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268B1 - 배터리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268B1
KR102482268B1 KR1020200148513A KR20200148513A KR102482268B1 KR 102482268 B1 KR102482268 B1 KR 102482268B1 KR 1020200148513 A KR1020200148513 A KR 1020200148513A KR 20200148513 A KR20200148513 A KR 20200148513A KR 102482268 B1 KR102482268 B1 KR 10248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ccommodating space
edge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850A (ko
Inventor
이진성
김정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KR102020014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268B1/ko
Priority to PCT/KR2021/095014 priority patent/WO2022098215A1/ko
Publication of KR2022006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008Constructional details of analysers, e.g. characterised by X-ray source, detector or optical system; Accessories therefor; Preparing specime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단자를 일면에 노출시키며 배터리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 1 면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덮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단자를 상기 전기 단자에 접촉시키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수용장치{Battery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가 탈 부착되는 배터리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많은 제품은 본체에 배터리가 탈 부착되는 배터리 수용장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터리 수용장치의 일례로서, 의료나 산업 현장 등에서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는 수백그램의 무게를 갖는 배터리가 탈 부착되고,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후크(hook) 구조의 커버로 본체에 탈 부착된다.
이를 위해 본체의 뒷면에는 소정의 배터리 장착공간이 마련되고, 배터리 장착 공간에 배터리가 장착되면 별도의 커버로 배터리 장착공간을 덮어 커버와 본체를 후크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후크를 이용하는 경우, 커버 또는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다른 하나에는 후크와 맞물리는 기구적 결합구조가 필요하고, 이들 기구적 결합구조의 요철 형상으로 인해 배터리 장착공간의 방수 및 방진을 위한 밀폐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이동중이나 사용 중 의도치 않은 낙하 등으로 본체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낙하에 의한 1차 파손은 물론 본체에 장착된 배터리의 무게로 인해 2차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충격 시 배터리로부터 내부 전기 소자에 이상 전원이 제공되어 전기 소자의 손상이 유발되거나, 배터리 폭발 사고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보다 간편하게 배터리를 탈 부착할 수 있는 배터리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효과적으로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배터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무리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본체로부터 배터리가 분리되어 배터리에 의한 2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단자를 일면에 노출시키며 배터리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 1 면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덮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단자를 상기 전기 단자에 접촉시키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용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 1 자성체;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인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은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의 외면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이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고정하는 배터리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홀더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측면과 대향하는 제 1 가이드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 1 가이드단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의 외면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분리되고,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제 1 자성체와 대응되게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탄성재질의 씰링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 자성체 간의 자력은, 하한이 배터리 및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무게에 3f를 곱한 값이고, 상한은 성인의 악력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엑스선선을 검출하는 센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장치는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용장치는, 배터리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에 삽입되고, 배터리가 삽입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로 본체의 배터리 수용공간을 덮어 본체에 배터리를 장착하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본체는 자력을 이용해서 탈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운반, 촬영 등의 정상적인 사용시에는 배터리의 장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만, 본체가 낙하하는 등 무리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배터리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함께 본체로부터 원활하게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배터리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본체를 자력 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 후크 등 종래의 기구적 결합 방식에 비해, 배터리 탈 장착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잇다.
더욱이,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본체의 결합부위를 따라 씰링제를 배치함으로써, 방진 및 방수를 위한 밀폐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용장치의 일 실시예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의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서 본체의 배터리 수용부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서 배터리 수용부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자성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서 배터리, 메인보드와 패널구동보드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용장치의 일례로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용장치의 일례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의 엑스선 수광면인 전방측의 반대편, 즉 후방측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의 본체에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의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를 그보다 낮은 위치에서 올려다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서 본체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배터리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본체에 각각 구비된 제1,2 자성체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장치(10)는, 엑스선을 검출하는 센서패널이 내장되고 배터리 수용공간(150)을 제공하는 본체(100), 배터리 수용공간(150)을 덮어 본체(100)와 결합하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에 미리 삽입된 상태로 본체(100)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결합에 의해 배터리 수용공간(150)에 삽입 및 장착되는 배터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패널은 입사된 엑스선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패널에는 엑스선을 검출하는 단위 소자인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패널은 엑스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직접 방식 또는 엑스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한 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방식일 수 있다. 본체(100)는 센서패널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112)를 포함한다. 커버(112)는 엑스선 입사 방향인 센서패널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전방커버(105), 전방커버(105)의 반대 방향에서 센서패널의 후방면을 덮는 후방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방커버와 후방커버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체(100)에 구비되는 배터리 수용공간(150)은 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그 일부가 요입된 홈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와 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는 본체(100)의 외면과 배터리 수용공간(150) 사이에서 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단차지게 요입될 수 있다. 이 단차에 의해 본체(100)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결합 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는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에 접하는 한편,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외면은 본체(10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를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탈거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탈거홈(130)이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일측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든다.
탈거홈(130)과 관련하여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탈거홈(130)은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일측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된 동시에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 보다 낮게 요입된 홈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탈거홈(130)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가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부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에 위해 가려지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탈거홈(130)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를 걸어 들어올림으로써,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를 본체(10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는 본체(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일면과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의 외면, 본체(100)의 배터리 수용공간(150)을 향하며 그 일부가 배터리(200)와 접하는 안쪽의 내면, 그리고 내면과 외면을 둘러싸는 다수의 측면을 갖는다.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내면에는 배터리(200)가 삽입되는 배터리홀더(330)가 마련된다. 도 3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내면에 마련된 배터리홀더(330)를 보인다. 아래에서는 편의상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내면을 향하는 배터리(도 1의 200 참조, 이하 동일하다.)
배터리홀더(330)는 일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로 삽입된 배터리(도 1의 200 참조, 이하 동일하다.)의 내면이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내면과 대향되게 배터리(200)를 고정한다. 배터리홀더(330)의 개방된 일측은 배터리(200)가 삽입 또는 추출되는 입구(345)가 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배터리홀더(330)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입구(345)를 제외한 배터리(200)의 측면을 두르는 제 1 가이드단(333), 제 1 가이드단(333)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배터리(200)의 외면을 덮는 제 2 가이드단(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단(335)은 배터리(200)의 가장자리(311)에만 대응되는 일정폭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200)는 내면은 평평하고, 외면은 제 1, 2 가이드단(333, 335) 내로 삽입되는 가장자리(211)가 외면으로부터 단차진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00)는 그 가장자리(211)가 배터리홀더(330)의 입구(345)를 통해 제 1, 2 가이드단(333,335)를 따라 이동해서 배터리홀더(330)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배터리(200)가 완전히 삽입되면 배터리홀더(330)의 입구(345)를 제외한 배터리(200)의 가장자리(211)는 제 2 가이드단(335)에 덮여지는 반면 외면의 대부분은 제 2 가이드단(335)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된다.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와 본체(100)는 자력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에는 제 1 자성체(321)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에는 제2자성체(12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자성체(321)와 제2자성체(121)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석은 일예로 네오디뮴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자성체(121)가 자석으로 구성되고, 제1자성체(321)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특성의 자화물질(일예로, 금속)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이처럼,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와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에 서로 대응되는 제1,2자성체(321,121)를 배치함으로써, 제1,2자성체(321,121) 간에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를 본체(100)에 자력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자성체(321)는, 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자성체(121)는, 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서로 대응되는 제1,2자성체(321,121) 각각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와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수가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구조에 관해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데, 제1자성체(321)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를 따라 서로 이격해서 다수가 배치될 수 있고, 제2자성체(121) 역시 제 1 자성체(321)와 대응되게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를 따라 서로 이격해서 다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2 자성체(321,121)를 분리된 다수로 구성하면, 일체인 경우와 대비해서 부품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제1,2자성체(321,121) 간의 자력은, 배터리(200)가 삽입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가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적정 힘으로 탈거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해 배터리(200)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무게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배터리(200)가 0.3kg이고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가 0.3kg인 경우를 예로 든다. 이 경우에 요구되는 자력 범위는 대략 1.8kgf~25kgf일 수 있다.
여기서, 자력 범위의 하한은 배터리(300) 및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가 자력을 통해 본체와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값으로서, 배터리(300) 및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합산 무게인 0.6kg에 안전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안전계수인 3f를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즉, 0.6kg*3f = 1.8kgf).
그리고, 자력 범위의 상한은, 일반적인 남자 및 여자를 포함한 성인 사용자의 악력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일반적인 남자의 악력은 대략 40kgf~50kgf이고 일반적인 여자의 악력은 대략 20kgf~30kgf인바, 상한은 일반적인 여자의 악력의 평균값인 25kgf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인 여자의 악력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2자성체(321,121) 간의 자력 설정에 관해 도 5의 분리 구조에 대해 일예를 들면, 서로 대응되는 하나의 제1부분(321a)과 제2부분(121a) 간에는 1.42kgf의 자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에서는 14개의 제1부분(321a)과 14개의 제2부분(121a)이 구성되므로, 전체 자력은 1.42kgf*14 = 19.88kgf가 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와 본체(100) 간의 결합 상태에서 배터리(200)가 수용된 배터리 수용공간(150)을 밀폐하기 위해,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폐루프 형태의 씰링제(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씰링제(400)는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2개의 씰링제(400)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든다.
도 4를 참조하면, 씰링제(400)는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와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 중 하나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가장자리(320)에 고정된 경우를 예로 든다. 이 경우에,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가장자리(120)에는, 씰링제(400)가 삽입될 수 있는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씰링제(400)는, 제1,2자성체(321,121) 간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눌려지게 됨으로써, 배터리 수용공간(150)을 외부로부터 밀폐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방진 및 방수를 위한 밀폐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배터리(200)를 본체(100)로부터 제거함에 있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을 탈거홈(130)에 삽입하여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를 들어올려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를 탈거하며, 그 후에 배터리(20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터리(200)를 슬라이딩 시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배터리홀더(330) 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는, 배터리(200)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20)의 배터리홀더(330)에 삽입되고,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20)는 본체(100) 배터리 수용공간(150)을 덮음으로써 배터리(200)가 배터리 수용공간(150)에 장착되게 하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와 본체(100)는 제1,2자성체(321,121) 간의 자력을 이용하는 자력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10)가 낙하하는 등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배터리(200)가 본체(10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낙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관해,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와 본체(100) 간에는 종래의 후크 방식과 같은 기구적 구조 대신에 이들에 구비된 제1,2자성체(321,121)를 통해 결합되므로, 제1,2자성체(321,121) 간의 자력 보다 큰 일정 정도의 힘이 인가되면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는 본체(100)로부터 분리(즉, 탈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바,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10)의 낙하 충격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와 본체(100)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감안하여, 제1,2자성체(321,121) 간의 자력이 낙하 충격시의 반발력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10)가 낙하하여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배터리(200)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와 함께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서 배터리가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2차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에 의한 전기 소자 손상이나 배터리 폭발 사고가 방지될 수 있게 되므로, 낙하 충격에 대한 검출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본체가 자력 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 종래의 기구적 결합 방식에 비해,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에 대한 배터리 장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와 후방커버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에 씰링제를 배치함으로써,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수용공간의 방진 및 방수를 위한 밀폐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배터리와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 내의 회로 부품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관해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의 배터리와 메인보드와 패널구동보드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도 1의 112))를 생략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엑스선 검출장치의 본체 내부에는 센서패널(50)과 패널구동보드(60)와 메인보드(70)와 배터리 커넥터(8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커넥터(80)는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일측으로 노출되고,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300)의 배터리홀더(330)에 삽입된 배터리(200)가 배터리 수용공간(150)에 장착되면 배터리(200)와 직접 접속되어, 배터리(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배터리(200)의 일측, 특히 제 2 가이드단(335)으로부터 돌출된 일 측면에는 전기 단자인 제1단자부(201)가 마련되고, 배터리(200)를 배터리 수용공간(150)에 장착할 경우, 제1단자부(201)와 대응되는 배터리 수용공간(150)의 내부 일측에는 배터리 커넥터(80)의 전기 단자인 제2단자부(8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00)가 실장된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에(300)로 배터리 수용공간(150)을 덮으면, 제 1, 2단자부(201,81)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배터리(200)와 배터리 커넥터(80)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커넥터(80)는 메인보드(70)와 제1케이블(9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보드(70)는 패널구동보드(60)와 제2케이블(9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기적 연결 구조를 통해, 배터리(200)의 전원이 메인보드(70) 및 패널구동보드(60)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 엑스선 검출장치 100: 본체
121: 제2자성체 130: 탈거홈
150: 수용공간 200: 배터리
300: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 321: 제1자성체
330: 배터리홀더 333: 제1가이드단
335: 제2가이드단

Claims (9)

  1. 전기 단자를 일면에 노출시키며 배터리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 1 면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덮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단자를 상기 전기 단자에 접촉시키는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제 1 자성체;
    상기 제 1 자성체에 대응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주변을 따라 위치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인
    배터리 수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은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의 외면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배터리 수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고정하는 배터리홀더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수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홀더는,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측면과 대향하는 제 1 가이드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 1 가이드단의 말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의 외면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수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분리되고,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제 1 자성체와 대응되게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분리된 배터리 수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탄성재질의 씰링제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수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자성체 간의 자력은, 하한이 배터리 및 배터리 수용공간 커버의 무게에 3f를 곱한 값이고, 상한은 성인의 악력 이하인 배터리 수용장치.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엑스선을 검출하는 센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장치는 이동식 엑스선 검출장치인 배터리 수용장치.
KR1020200148513A 2020-11-09 2020-11-09 배터리 수용장치 KR10248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13A KR102482268B1 (ko) 2020-11-09 2020-11-09 배터리 수용장치
PCT/KR2021/095014 WO2022098215A1 (ko) 2020-11-09 2021-01-20 배터리 수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513A KR102482268B1 (ko) 2020-11-09 2020-11-09 배터리 수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50A KR20220062850A (ko) 2022-05-17
KR102482268B1 true KR102482268B1 (ko) 2022-12-28

Family

ID=8145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513A KR102482268B1 (ko) 2020-11-09 2020-11-09 배터리 수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2268B1 (ko)
WO (1) WO202209821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289A (ja) * 2000-01-24 2001-08-03 Vertex Standard Co Ltd 電池ケース
US20100119923A1 (en) * 2008-11-12 2010-05-13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Battery cover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9521B2 (ja) * 2004-03-31 2007-03-2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5863859B2 (ja) * 2014-03-20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撮影装置
KR20160064940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289A (ja) * 2000-01-24 2001-08-03 Vertex Standard Co Ltd 電池ケース
US20100119923A1 (en) * 2008-11-12 2010-05-13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y Co., Ltd. Battery cove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50A (ko) 2022-05-17
WO2022098215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0317B2 (ja) 携帯端末
CN110249445B (zh) 电池和连接设备
JP5937387B2 (ja) 2次電池モジュール
EP2487736A1 (en) Batteries for power tools and methods of mounting battery terminals to battery housings
US8361643B2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080242368A1 (en) Battery and battery locking unit of mobile terminal
KR102482268B1 (ko) 배터리 수용장치
EP3361523B1 (en) Battery and connection apparatus
CN111418199B (zh) 一种防护壳结构、手持云台及拍摄设备
JP4539357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及び電子装置
CN115882263A (zh) 连接器
KR20120059712A (ko) 휴대용 충전기와 여기에 장착된 핸드폰의 보호 케이스
CN213213572U (zh) 电子设备保护壳
US20100216005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US20020162231A1 (en) A cordless alignment system having conveniently interchangeable batteries
JP4000308B2 (ja) 充電用コネクター及び充電台
CN113840204A (zh) 无线耳机、充电盒以及无线耳机设备
CN218548654U (zh) 便携式电池盒
CN217336151U (zh) 执法记录仪
JP3604829B2 (ja) パック電池
CN219761019U (zh) 用于设备的保护盖组件和设备
US11949264B1 (en) Portable charger having vacuuming function
JP5102545B2 (ja) 電子機器
CN211106418U (zh) 一种打印机
JP3738199B2 (ja) 電気機器に電力を供給する補助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