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970B1 -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970B1
KR102373970B1 KR1020200049376A KR20200049376A KR102373970B1 KR 102373970 B1 KR102373970 B1 KR 102373970B1 KR 1020200049376 A KR1020200049376 A KR 1020200049376A KR 20200049376 A KR20200049376 A KR 20200049376A KR 102373970 B1 KR102373970 B1 KR 10237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in
cover
sealing
waterproof structur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051A (ko
Inventor
김인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to KR102020004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9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3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61B2560/021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of externally powered implanted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4Hygienic packaging for medical sensors; Maintaining apparatus for sensor hygiene
    • A61B2562/247Hygienic covers, i.e. for covering the sensor or apparatus during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는, 디텍터의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디텍터의 하우징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개폐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락핀 및 상기 락핀이 통과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락핀은, 상기 커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제 1 락핀과, 상기 제 1 락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락핀과 함께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락핀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고정시키는 제 2 락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Waterproof structure of X-ray detector battery cover}
본 발명은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엑스레이(X-ray)를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대상체에 엑스레이를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검출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엑스레이를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레이 소스(x-ray source)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레이 디텍터(x-ray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다양한 부위를 영상화할 수 있도록 엑스레이 소스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엑스레이 디텍터는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테이블 모드, 촬영스탠드에 장착되는 스탠드 모드 또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포터블(portable) 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엑스레이 디텍터는 이물질에 취약할 수 있으며, 엑스레이 디텍터의 내부에 침투한 이물질은 엑스레이 디텍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부품들의 오작동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엑스레이 디텍터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65001호
종래 제시된 엑스레이 디텍터에 사용되는 방수 구조는 배터리 커버의 조립을 위해 다수의 볼트를 체결하는데, 배터리 교체시 커버에 체결된 다수의 볼트를 분해해야 하며, 사용자가 쉽게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배터리 커버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는, 디텍터의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디텍터의 하우징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개폐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락핀 및 상기 락핀이 통과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락핀은, 상기 커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제 1 락핀과, 상기 제 1 락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락핀과 함께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락핀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고정시키는 제 2 락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 1 락핀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1 락핀 및 상기 제 2 락핀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락핀의 상부는 상기 삽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락핀은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락핀의 상부가 안착되는 홈부 및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가 상기 커버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락핀은 상기 홈부에 안착되며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커버 외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락킹홈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락킹홈에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홈부의 제 1 방향 측면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된 상기 홈부의 제 2 방향 측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제 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 제 1 제한홈부와, 상기 홈부의 제 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 제 2 제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1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2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1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제 2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헤드부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체결부의 측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실링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보조 실링부재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구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된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락핀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을 통과하는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을 통과하는 제 2 측부 및 상기 제 1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부는 상기 제 2 측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락핀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턱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실링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실링부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 1 실링부 및 상기 제 1 실링부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삽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실링부 수용부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 2 실링부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실링부 수용부 및 상기 제 1 실링부 및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 2 실링부 수용부의 중앙에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실링부의 상부가 수용되는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락핀은 상기 체결부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락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폐쇄하는 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이중 방수 구조를 통해 배터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 방수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실링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실링부재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1의 A-A' 단면)
도 10은 커버 개방(open) 상태에서 락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커버 락(lock) 상태에서 락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1)의 커버(1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1)는 엑스레이 디텍터(X-ray detector) 일 수 있으며,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디텍터(1)는 촬영 스탠드(미도시)나 촬영 테이블(미도시)에 고정된 고정형 엑스레이 디텍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디텍터(portable x-ray detector)일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신틸레이터 패널 및 회로 기판(미도시) 등의 구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디텍터(1)의 골격 및 외관을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힌지 결합 등의 수단으로 하우징(100)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1)는 커버(10) 상의 다섯 지점(five point)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커버(10)에는 삽입부(11)를 통해 락핀(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락핀(20)은 프레임(200)의 삽입구(202d)에 삽입되어 커버(10)를 프레임(20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락핀(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락핀(30)과 제 2 락핀(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락핀(30)과 제 2 락핀(40)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10)에 삽입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전술한 제 1 락핀(30)은 커버(10)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프레임(200)의 제 2 영역(202)에 삽입되고, 커버(10)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 2 락핀(40)은, 제 1 락핀(30)에 결합되며, 제 1 락핀(30)과 함께 제 2 영역(202)에 삽입되고, 제 1 락핀(30)과 함께 회전되어 커버(10)를 프레임(200)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락핀(30)은 전술한 삽입부(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 락핀(30)과 제 2 락핀(40)은 제 2 영역(202)의 삽입구(202d)를 통해 프레임(2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전술한 하우징(100)의 일부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은 디텍터(1)의 배터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골격 및 외관을 구성한다. 배터리(300)는 신틸레이터 패널 및 회로 기판 등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여 주는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1)의 배터리(300)가 수용되는 제 1 영역(201, 배터리 수용부)과, 제 1 영역(20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202, 실링부재 삽입부)을 포함한다. 이 때, 제 1 영역(201)은 복수의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201)과 제 2 영역(202)은, 전술한 커버(10)에 삽입 고정된 락핀(20)이 프레임(200)의 제 2 영역(2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영역(202)은, 제 2 영역(20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와, 커버(10)의 가장자리 및 후술될 메인 실링부재(4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사이드부(202b)와,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 및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구(202d)를 포함한다.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는 사이드부(202b)를 따라서 제 2 영역(202)의 둘레방향으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에는 후술되는 메인 실링부재(400) 중 제 1 실링부(401)가 수용될 수 있다.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커버(10)와 하우징(100)의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도 3에서 커버(10)와 하우징(100)의 결합된 부분과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모서리 부분을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전측,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전측과 대향되는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모서리 부분을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후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의 일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후측 모서리 중앙부분 및 후측 모서리의 꼭지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의 나머지는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후측 모서리와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측부 모서리 부분에 각각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는 커버(10)가 프레임(200)에 결합될 때, 락핀(20)이 제 2 영역(202)의 삽입구(202d)에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는 락핀(20)이 제 2 영역(202)에 결합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에는 후술되는 메인 실링부재(400) 중 제 2 실링부(402)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는 제 2 영역(202)의 다섯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삽입구(202d)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에 결합된 제 1 락핀(30)과 제 2 락핀(40)이 삽입되도록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의 대략 중앙에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202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부분(2021)과, 제 1 방향과 수직된 제 2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부분(2021)과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 2 부분(20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부분(2021)은 제 2 부분(202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부분(2021)은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고, 제 1 부분(20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202)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200)의 하부에 구비된 케이스(5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부분(2021)은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와 연결되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설명과 같이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에 삽입된 제 2 실링부(402)를 제 1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구(202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형태로서, 제 1 부분(2021)은 삽입구(202d)의 제 1 방향으로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부분(2022)은 서로 마주보도록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고, 제 1 부분(20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2022)은 제 2 영역(202)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200)의 하부에 형성된 케이스(5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에 삽입된 제 2 실링부(402)를 제 2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2022)은 삽입구(202d)의 제 2 방향으로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202d)는 제 1 부분(202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단턱부(20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202d)는 락핀(20)의 결합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영역(202)의 다섯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실링부재(4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실링부재(400)가 프레임(2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C-C' 단면도이다.
메인 실링부재(4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200)의 제 2 영역(20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에 삽입되는 제 1 실링부(401)와, 제 1 실링부(40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2 실링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실링부재(400)는 고무나 실리콘 등 신축성 및 방수성이 좋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10)와 제 2 영역(202)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10)와 제 2 영역(202)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제 2 실링부(40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링부(401)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도 6에서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전측에 삽입되는 제 1 실링부(401)의 모서리 부분을 제 1 실링부(401)의 전측,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의 후측에 삽입되는 제 1 실링부(401)의 모서리 부분을 제 1 실링부(401)의 후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실링부(402)의 일부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링부(401)의 후측 모서리 중앙부분 및 후측 모서리의 꼭지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링부(402)의 나머지는 제 1 실링부(401)의 후측 모서리와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실링부(401)의 측부 모서리 부분에 각각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링부(402)는 전술한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와 마찬가지로 커버(10)가 프레임(200)에 결합될 때에 락핀(20)이 제 2 영역(202)의 삽입구(202d)에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링부(402)는 락핀(20)이 제 2 영역(202)에 결합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링부(402)는 전술한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링부(402)는 제 1 실링부(401)의 다섯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제 2 실링부(402)에는 제 1 락핀(30) 및 제 2 락핀(40)이 통과될 수 있으며, 제 2 실링부(402)의 대략 중앙부는 제 2 락핀(4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제 2 락핀(40)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링부(402)의 대략 중앙부는 삽입구(202d)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도 1의 A-A' 단면), 도 10은 커버 개방(open) 상태에서 락핀(2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커버 락(lock) 상태에서 락핀(2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8은 커버(10)와 락핀(2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커버(10)가 프레임(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결합 지점 중 하나의 지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8의 상측 확대도는 도 8의 D-D' 단면도이고, 도 8의 하측 확대도는 커버(10)에 락핀(2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제 2 락핀(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커버 개방(open)상태에서의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9(b)는 커버 락(lock) 상태에서의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도 10(a)는 커버 개방 상태에서의 제 1 락핀(3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커버 개방 상태에서의 제 2 락핀(4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 도 11(a)는 커버 락 상태에서의 제 1 락핀(3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커버 락 상태에서의 제 2 락핀(4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0(b) 및 도 11(b)에서 케이스(500)의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삽입부(11)는 전술한 제 1 락핀(30)의 상부가 안착되는 홈부(111) 및 제 1 락핀(30)의 하부가 삽입될 때 상기 제 1 락핀(30)을 지지하는 볼록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는 제 1 실링부(401)의 상부가 수용되는 함입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112)는 홈부(111)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부(11)의 하부 내측면으로서, 홈부(111)의 홀을 통해 삽입된 제 1 락핀(30)의 하부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락핀(30)은 전술한 홈부(111)에 안착되는 헤드부(31) 및 헤드부(31)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 2 영역(202)의 삽입구(202d)에 삽입되는 체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32)는 전술한 홈부(111)의 홀을 통해 커버(1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체결부(32)의 측면은 제 1 락핀(30)이 커버(10)의 삽입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록부(112)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 1 락핀(30)의 상부는 헤드부(31)일 수 있고, 제 1 락핀(30)의 하부는 체결부(32)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락핀(30)의 상부(헤드부(31))는 삽입부(11)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고, 제 1 락핀(30)의 하부(체결부(32))는 삽입구(202d)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락핀(40)은 제 1 락핀(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1)는,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커버(10)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31)는 홈부(111)에 안착된 상태로 커버(10)에 대해 90°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헤드부(31)는, 헤드부(31)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락킹홈(311) 및 헤드부(31)의 일측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312)를 포함한다.
헤드부(31)는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홈(311)에 별도의 체결수단(드라이버나 렌치 등, 미도시)를 삽입하여 커버(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락핀(30)이 삽입부(11)에 삽입 고정(안착)된 상태에서, 헤드부(31) 상의 락킹홈(311)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헤드부(31)를 도 9(a)의 상태로부터 도 9(b)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커버(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락킹홈(311)에 삽입되는 체결수단의 한번의 회전 동작만으로 헤드부(31)의 회전(바람직하게는 90°회전 가능)이 이루어질 수 있어 기존의 볼트 체결 방식에 비해 보다 간편하게 커버(10)를 프레임(200)에 결합하거나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홈부(111)에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의 제 1 방향(Y축 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제한홈부(111a)와, 제 1 방향과 수직된 홈부(111)의 제 2 방향(X축 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제한홈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버 락(lock) 상태에서,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홈(311)에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헤드부(31)가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헤드부(31)의 걸림부(312)는 전술한 제 1 제한홈부(111a)와 맞닿게 되어 제 1 제한홈부(111a)에 고정되며, 제 1 락핀(31)의 체결부(32)는 삽입구(202d)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0)는, 커버 락 상태에서 커버 개방(open)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커버 개방 상태에서, 도 9(b)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홈(311)에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헤드부(31)가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헤드부(31)의 걸림부(312)는 전술한 제 2 제한홈부(111b)와 맞닿게 되어 제 2 제한홈부(111b)에 고정되며, 제 1 락핀(31)의 체결부(32)는 삽입구(202d)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0)는, 커버 개방 상태에서 커버 락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31)는 커버(10) 외부와 삽입부(11) 사이를 밀폐하도록 홈부(111) 하부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홈부(11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2)는 헤드부(31) 하부에 위치되고 체결부(32)의 측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오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실링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실링부재는 오 링(O-ri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수성이 좋은 실리콘, 고무 등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는 제 1 오목부(321)와, 제 1 오목부(321)와 이격되어 제 1 오목부(32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오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실링부재는 제 1 오목부(321)에 삽입되는 제 1 보조 실링부재(34)와 제 2 오목부(322)에 삽입되는 제 2 보조 실링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조 실링부재(3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제 1 오목부(32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볼록부(112)와 밀착될 수 있으며, 제 1 보조 실링부재(34)의 상측은 헤드부(31)의 하부와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보조 실링부재(34)의 일측은 제 1 보조 실링부재(34)의 내주측면이고, 제 1 보조 실링부재(34)의 타측은 제 1 보조 실링부재(34)의 외주측면일 수 있다.
전술한 배치 구조에 의해, 제 1 보조 실링부재(34)는 볼록부(112) 상부와 제 1 오목부(321)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보조 실링부재(35)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제 2 오목부(322)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제 2 실링부(402)와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보조 실링부재(35)의 일측은 제 2 보조 실링부재(35)의 내주측면이고, 제 2 보조 실링부재(35)의 타측은 제 2 보조 실링부재(35)의 외주측면일 수 있다.
전술한 배치 구조에 의해, 제 2 보조 실링부재(35)는 제 2 오목부(322)와 볼록부(112) 하부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실링부재는 볼록부(112)와 오목부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홈부(11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헤드부(31)와 볼록부(112) 사이의 틈을 통과한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락핀(4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2)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홀(33)에 삽입되는 체결부재(50)를 통해 제 1 락핀(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체결홀(33)의 내주면과 체결부재(50)의 외주면에는 상호 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락핀(40)은 커버(10)의 하측에서 체결부재(50)를 통해 체결홀(3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버(10)와 제 1 락핀(30) 및 제 2 락핀(40) 간의 일체적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락핀(30)이 삽입되는 삽입구(202d)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구(202d)는 제 2 락핀(40) 또한 삽입구(202d)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락핀(40)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 2 영역(202)의 삽입구(202d)는 제 1 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2021)과, 제 1 방향과 수직된 제 2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부분(2021)과 연결되는 제 2 부분(20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부분(2021)은 제 2 부분(202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202d)는 제 1 부분(20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20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턱부(2023)는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락핀(40)은,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제 1 부분(2021)을 통과하는 제 1 측부(41)와, 제 2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제 2 부분(2022)을 통과하는 제 2 측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측부(41)는 제 2 측부(4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2021)은 제 1 측부(41)가 삽입구(202d)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 1 측부(4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 부분(2022) 또한 제 2 측부(42)가 삽입구(202d)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 2 측부(42)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락핀(40)은 제 1 측부(41) 및 제 2 측부(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커버(10)에 결합된 제 1 락핀(30)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에 삽입될 때 제 1 락핀(30)의 체결부(32)가 메인 실링부재(400) 및 삽입구(202d)를 통과하며, 제 1 락핀(30)에 결합된 제 2 락핀(40) 또한 메인 실링부재(400) 및 삽입구(202d)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도 9(a)에서 제 2 락핀(40)의 제 1 측부(41)는 제 1 방향을 향하는데, 이 상태에서 제 2 락핀(40)의 돌출부(43)는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삽입구(202d)의 단턱부(2023)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 2 락핀(40)은 메인 실링부재(400) 및 삽입구(202d)를 통과하여 프레임(2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a),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에 대해 락핀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커버 개방 상태)에서는, 제 2 락핀(40)의 돌출부(43)와 삽입구(202d)의 단턱부(2023)는 맞닿지 않는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1)의 걸림부(312)는 홈부(111)의 제 1 제한홈부(111a)와 맞닿게 되어 제 1 제한홈부(111a)에 고정되므로, 걸림부(312)는 도 10(a)에 도시된 상태 이상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락핀(30)에 결합된 제 2 락핀(40)의 회전도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을 통해 제 2 락핀(40)의 제 1 측부(41) 및 제 2 측부(4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버(10)를 프레임(200)으로부터 다시 분리할 수 있다.
반면, 도 9(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1)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락킹홈(311)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제 1 락핀(30)의 헤드부(31)를 대략 90°정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락핀(30)의 헤드부(31) 및 제 1 락핀(30)에 결합된 제 2 락핀(40)의 제 1 측부(41)를 전술한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락핀(30)과 제 2 락핀(40)이 회전된 상태에서 돌출부(43)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202d)의 단턱부(2023)와 맞닿게 되며, 이에 따라 커버(10)는 프레임(2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1)의 걸림부(312)는 홈부(111)의 제 2 제한홈부(111b)와 맞닿게 되어 제 2 제한홈부(111b)에 고정되므로, 걸림부(312)는 도 11(a)에 도시된 상태 이상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락핀(30)에 결합된 제 2 락핀(40)의 회전도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을 통해 제 2 락핀(40)의 제 1 측부(41) 및 제 2 측부(4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락핀(20)의 프레임(200)에 대한 복수의 결합 포인트에서 커버(10)와 프레임(20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 하부에는 프레임(200)의 하부를 폐쇄하는 케이스(500)가 결합되어 배터리(300) 하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10)와 제 2 영역(202) 사이에는 커버(10)와 제 2 영역(202)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전술한 메인 실링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메인 실링부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영역(20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실링부 수용부(202a)에 삽입되는 제 1 실링부(401) 및 제 2 영역(202)의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에 수용되는 제 2 실링부(402)를 포함한다.
전술한 커버(10)의 삽입부(11)는 제 1 실링부(401)의 상부가 수용되는 함입부(113)를 더 포함하며, 제 1 실링부(401)의 상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부(113)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함입부(113)의 하측면과 제 1 실링부(401)의 상부는 밀착될 수 있고, 제 1 실링부(401)는 함입부(113)와 제 2 영역(202) 가장자리(사이드부(202b))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링부(402)는 제 2 실링부 수용부(202c)에 배치되어 삽입부(11)와 제 2 영역(202)의 삽입구(202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실링부(402)는 볼록부(112)의 하부와 밀착될 수 있고, 삽입부(11)(볼록부(112))와 삽입구(202d)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실링부재(400)의 가장자리(상세하게는 제 1 실링부(401)의 가장자리)는 제 2 영역(202)의 사이드부(20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제 1 실링부(401)는 사이드부(202b)에 밀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볼 때, 메인 실링부재(400)는 볼록부(112) 및 삽입구(202d)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커버(10)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함입부(113)와 제 2 영역(202) 사이의 틈을 밀폐하여 커버(10)의 가장자리와 사이드부(202b) 사이의 틈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10)와 프레임(200) 사이의 방수 구조를 치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200)에 대해 커버(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영역(201)에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를 이중적으로 차단하여 제 1 영역(201)에 수용된 배터리(3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디텍터
100 : 하우징
200 : 프레임
300 : 배터리
400 : 메인 실링부재
500 : 케이스
10 : 커버
20 : 락핀
30 : 제 1 락핀
40 : 제 2 락핀

Claims (17)

  1. 디텍터의 배터리가 수용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디텍터의 하우징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개폐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락핀; 및
    상기 락핀이 통과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락핀은,
    상기 커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제 1 락핀과,
    상기 제 1 락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락핀과 함께 상기 제 2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락핀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고정시키는 제 2 락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 1 락핀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락핀의 상부가 안착되는 홈부 및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가 상기 커버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1 락핀 및 상기 제 2 락핀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락핀의 상부는 상기 삽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락핀은 상기 제 1 락핀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락핀은,
    상기 홈부에 안착되며 일측부가 타측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커버 외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홈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락킹홈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락킹홈에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홈부의 제 1 방향 측면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된 상기 홈부의 제 2 방향 측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의 제 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 제 1 제한홈부와,
    상기 홈부의 제 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 제 2 제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1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2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1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제 2 제한홈부에 맞닿는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헤드부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체결부의 측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실링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보조 실링부재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된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락핀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을 통과하는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을 통과하는 제 2 측부 및
    상기 제 1 측부 및 상기 제 2 측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부는 상기 제 2 측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락핀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턱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실링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실링부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 1 실링부 및
    상기 제 1 실링부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삽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실링부 수용부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 2 실링부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실링부 수용부 및
    상기 제 1 실링부 및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 2 실링부 수용부의 중앙에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 1 실링부의 상부가 수용되는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락핀은 상기 체결부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락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폐쇄하는 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KR1020200049376A 2020-04-23 2020-04-23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KR10237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376A KR102373970B1 (ko) 2020-04-23 2020-04-23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376A KR102373970B1 (ko) 2020-04-23 2020-04-23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51A KR20210131051A (ko) 2021-11-02
KR102373970B1 true KR102373970B1 (ko) 2022-03-15

Family

ID=7847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376A KR102373970B1 (ko) 2020-04-23 2020-04-23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510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레이언스 엑스레이 디텍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92Y1 (ko) * 2002-10-28 2003-02-14 조희남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JP2014173895A (ja) 2013-03-06 2014-09-22 Canon Inc 放射線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2400B2 (ja) * 2013-10-17 2018-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KR20160064940A (ko)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92Y1 (ko) * 2002-10-28 2003-02-14 조희남 노출형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장치
JP2014173895A (ja) 2013-03-06 2014-09-22 Canon Inc 放射線撮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510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레이언스 엑스레이 디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51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464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JP3025805B2 (ja) 計測器または表示器を収納するための防水保護装置
KR102373970B1 (ko) 엑스레이 디텍터 배터리 커버의 방수 구조
US20070148537A1 (en) Electronic apparatus
JP6166017B2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
JP6790143B2 (ja) 部品保護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KR890007310A (ko) 방사성 물질 수용 캐스크용 외장
JP6992449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20160067997A (ko) 방사선 촬영 장치
KR20090125693A (ko) 휴대전화단말
JP4216819B2 (ja) 回転つまみの防水構造
JP2012013149A (ja) パッキン構造
JP2009302313A (ja) 電子機器
JPH07168646A (ja) コンピュータ
JP2004056164A (ja) 電池のための防水構造
KR200446927Y1 (ko) 방독면의 마이크단자용 밀폐커버
JP2003164029A (ja) 防滴プレート
JP2004193496A (ja) 電子機器の防滴構造
JP5490586B2 (ja) 電子機器ユニット
TWI320981B (en) Table tap
JP4503943B2 (ja) 防水機能を有する機器
JP5261360B2 (ja) 電池収容部蓋
KR200225343Y1 (ko) 영상표시기기의 케비넷 어셈블리 구조
JP2008268676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23149247A1 (ja) 監視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