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821A -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 Google Patents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821A
KR20060121821A KR1020067003716A KR20067003716A KR20060121821A KR 20060121821 A KR20060121821 A KR 20060121821A KR 1020067003716 A KR1020067003716 A KR 1020067003716A KR 20067003716 A KR20067003716 A KR 20067003716A KR 20060121821 A KR20060121821 A KR 20060121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guide member
cam
yarn guide
needl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153B1 (ko
Inventor
마사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12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캐리지를 대형화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얀 가이드 부재를 니들베드 갭 간극부로부터 진퇴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얀 피더로부터의 편사를 공급받은 편침을 당겨 스티치의 형성 정도를 설정하는 스티치 캠을 스티치 조절이 가능하게 캐리지에 설치하고, 스티치 캠이 스티치 형성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 측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티치 캠이 스티치를 편성하지 않는 스티치 캠 정지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 측에서부터 니들베드 측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를 연동수단으로 연결한다.

Description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MEMBER}
본 발명은 얀 가이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얀 가이드를 진퇴(進退) 조작 가능하게 하는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니들베드 갭부(needle bed gap部)를 대향시키는 상태로 전후에 니들베드를 설치하고, 얀 피더(yarn feeder)로부터 급사(給絲)된 편사(編絲)가 캐리지(carriage)의 편성용 캠(cam)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 간극부(間隙部)로 진출한 편침에 확실하게 걸리게 하기 위하여, 편사를 소정의 낮은 위치로 안내하는 얀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것이 있다.
그런데 얀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는 니들베드 갭 부분이 협소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스티치 프레서(stitch presser)가 스티치를 가압하기 위하여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 진출했을 때에 얀 가이드 부재와 충돌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스티치 프레서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 진출하여 스티치를 가 압하는 때에는, 얀 가이드 부재를 구동수단(驅動手段)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서 니들베드 측으로 후퇴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6-72347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 얀 가이드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캐리지에 장착된 구동용 모터로서, 스티치 프레서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로 진출할 때에만 이것에 연동하여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부분으로부터 니들베드 측으로 순간적으로 진퇴하도록 한 구성으로서, 캐리지가 통과하는 특정구역의 얀 가이드 부재를 적절하게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서 니들베드 측으로 진퇴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없다.
또한 동(同)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 프레서를 통하여 얀 가이드 부재를 조작하는 구동용 모터를 캐리지에 설치하도록 한 것에서는, 캐리지가 대형화 될 뿐만 아니라 질량도 증가하고 왕복 구동시의 관성도 커지게 됨으로써 구동장치의 출력도 클 것을 요하므로, 고속으로 빈번하게 왕복 운동을 반복하는 장갑이나 양말, 그 밖의 좁은 편성폭의 니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편성기에는 적당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장갑이나 양말 등의 편제품 뿐만 아니라, 편성기 상에서 가능한 한 완성품에 가깝게 편성하고 후공정(後工程)의 생력화(省力化)를 꾀하는 것이 중요시되어, 장갑의 손끝이나 편사절환 등의 편성시작 및/또는 편성종료에 발생하는 끝실을 자동으로 포착, 절단하여 편성포 내로 삽입하기 위한 부재, 또는 기타 생력화를 위한 편성 보조 부재를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 적당하게 배치할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캐리지가 대형화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는, 니들베드에 니들 플레이트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니들 플레이트 간에 편침을 캐리지에 의하여 진출 및 후퇴 조작 가능하게 나란하게 설치한 니들베드를 그 니들베드 갭 부분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전후에 설치하고, 당해 편침을 진퇴 슬라이딩 시키는 캐리지를 각 니들베드 상에 각각 주행 가능하게 설치하고, 니들베드 갭부분에는 얀 피더로부터 급사된 편사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얀 가이드 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얀 피더로부터의 편사를 공급받은 편침을 당겨 스티치의 형성 정도를 설정하는 스티치 캠을 스티치 조절이 가능하게 캐리지에 설치함과 아울러, 스티치 캠이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티치형성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 측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티치 캠이 스티치를 편성하지 않는 스티치 캠 정지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서 니들베드 측으로 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를 연동수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캐리지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스티치 캠의 어느 일방의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를 연동수단으로 연결하거나, 연동수단이, 스티치 캠에 형성된 홈 캠과, 그 홈 캠에 일단이 결합하여 회전 조작되는 조작 벨 크랭크과, 일단이 조작 벨 크랭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중간부를 회전축에 피벗 지지된 회전 암과, 회전 암의 타단으로 승강 조작되는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으로 구성하거나, 스티치 캠이 캐리지 밖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횡편기의 니들베드 갭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실시예1)
도2는, 캐리지의 캠군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실시예1)
도3은,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의 연동수단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실시예1)
도4는, 도2의 X-X선 단면도이다.(실시예1)
도5는, 얀 가이드를 니들베드 갭 부분으로 진출시켰을 때의 캠군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실시예1)
도6은, 얀 가이드가 니들베드 갭 부분으로 진출한 상태의 측면도이다.(실시예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횡편기 2…니들베드
3…니들 플레이트 4…편침
5…얀 가이드 부재 6…캐리지
13…스티치 캠 35…얀 피더
T…니들베드 갭 간극부
캐리지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스티치 캠(stitch cam)은 캐리지 밖에 설치된 구동수단으로 개별적으로 승강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좌우 어느 일방의 스티치 캠의 위치에 의하여 얀 가이드 부재가 진퇴 가능하도록 좌우 어느 하나의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를 연동수단으로 연결하고, 그 스티치 캠이 편성시에 있어서의 선행 측(편성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는 측) 또는 후행 측(스티치를 편성하는 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캐리지의 슬라이딩 방향을 설정하여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의 소형, 경량화가 실현된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횡편기에 있어서의 니들베드 갭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면 중의 부호1은 횡편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이 횡편기1은 니들베드2의 상방에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캐리지6이 배치되고, 니들베드2에는 니들 플레이트3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니들 플레이트3/3 간에는 콤파운드 니들(compound needle) 형식의 편침4 및 얀 가이드 부재5를 복수 개 각각 개별적으로 진출 및 후퇴 조작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하고, 편침4의 니들베드 갭부끼리가 근접하는 상태로 측면에서 볼 때 팔자 모양으로 니들베드2를 대향시킨다.
니들베드2의 선단부(先端部)에는 캐리지6에 의하여 회전 조작되는 이동 싱커(移動 sinker)7이 설치됨과 아울러 니들 플레이트3/3의 니들베드 갭부끼리간에는 니들베드 갭 간극부(needle bed gap 間隙部)T가 형성되고, 양쪽 니들베드2의 편침4 및 얀 가이드 부재5는 캐리지6 내의 캠군(cam群) 등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도2는, 니들베드2의 편침4를 진퇴 조작하여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캐리지6에 장착된 캠군의 개략을 나타내는 전개도로서, 도면 중의 부호8은 니팅 캠(knitting cam), 부호9는 얀 가이드 부재5의 진퇴를 제어하는 얀 가이 드 부재 제어 캠, 부호10은 상기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후술하는 스티치 캠13의 동작에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이다.
얀 가이드 부재5는, 선단부분이 편침4의 훅(hook)4a의 선단 근방에 위치하고, 선단 하면(下面)에는 니들베드 갭 간극부T로 진출했을 때에 편사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면5b가 형성됨과 아울러, 캐리지6의 캠군 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로드(操作rod) 부분5c에는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의 홈 캠9a에 걸리는 버트(butt)5d가 형성되어 있다(도3 참조).
니팅 캠8은, 산 모양을 한 니들 레이징 캠(needle raising cam)11과, 니들 레이징 캠11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브리지 캠(bridge cam)12와, 브리지 캠12의 양 측에 그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스티치 캠13/13을 구비하고, 니들 레이징 캠11과 브리지 캠12 및 스티치 캠13/13의 사이에 편침4의 버트14가 통과하는 캠 궤도15가 형성되어서 구성되어 있다(도2 참조).
캐리지6의 캠 플레이트6a에 슬라이딩 구멍16을 팔자형(八字形)으로 형성하고, 각 슬라이딩 구멍16/16에 각각 슬라이딩 부재17a/17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고, 스티치 캠13은 이 슬라이딩 부재17a/17b의 이면(裏面) 측(니들베드 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17a/17b의 표면 측(캐리지의 내측) 부분에는, 후술하는 스티치 설정용 링크18이 연결되는 핀19가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一端)이 캐리지6의 캠 플레이트6a에 연결되고 스티치 캠 인하용(引下用)인 스 프링20의 타단(他端)이 연결되는 훅2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20의 장력(張力)에 의하여 스티치 캠13이 항상 하방(下方)으로 끌어 내려지도록 가압되고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캐리지6은 화살표A가 나타내듯이 우측 방향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으로서, 좌측 방향의 스티치 캠13이 선행 측의 스티치 캠13이 된다.
각 스티치 캠13을 승강 조작, 즉 스티치의 형성정도를 조절하는 스티치 설정용 링크18은, 선단이 상기 핀19에 결합되는 조작 암(操作 arm)22와, 조작 암22의 지축(支軸)23을 공유하는 회전 암24와, 회전 암24의 선단에 연결된 승강 로드(昇降 rod)25a/25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좌우의 승강 로드25a/25b는 그 하단부에 부착된 롤러26a/26b가 가이드 레일35에 설치된 2개의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27b에 의하여 밀어 올려질 수 있게 되어 있다(도1 참조).
따라서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27b는 좌우의 승강 로드25a/25b를 개별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이면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의 이동 조작 수단에 관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지만,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3-18516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조의 것이 사용된다.
즉 횡편기의 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스텝 모터를 니들베드의 일단부에 설치하고, 스텝 모터의 회전축에 나선홈 캠을 부착하고,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의 단부를 나선홈 캠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27b에 경사진 긴 구멍을 형성하여 이 긴 구멍과 가이드 레일35에 설치한 핀을 결합시킴으로써,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27b가 좌우로 이동하면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27b의 높이가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는, 캠 플레이트6a의 이면(니들베드 측)에 고정된 얀 가이드 부재 안내 캠37과 캠 플레이트6a로 가이드 되어서 상하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니들베드 측의 면에는 얀 가이드5의 버트5a에 결합되는 홈 캠9a가 설치되고, 캠 플레이트6a 측의 면에는 후술하는 연동수단10에 결합되는 결합 홈9b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곳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스티치 캠13의 동작에 연동시키는 연동수단10은, 도2 내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홈 캠9a가 설치된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승강 조작하는 회전 암28a/28b와, 회전 암28a를 선행의 스티치 캠13에 연동하여 회전 조작하는 L자형의 조작 벨 크랭크(操作 bell crank)29와, 그 L자형의 조작 벨 크랭크29를 일방(도면상에서는 좌측)의 스티치 캠13에 연동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 부재17a에 형성된 캠 홈3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자형의 조작 벨 크랭크29는 구부러진 중간부를 회전 피벗 지지점30으로 하여, 일단이 스티치 캠13의 슬라이딩 부재17a의 표면 측 상단부 분에 형성된 캠 홈31에 캠 롤러43을 통하여 결합함과 아울러 타단이 회전 암28a의 상단부에 연결된다(도3 및 도4 참조).
회전 암28a는 그 중간부가 회전축36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고, 하단부 및 회전축36의 타단 측의 회전 암28b가 캐리지6의 캠 플레이트6a의 관통 홈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상하 승강될 수 있도록 캠 플레이트6a의 이면(니들베드 측)에 설치된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 홈9b에 그 선단부분이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2에 화살표A가 나타내듯이 캐리지6이 우측 방향에서부터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경우에, 얀 가이드 부재5를 니들베드 갭 간극부T로부터 후퇴한 상태로 지지할 때에는 캐리지6의 슬라이딩에 앞서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가 그 이동 조작수단으로 소정의 높이로 설정된다.
이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가 상승하면 롤러26a, 승강 로드25a 및 조작 암22를 통하여 좌측 방향의 스티치 캠13이,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는 스티치 캠 정지 측의 위치로 상승된다.
선행 측의 스티치 캠13이 상승하면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17a의 표면 측 상단부분에 형성된 캠 홈31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캠 롤러43에 의하여 조작 벨 크랭크2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조작용 벨 크랭크29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 벨 크랭크29와의 회전 암28a의 결합단이 회전축36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상에서 상방(니들베드 갭 측)으로 회전하고, 회전 암28b의 선단이 회전축36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상에서 하방(니들베드 갭 측과는 반대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도면상에서 하방, 즉 니들베드 갭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한다.
그리고,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가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캐리지6이 니들베드2 상을 슬라이딩 하면 이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의 홈 캠9a에 결합되는 버트5d를 끌어내릴 수 있으므로, 얀 가이드 부재5는 도3과 같이 니들베드 갭 간극부T로부터 후퇴한 상태가 되고 니들베드 갭 간극부T가 크게 개구(開口)된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오버 얀 등의 끝실을 처리하기 위한 실 삽입부재33이 니들베드 갭 간극부T로 캐리지6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도 얀 가이드 부재5의 선단과 충돌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얀 가이드 부재5를 니들베드 갭 간극부T로부터 니들베드2 측으로 후퇴시키는 캐리지6의 코스는, 편성 정지의 코스 또는 연동수단10에 연결된 측의 스티치 캠13이 편성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는 선행 측이 되는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쪽(후행 측)의 스티치 캠13은 연동수단10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b의 이동수단10에 의하여 롤러26b, 승강 로드25b, 조작 암22 및 슬라이딩 부재17b를 통하여 임의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5에 화살표A, B가 나타내듯이 캐리지6이 우측 방향으로부터 좌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경우에, 좌우 양방의 스티치 캠13을 편성영역으로 설정하고 얀 가이드 부재5를 니들베드 갭 간극부T로 진출시킬 때에는,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27b의 이동 조작 수단으로 도2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5에 나타내는 원하는 위치로 하강시킨다.
이 스티치 캠 제어용 플레이트27a/27b가 하강하면 롤러26a, 26b, 승강 로드25a, 25b 및 조작 암22를 통하여 좌우의 스티치 캠13이 하강하여 소정의 스티치 위치가 된다.
선행의 스티치 캠13이 하강하면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17a의 표면 측 상단부분에 형성된 캠 홈31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캠 롤러43에 의하여 조작 벨 크랭크2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조작용 벨 크랭크29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 벨 크랭크29와의 회전 암28a의 결합단이 회전축36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상에서 하방(니들베드 갭 측과는 반대)으로 회전하고, 회전 암28a의 하단부 및 회전 암28b도 선단이 회전축36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상에서 상방(니들베드 갭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도면상에서 상방, 즉 니들베드 갭 측의 방향으로 이동 조작한다.
그리고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캐리지6 이 니들베드2 상을 슬라이딩 하면 이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의 홈 캠9a에 결합하는 버트5d를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얀 가이드 부재5는 도3의 상태로부터 도6과 같이 니들베드 갭 간극부T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얀 피더35로부터 급사된 편사는 선단의 가이드면5b로 안내되어서 편침의 훅4a의 선단 근방 위치로 안내되므로, 그 직후에 편침의 하강과 함께 진출하는 슬라이더36에 의하여 훅4a가 닫혀도 편사는 훅4a에 확실하게 걸리고, 그 후에 후행의 스티치 캠13으로 편침4가 소정량 삽입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스티치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니팅 캠8의 좌우 어느 일방(실시예에서는 좌측 방향)의 스티치 캠13에 연동수단10을 설치하고 상기 스티치 캠13의 승강 위치를 이용함으로써, 특별한 구동기구나 제어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조작하여 얀 가이드 부재5의 진퇴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좌측 방향의 스티치 캠13과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연동수단10으로 연결하여 얀 가이드 부재5를 조작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우측 방향의 스티치 캠13과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9를 연동수단10으로 연결하여 얀 가이드 부재5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원발명의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는, 얀 피더로부터 편사를 공급받은 편침을 당겨 스티치의 형성 정도를 설정하는 스티치 캠(stitch cam)을 스티치를 조절할 수 있게 캐리지에 설치함과 아울러, 스티치 캠이 스티치 형성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 측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티치 캠이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는 스티치값 제로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서 니들베드 측으로 이동하도록,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를 연동수단으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스티치 캠으로 스티치를 조정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시에는 얀 가이드 부재를 니들베드 갭 간극부로 진출시킬 수 있고, 한편 스티치 캠으로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는 스티치 캠 정지시에는 즉 스티치를 삽입하지 않는 상태로 스티치 캠을 이동시켰을 때에는, 얀 가이드 부재를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서 니들베드 측으로 후퇴시킴과 아울러 이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성시작 및 편성포의 편성종료에 발생하는 끝실을 자동으로 편성포 내로 삽입하기 위한 편성 보조 부재를 적당하게 배치할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4)

  1. 니들베드(needle bed)에 니들 플레이트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니들 플레이트 간에 편침을 캐리지(carriage)에 의하여 진출 및 후퇴 조작 가능하게 나란하게 설치한 니들베드를 그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 부분을 대향시킨 상태로 전후에 설치하고, 당해 편침을 진퇴 슬라이딩 시키는 캐리지를 각 니들베드 상에 각각 주행 가능하게 설치하고, 니들베드 갭 부분에는 얀 피더(yarn feeder)로부터 급사된 편사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얀 가이드 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얀 피더로부터 편사를 공급받은 편침을 당겨 스티치의 형성 정도를 설정하는 스티치 캠(stitch cam)을 스티치 조절이 가능하게 캐리지에 설치함과 아울러, 스티치 캠이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티치 형성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needle bed gap 間隙部) 측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티치 캠이 스티치를 편성하지 않는 스티치 캠 정지 측으로 이동하면 가동 얀 가이드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극부에서 니들베드 측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를 연동수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캐리지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스티치 캠의 어느 일방의 스티치 캠과 얀 가이드 부재를 연동수단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동수단이, 스티치 캠에 형성된 홈 캠과, 그 홈 캠에 일단이 결합하여 회전 조작되는 조작 벨 크랭크(操作 bell crank)와, 일단이 조작 벨 크랭크의 타단에 연결되고 중간부가 회전축으로 피벗 지지된 회전 암(回轉 arm)과, 회전 암의 타단으로 승강 조작되는 얀 가이드 부재 제어 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티치 캠이 캐리지 밖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20067003716A 2003-09-02 2004-08-24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102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9765 2003-09-02
JP2003309765A JP4015978B2 (ja) 2003-09-02 2003-09-02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821A true KR20060121821A (ko) 2006-11-29
KR101025153B1 KR101025153B1 (ko) 2011-03-31

Family

ID=3426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716A KR101025153B1 (ko) 2003-09-02 2004-08-24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07194B2 (ko)
EP (1) EP1662032B1 (ko)
JP (1) JP4015978B2 (ko)
KR (1) KR101025153B1 (ko)
CN (1) CN100554554C (ko)
DE (1) DE602004023860D1 (ko)
WO (1) WO2005024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1335B2 (ja) * 2006-06-30 2011-12-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US8001809B2 (en) * 2007-09-04 2011-08-23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Lightweight robust thin flexible polymer coated glove
US8074436B2 (en) * 2008-01-23 2011-12-13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Cut, oil and flame resistant glove and a method therefor
GB0906727D0 (en) * 2009-04-20 2009-06-03 Midas Safety Inc Foamed polymer
DE102010017946B4 (de) * 2010-04-22 2013-10-10 H. Stoll Gmbh & Co. Kg Schlosssystem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CN101962866B (zh) * 2010-10-28 2011-09-1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沉降片控制装置
KR101227238B1 (ko) 2011-08-19 2013-01-28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를 위한 직접 구동 보조 실 가이드 장치
JP5757830B2 (ja) * 2011-09-13 2015-08-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横編機のスライダー制御方法
CN102534987B (zh) * 2011-12-23 2013-12-18 东阳市金艺科技有限公司 三工位编织三角系统
CN102517787A (zh) * 2011-12-28 2012-06-27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度目三角的传动机构
CN104160080B (zh) * 2012-03-01 2016-06-08 尚和手套株式会社 手套制造方法、涂层手套制造方法、手套和涂层手套
CN102787438B (zh) * 2012-08-23 2013-11-06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电脑针织横机翻针三角机构
WO2014209596A1 (en) * 2013-06-25 2014-12-31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US20140373389A1 (en) * 2013-06-25 2014-12-25 Nike, Inc. Braided Upper With Overlays For Article Of Footwear
US10863794B2 (en) 2013-06-25 2020-12-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CN103485052A (zh) * 2013-09-18 2014-01-01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中翻针位和吃线位的调节装置
US10674791B2 (en) 2014-12-10 2020-06-09 Nike, Inc. Braided article with internal midsole structure
US9668544B2 (en) 2014-12-10 2017-06-06 Nike, Inc. Last system for articles with braided components
US20160345675A1 (en) 2015-05-26 2016-12-01 Nike, Inc. Hybrid Braided Article
US10555581B2 (en) 2015-05-26 2020-02-11 Nike, Inc. Braided upper with multiple materials
US11103028B2 (en) 2015-08-07 2021-08-31 Nike, Inc. Multi-layered braid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CN106222870B (zh) * 2016-09-27 2018-10-26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织袜机提针连杆机构
US11051573B2 (en) 2017-05-31 2021-07-06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202483B2 (en) 2017-05-31 2021-12-21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0806210B2 (en) 2017-05-31 2020-10-20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CN108239820B (zh) * 2018-02-11 2023-12-22 郑州市君芝友纺织品有限公司 一种电脑针织横机
CN108842279A (zh) * 2018-08-31 2018-11-20 泰州市天圣针织机械实业有限公司 一种电机款单双山板
CN110016753B (zh) * 2019-04-27 2024-03-22 石狮市汇星机械有限公司 一种改进型针织圆形纬编机
CN115045033B (zh) * 2022-07-04 2024-01-23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织领机用线头钩藏处理方法及织领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1A (ja) * 1989-06-02 1991-01-16 Shima Seiki Seisakusho:Kk Vベツド横編機における編地プレツサー
US5230273A (en) * 1990-07-25 1993-07-27 Trw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to a power steering actuator
JPH0672347B2 (ja) * 1990-08-22 1994-09-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揺動シンカーとプレッサーバーを有する横編機
DE4337776A1 (de) * 1993-11-05 1995-05-11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mit Nadeln und Platinen
JP3201904B2 (ja) * 1994-03-29 2001-08-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JP3140990B2 (ja) * 1997-08-11 2001-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ループ形成プレートを備えた横編機
JP3044373B2 (ja) 1997-09-12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およびループプレッサーを用いた編地編成方法
DE602004032012D1 (de) * 2003-02-05 2011-05-12 Shima Seiki Mfg Maschenpresser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KR101941004B1 (ko) * 2013-03-25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절 t 세포로의 분화 유도 및 증식 촉진을 통한 면역 반응 억제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76155A (ja) 2005-03-24
JP4015978B2 (ja) 2007-11-28
KR101025153B1 (ko) 2011-03-31
CN100554554C (zh) 2009-10-28
EP1662032A1 (en) 2006-05-31
US7207194B2 (en) 2007-04-24
WO2005024106A1 (ja) 2005-03-17
DE602004023860D1 (de) 2009-12-10
CN1846022A (zh) 2006-10-11
EP1662032A4 (en) 2007-01-24
EP1662032B1 (en) 2009-10-28
US20060260365A1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153B1 (ko)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JP4944015B2 (ja)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横編機
KR102226578B1 (ko) 횡편기
JP4125319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JP5010588B2 (ja) インターシャ柄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KR101065245B1 (ko)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EP257053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compound needle, and slider control method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KR20030023755A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2006183181A (ja)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CN113265752B (zh) 编织物的编织方法
CZ20032801A3 (cs) Okrouhlý jednolícní pletací stroj pro výrobu plyšové pleteniny
JPS5851538B2 (ja) 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