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940A - 엑스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940A
KR20160064940A KR1020150075478A KR20150075478A KR20160064940A KR 20160064940 A KR20160064940 A KR 20160064940A KR 1020150075478 A KR1020150075478 A KR 1020150075478A KR 20150075478 A KR20150075478 A KR 20150075478A KR 20160064940 A KR20160064940 A KR 2016006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y
ray detector
coupled
batte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익
박진우
조은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962A/ko
Priority to KR1020150165930A priority patent/KR20160065001A/ko
Priority to US14/953,064 priority patent/US10379437B2/en
Priority to CN201510857387.7A priority patent/CN105640576A/zh
Publication of KR2016006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개시한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 및 서로 결합하여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으로서,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이물질이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이 서로 밀착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장치{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x-ray source)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x-ray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다양한 부위를 영상화할 수 있도록 엑스선 소스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는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테이블 모드, 촬영스탠드에 장착되는 스탠드 모드 또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포터블(portable)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는 이물질에 취약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엑스선 디텍터의 내부에 침투한 이물질은 엑스선 디텍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부품들의 고장 내지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포터블 모드에 사용되는 엑스선 디텍터는 실내공간뿐만 아니라 실외공간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더욱 취약하다. 따라서, 엑스선 디텍터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물질이 엑스선 디텍터의 단자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이물질이 엑스선 디텍터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 및 서로 결합하여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으로서,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이물질이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이 서로 밀착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따라 상기 제 1프레임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프레임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밀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따라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 패턴과 밀착 결합되는 접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접착부재 및 단면 접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 면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바텀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일 면에는 상기 돌출 패턴과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바텀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프레임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를 가지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프레임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개폐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밀착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와 마주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 면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이중사출을 통해 상기 배터리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프레임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는 상기 결합홈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텀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의 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면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바텀 프레임에 2차적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마련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캡 및 상기 단자부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이물질이 상기 단자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자부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캡의 일 단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캡의 다른 단부는 상기 단자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자성(磁性)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는 상기 단자부와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가 마련되고, 상기 캡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가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1면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제 1면에 마련되는 제 1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단자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2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면에는 상기 단자부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 2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모듈이 결합되는 엑스선 디텍터의 단자부에 실링부재를 가지는 캡(cap)을 설치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의 단자부가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 및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의 사이에 실링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단자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접착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바텀 프레임과 결합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돌출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바텀 프레임 및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밀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조작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튜브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감지패널의 단일 픽셀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가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가 촬영스탠드에 장착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가 포터블 모드에 있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테이블 결합모듈, 스탠드 결합모듈 및 포터블 결합모듈의 위치에 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캡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엑스선 디텍터의 단자부 및 캡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3의 엑스선 디텍터를 A-A'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배터리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의 일 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커버 및 바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4의 엑스선 디텍터를 B-B'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사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바텀 프레임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 및 바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3의 엑스선 디텍터를 C-C'으로 절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조작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장치(1)는 가이드레일(40), 이동캐리지(45), 포스트프레임(50), 모터(110), 엑스선 소스(70), 엑스선 디텍터(300), 조작 장치(80),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1)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될 수 있는 촬영테이블(10)과 촬영스탠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0), 이동캐리지(45), 포스트프레임(50) 등은 엑스선 소스(70)를 대상체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가이드레일(40)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 1가이드레일(41)과 제 2가이드레일(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레일(41)과 제 2가이드레일(4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가이드레일(41)은 엑스선 촬영장치(1)가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가이드레일(42)은 제 1가이드레일(41)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 1가이드레일(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1가이드레일(41)에는 제 1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가이드레일(4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 1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1가이드레일(4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1방향(D1)이 정의되고, 제 2가이드레일(4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45)는 제 2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 2가이드레일(4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캐리지(45)에는 제 2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캐리지(45)는 제 2가이드레일(42)과 함께 제 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2가이드레일(42)을 따라 제 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5)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45)의 하측에 위치한다. 포스트프레임(50)은 복수의 포스트(51,52,53,54,55)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포스트(51,52,53,54,55)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5)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 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 3방향(D3)은 제 1방향(D1) 및 제 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대상체에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대상체는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장치(1)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될 수 있는 것이면 대상체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x-ray tube)(71)와, 발생된 엑스선을 대상체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7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엑스선 튜브(7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엑스선 소스(70)와 포스트프레임(5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6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조인트(60)는 엑스선 소스(70)를 포스트프레임(50)에 결합시키고, 엑스선 소스(7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한다.
회전조인트(60)는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 포스트(51)와 연결되는 제 1회전조인트(61)와, 엑스선 소스(70)와 연결되는 제 2회전조인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전조인트(61)는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프레임(5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회전조인트(61)는 제 3방향(D3)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1회전조인트(61)의 회전 방향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데, 새롭게 정의되는 제 4방향(D4)은 제 3방향(D3)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이다.
제 2회전조인트(62)는 검사실의 천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회전조인트(62)는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2회전조인트(62)의 회전 방향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데, 새롭게 정의되는 제 5방향(D5)은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의 회전 방향이다. 엑스선 소스(70)는 회전조인트(60)에 연결되어 제 4방향(D4) 및 제 5방향(D5)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70)는 회전조인트(60)에 의하여 포스트프레임(50)에 연결되어 제 1방향(D1), 제 2방향(D2) 및 제 3방향(D3)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내지 제 5방향(D5)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110)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110)는 전지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고, 모터(110)에는 엔코더가 포함될 수 있다.
모터(110)는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여 제 1모터(111), 제 2모터(112), 제 3모터(113), 제 4모터(114) 및 제 5모터(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터(110)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가이드레일(42)을 제 1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제 1모터(111)는 제 1가이드레일(4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45)를 제 2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제 2모터(112)는 제 2가이드레일(42) 주위에 배치되고,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를 제 3방향(D3)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 3모터(113)는 이동캐리지(45)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엑스선 소스(70)를 제 4방향(D4)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 4모터(114)는 제 1회전조인트(61) 주위에 배치되고, 엑스선 소스(70)를 제 5방향(D5)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 5모터(115)는 제 2회전조인트(62)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모터(110)는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내지 제 5방향(D5)으로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 등일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의 일 측면에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 장치(8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엑스선 촬영장치(1)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진단을 수행하는 자로서 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등을 포함하는 의료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장치(1)를 사용하는 자이면 모두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조작 장치(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표시부(81) 및 버튼(84)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각각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 1표시부(81)는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이나,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LED) 등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버튼(84)에는 사용자가 엑스선 소스(70)를 제 4방향(D4) 또는 제 5방향(D5)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조작하는 회전선택버튼(84)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엑스선 소스(70)를 제 4방향(D4)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4방향 회전선택버튼(85)을 누른 후 엑스선 소스(70)를 제 4방향(D4)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엑스선 소스(70)를 제 5방향(D5)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 5방향(D5) 회전선택버튼(84)을 누른 후 엑스선 소스(70)를 제 5방향(D5)으로 회전시키거나 제5방향 회전선택버튼(86)을 누른 채 엑스선 소스(70)를 제 5방향(D5)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회전선택버튼(84)의 위치는 일 예일 뿐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조작 장치(8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8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장치(80)의 손잡이(82)를 파지하여 힘 또는 토크를 가함으로써 엑스선 소스(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수동 이동모드라고 정의한다. 엑스선 소스(70)의 이동은 모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를 자동 이동모드라고 정의한다. 도 3에는 손잡이(82)가 조작 장치(8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조작 장치(80)의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전면에는 엑스선이 입사되는 입사면(130)이 마련되고,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에는 감지패널(120)(도5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감지패널(120)에는 엑스선에 감응하는 복수의 픽셀(150)(도5참고)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상단 중앙에는 손잡이(13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엑스선 디텍터(300)를 이동시키거나 휴대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촬영 시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촬영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테이블(10)에 장착되는 테이블 모드나 촬영스탠드(20)에 장착되는 스탠드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촬영테이블(10)이나 촬영스탠드(20)에 장착되지 않고 대상체의 위치 및 촬영 부위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포터블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특히, 촬영테이블(10)과 촬영스탠드(20)에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각각 구비되는데, 촬영테이블(10)에 구비된 수용부를 제 1수용부(15)로 정의하고, 촬영스탠드(20)에 구비된 수용부를 제 2수용부(25)로 정의한다. 제 2수용부(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지지대(2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 때, 지지대(22)의 길이방향을 제 6방향(D6)으로, 제 6방향(D6)과 수직한 축의 회전방향을 제 7방향(D7)으로 정의한다.
워크스테이션(170)은 입력부(171)와 제 2표시부(172)를 포함하여, 조작 장치(8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각각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 예를 들어 촬영 위치의 선택 명령, 엑스선 촬영의 시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 과정에서 얻어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입력부(171)는 스위치, 키보드, 트랙볼, 마우스,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71)가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제 2표시부(17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표시부(172)는 제 1표시부(81)와 마찬가지로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이나,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LED) 등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워크스테이션(170)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나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장치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역시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워크스테이션(170)에는 엑스선 촬영장치(1)의 주요 구성요소,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엑스선 촬영장치(1)의 동작을 위한 각종 판단을 수행하거나,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워크스테이션(170)은 엑스선이 차단되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S)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엑스선 소스(70) 및 엑스선 디텍터(300)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장치로, 엑스선의 발생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엑스선 튜브(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튜브의 내부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엑스선 튜브(71)는 양극(71c)과 음극(71e)을 포함하는 2극 진공관으로 구현될 수 있고, 관체는 규산 경질유리 등을 재료로 하는 유리관(71a)일 수 있다.
음극(71e)은 필라멘트(71h)와 전자를 집속시키는 집속 전극(71g)을 포함하며, 집속 전극(71g)은 포커싱 컵(focusing cup)이라고도 한다. 유리관(71a) 내부를 약 10mmHg 정도의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음극의 필라멘트(71h)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열전자를 발생시킨다. 필라멘트(71h)의 일 예로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고, 필라멘트에 연결된 전기도선(71f)에 전류를 가하여 필라멘트(71h)를 가열할 수 있다. 다만,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음극(71e)에 필라멘트(71h)를 채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속 펄스로 구동 가능한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tube)를 음극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극(71c)은 주로 구리로 구성되고, 음극(71e)과 마주보는 쪽에 타겟 물질(71d)이 도포 또는 배치되며, 타겟 물질로는 Cr, Fe, Co, Ni, W, Mo 등의 고저항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타겟 물질의 녹는점이 높을수록 초점 크기(focal spot size)가 작아진다.
그리고 음극(71e)과 양극(71c) 사이에 고전압을 걸어주면 열전자가 가속되어 양극의 타겟 물질(71d)에 충돌하면서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엑스선은 윈도우(71i)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며, 윈도우의 재료로는 베릴륨(Be)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타겟 물질(71d)은 로터(71b)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타겟 물질(71d)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된 경우에 비해 열 축적율이 단위 면적당 10배 이상 증대될 수 있고, 초점 크기가 감소된다.
엑스선 튜브(71)의 음극(71e)과 양극(71c) 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을 관전압이라 하며, 그 크기는 파고치 kvp로 표시할 수 있다. 관전압이 증가하면 열전자의 속도가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엑스선의 에너지(광자의 에너지)가 증가된다. 엑스선 튜브(71)에 흐르는 전류는 관전류라 하며 평균치 mA로 표시할 수 있고, 관전류가 증가하면 엑스선의 선량(엑스선 광자의 수)이 증가된다. 즉, 관전압에 의해 엑스선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고, 관전류 및 엑스선 노출 시간에 의해 엑스선의 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엑스선의 검출은 엑스선 디텍터(300) 내부의 감지패널(120)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게 한다.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 및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먼저,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에 따라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와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단일 소재의 반도체로 구성되거나,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수광 소자인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단일하게 이용하는 경우이다.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각각 다른 소재로 구성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CCD, CdZnTe 등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Read Out Intergrated Circuit)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스트립 디텍터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및 a-Si 또는 a-Se 플랫 패널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그리고, 감지패널(120)은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에 따라 직접변환방식과 간접변환방식으로 구분된다.
직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이 조사되면 수광 소자 내부에 일시적으로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수광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어 있는 전장에 의해 전자는 양극으로 정공은 음극으로 이동하는 바, 감지패널(120)이 이러한 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직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에 사용되는 물질은 a-Se, CdZnTe, HgI2, PbI2 등이 있다.
간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섬광체(scintillator)와 반응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자(photon)를 방출하면 이를 수광 소자가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간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로 사용되는 물질은 a-Si 등이 있고, 섬광체로는 박막 형태의 GADOX 섬광체, 마이크로 기둥형 또는 바늘 구조형 CSI(T1) 등이 사용된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전하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그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전하누적방식(Charge Integration Mode)과 단일 엑스선 광자에 의해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계수하는 광자계수방식(Photon Counting Mode)으로 구분된다.
감지패널(120)은 상술한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도 적용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엑스선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직접 획득하는 직접 변환 방식, 엑스선을 검출하는 센서 칩과 독출 회로 칩이 결합되는 하이브리드 방식 및 광자계수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감지패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픽셀(150)을 포함하는 2차원 어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패널(120)은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 소자(121)와 발생된 전기 신호를 읽어 내는(read-out) 독출 회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소자(121)로는 낮은 에너지와 적은 선량에서의 높은 해상도와 빠른 응답 시간 및 높은 동적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결정 반도체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단결정 반도체 물질은 Ge, CdTe, CdZnTe, GaAs 등이 있다.
수광 소자(121)는 고저항의 n형 반도체 기판(121b)의 하부에, 2차원 어레이 구조의 p형 반도체 기판(121c)이 접합되는 PIN 포토다이오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을 이용한 독출 회로(122)는 2차원 어레이 구조를 형성하여, 픽셀(150)별로 수광 소자(121)의 p형 반도체 기판(121c)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결합 방식은 땜납(PbSn), 인듐(In) 등의 범프(bump)(123)를 형성한 후 reflow하고 열을 가하여 압착하는 플립칩 본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감지패널의 단일 픽셀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의 광자(photon)가 수광 소자(121)에 입사하게 되면 가전도대(valance band)에 있던 전자들이 광자의 에너지를 전달 받아 밴드갭(band gap) 에너지 차이를 넘어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된다. 이로써 전자와 정공이 존재하지 않는 공핍 영역에서 전자-정공쌍이 발생된다.
수광 소자(121)의 p형 층과 n형 기판에 각각 메탈 전극을 형성하고, 역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주면 공핍 영역에서 발생된 전자-정공 쌍 중 전자는 n형 영역으로, 정공은 p형 영역으로 끌려간다. 그리고, p형 영역으로 끌려간 정공이 범프(123)을 통해 독출 회로(122)로 입력된다.
독출 회로(122)에 입력된 전하는 전증폭기(pre-amplifier)(122a)에 전달되고, 그에 대응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전증폭기(122a)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는 비교기(122b)로 전달되고, 비교기(122b)는 외부에서 제어될 수 있는 임의의 문턱 전압과 입력된 전압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1' 또는 '0'의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즉, 비교기(122b)는 입력된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크면 '1'의 신호를 출력하고, 문턱 전압보다 작으면 '0'의 신호를 출력한다. 카운터(122c)에서는 '1'이 몇 번 나왔는지를 계수하여 디지털 형태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의 검출을 위하여 테이블 모드, 스탠드 모드 또는 포터블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각각의 촬영 모드에서 엑스선 디텍터(300)의 위치는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가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가 촬영스탠드에 장착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가 포터블 모드에 있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결합모듈(200)은 각각의 촬영 모드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모듈(200)은 테이블 모드에 대응되는 테이블 결합모듈(200-1), 스탠드 모드에 대응하는 스탠드 결합모듈(200-2) 및 포터블 모드에 대응되는 포터블 결합모듈(20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모듈(200)의 위치와 개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예시로는 테이블 결합모듈(200-1)과 스탠드 결합모듈(200-2)만 마련되거나 네 개 이상의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결합모듈(200)이 테이블 결합모듈(200-1), 스탠드 결합모듈(200-2) 및 포터블 결합모듈(200-3)을 포함하는 예시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모듈(200-1)은 제 1수용부(15)에 구비될 수 있다. 촬영테이블(10)에 눕혀져 있는 대상체를 촬영할 때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촬영테이블(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엑스선 디텍터(300)는 촬영테이블(10)에 구비된 제 1수용부(15)에 삽입된다. 제 1수용부(15)에 삽입될 때, 엑스선 디텍터(3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 즉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 1수용부(15)에 삽입된 이후에도, 엑스선 디텍터(3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 또는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 1수용부(15)에 삽입된 엑스선 디텍터(300)는 테이블 결합모듈(200-1)과 결합되는데, 이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가 제 1수용부(15)에 삽입되어 테이블 결합모듈(200-1)과 결합된 상태를 테이블 모드로 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결합모듈(200-2)은 제 2수용부(25)에 구비될 수 있다. 촬영스탠드(20)에 서 있는 대상체를 촬영할 때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촬영스탠드(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엑스선 디텍터(300)는 촬영스탠드(20)에 구비된 제 2수용부(25)에 삽입된다. 제 2수용부(25)가 제 7방향(D7)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제 2수용부(25)에 삽입될 때, 엑스선 디텍터(300)는 도 8(a)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면과 수직인 상태 혹은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상태로 삽입될 수도 있고, 도8(a)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 혹은 x축과 y축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상태로 삽입될 수도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가 제 2수용부(25)에 삽입된 후 제 2수용부(25)의 회전 등에 의하여, 엑스선 디텍터(30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수직인 상태, 즉 x축과 z축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 2수용부(25)에 삽입된 엑스선 디텍터(300)는 스탠드 결합모듈(200-2)과 결합되는데, 이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가 제 2수용부(25)에 삽입되어 스탠드 결합모듈(200-2)과 결합된 상태를 스탠드 모드로 본다.
눕혀져 있거나 서 있는 대상체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대상체를 촬영할 때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촬영테이블(10)이나 촬영스탠드(20)에 장착되지 않고 포터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를 포터블 모드로 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모드에서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포터블 결합모듈(200-3)과 결합될 수 있고, 포터블 결합모듈(200-3)은 포터블 모드에서의 용이한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결합모듈(200-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테이블(10)의 상판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테이블 결합모듈, 스탠드 결합모듈 및 포터블 결합모듈의 위치에 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모듈(200-1)은 제 1수용부(15)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 1수용부(15)에 삽입된 엑스선 디텍터(300)와 케이블(36)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블 결합모듈(200-1)은 촬영테이블(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결합모듈(200-2)은 제 2수용부(25)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 2수용부(25)에 삽입된 엑스선 디텍터(300)와 케이블(36)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탠드 결합모듈(200-2)은 촬영스탠드(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결합모듈(200-3)은 포터블 모드의 엑스선 디텍터(300)와 케이블(36)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엑스선 디텍터(300)가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유선으로 워크스테이션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결합모듈(200)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 및 네트워크 허브와 엑스선 디텍터(300)를 연결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외부의 전원 장치 및 네트워크 허브와 엑스선 디텍터(300)를 연결하는 구성과는 별도로 전기소자가 장착된 보드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결합모듈(200)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 및 네트워크 허브와 엑스선 디텍터(300)를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이러한 경우, 결합모듈(200)은 전원 박스(power box)라고도 지칭될 수 있으나, 결합모듈(200)은 그 구성과 동작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지 그 명칭에 의해 정의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물질은 먼지, 혈액, 액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바텀 프레임(310), 절연기판(320), 감지패널(120), 신틸레이션(330) 및 회로기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기판(320)은 감지패널(120) 및 신틸레이션(330)을 지지할 수 있다. 절연기판(320)의 일 면에는 감지패널(120)이 안착되고, 감지패널(120)에는 신틸레이션(330)이 안착될 수 있다. 절연기판(320)의 다른 일 면에는 회로기판(340)이 위치될 수 있다.
신틸레이션(330)은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션(330)은 입사된 엑스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신틸레이션(330)의 일면에는 신틸레이션(33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350)가 위치될 수 있다. 커버(35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350)의 상부에는 탑 프레임(360)이 위치할 수 있다. 탑 프레임(360)은 카본 플레이트 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탑 프레임(360)의 일 면에는 데코 시트(3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감지패널(120)에는 복수의 픽셀(150)(도5참고)이 구비되고, 각 픽셀(150)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포토다이오드 등과 같은 광전 변환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신틸레이션(330)을 통과한 광의 세기를 픽셀 단위로 판독할 수 있다. 감지패널(120)에는 광전 변환 소자에 의한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감지패널(120)에서 판독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회로기판(340)은 메모리 및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엑스선의 조사 각도에 따른 대상체의 그림자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부는 감지패널(120)에 맺히는 대상체의 그림자 형상과 메모리의 그림자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의 조사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메모리 및 연산부는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감지패널(120)과 회로기판(340)은 연성회로기판(3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380)에는 감지패널(120)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리드아웃 단자(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서로 결합하여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프레임(360), 사이드 프레임(390) 및 바텀 프레임(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탑 프레임(360)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90)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0)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의 내부에는 절연기판(320), 감지패널(120), 신틸레이션(330) 및 회로기판(340)이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탑 프레임(360), 사이드 프레임(390) 및 바텀 프레임(310)은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절연기판(320), 감지패널(120), 신틸레이션(330) 및 회로기판(34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탑 프레임(360), 사이드 프레임(390) 및 바텀 프레임(310)에 의해 절연기판(320), 감지패널(120), 신틸레이션(330) 및 회로기판(340) 등의 구성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0)은 탑 프레임(36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수용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수용부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배터리 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400)는 바텀 프레임(3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결합모듈(200)이 결합되는 단자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410)는 결합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410)는 사이드 프레임(39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결합모듈(200)이 결합되는 단자부(41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캡(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4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캡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엑스선 디텍터의 단자부 및 캡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3의 엑스선 디텍터를 A-A'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이물질은 먼지, 혈액, 액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는 결합모듈(200)이 결합되는 단자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410)는 사이드 프레임(39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410)는 자성(磁性)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모듈(200)은 자성에 의해 단자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모듈(200)에는 단자부(4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단자부(410)와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자성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결합모듈(200)이 결합되는 단자부(41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캡(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엑스선 디텍터(300)는 단자부(41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 단부가 엑스선 디텍터(300)에 고정 결합되어 단자부(410)를 개폐하는 캡(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420)은 결합모듈(200)이 결합되는 단자부(4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사이드 프레임(390)에 결합될 수 있다. 캡(420)의 적어도 일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39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420)의 일 단부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430)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39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캡(420)은 일 단부가 사이드 프레임(390)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부재(430)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캡(420)은 자성(磁性)에 의해 단자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캡(420)의 일 단부는 고정부재(430)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390)에 고정되고, 캡(420)의 다른 단부는 단자부(4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자성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39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420)의 다른 단부는 자성에 의해 단자부(410)와 인접하도록 사이드 프레임(39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4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캡(420)은 금속부재(421)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부재(421)는 단자부(410)의 주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411)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금속부재(421)는 일 예로써, 스테인리스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캡(420)은 실링부재(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422)는 금속부재(421)와 결합할 수 있다. 실링부재(422)는 고무 및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링부재(422)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충분하고, 고무 및 실리콘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링부재(422)는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1면(422a) 및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2면(4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422a) 및 제 2면(422b)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제 2면(422b)은 단자부(410)와 마주할 수 있다. 제 1면(422a)에는 금속부재(421)가 결합될 수 있는 제 1결합부(4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면(422b)에는 단자부(4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 2결합부(424)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면(422b)에는 단자부(41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단자부(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 2결합부(424)가 마련될 수 있다. 캡(420)은 캡(420) 및 단자부(410) 사이의 틈을 통해 이물질이 단자부(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자부(410)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결합부(424)는 제 2결합부(424)의 외면이 단자부(41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단자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재(422)는 고정부재(4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홀(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30)는 실링부재(422)의 고정홀(425)을 관통하여 캡(420)의 일 단부를 사이드 프레임(39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배터리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의 일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커버 및 바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4의 엑스선 디텍터를 B-B'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이물질은 먼지, 혈액, 액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프레임(310) 및 배터리 커버(400)에는 바텀 프레임(310)과 배터리 커버(400) 사이의 밀착 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바텀 프레임(310) 및 배터리 커버(400) 사이의 틈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 유입방지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311)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311)는 배터리 커버(400)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배터리 수용부(311)의 내벽에는 배터리 단자부(410)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부(410)에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배터리와 배터리 단자부(4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어려울 수 있다. 즉,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가 엑스선 디텍터(300)에 제대로 공급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배터리 커버(400)는 배터리 수용부(311)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400)와 배터리 수용부(311) 사이의 밀착 정도를 향상시키도록 바텀 프레임(310)과 배터리 커버(400) 사이에 실링부재(440)를 배치할 수 있다. 실링부재(440)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링부재(440)는 고무 및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족하고, 폴리우레탄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링부재(440)는 바텀 프레임(310) 및 배터리 커버(4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링부재(440)는 배터리 커버(400)와 마주하는 바텀 프레임(310)의 일 면 및 바텀 프레임(310)과 마주하는 배터리 커버(400)의 일 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링부재(440)는 배터리 수용부(311)와 마주하는 배터리 커버(400)의 일 면에 배터리 커버(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400)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배터리 커버(40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링부재(440)는 이중사출을 통해 배터리 커버(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0)에는 실링부재(440)가 밀착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450)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홈(450)은 배터리 수용부(31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홈(450)은 배터리 수용부(31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450)은 실링부재(4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커버(400)는 1차적으로 바텀 프레임(3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커버(400)는 배터리 커버(4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실링부재(440)의 외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401)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401)가 삽입 내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312)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401)는 결합홈(45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바텀 프레임(31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312)에 결합될 수 있다.
1차적으로 바텀 프레임(310)에 끼움 결합된 배터리 커버(400)는 결합부재(460)에 의해 바텀 프레임(3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460)는 돌출부(46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61)는 결합부재(46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400)는 결합부재(460)의 회전에 따라 돌출부(461)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체결부(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460)를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부(461)가 체결부(402)에 걸림으로써 돌출부(461)가 체결부(402)에 체결되고, 결합부재(460)를 제 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부(461)가 체결부(402)에서 분리됨으로써 돌출부(461) 및 체결부(402) 사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결론적으로, 배터리 커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401)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312)의 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바텀 프레임(310)에 고정 결합되고, 결합부재(460)의 돌출부(461) 및 체결부(402)의 결합에 의해 2차적으로 바텀 프레임(3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사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바텀 프레임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 및 바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3의 엑스선 디텍터를 C-C'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이물질은 먼지, 혈액, 액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390) 및 바텀 프레임(310)에는 사이드 프레임(390)과 바텀 프레임(310) 사이의 밀착 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사이드 프레임(390) 및 바텀 프레임(310) 사이의 틈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물질 유입방지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90)에는 돌출 패턴(391)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텀 프레임(310)과 마주하는 사이드 프레임(390)의 일 면에는 사이드 프레임(39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텀 프레임(310)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패턴(391)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0)에는 접착부재(47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470)는 사이드 프레임(390)에 마련되는 돌출 패턴(391)과 대응하도록 바텀 프레임(31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부재(470)는 사이드 프레임(390)에 마련되는 돌출 패턴(391)과 마주하도록 바텀 프레임(310)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470)는 돌출 패턴(391)과 밀착 결합되도록 사이드 프레임(390)과 마주하는 바텀 프레임(310)의 일 면에 바텀 프레임(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접착부재(470)의 적어도 일 면은 접착력이 있을 수 있다. 즉, 접착부재(470)는 양면 접착부재 및 단면 접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부재(470)는 바텀 프레임(310)과 마주하는 제 1면 및 사이드 프레임(390)과 마주하는 제 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 및 제 2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력이 있을 수 있다.
접착부재(470)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90)과 바텀 프레임(310)의 결합과정에서 돌출 패턴(391)은 접착부재(470)를 가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 패턴(391)이 접착부재(470)를 가압함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390) 및 바텀 프레임(310) 사이의 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물질이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90)에 마련되는 돌출 패턴(391)만으로도 이물질이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프레임(390)과 바텀 프레임(310)의 결합과정에서 돌출 패턴(391)은 돌출 패턴(391)과 마주하는 바텀 프레임(310)의 일 면을 가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390) 및 바텀 프레임(310) 사이의 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에 대해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엑스선 촬영장치(1)는 서로 결합하여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이물질이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따라 제 1프레임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되고, 제 2프레임에는 실링부재가 밀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따라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고,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는 돌출 패턴과 밀착 결합되는 접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390), 바텀 프레임(310) 및 배터리 커버(400)에 한정하지 않고,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른 구성들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엑스선 디텍터(300)는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엑스선 촬영장치 10: 촬영테이블
15: 제 1수용부 20: 촬영스탠드
22: 지지대 25: 제 2수용부
40: 가이드레일 41: 제 1가이드레일
42: 제 2가이드레일 45: 이동캐리지
50: 포스트프레임 51,52,53,54,55: 포스트
60: 회전조인트 61: 제 1회전조인트
62: 제 2회전조인트 70: 엑스선 소스
71: 엑스선 튜브 71a: 유리관
71b: 로터 71c: 양극
71d: 타겟 물질 71e: 음극
71f: 전기도선 71g: 집속 전극
71h: 필라멘트 71i: 윈도우
72: 콜리메이터 80: 조작 장치
81: 제 1표시부 82: 손잡이
84: 버튼 85: 제4방향 회전선택버튼
86: 제5방향 회전선택버튼 110: 모터
111: 제 1모터 112: 제 2모터
113: 제 3모터 114: 제 4모터
115: 제 5모터 120: 감지패널
121: 수광 소자 121b: n형 반도체 기판
121c: p형 반도체 기판 122: 독출 회로
122a: 전증폭기 122b: 비교기
123: 범프 130: 입사면
131: 손잡이 150: 픽셀
170: 워크스테이션 171: 입력부
172: 제 2표시부 200: 결합모듈
200-1: 테이블 결합모듈 200-2: 스탠드 결합모듈
200-3: 포터블 결합모듈 300: 엑스선 디텍터
310: 바텀 프레임 311: 배터리 수용부
312: 고정홈 320: 절연기판
330: 신틸레이션 340: 회로기판
350: 커버 360: 탑 프레임
370: 데코 시트 380: 연성회로기판
390: 사이드 프레임 391: 돌출 패턴
400: 배터리 커버 401: 결합 리브
402: 체결부 410: 단자부
411: 자성체 420: 캡
421: 금속부재 422: 실링부재
422a: 제 1면 422b: 제 2면
423: 제 1결합부 424: 제 2결합부
425: 고정홀 430: 고정부재
440: 실링부재 450: 결합홈
460: 결합부재 461: 돌출부
470: 접착부재 36: 케이블
122c: 카운터

Claims (21)

  1.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 및
    서로 결합하여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으로서,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이물질이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이 서로 밀착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따라 상기 제 1프레임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프레임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밀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의 결합부위를 따라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 및 상기 제 2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 패턴과 밀착 결합되는 접착부재가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접착부재 및 단면 접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 면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바텀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바텀 프레임의 일 면에는 상기 돌출 패턴과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바텀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부재가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를 가지는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프레임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개폐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밀착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와 마주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일 면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이중사출을 통해 상기 배터리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프레임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홈이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는 상기 결합홈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텀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의 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상기 바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면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바텀 프레임에 2차적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16.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마련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엑스선 디텍터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 및 상기 단자부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이물질이 상기 단자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자부에 밀착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캡의 일 단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캡의 다른 단부는 상기 단자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자성(磁性)에 의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는 상기 단자부와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가 마련되고,
    상기 캡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와 상호 작용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가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1면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제 1면에 마련되는 제 1결합부에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단자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2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면에는 상기 단자부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 2결합부가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50075478A 2014-11-28 2015-05-28 엑스선 촬영장치 KR20160064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97A KR20160064962A (ko) 2014-11-28 2015-10-19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50165930A KR20160065001A (ko) 2014-11-28 2015-11-25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US14/953,064 US10379437B2 (en) 2014-11-28 2015-11-27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510857387.7A CN105640576A (zh) 2014-11-28 2015-11-30 X射线检测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85375P 2014-11-28 2014-11-28
US62/085,375 2014-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940A true KR20160064940A (ko) 2016-06-08

Family

ID=561938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478A KR20160064940A (ko) 2014-11-28 2015-05-28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50145197A KR20160064962A (ko) 2014-11-28 2015-10-19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50165930A KR20160065001A (ko) 2014-11-28 2015-11-25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197A KR20160064962A (ko) 2014-11-28 2015-10-19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50165930A KR20160065001A (ko) 2014-11-28 2015-11-25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160064940A (ko)
CN (1) CN1056405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70B1 (ko) 2020-04-23 2022-03-15 주식회사 뷰웍스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KR102482268B1 (ko) * 2020-11-09 2022-12-28 주식회사 레이언스 배터리 수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2577B1 (en) * 2000-08-18 2003-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ermetically sealed stator cord for x-ray tube applications
JP5010107B2 (ja) * 2005-03-17 2012-08-2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への端子カバー取り付け構造及び携帯電話機
JP5538694B2 (ja) * 2008-08-28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3536623U (zh) * 2013-11-12 2014-04-0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保护盖及连接器组件
CN204316577U (zh) * 2015-01-06 2015-05-06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用于手机卡托的卡盖、手机卡座和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001A (ko) 2016-06-08
KR20160064962A (ko) 2016-06-08
CN105640576A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8238B2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83244B1 (ko)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592017B2 (en) Radiographic imag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767919B2 (en)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system and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method
US8447011B2 (en)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system and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method
US8867702B2 (en)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system and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method
KR20170011340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엑스선 촬영장치
US20120193545A1 (en) Detector systems with anode incidence face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A2979380A1 (en) Multi-sensor pixel architecture for use in a digital imaging system
WO2013015016A1 (ja) 放射線撮影装置
US9429664B2 (en) X-ray detector and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60064940A (ko) 엑스선 촬영장치
US10379437B2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60064939A (ko) 엑스선 촬영장치
JP5490026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WO2013015062A1 (ja) 放射線撮影装置
JP5616237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2145544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5608533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5666276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180006268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WO2013015044A1 (ja) 放射線撮影装置
JP2015034823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1250901A (ja) 放射線撮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