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831A -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831A
KR20060114831A KR1020050036985A KR20050036985A KR20060114831A KR 20060114831 A KR20060114831 A KR 20060114831A KR 1020050036985 A KR1020050036985 A KR 1020050036985A KR 20050036985 A KR20050036985 A KR 20050036985A KR 20060114831 A KR20060114831 A KR 2006011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ing
unit
ac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5003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4831A/ko
Publication of KR2006011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 박스에서 키를 빼거나 ACC가 오프 되고 차량의 조명이 켜져 있을 때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조명을 오프 하는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조명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조명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온/오프 감지부와, 차량의 키 박스에 연결되어 ACC의 오프 여부를 감지하여 ACC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ACC 온/오프 감지부와, 차량 좌석 시트에 탑승자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탑승자 탑승 신호를 출력하는 탑승자 검출부와, 소정의 동작 전원을 입력 여부에 따라 차량의 조명을 온 또는 오프 하는 조명부와,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조명부로 출력하는 전원 차단부와, 상기 ACC 오프 신호 입력 시 상기 조명 온/오프 신호와 탑승자 탑승 신호를 입력받고 조명이 온 여부 및 탑승자가 유무를 판단하여 조명이 온 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차단부를 제어하여 조명을 오프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 ACC, 탑승자

Description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ING ILLUMINATION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차량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 박스에서 키를 빼거나 ACC가 오프되고 차량의 조명이 켜져 있을 때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조명을 오프하는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어두운 밤길을 밝혀주기 위한 전조등, 미등 등과 같은 조명 장치들이 구비된다. 조명 장치들은 차량의 스티어링 축(컬럼)에서 돌출되는 바의 조명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동작한다. 통상 상기 조명 스위치는 로터리 스위치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 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스위칭됨에 따라 조명장치로 제공되는 전 원을 온 또는 오프 하여 조명을 켜거나 끈다.
그러나 운전자들은 비오는 날이나 밝은 날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곳을 통과할 때 조명장치를 켰다가 다시 밝은 곳으로 나왔을 때 조명을 켜 놓은 것을 잊어버리고 있다가 그대로 주차를 시키고 볼일을 보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조명장치의 동작으로 인한 전원이 계속 소모되어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운전자가 조명장치를 켜놓고 주차를 한 경우 배터리의 지속적인 전원 소모로 인한 배터리 방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 방전으로 인해 운전자는 당황하게 되고 배터리를 재충전하거나 교체를 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배터리의 재충전 또는 교체로 인한 비용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 박스에서 키를 빼거나 ACC가 오프 되고 차량의 조명이 켜져 있을 때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조명을 오프 하는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조명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조명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온/오프 감지부와, 차량의 키 박스에 연결되어 ACC의 오프 여부를 감지하여 ACC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ACC 온/오프 감지 부와, 차량 좌석 시트에 탑승자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탑승자 탑승 신호를 출력하는 탑승자 검출부와, 소정의 동작 전원을 입력 여부에 따라 차량의 조명을 온 또는 오프 하는 조명부와,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조명부로 출력하는 전원 차단부와, 상기 ACC 오프 신호 입력 시 상기 조명 온/오프 신호와 탑승자 탑승 신호를 입력받고 조명이 온 여부 및 탑승자가 유무를 판단하여 조명이 온 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차단부를 제어하여 조명을 오프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ACC가 오프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ACC가 오프 되면 조명이 온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이 온 되어 있으면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탑승자가 없으면 조명을 오프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ACC의 온/오프 상태와 조명의 온/오프 상태 그리고 차량 내부 에 탑승자의 유무 상태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 등과 같은 조명을 자동으로 끄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는 제어부(10)와 저장부(20)와 스위치 온/오프 감지부(30)와 ACC 온/오프 감지부(40)와 탑승자 검출부(50)와 전원부(60)와 전원 차단부(70)와 조명부(80)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참조된 부호 1은 조명 스위치부를 나타낸 것이고, 3은 키 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스위치 온/오프 감지부(30)는 차량의 조명을 온/오프 하는 조명 스위치부(1)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 스위치부(1)가 온 되는지 오프 되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스위치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ACC 온/오프 감지부(40)는 차량 내부의 전자 유닛들로 전원을 공급하고 시동 을 켜는 ACC를 구비하는 키 박스(3)와 연결되어 상기 ACC가 온 되는지 오프 되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0)로 ACC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탐승자 검출부(50)는 좌석 시트에 압력센서 또는 자장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가 차량 내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로 탑승자 존재 유무를 알리기 위한 탑승자 탑승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부(60)는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각 구성들에 필요한 동작 전원으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전원 차단부(70)는 상기 전원부(60)로부터 동작 전원을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조명부(80)로 상기 동작 전원을 제공하거나 차단한다.
조명부(80)는 상기 동작 전원을 입력받고 전조등 및 미등 또는 차량 실내 등의 조명들을 온/오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ACC 온/오프 감지부(40)를 통해 ACC가 오프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ACC 오프가 감지되면 제어부(1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스우치 온/오프 감지부(30)를 통해 조명 스위치가 온 되어 있는지 오프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조명 스위치가 온 되어 있다면 제어부(1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탑승자 검출부(50)를 통해 탑승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탑승자가 있으면 제어부(10)는 상기 213단계로 돌아가 다시 조명 이 온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검출된 탑승자가 수동으로 조명을 오프 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전원 차단부(70)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조명부(80)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조명을 오프 한다.
상기 구성들은 에이브이 시스템(Audio/Video System: AV System)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은 차량용 유닛(Unit)들을 이요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유닛은 전면판 조명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용 유닛들의 전면판 조명장치는 차량의 조명 스위치(Illumination Switch)의 온/오프에 따라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유닛은 차량의 조명 스위치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차량용 유닛은 키 박스에서 키를 빼거나 ACC를 오프 할 경우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소비 전류상태에서 동작하기 위한 ACC 온/오프를 감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차량 내의 탑승자를 검출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 또는 자장센서 등을 구비하여 탑승자의 유무를 검출하고 탑승자 유무를 나타내는 탑승자 탑승 신호를 상기 제어부(10)로 제공하는 탑승자 검출부(50)를 더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라 조명을 자동 온/오프 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차량용 유닛 제어프로그램 내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조명을 자동으로 오프 하므로 운전자가 직접 일일이 조잘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조명을 자동으로 오프 하므로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조명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조명 스위치의 온/오프 여부를 감지하여 조명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온/오프 감지부와,
    차량의 키 박스에 연결되어 ACC의 오프 여부를 감지하여 ACC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ACC 온/오프 감지부와,
    차량 좌석 시트에 탑승자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탑승자 탑승 신호를 출력하는 탑승자 검출부와,
    소정의 동작 전원을 입력 여부에 따라 차량의 조명을 온 또는 오프 하는 조명부와,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조명부로 출력하는 전원 차단부와,
    상기 ACC 오프 신호 입력 시 상기 조명 온/오프 신호와 탑승자 탑승 신호를 입력받고 조명이 온 여부 및 탑승자가 유무를 판단하여 조명이 온 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차단부를 제어하여 조명을 오프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2.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ACC가 오프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ACC가 오프되면 조명이 온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명이 온 되어 있으면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탑승자가 없으면 조명을 오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방법.
KR1020050036985A 2005-05-03 2005-05-03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114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85A KR20060114831A (ko) 2005-05-03 2005-05-03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85A KR20060114831A (ko) 2005-05-03 2005-05-03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831A true KR20060114831A (ko) 2006-11-08

Family

ID=3765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985A KR20060114831A (ko) 2005-05-03 2005-05-03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48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14655A (ja) 車両用照明制御装置
JP4490293B2 (ja) 車載用省電力化装置
KR20060114831A (ko) 차량의 조명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3139172A (ja) 車載ランプ自動消灯装置
KR20050071092A (ko) 주위 환경에 대응하는 자동차용 램프 시스템
JP2006347443A (ja) ハザードランプ点滅制御装置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100877973B1 (ko)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오토라이트 점등시간 제어시스템 및방법
KR0137733Y1 (ko) 자동차 조명등 점소등 경보장치
KR0124989Y1 (ko) 자동차의 차량등 자동 점등장치
JP2008174172A (ja) オートライト装置
KR101143932B1 (ko) 차량 전조등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44110Y1 (ko)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용 램프 소등 장치
JP3099419U (ja) 車載用照明装置
KR0148908B1 (ko) 자동차 조명제어장치
KR970006404B1 (ko) 차량의 배터리방전 예방 장치
KR200394799Y1 (ko) 안개등 자동점멸장치
JPH08127284A (ja) オートライト駆動制御装置
KR0180848B1 (ko) 램프 자동 꺼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00008214A (ko) 전조등 자동 온/오프장치 및 방법
KR20030080328A (ko) 자동차용 독서등 자동 소등장치
KR20010011207A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035356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制御装置
KR19990041814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90033481A (ko) 차량 램프의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