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091B1 -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091B1
KR101168091B1 KR1020060006680A KR20060006680A KR101168091B1 KR 101168091 B1 KR101168091 B1 KR 101168091B1 KR 1020060006680 A KR1020060006680 A KR 1020060006680A KR 20060006680 A KR20060006680 A KR 20060006680A KR 101168091 B1 KR101168091 B1 KR 10116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rame mode
data
portable terminal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257A (ko
Inventor
지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0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2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slidin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 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직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거치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의해 직립 설치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해당 표시 데이터를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는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액자모드 설정부, 상기 표시 데이터 및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거치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및 상기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거치대가 펴진 것으로 감지되면, 액자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표시 데이터를 상기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액자모드에서 표시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표시 타입을 설정하여 저장한 후 거치대가 펴지면 설정된 액자 모드 설정정보에 따라 액자 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데이터를 설정된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액자 모드의 진입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사진, 슬라이드, 액자, 거치대, 개폐

Description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 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display-data selectively according to be opened and closed of prop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 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타입에 따라 마련되는 거치대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직립 설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의해 액자모드 설정 시 및 액자 모드 설정에 따른 표시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세부 액자모드 동작 설정 단계(S12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데이터를 배경화면에 액자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및 영상 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일정관리, 게임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 및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 및 정지영상으로 표시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는 그 표시 성능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컬러 영상 데이터의 표현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흑백 표시부를 사용 할 때에는 날짜 및 시간 정도 등을 표시하던 휴대용 단말기가 대기모드의 배경화면에 그림이나 간단한 애니메이션 또한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정지 또는 동 영상 사진 등을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받아 재생하거나, 이동 중에 지상파 또는 위성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 받아 재생할 수 있는 DMB(Digital Mobile Broadcasting) 수신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상기 데이터들 중 방송 데이터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이 최소 수 분 내지 수 십, 수 백 분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손에 파지하기 보다는, 일정 거리를 두고 휴대용 단말기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해당 방송의 시청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설치시 표시부가 전면을 향할 수 있도록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방송 데이터 수신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 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거치대를 통해 소정 각도를 가지고 표시부가 전면을 향하여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새로운 부가 기능의 구현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거치대에 의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 감상 또는 사진 감상 등의 기능을 접목한 새로운 부가 기능의 창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직립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비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슬라이스 쇼의 구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슬라이드 쇼의 동작 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직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거치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의해 직립 설치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해당 표시 데이터를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는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액자모드 설정부; 상기 표시 데이터 및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거치대 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및 상기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거치대가 펴진 것으로 감지되면, 액자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표시 데이터를 상기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일정 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는 상기 액자모드의 수행여부 정보, 상기 표시 타입 설정정보,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시 타임 설정정보, 및 수신되는 광고의 표시 여부에 대한 설정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타입 설정정보는,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한, 슬라이드 쇼,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 동영상 표시, 및 광고 영상 표시 타입 설정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대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펴져있는 거치대가 접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액자 모드의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은, 상기 액자 모드의 동작 수행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액자 모드로의 동작 수행이 설정되면, 상기 액자 모드에서 제어하기 위한 세부 액자 모드의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가 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액자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설정된 액 자모드의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데이터를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일정 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액자모드의 동작정보는 상기 액자모드의 수행여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자모드의 동작정보는, 상기 표시 타입 설정정보,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시 타임 설정정보, 및 수신되는 광고의 표시 여부에 대한 설정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타입 설정정보는,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한, 슬라이드 쇼,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 동영상 표시, 및 광고 영상 표시 타입 설정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은 상기 펴져있는 거치대가 접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액자 모드의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자모드에서 표시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표시 타입을 설정하여 저장한 후 거치대(190)가 펴지면 설정된 액자 모드 설정정보에 따라 액자 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데이터를 설정된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액자 모드의 진입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 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무선 통신부(125), 오디오 처리부(130), 키입력부(140), 카메라부(152), 영상 처리부(154), 표시부(156), 액자모드 설정부(160), 거치대 개폐 감지부(170), 저장부(180), 및 거치대(190)를 포함한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거치대(19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거치대(190)는 휴대용 단말기의 직립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며, 직립 설치되었을 때 표시부(156)가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거치대(190)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정 부위에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직립 설치시 거치대(190)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펴진 상태에서 바닥에 설치된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타입에 따라 마련되는 거치대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직립 설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a는 개폐 가능한 구조의 거치대(212)가 바(Bar)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210)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210)는 본체의 후면 하단에 구비된 개폐 가능한 구조의 거치대(212)에 의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된다.
도 2의 b는 개폐 가능한 구조의 거치대(242)가 상부(230) 및 하부(240)가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하부(240)의 후면 하단에 구비된 개폐 가능한 구조의 거치대(242)에 의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된다.
도 2의 c는 개폐 가능한 구조의 거치대(262)가 상부(250) 및 하부(260)가 폴더 타입으로 개폐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하부(260)의 후면 하단에 구비된 개폐 가능한 구조의 거치대(262)에 의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거치대(212,242,262)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직립 가능한 각도 범위 내에서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190)의 개폐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모드 설정 및 설정된 모드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190)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펴진 상태가 되면,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타입에 따라 표시하는 액자 모드의 설정 및 설정된 액자 모드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한다. 여 기서 액자 모드란, 거치대(190)가 펴진 상태에서 저장 또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6)를 통해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말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액자 모드에서 표시되는 데이터의 대상을 영상 데이터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상기 액자 모드에서 표시되는 데이터의 대상은 영상 데이터로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156)를 통해 표시 가능한 모든 표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 데이터는 정지 및 동 영상 데이터 외에, 문자 메시지와 같은 문자 데이터, 및 스케줄, 기념일, 메모 등과 같은 일정 관리 데이터 등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모듈, 및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모듈 등을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복조/복호화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송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변조/부호화하여 무선통신부(125)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5),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2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25)는 무선 채널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25)는 데이터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통화시, 오디오 처리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를 통해 데이터 처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14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 및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140)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 모드 설정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부(152)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별도로 분리 또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54)는 카메라부(15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54)는 케메라부(15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6)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54)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56)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54)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처리부(15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56)는 영상처리부(15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표시부(15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156)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56)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 모드에서 카메라부(152)를 통해 촬영한, 무선 통신부(125)를 통해 수신, 및 저장부(18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비롯한 표시 가능한 데이터를, 설정된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액자모드 설정부(160)는 키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해당 명령을 수신한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액자 모드의 사용 여부, 및 액자 모드에서 표시할 영상 데이터의 선택 및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표시 타입과 표시 시간과 해당 광고의 표 시 여부를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액자모드 설정정보는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거치대 개폐 감지부(170)는 휴대용 단말기를 직립으로 설치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거치대(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거치대 개폐 감지부(170)는 이렇게 감지된 거치대 개폐 정보를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저장부(180)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들 및 수행 결과에 따른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80)는 카메라부(152)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182), 및 무선 통신부(125)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182)를 비롯한 표시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80)는 액자 모드 설정부(160)에서 설정된 액자모드 설정정보(184)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모드 설정정보(184)는, 액자모드 사용여부 정보, 쇼(show) 데이터 선택 정보, 쇼 타입 설정정보, 쇼 타임 설정정보, 및 광고 쇼 설정정보 등을 포함한다.
쇼 데이터 선택 정보는 액자 모드에서 표시되도록 선택한 영상 데이터이고, 쇼 타입 설정정보는 선택된 영상 데이터가 어떤 타입으로 표시되도록 할 것인지가 설정된 정보이다. 즉 쇼 타입 설정정보는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슬라이드 쇼,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 동영상 표시 모드, 및 광고 영상 표시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쇼 타임 설정정보는 설정된 쇼 타입에 따라 표시할 영상 데이터의 표시 시간 정보이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절약을 위해 요구된다. 광고 쇼 설정정보 는 전송되는 광고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정보를 액자 모드에서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정보이다.
도 3은 도 1에 의해 액자모드 설정 시 및 액자 모드 설정에 따른 표시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액자모드 설정시 화면(156)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56)에는 액자모드 설정을 위한, 액자 모드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표시될 쇼 데이터 선택 메뉴, 쇼 타입 설정 메뉴, 쇼 타임 설정 메뉴, 및 광고 쇼 설정 메뉴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메뉴들을 통해 설정된 액자모드 설정정보에 따라 선택된 표시 데이터(182a)가 화면(156)에 표시되는 예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액자 모드의 설정을 위한 모드로 진입하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자 모드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S110). 제어부(110)는 액자 모드의 사용이 선택되면, 도 4의 a에 표시된 메뉴들을 통해 액자 모드에서 제어하기 위한 세부 액자 모드의 동작을 설정한다(S120). 이러한 과정을 거쳐 액자 모드의 세부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설정된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거치대(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도록 거치대 개폐 감 지부(170)를 제어한다(S130). 이에 따라 거치대 개폐 감지부(170)는 거치대(190)의 개폐를 감지하여, 그 결과 정보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제어부(110)는 거치대 개폐 감지부(170)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거치대(190)의 펴짐 여부를 판별한다(S140). 거치대(190)가 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130 단계를 수행한다.
거치대(190)가 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액자 모드를 시작하고 설정된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검출한다(S150). 제어부(110)는 액자 모드에서 검출한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해당 표시 데이터를 설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표시부(156)를 통해 표시한다(S160).
액자 모드에 따라 해당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제어부(110)는 거치대 개폐 감지부(170)를 제어하여 거치대(19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그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S170). 제어부(110)는 거치대 개폐 감지부(17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하여 거치대(190)가 펴진 상태에서 접힘이 감지되는 지를 판단한다(S180).
거치대(190)가 접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150 단계 내지 S170 단계를 수행한다. 거치대(190)가 접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수행 중인 액자 모드를 종료한다(S190).
따라서, 액자모드에서 표시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표시 타입을 설정하여 저장한 후 거치대(190)가 펴지면 설정된 액자 모드 설정정보에 따라 액자 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데이터를 설정된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액자 모드의 진입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세부 액자모드 동작 설정 단계(S12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과정은 도 3의 a에 표시된 액자모드 설정 메뉴들을 기초로 수행된다.
먼저,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액자 모드에서 표시할 표시 데이터를 선택한다(S122).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표시할 표시 데이터의 표시 타입인 쇼 타입을 설정한다(S124). 여기서 쇼 타입은 선택된 표시 데이터를, 슬라이드 쇼, 동영상 쇼, 및 광고 영상 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선택된 표시 데이터에 대한 쇼 타입이 설정되면, 설정된 쇼 타입에 따라 표시할 표시 데이터의 표시 시간 정보에 따른 쇼 타임을 설정한다(S126). 제어부(110)는 수신되는 광고 데이터를 액자 모드에서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광고 쇼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S128).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자모드에서 표시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표시 타입을 설정하여 저장한 후 거치대(190)가 펴지면 설정된 액자 모드 설정정보에 따라 액자 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데이터를 설정된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액자 모드의 진입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다.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직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거치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의해 직립 설치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해당 표시 데이터를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하도록 하는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액자모드 설정부;
    상기 거치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거치대 개폐 감지부; 및
    상기 거치대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거치대가 펴진 것으로 감지되면, 액자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표시 데이터를 상기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일정 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는 상기 액자모드의 수행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는,
    표시 타입 설정정보,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시 타임 설정정보, 및 수신되는 광고의 표시 여부에 대한 설정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타입 설정정보는,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한, 슬라이드 쇼,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 동영상 표시, 및 광고 영상 표시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 및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액자모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대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거치대가 접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액자 모드의 수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직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자 모드의 동작 수행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액자 모드로의 동작 수행이 설정되면, 상기 액자 모드에서 제어하기 위한 세부 액자 모드의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가 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액자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설정된 액자모드의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데이터를 해당 표시 타입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일정 관리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모드의 동작정보는 상기 액자모드의 수행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모드의 동작정보는,
    표시 타입 설정정보, 상기 표시 데이터의 표시 타임 설정정보, 및 수신되는 광고의 표시 여부에 대한 설정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타입 설정정보는, 상기 표시 데이터에 대한, 슬라이드 쇼,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 동영상 표시, 및 광고 영상 표시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접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액자 모드의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자모드 수행 방법.
KR1020060006680A 2006-01-23 2006-01-23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116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680A KR101168091B1 (ko) 2006-01-23 2006-01-23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680A KR101168091B1 (ko) 2006-01-23 2006-01-23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257A KR20070077257A (ko) 2007-07-26
KR101168091B1 true KR101168091B1 (ko) 2012-07-24

Family

ID=3850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680A KR101168091B1 (ko) 2006-01-23 2006-01-23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4403B1 (en) 1999-02-19 2002-08-13 Bodycom,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wireless tele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4403B1 (en) 1999-02-19 2002-08-13 Bodycom,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wireless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257A (ko)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60606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78209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제어방법
KR100689384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27303A (ko)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JP4286247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7312039A (ja) Tv電話機能付き携帯端末
JP4975240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EP1732321A2 (en) Foldable wireless terminal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067821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JP453843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KR101168091B1 (ko)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2007000026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2006008349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증명사진 촬영 방법
KR1006301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다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홈 씨어터 제어방법
KR100606067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0606092B1 (ko)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KR100876734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