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284A - 전원 유닛을 가지는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유닛을 가지는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284A
KR20060121284A KR1020067013636A KR20067013636A KR20060121284A KR 20060121284 A KR20060121284 A KR 20060121284A KR 1020067013636 A KR1020067013636 A KR 1020067013636A KR 20067013636 A KR20067013636 A KR 20067013636A KR 20060121284 A KR20060121284 A KR 2006012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unit
circuit arrangement
switch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907B1 (ko
Inventor
울프강 허만
미챌 메이츠너
진-폴 루벨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12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Rectifiers (AREA)
  • Relay Circuit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회로 장치는 전원 유닛(I,II,III), 메인 스위치(S1) 및 스위칭 요소(R1), 예컨대 메인 스위치(S1)의 제1 스위칭 접점(contact)을 연결하는 릴레이(relay)를 가진다. 부하(L)는 스위칭 요소(R1)의 제어 터미널에 연결되어서, 제어 전압(US)은 스위칭 요소(R1)를 개방할 목적으로 턴오프 된다. 회로 장치는 특히 전원 유닛(I)에 의한 동작 전압(U1)이 인가되고, 스위칭 요소(R1)의 제어를 위해서 스위칭 요소(R1)의 제어 터미널(4)에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UP)를 포함한다. 예컨대, 부하(L)는 회로 장치가 메인 스위치(S1)에 의해서 스위치 오프될 때 지연된 방식으로 스위치오프 되는 팬(fan)이다.

Description

전원 유닛을 가지는 회로 장치{CIRCUIT ARRANGEMENT HAVING A POWER SUPPLY UNIT}
본 발명은 전원 유닛, 메인 스위치, 그리고 메인 스위치의 제1 스위칭 접점(contact)을 연결하는 스위칭 요소를 가지는 회로 장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런 유형의 회로 장치는 한 예로서 소비자 전자 장치에 관련된 디바이스에서 사용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소비를 가지는 디바이스에 대해서, 본선 전원의 고조파 전류(harmonic current)에 관한 특정 규격은 한편 다양한 국가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에 의한 전기 본선의 조화 로딩(harmonic loading)은 소위 파워 요소에 의해서 상술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드 전원 유닛은 만일 그들이 전력 요소를 개선 시키기 위한 대응 회로 수단을 가지지않는다면 본선 전원에서의 고조파 전류에 이르는 본선 전원의 강한 펄스 로딩을 초래한다.
높은 전력 요소를 가지는 스위치 모드 전원 유닛은 한 예로서 EP-A-0 700 145 및 US 5,986,898에 개시된다. 전원 유닛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가능성은 전원 유닛의 입력 지역에서 코일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코일은 예로서 메인 주파수 코일 또는 전력 요소 코일로서 알려져 있고 전원 유닛을 통해서 펄스 로 딩을 확장하는 인덕터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코일을 가진 스위치 모드 전원 유닛이 WO 01/052908 A2 및 WO03/090335 A1에서 한 예로서 개시된다.
한편, 특정 구성요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fans), 예컨대 높은-전력 램프를 가지는 램프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팬은 소비자 전자 장치에 관한 디바이스에서 더욱더 빈번하게 장치되어 왔다. 높은-전력 램프들은 특히 백(back) 프로젝터 또는 소위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빔머(beamer)에서 사용된다. 이들에 대해서, 제조업자들은 충분한 서비스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가 턴 오프된 후 램프 유닛을 냉각하기 위해서 예컨대 1-2 분 동안과 같은 특정시간을 명시한다.
팬의 런-온(run-on)는 만일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정상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만일 상기 디바이스가 완전히 메인 스위치로 완전히 스위치 오프 된다면, 특정 회로수단은 충분히 긴 시간 동안 팬의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서 존재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장치가 메인 스위치에 의해서 턴-오프될 때 특정시간 동안, 부하, 특히 팬의 지연된 스위치-오프를 보장하는 전에 언급된 유형의 회로 장치를 명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한 회로 장치을 위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발전은 종속 청구항에서 상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은 전원 장치, 메인 스위치, 그리고 메인 스위치의 스위칭 접점을 연결하는 스위칭 요소를 가진다. 이런 경우에, 부하, 특히 팬은 스위칭 요소가 오픈될 때, 부하가 동시에 턴오프되도록, 스위칭 요소의 제어 터미널에 연결된다.
스위칭 요소는 특히, 회로 장치가 스위치 오프될 때 이 경우, 또한 전원 유닛이 메인 스위치에 의해서 스위치 오프될 때 특정 시간 동안 메인 전원에의 연결을 유지하는 릴레이(relay)이다. 스위칭 요소의 제어 터미널에 연결되는 부하에 의해서, 부하는 동시에 스위치-오프 후에 한정된 시간 동안 동작을 여전히 유지해서, 성분들이 부하로서 팬을 사용할 때, 회로 장치이 턴 오프된 후, 한 예로서 충분한 시간 동안 냉각될 수 있다. 스위칭 요소를 경유한 지연된 스위치-오프는 역률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 요소 코일에 저장된 에너지가 감소 되는 것을 동시에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회로 장치는 예컨대 스탠바이 모드 동안 더 낮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제1 전원 유닛과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정상 모드에서만 동작하는 더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제2 전원 유닛을 가진다. 이런 경우, 제어기는 제1 전원 유닛에 의해서 동작 전압을 공급받아, 스탠바이 모드에서조차 동작 상태에 있다. 만일 상기 디바이스가 메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 오프된다면, 제어기는 릴레이와 같은 스위칭 요소를 경유하여, 예컨대 일 내지 이분 동안의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제1 전원 유닛의 동작을 유지한다. 상기 시간은 특히 팬에 의해서 부하가 충분히 냉각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동시에, 지연된 턴-오프는 전력 요소 코일로 인한 메인 스위치의 지나친 마모를 예방한다.
회로 장치은 DLP(digital light processing)유닛을 사용하는 후방 프로젝션 텔레비젼 세트에서 특히 사용된다. 후자는 디바이스가 턴오프된 후에 미러 회로가, 특히,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약 2분 동안 여전히 냉각되어야만 하는 높은 전력 램프와 집적 미러 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한 예로서 중요한 데이터가 디바이스가 스위치 오프된 후에 여전히 저장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수적인 컴퓨터-제어 디바이스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한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약 50 마이크로 초가 필요하다. 런-온(run-on) 시간은 상대적으로 큰 양의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한 예로서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전원 유닛, 메인 스위치, 릴레이 및 부하를 가지는 회로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회로 장치를 도시하지만, 메인 스위치의 스위칭 접점은 주요 면에서의 공급전압을 스위치 오프 하는데만 사용된다.
도 1은 제1 전원 유닛(I), 메인 스위치(S1), 그리고 스위칭 요소,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릴레이(R1)를 가지는 회로 장치을 도시한다. 전원 유닛(I)에는 메인 터미널(NA)에 연결된 정류기(BR), 예컨대 브릿지 정류기를 경유하여 알려진 방식으로 DC 전압(U+)이 인가되며, 상기 전압은 230볼트의 메인 AC 전압을 가정하면 예로서 약 300 볼트이다. 정류기(BR)와 메인 터미널(NA) 사이에 역률 보정을 위한 전력 요소 코일(LS)이 배치된다. 이 경우, 전력 요소 코일(LS)은 메인 전압 피드 라인과 메인 전압 리턴 라인에 장치될 수 있다. 하지만, 정류기(BR)과 그 하류에 연결된 저장 커패시터 사이에 전력 요소 코일을 배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정류기(BR)는 더욱 제2 전원 유닛(II)과 제3 전원 유닛(III)에 공급 전압(U+)을 인가한다. 이 경우, 제1 전원 유닛(I)은 특히 스탠바이 모드에서 더 낮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전원 유닛이며, 전원 유닛(II 및 III)은 단지 정상 모드에서만 동작상태에 있는 더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전원 유닛이다.
스위치 모드 전원 유닛과 전력 요소 코일을 가지는 회로 장치는 본 발명에서 참조 되는 예컨대 기존에 인용된 출원 WO 01/052908 및 W0 03/090335에서 개시된다. 이들은 메인 스위치로 회로 장치를 턴오프하는 문제를 이미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높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역률 보정 코일이 회로 장치이 스위치 오프될 때 메인 스위치의 스위칭 접점이 마모되는 것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메인 스위치(S1)의 해짐을 회피하기 위해서, 도 1에 따라서, 메인 스위치(S1)의 제1 스위칭 접점(1)은 릴레이(R1)의 스위칭 접점(3)에 의해서 브릿지 된다. 이 경우, 스위칭 접점(1)은 메인 터미널(NA)과 정류기(BR) 사이에 장치된다. 메인 스위치(S1)의 제2 스위칭 접점(2)은 두 개의 전원 유닛(II 및III)에 대한 주요면 공급 전압(U4)을 턴오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스위칭 접점(2)은 제2 전원 유닛(II)의 드라이버 스테이지의 공급 또는 제어 전압(U4), 예컨대, 특히 정류된 공급 전압(VCC)를 턴오프하는데 도움이 된다.
회로 장치이 스위칭 온 되는 한, 릴레이(R1)의 스위칭 접점(3)은 제어전압(US), 예컨대 10-12V에 의해서, 제어기(UP), 이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닫힌 채로 유지된다. 만일 회로 장치이 메인 스위치(S1)를 경유하여 스위칭 오프된다면, 두 개의 전원 유닛(II 및 III)은 제2 스위칭 접점(2)을 경유하여 즉시 턴오프되는데, 이는 스위칭 접점(2)이 공급 전압(U4)을 중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원 유닛(I)은 여전히 동작상태에 있는데 이는 스위칭 접점(1)이 릴레이(R1)의 스위칭 접점(3)에 의해 브릿지되고 이에 따라, 전원유닛(I)에는 지속적으로 전압(U+)가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제어기(UP)는 또한 동작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는 다이오드(D3)를 경유하여 전원 유닛에 의해 공급 전압(U1)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제어기(UP)는 제2 전원 유닛(II)의 ON/OFF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메인 스위치 검출 회로(MSD)에 연결되어, 전원 유닛(II)이 스위치 오프될 때를 검출한다. 그 다음, 한정된 시간 후에 제어 전압(US)에 의해서 릴레이(R1)의 스위칭 접점(3)을 오픈한다. 그 결과, 제1 전원 유닛(I)과 전체 배열이 또한 스위치 오프된다.
제1 전원 유닛(I)은 예컨대 몇 와트의 매우 적은 전력을 가지기 때문에, 스탠바이 전원 유닛이 스위칭 접점(3)을 경유하여 턴오프될 때 전력 요소 코일(LS)의 인덕턴스에 의한 어떤 해로운 효과도 발생하지 않는다. 릴레이를 경유하여 스탠바이 전원 유닛의 지연된 스위칭-오프는 국제 출원 WO 01/052908에서 이미 기술되어 있다.
이런 예시적 실시 예에서, 회로 장치는 텔레비젼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백 프로젝터에서 특히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서 배 열된다. 이 경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예시되지 않은 냉각될 높은-전력 램프를 사용한다. 높은-전력 램프는 한 예로서 터미널(LA)를 경유하여 전원 유닛(III)에 의한 공급 전압이 공급된다. 전원 유닛(III)은 추가로 터미널(AU)을 경유하여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에 배열된 오디오 증폭기에 추가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유닛(II)은 특히 신호 처리 회로를 위한 전압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부하(L)는 동시에 스위칭 요소(R1)의 제어 터미널(4)에 동시에 연결되어서, 스위칭 전압(US)이 턴오프될 때, 부하(L)는 동시에 턴오프된다. 부하(L)에는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공급 전압(U3)이 공급된다. 이 경우, 공급 전압(U3)은 동시에 스위칭 접점(4)에 대한 스위칭 전압(US)을 구성한다. 이런 예시적 실시 예에서 트랜지스터인, 스위치(T1)을 경유하여, 공급전압(U2)은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부하(L) 및 스위칭 접점(4)에 추가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 예에서, 부하(L)는 높은-전력 램프를 냉각하기 위한 팬이다.
공급 전압(U2)은 바람직하게 공급전압(U3)보다 낮고 스위치(T1)가 오픈 되면 전원 유닛(I) 및 스위치(T1) 사이에 배열되는 다이오드(D1)를 경유하는 공급 전압(U3)으로부터 분리된다.
회로 장치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정상 모드에서, 공급 전압(U3)은 팬(L)과 스위칭 접점(4)에서 존재하여 상기 팬은 높은-전압 램프를 냉각하는 동작에 있고, 릴레이(R1)의 스위칭 접점(3)은 닫힌다. 만일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다면, 두 개의 전원 유닛(II 및 III)은 옵토커플 러(optocoupler)를 경유하여 주요 면으로 전해지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기(UP)에 의해서 알려진 방식으로 턴오프된다. 이런 타입의 회로는 한 예로서 US 6,349,045 B1에 개시된다. 특히, 이것에 의해서 이미지 처리 회로 및 높은 전력 램프는 턴오프된다.
스탠바이 모드로의 전환의 경우에, 스위치(T1)는 작동되어 팬(L)은 공급 전압(U2)에 의해서 스위치 온 상태로 남아있게 되며, 스위칭 접점(3)은 여전히 닫힌다. 제어기(UP)의 타이머 프로그램에 의해서, 한정된 시간, 예컨대 일 내지 이분 후에 스위치(T1)가 닫힌다. 결과적으로 팬(L)은 턴오프되고 스위칭 접점(3)은 오픈 된다. 결과적으로 회로 장치는 더욱 메인 스위치(S1)가 닫히기 때문에 스탠바이 모드에서 유지된다.
스탠바이 모드로부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제어기(UP)에 의한 원격제어에 의해서 다시 정상 모드로 변환될 수 있는데, 원격제어기로부터 이러한 관점에서의 명령의 경우에, 두 개의 전원 유닛(II 및 III), 높은-전력 램프, 및 신호 처리용 대응회로를 다시 스위치 온 한다. 그리고 이 경우, 공급전압(U3)에 의해서 팬(L)은 동시에 스위치 온 되고 스위칭 접점(3)은 닫힌다.
만일 영상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그것이 정상 모드일 때 메인 스위치(S1)를 경유하여 턴 오프 된다면, 전원 유닛(II 및 III)은 스위칭 접점(2)이 오픈된 결과로 즉시 스위치 오프된다. 동시에 제어기(UP)는 회로 (MSD)에 의해서 전원 유닛(II)이 스위치 오프 되는 것을 확인하고, 또한 메인 스위치(S1)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한다. 제어기(UP)는 타이머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정상 모드에서, 스위 치(T1)는 바람직하게 활성화되어서, 결과적으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스위치 오프된 후에, 팬(L)은 또한 계속해서 높은-전력 램프를 냉각하기 위한 동작을 계속한다. 전원 유닛(I)은 동시에 스위칭 접점(3)이 릴레이(R1)를 위한 제어 전압(US)에 의해서 닫혀있기 때문에 동시에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한다. 높은-전력 램프를 냉각하기에 충분한 타이머 프로그램의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만 스위치(T1)는 턴오프되고, 결과적으로, 팬(L)은 턴오프되고 스위칭 접점(3)은 오픈된다. 전원 유닛(I)은 또한 이런 결과로 스위치 오프 된다. 회로 장치는 이제 완전히 턴오프 되어서 영상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더 이상 어떤 에너지도 소비하지 않고 회로의 모든 부분이 비활성화된다.
만일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가 메인 스위치(S1)를 경유하여 스위칭 온 되면, 스위칭 접점(1,2)은 닫힌다. 브릿지 정류기(BR)는 이제 스위칭 접점(1)을 경유하여 메인 전압이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공급 전압(U+)은 전원 유닛(I 내지 III)에 대해서 다시 이용가능하다. 이런 결과로,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정상 모드로 전환된다.
도 2는 역시 3 개의 전원 유닛(I,II,III), 메인 스위치(S1), 스위칭 요소(R1), 제어기(UP), 그리고 부하(L)를 가지는 회로 장치을 도시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조 부분과 대응하는 전압은 도 1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참조부호가 제공된다. 도 1과 대조적으로, 여기서 메인 스위치(S1)의 스위칭 접점(1)은 전원 유닛(I)의 공급 즉, 제어 전압을 턴 오프하기 위해 배열된다. 이런 결과로, 메인 전압은 디바이스가 스위치 오프될 때, 메인 터미널(NA)을 경유하여 브릿지 정류기(BR)에 존재한다. 이런 타입의 구성은 이미 인용된 WO 03/090335에서 기술되어있다.
메인 스위치(S1)의 스위칭 접점(1)은 여기서 전원 유닛(I)의 공급 또는 제어 전압(U5)을 턴오프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스위칭 접점(2)은 전원 유닛(II, III)의 공급 또는 제어 전압(U4)을 턴 오프하기 위해 사용된다. 만일 회로 장치이 메인 스위치(S1)에 의해서 스위치 오프 된다면, 전원 유닛(II,III)은 이런 결과로 즉시 스위치 오프 된다. 하지만, 전원 유닛(I)은 제어 요소(R1)의 스위칭 접점(3)이 닫힌 채로 있는한 여전히 동작상태를 유지한다.
이런 경우에, 메인 스위치(S1)의 스위칭 접점(1)이 스위칭 요소(R1)의 스위칭 접점(3)에 의해서 브릿지되기 때문에, 전원 유닛(I)과 팬(L)은 항상 스위칭 접점(3)이 타이머 프로그램에 의해서 오픈될 때까지 타이머 프로그램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에 동안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만일 장치이 메인 스위치(S1)에 의해서 스위치 오프 되면 장치의 모든 동작 상태에 대해서 적용된다. 디바이스가 이미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것은 예외이다. 그러므로, 배열은 팬(L)이 여전히 배열이 턴오프된 후 충분한 시간 동안 여전히 동작상태에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도 2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 에너지 소비는 디바이스의 오프 상태에서 약간 더 높다. 하지만, 이것은 사용자에 대한 어떠한 손상이 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인지되지 않는다. 도 2에 따른 장치은 역률 보정 코일을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서, 브릿지 정류기(BR)의 상류 및 하류에서 역률 보정 코일이 이 arrangement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부하(L)와 스위칭 요소(R1)에는 단지 스 위치(T1)를 경유하여 공급전압(U2)이 제공된다. 제어기(UP)에 대해서, 이것은 원칙적으로 이런 장치의 제어에 대한 어떤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원 유닛(I)은 부하(L)를 구동하기 위한 대응하는 출력 전력에 대해서 구성되어야만 하고, 스위칭 요소(R1)의 스위칭 접점(3)은 정상 모드에서 항상 닫힌다. 도 1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 한 예로서, 부하(L)는 높은 전압 모드에서 전압(U3), 예컨대 12V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고, 타이머 프로그램의 런-온(run-on)모드에서 감소된 전압(U2), 예컨대 10V에서 동작할 수 있다. 높은 전력-램프는 백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경우에 런-온(run-on) 모드에서 이미 스위치 오프 되기 때문에, 냉각 아웃레이(outlay)는 이미 여기서 감소될 수 있다.
전원 유닛(I-III)은, 특히, 스위치 모드 전원 유닛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한 예로서, 선형 전원 유닛은 저-전력 제1 전원 유닛(I)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반도체 스위치 예컨대 MOSFET는 릴레이(R1)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릴레이(R1)를 사용하면 단순한 방식으로 전력공급 유닛의 주요 면과 부속 면 사이에 시스템 절연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은 그의 관습적인 활동의 범위에 놓인다. 본 발명은 특히, 또한 단 하나의 전원 유닛(I)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유닛(I)은 스탠바이 모드와 정상 모드 모두에 대해서 공급전압을 공급한다. 이런 타입의 스위치 모드 전원장치는 충분히 알려져 있다. 메인 스위치 검출 회로는 메인 스위치가 스위치 오프될 때, 옵토-커플러와 전압 센스 회로를 경유하여 제어기에 정보를 공급하기 위하여 메인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 치(appliance)가 스위치 오프될 경우, 제어기는 정상동작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상기 장치를 전환한다. 그 다음, 한정된 지연 후에, 제어기는 상기 장치를 완전히 스위치 오프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어떤 역률 보정을 요구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대해서 사용된다. 그것은 특히 지연된 스위치 오프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사용될 수 있어서, 컴퓨터의 CPU는 동작 시스템을 중지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원 유닛, 메인 스위치, 그리고 메인 스위치의 주요 스위칭 접점(contact)를 연결하는 스위칭 요소를 가지는 회로 장치로서 소비자 전자 장치에 관련된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하다.

Claims (12)

  1. 전원 유닛(I,II,III), 메인 스위치(S1), 그리고 제어 전압(US)이 연결된 제어 터미널(4)을 가지는 스위칭 요소(R1)를 가지는 회로 장치로서, 상기 스위칭 요소는(R1) 메인 스위치(S1)의 제1 스위칭 접점(1)을 브릿지하는 회로장치에 있어서, 여기서 부하(L)는 제어 전압(US)을 경유하여 상기 스위칭 요소(R1)를 오픈할 때 상기 부하(L)를 턴오프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요소(R1)의 제어 터미널(4)에 연결되는, 회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장치는, 전원 장치(I)에 의해서 동작 전압(U1)이 공급되고, 상기 스위칭 요소(R1)의 제어를 위해서 상기 스위칭 요소(R1)의 제어 터미널(4)에 연결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제어기(UP)를 가지는, 회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스위칭 요소(R1)는 전원 유닛(I)의 출력 전압(U2)과 제어 터미널(4) 사이에 장치된 스위치(T1)를 경유하여 제어기(UP)에 의해서 스위치 온 및 오프 되는, 회로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L)는, 특히 지연된 방식으로 오픈 될 상기 스위칭 요소(R1)에 의해, 메인 스위치(S1)에 의해서 상기 회로 장치가 스위치 오프 될 때와 동시에, 지연된 방식으로 스위치 오프 되는 팬(fan)인, 회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역률 보정을 위한 인덕턴스(LS)는 메인 터미널(NA)과 전원 유닛(I,II,III) 사이, 특히 브릿지 정류기(BR)의 상류에 배열되는, 회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전원 유닛(I)은 더 낮은 출력 전력을 가지며, 제2 전원 유닛(II)은 더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지며, 상기 제2 전원 유닛(II)은 특히 스위치 모드 전원 유닛이고, 상기 회로장치는 제2 전원 유닛(II)이 턴오프 되는 스탠바이 모드를 가지는, 회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부하(L)에는 정상 모드에서 디커플링(decoupling)요소(D2)를 경유하여 제2 전원 장치(II)에 의해서 동작 전압(U3)이 공급되고, 스탠바이 모드에서 스위치(T1)를 경유하여 제1 전원 유닛(I)에 의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는, 회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S1)의 제1 스위칭 접점(1)은 메인 터미널(NA)과 정류기(BR) 사이에 장치되고, 제2 스위칭 접점은(2) 제2 전원 유닛(II)의 드라이버 스테이지의 전원 또는 제어 전압(U4)을 턴오프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 장치.
  9.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위칭 접점(1)은 제1 전원 유닛(I)의 드라이버 단계의 공급 또는 제어 전압(U5)을 턴오프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스위칭 접점(2)은 제2 전원 유닛(II)의 드라이버 스테이지의 전원 또는 제어 전압(U4)을 턴오프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 장치.
  10. 제2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기(UP)는 상기 스위칭 요소(R1)를 오픈 하고 부하(L)를 턴 오프 하기 위한 타이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회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제어기(UP)에 연결된 메인 스위치 검출 회로(MSD)를 추가로 포함하는, 회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장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특히 DLP(digital light processing)유닛을 사용하는 후방 프로젝션 텔레비젼 세트에서 장치되며, 상기 이미지 프로젝션 디바이스는 스위치 오프된 후에 한정된 시간, 즉 약 1-2 분 동안 냉각되어야만 하는 가스 방전 램프를 가지는, 회로 장치.
KR1020067013636A 2004-01-08 2004-12-28 전원 유닛을 가지는 회로 장치 KR101123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01296.2 2004-01-08
DE102004001296A DE102004001296A1 (de) 2004-01-08 2004-01-08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Netzteil
PCT/EP2004/014763 WO2005069468A2 (en) 2004-01-08 2004-12-28 Power supply unit having an off -delay switch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284A true KR20060121284A (ko) 2006-11-28
KR101123907B1 KR101123907B1 (ko) 2012-03-27

Family

ID=3470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636A KR101123907B1 (ko) 2004-01-08 2004-12-28 전원 유닛을 가지는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9015B2 (ko)
EP (1) EP1709724B1 (ko)
JP (1) JP4709771B2 (ko)
KR (1) KR101123907B1 (ko)
CN (1) CN101199118B (ko)
DE (2) DE102004001296A1 (ko)
WO (1) WO20050694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3643C (zh) * 2006-11-03 2009-09-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风扇延动控制装置
DE102007021065A1 (de) * 2007-05-04 2008-11-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lektrogerät
US8258872B1 (en) 2007-06-11 2012-09-04 Sonos, Inc. Multi-tier power supply for audio amplifiers
DE102009045595A1 (de) * 2009-10-12 2011-04-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DE202010015353U1 (de) * 2010-11-11 2011-02-10 Francotyp-Postalia Gmbh Ein- und ausschaltbare Versorgungseinheit
CN103912511A (zh) * 2013-01-04 2014-07-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风扇控制模块
CN103324115B (zh) * 2013-05-15 2015-12-09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放电电路及应用该放电电路的投影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7092A (en) * 1977-06-03 1981-03-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ction motor current control apparatus
US4381479A (en) * 1981-01-15 1983-04-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 motor chopp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DE3429052A1 (de) * 1984-08-07 1986-02-20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Elektrisches kuehlergeblaese
JPH0380485A (ja) 1989-08-22 1991-04-05 Hitachi Maxell Ltd オーディオテープカセット
JPH079136Y2 (ja) * 1989-12-01 1995-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
JP2903655B2 (ja) 1990-06-21 1999-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H0487565A (ja) 1990-07-25 1992-03-19 Ricoh Co Ltd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ータ
DE4201176A1 (de) * 1992-01-17 1993-07-22 Kodak Ag Fernbedienbarer diaprojektor
DE9414767U1 (de) * 1994-09-03 1996-01-25 Schoettler Lunos Lueftung Steuermodul für den Nachlauf eines Lüfters
US5592034A (en) * 1995-12-29 1997-01-07 Pitney Bowes Inc. Power shut down delay circuit for a postage meter mailing machine having an ink jet printer system
DE19822258A1 (de) * 1998-05-18 1999-11-25 Heini Roswitha Elektrisch angetriebener Ventilator
US6500152B1 (en) * 1998-07-02 2002-12-31 White Spot Ag Device for introducing fibrin adhesive into a puncture channel
TW457767B (en) * 1999-09-27 2001-10-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hoto response semiconductor switch having short circuit load protection
US6538419B1 (en) * 2000-01-11 2003-03-25 Thomson Licensing S.A. Power supply with synchronized power on transition
DE20008548U1 (de) * 2000-05-08 2000-08-03 Francotyp Postalia Gmbh Anordnung zur Erkennung der Schaltstellung eines Netzschalters
JP2002112469A (ja) * 2000-09-29 2002-04-12 Allied Tereshisu Kk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で構成したor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源回路
DE10155003B4 (de) * 2000-11-13 2014-01-16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Vermeidung der Tiefentladung einer Batterie in einem Kraftfahrzeug-Bordnetz
US6650552B2 (en) * 2001-05-25 2003-11-18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with series connected converter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09771B2 (ja) 2011-06-22
EP1709724A2 (en) 2006-10-11
WO2005069468A2 (en) 2005-07-28
DE102004001296A1 (de) 2005-07-28
EP1709724B1 (en) 2011-02-09
JP2007520984A (ja) 2007-07-26
US20090184584A1 (en) 2009-07-23
CN101199118B (zh) 2010-08-18
KR101123907B1 (ko) 2012-03-27
WO2005069468A3 (en) 2007-12-21
CN101199118A (zh) 2008-06-11
US7839015B2 (en) 2010-11-23
DE602004031380D1 (de)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999B2 (ja) Dc/dcコンバータ、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US6163087A (en) Power supplying system with a delayed closing device for delayed closing of a heat-dissipating fan
KR100423995B1 (ko) 대기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23907B1 (ko) 전원 유닛을 가지는 회로 장치
KR20070077863A (ko)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US7248485B2 (en) Circuit arrangemen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s well as a corresponding appliance
US9705323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control circuit thereof
US5990581A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a power supply circuit to use a small current specification switch
US5341284A (en) Power-saving power supply unit
JP200732999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9510959B (zh) 一种防止激光电视过热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H07261860A (ja) 電源回路
KR20100010134A (ko) 대기전원을 이용한 영상표시 장치의 절전회로
JPH116926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電源回路
KR102207800B1 (ko)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
JP2005269864A (ja) 電源装置、電源装置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および電子機器
JP3815506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90003657A (ko) 램프 안정기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KR100521130B1 (ko) 스위치선로 제어전원회로
JP3392250B2 (ja) 電源回路のスタンバイ消費電力低減回路
KR100597205B1 (ko) 인버터의 저전압 점등 안정화회로
KR100489821B1 (ko) 백라이트 인버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JPH0715352Y2 (ja) インバータ装置
JP3422146B2 (ja) 電源装置
JP2002015880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