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852A -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852A
KR20060115852A KR1020067000389A KR20067000389A KR20060115852A KR 20060115852 A KR20060115852 A KR 20060115852A KR 1020067000389 A KR1020067000389 A KR 1020067000389A KR 20067000389 A KR20067000389 A KR 20067000389A KR 20060115852 A KR20060115852 A KR 20060115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isplay
outline
receiving termin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야마구치
다카히사 후지타
세이지 우라
마사키 사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5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가 자신이 좋아하는 방송 내용을 놓치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한 방송 수신 단말을 제공한다.
방송 수신 단말(100)은,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0)와,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해야 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상태 관리부(112)와,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스트림 정보에 대해서 디코드를 행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키고,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프로그램 내용과 동기하도록,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개요를 제시하는 제1 처리부(11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BROADCAST RECEPTION TERMINAL AND BROADCAST DEVICE}
본 발명은, 방송파를 수신하여 영상 등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 단말, 및 그 방송파를 송출하는 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화의 흐름에 따라서, BS(Broadcasting Satellite) 방송 및 CS(Communication Satellite) 방송에 계속해서, 지상파 방송에서도, 디지털 방송이 실시되려고 하고 있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는, BS 방송 및 CS 방송의 큰 차이로서, 동일 주파수에서, 다른 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OFDM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다른 변조 방식, 즉,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높지만, 안정한 전파 상태가 요구되는 변조 방식과,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낮지만, 비교적 불안정한 전파 상태에서도 안정한 수신이 가능해지는 변조 방식을 혼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는, 전자의 변조 방식을 이용한 거치형의 방송 수신 단말용의 방송과, 후자의 변조 방식을 이용한 휴대형의 방송 수신 단말용의 방송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방송 수신 단말은, 유저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 디지털 방송파로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하는 비디오 디코더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고, 특히 한정된 배터리로 동작하는 휴대형의 방송 수신 단말에 있어서, 전력 절약화를 실현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서, 종래의 기술로서, 디지털 방송파에 제어 프로그램을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방송 장치와, 그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파에 다중화된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서, 비디오 디코더나 디스플레이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방송 수신 단말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3-7884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에서는, 충분히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의 방송 수신 단말은, 디지털 방송파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프로그램만을 따라서 전력 공급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 결과, 유저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의 한 장면만을 보고 싶음에도 불구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비춰지는 프로그램의 전부를 보고 있지 않으면 그 한 장면을 놓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프로그램을 비추기 위한 디코드 등의 화상 처리를 장시간에 걸쳐서 행할 필요가 있고, 전력 절약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 없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상기 특허문헌 1의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유저는, 그 방송 수신 단말에 대해서 전력 절약 상태로의 천이를 선택할 수 없고, 전력 공급의 제어의 타이밍은, 유저에게 있어서 반드시 적절한 타이밍이라고는 말 할 수 없다.
또,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의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기능의 다양화 및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휴대 전화기에서는, 기본이 되는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메일 기능이나, JAVA(등록 상표)로 대표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이 표준으로 실장되어 있다. 유저는, 이와 같은 휴대 전화기 등의 다기능인 방송 수신 단말을, 디지털 방송의 시청만을 목적으로 하여 소지, 휴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많은 시간,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기능 이외의 별도의 기능을 이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유저는 메일 등의 다른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또는, 프로그램 중의 볼 만한 장면을 놓쳐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가 자기가 좋아하는 방송 내용을 놓쳐 버리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한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파의 일부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표시부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방송 수신 단말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1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1에 따른 표시부와 서브 표시부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1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2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2에 따른 표시부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2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3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3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백그라운드 상태에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4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4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5에 따른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을 때의 표시부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6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의 방송 시스템의 변형예 6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송 수신 단말 110 : 제1 처리부
111 : 수신부 112 : 상태 관리부
113 : 제시 제어부 120 : 표시부
130 : 제2 처리부 200 : 방송 장치
201 : 스트림 생성부 202 : 데이터 캐러셀(carousel) 생성부
203 : 정보 생성부 205 : 송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은, 방송파를 수신하여 방송 내용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 단말로서, 상기 방송파는, 방송 내용을 나타내는 스트림 정보와, 상기 방송 내용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상기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으로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된 방송파의 스트림 정보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방송 내용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으로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과 동기하도록,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된 방송파에 의해서 전송되는 개요 정보가 나타내는 개요를 제시하는 개요 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개요를 문자열로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등의 방송 내용을 나타내는 스트림에 대해서 디코드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데에는, 막대한 전력을 소비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프로그램의 표시와, 그 프로 그램의 개요의 표시가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전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에게 있어서 관심이 없는 장면이 방송되고 있을 때에는,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을 조작하여, 개요만을 표시시켜 두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한 화상 처리가 행해지지 않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도, 그 프로그램에 동기한 개요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그 개요를 봄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관심이 있는 장면이 방송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을 조작하면, 그 관심이 있는 장면을 표시 수단에 표시시킬 수 있고, 관심이 있는 장면을 놓쳐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자기가 좋아하는 방송 내용을 놓쳐 버리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또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을 기동 및 종료시키는 기능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소정의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하고, 상기 소정의 기능이 종료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의 기능이 소정의 기능으로서 기동되고 있을 때에는, 프로그램 등의 방송 내용이 표시되지 않고 개요가 표시되고, 전자 메일의 기능이 종료하고 있을 때에는 프로그램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프로그램의 관심이 있는 장면을 놓치지 않고 전자 메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저의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면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개요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개요를 음성으 로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프로그램 등의 방송 내용의 개요가 음성으로 통지됨으로써, 그 개요가 문자열로 표시되는 경우에 비해서,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에 주목해 둘 필요가 없으며, 유저의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 상기 개요 정보는, 상기 개요가 제시되어야 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현재 시각이 상기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과 일치할 때에 상기 개요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현재 시각이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과 일치할 때에 개요가 제시되기 때문에, 방송 내용에 대해서 용이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판별 수단으로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또한, 상기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방송파의 스트림 정보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서 표시되는 방송 내용보다도 묘화 정밀도를 떨어뜨린 동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동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어떠한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여기에서 표시되는 동화상은,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서 표시되는 방송 내용보다도 묘화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 동화상을 얻기 위해서 행해지는 화상 처리에 요하는 전력은,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화상 처리에 요하는 전력보다도 적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제1 및 제2 형상으로 변 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1 형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2 형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1 상태일 때에 표면에 나타나는 제1 표시 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2 상태일 때에 표면에 나타나는 제2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수단에 방송 내용을 표시시키고,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수단에 개요를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방송 수신 단말이 예를 들면 전개된 제1 형상일 때에는, 프로그램 등의 방송 내용이 표시되고, 방송 수신 단말이 예를 들면 접혀진 제2 형상일 때에는, 프로그램의 개요가 그 프로그램에 동기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그 방송 수단 단말을 변형시킴으로써, 프로그램의 표시와, 개요의 표시를 가능하게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장치는, 방송파를 송출하는 방송 장치로서, 상기 방송파의 방송 내용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 정보를 생성하는 개요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개요 정보가 나타내는 개요가 방송 내용에 동기하도록 상기 개요 정보를 방송파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송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개요 정보가 방송 내용에 동기하도록 방송파에 포함시켜 송출되기 때문에, 이 방송파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그 방송 내용의 표시와, 그 방송 내용에 동기한 개요의 표시를 전환할 수 있고,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해서 유저의 기호를 반영시켜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로서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행하는 동작의 방법이나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기억 매체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방송 시스템은, 유저가 자기가 좋아하는 방송 내용을 놓쳐 버리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한 것으로서, 방송 수신 단말(100)과 방송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방송 장치(200)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방송 내용)을 나타내는 디지털 방송파에, 그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나타내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개요 정보)를 다중화한다. 그리고, 방송 장치(200)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가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파를 송출한다.
방송 수신 단말(100)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로서, 방송 장치(200)가 송출한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비추기 위한 방송 수신 기능과, 전자 메일을 편집 및 송수신하기 위한 메일 기능, 및 전화를 행하기 위한 통화 기능 등의 부속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방송 수신 단말(100)은, 부속 기능을 기동 또는 실행하고 있을 때 에,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그 프로그램 내용에 동기하도록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에는, 1개의 방송 수신 단말(100)만을 나타내었지만, 복수의 방송 수신 단말(100)이 방송 장치(20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방송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방송 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림 생성부(201)와, 데이터 캐러셀 생성부(202)와, 정보 생성부(203)와, 송신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림 생성부(201)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의 영상이나 음성 등을 나타내는 스트림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스트림 정보를 출력한다.
데이터 캐러셀 생성부(202)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여, 그 콘텐츠 정보를 데이터 방송 전송 방식인 데이터 캐러셀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203)는, 스트림 정보 및 데이터 캐러셀을 참조하여, 영상, 음성 및 데이터 방송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에 동기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여, 그 생성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출력한다.
송신부(205)는, 스트림 생성부(201)로부터 출력된 스트림 정보와, 데이터 캐러셀 생성부(20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캐러셀과, 정보 생성부(203)로부터 출력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여, 그 스트림 정보와 데이터 캐러셀과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다중화하여 디지털 방송파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부(205)는 그 디 지털 방송파를 변조하여 송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디지털 방송파의 일부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파의 범용 이벤트 메시지 기술자(D1)의 프라이빗 영역(D2)에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는,「마츠이가 타석에 들어섰습니다」라는 문자열을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이다. 또, 프라이빗 영역(D2)은, 예를 들면 8×N(N은 자연수)비트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정보 생성부(203)에서 생성되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부호화에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가 독자의 형식으로 직접 TS(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부호화되는 경우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일단 섹션 형식에 변환한 후 TS 패킷으로 부호화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섹션 형식으로 변환하는 수법에는, 모듈로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형식화하여 데이터 캐러셀 방식으로 전송하는 수법과, 범용 이벤트 메시지 기술자(D1)의 프라이빗 영역(D2)에 격납하는 수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방송 수신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방송 수신 단말(100)은, 표시부(120)와, 제1 처리부(110)와, 제2 처리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120)는, 문자나 화상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된다.
제2 처리부(130)는, 기능 처리 수단으로서 구성되고, 상술한 부속 기능, 예를 들면, 메일 기능, 통화 기능, JAVA(등록 상표) 어플리케이션 기능, WEB 브라우저 기능,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r) 기능, 카메라 기능, 및 메뉴 런처 기능에 기초한 동작을 실행하고, 그것들의 기능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여기에서, 메뉴 런처 기능이란, 방송 수신 단말(100)이 갖는 각 기능을 제시하여, 유저에게 선택된 기능을 기동시키는 것이다.
제1 처리부(110)는, 방송 수신 기능을 갖고, 방송 장치(20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수신한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추출한 스트림 정보나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120)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1 처리부(110)는, 수신부(111)와, 상태 관리부(112)와, 제시 제어부(113)를 구비한다.
상태 관리부(112)는, 판별 수단으로서 구성되고, 제2 처리부(130)에 의한 부속 기능의 동작 상황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에 있어야 할지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어야 할지의 판별을 행하여, 그 판별한 상태를 수신부(111)와 제시 제어부(113)에 통지한다.
여기에서,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라는 것은, 방송 수신 기능에 의해서 표시부(120)가 사용되어, 표시부(120)에 프로그램 내용이 비춰지는 상태인 것을 말한다. 또,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라는 것은,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에 의해서 제1 처리부(110)가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고 있지만, 부속 기능에 의해서 표시부(120)가 사용되어, 표시부(120)에 프로그램 내용이 비춰지지 않는 상태인 것을 말한다.
수신부(111)는,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한다.
여기에서, 수신부(111)는,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상태에 있어야 한다는 통지를 상태 관리부(112)로부터 받으면, 수신한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스트림 정보 및 데이터 캐러셀을 추출하여, 각각에 대해서 디코드나 렌더링(rendering) 등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수신부(111)는, 처리된 스트림 정보 및 데이터 캐러셀을 제시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또, 수신부(111)는,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어야 한다는 통지를 상태 관리부(112)로부터 받으면, 수신한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시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제시 제어부(113)는, 상태 관리부(112)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표시부(120)의 표시 형식을 제어한다. 즉, 제시 제어부(113)는, 백그라운드 상태이어야 할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수신부(111)에 의해서 추출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이 때, 제시 제어부(113)는,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의 픽쳐 영역에 그 내용을 표시시킨다. 한편, 통상 제시 상태이어야 할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제시 제어부(113)는, 스트림 정보나 데이터 캐러셀의 내용을 표시부(120)의 픽쳐 영역 이외의 부분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은 수신부(111) 및 제시 제어부(113)에 의해서 표시 제어 수단 및 개요 제시 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픽쳐 영역이란, 방송 수신 단말(100)의 상태를 도형 등을 이용하여 나타내기 위해서, 방송 수신 단말(100)의 동작에 상관없이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에 항상 할당된 일부의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제1 처리부(110)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2 처리부(130)는, 부속 기능인 예를 들면 메일 기능을 기동하여, 표시부(120)에 그 메일 기능에 기초한 화면을 크게 표시시키려고 한다. 또한, 제2 처리부(130)는, 부속 기능이 기동한 것, 요컨대 표시부(120)가 메일 기능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상태 관리부(112)에 통지한다.
제2 처리부(130)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상태 관리부(112)는,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로 되어 있으면, 그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를 백그라운드 상태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판별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112)는,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야 할 취지를 수신부(111)와 제시 제어부(113)에 통지한다.
상태 관리부(112)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수신부(111)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의 스트림 정보의 추출을 정지, 또는 스트림 정보의 디코드를 정지한다. 또한, 수신부(111)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의 데이터 캐러셀의 추출을 정지, 또는 데이터 캐러셀로부터의 모듈의 복원을 정지한다. 또, 수신부(111)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제시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제시 제어부(113)는, 상태 관리부(12)로부터 백그라운드 상태의 통지를 받으면, 수신부(111)로부터 출력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부(120)의 픽쳐 영역에 제시시킨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제2 처리부(130)는, 메일 기능을 종료하면, 그 종료를 상태 관리부(112)에 통지한다.
제2 처리부(130)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상태 관리부(112)는,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를 통상 제시 상태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판별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112)는, 통상 제시 상태로 해야 할 취지를 수신부(111)와 제시 제어부(113)에 통지한다.
상태 관리부(112)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수신부(111)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스트림 정보를 추출하여, 그 스트림 정보를 디코드한다. 또한, 수신부(111)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데이터 캐러셀을 추출하여, 그 데이터 캐러셀로부터 모듈을 복원한다. 또, 수신부(111)는, 디지털 방송파부터의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추출을 정지한다.
제시 제어부(113)는, 상태 관리부(112)로부터 통상 제시 상태의 통지를 받으면, 수신부(111)에 의해서 디코드된 스트림 정보의 내용, 및 복원된 모듈을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다.
도 5는, 표시부(120)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송 수신 단말(100)이 구비하고 있는 방송 수신 기능이나 부속 기능이 통상 사용되는 메인 영역(122)과, 기동 중의 기능에 관계없이 항상 방송 수신 단말(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술한 픽쳐 영역(121)과, 방송 수신 단말(100)의 조작이 간단한 설명을 표시하는 가이던스 영역(123)의 3개의 영역을 갖는다.
또한, 여기에서는 표시부(120)가 3개의 영역을 갖는다고 하였지만, 4개 이상의 영역이나 2개 이하의 영역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특정한 기능이 기동 중인 경우에는, 표시부(120)는, 픽쳐 영역을 표시하지 않고, 영역의 수를 2개로 한다.
제2 처리부(130)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 요컨대 제1 처리부(110)가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메뉴 런처 기능을 기동하면,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메뉴를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100)을 조작하여, 「TV」라고 표시된 TV 버튼(b1)을 선택한다.
TV 버튼(b1)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여 통상 제시 상태로 되어, 표시부(120)는, 도 5의 (b)에 도시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즉, 제2 처리부(130)는, TV 버튼(b1)의 선택에 따라서, 메뉴 런처 기능을 종료시키고, 그 종료와 TV 버튼(b1)의 선택을 제1 처리부(110)에 통지한다. 그 결과, 제1 처리부(110)는, 방송 수신 기능을 기동함으로써,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비춰지게 한다.
이 때, 표시부(120)는, 메뉴의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메튜 버튼(b2)과,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및 프로그램 내용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TV 종료 버튼(b3) 을, 가이던스 영역(123)에 표시한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TV 종료 버튼(b3)이 선택되면, 제1 처리부(110)는, 방송 수신 기능을 종료, 요컨대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및 스트림 정보의 추출 등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12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대기 화면 등을 메인 영역(122)에 표시한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메뉴 버튼(b2)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로 되어, 표시부(120)는, 도 5의 (c)에 도시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즉, 제2 처리부(130)는, 메뉴 런처 기능을 기동하여, 그 기동을 제1 처리부(110)에 통지한다. 그리고, 제2 처리부(130)는, 메뉴 런처 기능의 기동에 의해서, 메뉴를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표시시킨다.
메뉴 런처 기능의 기동의 통지를 받은 제1 처리부(110)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의 스트림 정보의 추출 등의 처리를 정지하는 한편,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아웃라인)을, 표시부(120)의 픽쳐 영역(121)의 일부인 정보 제시 영역(121a)에 문자열로 표시시킨다. 제1 처리부(110)는, 그 아웃라인인 문자열을 예를 들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또 이 때, 표시부(120)는, 메뉴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메뉴 종료 버튼(b4)과,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및 아웃라인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TV 종료 버튼(b5)을, 가이던스 영역(123)에 표시한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메뉴 종료 버튼(b4)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로 되어, 표시부(120)는, 도 5의 (b)에 도시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즉, 제1 처리부(110)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의 스트림 정보의 추출 등의 처리를 개시하는 한편, 디지털 방송파로부터의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추출 등의 처리를 정지한다. 그 결과, 제1 처리부(110)는,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시킨다.
또, 유저의 조작에 의해 TV 종료 버튼(b5)이 선택되면, 제1 처리부(110)는 방송 수신 기능을 종료한다. 그 결과,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정보 제시 영역(121a)에 표시되어 있었던 아웃라인은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방송 수신 단말(100)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방송 수신 단말(100)은, TV 버튼(b1)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을 기동한다(단계 S100).
방송 수신 단말(100)은,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지의 여부, 및 TV 종료 버튼(b5)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2).
여기에서, 수신 불가능, 또는 종료가 지시되었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단계 S102의 Y), 방송 수신 단말(100)은, 방송 수신 기능을 종료한다(단계 S104). 또한,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에는, 에러를 통지해도 된다.
한편, 수신 가능, 또는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단계 S102의 N), 방송 수신 단말(100)은, 부속 기능의 동작 상황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이어야 할지 통상 제시 상태이어야 할지를 판별한다(단계 S104).
여기에서, 통상 제시 상태이어야 한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 방송 수신 단말(100)은,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스트림 정보 및 데이터 캐러셀을 추출하여, 그것들에 대해서 디코드나 렌더링 처리 등을 행한다(단계 S106).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100)은, 상기 처리가 행해진 스트림 정보 및 데이터 캐러셀에 의해 표시되는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비춘다(단계 S108).
한편, 백그라운드 상태이어야 한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 방송 수신 단말(100)은,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110).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100)은, 추출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부(120)의 픽쳐 영역(121)(정보 제시 영역(121a))에 표시한다(단계 S112).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방송 수신 단말(100)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방송 수신 단말(100)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에는, 그 기능에 기초한 동작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정지 상태(St11)와, 상술한 통상 제시 상태(St12) 및 백그라운드 상태(St13)가 있다.
예를 들면 TV 버튼(b1)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면, 그 상태는, 정지 상태(St11)로부터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통상 제시 상태(St12)는, 예를 들면 메뉴 버튼(b2)의 선택에 의해 메뉴 런처 기능이 기동하면, 백그라운드 상태(St13)로 천이한다. 또, 통상 제시 상태(St12)는,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3)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예를 들면 메뉴 종료 버튼(b4)의 선택에 의해 메뉴 런처 기능이 종료하면,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또,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3)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메뉴 런처 기능의 기동 및 종료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가 천이하였지만, 다른 부속 기능의 기동 및 종료에 기초하여 천이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의 표시와, 그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의 표시가, 유저의 조작에 기초한 부속 기능의 기동 또는 종료에 의해 전환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저에게 있어서 관심이 없는 장면이 방송되고 있을 때에는,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을 조작하여 메일 기능 등의 부속 기능을 기동하여, 아웃라인만을 표시시켜 두면, 스트림 정보에 대한 디코드 등이 행해지지 않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 내용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도, 그 프로그램 내용에 동기한 아웃라인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그 아웃라인을 봄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관심이 있는 장면이 방송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을 조작하면, 그 관심이 있는 장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메일이나 게임 등에 열중하고 있어 도, 관심이 있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을 놓쳐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자기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을 놓쳐 버리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1)
여기에서, 통상 제시 상태와 백그라운드 상태의 사이에서의 천이의 트리거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속 기능의 기동 또는 종료를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상태간의 천이를 행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의 형상의 변화를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상태간의 천이를 행한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은, 그 형상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변형함으로써 표시부의 표시 화면이 숨었을 때에, 방송 수신 기능을 통상 제시 상태로부터 백그라운드 상태로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방송 수신 단말(100a)은, 예를 들면 접을 수 있게 구성된 휴대 전화기로서, 표시부(120)와, 제1 처리부(110a)와, 제2 처리부(130)와, 형상 관리부(131)와, 서브 표시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120)는, 방송 수신 단말(100)이 접혀졌을 때에는, 그 표시 화면이 숨는 것과 같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서브 표시부(132)는, 표시부(120)와 동일하게, LCD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방송 수신 단말(100a)이 접혀졌을 때에는, 그 표시 화면이 표면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서브 표시부(132)의 수를 1개로 하였지만,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형상의 변화에 따라서, 복수의 서브 표시부(132) 중에서, 유저로 제시 가능한 서브 표시부(132)를 선택하는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형상 관리부(131)는, 방송 수신 단말(100a)의 형상을 감시하여, 그 형상을 제1 처리부(110a)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형상 관리부(131)는, 방송 수신 단말(100a)이 접혀져 있는 형상(폴더 형상)인 것이나, 펼쳐져 있는 형상(전개 형상)인 것을 통지한다.
제1 처리부(110a)는, 수신부(111)와 제시 제어부(113a)와 상태 관리부(112a)를 구비한다.
상태 관리부(112a)는, 형상 관리부(131)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에 있어야 할지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어야 할지의 판별을 행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112a)는, 그 판별한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를 수신부(111)와 제시 제어부(113a)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상태 관리부(112a)는, 형상 관리부(131)로부터 폴더 형상의 통지를 받으면,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이어야 한다고 판별한다. 또, 상태 관리부(112a)는, 형상 관리부(131)로부터 전개 형상의 통지를 받으면,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이어야 한다고 판별한다.
제시 제어부(113a)는, 상태 관리부(112a)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표시부 (120) 및 서브 표시부(132)의 표시를 제어한다. 즉, 제시 제어부(113a)는,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시에, 통상 제시 상태이어야 할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을 비추고, 백그라운드 상태이어야 할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서브 표시부(132)에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시킨다.
도 9는, 표시부(120)와 서브 표시부(132)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100a)을 전개 형상, 예를 들면 TV 버튼(b1)을 선택함으로써, 방송 수신 기능을 기동시킨다. 그 결과, 제1 처리부(110a)는,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시에, 형상 관리부(131)로부터 전개 형상의 통지를 받기 때문에,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을 비춘다. 이 때, 방송 수신 기능은 통상 표시 상태이다.
여기에서,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100a)을 폴더 형상으로 변형한다. 그 결과, 제1 처리부(110a)는,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 중에, 형상 관리부(131)로부터 폴더 형상의 통지를 받기 때문에,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 표시부(132)의 메인 영역(132a)에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시킨다. 제1 처리부(110a)는, 그 아웃라인인 문자열을 예를 들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시킨다. 이 때, 방송 수신 기능은 백그라운드 상태이다.
도 10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0a)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방송 수신 단말(100a)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에는, 그 기능에 기초한 동작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정지 상태(St11)와, 상술한 통상 제시 상태(St12) 및 백그라운드 상태(St13)가 있다.
예를 들면 TV 버튼(b1)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면, 그 상태는, 정지 상태(St11)로부터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통상 제시 상태(St12)는, 방송 수신 단말(100a)의 형상이 전개 형상으로부터 폴더 형상으로 변화하면, 백그라운드 상태(St13)로 천이한다. 또, 통상 제시 상태(St12)는,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3)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방송 수신 단말(100a)의 형상이 폴더 형상으로부터 전개 형상으로 변화하면,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또,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예를 들면 소정의 버튼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100a)이 전개 형상일 때에는, 프로그램 내용이 표시부(120)에 표시되고, 방송 수신 단말(100a)이 폴더 형상일 때에는,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이 그 프로그램 내용에 동기하여 서브 표시부(132)에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그 방송 수신 단말(100a)을 변형시킴으로써, 프로그램 내용의 표시와, 아웃라인의 표시를 가능하게 전환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2)
여기에서, 통상 제시 상태와 백그라운드 상태의 사이에서의 천이의 트리거에 대한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속 기능의 기동 또는 종료를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상태간의 천이를 행하였다.
본 변형예에서는,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에 대한 직접적인 유저의 지시를 트리거로 하여, 상기 각 상태간의 천이를 행한다.
도 11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방송 수신 단말(100b)은, 표시부(120)와, 제1 처리부(110b)와, 제2 처리부(130b)와, 유저 입력 처리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 입력 처리부(133)는, 유저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을 통상 제시 상태로 할지 백그라운드 상태로 할지에 대한 지시를 접수한다. 그리고 유저 입력 처리부(133)는, 접수한 지시 내용을 제1 처리부(110b) 및 제2 처리부(130b)에 통지한다.
제2 처리부(130b)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부속 기능을 기동 및 종료시키는 동시에, 제1 처리부(110b) 및 유저 입력 처리부(133)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기동 중의 부속 기능에 기초한 화면의 표시 및 비표시에 대해서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2 처리부(130b)는,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 통상 제시 상태의 통지를 받으면, 부속 기능을 기동하고 있어도, 제1 처리부(110b)에 의한 표시부(120)의 사용을 인정하여, 표시부(120)에 대해서 그 부속 기능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시키지지 않는다. 한편, 제2 처리부(130b)는,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 백그라운드 상태의 통지를 받으면, 기동 중의 부속 기능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제1 처리부(110b)는, 수신부(111)와 제시 제어부(113)와 상태 관리부(112b)를 구비한다.
상태 관리부(112b)는,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 및 종료를 제2 처리부(130b)에 통지하는 동시에,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의 통지를 수취하면, 그 통지 내용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을 통상 제시 상태로 해야 할지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야 할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112b)는, 그 판별한 상태를 수신부(111) 및 제시 제어부(113)에 통지한다. 또한, 상태 관리부(112b)는,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였을 때에는, 초기 설정으로서,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의 통지가 없어도, 통상 제시 상태로 해야 할 통지를 수신부(111) 및 제시 제어부(113)에 대해서 행한다.
도 12는, 표시부(120)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TV 버튼(b1)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여 통상 제시 상태로 되고,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2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화면으로 된다.
즉, 제1 처리부(110b)는, 방송 수신 기능을 기동함으로써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을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비춰지게 한다. 그리고, 제1 처리부(110b)는,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을 제2 처리부 (130b)에 통지한다.
제2 처리부(130b)는, 제1 처리부(110b)로부터의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의 통지를 받으면, 메뉴 런처 기능을 종료시키지 않고, 표시부(120)에 대해서 메뉴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이 때, 표시부(120)는, 메뉴의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백 버튼(b11)과,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및 프로그램 내용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TV 종료 버튼(b12)을, 가이던스 영역(123)에 표시한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TV 종료 버튼(b12)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고,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5의 (a)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즉, 제1 처리부(110b)는, 방송 수신 기능을 종료, 요컨대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및 스트림 정보의 추출 등의 처리를 종료하고, 그 종료를 제2 처리부(130b)에 통지한다. 제2 처리부(130b)는, 제1 처리부(110b)로부터의 방송 수신 기능의 종료의 통지를 받으면, 기동 중의 메뉴 런처 기능에 기초한 메뉴를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표시시킨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백 버튼(b11)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로 되고,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2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화면으로 된다.
즉, 유저 입력 처리부(133)는, 백 버튼(b11)의 선택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야 할 지시를 접수하여, 그 지시 내용을 제1 처리부 (110b) 및 제2 처리부(130b)에 통지한다. 제1 처리부(110b)는,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의 통지를 받으면,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으로의 프로그램 내용의 비춰짐을 정지시키고, 표시부(120)의 픽쳐 영역(121)(정보 제시 영역(121a))에,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시킨다. 제2 처리부(130b)는,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의 통지를 받으면, 기동 중의 메뉴 런처 기능에 기초한 메뉴를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표시시킨다.
이 때, 표시부(120)는, 프로그램 내용을 비추기 위한 TV 표시 버튼(b13)과,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및 아웃라인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TV 종료 버튼(b14)을, 가이던스 영역(123)에 표시한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TV 표시 버튼(b13)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로 되고,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2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화면으로 된다.
즉, 유저 입력 처리부(133)는, TV 표시 버튼(b13)의 선택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을 통상 제시 상태로 해야 할 지시를 접수하여, 그 지시 내용을 제1 처리부(110b) 및 제2 처리부(130b)에 통지한다. 제2 처리부(130b)는,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의 통지를 받으면, 메뉴 런처 기능을 종료시키지 않고, 표시부(120)에 대해서 메뉴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제1 처리부(110b)는, 유저 입력 처리부(133)로부터의 통지를 받으면, 표시부(120)의 정보 제시 영역(121a)으로의 아웃라인의 표시를 정지시키고,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프로그램 내용을 비춰지게 한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TV 종료 버튼(b14)이 선택되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여,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5의 (a)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즉, 제1 처리부(110b)는, 방송 수신 기능을 종료, 요컨대 디지털 방송파의 수신 및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추출 등의 처리를 종료하여, 표시부(120)의 정보 제시 영역(121a)으로의 아웃라인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또, 메뉴에 포함되는 각 기능에 따른 버튼 중 메일 버튼(b15)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2의 (c)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된다.
즉, 제2 처리부(130b)는, 메뉴 런처 기능을 종료시키고, 그 대신에 메일 기능을 기동시킨다. 그 결과, 제2 처리부(130b)는, 메일 기능에 기초한 메일 편집 화면을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표시시킨다. 이 때, 방송 수신 기능은,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고, 제1 처리부(110b)는 표시부(120)의 픽쳐 영역(121)(정보 제시 영역(121a))에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시키고 있다.
이 때에도 표시부(120)는, 상술한 TV 표시 버튼(b13) 및 TV 종료 버튼(b14)과, 메일 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캔슬 버튼(b16)을, 가이던스 영역(123)에 표시하고 있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TV 표시 버튼(b13)이 선택되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로 되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2의 (a')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된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캔슬 버튼(b16)이 선택되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2의 (b)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즉, 제2 처리부(130b)는, 메일 기능을 종료시키고, 그 대신에 메뉴 런처 기능을 기동시킨다.
유저의 조작에 의해 TV 종료 버튼(b14)이 선택되면, 제1 처리부(110b)는 방송 수신 기능을 종료하고, 표시부(120)의 정보 제시 영역(121a)으로의 아웃라인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또,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2의 (a')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되었을 때에, 백 버튼(b11)이 유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로 되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2의 (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화면으로 된다. 요컨대, 앞에 표시되어 있었던 메일 편집 화면이 표시부(120)의 메인 영역(122)에 표시되고,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아웃라인이 문자열로 표시부(120)의 픽쳐 영역(121)에 표시된다.
도 13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0b)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방송 수신 단말(100b)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에는, 그 기능에 기초한 동작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정지 상태(St11)와, 상술한 통상 제시 상태(St12) 및 백그라운드 상태(St13)가 있다.
예를 들면 TV 버튼(b1)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면, 그 상태는, 정지 상태(St11)로부터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통상 제시 상태(St12)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백 버튼(b11)이 선택되면, 백그라운드 상태(St13)로 천이한다. 또, 통상 제시 상태(St12)는,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14)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텔레비전 표시 버튼(b13)이 선택되면,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또,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14)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방송 수신 기능을 통상 제시 상태로 할지 백그라운드 상태로 할지에 대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여, 그 접수된 지시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를 천이시킨다. 따라서, 유저는 그 방송 수신 단말(100b)에 대해서 지시함으로써, 프로그램 내용의 표시와, 아웃라인의 표시를 가능하게 전환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3)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취득과,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의 제시의 타이밍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100)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면, 직접적으로,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제시하기 위한 제시 처리를 행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은, 제시해야 할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여, 그 시각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시각에, 제시 처리를 행하여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장치(200)의 정보 생성부(203)는, 스트림 생성부(201)의 스트림 정보 및 데이터 캐러셀 생성부(202)의 데이터 캐러셀을 참조하여, 그것들의 아웃라인이 제시되어야 하는 시각을 특정한다. 그리고, 정보 생성부(203)는, 그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시켜 출력한다.
도 14는,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0c)은, 표시부(120)와, 제1 처리부(110c)와, 제2 처리부(130)와, 시각 계측부(134)를 구비하고 있다.
시각 계측부(134)는, 현재 시각을 계시하고 있고, 그 현재 시각을 제1 처리부(110c)에 통지한다.
제1 처리부(110c)는, 수신부(111c)와 제시 제어부(113)와 상태 관리부(112)와 정보 기억부(114)를 구비한다.
정보 기억부(114)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다.
수신부(111c)는,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에,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면, 그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여 이것을 정보 기억부(114)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수신부(111c)는, 시각 계측부(134)로부터 통지되는 현재 시각과, 정보 기억부(114)에 기억되어 있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을 비교한다. 그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이 현재 시각과 같으면, 수신부(111c)는, 그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정보 기억부(114)로부터 독출하여 제시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제시 제어부(113)는, 수신부(111c)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면,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또 이 때 표시되는 아웃라인은, 디지털 방송파의 프로그램 내용과 동기하고 있다.
도 15는,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0c)의 백그라운드 상태에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방송 수신 단말(100c)은,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에 의해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고, 그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120).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100c)은, 그 추출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정보 기억부(114)에 격납한다(단계 S122).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격납한 방송 수신 단말(100c)은,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이, 현재 시각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24).
여기에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단계 S124의 N), 방송 수신 단말(100c)은, 예를 들면 1초나 5초 등의 소정 시간만큼 계시를 행하여(단계 S126), 그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시 단계 S124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일치한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단계 S124의 Y), 방송 수신 단말(100c)은, 정보 기억부(114)에 격납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하여(단계 S128),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아웃라인)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단계 S130).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에 시각 정보를 포함시켰지만, 이것을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즉, 방송 장치(200)는, 아웃라인을 제시하도록 재촉하는 메시지를, 디지털 방송파에 포함시켜 송출한다. 방송 수신 단말(100c)의 수신부(111c)는, 상기 메시지를 받으면, 이미 정보 기억부(114)에 격납되어 있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하여 제시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시 제어부(113)는, 수신부(111c)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면,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부(120)에 표시시킨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가 나타내는 아웃라인을, 디지털 방송파의 프로그램 내용과 동기하도록 표시시켰지만, 동기시키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 단말(100c)은, 디지털 방송파에 다중화되어 송출되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수시로, 정보 기억부(114)에 격납해 둔다.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100c)은, 유저로부터 아웃라인의 표시를 재촉하는 지시를 접수하면, 정보 기억부(114)에 격납되어 있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하여, 그 아웃라인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어떠한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었는지를,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아웃라인으로부터 사후적으로 알 수 있다.
(변형예 4)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의 제시 방법에 관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100)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문자열로서 표시부(120)에 표시하였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음성으로 제시한다.
도 16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0d)는, 표시부(120)와, 제1 처리부(110d)와, 제2 처리부(130)와, 음성 출력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처리부(110d)는, 수신부(111d)와, 상태 관리부(112)와, 제시 제어부(113d)와, 음성 제어부(115)를 구비한다.
수신부(111d)는,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추출한 스트림 정보와 데이터 캐러셀을 제시 제어부(113d)에 출력하고,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추출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음성 제어부(115)에 출력한다.
제시 제어부(113d)는,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에는, 표시부(120)에 대한 표시 화면의 제어를 정지한다. 즉, 제시 제어부(113d)는, 상술한 제시 제어부(113)와 같이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는 것을 행하지 않는다.
음성 제어부(115)는,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에는, 수신부(111d)로부터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여,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해석한다. 그리고, 음성 제어부(115)는, 음성 합성에 의해, 그 내용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135)에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3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고, 음성 신호를 제1 처리부(110d)로부터 취득하여, 그 음성 신호가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한다.
도 17은, 방송 수신 단말(100d)의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 단말(100d)은, 휴대 전화기로서 구성되어 있고,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일 때에, 메일 기능에 기초한 메일 편집 화면을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0d)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으로서 예를 들면「마츠이가 타석에 들어섰습니다」와 같은 음성을 음성 출력부(135)로부터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이 음성으로 통지됨으로써, 그 아웃라인이 문자열로 표시되는 경우에 비해서,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100d)에 주목해 둘 필요가 없으며, 유저의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텍스트 데이터로서 구성하여, 방송 수신 단말(100d)에 음성 합성을 시켰지만,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음성 신호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음성 제어부(115)는, 수신부(111d)로부터 취득한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에 대해서, 음성 합성 등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음성 출력부(135)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음성 제어부(115)의 처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 요컨대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음성으로 출력하였지만, 예를 들면「삐-」와 같은 소리나「볼 만한 장면입니다」와 같은 음성을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이 방송될 때에, 방송 수신 단말(100d)은 상술한 소리를 낸다. 여기에서, 방송 수신 단말(100d)은, 예를 들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에 기초하여, 디지털 방송파의 프로그램 내용이 유저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 방송 수신 단말(100d)은, 디지털 방송파에 포함되는 플래그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방송파의 프로그램 내용이 유저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면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백그라운드 상태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음성으로 출력하였지만, 프로그램 내용의 음성을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 단말(100d)은,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프로그램 내용의 음성을 해석함으로써, 예를 들면 그 음성에 포함되는 키워드(중요 포인트)만을 출력하거나, 그 키워드를 다른 음성보다도 큰 음량으로 출력하거나 한다. 여기에서, 방송 수신 단말(100d)은, 예를 들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음성으로부터 그 키워드를 특정한다. 또, 방송 수신 단말(100d)은, 디지털 방송파에 포함되는 플래그 등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음성으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특정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음성으로 출력하였지만, 음성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아웃라인을 문자열로 표시부(120)에 표시시켜도 된다.
(변형예 5)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의 제시 방법에 관한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100)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문자열로서 표시부(120)에 표시시켰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문자열과 비교적 작은 동화상으로 제시한다.
도 18은,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을 때의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제1 처리부는, 방송 수신 기능이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내용을 문자열로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디지털 방송파로부터 스트림 정보를 추출하여 그 스트림 정보를 디코드한다. 여기에서 행해지는 디코드에서는, 통상 제시 상태에서 행해지는 디코드보다도, 묘화 정밀도가 떨어지고, 소비 전력이 작다. 예를 들면, 제1 처리부는 화질이 거칠어지도록 디코드한다. 그리고, 제1 처리부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코드된 스트림 정보의 내용을 동화상(간이 화상)(P1)으로서 표시부(120)의 정보 제시 영역(121a)에 작게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백그라운드 상태에서는 묘화 정밀도를 떨어뜨린 간이 화상(P1)과 문자열을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로서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는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을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 두면, 방송 수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유저가 좋아하는 장면을 놓쳐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방송 수신 단말은, 스트림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제시 영역(121a)에 작은 간이 화상(P1)을 표시시켰지만,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간이 화상(P1)을 표시시켜도 된다. 즉,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에는, 아웃라인을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와, 상기 간이 화상(P1)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 화상 데이터는,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MNG(Multiple-Image Network Graphics)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그라운드 상태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은,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드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단말은, 그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한 문자열과, 실시간 프로그램 정보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간이 화상(P1)을, 표시부(120)의 정보 제시 영역(121a)에 표시한다. 또, 방송 수신 단말은, 간이 화상(P1)을 정지 화상으로서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PNG(Portable Network Graphics)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의 아웃라인을 간이 화상(P1)으로 제시하였지만, 유저에게 있어서 흥미가 있는 프로그램이나 장면 등을 바이브레이션 등으로 제시해도 된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간이 화상(P1)과 문자열에 의한 아웃라인을 표시하였지만, 간이 화상(P1)만을 표시해도 된다.
(변형예 6)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방송 수신 단말은, 기동된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를, 통상 제시 상태와 백그라운드 상태의 사이에서만 천이시켰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은, 또한, 기동된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를 후술하는 금지 상태로도 천이시킨다.
또,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장치는,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수신 기능을 금지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금지 플래그와, 금지 상태의 방송 수신 기능을 다른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해제 플래그를 디지털 방송파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방송 장치는,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파를 송출한다.
도 19는,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0e)은, 표시부(120)와, 제1 처리부(110e)와, 제2 처리부(130)를 구비한다.
제1 처리부(110e)는, 수신부(111e)와, 상태 관리부(112e)와, 제시 제어부(113)를 구비한다.
수신부(111e)는, 방송 수신 기능의 기동에 의해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면, 그 디지털 방송파에 금지 플래그 또는 해제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포함되어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 수신부(111e)는, 금지 플래그 또는 해제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상태 관리부(112e)에 통지한다.
상태 관리부(112e)는, 방송 수신 기능이 통상 제시 상태일 때에, 수신부 (111e)로부터 금지 플래그에 대한 통지를 받으면, 제2 처리부(130)가 부속 기능을 기동하려고 하는 것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내용을 비추고 있을 때에, 제2 처리부(130)의 부속 기능의 기동이 금지되고, 프로그램 내용이 계속하여 표시되는 상태를 금지 상태라고 한다.
한편, 상태 관리부(112e)는, 수신부(111e)로부터 금지 플래그에 대한 통지를 받은 후에 해제 플래그에 대한 통지를 받으면, 상기 제2 처리부(130)에 대한 금지를 해제한다.
도 20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0e)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 천이도이다.
방송 수신 단말(100e)의 방송 수신 기능의 상태에는, 그 기능에 기초한 동작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정지 상태(St11)와, 상술한 통상 제시 상태(St12) 및 백그라운드 상태(St13)와, 금지 상태(St14)가 있다.
예를 들면 TV 버튼(b1)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기동하면, 그 상태는, 정지 상태(St11)로부터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통상 제시 상태(St12)는, 예를 들면 메뉴 버튼(b2)의 선택에 의해 메뉴 런처 기능이 기동하면, 백그라운드 상태(St13)로 천이한다. 또, 통상 제시 상태(St12)는,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3)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또한, 통상 제시 상태(St12)는, 금지 플래그가 취득되면 금지 상태(St14)로 천이한다.
금지 상태(St14)는, 해제 플래그가 취득되면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하 고,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3)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예를 들면 메뉴 종료 버튼(b4)의 선택에 의해 메뉴 런처 기능이 종료하면, 통상 제시 상태(St12)로 천이한다. 또, 백그라운드 상태(St13)는, 예를 들면 TV 종료 버튼(b3)의 선택에 의해 방송 수신 기능이 종료하면, 정지 상태(St11)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는, 유저가 자기가 좋아하는 방송 내용을 놓쳐 버리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는, 유저가 자기가 좋아하는 방송 내용을 놓쳐 버리지 않고 전력 절약화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하며, 그 방송 수신 단말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디지털 카메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방송파를 수신하여 방송 내용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 단말로서,
    상기 방송파는, 방송 내용을 나타내는 스트림 정보와, 상기 방송 내용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상기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으로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된 방송파의 스트림 정보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방송 내용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으로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과 동기하도록,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된 방송파에 의해서 전송되는 개요 정보가 나타내는 개요를 제시하는 개요 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을 기동 및 종료시키는 기능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소정의 기능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하고, 상기 소정의 기능이 종료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개요를 문자열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1 표시 영역보다도 좁은 제2 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방송 내용을 표시시키며,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개요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개요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개요를 음성으로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요 정보는, 상기 개요가 제시되어야 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현재 시각이 상기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과 일치할 때에 상기 개요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판별 수단으로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또한,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된 방송파의 스트림 정보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서 표시되는 방송 내용보다도 묘화 정밀도를 떨어뜨린 동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파는,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한 판별을 제한하는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한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에는, 유저의 조작에 상관없이, 이미 판별된 결과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방송 내용의 표시 및 비표시의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접수 수단으로 표시의 지시가 접수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하고, 상기 접수 수단으로 비표시의 지시가 접수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제1 및 제2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1 형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2 형상일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1 상태일 때에 표면에 나타나는 제1 표시 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제2 상태일 때에 표면에 나타나는 제2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표시 수단에 방송 내용을 표시시키며,
    상기 개요 제시 수단은, 상기 제2 표시 수단에 개요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
  12. 방송파를 송출하는 방송 장치로서,
    상기 방송파의 방송 내용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 정보를 생성하는 개요 정 보 생성 수단과,
    상기 개요 정보가 나타내는 개요가 방송 내용에 동기하도록 상기 개요 정보를 방송파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송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수단은, 상기 개요가 제시되어야 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개요 정보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수단은, 방송 내용의 표시를 강제적으로 계속시키도록 제한하는 제한 정보를 상기 방송파에 포함시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장치.
  15. 방송파를 수신하여 방송 내용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송파는, 방송 내용을 나타내는 스트림 정보와, 상기 방송 내용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 방법은,
    상기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방송파의 스트림 정보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방송 내용을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과 동기하도록,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개요 정보가 나타내는 개요를 제시하는 개요 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방법.
  16. 방송파를 수신하여 방송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방송파는, 방송 내용을 나타내는 스트림 정보와, 상기 방송 내용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방송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방송파의 스트림 정보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행하여, 방송 내용을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방송 내용을 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상기 방송 내용과 동기하도록,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개요 정보가 나타내 는 개요를 제시하는 개요 제시 단계를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67000389A 2003-12-24 2004-12-21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 KR20060115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6799 2003-12-24
JPJP-P-2003-00426799 2003-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852A true KR20060115852A (ko) 2006-11-10

Family

ID=3480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389A KR20060115852A (ko) 2003-12-24 2004-12-21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12920A1 (ko)
EP (1) EP1699235A4 (ko)
JP (1) JP4597869B2 (ko)
KR (1) KR20060115852A (ko)
CN (1) CN100411429C (ko)
WO (1) WO2005071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0720B2 (ja) 2008-09-25 2014-02-05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情報信号送受信方法
CN102202236A (zh) * 2010-03-22 2011-09-28 联芯科技有限公司 Cmmb终端的频道实时节目信息的呈现方法和系统
JP5988749B2 (ja) * 2012-07-24 2016-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828176A (zh) * 2016-03-21 2016-08-03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节目切换实现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程序产品
WO2017166117A1 (zh) 2016-03-30 2017-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广播的管控方法、装置及终端
JP2017195518A (ja) * 2016-04-20 2017-10-26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及び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JP7180160B2 (ja) * 2018-07-17 2022-11-3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374B1 (ko) * 1986-08-22 1991-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 시스템의 전원공급 및 입력신호 조절회로
US5195135A (en) * 1991-08-12 1993-03-16 Palmer Douglas A Automatic multivariate censorship of audio-video programming by user-selectable obscuration
US5684542A (en) * 1993-12-21 1997-11-04 Sony Corporation Video subtitle processing system
US6115057A (en) * 1995-02-14 2000-09-05 Index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rating level control of the viewing of a program
US8006260B2 (en) * 1996-04-01 2011-08-23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arental control using V-chip plus+ and master password
JP3539858B2 (ja) * 1998-01-08 2004-07-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タイムスタンプを利用する放送システムと受信端末装置
JP3853061B2 (ja) * 1998-03-18 2006-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出力切換装置
JPH11275488A (ja) * 1998-03-24 1999-10-08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7146329B2 (en) * 2000-01-13 2006-12-05 Erinmedia, Llc Privacy compliant multiple dataset correlation and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s
JP4750996B2 (ja) * 2000-02-01 2011-08-17 ユナイテッド ビデオ プロパティーズ インク 強制型広告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696123B2 (ja) * 2000-05-23 2005-09-14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セルラフォン、該セルラフォンの駆動方法、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装置の駆動方法
JP2002026801A (ja) * 2000-07-05 2002-01-25 Toshiba Corp 無線通信端末
JP2002232823A (ja) * 2000-11-17 2002-08-16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127736B2 (en) * 2000-11-17 2006-10-24 Sony Corporatio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for digest information based on input of a content user
US20030007092A1 (en) * 2001-04-27 2003-01-09 Wes Sonne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JP3752443B2 (ja) * 2001-11-14 2006-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受信機
JP2003203035A (ja) * 2002-01-07 2003-07-18 Digital Dream:Kk 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編集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191160B2 (en) * 2003-10-16 2012-05-29 Rene Juneau Method and system for auditing and correcting authorization inconsistencies for reception equipment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1952A1 (ja) 2005-08-04
EP1699235A4 (en) 2007-03-21
JPWO2005071952A1 (ja) 2007-07-26
CN1836442A (zh) 2006-09-20
JP4597869B2 (ja) 2010-12-15
US20060212920A1 (en) 2006-09-21
CN100411429C (zh) 2008-08-13
EP1699235A1 (en)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8862B2 (en) Portable phone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message notifications during video operations thereof
US20090262955A1 (en)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JP2006115213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の表示方法
JP2006080655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85598B1 (ko) 정보 통신 단말 장치, 정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정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060115852A (ko) 방송 수신 단말 및 방송 장치
KR100840036B1 (ko) 방송 수신 장치
JP2006101338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7202010A (ja) 放送受信アプリケーションを含むマルチタスク処理方法およびマルチタスク処理装置
JP2005079920A (ja) テレビ番組告知装置,電子機器,携帯型通信端末,テレビ番組告知方法,テレビ番組告知プログラムおよびテレビ番組告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19803B1 (ko) 이동 단말기의 대기화면 설정방법
KR20050121528A (ko) 동영상 확대처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JP4095387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168091B1 (ko)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JP4850937B2 (ja) テレビ放送受信端末、テレビ放送受信端末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0233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mp3파일 편집 및 전송방법
KR20060103109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출력 방법
JP200810386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27174A (ko) 응원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172454A (ja) 情報処理装置
JP2010136430A (ja) 放送受信装置
KR20050103103A (ko) 프리뷰를 이용한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242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JP2005318059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180230A (ja) 携帯移動端末装置およびテレビ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