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748A -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구조체 - Google Patents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748A
KR20060122748A KR1020060047296A KR20060047296A KR20060122748A KR 20060122748 A KR20060122748 A KR 20060122748A KR 1020060047296 A KR1020060047296 A KR 1020060047296A KR 20060047296 A KR20060047296 A KR 20060047296A KR 20060122748 A KR20060122748 A KR 2006012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re
winding
band
contact p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끼 미야지마
유끼또모 시바따
고우지 이따노
히로유끼 사사누마
다까히로 사까이
마사요시 간노
다다아끼 다나까
겐지 미따무라
히로아끼 무까이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이 권취된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단부면의 보유 지지성이 우수하고,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한 단부면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재는 권취 코어(22)와 이 권취 코어(22)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21)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2)를 수납하는 상자부(5)를 구비한 포장재이며, 상기 상자부(5) 내에는 권취된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21)의 단부면에 평면부가 접촉되는 접촉판(3)과, 상기 접촉판(3)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21)측의 반대면측을 압박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권취 코어(2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밴드(4)를 구비한다.
필름, 고정 밴드, 권취 코어, 상자부, 플랜지부, 접촉판

Description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 구조체 {CONTACT PLATE, FIXING BAND THEREOF, AND PACKAGE AND PACKAGING STRUCTURE HAVING THEM}
도1은 본 발명의 포장 구조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포장 구조체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3은 고정 밴드에 의해 고정된 접촉판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4는 고정 밴드의 확대도.
도5는 고정 밴드의 바닥면도.
도6은 고정 밴드의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포장 구조체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도7의 포장 구조체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9는 고정 밴드에 의해 고정된 접촉판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10은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접촉판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포장 구조체
2 : 권취 부재
21 :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
22 : 권취 코어
3, 3' : 접촉판
31 : 절결부
32 : 구멍부
33 : 볼 플런저
4, 4' : 고정 밴드
41 : 제1 밴드부
42 : 제2 밴드부
43 : 플랜지부
44 : 힌지부
45 : 미끄럼 방지층
46 : 접속부
47 : 걸림부
48 : 플랜지부
5 : 상자부
6 : 권취 코어 지지 부재
61 : 지지부 본체
62 : 지지부 덮개체
63 : 프로텍터부
71 : 두꺼운 스페이서
72, 73 : 얇은 스페이서
8 : 권취 코어 지지 부재
81 : 지지부 본체
82 : 지지부 덮개체
9 : 상자부
91 : 중간 상자부
92 : 날개가 부착된 바닥부
93 : 덮개부
94 : 받침대
95, 95' : 구멍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310238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130062호 공보
본 발명은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이 권취된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단부면의 보유 지지성이 우수하고,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한 단부면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접촉판, 그 고정 밴드, 그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유전체층, 전극, 격벽, 형광체, 저항체,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 등의 구성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긴 띠 형상의 전사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사 필름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된 지지 필름 상에 페이스트 형상의 재료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통상 원통 형상 등의 권취 코어에 권취되어 권취 부재가 되고, 또한 포장 상자에 수납된 상태로 수송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그러나,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전사 필름에 있어서는, 페이스트층의 막두께 형상 등을 보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권취 코어에 강하게 권취할 수 없으므로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한 단부면 어긋남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고, 상기 특허문헌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포장 상자에서는 권취된 필름의 단부면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이 단부면 어긋남은 페이스트층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최종 제품에 있어서의 형상이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31023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13006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 름이 권취된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단부면의 보유 지지성이 우수하고,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한 단부면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접촉판, 그 고정 밴드, 그것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하는 바와 같다.
1.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를 수납하는 상자부를 구비한 포장재이며,
상기 상자부 내에는 권취된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평면부가 접촉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측의 반대면측을 압박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권취 코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2. 상기 접촉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1에 기재된 포장재.
3. 상기 접촉판은 상기 권취 코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포장재.
4.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1 밴드부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2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로 이 루어지고,
상기 권취 코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제2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 부착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속부는 탄성체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장재.
5.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속부가 걸림 부착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4에 기재된 포장재.
6.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 중 적어도 한쪽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포장재.
7. 상기 상자부 내에는 상기 권취 부재, 상기 접촉판 및 상기 고정 밴드가 상기 상자부의 내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권취 코어의 단부를 지지하는 권취 코어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장재.
8. 상기 접촉판과 상기 권취 코어 지지 부재 사이, 및 상기 권취 코어 지지 부재와 상기 상자부의 내측면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상기 7에 기재된 포장재.
9. 상기 상자부의 하면에는 반송기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형성한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장재.
10.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가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장재로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구조체.
11.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 코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평면부가 접촉되는 접촉판이며, 상기 권취 코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판.
12.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접촉된 접촉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권취 코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권취 코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 밴드이며,
상기 접촉판을 상기 접촉판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측의 반대면측으로부터 압박할 수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1 밴드부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2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제2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 부착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는 탄성체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재는 권취 코어와 이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를 수납하는 상자부를 구비한 포장재이며, 상자부 내에는 접촉판과 고정 밴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 구조체는 권취 코어와 이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가 상기 포장재에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코어(22)에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21)이 권취된 권취 부재(2)가 상자부(5)에 수납된 포장 구조체(1)를 들 수 있다. 이것에서는,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21)의 단부면에 접촉판(3)의 평면부가 접촉하고, 또한 이 접촉판(3)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21)측과 반대면측에는 고정 밴드(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권취 부재」는 권취 코어와, 이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기「권취 코어」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 막대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 코어의 치수는 권취되는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치수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한, 이 권취 코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수지(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경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접촉판」은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단부면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그 평면부에 있어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을 압박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접촉판은 주연이 권취 코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 밴드에 의해 고정된다.
접촉판의 형상은 평면부에 의해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을 충분히 압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31)가 형성된 대략 원 형상의 평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접촉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타원 형상, 직사각 형상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절결부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대략 타원 형상, 대략 부채꼴 형상 등이라도 좋다.
접촉판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고강도이고 또한 평활도가 높은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질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 상태를 접촉판이 접촉된 상태에서 눈에 의해 확인할 수 있어 충분한 품질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촉판에는 고정 밴드의 착탈시 등에 있어서,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권취 코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탈락 방지부의 구성은 권취 코어를 파손하거나, 손상을 입히는 한 특별히 한정 되지 않는다.
탈락 방지부가 형성된 접촉판의 구체적인 예로서, 예를 들어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접촉판(3')을 들 수 있다.
이 접촉판(3')은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31)가 형성된 대략 원 형상의 평판이다. 절결부(31)의 폭(W)은 권취 코어(2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대략 U자 만곡부(311)는 권취 코어(22)의 외주 형상에 적합하다. 이 절결부(31)의 주연부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탈락 방지부(볼 플런저)(33, 33)가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부(33, 33)는 권취 코어(22) 단면의 중심(R)보다도 절결부가 있는 개방측(도면 상측)에서 권취 코어(22)를 끼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접촉판(3')에 있어서는, 탈락 방지부(33, 33)로서 볼 플런저를 이용하고 있지만,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돌기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고정 밴드」는 권취 코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접촉판이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 접촉판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 고정 밴드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플랜지부에 의해 접촉판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측의 반대면측이 압박된다.
상기「플랜지부」의 형상은 접촉판이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4에 나타내는 고정 밴드(4)에 있어서의 플랜지부(43), 도9에 도시하는 고정 밴드(4')에 있어서의 플랜지부(48) 등의 형상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형성되는 플랜지부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고정 밴드로서는, 예를 들어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1 밴드부 및 제2 밴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권취 코어를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고정 밴드는 제1 밴드부의 한쪽 단부와 제2 밴드의 한쪽 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밴드부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탄성체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접속부, 및 제2 밴드부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밴드부 및 제2 밴드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접촉판을 압박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 및 걸림부의 구성은 이 접속부를 걸림부에 걸림 부착함으로써 고정 밴드를 권취 코어에 고정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부에 있어서의 탄성체로서는 스프링 등을 들 수 있다. 이 탄성체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고정 밴드를 권취 코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접속부가 걸림 부착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 밴드를 권취 코어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밴드부 및 제2 밴드부 중 적어도 한쪽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해 고정 밴드가 권취 코어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 미끄럼 방지층의 재질로서는, 예 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상자부」에는 고정 밴드 및 접촉판이 설치된 권취 부재가 수납된다.
상자부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납되는 권취 부재의 치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그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골판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상자부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장이나 창고 등에 있어서의 포장 구조체의 운반 등의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이 상자부의 하면에는 반송기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형성한 받침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받침대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자부 내에 권취 부재를 수납할 때에는, 수송시 등에 있어서의 권취 부재로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권취 코어 지지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 코어 지지 부재는 상자부에 수납된 권취 부재, 접촉판 및 고정 밴드가 상자부의 내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권취 코어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 권취 코어 지지 부재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그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티로폼, 골판지,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자부에 권취 부재를 수납할 때에는, 접촉판과 권취 코어 지지 부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 부재에 가해지는 수송시의 충격 등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스페이서는 권취 코어 지지 부재와 상자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권취 부재에 관한 수송시의 충 격 등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또는, 상자부의 치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권취 코어의 길이가 다른 권취 부재를 포장할 수 있다.
스페이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촉판과 권취 코어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권취 코어나 고정 밴드의 외주 형상에 맞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하는 스페이서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접촉판과 권취 코어 지지 부재 사이, 및 권취 코어 지지 부재와 상자부의 내측면 사이의 스페이스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때, 두께가 다른 것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 스페이서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로폼, 골판지,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상세를 설명한다. 이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유전체층, 격벽, 전극, 형광체, 저항체,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 등의 구성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이용되는 긴 띠 형상의 전사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사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지지 필름과, 이 지지 필름의 표면에 박리 가능하게 형성된 막 형성 재료층과, 이 막 형성 재료층의 표면에 박리 용이하게 설치된 커버 필름에 의해 구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지지 필름과 막 형성 재료층 사이에 레지스트층이 형성된 것이나, 지지 필름과 막 형성 재료층 사이 및 막 형성 재료층과 커버 필름 사이에 이형제층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커버 필름은 막 형성 재료층의 성질에 따라서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사 필름을 권취한 권취 부재의 중량을 삭감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커버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은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갖는 동시에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 필름이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롤 코터, 블레이드 코터 등에 의해 원료 유리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고, 막 형성 재료층을 롤 형상으로 권취한 상태에서 보존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플로로에틸렌 등의 불소 함유 수지 및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지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 내지 100 ㎛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막 형성 재료층은, 통상 무기 입자, 결착 수지 및 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무기 입자 함유 조성물(이하,「원료 조성물」이라고도 함)을 상기 지지 필름 상에 도포하고, 도포막을 건조하여 용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원료 조성물을 지지 필름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막두께가 큰 도포막(예를 들어 20 ㎛ 이상)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롤 코터, 블레이드 코터, 커튼 코터 및 와이어 코터 등에 의한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원료 조성물이 도포되는 지지 필름의 표면에는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리 기판에의 전사 공정에 있어서, 지지 필름의 박리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원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무기 입자에 있어서의 무기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소결체의 용도[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 요소의 종류(예를 들어, 유전체층, 격벽, 전극, 형광체, 저항체,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용도가「유전체층」또는「격벽」인 경우의 원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무기 입자로서는, 연화점이 400 내지 600 ℃의 범위 내에 있는 유리 분말을 들 수 있다. 이 유리 분말의 연화점이 400 ℃ 미만인 경우에는, 원료 조성물에 의한 막 형성 재료층의 소성 공정에 있어서 결착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이 완전히 분해 제거되지 않은 단계에서 유리 분말이 용융되어 버리므로, 형성되는 유전체층 중에 유기 물질의 일부가 잔류하고, 이 결과, 유전체층이 착색되어 그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유리 분말의 연화점이 600 ℃를 넘는 경우에는 600 ℃보다 고온에서 소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유리 기판에 왜곡 등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유리 분말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1) 산화납, 산화붕소 및 산화규소의 혼합물(PbO-B2O3-SiO2계), (2) 산화아연, 산화붕소, 산화규소의 혼합물(ZnO- B2O3-SiO2계), (3) 산화납, 산화붕소,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의 혼합물(PbO-B2O3-SiO2-Al2O3계), (4) 산화납, 산화아연, 산화붕소, 산화규소의 혼합물(PbO-ZnO-B2O3-SiO2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리 분말은 유전체층 및 격벽 이외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전극, 저항체, 형광체,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 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용도가「전극」인 경우의 원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무기 입자로서는, Ag, Au, Al, Ni, Ag-Pd 합금, Cu, Cr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입자를 들 수 있다.
용도가「저항체」인 경우의 원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무기 입자로서는, RuO2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용도가「형광체」인 경우의 원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무기 입자로서는, Y2O3 : Eu3 , Y2SiO5 : Eu3 , Y3Al5O12 : Eu3 , YVO4 : Eu3 +, (Y, Gd) BO3 : Eu3 , Zn3(PO4)2 : Mn 등의 적색용 형광 물질 ; Zn2SiO4 : Mn, BaAl12O19 : Mn, BaMgAl14O23 : Mn, LaPO4 : (Ce, Tb), Y3(Al, Ga)5O12 : Tb 등의 녹색용 형광 물질 ; Y2SiO5 : Ce, BaMgAl10O17 : Eu2 , BaMgAl14O23 : Eu2 , (Ca, Sr, Ba)10(PO4)6Cl2 : Eu2 , (Zn, Cd)S : Ag 등의 청색용 형광 물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용도가「컬러 필터」인 경우의 원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무기 입자로서는, Fe2O3, Pb3O4 등의 적색용 물질, Cr2O3 등의 녹색용 물질, 2(Al2Na2Si3O10)ㆍNa2S4 등의 청색용 물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용도가「블랙 매트릭스」인 경우의 원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무기 입자로서는, Mn, Fe, Cr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원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결착 수지는 아크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형성되는 막 형성 재료층에는 유리 기판에 대한 우수한 가열 접착성이 발휘된다. 따라서, 원료 조성물을 지지 필름 상에 도포하여 전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얻어지는 전사 필름은 막 형성 재료층의 유리 기판에의 전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아크릴 수지로서는, 적절한 점착성을 갖고 무기 입자를 결착시킬 수 있어, 막 형성 재료층의 소성 처리 온도(예를 들어, 400 ℃ 내지 600 ℃)에 의해 완전히 산화 제거되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결착 수지의 분자량으로서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PC)에 의한 폴리스틸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 2,000 내지 3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00,000이다.
이 결착 수지의 함유 비율은 무기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해 5 내지 4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용제로서는, 무기 입자와의 친화성, 결착 수지의 용해성이 양호하고, 원료 조성물에 적절한 점성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건조됨으로써 용이하게 증발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용제로서, 표준 비등점(1기압에 있어서의 비등점)이 100 내지 200 ℃인 케톤류, 알 코올류 및 에스테르류(이하, 이들을「특정 용제」라 함)를 들 수 있다.
상기 특정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 n-펜타놀, 4-메틸-2-펜타놀, 시클로헥사놀,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알코올류 ; 초산-n-부틸, 초산알루미늄 등의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본산알킬에스테르류 ; 젖산에틸, 젖산-n-부틸 등의 젖산에스테르류 ;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에테르계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틸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메테르에테르, 젖산에틸,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용제 이외의 용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테레빈유, 에틸셀로솔브, 메틸셀로솔브, 테르피네올,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르비톨, 이소프로필알코올, 벤질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용제의 함유 비율은 원료 조성물의 점도를 적합한 범위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무기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해 5 내지 5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용제에 대한 특정 용제의 함유 비율은 50 질량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 이상이다.
이 원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무기 입자의 분산 안정성의 향상, 형성되는 막 형성 재료층에 있어서의 가요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실란 커플링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원료 조성물에는 형성되는 막 형성 재료층에 양호한 가요성과 연소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가소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원료 조성물에는 분산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장력 조정제, 안정제, 소포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임의 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원료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와 광경화성 성분을 갖는 감광성의 것이라도 좋다.
상기 원료 조성물은 상기 무기 입자, 결착 수지 및 용제, 및 임의 성분을 롤 혼련기, 믹서, 호모 믹서, 샌드밀 등의 혼련ㆍ분산기를 이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 얻어지는 원료 조성물의 점도는 300 내지 30,000 cp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1은 권취 코어에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이 권취된 권취 부재가 본 발명의 포장재에 포장된 포장 구조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그 포장 구조체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권취 부재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도3에 있어서의 고정 밴드의 확대도이고, 도5는 그 고정 밴드의 바닥면도이다. 또한, 도6은 그 고정 밴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포장 구조체(1)에 있어서의 상자부(5)에 수납된 권취 부재(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권취 코어(22)와, 이 권취 코어(22)의 외주에 권취된 긴 띠 형상의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이하, 단순히「필름」이라고도 함)(21)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권취 코어(22)의 양 단부는 권취된 필름(21)의 양 단부면(21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권취 부재(2)에 있어서의 필름(21)의 양 단부면(211)에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판(3)이 접촉되어 있고, 또한 이 접촉판(3)은 착탈 가능한 고정 밴드(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2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부재(예를 들어, 유전체층, 전극 등) 형성용 전사 필름이다.
접촉판(3)은 권취된 필름(21)의 외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대략 원 형상의 투명한 아크릴로 된 평판에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31)가 형성된 것으로, 구멍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절결부(31)의 폭(W)은 권취 코어(22)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대략 U자 만곡부(311)는 권취 코어(22)의 외주 형상에 적합하다.
그리고, 이 접촉판(3)은 권취 코어(22)에 절결부(31)의 대략 U자 만곡부(311)가 접촉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촉판(3)의 평면부(33)는 필 름(21)의 단부면(211)에 접촉하고 있다.
고정 밴드(4)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코어(22)의 외주의 대략 절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1 밴드부(41) 및 제2 밴드부(42)와, 각 밴드부(41, 42)에 형성된 플랜지부(43)와, 각 밴드부(41, 42)를 연결하는 힌지부(44)로 이루어진다.
각 밴드부(41, 42)의 내주면(49)에는 미끄럼 방지층(4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밴드부(41)에 있어서의 힌지부(44)의 반대측 단부에는 접속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밴드부(42)에 있어서의 힌지부(44)의 반대측 단부에는 걸림부(47)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3)에는 접촉판(3)의 구멍부(32)와 결합하는 돌출부(431)가 압박면(432)측에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층(45)은 얇은 형상의 고무체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46)는 걸림부(47)에 걸림 부착 가능한 걸림구(461)와, 탄성체(스프링)(462)를 구비하는 레버부(463)를 구비하고 있고,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47)는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걸림구(461)가 걸림 부착되는 선단부(471)가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47)에 있어서의 선단부(471)는 제2 밴드부(42)의 단부와의 사이에 공간(S)이 생기도록[선단부(471)가 제2 밴드부(42)의 단부로부터 부유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걸림구(461)가 걸림 부착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밴드(4)는 돌출부(431)가 접촉판(3)에 있어서의 구멍부(32) 에 결합한 상태에서 접촉판(3)을 플랜지부(43)에 의해 압박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밴드부(41)에 있어서의 접속부(46)의 걸림구(461)가 제2 밴드부(42)에 있어서의 걸림부(47)에 걸림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 밴드(4)는 권취 코어(2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권취 부재(2)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밴드(4), 접촉판(3) 및 권취 부재(2)가 상자부(5)의 내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권취 코어(22)의 양 단부가 권취 코어 지지 부재(6)에 의해 지지되고, 두꺼운 스페이서(71) 및 얇은 스페이서(72, 73)와 함께 상자부(5)에 수납되어 있다.
상자부(5)는 상면에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골판으로 된 하우징이다.
또한, 권취 코어 지지 부재(6)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텍터부(63)와, 지지부 본체(61)와, 지지부 덮개체(62)를 구비하는 것이다.
프로텍터부(63)는 대략 정사각형의 판체의 중심부로부터 원기둥 형상의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돌출부의 외경은 권취 코어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본체(61)는 상방을 개방한 대략 문(門) 형상이고, 프로텍터부(63)를 프로텍터용 절결부(6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지지부 덮개체(62)를 덮개체용 절결부(612)에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또, 지지부 덮개체(62)는 지지부 본체(61)의 덮개체용 절결부(612)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
그리고, 이 권취 코어 지지 부재(6)는 이하의 형태에서 권취 코어(22)를 지지하고 있다.
즉, 프로텍터부(63)에 있어서의 돌출부가 권취 코어(22)의 통부에 삽입되어, 이 프로텍터부(63)가 지지부 본체(61)에 있어서의 프로텍터용 절결부(611)에 결합되고, 또한 지지부 덮개체(62)가 지지부 본체(61)에 있어서의 지지부 덮개체용 절결부(612)에 결합되어 있다.
두꺼운 스페이서(71)는 하방을 개방한 대략 문 형상이고,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얇은 스페이서(73, 72)는 각각 대략 정사각 형상 및 그것에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가 형성된 것이고, 골판지로 이루어졌다.
이들 스페이서(71, 72, 73)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판(3)과 권취 코어 지지 부재(6) 사이, 및 권취 코어 지지 부재(6)와 상자부(5)의 내측면(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름(21)의 단부면(211)이 고정 밴드(4)에 의해 고정된 접촉판(3)에 의해 접촉되어 있으므로, 수송시의 충격 등에 따른 필름(21)의 단부면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밴드(4)에 있어서의 걸림부(47)의 선단부(471)가 제2 밴드부(42)의 단부 사이에 공간(S)이 생기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1 밴드부(41)에 있어서의 걸림구(461)가 걸림 부착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밴드(4)를 권취 코어(22)의 외주에 대해 균질한 힘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해 고정 밴드(4)가 느슨해지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자부(5) 내에는 복수의 스페이서(71, 72, 73)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권취 부재(2)에 가해지는 수송시의 충격 등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권취 부재(2)의 포장시 또는 취출시에는 권취 코어 지지 부재(6)의 지지부 덮개체(62)를 제거함으로써, 상자부(5)의 단부 상방측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삽입하여 권취 부재(2)의 운반 등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구조 및 그 작용 효과 등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자부(9) 및 권취 코어 지지 부재(8)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서로 다르다.
여기서, 도7은 본 발명의 포장재에 권취 부재가 포장된 포장 구조체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8은 그 포장 구조체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에 도시하는 포장 구조체(10)에 있어서, 고정 밴드(4) 및 접촉판(3)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2)가 수납되는 상자부(9)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상자부(91)와, 이 중간 상자부(91)의 하면에 배치된 날개가 부착된 바닥부(92)와, 이 날개가 부착된 바닥부(92)의 이면에 배치된 받침대(94)와, 덮개부(93)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 중간 상자부(91)와 날개가 부착된 바닥부(92)는 각각에 형성된 4군데의 구멍부(95, 95')에 있어서, 연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계지되어 있다.
중간 상자부(91)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이고, 덮개부(93)를 제거하였을 때 에 측면측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중간 상자부(91)의 양 단부면에는 후술하는 지지부 본체(81)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811)와 대략 동일 형상의 절결부(911) 및 구멍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가 부착된 바닥부(92)는 바닥면부(921)와 그 양측으로부터 수직 상승하는 날개부(922)로 이루어지고, 이 날개부(922)에는 상기 중간 상자부(91)에 형성된 구멍부(95)와 동일 형상의 구멍부(95')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부(921)의 이면에는 받침대(94)가 배치된다.
받침대(94)는 상기 바닥면부(921)의 이면에 배치되고, 반송기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941)이 형성된 나무로 된 받침대이다.
덮개부(93)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상자부(91)와, 날개가 부착된 바닥부(92)의 날개부(922)를 덮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중간 상자부(91), 날개가 부착된 바닥부(92) 및 덮개부(93)는 골판지로 이루어졌다.
또한, 권취 부재(2)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밴드(4), 접촉판(3) 및 권취 부재(2)가 상자부(9)의 내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권취 코어(22)의 양 단부(221)가 권취 코어 지지 부재(8)에 의해 지지되고, 얇은 스페이서(72, 73)와 함께 상자부(9)에 수납되어 있다.
권취 코어 지지 부재(8)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 본체(81)와, 지지부 덮개체(82)를 구비하는 것이다.
지지부 본체(81)는 얇은 형상의 보강재가 일면에 부착된 스티로폼으로 된 얇 은 부재가 2매 적층된 적층체이다. 이 지지부 본체(81)에는 권취 코어(22)의 단부 및 고정 밴드(4)를 지지할 수 있는 절결부(811)와, 지지부 덮개체(82)가 결합 가능한 덮개체용 절결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덮개체(82)는 얇은 형상의 보강재가 양면에 부착된 스티로폼으로 된 얇은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부 덮개체(82)는 지지부 본체(81)의 덮개체용 절결부(812)에 결합 가능한 형상이다.
그리고, 이 권취 코어 지지 부재(8)는 이하의 형태로 권취 코어(22) 및 고정 밴드(4)를 지지하고 있다.
즉, 권취 코어(22) 및 고정 밴드(4)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 본체(81)에 있어서의 지지부 덮개체용 절결부(812)에 지지부 덮개체(82)가 결합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자부(9)의 하면에 반송기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삽입 구멍(941)이 형성된 받침대(9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공장이나 창고 등에 있어서 권취 부재(2)가 수납된 포장재[포장 구조체(10)]의 운반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권취 부재(2)의 포장시 또는 취출시에는 권취 코어 지지 부재(8)에 있어서의 지지부 덮개체(81)를 제거함으로써, 상자부(9)의 단부 상방측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삽입하여 권취 부재(2)의 운반 등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면에 의해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용도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한 실시 형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권취 부재(2)에 배치된 고정 밴드(4) 및 접촉판(3) 대신에 도9에 나타내는 면적의 큰 플랜지부(48)를 하나 구비하는 고정 밴드(4'), 및 도9 및 도10에 나타내는 볼 플런저(탈락 방지부)(33)가 배치된 접촉판(3')을 이용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 밴드에 의해 압박 고정된 접촉판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2)는 폴리스틸렌 등으로 이루어진 클린 주머니로 미리 포장한 상태에서 상자부에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재에 따르면,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을 접촉판에 의해 접촉하고, 권취 코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밴드의 플랜지부에 의해 접촉판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해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권취 부재를 전사기에 세트할 때, 고정 밴드 및 접촉판을 장착한 상태에서 소정 부위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 이동시에 발생하는 단부면 어긋남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판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의 상태를 접촉판 너머로 볼 수 있으므로 충분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판이 권취 코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고정 밴드를 착탈할 때에 상기 접촉판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권취 부재의 수납시나 취출시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밴드가 특정한 구조인 경우에는, 고정 밴드를 권취 코어를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접촉하는 접촉판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가, 접속부가 걸림 부착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접촉하는 접촉판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의 각각의 내주면에 미끄럼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해 고정 밴드가 권취 코어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 부재, 접촉판 및 고정 밴드가 상자부의 내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권취 코어의 단부를 지지하는 권취 코어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수송시의 충격 등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판에 있어서의 고정 밴드측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권취 부재에 가해지는 수송시의 충격 등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 부재를 수납하는 상자부의 하면에 반송기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삽입부가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공장이나 창고 등에 있어서, 권취 부재가 수납된 포장재의 운반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 구조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장재에 의해 권취 부재가 포장되어 있으므로,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은 수송시의 충격 등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어 단부면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촉판에 따르면, 권취 코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정 밴드를 착탈할 때에 상기 접촉판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권취 부재의 수납시나 취출시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밴드에 따르면, 권취 코어를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접촉하는 접촉판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송시의 충격 등에 의해 고정 밴드가 권취 코어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를 수납하는 상자부를 구비한 포장재이며,
    상기 상자부 내에는 권취된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평면부가 접촉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측의 반대면측을 압박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권취 코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은 상기 권취 코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포장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1 밴드부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2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취 코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제2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 부착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접속부는 탄성체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속부가 걸림 부착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포장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 중 적어도 한쪽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 내에는 상기 권취 부재, 상기 접촉판 및 상기 고정 밴드가 상기 상자부의 내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권취 코어의 단부를 지지하는 권취 코어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포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과 상기 권취 코어 지지 부재 사이, 및 상기 권취 코어 지지 부재와 상기 상자부의 내측면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포장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의 하면에는 반송기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형성한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재.
  10.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재로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구조체.
  11.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권취 코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평면부가 접촉되는 접촉판이며,
    상기 권취 코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판.
  12. 권취 코어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된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을 구비하는 권취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의 단부면에 접촉된 접촉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권취 코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권취 코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 밴드이며,
    상기 접촉판을 상기 접촉판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기기 부재 형성용 필름측의 반대면측으로부터 압박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1 밴드부와, 상기 권취 코어의 외주의 대략 절반의 길 이를 갖는 단면 원호의 제2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제2 밴드부에 있어서의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 부착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는 탄성체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밴드.
KR1020060047296A 2005-05-27 2006-05-26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구조체 KR20060122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6390A JP4735053B2 (ja) 2005-05-27 2005-05-27 当接板、それを備える梱包材及び梱包構造体
JPJP-P-2005-00156390 2005-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48A true KR20060122748A (ko) 2006-11-30

Family

ID=3744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296A KR20060122748A (ko) 2005-05-27 2006-05-26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35053B2 (ko)
KR (1) KR20060122748A (ko)
CN (1) CN1868828B (ko)
TW (1) TW2007145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6747A (ja) * 2010-11-15 2012-06-07 Asahi Glass Co Ltd ロール状物品の梱包容器
KR101919629B1 (ko) * 2011-07-19 2018-11-16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박판 유리의 권취 장치 및 수용 장치
CN102951360A (zh) * 2011-08-19 2013-03-06 新兴重工湖北三六一一机械有限公司 一种管状工件锁紧机构
JP2014126823A (ja) * 2012-12-27 2014-07-07 Asahi Kasei E-Materials Corp 感光性樹脂捲回体の梱包物
DE102013215654A1 (de) * 2013-08-08 2015-02-12 Schott Ag Verpackungseinheit für ein auf einen Wickelkern aufgerolltes Glas
CN104852063B (zh) * 2014-02-13 2018-01-12 旭化成株式会社 卷状高分子电解质膜包装体及其制造方法、以及捆包物
JP6531451B2 (ja) * 2015-03-23 2019-06-1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搬送用フィルムロール梱包体
CN105416848A (zh) * 2015-12-05 2016-03-23 重庆创隆实业有限公司 曲轴包装用定位盒
CN107565080B (zh) * 2016-06-30 2022-06-07 住友化学株式会社 隔膜卷芯、隔膜卷绕体、以及隔膜卷绕体的制造方法
TW201827303A (zh) * 2016-11-29 2018-08-01 美商康寧公司 用於運送玻璃捲軸的板條箱組件
JP6894349B2 (ja) * 2017-11-13 2021-06-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配線部スペーサ
WO2019220997A1 (ja) * 2018-05-15 2019-11-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梱包体、及びその作製方法
KR200497172Y1 (ko) * 2019-11-13 2023-08-18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동박용 수납장치
CN111520379B (zh) * 2020-05-13 2021-09-10 瑞安市宏泰包装有限公司 一种覆盖膜的侧边叠合连接机器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717A (en) * 1984-07-09 1986-03-04 Hps Corporation Toggle clamp
JPS63143620A (ja) * 1986-12-05 1988-06-15 Nec Corp デ−タ転送方式
US5904329A (en) * 1994-12-13 1999-05-18 Canon Kabushiki Kaisha Roll-paper supporting member
JP2003206072A (ja) * 2002-01-11 2003-07-22 Toray Ind Inc 巻物受け具及びそれを用いた巻物ユニット
JP2004161314A (ja) * 2002-11-12 2004-06-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搬送用架台
JP4196771B2 (ja) * 2003-07-23 2008-12-1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ロール状物梱包ユニット、ロール状物梱包体およびロール状物梱包方法
JP4241289B2 (ja) * 2003-08-01 2009-03-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極板テープロールの梱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8828B (zh) 2010-05-26
TW200714533A (en) 2007-04-16
JP4735053B2 (ja) 2011-07-27
JP2006327659A (ja) 2006-12-07
CN1868828A (zh)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2748A (ko) 접촉판, 그 고정 밴드, 이들을 구비하는 포장재 및 포장구조체
KR20060122747A (ko) 포장 상자 및 포장 구조체
CN101899273B (zh) 粘合剂组合物、粘合片类和表面保护薄膜
AU2002254368B2 (en) Carbon nanotubes in structures and repair compositions
JP2005199562A (ja) テープ部材或いはシート部材並びにテープ部材或いは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EP3246962A1 (en) Oled device, encapsulating method and encapsulating apparatus thereof
WO2004062870A1 (en) Flexible mol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ne structures
JP2009202918A (ja) 梱包構造体
US6893803B2 (en) Barrier rib of plasma display panel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7018771B2 (en) Material transfer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strate for plasma display
JPWO2008149748A1 (ja) 無機粒子含有組成物、無機物層の形成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60131784A1 (en) Flexible mol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ne structures
JP2001207152A (ja) 封着用材料および封着されたガラス構造体
KR100852295B1 (ko) 무기 입자 함유 조성물, 전사 필름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JP4103116B2 (ja) 積層シート、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基板の製造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基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225218A (ja) 積層シート、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基板の製造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基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74489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20262650A1 (ja) ロール体、梱包体、保護フィルム、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TWI288700B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lm layered products and plasma display panels
KR102257990B1 (ko) 대전 방지성 이형 필름
JP2002037968A (ja) 画面品位向上機能を有する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画面品位向上エレメント
JP2008007559A (ja) 無機粉体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部材の製造方法
JP2002347714A (ja) 吸湿性フィルムを包装する方法
KR20230106199A (ko) 이방도전성 접착필름이 권취된 릴체
JP3484216B2 (ja) 電子部品外装用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