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425A -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425A
KR20060126425A KR1020067003553A KR20067003553A KR20060126425A KR 20060126425 A KR20060126425 A KR 20060126425A KR 1020067003553 A KR1020067003553 A KR 1020067003553A KR 20067003553 A KR20067003553 A KR 20067003553A KR 20060126425 A KR20060126425 A KR 2006012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late
energy transfer
stop
transfer cha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868B1 (ko
Inventor
에르빈 에클
하이너 자멘
헤르베르트 벨러
Original Assignee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2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링크 플레이트는 에너지 전달체인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제안되었고, 에너지 전달 체인의 각도 위치를 한정하는 정지부가 있는 중첩부를 갖는다. 중첩부의 각각은 수 개의 정지면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구역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부를 갖는다. 링크 플레이트로부터 만들어진 에너지 전달 체인의 경우에, 제 1 구역은 정지면을 갖고, 이런 정지면은 에너지 전달 체인의 아래 트렁크와 위 트렁크 사이의 변이 구역에서 곡률 구역을 결정한다. 제 2 구역은 에너지 전달 체인에서 압축 응력을 결정하는 정지면을 갖는다. 두 구역에 부가하여, 링크 플레이트는 제 3 구역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탄성을 갖는 정지부를 갖는다. 스프링-탄성을 통해 링크 플레이트의 회전 작용 중 움직임의 감쇠가 이뤄진다.

Description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LINK PLATE FOR AN ENERGY TRANSMISSION CHAIN, AND CORRESPONDING ENERGY TRANSMISSION CHAIN}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라인, 케이블 또는 일단부는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이동성이 있는 유사 물품의 능동 전달(active guidance)를 위한 와이어 전달체(wire guide units)는 많은 실시예로 알려져 있다.
에너지 전달 체인 또는 간단하게 에너지 체인이라고도 불리는 고전적인 와이어 전달체는, 서로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공동 전달 채널(common guide channel)을 형성하는 개별 체인 링크로 구성된다. 라인, 케이블 또는 기타 유사 제품이 상기 전달 채널에 배치된다.
국제 공개 공보 제 98/40645호에 개시된 와이어 전달체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하나의 부품으로 된 보호성 구성부로 구성된다. 보호성 구성부는 사출성형 또는 캐스팅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이동성 브리지에 의해 서로 결합된 부분을 갖는다. 보호성 구성부는 상부, 하부를 갖는 바닥부 및 적어도 하나의 측부 를 갖고, 연결 장치의 기계적 연결에 의해 바닥부의 상부 방향으로의 굽힘 및/또는 접힘에 의해 연결 채널 섹션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성 구성부는 다른 유사한 보호성 구성부와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채널 섹션은 종방향으로 라인을 위한 도관을 형성한다.
에너지 전달 체인, 특히 케이블 또는 튜브와 같이 고정된 연결부로부터 이동성 유저로의 에너지 전달체의 전달를 위한 에너지 전달 체인은, 유럽 공개 공보 제 0 499 809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에너지 전달 체인은, 서로 일정한 거리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링크 플레이트 및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두 개의 타이바(tie bar)로 구성된 다수의 체인 링크로 이루어진다.
이웃하는 체인 링크의 상호 피봇 각도는 정지면을 갖는 캠(cam) 및 인서트(inserts)에 의해 제한된다. 링크 플레이트의 캠은 링크 플레이트의 리세스(recess)에 배치되고 링크 플레이트의 종방향으로 배향된다. 링크 플레이트의 일단부 상의 캠은 대응하는 리세스에 배치된 동일 링크 플레이트의 타단부 상의 캠과 비교하여 90도만큼 변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다른 캠은 링크 플레이트의 종축에 놓이면서, 캠 간의 연결 라인은 체인 링크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이 된다. 이웃하는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리세스에 있는 인서트는 대체로 원통형이다. 인서트는 두 개의 정반대의 슬릿과 두 개의 리세스를 갖는다. 리세스는 이웃하는 체인 링크의 피봇 각도를 결정하는 원호(circular arc)로 펼쳐져 있고, 슬릿의 폭은 캠에 대응한다. 리세스는 항상 인서트에 대해 정반대로 배치된 정지면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정지면은 슬릿에 대해서 수학적으로 회전의 양방향으로 90도의 각도로 배치된다. 정지면 간의 각도는 미리 결정된다.
인서트는 이웃하는 체인 링크 간의 최대 수평 피봇 각도를 결정한다. 또한, 이 각도는 에너지 전달 체인의 위 트렁크와 아래 트렁크 사이의 변이 구역(transition region)의 굴곡의 반지름을 결정한다.
두 개의 연결 공간 사이의 튜브, 케이블 및 기타 유사 제품의 전달를 위한 에너지 전달 체인의 다른 예는 독일 공개 공보 제 197 15 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에너지 전달 체인은 타이바를 통해 서로 연결된 링크 플레이트를 갖는 체인 링크로부터 형성된다. 이런 링크 플레이트는, 거울축과 같은 체인을 따라 종방향으로 있는 중축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정지부를 갖고, 체인의 종방향에 대하여 이런 플레이트 중 하나의 배향에 의존하면서, 정지부에 의해 결정되는 경계 각도의 각도 위치는 서로 다르다. 이런 방법으로 에너지 전달 체인의 두 개의 서로 다른 굴곡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성능을 가진,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링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의 다른 개량형태 및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는, 중첩부(overlap regions)가 항상 수 개의 정지면이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구역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부를 갖는다는 사실로 특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의 설계의 결과로, 링크 플레이트의 종래 구성으로부터 벗어나, 정지면의 기능 분리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링크 플레이트의 구성 비용 및 제조는 더욱 단순화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는, 링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에너지 전달 체인 내에서, 두 개의 구역이 에너지 전달 체인의 각도 위치가 피봇운동 방향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계된다는 사실로 특징된다. 이런 방법의 도움으로, 무엇보다도 에너지 전달 체인은 정해진 곡률 반경의 구역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한편, 압축 응력은 제 2 구역에 의해 에너지 전달 체인으로 가해진다. 에너지 전달 체인에 압축 응력이 가해짐에 의해, 에너지 전달 체인의 수명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게다가, 압축 응력을 받는 에너지 전달 체인은 높은 라인 무게를 견딜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정지면을 갖는 제 1 구역이 제공되도록 제안되고, 거기서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에너지 전달 체인의 이런 정지면은 에너지 전달 체인의 위 트렁크와 아래 트렁크 사이의 변이 구역 내에서 굴곡 구역을 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전달 체인 내의, 역시 정지면을 갖는, 제 2 구역을 통해 에너지 전달 체인의 압축 응력이 결정된다.
상기 두 구역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갖고 정지부는 스프링-탄성을 갖는, 제 3 구역도 가질 수 있다. 스프링-탄성의 결과로 링크 플레이트의 피봇운동 동안, 감쇠 운동(damping of the motion)이 일어난다.
정지부는, 본질적으로 V모양의 단면(V-shaped cross-section)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정지면이 형성된 구역은, 대체로 서로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역의 개수 및 정지면의 형태와 모양은 크게 변화할 수 있다. 이는 링크 플레이트의 사용에 의해 영향받는다. 동일한 링크 플레이트로부터 에너지 전달 체인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동일한 링크 플레이트 대신, 정지면이 다른 링크 플레이트와 같이 서로 다른 링크 플레이트의 사용에 의해, 다른 특징을 갖는 에너지 전달 체인이 구성될 수 있다.
링크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특히 섬유질로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섬유는 섬유질 보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첨가물에 의해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재생가능한 무가공 재료, 이런 재생가능한 무가공 재료를 연결하는 재료 및 첨가물 및/또는 보조제를 함유하는 조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특히 파우더 형태의 금속으로 부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지면이 링크 플레이트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정지면을 구비할 링크 플레이트를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중첩부에 배치된 정지면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에너지 전달 체인의 매우 다른 각도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에너지 전달 체인의 작동 중 링크 플레이트 상의 로드를 고려하면, 정지면의 설계는 특히 중요하다. 상대적으로 큰 정지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어도 수 개의 정지면이 대체로 볼록 형태 또는 오목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지면 중 하나는 오목 형태, 그리고 나머지 정지면은 볼록 형태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맞물리는 면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에너지 전달 체인의 작동 중, 정지면이 서로 맞닿는 결과로 소음이 발생되고, 이는 불쾌하게 들릴 수 있다. 이런 소음 방출을 줄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을 갖는 적어도 수개의 정지부는 스프링-탄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결과로 감쇠 작용이 이뤄지고, 에너지 전달 체인의 작동 중 소음 방출이 현격하게 줄어들 수 있다. 소음 방출의 감소 정도는 정지면의 특징에 의존한다. 스프링-탄성은 구성 수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정지면의 스프링-탄성의 결과로, 링크 플레이트 작동의 갑작스런 브레이킹도 줄어든다. 이는 정지부의 횡단면을 본질적으로 V모양으로 만드는 구성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소음 방출을 더 줄이기 위해, 그리고 에너지 전달 체인의 두 개의 인접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피봇운동 작용의 브레이킹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정지면은 제 1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고, 정지면은 제 1 재료와 비교하여 경도(hardness)가 덜한 제 2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갖는다. 예를 들면, 2성분 주입법(two-component injection process)에 따라, 이런 정지면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대체수단으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연탄성 플라스틱(soft-elastic plastic)으로 구성된 구성부를 가진 구역을 제공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구성부는, 노브(knob)의 형태로 형상결합 및/또는 강제결합 잠금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창의적 사고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 및 이들을 연결하는 구성부들로 구성된 조인트로 서로 연결된 체인 링크를 갖는 링크 플레이트가 제시된다.
상세한 설명과 이점은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함께 설명될 것이고,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음은 도면에 관한 간단한 설명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링크 플레이트를 후면에서 본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를 종단면으로 본 것이고,
도 4는 링크 플레이트에서 중첩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확대된 정지부이고,
도 6은 개략적인 두 개의 정지부의 배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개략적인 정지부의 변형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정지부의 단면에서 변형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크 플레이트 2, 3 : 중첩부
4 : 제 1 링크 5 : 제 2 링크
6,20 : 제 1 구역 7,21 : 제 2 구역
8,22 : 제 3 구역 9,12,15,16,23,25,27,28 : 정지부
10,11,13,14,17,18,24,26,29,30 : 정지면
31 : 바닥벽 32 : 구성부
33 : 립 34 : 갭
35 : 구멍
도 1과 도 2는 발명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1)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링크 플레이트(1)는 긴 몸체로 설계된다. 링크 플레이트의 각각의 단부에는 중첩부(2, 3)가 있다. 중첩부(2, 3)는 제 1 체인 링크의 중첩부(2)가 제 2 링크 플레이트의 중첩부(3)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두 개의 인접하는 링크 플레이트는 공통 축 주위로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첩부(2)는 제 1 링크(4)를 가진다. 이 제 1 링크(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 모양(tubular)으로 설계된다. 중첩부(3)에 제공된 제 2 링크(5)는 제 1 링크(4)와 상호 작용한다. 또한, 제 2 링크(5)도 본질적으로 관 모양으로 설계된다. 제 2 링크(5)의 내부 지름은 대략 제 1 링크(4)의 바깥 지름보다 크고, 제 1 링크(4)는 제 2 링크(5) 안으로 들어가며 링크의 종방향 축 주위로 피봇 운동할 수 있다.
부착물로서, 링크(4,5)는 특히 스프링-그루브 원리(spring-groove principle)에 따른 결합장치(locking devices)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서 나타난 것처럼, 링크는 본질적으로 관 모양으로 설계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제 1 링크는 링크 페크(link peg)의 형태로, 그리고 제 2 링크는 링크 리셉터클(link receptacle)의 형태로 설계될 가능성이 있다. 링크 상에 만들어진 결합장치는 두 개의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서 분리가능한 조인트로 작용한다. 그러나 조인트는 플레이트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힘이 필요하도록 설계된다. 링크 상에 만들어진 결합장치의 도움으로 플레이트 간의 연결이 에너지 전달 체인의 작동 중에도 유지된다. 링크 간의 결합 연결은 또한 에너지 전달 체인의 조립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중첩부(3)에서 파선은 중첩부(3)를 제 1 구역(6)과 제 2 구역(7)으로 나눈다. 이러한 나눔은 가상의 이론상 나눔이다. 중첩부는 제 2 링크(5)에 의해 제 3 구역(8)으로 나눠진다. 나눠진 부분은 본질적으로 동심원의 형태로 서로 배열된다. 이들은 중첩부(3)의 중앙부를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구역(6)은 5개의 정지부(9)를 가진다.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정지부는 서로 등거리에 있다. 각각의 정지부는 두 개의 정지면(stop faces)(10, 11)을 가지고 있다. 정지면(10, 11)은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오목한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제 2 구역(7)은 정지부(12)를 갖고 있다. 제 2 구역(7) 내의 각각의 정지부(12)는 두 개의 정지면(13, 14)을 가진다. 정지부(12)의 정지면(13, 14)은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오목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정지부(15, 16)는 제 3 구역(8) 내에 위치한다. 정지부(16)는 정지부(15)가 배열된 가상의 원 상에 놓여있다. 정지부(15)는 오목한 정지면(17)을 갖고 있다. 정지부(16)는 또한 오목한 정지면(18)을 갖고 있다.
정지면을 갖고 있는 정지부(9, 12, 15, 16)는 중첩부(2)에서 서로 대응하는 정지부과 상호 작용한다. 이를 위하여 중첩부(2)는 3개의 구역(20, 21, 22)으로 나눠진다. 구역(20, 21)은 중첩부(2)의 중앙부를 주위로 서로 동심원 형태로 있다. 정지부(23)는 제 1 구역(20) 내에 배열된다. 정지부(23)의 개수는 중첩부(3)에서 정지부(9)의 개수와 대응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지부(23)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설계되었다. 정지부(23)의 각각의 측면은 정지면(24)을 만든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지부(23)는 원통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정지부(23)의 지름과 정지면(10, 11)의 굴곡은 정지부(9, 23)의 정지면이 서로 맞닿았을 때, 표면에 작용하는 로드(load)가 가능한 균일하게 작용하는 방법으로 서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과로 표면 압력도 최소화될 수 있다.
정지부(9, 23)는 에너지 전달 체인이 펼쳐진 상태에서 압축 응력(prestressed)을 받도록 배열된다. 압축 응력의 정도는 상호 작용하는 정지부(9, 23)의 변위에 의존한다.
정지부(25)는 제 2 구역(21) 내에 배열된다. 정지부(25)의 각각은 정지면(26)을 가진다. 정지면은 원통형의 정지부(25)의 측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정지부(25)는 다른 외형이나 모양도 가능하다. 기하학적으로 볼 때, 정지면(26)은 정지부(12)의 정지면(13, 14)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정지부(12, 25)의 위치와 개수에 의해 두 개의 인접하는 링크 플레이트의 피봇 각도(pivoting angle) 가 정해진다. 정지부(12, 25)의 기하학적 배열 및/또는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또는 정지부(12, 25)의 수를 증가시킴에 의해 피봇 각도는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봇 각도는 변이 구역의 굴곡의 반지름을 결정한다. 변이 구역은 에너지 전달 체인의 위 트렁크와 아래 트렁크 사이에 위치한다.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관 모양으로 설계된 제 1 링크(4) 내에 배치된 제 3 구역(22) 내에는 두 개의 정지부(27)와 두 개의 정지부(28)가 배치된다. 정지부(27, 28)는 원통형 모양을 가진다. 이들은 각각은 정지면(29, 30)을 가진다. 정지부(27)는 정지부(16)와 함께 작용하고, 정지부(28)는 정지부(15)와 함께 작용한다. 이러한 정지부(15, 16, 27, 28)는 이웃하는 플레이트의 각운동의 끝에서 감쇠 효과(damping effect)를 갖도록 설계된다. 정지부(27, 28, 15, 16)는 곡률 반지름의 감쇠 및/또는 압축 응력의 감쇠를 위한 감쇠 요소로서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도 5는 정지부(15, 16)를 확대한 것이다. 정지부(15)는 중첩부(3)의 바닥면(bottom wall)(31)에 연결되어 있다. 갭(gap)(34)은 구성부(element)(32)와 바닥면(31) 사이에 있다. 정지부(15)의 구성부(32)는 리브(rib)(33)에 의해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바닥면(31)에 연결된다.
도 6은 정지부(15) 및 정지부(15)와 작용하는 정지부(28)의 평면도이다. 정지부(28)는 지름(D)을 가진다. 구성부(32)는 대체로 보울 모양의 단면(bowl-shaped cross-section)을 갖고 정지면(17)을 갖는다. 보울 모양의 구성부(32)의 내부 폭(L)은 정지부(20)의 지름(D)보다 약간 작다. 두 개의 인접하여 연결된 링크 플레이트가 서로 상대적으로 피봇 운동할 때, 정지면(30)을 갖는 정지부(28)는 정지면 (17)과 맞닿게 될 것이다. 이 결과로 구성부는 완전히 펴질 것이고 움직임을 감쇠시킬 것이다.
정지부(16, 27)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설계된다.
도 7은 정지부(15, 1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구성부(32)가 대체로 V모양의 단면(V-shaped cross-sect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구성부(32)의 기능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부(32)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 및 2에서 도시된 링크 플레이트는 세 개의 기능 구역을 가진다. 제 1 기능 구역에서 정지면과 함께 정지부는 에너지 전달 체인의 압축 응력을 결정하도록 배치된다. 제 2 기능 구역에서 정지부는 곡률 반경에서 각도 위치의 조정을 책임지도록 배열된다. 제 3 기능 구역에서 정지부는 감쇠를 책임지도록 위치된다. 링크 플레이트가 세 개의 기능 구역을 절대적으로 가질 필요는 없다. 아무런 감쇠가 필요 없다면, 그때는 제 3 기능 구역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감쇠를 제공할 다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 3 기능 구역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적어도 정지면이 제 1 재료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에 있고, 정지면은 제 1 재료보다 경도가 덜한 제 2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가진다.
도 8은 정지부(9)의 변형을 도시한다. 변형은 정지면(10, 11)이 다른 경도를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에 있다. 정지면(10)은 표면영역(10a)과 표면영역(10b)을 가진다. 표면영역(10a)은 큰 경도를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다. 표면영역 (10b)은 작은 경도를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이런 재료는 고무 또는 그에 상응하는 재료가 될 수 있다.
또한, 면(11)은 부분면(11a)과 부분면(11b)을 가지고, 부분면(11a)은 표면영역(10a)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부분면(11b)는 표면영역(10b)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감쇠 재료는 정지부(9)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2성분 주입법(two-component injection method)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사용된다.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지부(9)는 구멍(35)을 가진다. 구멍(35) 대신, 바닥(31) 방향으로 정지부(9)의 자유 말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뻗어있는 슬릿(slit)을 쓸 수 있다. 2성분 주입법 대신, 정지부는 감쇠 구성부를 가질 수 있고, 감쇠 구성부는 형상결합 및/또는 강제결합 잠금 장치에 결합된다.

Claims (11)

  1. 에너지 전달 체인(energy guide chain)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1)로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1)가, 정지면의 각도 위치가 상기 에너지 전달 체인을 제한하는, 중첩부(overlap region; 2, 3)를 갖는 링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2, 3)는, 수개의 정지면(10, 11, 13, 14; 17, 18, 24, 26, 29, 30)이 배열된 둘 이상의 구역에 의해 각각 둘러싸인 중앙부(6, 7, 8, 20, 21, 22)를 항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에너지 전달 체인의 경우에, 상기 에너지 전달 체인의 각도 위치(angular position)가 피봇운동 방향에 따라 다르게 되도록 설계된 두 구역(6, 7, 20, 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에너지 전달 체인의 경우에, 에너지 링크 체인의 압축 응력을 결정하는 정지면(10, 11, 24)을 구비한 제 1 구역(6, 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에너지 전달 체인의 경우에, 에너지 전달 체인의 위 트렁크와 아래 트렁크 사이의 변이 구역에서 곡률 반지름을 결정하는 정지면(13, 14, 26)을 구비한 제 2 구역(7, 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지면(17, 30)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정지부(15, 16, 27, 28)를 갖고,
    스프링-탄성(spring-elastic characteristic)을 갖는 제 3 구역(8, 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대체로 V 모양의 단면(V-shaped cross-sec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지면은 제 1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정지면은 상기 제 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 2 재료로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구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은 서로에 관해 대체로 동심원 형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 이상의 정지면은 대체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 이상의 정지면은 대체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 플레이트.
  11. 링크(linking)에 의해 서로 결합된 체인 링크를 갖는 에너지 전달 체인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항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 및 이를 연결하는 구성부들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 체인.
KR1020067003553A 2003-08-21 2004-08-06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플레이트 KR101132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9168A DE10339168A1 (de) 2003-08-21 2003-08-21 Kettenlasche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sowie Energieführungskette
DE10339168.1 2003-08-21
PCT/EP2004/008803 WO2005021996A1 (de) 2003-08-21 2004-08-06 Kettenlasche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sowie energieführungsk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425A true KR20060126425A (ko) 2006-12-07
KR101132868B1 KR101132868B1 (ko) 2012-04-03

Family

ID=3425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553A KR101132868B1 (ko) 2003-08-21 2004-08-06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34388B2 (ko)
EP (1) EP1656512B1 (ko)
JP (1) JP4702752B2 (ko)
KR (1) KR101132868B1 (ko)
CN (1) CN100443765C (ko)
DE (1) DE10339168A1 (ko)
TW (1) TWI322865B (ko)
WO (1) WO2005021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18B1 (ko) * 2010-12-20 2012-02-27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61760A1 (de) 2005-12-23 2007-07-19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mit verminderter Geräuschemission
DE102008046700A1 (de) * 2008-09-10 2010-03-11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EP2463547B1 (en) * 2010-12-10 2014-02-19 Findalto S.r.l. Side link energy chain having reduced noise emission
US9803721B2 (en) 2016-02-04 2017-10-31 Dynatect Manufacturing, Inc. Hybrid cable carrier chain
DE202016002624U1 (de) 2016-04-22 2017-07-25 Igus Gmbh Seitenteil, Kettenglied und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8102144U1 (de) * 2018-04-18 2019-05-27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Dämpfungselementen sowie Seitenteil dafür
DE202019100465U1 (de) * 2019-01-25 2019-05-28 Igus Gmbh Betriebsfest ausgelegte Seitenlasche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9720A (en) * 1983-01-19 1985-02-19 A&A Manufacturing Co., Inc. Cable carrier
EP0126709B1 (de) * 1983-03-28 1991-04-03 Ciba-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ptisch aktiven Azetidinonen
DE3407169C2 (de) * 1984-02-28 1986-01-23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Energieführungskette
US4590961A (en) * 1985-08-16 1986-05-27 Cooper Industries, Inc. Modular rolling conductor support
DE3837764C1 (en) 1988-11-07 1990-04-19 Murrplastik Gmbh, 7155 Oppenweiler, De Energy-management chain
DE3928238C1 (ko) * 1989-08-26 1990-10-25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DE4105653A1 (de) 1991-02-22 1992-09-03 Kabelschlepp Gmbh Energiefuehrungskette
FR2678199B1 (fr) 1991-06-26 1996-02-02 Decril Dispositif limiteur d'amplitude du pivotement de deux organes articules.
FR2678336A1 (fr) 1991-06-27 1992-12-31 Hutchinson Dispositif elastique composite pour suspension d'installation vibrante.
JP2507194Y2 (ja) * 1991-07-31 1996-08-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ブルドラグチェ―ンの内部仕切構造
DE4413303C1 (de) * 1994-04-18 1995-05-24 Kabelschlepp Gmbh Traverse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JP3100889B2 (ja) 1995-10-27 2000-10-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回転角規制ストッパ衝接音抑止機構
DE29607492U1 (de) 1996-04-25 1997-08-21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9647322A1 (de) * 1996-11-15 1998-05-20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aus verschiedenen Werkstoff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9703885A1 (de) 1997-02-03 1998-08-06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lasch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DE19707966A1 (de) * 1997-02-27 1998-09-10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Kettengliedern, die einen Kern hoher Festigkeit aufweisen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ettengliedes
DE19710489A1 (de) 1997-03-13 1998-09-24 Kabelschlepp Gmbh Faltbares Schutzelement für Leitungen
DE19715531C2 (de) 1997-04-14 1999-05-27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29711441U1 (de) 1997-07-01 1998-12-17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ITMI20010326U1 (it) * 2001-06-15 2002-12-16 Mauri Giovanni Maglia per catena portacavi
JP4098275B2 (ja) * 2004-06-07 2008-06-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18B1 (ko) * 2010-12-20 2012-02-27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02752B2 (ja) 2011-06-15
TW200516214A (en) 2005-05-16
KR101132868B1 (ko) 2012-04-03
JP2007502954A (ja) 2007-02-15
CN100443765C (zh) 2008-12-17
DE10339168A1 (de) 2005-04-28
TWI322865B (en) 2010-04-01
CN1836117A (zh) 2006-09-20
US20070032141A1 (en) 2007-02-08
EP1656512A1 (de) 2006-05-17
EP1656512B1 (de) 2013-03-13
WO2005021996A1 (de) 2005-03-10
US7334388B2 (en) 200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5219C (zh) 用于能量牵引链的铰链元件
KR100491830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KR101132868B1 (ko)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플레이트
CA2831666C (en) Energy guide chain with deformable joint elements
KR101060447B1 (ko) 드래그 체인 시스템의 체인 링크의 측면 부재, 드래그 체인 시스템의 체인 링크, 및 드래그 체인 시스템
CZ293221B6 (cs) Pružicí závěsné zařízení bez hlavního foliového závěsu
JPH0835541A (ja) 動力伝達用チェーン,ガイドリンクおよび動力伝達用チェーンの製造方法
KR20160136384A (ko) 단편 힌지를 갖는 라인 안내 장치, 대응하는 체인 링크 및 힌지 밴드
US20070042848A1 (en) Anti back bend driving chain
CN112135989B (zh) 具有阻尼元件的能量引导链以及用于此的侧部件
JPH10510905A (ja)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KR20180133873A (ko) 측부,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
CN111565806B (zh) 具有运行滚子的能量引导链
KR20170109654A (ko) 체인 링크 및 체인 링크를 구비한 원형 체인
US6196380B1 (en) Apron-conveyor chain
KR100377842B1 (ko) 동력 공급 체인
JP2023532405A (ja) フレキシブルジョイントコネクタを有する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サイドプレート、及びそのための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1288649A (ja) 伝動用無端ベルト
EP1397603A1 (de) Schwingungsarmer hybridkeilriemen
CA3127646C (en) Operationally stable side plate for an energy chain
KR20210118454A (ko)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측 방향으로 안정화된 태브를 갖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US7370465B2 (en) Cover for an energy conveying chain, in addition to chain link and energy conveying chain
RU2078266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звено круглозвенной цеп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