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863A -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863A
KR20070077863A KR1020060007662A KR20060007662A KR20070077863A KR 20070077863 A KR20070077863 A KR 20070077863A KR 1020060007662 A KR1020060007662 A KR 1020060007662A KR 20060007662 A KR20060007662 A KR 20060007662A KR 20070077863 A KR20070077863 A KR 2007007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transformer
driv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7863A/ko
Publication of KR2007007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트랜스의 1차측에 공급하는 1차 유도부와; 상기 1차 유도부의 트랜스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대기전원으로 출력하는 대기전원부와; 상기 대기전원부의 트랜스(TRANS)의 2차측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구동전압입력부와; 상기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구동전압입력부로부터 구동전압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구동집적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TRANS)의 2차측에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보호회로와; 상기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에 공진을 제거하는 공진회로와; 상기 공진회로와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으로부터 유도전압을 지연하는 지연시간조정회로와; 상기 지연시간조정회로 및 구동집적회로와 접속되어 스위칭시간을 설정하는 시정수회로와; 상기 1차 유도부 및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1차 유도부의 입력전압에 따른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공급장치. 스위칭

Description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 FOR PLASMA DISPLAY PANEL}
도 1 은 종래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차 유도부 20; 대기전원부
30; 구동전압입력부 40; 구동집적회로
50; 과부하보호회로 60; 공진회로
70; 지연시간조정회로 80; 시정수회로
90; 스위칭회로 Q1,Q2; 트랜지스터
ZD1; 제너다이오드
본 발명은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는 주전원 공급회로와 대기전원 공급회로를 별도로 마련하여 대기 모드시에는 대기전원 공급회로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모드시에는 주전원 공급회로와 대기전원 공급회로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에서 주전원 공급회로로는 주로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게 되고,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소자를 고속스위치로 이용하여 직류 입력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필터를 통하여 정류된 직류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이루어지며,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 다양한 권선비를 갖는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의 출력전압이 과전압일 경우 출력전압을 궤환시켜 트랜스의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등 전원공급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공급회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유도부(10), 대기전원부(20), 구동전압입력부(30), 구동집적회로(40), 과부하보호회로(50), 공진회로(60), 지연시간조정회로(70), 시정수회로(80)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유도부(10)는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트랜스(TRANS)의 1차측에 공급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D), 스타트 업(START UP)저항(R9), 트랜스(TRANS)의 1차측 유도코일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대기전원부(20)는 트랜스(TRANS)의 2차측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유도부(10)의 트랜스(TRANS)의 1차측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대기전원부로 출력하는 다이오드(DS1), 콘덴서(CS1), 포토다이오드(PH-D), 저항(RS9), 대기전원스위치(STBY-SW)등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는 상기 대기전원부(20)의 트랜스(TRANS)의 2차측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압을 구동집적회로에 입력하는 트랜스(TRANS)의 1차측 유도코일, 저항(R8), 다이오드(D2), 콘덴서(C2)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구동집적회로(40)는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로부터 구동전압(VCC)을 받아 동작을 시작함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도부(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구동방식의 집적회로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과부하보호회로(50)는 상기 구동집적회로(40)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TRANS)의 2차측에 과부하를 감지하는 저항(R2)(R7), 콘덴서(C16), 포토트랜지스터(PH-TR)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공진회로(60)는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와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에 공진을 제거하는 다이오드(D3), 저항(R3)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지연시간조정회로(70)는 상기 공진회로(60)와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으로부터 유도전압을 지연하는 콘덴서(C3), 다이오드(D4)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시정수회로(80)는 상기 구동집적회로(30)와 접속되어 스위칭 시간을 설정하는 콘덴서(C5), 저항(R4)(R5)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은 1차 유도부(10)의 브리지 다이오드(BD)를 통해서 정류하여 트랜스(TRANS)의 1차측과 2차측을 통해서 대기 전원부(20)로 출력됨과 아울러, 상기 1차 유도부(10)의 스타트 업 저항(R9)을 통해서 구동집적회로(40)의 전압입력단(VIN)에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집적회로(40)은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구동집적회로(40)는 상기 스타트 업 저항(R9)과 구동전압입력부(30)의 콘덴서(C2)에 의한 시정수로 스타트 업 시간이 조절되면서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 회로 동작이 시작된 후에는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의 구동전압(VCC)이 저항(R8), 다이오드(D2), 콘덴서(C2)를 통해서 상기 구동집적회로(30)의 전압입력단(VIN)에 구동전압(VCC)으로 공급되게 되어, 상기 구동집적회로(40)는 동작하면서 상기 과부하보호회로(50), 공진회로(60), 지연시간조정회로(70), 시정수회로(8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스타트 업 저항(R9)을 통해서 구동집적회로(40)에 구동전압(VCC)이 일정전압까지 도달하면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동작이 시작되면 전원입력단(AC)의 입력전압 저하와 관계없이 자체적으로 구동전압(VCC)을 생성하면서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자체 결함 또는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전원입력단(AC)의 입력전압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상기 입력전압 저하에 따른 입력전류의 증가로 인하여 캐패시터의 리플 전류 증가 또는 전력 효율 보정(PFC) 단의 반도체소자 및 코일에 흐르는 전류 증가로 부품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커져 부품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세트 전체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동작 후 전원입력단의 입력전압 저하로 인하여 야기되는 부품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동작 후 입력전압 저하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세트의 수명을 장구히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트랜스의 1차측에 공급하는 1차 유도부와; 상기 1차 유도부의 트랜스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대기전원으로 출력하는 대기전원부와; 상기 대기전원부의 트랜스(TRANS)의 2차측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구동전압입력부와; 상기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구동전압입력부로부터 구동전압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구동집적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TRANS)의 2차측에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보호회로와; 상기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에 공진을 제거하는 공진회로와; 상기 공진회로와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으로부터 유도전압을 지연하는 지연시간조정회로와; 상기 지연시간조정회로 및 구동집적회로와 접속되어 스위칭시간을 설정하는 시정수회로와; 상기 1차 유도부 및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1차 유도부의 입력전압에 따른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입력단에 보호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동작 후 입력전압이 저하되는 경우 구동집적회로의 동작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부하단의 동작을 정지시켜 주게 되어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로서, 본 발명은 도 1과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차 유도부(10), 대기전원부(20), 구동전압입력부(30), 구동집적회로(40), 과부하보호회로(50), 공진회로(60), 지연시간조정회로(70), 시정수회로(80)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유도부(10) 및 구동전압입력부(30)에 접속되어 상기 1차 유도부(10)에 입력전압 저하시 구동전압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집적회로(40)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9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회로(90)는 상기 1차 유도부(10)의 전원입력단(AC)의 입력전압이 저하될 때 스위칭 동작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회로(90)는 상기 1차 유도부(10)의 전원입력단(AC)의 전압을 저항(R1), 저항(R2), 콘덴서(C1)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자에는 제너다이오드(ZD1)가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저항(R3)을 통해서 1차 유도부(10)에 접속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는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에 접속되고, 상기 에미터단자는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 1차 유도부(10)는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브리지 다 이오드(BD)를 통해서 정류하여 스타트 업 저항(R9)을 통해서 트랜스(TRANS)의 1차측에 공급하여 상기 1차측에 인가되는 전압을 대기전원부(20)의 트랜스(TRANS)의 2차측으로 유기하게 한다.
상기 대기전원부(20)는 상기 1차 유도부(10)의 트랜스(TRANS)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이 변환된 전압을 다이오드(DS1), 콘덴서(CS1), 포토다이오드(PH-D), 저항(RS9), 대기전원스위치(STBY-SW)를 통해서 대기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는 상기 대기전원부(20)의 트랜스(TRANS)의 2차측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압을 받아 소정의 구동전압(VCC)으로 변환하여 저항(R8), 다이오드(D2), 콘덴서(C2)를 구동집적회로(40)의 전압입력단(VIN)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구동집적회로(40)에서는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로부터 구동전압(VCC)을 받아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과부하보호회로(50)에서는 상기 대기전원부(20)의 포토 다이오드(PH-D)로부터 발사되는 광신호를 포토 트랜지스터(PH-TR)로 받아 대기전원부(20)의 과부하를 감지하여 구동집적회로(40)를 통해서 과부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공진회로(60)에서는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다이오드(D3), 저항(R3)을 통해서 공진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지연시간조정회로(70)에서는 상기 공진회로(60)와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으로부터 유도전압을 콘덴서(C3), 다이오드(D4)를 지연하게 되며, 상기 시정수회로(80)에서는 콘덴서(C5), 저항(R4)(R5)로 상기 구동집적회로(30)에 시정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집적회로(40)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집적회로(40)는 전원입력단(AC)과 무관하게 동작하면서 세트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이후 상기 스위칭회로(90)에서는 저항(R1),(R2)를 통해서 상기 전원입력단(AC)의 입력전압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입력단(AC)의 입력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와 에미터단자간의 전압(VBE)과 에미터단자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1)의 전압의 합보다 크면,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온되게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로우상태가 되고, 상기 콜렉터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트랜지스터(Q2)를 오프되게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에 접속되는 구동전압입력부(30)의 구동전압(VCC)은 상기 구동집적회로(40)에 인가되어 전원입력단(AC)에 무관하게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위칭회로(90)에서는 저항(R1),(R2)를 통해서 상기 전원입력단(AC)의 입력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와 에미터단자간의 전압(VBE)과 에미터단자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1)의 정격전압 합보다 작게 입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하이상태가 되므로 상기 콜렉터단자에 베이스단자가 접속된 트랜지스터(Q2)는 온되게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는 로우상태가 되므로 상기 구동전압입력부(30)의 구동전압(VCC)은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자를 통해서 흐르게 되어 상기 구동집적회로(40)에는 구동전압(VCC)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오프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세트를 오프시키게 되어 부품의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입력단에 입력전압 저하를 감지하는 스위칭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입력단의 입력전압 저하가 발생되면 구동집적회로에 구동전압을 차단하여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세트를 오프하여 상기 입력전압 저하로 인한 입력전류 증가로 부품의 스트레스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부품의 손상 방지는 물론 나아가서는 장치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전원입력단(AC)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트랜스의 1차측에 공급하는 1차 유도부와; 상기 1차 유도부의 트랜스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대기전원으로 출력하는 대기전원부와; 상기 대기전원부의 트랜스(TRANS)의 2차측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압을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구동전압입력부와; 상기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구동전압입력부로부터 구동전압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집적회로와; 상기 구동집적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스(TRANS)의 2차측에 과부하를 감지하는 과부하보호회로와; 상기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에 공진을 제거하는 공진회로와; 상기 공진회로와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TRANS)의 1차측으로부터 유도전압을 지연하는 지연시간조정회로와; 상기 지연시간조정회로 및 구동집적회로와 접속되어 스위칭시간을 설정하는 시정수회로와; 상기 1차 유도부 및 구동전압입력부와 접속되어 상기 1차 유도부의 입력전압에 따른 상기 구동집적회로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스위칭회로를 포함하는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는 상기 1차 유도부의 전원입력단의 입력전압이 저하될 때 스위칭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는 1차 유도부의 전원입력단과 저항, 콘 덴서를 통해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자에는 제너다이오드가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자는 저항을 통해서 1차 유도부에 접속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자는 상기 구동전압입력부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자는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KR1020060007662A 2006-01-25 2006-01-25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KR20070077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62A KR20070077863A (ko) 2006-01-25 2006-01-25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62A KR20070077863A (ko) 2006-01-25 2006-01-25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63A true KR20070077863A (ko) 2007-07-30

Family

ID=3850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662A KR20070077863A (ko) 2006-01-25 2006-01-25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786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96B1 (ko) * 2008-11-20 2010-10-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원공급장치
US8169467B2 (en) 2006-03-29 2012-05-01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creasing an LCD display vertical blanking interval
US8576208B2 (en) 2006-03-29 2013-11-05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stereo glasses shutters
US8872754B2 (en) 2006-03-29 2014-10-28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stereo glasses shutters
US9094676B1 (en) 2010-09-29 2015-07-28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pplying a setting based on a determined phase of a frame
US9094678B1 (en) 2010-09-29 2015-07-28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verting a polarity of each cell of a display device
US9164288B2 (en) 2012-04-11 2015-10-20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stereoscopic display content for viewing with passive stereoscopic glass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9467B2 (en) 2006-03-29 2012-05-01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creasing an LCD display vertical blanking interval
US8576208B2 (en) 2006-03-29 2013-11-05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stereo glasses shutters
US8581833B2 (en) 2006-03-29 2013-11-12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stereo glasses shutters
US8872754B2 (en) 2006-03-29 2014-10-28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stereo glasses shutters
KR100986196B1 (ko) * 2008-11-20 2010-10-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전원공급장치
US9094676B1 (en) 2010-09-29 2015-07-28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pplying a setting based on a determined phase of a frame
US9094678B1 (en) 2010-09-29 2015-07-28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verting a polarity of each cell of a display device
US9164288B2 (en) 2012-04-11 2015-10-20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stereoscopic display content for viewing with passive stereoscopic g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8151B2 (en) Power unit and lighting apparatus
KR20070077863A (ko) 피디피용 전원공급장치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JP2011176926A (ja) 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絶縁型直流電源装置
JP200804851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I532295B (zh) Quick start backup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EP2164160B1 (en) Voltage reduction detection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system
JP201020698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440954B1 (ko) 점등 스위치를 통한 smps 일체형 led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348812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用デバイス
JP200929679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315352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7209502B2 (ja) 照明用電源装置および過電流発生の抑制方法
KR20230054327A (ko) 과부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513546B2 (ja) Led電源装置
TWI420790B (zh) 交換電源供應器之控制器
KR100923738B1 (ko) 전력공급기용 직류 팬 모터 제어장치
JP484415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2244737A (ja) Led電源装置
JP610174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2424735B1 (ko) 수명 및 광효율이 우수하고 경량화시킨 2 in 1 컨버터를 적용한 LED 조명기구
JP200610959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3404817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amplification device
KR100576867B1 (ko) 스위칭 fet의 스트레스 저감 기능을 갖는 어댑터
KR20040011667A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