볼록부(64, 66)가 당접벽(56)에 면하는 하면(64A, 66A)이,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 상면(10B)의 전연에 계합함으로써 제 1 배터리 장치(1)를 당접벽(56)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고, 또한, 각 계합 볼록부(64, 66)의 하면(64A, 66A)이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의 계합 오목부(26, 28)의 평탄면(2602, 2802)에 계합함으로써 제 2 배터리 장치(2)를 당접벽(56)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삽탈용 개구(52)를 구성하는 상벽(60) 부분에는 누름 부재(68)가 마련되어 있고, 누름 부재(68)의 선단의 계합부(6802)는, 제 1 배터리 장치(1) 및 제 2 배터리 장치(2) 쌍방의 케이스(10, 20) 후면(10E, 20E)의 상연(上椽)에 계합하고, 배터리 수용실에 수용된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를 속벽(58) 방향으로 가세하고, 배터리측 단자(14, 24)를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재(68)는 가용성을 갖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배터리 장치를 삽탈할 때에 손가락에 의해 들어 올려진다.
또한, 배터리 수용실에 수용된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를 속벽(58) 방향으로 가세하고, 배터리측 단자(14, 24)를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는 구조로서는 종래 공지의 다양한 기구가 채용 가능하고, 이 기구는 실시예와 같이 몸체측에 마련해도 좋고, 개폐덮개(5104)에 마련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의 배터리 수용실(50)에의 수용, 취출에 관해 설명한다.
배터리 수용실(50)에 제 1 배터리 장치(1)를 수용할 때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68)의 계합부(6802)를 손가락으로 삽탈용 개구(52)로부터 상방으로 변위시킨 상태로 하고, 제 1 배터리 장치(1)의 배터리측 단자(14)를 배터리 수용실(50)의 삽탈용 개구(52)에 면하게 하고, 그 길이 방향(L)을 배터리 수용실(50)의 깊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삽입한다. 이로써, 제 1 배터리 장치(1)의 하면(10C)은 배터리 수용실(50)의 당접벽(56)에 안내되고, 제 1 배터리 장치(1)의 양측면(10A)은 배터리 수용실(50)의 양측벽(54)에 안내되어 배터리 수용실(50)에 삽입된다.
누름 부재(68)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계합부(6802)는 제 1 배터리 장치(1)의 상면(10B)에 접촉한 상태로 되고, 더 나아가 제 1 배터리 장치(1)의 삽입에 의해 제 1 배터리 장치(1) 상면(10B)의 전면(10)에 가까운 개소에 배터리 수용실(50)의 2개의 계합 볼록부(64, 66)가 계합하고,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 하면(10C)이 당접벽(56)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된다.
더 나아가 제 1 배터리 장치(1)의 삽입에 의해 배터리측 단자(14)가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누름 부재(68)의 계합부(6802)가 상면(10B)의 후연(後緣)에 계합하고, 배터리측 단자(14)가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고, 제 1 배터리 장치(1)가 배터리 수용실(50)에 수용된다.
한편, 배터리 수용실(50)로부터 제 1 배터리 장치(1)를 취출할 때는, 누름 부재(68)의 계합부(6802)를 손가락으로 삽탈용 개구(52)로부터 상방으로 변위시키고, 제 1 배터리 장치(1)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후방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제 1 배터리 장치(1)가 배터리 수용실(50)로부터 취출된다.
배터리 수용실(50)에 제 2 배터리 장치(2)를 수용할 때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68)의 계합부(6802)를 손가락으로 삽탈용 개구(52)로부터 상방으로 변위시킨 상태로 하고, 제 2 배터리 장치(2)의 배터리측 단자(24)를 배터리 수용실(50)의 삽탈용 개구(52)에 면하게 하고, 그 길이 방향(L)을 배터리 수용실(50)의 깊이 방향으로 평행시켜, 삽입한다. 이로써, 제 2 배터리 장치(2)의 하면(20C)은 배터리 수용실(50)의 당접벽(56)에 안내되고, 제 2 배터리 장치(2)의 상면(20B)은 배터리 수용실(50)의 상벽(60)에 안내되고, 제 1 배터리 장치(2)의 양측면(20A)은 배터리 수용실(50)의 양측벽(54)에 안내되어 배터리 수용실(50)에 삽입된다.
누름 부재(68)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계합부(6802)는 제 2 배터리 장치(2)의 상면(20B)에 접촉한 상태로 되고, 더 나아가 제 2 배터리 장치(2)의 삽입에 의해 제 2 배터리 장치(2)의 각 계합 오목부(26, 28)의 평탄면(2602, 2802)에 배터리 수용실(50)의 2개의 계합 볼록부(64, 66)의 하면(64A, 66A)이 계합하고, 제 2 배터리 장치(2) 케이스(20)의 하면(20C)이 당접벽(56)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된다.
더 나아가 제 2 배터리 장치(2)의 삽입에 의해 배터리측 단자(24)가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누름 부재(68)의 계합부(6802)가 상면(20B)의 후연에 계합하고, 배터리측 단자(14)가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한 상태로 지 지되고, 제 2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용실(50)에 수용된다.
한편, 배터리 수용실(50)로부터 제 2 배터리 장치(2)를 취출할 때는, 누름 부재(68)의 계합부(6802)를 손가락으로 삽탈용 개구(52)로부터 상방으로 변위시키고, 제 2 배터리 장치(2)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후방으로 빠짐으로써, 제 2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용실(50)로부터 취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두께가 다른 2종류의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를 동일한 배터리 수용실(50)에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 용도나 사용 목적에 따라 용량이 다른 배터리 장치를 분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계합 볼록부(64, 66) 및 계합 오목부(24, 26)를 폭방향(W)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2개) 마련하였기 때문에,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의 배터리 수용실(50)에의 수용 상태를 안정시키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수용실(50)에, 제 2 배터리 장치(2)의 상면(20B)에 맞닿음 가능한 상벽(6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배터리 장치(2)의 배터리 수용실(50)에의 수용 상태를 안정시키는데 유리해진다.
다음에 실시예 2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예 2가 실시예 1과 다른 것은 압력부재(78)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배터리 수용실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78)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 재되고 하단에 케이스(10, 20)의 후면(10E, 20E) 상부에 계합하는 계합 오목부(7802)가 마련되어 있다.
누름 부재(78)는, 삽탈용 개구(52)에 면하는 몸체(5102) 부분에 배설되어 있다.
누름 부재(78)는, 해당 누름 부재(78)에 마련된 가이드 홈(7810)에 몸체(5102)로부터 돌설된 핀(5110)이 계합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단의 계합 오목부(7802)가 당접벽(56) 방향을 향하여 가세 부재(7804)로 항상 가세되어 있고, 손가락에 의해 누름 부재(78)를 상방으로 움직임으로써 계합 오목부(7802)가 삽탈용 개구(52)로부터 퇴피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배터리 장치(1), 제 2 배터리 장치(2)의 삽탈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손가락에 의해 누름 부재(78)를 삽탈용 개구(52)로부터 퇴피시키는 것이 행하여진다.
또한, 도 6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배터리 장치(1)가 배터리 수용실(50)에 삽입되면, 누름 부재(78)의 계합 오목부(7802)가 제 1 배터리 장치(1)의 케이스(10) 상면(10B)의 상연에 계합함으로써, 제 1 배터리 장치(1)의 배터리측 단자(14)가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배터리 장치(2)가 배터리 수용실(50)에 삽입되면, 누름 부재(78)의 계합 오목부(7802)가 제 2 배터리 장치(2)의 케이스(20) 상면(20B)의 상연에 계합함으로써, 제 2 배터리 장치(2)의 배터리측 단자(24)가 수용실측 단자(62)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 2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필름(202)의 부착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배터리 장치(1, 2)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앞캡(102)과 각 측벽(106)의 상연과의 사이에 각각 앞캡(102)이 높고 측벽(106)의 상연이 낮은 단차(D)가 형성되고, 또한, 후부(104)와 각 측벽(106)의 상연과의 사이에 각각 후부(104)가 높고 각 측벽(106)의 상연이 낮은 단차(D)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단차(D)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 7의 A,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10D, 20D)에 가까운 부분과 후면(10E, 20E)에 가까운 부분과의 사이의 앞캡(102), 후부(104), 2개의 측벽(106)상에 상필름(204)을 부착하고, 상필름(204)의 폭방향의 양측에 하방(화살표 F방향)의 인장력을 가하면,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필름(204)이 각 단차(D)에 맞닿은 부분에 응력(F1, F2)이 집중하여 생기고, 이로써 상필름(204)에 주름이 발생하여 버리고, 미관을 해치는 부적합함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의 A,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캡(102)에 면하는 측벽(106)의 상연 부분에 앞캡(102)과의 단차(D)를 해소하는 상방으로 돌출한 경사부(108)가 마련됨과 함께, 후부(104)에 면하는 측벽(106)의 상연 부분에 후부(104)와의 단차(D)를 해소하는 상방으로 돌출한 경사부(110)가 마련되어 있다. 즉, 경사부(110)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로부 터 앞캡(102) 또는 후부(104)에 도달함에 따라 점차로 프레임(100)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점차로 많아지고 앞캡(102) 또는 후부(104)에 연속 상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10D, 20D)에 가까운 부분과 후면(10E, 20E)에 가까운 부분과의 사이의 앞캡(102), 후부(104), 2개의 측벽(106) 위에 상필름(204)을 부착하고, 상필름(204)의 폭방향의 양측에 하방(화살표 F방향)의 인장력을 가하였다고 하여도, 상필름(204)은 각 경사부(110)에 맞닿기 때문에, 이 맞닿은 부분에 발생하는 응력(F1, F2)은 분산되고, 이로써 상필름(204)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고, 미관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해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계합 오목부을 이용함으로써, 두께가 다른 2종류의 제 1, 제 2 배터리 장치를 동일한 배터리 수용실에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사용 용도나 사용 목적에 따라 용량이 다른 배터리 장치를 분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해진다.

Claims (4)

  1. 전자기기의 단일한 배터리 수용실에 수용되는 두께가 다른 제 1, 제 2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제 2 배터리 장치는, 폭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면과, 두께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상면 및 하면과,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충전지부에 접속된 배터리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와,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는, 폭과 길이가 개략 동등하고, 또한, 두께가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보다도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가 크게 형성되고,
    제 1 배터리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와,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측 단자는, 그들의 전면에서 그들의 하면, 측면을 기준으로 한 동일한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전면에는 계합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하면부터, 상기 계합 오목부를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벽부에서 상기 하면에 가까운 개소까지의 치수와,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의 하면부터 상면까지의 치수는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오목부는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배터리 장치의 케이스는 각각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전후를 제외한 부분에 부착된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프레임의 전후부를 제외한 모든 둘레에 접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서 상기 전후부에 면하는 개소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부터 프레임 전부 또는 후부에 도달함에 따라 점차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의 돌출량이 많게 되고 상기 전후부와 연속상태로 연결된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KR1020057022013A 2004-03-31 2005-03-25 배터리 장치 KR100959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2323 2004-03-31
JP2004102323A JP3899521B2 (ja) 2004-03-31 2004-03-31 バッテリー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247A Division KR100895921B1 (ko) 2004-03-31 2005-03-25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933A true KR20060129933A (ko) 2006-12-18
KR100959728B1 KR100959728B1 (ko) 2010-05-25

Family

ID=350640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013A KR100959728B1 (ko) 2004-03-31 2005-03-25 배터리 장치
KR1020077030247A KR100895921B1 (ko) 2004-03-31 2005-03-25 배터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247A KR100895921B1 (ko) 2004-03-31 2005-03-25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79318B2 (ko)
EP (2) EP1986251B1 (ko)
JP (1) JP3899521B2 (ko)
KR (2) KR100959728B1 (ko)
CN (2) CN101241981B (ko)
AT (2) ATE527707T1 (ko)
HK (2) HK1091035A1 (ko)
MY (1) MY144710A (ko)
TW (1) TW200603463A (ko)
WO (1) WO2005096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430B1 (ko) * 2007-01-19 2008-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1000906Y (zh) * 2007-01-26 2008-01-02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电池组件及其固定结构
USD687777S1 (en) 2012-05-24 2013-08-13 Son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US9159964B2 (en) * 2012-09-25 2015-10-13 Front Edge Technology, Inc. Solid state battery having mismatched battery cells
USD772804S1 (en) * 2013-09-05 2016-11-29 Sony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USD747264S1 (en) * 2014-01-30 2016-01-12 Nikon Corporation Battery
US10008739B2 (en) 2015-02-23 2018-06-26 Front Edge Technology, Inc. Solid-state lithium battery with electrolyte
TWD179851S (zh) * 2016-03-21 2016-12-01 長園科技實業股份有限公司 電池封裝盒
PL3526827T3 (pl) * 2016-10-14 2022-11-2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akiet akumulatorów
AU201711991S (en) * 2016-10-20 2017-04-20 Symbol Tech Battery
USD811996S1 (en) * 2016-10-25 2018-03-06 Imig, Inc. Battery pack for a vacuum cleaner
USD855562S1 (en) * 2017-02-24 2019-08-06 Ge Global Sourcing Llc Battery module
KR102482268B1 (ko) * 2020-11-09 2022-12-28 주식회사 레이언스 배터리 수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8080A (en) * 1963-06-10 1964-06-23 Jacobson Irving Camera control attachment
US4645995A (en) * 1980-03-25 1987-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charger for plural cell holding modules
US4636703A (en) * 1984-09-03 1987-01-13 Sanyo Electric Co., Ltd. Charging apparatus
JPS61190666U (ko) * 1985-05-21 1986-11-27
GB8514591D0 (en) 1985-06-10 1985-07-10 Shandon Southern Prod Centrifugation
JPS622158U (en) * 1985-11-01 1987-01-08 Minolta Camera Kk Display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US4816735A (en) * 1987-08-10 1989-03-28 Eastman Kodak Company Battery charger
US5391972A (en) * 1988-03-11 1995-02-21 Gardner; Billy J. Cordless tool battery housing and charging system
US5148094A (en) * 1990-08-10 1992-09-15 Black & Decker Inc. Charger with universal battery pack receptacle
US5164761A (en) * 1991-03-06 1992-11-17 Nikon Corporation Battery system for camera
US5404271A (en) * 1991-07-30 1995-04-0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ard storing section formed within a body between a support frame and an upper case of the body and having functional elements mount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 lower case of the body
US5187422A (en) * 1991-07-31 1993-02-16 Stryker Corporation Charger for batteries of different type
JP3171890B2 (ja) * 1991-11-20 2001-06-04 松下電工株式会社 充電器
JPH0614469A (ja) * 1992-06-22 1994-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装置
US5543702A (en) * 1993-02-08 1996-08-06 Jdp Innovations, Inc. Alkaline battery charging method and battery charger
US5317247A (en) * 1993-04-19 1994-05-31 Motorola, Inc. Integrated battery contact and retentive protrusion
JPH08106925A (ja) * 1994-10-04 1996-04-23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器
JP3228097B2 (ja) * 1995-10-19 2001-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充電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
JP2933534B2 (ja) * 1996-05-29 1999-08-1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5909102A (en) * 1998-01-21 1999-06-01 Motorola, Inc.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employing fixed latching members
JP4042209B2 (ja) * 1998-05-22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電池収容装置及び電子機器
EP1024543A3 (en) * 1999-01-29 2000-09-06 Hewlett-Packard Company End loading dual form battery compartme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325247B1 (ko) * 1999-05-28 2002-03-04 윤종용 휴대용 충전장치
JP2002110121A (ja) 2000-09-26 2002-04-12 Gs-Melcotec Co Ltd 電池パック
FI20002897A (fi) 2000-12-29 2002-06-30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välineet irrotettavan yksikön varmistamiseksi toiminta-asentoon
JP3929839B2 (ja) * 2001-06-28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パック
TW519344U (en) * 2001-07-09 2003-01-21 Sheng-Shing Liau Assembly type charging mechanism
JP3690323B2 (ja) * 2001-10-03 2005-08-31 ソニー株式会社 端子装置及びこの端子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パック充電器
JP3678188B2 (ja) * 2001-10-09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充電装置
EP1315266A3 (en) * 2001-11-09 2007-08-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charger
EP1487080A1 (en) * 2003-05-21 2004-12-15 Kolvin Industries Ltd Battery charger
JP5013666B2 (ja) * 2003-10-17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外装フィルムを使用した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US7202635B2 (en) * 2004-03-10 2007-04-10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to a point less than initial maximum capacity
USD535941S1 (en) * 2006-01-10 2007-01-30 Sony Corporation Battery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614A (ko) 2008-01-14
EP1753052B1 (en) 2011-07-27
ATE518262T1 (de) 2011-08-15
EP1986251B1 (en) 2011-10-05
HK1091035A1 (en) 2007-01-05
TWI293513B (ko) 2008-02-11
MY144710A (en) 2011-10-31
US20060281002A1 (en) 2006-12-14
EP1986251A3 (en) 2008-11-12
HK1119488A1 (en) 2009-03-06
WO2005096413A1 (ja) 2005-10-13
US7679318B2 (en) 2010-03-16
ATE527707T1 (de) 2011-10-15
CN1788367A (zh) 2006-06-14
JP2005285719A (ja) 2005-10-13
CN101241981A (zh) 2008-08-13
EP1753052A4 (en) 2008-10-29
KR100895921B1 (ko) 2009-05-07
JP3899521B2 (ja) 2007-03-28
CN100461497C (zh) 2009-02-11
TW200603463A (en) 2006-01-16
EP1986251A2 (en) 2008-10-29
CN101241981B (zh) 2011-04-06
EP1753052A1 (en) 2007-02-14
KR100959728B1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728B1 (ko) 배터리 장치
CN102934259B (zh) 电池组件
US7638231B2 (en) Battery case
JP4123516B2 (ja) バッテリー装置
JP7400545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製造方法
KR20040092486A (ko) 커넥터
US2021008324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JP2001257023A (ja) コネクタ
US11502367B2 (en) Battery case
JP4810101B2 (ja) 電池ボックス
US6000972A (en) Structure for fixing terminal to connector housing
JP3789900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3907774B2 (ja) バッテリカバーの開閉機構
JP4168858B2 (ja) コンセント
JPH0831311B2 (ja) 電子機器の電池収納構造
JPH09306457A (ja) 電池収納装置
JP4623976B2 (ja) 電池収納構造
JP2014229377A (ja) コネクタ
JP4243172B2 (ja) 携帯型通信端末機
KR200339880Y1 (ko) 배터리 케이스
JPH04349345A (ja) 電池ケ−ス用ホルダ及び該ホルダに装填される電池ケ−ス
JP3567002B2 (ja) 端子間短絡防止構造
JPH0588151U (ja) 板状電池充電器
JP2002260613A (ja) 電池ケースを具えた電気機器
JP2019102158A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