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873A - 측부,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 - Google Patents

측부,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873A
KR20180133873A KR1020187031363A KR20187031363A KR20180133873A KR 20180133873 A KR20180133873 A KR 20180133873A KR 1020187031363 A KR1020187031363 A KR 1020187031363A KR 20187031363 A KR20187031363 A KR 20187031363A KR 20180133873 A KR20180133873 A KR 2018013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vot axis
lips
relation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661B1 (ko
Inventor
요에르크 돔닉
안드레아스 허미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3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Spring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라인들을 가이드 하도록 디자인된 에너지 가이드 체인(1)의 체인 링크(2)를 위한 측부(3)와 관련되어 있다.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의 피벗 가능한 배치를 위해, 측부(3)는 그 단부들에서 각각의 겹침 영역(31, 32)을 구비하는데, 여기에는 피벗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대응하는 받침 표면들(312, 322), 바꾸어 말해 제1 받침 표면들(312)을 구비한 제1 겹침 영역과 제2 받침 표면들(322)을 구비한 제2 겹침 영역과 피벗축(s)이 제공된다. 피벗 움직임의 감속을 댐핑하기 위해 적어도 각각의 제1 받침 표면(312)의 앞에 배치된 것이 피벗축에 평행한 굽힘축(b) 둘레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스프링 립(6)의 형태로 된 댐핑 요소이다. 향상된 댐핑을 위해, 스프링 립(6)은 제1 받침 표면(312)에 대응하는 인접한 체인 링크(2)의 제2 겹침 영역(32)의 제2 받침 표면(322)에 의해 설치위치에서 상기 스프링 립(6)에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를 커플링하기 위해 그 굽힘축(b)에 대한 관계에서 축방향으로 된 단부 영역(61)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측부,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
본 발명은 공급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자인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체인 링크의 측부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은 피벗축 둘레로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여기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피벗 가능한 배치를 위한 측부는, 피벗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응하는 받침 표면들(abutment surfaces), 바꾸어 말해 제1 받침 표면들을 가지는 제1겹침 영역과 제2 받침 표면들을 가지는 제2 겹침 영역과, 피벗축이 제공된 각각의 겹침 영역을 그 단부에서 구비하고, 피벗 움직임의 감속을 댐핑하기 위해 적어도 각각의 제1 받침 표면에 피벗축(pivot axis)에 평행한 굽힘축(bending axis) 둘레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스프링 립(spring lip)의 형태로 된 댐핑 요소가 배치된 각각의 겹침 영역을 그 단부에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이러한 측부들을 구비한 체인 링크 및 이런 체인 링크들을 구비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과 관련되어 있다.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과도 같은 앞서 언급한 일반적인 유형의 측부가 DE 296 07 492 U1에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서 제1 받침 표면과 연관된 스프링 립은 휴지 위치에서 받침 표면으로부터 멀어져 피벗되고 제1 및 제2 받침 표면들이 서로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받침 표면에 대해 면접촉(surface contact)하게 피벗되며, 이로써 탄성적인 바이어스 효과(biasing effect)를 만들어낸다.
EP 1 963 711 A1은, 받침대들이 스프링 립의 둘레 방향으로의 탄성적인 휨 및 변형을 가지고 서로에 대해 지지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을 개시하고 있다.
WO 2005/021996 A1에 따르면, 제1 받침 표면은 반원형 링 형상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감속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반원형 링 형상의 확장과 함께 제2 받침대의 형태로 된 핀이 측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각 경우에 이를 통해 특정한 댐핑이 성취되지만, 특정한 잔여 속도가 여전히 유지되며, 이에 의해 받침 표면들이 서로에 대해 급작스럽게 부딪혀서 원하지 않은 소음을 만들어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소간 급작스러운 정지로 귀결되는 잔여 속도가 더욱 감소되는 앞서 언급된 일반적인 유형의 측부, 2개의 이들 측부를 구비한 체인 링크, 이런 체인 링크들을 구비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성들에 의해 성취된다. 유리한 발전형들이 부속된 청구범위들에 열거되어 있다. 이 특정된 목적은,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체인 링크 내의 측부의 설치 위치에서 제1 받침 표면과 접촉-작동 관계(abutment-operative relationship)로 대응하는 제2 받침 표면에 의해 상기 스프링 립으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에서 적어도 지배적인 커플링을 위해 그 굽힘축에 대한 관계에서 축방향으로 된 단부 영역을 스프링 립이 가진다는 점에서 이미 성취되는데, 상기 제2 받침 표면은 설치 위치에 인접한 체인 링크의 제2 겹침 영역의 받침 표면이다.
그러므로 굽힘축의 방향으로 스프링 립을 균일하게, 그러나 굽힘축에 대한 관계에서 축방향으로 된 단부 영역에서 비대칭적으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운동 에너지의 적용은 유효하지 않다.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 이외에도 운동 에너지의 비대칭적인 전달의 덕으로, 비틀림 모멘트(torsional moment)가 또한 굽힘축에 대한 관계에서 반경방향으로 된 축에 대한 관계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비틀림 모멘트는 그것의 탄성적인 굽힘에 더하여 스프링 립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이런 식으로, 한편으로는 확정적인 접촉의 상태에 앞서 피벗 움직임에서 개입되는 운동 에너지의 증가된 흡수를 성취하고 따라서 잔여 속도에서의 감소를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연관된 소재 상에서 더 온화하며 소음을 감소시킨다. 굽힘축에 대한 관계에서 축방향으로 된 이 단부 영역은 측부로부터 멀어져 연장되게 배치된다.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 립은 순수한 굽힘이 개입될 때 비틀림에 의해 더 큰 정도로 탄성적으로 압박될 수 있다. 동시적인 비틀림과 굽힘의 결과로서, 스프링 립은 또한 스프링 특성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더 단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탄성 변형을 위해 대응되게 더 높은 운동 에너지 흡수도가 가능하다. 바꾸어 말해, 스프링 립에서의 감속 효과가 초기에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점진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잔여 속도 및 따라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변위에 따른 소음의 생성이 따라서 더욱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운동 에너지의 적어도 지배적인 커플링 효과는 60% 이상, 특히 80% 이상 또는 90% 이상과 관련된다. 이상적으로, 운동 에너지는 그 전체가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스프링 립의 압박과 그 변형에 의해 흡수되는 운동 에너지는 상응되게 증가될 수 있고 잔여 속도는 더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립들에 대한 굽힘 모멘트에 의해 만들어진, 반경방향 축에 대해 편심된 힘의 적용이 개별적인 스프링 립의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 편심 영역은 굽힘축에 대한 관계에서 축방향으로 된 단부 영역과 동등하다. 반경방향 축은 굽힘축을 적어도 대략적으로 수직하게 가로지를 수 있다.
스프링 립은 그것에 연관된 피벗축에 대한 관계에서 반경방향으로 또는 거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단부에서 고정되고 특히 측부 상의 피벗축에 대한 관계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굽힘축은 측부 상의 스프링 립의 고정 위치에 적어도 인접하여 또는 그 고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측부는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개별적으로 연관된 겹침 영역에 대해 설치위치에서 2개의 겹침 영역들의 슬립 움직임을 위해 통상적인 슬라이드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평면에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상호 연관된 겹침 영역들은, 피벗축 둘레로의 그 체인 링크들의 피벗 움직임시에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유격을 가지고 슬라이드될 수 있다. 피벗축에 수직한 슬라이드 평면은 측부의 길이방향과 높이방향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구조적으로 단순한 구성에서, 스프링 립은 슬라이드 평면에 대한 관계에서 가라앉아 있을 수 있으며, 슬라이드 평면은 슬라이드 평면에 수직하게 또는 대략 수직하게 연장 방향으로 굽힘 모멘트의 힘의 적용을 위해 축방향 단부 영역에 대해 돌출된 관계로 배치된다. 특히, 축방향 단부 영역은 스프링 립 상에서 연장 방향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 립이 받침 표면의 앞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은 제2 받침 표면이 받침 위치로의 경로 상에서 처음에 스프링 립과 마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받침 표면들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스프링 립의 중심선에 대해 편심되어 스프링 립에 대해 가이드될 수 있는 식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립은 반경방향 축에 대해 편심된 그 영역이 단독적으로 제2 받침 표면들에 의한 힘의 적용을 위해 접근할 수 있는 식으로 제1 겹침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겹침 영역의 제2 받침 표면들은 최대 슬라이드 평면에 이르기까지 연장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체인 링크들 내에서의 측부들의 설치위치에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피벗 움직임에 따라, 댐핑 목적을 위해 그 제2 받침 표면들이 연관된 제1 받침 표면의 스프링 립의 슬라이드 평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각각의 단부 영역에 대해서만 그 둘레로 가이드된다. 이것은 단부 영역의 일부분에서, 예컨대 움직임 한계의 시작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적으로 단순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립은 개구(aperture)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그 구멍의 에지는 슬라이드 평면 내에 위치된다. 이런 식으로 슬라이드 평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맞물림 영역이 연장 방향으로 개구 밖으로 돌출된다. 이 개구는 관통 구멍일 수 있다. 이것은 측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립이 측부의 측벽에서 연장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런 식으로 위에 설명된 비틀림(torsion)이 증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벗 움직임의 감속과 함께 운동 에너지의 흡수가 증가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단순한 구성에서, 개구는 막힌 구멍(blind opening)의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막힌 구멍의 바닥은 연관된 스프링 립을 고정하기 위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립들은 연장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막힌 구멍 내의 바닥에 고정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막힌 구멍은 외부 입자들이 에너지 가이드 체인으로 침투할 수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측부의 발전형에서, 휴지 위치, 즉 무부하이며 탄성 변형이 없는 위치에서 스프링 립은 적어도 메인 방향 성분을 가지고 반경방향에 대한 관계에서 제1 겹침 영역의 피벗축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운동 에너지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구성에서 스프링 립은 연장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좁아지는 테이퍼링(tapering) 구성의 것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스프링 립이 측벽 상에서, 특히 막힌 구멍 내의 바닥에서 연장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고정될 때 그러하다. 테이퍼링된 구성은 동시에 탄성 변형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감소되지 않은 흡수와 함께 보다 날씬한 구성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휴지 위치에서 스프링 립 또는 립들은 연관된 피벗축에 대한 관계에서 정확히 반경방향으로 배향된다. 또한, 스프링 립은 피벗축에 대한 관계에서 측부 상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거기서부터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피벗축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제1 받침 표면들이 제1 겹침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인 것과 같이, 하나의 제1 받침 표면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측부들 또는 체인 링크들의 피벗 움직임을 한 피벗 방향으로 제한하는 데에 기여하며, 다른 제1 받침 표면은 거기에 반대되는 피벗 방향으로 그 피벗 움직임을 제한하는 데에 기여한다. 특히, 각각의 제1 받침 표면과 연관된 것은 연관된 각각의 둘레 받침 방향으로 연관된 받침 표면 앞에 배치된 스프링 립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휴지 위치에서, 스프링 립은 갭(gap)만큼 제1 받침 표면에 대한 관계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피벗 움직임의 감속을 위해, 이것은 초기에 연관된 제1 받침 표면에 대해 그 접촉 없이 스프링 립의 변형만을 가지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탄성 변형을 가지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감속 단계는 갭의 크기만큼 조정될 수 있다. 스프링 립의 피벗 움직임과 합치되어, 갭은 반경방향 바깥 방향으로 원뿔형인 개구 구성의 것일 수 있다.
연장 방향으로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받침 표면들을 구비한 받침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립들은 거기에 대한 탄성 변형을 가지고 탄성적으로 굽힐 수 있는 방식으로 받침 돌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스프링 립들은 피벗축을 향한 받침 돌출부의 일측으로부터 시작하여 피벗축에 대한 관계에서 반경방향으로, 또는 적어도 대략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프링 립들은 그 일측에 있는 단부에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받침 돌출부는 개구를 측방향으로 한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침 돌출부는 측부의 길이방향으로 피벗축에 대한 관계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대칭 평면에 대한 관계에서 거울대칭 구성의 것이다. 특히, 거울대칭의 평면은 겹침 영역들의 두 피벗축들에 의해 규정된다.
측부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제1 겹침 영역의 피벗축에 대한 관계에서, 2개의 스프링 립들은 제1 반경방향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제1 받침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제2 반경방향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반경방향 각도는 제2 반경방향 각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이것은 설치위치에서 휴지 위치에서 연관된 제1 받침 표면에 대해 이격되어 유지된 스프링 립이 연관된 제2 받침 표면에 의한 부하 하에서 면접촉(area contact)과 동등한 방식이 아니라 선접촉(line contact) 방식으로 제1 받침 표면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휴지 위치 밖으로 압박되며, 따라서 제1 받침 표면을 보다 약하게 두드리며 이로써 소음 발생이 댐핑된다.
통상적으로 제2 겹침 영역은, 둘레방향으로 마주보며 제2 받침 표면들을 형성하는 측방향 측면 표면들을 가지고, 그 피벗축에 대해 원형 링의 일부인 방식으로 된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2 받침 표면들은 특히 제2 반경방향 각도와 동등한 제3 반경방향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 표면들의 경우와 유사하게, 이런 식으로 설치위치에서 제2 받침 표면들은 접촉 효과를 댐핑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연관된 스프링 립과 선형 접촉(line-like contact) 또는 면형 접촉(area-like contact)으로 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2 받침 표면이 제1 받침 표면에 대해 지지될 때, 제2 받침 표면은 스프링 립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힘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그 팁(tip)이 스프링 힘에 대한 관계에서 제1 접촉 표면을 향해 부드럽게 탄성적으로 굽혀져 소음의 발생이 그에 의해 최소화되는 한 스프링 립의 반경방향 외측 영역과 제1 접촉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제공될 수 있는 스프링 립들이 반경방향에 대한 관계에서 바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링 구성의 것이고, 이에 의해 좁아지는 단부가 보다 부드럽게 탄성적이고 따라서 연관된 제1 받침 표면을 향해 둘레방향으로 보다 쉽게 굽혀질 수 있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비틀림 효과로 인해 스프링 립의 일부분 상에서 더 큰 정도의 탄성 변형 또는 변형 동작이 피벗 움직임을 댐핑하는 데에서만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이 변형 동작은 부드러운 것으로부터 단단한 것으로 증가하는 스프링 상수를 가지고 3개의 서로 다른 단계들로 일어날 수 있는데, 여기서 단계들 사이의 이행은 물 흐르듯 할 수 있다:
제1 단계는 스프링 립에 대해 제2 받침 표면의 반경방향 바깥 접촉을 가지고 스프링 립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탄성 굽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최신의 기술에 따른 탄성 굽힘과 유사할 수 있다. 그 접촉이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비틀림 모멘트가 반경방향 축에 대한 관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굽힘 효과 이외에도 탄성 비틀림을 유발하며 따라서 스프링 립의 추가적인 탄성 압박을 초래한다. 끝으로, 제3 단계는 특히 스프링 립의 보다 단단한 탄성인 더 큰 탄성 변형을 가지고 제1 받침 표면과 스프링 립 및/또는 스프링 립과 제2 받침 표면 사이에서 면접촉(area contac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2개의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피벗 움직임에서, 상대적인 회전 움직임의 속도가 우선 받침들에서 서서히 감소될 수 있고, 다음으로 속도가 소음 발생의 감소와 함께 잔여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점점 더 감소될 수 있고, 가능하다면 정지상태에 가깝게 감소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립은 감속 절차의 과정에서 증가하는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과 함께 그 스프링 상수가 증가하는 배치 및 구성의 것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감속 효과가 관련된 소재들 상에서 특히 낮은 수준의 소음 발생을 가진 부드러운 방식으로 온화하게 개시될 수 있으며, 이후에 점진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잔여 속도가 접촉이 일어날 때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정도로 최소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들이 관련된 특정한 단계들을 감속 절차에 걸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한 단계의 스프링 상수도 감속 절차 동안 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증가될 수 있다.
겹침 영역들, 따라서 체인 링크의 피벗축들과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그것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통상적인 방식에서, 한 겹침 영역은 피벗핀(pivot pin)을 구비할 수 있고 다른 한 겹침 영역은 피벗핀을 수용하기 위한 피벗 개구를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설치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상호 맞물린 겹침 영역들은 연관된 피벗 개구로의 피벗핀의 맞물림에 의해 피벗축을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이상에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측부들을 구비한 체인 링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바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횡단 방향에 수직하게 거울대칭의 평면에 대한 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한 발전형에서, 측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바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체인 링크에의 설치위치에서, 측부들은 횡단 방향에 수직하게 거울대칭의 평면에 대한 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1 겹침 영역들은 거울대칭의 평면에 대한 관계에서 상호 반대되는 관계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겹침 영역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바는 측부들의 위 또는 아래에서 겹침 영역들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측부들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이상에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체인 링크를 구비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이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체인 링크들은 각각 이상에서 또는 이하에서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측부들을 구비한다. 인접한 체인 링크들의 측부들은 상호 대응되는 제1 및 제2 겹침 영역들에 대해 상호 맞물리는 관계로 함께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측판들의 좌측 라인 및 측반들의 우측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측부들의 받침 표면들과 스프링 립들이 측판들의 라인들의 설치위치에서 바깥에 대해 보호되고, 특히 겹침 영역들 사이에서 바깥으로부터 보호된다면 유리하다는 점이 추가적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이 측부들, 체인 링크들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도면들에 설명된 그러나 본 발명이 거기로 한정되지는 않는 많은 실시예들에 의해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측부들을 구비한 체인 링크들을 가진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상측 횡단 바가 없는 체인 링크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체인 링크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D-D를 따라 높이 방향 h에 수직하게 체인 링크를 관통하는 길이방향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3의 체인 링크의 상세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도 3의 절단선 B-B를 따른 체인 링크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도 6a의 상세 C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는 도 3의 절단선 E-E를 따른 체인 링크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상세 F를 나타내고 있다.
(설명 중 위, 아래, 앞, 뒤, 오른쪽, 왼쪽과 같은 위치의 설명과 관련된 모든 용어들은 달리 특정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그 용어들이 각각의 도면 자체에 나타내어진 방식대로의 의미이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체인 링크들(2)을 구비한 에너지 가이드 체인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은 각각 피벗축(s) 둘레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점에서, 에너지 가이드 체인(1)의 모든 피벗축들은 횡단 방향(q)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이 예에서 에너지 가이드 체인(1)은 방향 전환 아크(12)에 의해 2개의 줄기(run)(11)를 형성하면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체인 링크들(2)은 한 줄기(11)로부터 방향 전환 아크(12)로의 이행에서 서로에 대해 각각 피벗된다.
체인 링크들(2)은 각각, 에너지 가이드 체인으로의 설치 위치에서 측판들의 좌측 라인과 우측 라인(4)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들(3)을 구비한다. 이 점에서, 에너지 가이드 체인(1)의 이 실시예에서, 각 체인 링크(2)의 2개의 측부들(3)은 그 정상측과 밑면측에 맞물리는 횡단 바(5)에 의해 상호 이격된 평행한 관계로 유지된다. 도 2 내지 도 7에서, 여기서는 해체 가능한 상측 횡단 바(5)가 여기서 도시된 체인 링크(2)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반면, 하측 횡단 바(5)는 측부들(3)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횡단 바와 체인 링크들(2)의 측판들은 설치 위치에서 공급 라인들(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에너지 가이드 체인(1)에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의 피벗 가능한 배치를 위해, 측부들(3)은 그들의 단부들에서, 피벗축(s)를 구비한 각각의 겹침 영역, 말하자면 제1 겹침 영역(31)과 제2 겹침 영역(32)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 설치 위치에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은 겹침 영역(31, 32)에 의해 서로 맞물리며 따라서 피벗축(s)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체인 링크(2)의 제1 겹침 영역(31)은 인접한 체인 링크(2)의 제2 겹침 영역(32)과 협력한다. 이 목적을 위해, 측부들(3)은 각각 협력하는 겹침 영역들(31, 32)이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의 피벗 움직임과 함께 슬라이드되는 각각의 슬라이드 평면(G)을 구비한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측부(3)의 슬라이드 평면(G)이 두 겹침 영역들(31, 32) 모두에 공통되는 것을 제공한다.
측부들(3)은 각각의 체인 링크(2)에서 거울대칭의 평면(S)에 대해 거울대칭 관계로 배치되는데, 이 평면(S)은 길이방향(l)과 높이방향(h)을 구비하며 횡단방향(q)에 대해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에너지 가이드 체인(1)에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의 피벗 움직임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한하기 위해, 2개의 겹침 영역들(31, 32)은 각각 2개의 받침 표면들, 말하자면 2개의 제1 받침 표면들(311)과 2개의 제2 받침 표면들(322)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제1 받침 표면(311)과 제2 받침 표면(322)이 협력하여 받침 수단을 형성한다.
특히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받침 표면들(311) 각각과 연계되어 있는 것은 스프링 립(6)의 형태로 된 댐핑 요소인데, 이것은 그 제1 받침 표면(311)과의 관계에서 갭(7)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피벗축(s)에 평행한 굽힘축(b) 둘레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스프링 립들(6)은 따라서 각각 둘레방향(u)으로 탄력적으로 굽힘될 수 있다. 스프링 립들(6) 각각은 그 굽힘축(b)에 대해 축방향으로 된 단부 영역(61)을 구비하며, 여기서 에너지 가이드 체인(1)의 체인 링크(2)에서의 측부들의 설치 위치에서 제1 받침 표면(311)에 접하여 대응하는 제2 받침 표면(322)에 의해 스프링 립(6)으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를 적어도 거의 완벽하게 커플링하는데, 제2 받침 표면(322)은 설치 위치에서 인접하는 체인 링크(2)의 제2 겹침 영역(32)의 그것이다. 따라서 설치 위치에서 제1 받침 표면(311)과 협력하는 제2 받침 표면(322)이 그 제1 받침 표면(311)에 대항하여 둘레방향(u)(도 5)으로 가이드된다면, 그것은 먼저 그 앞에 배치되고 따라서 상응되게 다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스프링 립(6)과 맞닥뜨린다.
도 5와 함께 도 6 및 도 7로부터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립들(6)로의 힘의 적용은 반경방향 축(a)에 대해 편심된 각각의 스프링 립(6)의 단부 영역(61)에서 일어난다. 이런 식으로, 비틀림 모멘트가 각각의 스프링 립(6)에서 반경방향 축(a)에 대해 만들어지며, 이 비틀림 모멘트는 탄성적인 압박을 이끌어낸다. 앞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상응되게 운동 에너지의 더 큰 흡수를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증대된 감속 효과를 수반한다. 굽힘축(b)과 반경방향 축(a)은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교차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 립들(6)은 각각 슬라이드 평면(G)에 대해 가라 앉은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연장 방향(e)으로 슬라이드 평면(G)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돌출된 단부 영역들(61)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겹침 영역(32)의 제1 받침 표면들(322)이 슬라이드 평면(G)에 대해 연장 방향(e)에 반대되는 관계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구조에서, 제2 겹침 영역(32)의 제2 받침 표면들(322)은, 원형 링의 일부가 슬라이드 평면(G) 밖에 형성되고 개구(323)가 제2 받침 표면들(322)에 의해 측면이 세워지는 식으로 개구(323)에 의해 형성되는데, 여기서 스프링 립들(6)의 둘레 간격을 뺀 그 둘레 간격이 동시에 쌍으로 협력하는 받침 표면들(311, 322)에 의해 한정되는 피벗각을 대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받침 표면들(311, 322) 및 스프링 립들(6)은 설치위치에서 측부들(3) 사이의 배치되고 따라서 외부에 대해 보호되고 덮이게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립들(6)은 각각, 여기서 막힌 구멍(71)의 형태로 되어 있고 그 구멍의 에지(711)가 슬라이드 평면(G) 내에 배치된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된 단부 영역(61)이 단독적으로 제2 받침 표면들(322)의 덕택으로 스프링 립들(6)에 운동 에너지를 적용하도록 접근할 수 있다.
스프링 립들(6)은 각각 막힌 구멍(71)의 바닥에 고정됨으로써 연장 방향(e)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측부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스프링 립(6)이 보다 강화된다. 이것은 사실상 증대된 스프링 상수와 관련된다. 또한, 이런 배치는 고정되지 않은 스프링 립과 비교하여 막힌 구멍(71)의 바닥에서 반경방향 축이 막힌 구멍의 바닥에 대략적으로 인접하여 아마도 가라 앉아 있으며, 이로써 비틀림 모멘트가 반경방향 축(a)에 대해 상응되게 증가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스프링 립(6)을 압박하는 데에서 더 큰 증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도 6b 및 도 7b에 나타낸 반경방향 축(a)의 위치는, 그것을 정확히 확정하는 것이 아직 가능하지 않았다는 한도에서만 근사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 립들(6) 상에서의 비틀림 동작과 이에 따른 운동 에너지의 가능한 흡수가 스프링 행정에 종속되어 증가된다.
이 배치는 측부(3)로부터 연장 방향(e)으로 연장되며 측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받침 표면들(311)을 구비한 받침 돌출부(713)를 구비한다. 스프링 립들(6)은 받침 돌출부(713)의 일측(714)으로부터, 즉 피벗축(s)를 향해 피벗축(s)에 대해 대략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립들(6)은 일측(714)에서 그들의 베이스 단부에 고정된다. 이것은 그 축방향 굽힘축(b)이 대략 그 베이스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특히 도 5로부터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립들(6)과 받침 돌출부(713)을 구비한 배치는, 여기서 겹침 영역들(31, 32)의 2개의 피벗축들(s)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E)에 대해 거울대칭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스프링 립들(6)은 제1 겹침 영역(31)의 피벗축(s)에 대해 제1 반경방향 각도(β1)로 배치되고, 2개의 제1 받침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제2 반경방향 각도(2)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겹침 영역(32)은, 그 피벗축(s)에 대한 원형 링의 일부가, 둘레 방향(u)으로 마주보고 제2 받침 표면들(322)을 형성하는 측방향 측면 표면들을 가지는 식으로 된 개구(33)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제2 받침 표면들은 피벗축(s)에 대해 제2 겹침 영역(32)의 제3 반경방향 각도를 포함하는데, 이 제3 각도는 제2 반경방향 각도(β2)와 동등하다. 따라서, 접촉 위치에서, 2개의 연관된 받침 표면들(311, 322)은 그들 사이에 배치된 연관된 스프링 립들(6)에 의해 서로에 대해 면접촉하여 지지된다.
제1 반경방향 각도(β1)는 제2 반경방향 각도(β2)보다 크다. 앞서 이미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감속 절차의 제1 단계에서 제2 받침 표면(322)은 스프링 립(6)과 거의 점접촉하게 되는데, 이는 상응되게 부드러운 탄력 방식으로 반응하며 따라서 극도로 낮은 소음 발생 수준과 관련된다. 스프링 립(6)의 이 부드러운 특성은 반경방향(r)에 대한 관계에서 좁아지는 테이퍼링 구성으로 된 스프링 립(6)에 의해 증대된다. 도 6 및 도 7의 2개의 단면도들 사이의 비교로부터 이것을 알 수 있다. 제1 접촉이 일어날 때, 힘의 전달도 위에 설명된 비틀림 모멘트의 생성과 함께 일어나며, 이에 의해 스프링 립(6)이 더욱 압박되며 따라서 탄성적으로 더 단단해지는데, 이 예에서 이런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며 따라서 소음 증가가 없다.
비틀림 효과는 도 6 및 도 7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 방향(e)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좁아지는 테이퍼링 구성으로 된 스프링 립들(6)에 의해 증대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스프링 립(6)의 압박이 막힌 구멍(71)의 바닥에서 비틀림에 의해 증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 립의 압박이 비틀림 움직임이 축(a)에 대한 관계에서 최대인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운동 에너지의 흡수가 스프링 립(6)의 탄성 변형에 의해 최적화된다. 제1 받침 표면(311)에 대한 스프링 립(6)의 제1 접촉을 통해 힘의 전달이 선접촉 영역에 의해, 따라서 증가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는데, 이것은 스프링 립의 추가적인 압박을 수반한다. 이것은 감속 절차에서 다양한 단계들을 제시하면서 앞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5의 상세도로부터 특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갭(7)은 받침 돌출부(712)에서 원뿔 형상으로 반경방향 바깥으로 측방향으로 확장되며, 이로써 에지(714)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실제적인 제1 받침 표면(311)이 에지(714)의 우측으로 시작된다; 스프링 립(6)은 제1 받침 표면(311)에 대해 지지될 때, 그 스프링 강도 및 따라서 운동 에너지 흡수에서의 증가를 가지고 에지(714) 너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굽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에지(714)는 마모와 소음을 줄이기 위해 라운딩 처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측부(4)는 인접한 체인 링크들(2)과의 피벗 연결을 형성하는 그 자체로 잘 알려진 피벗 핀(34)과 그 자체로 잘 알려진 피벗 구멍(35)을 구비한다. 이 피벗 연결은 또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1 에너지 가이드 체인 11 줄기
12 방향 전환 아크 2 체인 링크
3 측부 31 제1 겹침 영역
312 제1 받침 표면 32 제2 겹침 영역
322 제2 받침 표면 33 개구
34 피벗 핀 35 피벗 구멍
4 측판들의 라인 5 횡단 바
6 스프링 립 61 단부 영역
7 갭 71 막힌 구멍
711 구멍의 에지 712 받침 돌출부
713 일측 714 에지
a 축 b 굽힘축
l 길이방향 h 높이방향
r 반경방향 s 피벗축
q 횡단방향 u 둘레방향
β1 제1 반경방향 각도 β2 제2 반경방향 각도
G 슬라이드 평면 S 거울대칭의 평면
E 평면

Claims (21)

  1.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이 피벗축(s) 둘레로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공급 라인들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자인된 에너지 가이드 체인(1)의 체인 링크(2)를 위한 측부로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의 피벗 가능한 배치를 위해 측부(3)는, 피벗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상응하는 받침 표면들(312, 322)과 피벗축(s)이 제공된 각각의 겹침 영역(31, 32), 즉 제1 받침 표면들(312)을 구비한 제1 겹침 영역(31)과 제2 받침 표면들(322)을 구비한 제2 겹침 영역(32)을 그 단부에서 구비하며, 피벗 움직임의 감속을 댐핑하기 위해 적어도 각각의 제1 받침 표면(312)의 앞에서 피벗축(s)에 평행한 굽힘축(b) 둘레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스프링 립(6)의 형태로 된 댐핑 요소가 배치되고,
    스프링 립(6)은, 에너지 가이드 체인(1)의 체인 링크(2)에서의 측부(3)의 설치 위치에서 제1 받침 표면(312)과 접촉-작동 관계에 대응하는 제2 받침 표면(322)에 의해 상기 스프링 립(6)으로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를 적어도 지배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그 굽힘축(b)에 대해 축방향으로 된 단부 영역(6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받침 표면(322)은 설치위치에서 인접한 체인 링크(2)의 제2 겹침 영역(32)의 받침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의 개별적으로 연관된 겹침 영역(32, 31)에 대해 설치위치에서 2개의 겹침 영역들(31, 32)의 슬립 움직임을 위한 슬라이드 평면(G)을 구비하되, 스프링 립(6)이 슬라이드 평면(G)에 대해 가라 앉은 관계로 배치되고 슬라이드 평면(G)은 슬라이드 평면(G)에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한 연장 방향(e)으로의 굽힘 모멘트의 힘의 적용을 위해 단부 영역(61)에 대해 돌출된 관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겹침 영역(32)의 제2 받침 표면들(322)은 최대 슬라이드 평면(G)에 이르기까지 연장 방향(e)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립(6)은 개구 내에 배치되되, 그 구멍의 에지(711)가 슬라이드 평면(G)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립(6)은 측부(3)의 측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 방향(e)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고정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개구는 막힌 구멍(71)의 형태로 되어 있고, 스프링 립(6)은 막힌 구멍(71)의 바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 방향(e)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고정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립(6)은 바람직하게는 제1 겹침 영역(31)의 피벗축(s)에 대한 관계에서 반경방향으로 된 방향(r)에 대한 관계에서 정확히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방향 성분을 가지고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8.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 립(6)은 상기 반경방향(r)에 대한 관계에서 좁아지는 테이퍼링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립(6)은 연장 방향(e)에 대해 반대되는 관계로 좁아지는 테이퍼링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부하인 휴지 위치에서 스프링 립(6)은 거기에 연관된 제1 받침 표면(312)에 대한 관계에서 갭(7)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겹침 영역(31)에 제공된 것은 피벗축(s)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제1 받침 표면들(312)이고, 각각의 제1 받침 표면(312)에 연관된 것은 각각의 둘레 받침대 방향(u)으로 연관된 제1 받침 표면(312)의 앞에 배치된 스프링 립(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측부(3)로부터 연장 방향(e)으로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받침 표면들(312)을 구비한 받침 돌출부(712)가 제공되되, 피벗축(s)을 향해 마주보는 받침 돌출부(712)의 일측(713)으로부터 시작하여 스프링 립들(6)이 피벗축(s)에 대한 관계에서 반경방향으로 또는 적어도 대략 반경방향 바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프링 립들(6)은 일측(713)에서 단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겹침 영역(31)의 피벗축(s)에 대한 관계에서 2개의 스프링 립들(6)은 제1 반경방향 각도(β1)로 배치되고 2개의 제1 받침 표면들(312)은 서로에 대해 제2 반경방향 각도(β2)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겹침 영역(32)은, 그 피벗축(s)에 대해 원형 링의 일부의 방식으로 되고 둘레 방향(u)으로 마주보며 제2 받침 표면들(322)을 형성하는 측방향 측면 표면들을 구비한 개구(33)를 구비하되, 제2 받침 표면들(322)은 제2 반경방향 각도(β2)와 동등한 반경방향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반경방향 각도(β1)는 제2 반경방향 각도(β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측부들(3)을 포함하는 체인 링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측부들(3)은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바(5)에 의해 상호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고, 횡단 방향(q)에 수직하게 거울대칭의 평면(S)에 대한 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링크.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따른 체인 링크들(2)을 포함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인접한 체인 링크들(2)의 측부들(3)은 상호 맞물리는 관계로 피벗 가능하게 함께 연결되어 상호 대응하는 제1 및 제2 겹침 영역들(31, 32)에 의해 측판들의 라인들(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측부(3)의 받침 표면들(312, 322)과 스프링 립들(6)은 측판들의 라인을 형성하는 측부들(3)의 피벗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겹침 영역들(31, 32) 사이에 바깥으로 보호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가이드 체인.
KR1020187031363A 2016-04-22 2017-04-19 측부,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 KR10217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6002624.1 2016-04-22
DE202016002624.1U DE202016002624U1 (de) 2016-04-22 2016-04-22 Seitenteil, Kettenglied und Energieführungskette
PCT/EP2017/059239 WO2017182494A1 (de) 2016-04-22 2017-04-19 Seitenteil, kettenglied und energieführungsk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873A true KR20180133873A (ko) 2018-12-17
KR102172661B1 KR102172661B1 (ko) 2020-11-03

Family

ID=5854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363A KR102172661B1 (ko) 2016-04-22 2017-04-19 측부,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300182B2 (ko)
EP (1) EP3445997B1 (ko)
JP (1) JP6825006B2 (ko)
KR (1) KR102172661B1 (ko)
CN (1) CN109477551B (ko)
BR (1) BR112018069704B1 (ko)
CA (1) CA3018818C (ko)
DE (1) DE202016002624U1 (ko)
ES (1) ES2802603T3 (ko)
MX (1) MX2018012011A (ko)
PL (1) PL3445997T3 (ko)
SG (1) SG11201809250WA (ko)
TW (1) TWI712752B (ko)
WO (1) WO2017182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102144U1 (de) * 2018-04-18 2019-05-27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Dämpfungselementen sowie Seitenteil dafür
DE202019100434U1 (de) * 2019-01-25 2019-06-03 Igus Gmbh Quersteg und Kettenglied mit Quersteg
DE202019100877U1 (de) * 2019-02-15 2020-03-17 Igus Gmbh Endbefestigungsteil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102019116369A1 (de) * 2019-06-17 2020-12-17 Tsubaki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Vertiefung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07492U1 (de) * 1996-04-25 1997-08-21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2007502954A (ja) * 2003-08-21 2007-02-15 カーベルシユレツプ・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エネルギ案内鎖用鎖側板及びエネルギ案内鎖
WO2007076988A1 (de) * 2005-12-23 2007-07-12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mit verminderter geräuschemission
EP2194292A1 (en) * 2008-12-02 2010-06-09 Brevetti Stendalto S.p.A. Cable supporting chain with reduced noise e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7169C2 (de) 1984-02-28 1986-01-23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Energieführungskette
JPH01100948U (ko) * 1987-12-25 1989-07-06
JPH01100948A (ja) 1987-10-14 1989-04-19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100889B2 (ja) * 1995-10-27 2000-10-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回転角規制ストッパ衝接音抑止機構
DE29607171U1 (de) * 1996-04-22 1996-06-13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3157491B2 (ja) * 1997-11-28 2001-04-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可撓体の案内支持チェーン
JP4235134B2 (ja) 2004-03-11 2009-03-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低騒音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197626B2 (ja) * 2007-12-10 2013-05-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EP2463547B1 (en) * 2010-12-10 2014-02-19 Findalto S.r.l. Side link energy chain having reduced noise emission
DE202011004785U1 (de) * 2011-04-01 2011-07-07 igus GmbH, 51147 Energieführungskette mit deformierbaren Gelenkelementen
DE102014102626B4 (de) 2014-02-27 2017-05-04 Ekd Gelenkrohr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CN104405828B (zh) * 2014-11-18 2016-08-17 江苏科瑞斯机件有限公司 一种高速重载静音拖链
CN204961697U (zh) * 2015-07-26 2016-01-13 德清华宇链传动有限公司 带缓冲链节的滚子链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07492U1 (de) * 1996-04-25 1997-08-21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2007502954A (ja) * 2003-08-21 2007-02-15 カーベルシユレツプ・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エネルギ案内鎖用鎖側板及びエネルギ案内鎖
WO2007076988A1 (de) * 2005-12-23 2007-07-12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mit verminderter geräuschemission
EP2194292A1 (en) * 2008-12-02 2010-06-09 Brevetti Stendalto S.p.A. Cable supporting chain with reduced noise e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445997T3 (pl) 2021-05-04
TW201738483A (zh) 2017-11-01
EP3445997B1 (de) 2020-06-03
TWI712752B (zh) 2020-12-11
JP2019515202A (ja) 2019-06-06
MX2018012011A (es) 2019-01-24
EP3445997A1 (de) 2019-02-27
US11300182B2 (en) 2022-04-12
WO2017182494A1 (de) 2017-10-26
US20190145497A1 (en) 2019-05-16
CA3018818A1 (en) 2017-10-26
DE202016002624U1 (de) 2017-07-25
BR112018069704B1 (pt) 2023-02-14
CN109477551A (zh) 2019-03-15
CN109477551B (zh) 2021-03-09
JP6825006B2 (ja) 2021-02-03
ES2802603T3 (es) 2021-01-20
SG11201809250WA (en) 2018-11-29
BR112018069704A2 (pt) 2019-02-05
KR102172661B1 (ko) 2020-11-03
CA3018818C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873A (ko) 측부, 체인 링크 및 에너지 가이드 체인
KR101060447B1 (ko) 드래그 체인 시스템의 체인 링크의 측면 부재, 드래그 체인 시스템의 체인 링크, 및 드래그 체인 시스템
US9732458B2 (en) Frictional vibration damper
KR19990028253A (ko) 동력 안내 체인
JP2009063164A (ja) 伝動チェーン
JP2004511696A5 (ko)
US8636475B2 (en) Turbomachine, especially steam turbine
JP5566047B2 (ja) 仕口補強用具
JP2021521391A (ja) 減衰要素を備えるエネルギーチェーン、およびエネルギーチェーンのための側方部品
JP6435231B2 (ja) 留め具
KR100642203B1 (ko) 로킹부를 갖는 파형관용 커넥터
JP6572301B2 (ja) ばねシート部材及びばね組立て体
KR101132868B1 (ko) 에너지 전달 체인 및 에너지 전달 체인을 위한 링크플레이트
KR101129636B1 (ko) 유량조절 기능을 가지는 역류방지 댐퍼
JP2005171756A (ja) 矢板用連結要素
JP6459934B2 (ja) テザークリップおよび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6563670B2 (ja) 取付部材
JP6589482B2 (ja) せん断パネル
JP2010047108A (ja) 構造部材
KR101682172B1 (ko) 샤프트 커플링
JP6116414B2 (ja) マフラーサポート組付体
JP6792775B2 (ja) 鉄筋
CN108060506B (zh) 一种经编机及其挡圈
RU2500937C2 (ru) Упруг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дания его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JPH0674276A (ja) 弾塑性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