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043A -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치료용 약제 - Google Patents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치료용 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043A
KR20060127043A KR1020067014097A KR20067014097A KR20060127043A KR 20060127043 A KR20060127043 A KR 20060127043A KR 1020067014097 A KR1020067014097 A KR 1020067014097A KR 20067014097 A KR20067014097 A KR 20067014097A KR 20060127043 A KR20060127043 A KR 20060127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ologically active
active derivative
medicament
composition
thi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에이. 랜더스
이옥 호우 팡
Original Assignee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25Carbamic acids; Thiocarbamic acids; Anhydride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or more sulfur atoms in the same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Nrf2 단백질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는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 신경병증망막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Nrf2/ARE 경로에 작용하는 구조적으로 다양한 약제는 독성 대사산물 및 생체이물에 대한 방어를 가지며 화학적으로 다양한 세포보호 특징을 가지는 효소와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한다. 약제는 마이클 추가 수용체(Michael Addition acceptor), 디페놀, 티오카바마이트, 퀴논, 1,2-디티올-3-티온,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플라보노이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 에톡시킨, 쿠마린, 그의 조합물, 또는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 또는 그의 유사체와 같은 구전자기 및 산화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치료용 약제{AGENTS FOR TREATMENT OF GLAUCOMATOUS RETINOPATHY AND OPTIC NEUROPATHY}
본 발명은 녹내장과 관련된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에 대한 예방제 및 치료 분야에 관한 것이다.
녹내장은 시각신경 손상 및 망막 신경절 세포(RGC)의 선택적 세포 자살 죽음을 포함하는 임상적 특징의 유사한 세트를 가지는 질병 중 이종 그룹으로 시야 및 시각의 진행적 상실을 야기한다. 안구 내의 압력(IOP)의 비정상적인 증가는 녹내장의 대부분 유형과 관련되어 있다. 단지 가능한 치료는 약제 또는 수술 중 하나로 IOP를 낮추는 것이다. 낮은 IOP는 어떤 형태의 녹내장의 진행을 늦추고 이들의 손상 효과를 늦추는데 효과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내장 환자의 시야 손실이 항상 IOP와 상관 있지 않으며, 낮은 IOP만으로 질병 진행 과정을 완전하게 멈출 수는 없다. 이는 압력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 신경병증의 유일한 원인이 될 수 없다는 것과 관련된다. 여기에는 추가 메커니즘이 질병 진행 과정에 기여할 것이다. 녹내장성 망막병증은 통상적으로 망막 내의 기능성 장애 또는 병리학적 변화, 특히 PGC의 죽음로 이해되며 이는 녹내장에 걸린 환자 또는 동물에서 발견된다. 녹내장성 시각 신경병증은 RGC의 액손을 통과하는 시각 신경 내의 기능성 장애 또는 병리학적 변화를 의미한다.
성인의 망막을 통한 단면조사 결과 근위 또는 가장 안쪽 부위(유리체 쪽)에서부터 말초 또는 가장 바깥쪽 지역(맥락막 쪽)에 이르는 방향으로 나열된 하기 세포층이 나타낸다:
내경계막,
시각 섬유층,
신경절 세포층,
내얼기층,
내핵층,
외얼기층,
외핵층,
외경계막,
간상체 및 추상체의 내절,
간상체 및 추상체의 외절,
망막 색소 상피, 및
맥락막모세혈관층.
망막 색소 상피 및 맥락막모세혈관층은 맥락막 가까이에 있는 망막 뒤에서 발견되며, 내경계막은 유리체 쪽에 가까이 있다. 신경절 세포층은 광수용의 신호를 수집하고 신호를 시각 신경에서 뇌를 통과하는 유수 엑손을 통해 보낸다. 신경절 세포들은 녹내장에 걸릴 위험에 있는 세포이다.
RGC의 죽음에 기여하는 것으로 제시된 분자 메커니즘은 글루타메이트 독성, 신경향성 요소의 위축, 혈관 이상(허혈), 반응 신경아교증, 및 독성 유도된 산화질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렇게 제안된 메커니즘은 이 분야의 연구원에 의해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WO 03/051313으로 출원된 Gao, X. 등의 PCT 특허 출원 제 PCT/US02/40457은 인간 망막 색소 상피 세포 내의 설포라페인에 의한 2차 해독 효소의 유도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Zhang, Y.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2002/0091087는 척수 조직, 알츠하이머병, 및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글루타티온 또는 2차 해독 효소를 증가시키는 화합물, 설포라페인을 통한 신경변성질환의 치료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신경절 세포는 뉴런이고 망막 색소 상피 세포는 뉴런이 아니라는 점에서 망막 색소 신경절 세포 및 신경절 세포는 다르다. 또한, 특정 치료상 약제에 대한 망막과 같은 안구 조직의 생물학적 반응을 척수 조직 또는 뇌 조직에의 생물학적 반응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다. 인용된 출원은 녹내장 내의 망막 신경절 세포(RGC) 및 시각신경병증의 손실용 치료 또는 보호를 해결하지 못했다.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을 다루는 항-녹내장 치료 방법은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건강상 녹내장의 영향, 및 이전 치료 방법의 부적합성의 관점에서,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을 해결하는 개선된 치료 방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는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실 및 신각 신경에 대한 녹내장성 상해를 지연하거나 예방하는 보호상 또는 치료상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Nrf2 단백질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은 핵으로의 Nrf2의 운반 또는 가능성을 증진시키는 약제를 의미한다. 핵으로의 Nrf2 단백질의 전위는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발현의 이후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Nrf2 단백질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약제 및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용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대상은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 신경병증으로 발전할 위험에 있거나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증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는 마이클 추가 수용체(Michael Addition acceptor), 디페놀, 티오카바마이트, 퀴논, 1,2-디티올-3-티온,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플라보노이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 에톡시킨, 3-하이드록시쿠마린, 그의 조합물, 또는 그의 약리작용 활성 유도체 또는 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약제는 설포라페인과 같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약제는 올티프라즈와 같은 1,2-디티올-3-티온,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한다.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의 투여는 안구내 주입, 서방성 전달 기구의 이식, 또는 국소, 경구 또는 비강 내 투여, 전신 주입, 또는 다른 전신 투여가 될 수 있다.
본 발병 방법의 다른 구체예에서, 대상은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 신경병증으로 진단받았고, 다른 구체예에서 대상은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증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 치료 방법으로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 치료"의 용어는 이들의 발달을 지연 또는 예방, 이들의 진행 억제, 또는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신경병증 또는 이들의 증상의 경감을 의미한다.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은 시각 신경의 보호 및 망막 신경절 세포의 보호를 제공한다.
Nrf2의 핵 전위는 어떤 구전자기 및 산화제에 노출된 세포 내에서 유도된다. Nrf2의 핵 전위로 인해 유도된 유전자는 구전자기에 대한 보호를 향상시키고, 손상된 단백질의 복구 또는 분해를 증진시키는 해독 효소를 만든다. 이런 해독 효소의 유도는 전사 수준에서 조절되며, 특정 증강자, 항산화제 반응 요소 또는 유전자 인코딩된 효소의 프로모터에서 발견되는 ARE에 의해 매개된다. ARE의 전후 서열, 화학적 유도인자 성질, 및 세포 형태는 특정 유전자 내의 증강자의 활성에 영향을 준다.
전사 인자 Nrf2는 전사 인자 페밀리의 맴버이고 항산화제 반응 요소(ARE)-매개된 유전자 발현의 상향조절에 이용된다. Nrf2는 산화 스트레스 신호에 대한 반응 내에서 또는 구조적으로 유전자 전사를 활성화하는 프로모터의 ARE(항산화제 반응 요소)지역에 결합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유도한다. Nrf2는 정상 상태 하에서 액틴 세포 골격에 고정된 세포질 단백질인 억제 단백질 Keap1에 의해 결합되어 세포질에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이론에 얽매이게 되는 것을 원하지 않더라도, 발명가는 Nrf2 단백질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약제가 Nrf2과 상호작용하는 세포질 인자 Keap1의 시스테인이 풍부한 조절 지역과 경쟁할 수 있다는 것을 믿었다(DinkovaKostova, A.T.,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11908-11913(2002)). 설포라페인과 같은 어떤 화합물에 의한 Nrf2-Keap1 복합체의 분열은 핵으로 전위하기 위해 Nrf2가 유리될 것이며, 이는 핵에서 ARE-조절된 유전자 발현의 유도를 일으키는 유전자의 ARE 지역에서 다른 전사 인자(즉, Maf, c-Jun 등)와 이질이합체할 수 있다.
이런 Nrf2/ARE 경로에 의해 발현된 효소 및 단백질은 화학적으로 다양한 세호 보호 특징을 가지고있으며, 독성 대사물질 및 생체 이물에 대한 방어이다. Nrf2/ARE 경로를 통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 및 단백질은 글루타티온-S-전이효소, UDP-글루쿠로노실전이효소(glucuronosyltransferase), NADP(H) 퀴논 산화환원효소, γ-글루타밀시스테인 합성효소, 샤프론/스트레스 반응 단백질, 및 유비퀴틴/프로테아좀 단백질을 포함한다.
Nrf2 단백질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갖는 약제는 하기의 예를 포함한다:
디에닐 말레이트 또는 디메틸푸마레이트와 같은 마이클 추가 수용체(Michael Addition acceptor)(예를 들어, α,β-불포화된 카보닐 화합물);
레스베라트롤과 같은 디페놀,
2(3)-ter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과 같은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
피롤리딘디티오카바마이트와 같은 티오카바마이트,
tert-부틸-하이드로퀴논과 같은 퀴논,
설포라페인과 같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 그의 전구물질 글루코시놀레이트, 글로코라파닌, 또는 페네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PEITC),
올티프라즈와 같은 1,2-디티올-3-티온,
에톡시킨,
3-하이드록시쿠마린과 같은 쿠마린,
케르세틴 또는 커큐민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디아릴 설피드,
인돌-3-카르비놀,
에피겔로-3-카테킨 겔레이트,
엘라직 산,
그의 조합,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 또는 그의 유사체.
마이클 추가 수용체(Michael Addition acceptor)는 전자 끄는기(electron withdrawing group)에 인접한 알켄을 갖는 분자이다. 전자 끄는기는 통상적으로 또한 카르보닐이지만, 니트릴 또는 니트로 그룹이 될 수 있다. 비록 화학적으로 다양하지만, 이러한 화합물은 구전자기이고 친핵성 설프하이드릴기와 반응하는 능력을 가진다.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는 Nrf2 단백질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상기 화합물 및 그로부터 유도가능한 어떤 것 및 예를 들어, 에테르, 아미드, 또는 그의 염이 될 수 있는 것과 구조적으로 관련된 약제이다. "약리학상 그의 활성 유사체"는 Nrf2 단백질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상기 화합물의 어느 것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약제이나, 예를 들어, 다른 원소의 원자에 의한 원자 하나의 치환 또는 특정 기능기의 존재 하에서와 같은 조성물 내에서는 약간 차이가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에 대한 치료 방법 내에서 설포라페인, 올티프라즈, 약리학상 그의 활성 유사체, 또는 약제학적 그의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설포라페인(Product 번호. S6317, Sigma-Aldrich)는 예를 들어, 퀴논 환원효소, 글루타티온-S-전이효소 및 글루타티온 환원효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효소 유도는 인간 성인 망막 색소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주(cell line)에서 관찰된다(Zhang, Y. 등., Proc Natl Acad Sci, USA, 89:2399-2403(1992)). 설포라페인 유사체는 예를 들어, 6-(이소티오시아나토-2-헥사논), 엑소-2-아세틸-6-이소티오시아나토노보네인, 엑소-2-(이소티오시아나토-6-메틸설포닐노보네인), 6-이소티오시아나토-2-헥사놀, 1-(이소티오시아나토-4-디메틸포스포닐부탄, 엑소-2-(1-하이드록시에틸)-5-)이소티오시아나토노보네인, 엑소-2-아세틸-5-이소티오시아나토노보네인, 1-(이소티오시아나토-5-메틸설포닐펜탄), 시스-3-(메틸설포닐)(사이클로헥실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 트랜스-3-(메틸설포닐)(사이클로헥실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투여 방법: 본 발명의 약제는 이 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 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안구에 (예를 들어: 국소 안구 점적제 또는 연고; 맹장 내 또는, 공막 또는 안구 내에 인접하게 이식된 서방성 장치(slow release device); 안구 주위, 결막, 서브-테논(sub-Tenons), 전방 내, 유리체 내 또는 소관 내의 주사) 또는 전신으로(예를 들어: 구강, 정맥내, 피하 또는 근육 내 주사; 비경구적, 피부 또는 비강 전달)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가 안구 내 투입 또는 이식 장치로 제제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상: 여기에 기재된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신경병증 치료를 받는 대상은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신경병증으로 발전할 위험에 있거나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신경병증의 증상을 갖는 인간 또는 다른 동물이 될 수 있다.
제제 및 복용량: 본 발명의 약제는 적절한 안구 담체 내에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분산)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된 가능한 제제의 예이다.
양(중량%)
Nrf2 단백질 핵 전위 촉진 약제 0.01 내지 5; 0.01 내지 2.0; 0.5 내지 2.0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0.5
소듐 클로라이드 .8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01
EDTA 0.01
NaOH/HCl qs pH 7.4
정제수 qs 100%
양(중량%)
Nrf2 단백질 핵 전위 촉진 약제 0.00005 내지 0.5; 0.0003 내지 0.3; 0.0005 내지 0.03;0.001
인산 완충 식염수 1.0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01
폴리솔베이트80 0.5
정제수 qs 100%
양(중량%)
Nrf2 단백질 핵 전위 촉진 약제 0.001
단염기 소듐 포스페이트 0.05
이염기 소듐 포스페이트 (무수) 0.15
소듐 클로라이드 0.75
디소듐 EDTA 0.05
크레모포 EL 0.1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01
NaOH 및/또는 HCl pH 7.3 내지 7.4
정제수 qs 100%
양(중량%)
Nrf2 단백질 핵 전위 촉진 약제 0.0005
인산 완충 식염수 1.0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4.0
정제수 qs 100%
다른 구체 예에서, 안구 조성물은 안구 내 농도가 약 0.1 내지 100 나노몰(nM) 또는, 다른 구체예에서는 1 내지 10nM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다. 20 마이크로몰 이하의 혈청 농도 최고점은 전신 투여용으로 수득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숙련된 임상의의 일반적인 재량에 따라 하루에 한번 내지 4번 눈의 표면에 투여된다. 제제의 pH는 4 내지 9 또는 4.5 내지 7.4가 되어야 한다. 전신성 제제는 예를 들어,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 및 Nrf2 단백질의 핵 전위를 촉진하는 약제의 약 10 내지 1000mg, 약 10 내지 500mg, 약 10 내지 100mg 또는 125mg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량"은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의 양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유전자 발현의 유도는 다른 독성 대사 산물뿐 아니라 반응 구전자기의 독성에 대한 방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는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보호는 녹내장성 시각신경병 또는 녹내장성 망막병증으로 발전할 위험에 있는 대상의 증상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지연할 수 있다. 제제의 유효량은 예를 들어, 대상의 나이, 인종 및 성, 또는 시각 신경병증의 심각성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약제는 눈에 국소적으로 투여되고 치료상 복용량이 망막 신경절세포에 도달되어 망막병증 또는 시각 신경병 진행을 개선한다.
정밀 요법(precise regimen)은 임상의의 재량에 의존하지만, 형성된 용액 또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눈에 각각 하루에 한번 내지 네번 각각의 용액을 한 방울씩 또는 임상의사의 지시에 따라 투여된다.
허용가능한 담체 : 안구에 허용가능한 담체는 안구에 대한 자극이 없도록 최대한 적게 자극을 야기하며,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보존을 제공하고 균일 용량(homogenous dosage) 내의 본 발명의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자극하는 약제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담체를 의미한다. 안구 전달을 위해,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는 안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존제, 공-용매(co-solvent), 계면활성제, 점성 증강자, 투과 증강자, 완충제, 소듐 클로라이드, 또는 물과 결합할 수 있어 수성, 무균 안구 현탁액, 용액, 점성 또는 반-점성 겔 또는 고체 또는 연고와 같은 반고체 조성물의 다른 유형을 형성한다. 안구 용액 제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등장성 수성 완충액에 약제를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안구 용액은 약제 용해를 도와주는 안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 점성 형성 화합물은 화합물의 유지(retention)를 증진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무균 연고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Nrf2 단백질의 핵 전위 및 독성 대사 산물을 해독하고 제거하는 유전자 산물의 이후의 증가를 촉진하는 약제는 광유, 액상 라놀린(liquid lanolin), 또는 흰색 페트롤라툼과 같은 적합한 매개체에서 보존제와 결합된다. 무균 안구 겔 제제는 다른 안구 제제에 대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CARBOPOL®-940(BF Goodrich, Chalotte, NC)의 조합하여 제조한 친수성 염기 내에서 약제에 현탁시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ISCOAT®(Alcon Laboratories, Inc., Fort Worth, TX)는 안구내 주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조성물은 안구내에 본 발명의 약제가 적게 투과될 때, CREMOPHOR®(시그마 알드리치, St. Louis, MO) 및 TWEEN® 80(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시그마 알드리치)과 같은 투과 증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의 간략한 설명]
도는 배양한 성숙한 쥐의 망막 신경절 세포 내의 글루타메이트-유도된 독성에 대한 설포라페인의 효과를 보여준다. 세포를 지정된 화합물로 3일 동안 처리하였다. 생존률은 Thy-1-포지티브 건강한 세포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별표는 Dunnett 테스트 후, 그룹 사이 분산의 한가지 방법 ANOVA 분석에 의해 측정된 대조군 값과 상당히 다름을 보여준다.
실시예 1 : Nrf2 단백질의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약제
보빈(bovine) 대동맥 상피 세포(BAEC, VEC Technologies, Rensselaer, NY)와 같은 혈관 상피 세포를 Nrf2 단백질의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약제를 결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보빈 대동맥 상피 세포의 융합성 단층을 24시간 이하 동안 1%의 태아 보빈 혈청과 함께 Dulbecco 제조된 Eagle 배지에서 후보 약제(candidate agent)에 노출시켰다. 세포 용해질, 세포질 추출물, 및 핵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 이뮤노블롯(immunoblotting)을 수행하였고, Buckley의 B.J., 등에 의해 기재된 것처럼 정량화하였다(Biochem Biophys Res Commum, 307:973-979(2003)).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핵 부분에서 발견된 Nrf2의 양을 증가시키는 약제를 실시예 2에 기재된 것처럼 망막 신경절 세포의 독성 에세이 내의 활성도를 그 후에 테스트하였다.
실시예 2 : Nrf2 단백질의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약제에 의한 쥐 망막 신경절세포의 보호
배양된 쥐 신경 망막 세포를 1내지 24시간 동안 Nrf2 단백질의 핵 전위를 촉진시키는 약제와 혼합한 후에, 혼합한 것을 페록사이드에 노출시켰다. 신경 망막 세포의 생존률은 페록사이드 없이 배양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약제가 산화제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
신생아 쥐 신경 망막 세포를 분리하여 Pang, I-H. 등에 기재된 것처럼 배양하였다(Invest Ophthalmol Vis Sci 40:1170-1176(1999)). "신경 망막"은 망막 색소 상피가 없는 망막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양은 망막 세포 형태의 혼합된 집단을 포함한다. 간략하게, 2 내지 5일 된 신생아 Sprague-Dawley 쥐를 마취시키고 2mm 중앙선 열림(midline opening)을 꼬리에서 가로정맥굴의 두피 내에 만들었다. 망막 신경절 세포를 형광색소, Di-I(1,1'-디옥타데실-3,3,3',3'-테트라메틸인도카르보시아닌 퍼클로레이트), 균일한 라벨 뉴런인 친지질성 추적자(Molecular Probe, Eugene, OR)로 선택적 역방향 라벨링하였다. 주사 바늘의 끝(30ga)을 머리뼈 위의 아래쪽에 6mm 주입하였고, 5㎕ Di-I 용액을 둔덕 상부에 주사하였다. Di-I 용액에 90% 에탄올 및 10% 디메틸설폭사이드 내의 3mg/mL Di-I을 넣었다. 상처를 유연한 콜로디온을 적가하여 덮었다.
Di-I 주사한지 2 내지 4일에, 쥐를 마취시키고 단두로 희생시켰다. 쥐의 눈을 적출하고 Dulbecco에서 제조한 Eagle의 배지: 영양 혼합물 F12(1:1; DMEM/F12, Gibco, Gaithersburg, MD)에 넣었다. 각각의 눈에서 망막을 박리시키고 분리시켰다. 망막세포를 37℃에서 25분 동안 DMEM/F12 5ml 내의 10mg 파파인(34 units/ml), 2mg DL-시스테인(3.3mM) 및 2mg 보빈 혈청 알부민(0.4 mg/mL) 용액으로 해리시킨 후에 5mL RGC 배지(10% 태아 보빈 혈청, 4mM 글루타민,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로 3번 씻었다. 망막 조각을 세포가 분산될 때까지 일회용 피펫에 여러번 통과시켜 조각으로 만들었다. 세포 현탁액(약 3X106 cells/mL)을 폴리-D-리신으로 코팅된 유리 바닥 배양 접시에 두었다. 이 세포를 37℃의 95% 대기/5% CO2에서 배양하였다.
Nrf2 단백질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가지는 약제의 보호 효과를 배양을 1 내지 24시간 동안 후보 약제와 처리하여 결정한 후에 H2O2 300μM을 첨가하였다. 배양한 RGCs를 Di-I 형광으로 확인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망막 신경절 세포의 생존률을 향상시키는 약제는 세포독성 손상으로부터의 RGC 보호를 제공하며 녹내장성 시각 신경병증 치료용으로도 유용하다.
실시예 3 : 설포라페인에 의한 글루타메이트-유도된 독성으로부터의 망막 신 경절 세포의 보호
성숙한 Sprague-Dawley 쥐를 CO2 질식으로 안락사시켰다. 이들의 눈을 적출하고 NEUROBASALTM 배지에 두었다(Gibco, Gaithersburg, MD). 각각의 눈 망막을 박리시키고 분리시켰다. 망막 세포를 37℃에서 25분 동안 5ml의 NEUROBASALTM 배지의 내의 10mg 파파인, 2mg DL-시스테인 및 2mg 보빈 혈청 알부민을 포함한 파파인 용액 5mL과 20개의 망막을 결합한 것으로 해리시킨 후에 실시예 2에 기재된 것 및 1% 어린 송아지 혈청이 첨가된 5mL RGC 배지(NEUROBASALTM 배지)로 3번 씻었다. 망막 조각을 세포가 분산될 때까지 불로 연마한 일회용 피펫에 여러번 통과시켜 조각으로 만들었다. 세포 현탁액을 폴리-D-리신- 및 라미닌-코팅된 8-웰(well) 방으로 이뤄진 배양 슬라이드에 두었다. 글루타메이트 및 설포라페인을 갖는 글루타메이트를 할당된 웰에 첨가하였다. 이후에 세포를 3일 동안 37℃의 95% 대기/5% CO2에서 배양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의 마지막에, 세포를 고정시키고 Thy-1, RGC 표지, 면역세포화학으로 라벨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각각의 웰 내의 Thy-1-포지티브 건강한 세포수를 손으로 세어서 정량화하였다. 결과 데이타는 도에 나타내었으며, 이 데이타는 3일 동안 글루타메이트(100μM)를 RGC에 처리시에 생존 세포를 40 내지 60% 감소시킨 것을 보여준다. 설포라페인(0.5μM)으로 처리된 세포는 이와 같은 독성을 예방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설포라페인이 망막 신경절세포의 손상을 보호한다는 것 을 보여준다.
여기에 기재된 참조 문헌은(실시예 또는 여기서 기재된 내용의 세부사항을 보충하는 정도까지) 명확하게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의 측면에서, 여기에 기재된 구체예의 변화를 알아낸 당 업계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정신(spirit)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모든 구체예는 본 개시의 측면에서 과도한 실험 없이 실시되고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총 범위는 기재 및 그의 구체예와 동일하게 시작한다. 이 명세서는 자격이 부여된 본 발명에 대한 보호의 총 범위를 지나치게 좁게 구성하지 않는다.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된 용어는 "하나",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Claims (44)

  1. Nrf2 단백질의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갖는 약제 및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신경병증을 치료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대상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대상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증상을 갖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약제가 마이클 추가 수용체(Michael Addition acceptor), 디페놀, 티오카바마이트, 퀴논, 1,2-디티올-3-티온,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플라보노이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 에톡시킨, 쿠마린, 그의 조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 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약제가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설포라페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약제가 1,2-디티올-3-티온,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1,2-디티올-3-티온이 올티프라즈,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약제가 플라보노이드,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가 케르세틴,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투여가 안구내 주입, 서방성 전달 기구의 이식, 또는 국소, 경구 또는 비강 내 투여에 의한 것인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투여가 안구내 투여에 의한 것인 방법.
  13. 대상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신경병증이 있는지 진단하고, Nrf2 단백질의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갖는 약제 및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을 치료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약제가 마이클 추가 수용체, 디페놀, 티오카바마이트, 퀴논, 1,2-디티올-3-티온,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플라보노이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 에톡시킨, 쿠마린, 그의 조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 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약제가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설포라페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약제가 1,2-디티올-3-티온,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1,2-디티올-3-티온이 올티프라즈,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투여가 안구내 주입, 서방성 전달 기구의 이식, 또는 국소, 경구 또는 비강 내 투여에 의한 것인 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투여가 안구내 투여에 의한 것인 방법.
  21. 대상의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신경병증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시, Nrf2 단백질의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갖는 약제 및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조성물의 용도.
  22. 제 21항에 있어서, 대상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인 용도.
  23. 제 21항에 있어서, 대상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증상을 갖는 용도.
  24. 제 21항에 있어서, 약제가 마이클 추가 수용체, 디페놀, 티오카바마이트, 퀴논, 1,2-디티올-3-티온,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플라보노이드, 이소티오시아 네이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 에톡시킨, 쿠마린, 그의 조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 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용도.
  25. 제 24항에 있어서, 약제가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도.
  26. 제 25항에 있어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설포라페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도.
  27. 제 24항에 있어서, 약제가 1,2-디티올-3-티온,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도.
  28. 제 27항에 있어서, 1,2-디티올-3-티온이 올티프라즈,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도.
  29. 제 24항에 있어서, 약제가 플라보노이드,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도.
  30. 제 29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가 케르세틴,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도.
  31. 제 21항에 있어서, 약제가 안구내 주입용, 서방성 전달 기구의 이식용, 또는 국소, 경구 또는 비강 내 투여용으로 제조된 용도.
  32. 제 21항에 있어서, 약제가 안구내 투여용으로 제조된 용도.
  33. Nrf2 단백질의 핵 전위에 대한 촉진 활성을 갖는 약제의 유효량, 및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대상의 녹내장성 망막병증 또는 시각 신경병증 치료용 조성물.
  34. 제 33항에 있어서, 대상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 신경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인 조성물.
  35. 제 33항에 있어서, 대상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 신경병증의 증상을 가지는 조성물.
  36. 제 33항에 있어서, 약제가 마이클 추가 수용체, 디페놀, 티오카바마이트, 퀴논, 1,2-디티올-3-티온,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플라보노이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톨루엔, 에톡시킨, 쿠마린, 그의 조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 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7. 제 36항에 있어서, 약제가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8. 제 37항에 있어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설포라페인,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39. 제 36항에 있어서, 약제가 1,2-디티올-3-티온,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40. 제 39항에 있어서, 1,2-디티올-3-티온이 올티프라즈,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41. 제 36항에 있어서, 약제가 플라보노이드,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42. 제 41항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가 케르세틴, 또는 그의 약리학상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43. 제 33항에 있어서, 안구내 주입용, 서방성 전달 기구의 이식용, 또는 국소, 경구 또는 비강 내 투여용으로 제조된 조성물.
  44. 제 33항에 있어서, 안구내 투여용으로 제조된 조성물.
KR1020067014097A 2003-12-22 2004-12-17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치료용 약제 KR20060127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177003P 2003-12-22 2003-12-22
US60/531,770 2003-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043A true KR20060127043A (ko) 2006-12-11

Family

ID=3473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097A KR20060127043A (ko) 2003-12-22 2004-12-17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치료용 약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20050137146A1 (ko)
EP (2) EP1696958B1 (ko)
JP (2) JP4755599B2 (ko)
KR (1) KR20060127043A (ko)
CN (1) CN1897972A (ko)
AT (2) ATE357932T1 (ko)
AU (1) AU2004308919B2 (ko)
BR (1) BRPI0417987A (ko)
CA (1) CA2547852A1 (ko)
CY (2) CY1106623T1 (ko)
DE (1) DE602004005617T2 (ko)
DK (2) DK1803468T3 (ko)
ES (2) ES2371364T3 (ko)
HK (2) HK1097179A1 (ko)
MX (1) MXPA06006980A (ko)
PL (2) PL1696958T3 (ko)
PT (2) PT1696958E (ko)
SI (2) SI1696958T1 (ko)
WO (1) WO2005063295A1 (ko)
ZA (1) ZA200604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1198B2 (en) * 2001-01-09 2005-04-19 J. David Brown Glaucoma treatment device and method
ATE357932T1 (de) * 2003-12-22 2007-04-15 Alcon Inc Mittel zur behandlung von glaukomatöser retinopathie und optischer neuropathie
US20050222127A1 (en) * 2004-03-30 2005-10-06 Alcon, Inc. Use of Rho kinas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hearing loss, tinnitus and improving body balance
WO2006030907A1 (ja) * 2004-09-16 2006-03-23 Redox Bioscience Inc. 網膜保護剤
CA2621993A1 (en) * 2005-09-16 2007-03-29 Bg Implant, Inc.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WO2008016095A1 (fr) * 2006-08-02 2008-02-0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REMÈDE PRÉVENTIF OU CURATIF POUR LES KÉRATOCONJONCTIVITES CONTENANT UN ACTIVATEUR DE Nrf2 EN TANT QUE MATIÈRE ACTIVE
CA2666461A1 (en) * 2006-10-10 2008-09-12 Burnham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Neuroprote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08111497A1 (ja) * 2007-03-08 2008-09-18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トリテルペノイ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酸化ストレスが関連する眼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LT2276493T (lt) 2008-04-18 2019-01-10 Reata Pharmaceuticals, Inc. Antioksidaciniai uždegimo moduliatoriai: oleanolio rūgšties dariniai su amino ir kitomis modifikacijomis c-17
BRPI0911105B1 (pt) 2008-04-18 2022-11-08 Reata Pharmaceuticals, Inc Compostos contendo um farmacóforo anti-inflamatório, composição farmacêutica, bem como seus usos
DK2271658T3 (en) 2008-04-18 2017-02-06 Reata Pharmaceuticals Inc ANTIOXIDANT INFLAMMATION MODULATORS: C-17 HOMOLOGED OLEANOLIC ACID DERIVATIVES
MY163031A (en) 2010-04-12 2017-07-31 Reata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obesity using antioxidant inflammation modulators
RU2472475C2 (ru) * 2010-04-20 2013-01-20 Учреждение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орус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О БГМУ) Способ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лечения глаукомной оптической нейропатии
WO2012009171A2 (en) * 2010-07-15 2012-01-19 The Schepens Eye Research Institut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corneal endothelium disorders
RU2447864C1 (ru) * 2010-09-15 2012-04-20 Инна Витальевна Щербинина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зрительного нерва и сетчатки
AU2012272924A1 (en) * 2011-06-21 2014-01-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mpounds for treating peripheral neuropathies and othe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RU2546019C2 (ru) * 2013-03-02 2015-04-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Н.Н. Бурденко"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лаукомной оптической нейропатии
US10098836B2 (en) 2013-05-02 2018-10-16 Retina Foundation Of The Southwest Method for forming a molded two-layer ocular implant
AU2015374033B2 (en) 2014-12-31 2020-07-02 Microoptx Inc.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AU2016331925B2 (en) 2015-09-30 2021-04-22 Microoptx Inc. Dry eye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EP3509642A1 (en) 2016-09-12 2019-07-17 ST IP Holding AG Formulations of 4-methyl-5-(pyrazin-2-yl)-3h-1, 2-dithiole-3-thion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A3036630A1 (en) 2016-09-12 2018-03-15 St Ip Holding Ag Formulations of 4-methyl-5-(pyrazin-2-yl)-3h-1,2-dithiole-3-thione, taste-modified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MX2019005401A (es) 2016-11-08 2019-08-05 Reata Pharmaceuticals Inc Metodos para tratar el sindrome de alport con bardoxolona metilo o analogos de la misma.
RU2647324C1 (ru) * 2017-04-24 2018-03-15 Игорь Евгеньевич Хаценко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казаний для лечения амблиопии с помощью нейропептидного препарата
KR20230015891A (ko) * 2020-03-30 2023-01-31 우한 뉴로프스 바이오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컴퍼니 인간 핵 인자 e2-관련 인자 2의 발현 벡터 및 발현 벡터의 적용
US11135220B1 (en) 2020-04-08 2021-10-05 St Ip Holding Ag Methods of treating viral infections with formulated compositions comprising 4-methyl-5-(pyrazin-2-yl)-3H-1,2-dithiole-3-thion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757A (en) * 1981-03-20 1984-06-26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Isoquinolinesulfonyl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4678783B1 (en) * 1983-11-04 1995-04-04 Asahi Chemical Ind Substituted isoquinolinesulfonyl compounds
US4959389A (en) * 1987-10-19 1990-09-25 Speiser Peter P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psoriatic arthritis
US5124154A (en) * 1990-06-12 1992-06-23 Insite Vision Incorporated Aminosteroids for ophthalmic use
US5571523A (en) * 1995-03-09 1996-11-05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ntioxidant-induced apoptosis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AU689036B2 (en) * 1995-05-10 1998-03-19 Kureha Chemical Industry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ubstance inhibiting HSP47 production
JP3193301B2 (ja) * 1995-09-14 2001-07-30 麒麟麦酒株式会社 生理活性タンパク質p160
US5906819A (en) * 1995-11-20 1999-05-25 Kirin Beer Kabushiki Kaisha Rho target protein Rho-kinase
US5681854A (en) * 1995-11-22 1997-10-28 Alcon Laboratories, Inc. Use of aliphatic carboxylic acid derivatives in ophthalmic disorders
JP3719609B2 (ja) * 1995-12-21 2005-11-24 アルコン 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緑内障および眼虚血の治療のための特定のイソキノリンスルホニル化合物の使用
CN1210521A (zh) * 1996-02-02 1999-03-10 日本新药株式会社 异喹啉衍生物及医药
US6586425B2 (en) * 1996-02-21 2003-07-0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ytoskeletal active agents for glaucoma therapy
JP3872834B2 (ja) * 1996-03-04 2007-01-24 第一製薬株式会社 メイラード反応抑制剤
ATE359822T1 (de) * 1996-08-12 2007-05-15 Mitsubishi Pharma Corp Medikamente enthaltend rho-kinase inhibitoren
US5759787A (en) * 1996-08-26 1998-06-02 Tularik Inc. Kinase assay
DE69822806T2 (de) * 1997-01-16 2005-03-1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Gainesville Zusammensetzungen zur verstärkung zytoprotektiver wirkung von polycyclischer phenolverbindungen durch synergistiche wechselwirkung von antioxidationsmitteln
US6573044B1 (en) * 1997-08-07 2003-06-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using chemical libraries to search for new kinase inhibitors
US6441033B1 (en) * 1997-12-22 2002-08-27 Alcon Manufacturing, Ltd. 11β-fluoro 15β-hydroxy PGF2α analogs as FP receptor antagonists
US6274338B1 (en) * 1998-02-24 2001-08-14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Human c-Maf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1999043315A1 (fr) * 1998-02-25 1999-09-02 Shionogi & Co., Ltd. Agent therapeutique utilisable en cas de complication de diabetes
US20010041174A1 (en) * 1998-11-24 2001-11-15 Najam Sharif Use of implanted encapsulated cells expressing glutamate transporter protein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6020383A (en) * 1999-01-11 2000-02-01 Eastman Chemicals Company Method for reducing blood cholesterol and/or blood triglycerides
US6103756A (en) * 1999-08-11 2000-08-15 Vitacost Inc. Ocular orally ingeste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dividuals
US6573299B1 (en) * 1999-09-20 2003-06-03 Advanced Medical Instruments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the aging eye
AU2001271824A1 (en) * 2000-07-05 2002-01-14 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glutathione and phase ii detoxification enzymes
GB0030727D0 (en) * 2000-12-15 2001-01-31 Lumitech Uk Ltd Methods and kits for detecting kinase activity
US6756063B2 (en) * 2001-03-29 2004-06-29 Zoltan Laboratories,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uman and animal cancers
CA2357265C (en) * 2001-04-24 2004-04-13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mproved additive for livestock feeds
US6884816B2 (en) * 2001-08-31 2005-04-26 Alcon, Inc. Hydroxy substituted fused naphthyl-azoles and fused indeno-azol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TWI335221B (en) * 2001-09-27 2011-01-01 Alcon Inc Inhibtors of glycogen synthase kinase-3 (gsk-3) for treating glaucoma
US7199122B2 (en) * 2001-10-02 2007-04-03 Fox Chase Cancer Center Methods for inhibiting angiogenesis
DE60234052D1 (de) * 2001-12-18 2009-11-26 Brassica Foundation For Chemop Vorbeugung und behandlung von oxidativer-stress-erkrankungen mit verbindungen die den intrazellulären spiegel von glutathion oder phase-ii-entgiftungsenzymen erhöhen
EP1476143A1 (en) * 2002-02-15 2004-11-17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comprising lycopen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ngiogenesis associated pathologies
US20030219846A1 (en) * 2002-02-28 2003-11-27 Pfizer Inc. Assay for activity of the ActRIIB kinase
CN1723017A (zh) * 2002-08-05 2006-01-18 伟克沃公司 与形成新血管有关的疾病的治疗方法及合成物
US6747025B1 (en) * 2002-11-27 2004-06-08 Allergan, Inc. Kin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TW200526224A (en) * 2003-12-22 2005-08-16 Alcon Inc Short form c-Maf transcription factor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glaucoma
ATE357932T1 (de) * 2003-12-22 2007-04-15 Alcon Inc Mittel zur behandlung von glaukomatöser retinopathie und optischer neuropathie
WO2005063249A1 (en) * 2003-12-22 2005-07-14 Alcon, Inc. Agents for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and drusen formation in macular de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5617D1 (de) 2007-05-10
CY1106623T1 (el) 2012-01-25
PL1803468T3 (pl) 2012-05-31
SI1803468T1 (sl) 2011-12-30
AU2004308919B2 (en) 2009-11-12
EP1803468B1 (en) 2011-09-07
PT1696958E (pt) 2007-06-04
DK1803468T3 (da) 2011-12-05
US20110144127A1 (en) 2011-06-16
DE602004005617T2 (de) 2007-12-13
CA2547852A1 (en) 2005-07-14
EP1696958A1 (en) 2006-09-06
US20050137146A1 (en) 2005-06-23
DK1696958T3 (da) 2007-07-09
PT1803468E (pt) 2011-11-23
HK1097179A1 (en) 2007-06-22
ZA200604862B (en) 2007-10-31
CN1897972A (zh) 2007-01-17
HK1110772A1 (en) 2008-07-25
BRPI0417987A (pt) 2007-04-27
PL1696958T3 (pl) 2007-08-31
JP4755599B2 (ja) 2011-08-24
SI1696958T1 (sl) 2007-08-31
ES2282926T3 (es) 2007-10-16
ES2371364T3 (es) 2011-12-30
EP1696958B1 (en) 2007-03-28
MXPA06006980A (es) 2006-12-14
ATE523208T1 (de) 2011-09-15
AU2004308919A1 (en) 2005-07-14
JP2011046736A (ja) 2011-03-10
CY1112393T1 (el) 2015-12-09
JP2007515423A (ja) 2007-06-14
EP1803468A1 (en) 2007-07-04
WO2005063295A1 (en) 2005-07-14
ATE357932T1 (de) 2007-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7043A (ko)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각신경병증의 치료용 약제
US7625927B2 (en) Method of treating glaucoma
EP1938799B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osterior segment ophthalmic disorders and use thereof
JP2006298876A (ja) サーチュインの活性化剤を含む各種眼疾患治療用組成物
AU2004308911A1 (en) Agents for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and drusen formation in macular degeneration
EP0410749B1 (en) Anthocyanidins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diseases
US20040192699A1 (en) Optic nerve protecting agents containing alpha1 receptor blocker as active ingredient
JPWO2018030389A1 (ja) Nad関連代謝産物の利用
Koide et al. Ascorbic acid concentration in rabbit vitreous measured by microdialysis with HPLC-electrochemical detection before and after vitreous surgery
US11433096B2 (en) Ophthalmic formulation and methods of use
EP3508211B1 (en) Composition for eye health
JP2011153156A (ja) サーチュインの活性化剤を含む各種眼疾患治療用組成物
US20060172977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ducing and reversing ocular ischemic neuronal damage
JP4393863B2 (ja) 視神経細胞保護剤
KR20070015913A (ko) 당뇨병성 망막병증 및 황반 변성에서의 드루젠 형성의치료용 약제
CN117982516A (zh) Skq1在抑制线粒体自噬和制备抑制线粒体自噬相关产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