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507A -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507A
KR20060113507A KR1020060038146A KR20060038146A KR20060113507A KR 20060113507 A KR20060113507 A KR 20060113507A KR 1020060038146 A KR1020060038146 A KR 1020060038146A KR 20060038146 A KR20060038146 A KR 20060038146A KR 20060113507 A KR20060113507 A KR 2006011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vable body
lid
butt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148B1 (ko
Inventor
다카히데 이치마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11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외관 특성이나 전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덮개체가 충격하중에 의해 뜻하지 않게 개방 위치로 전환될 우려를 해소하고, 또한 간소화를 도모한다.
(해결수단) 가동체(2)를 본체(1)측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전환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에 있어서, 가동체(2)의 위치 전환시에 각각 사용되며 압압력을 해방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 가능한 버튼(4)과, 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되는 이동체(5)와, 이동체에 대해서 일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부하를 받으면 탄지력에 저항하여 요동되고, 부하의 해방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 가능한 압압체(6)와, 가동체측의 기어부 또는 래크부에 맞물려 있음과 아울러, 긴 홈(74)을 형성하고 있는 기어체(7)와, 기어체(7)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회동중심을 사이에 두고 돌기(68) 및 구멍부(67)를 형성하고 있는 반전체(65)와, 일단이 위치고정되고 타단이 탄지력을 가지는 상태로 구멍부(67)에서 기어체(7)의 긴 홈(74)으로 관통되어 있는 스프링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Reversing Equipment for Operation Direction and Lid Switching Device Which Applies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개폐장치를 본체의 전후 일방향측에서 본 개략 외관도
도 2는 도 1의 덮개개폐장치를 케이스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덮개개폐장치의 요부를 분해한 모식분해도
도 4는 상기 덮개개폐장치의 요부를 도 3의 반대측에서 본 모식분해도
도 5는 상기 덮개개폐장치의 요부를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모식구성도
도 6은 상기 덮개개폐장치의 요부를 도 4와 같은 방향에서 본 모식구성도
도 7의 (a)는 덮개체의 폐쇄 위치에서의 기구부를 나타내고, (b)는 덮개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기구부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도 7의 반대측을 도 7의 (a),(b)에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작동도
도 9는 도 7(a)의 상태에서 버튼을 압압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10은 도 7(b)의 상태에서 버튼을 압압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11은 덮개체가 단일 구성인 경우를 도 7에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변형예
도 12는 덮개체가 슬라이드 방식인 경우를 도 7에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변형예
도 13은 덮개개폐기구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전측벽
12 - 후측벽 2,2A~2D - 덮개체
20~23 - 암부 25,26 - 기어부
3 - 케이스 30 - 베이스
35 - 커버 4 - 조작용 버튼
40 - 래크부재 41 - 래크
5 - 이동체 50 - 상하편부
52, 53 - 가이드홈 54 - 래크부
55 - 축부 6 - 압압체
60 - 축구멍 61a,61b - 단면의 오목부
62 - 축부 63 - 돌조부
7 - 기어체 70 - 본체부분
71 - 기어부 72 - 지지부
74 - 긴 홈 8 - 턴오버용 스프링부재
8a - 일단 8b - 타단
8c - 권취부 9 - 동력전달수단
9A, 9B - 아이들기어 25, 26 - 기어부
29 - 래크부 39 - 고정판(고정부에 상당한다)
39c - 오목부 44 - 탄지스프링
45 - 기어부재 47 - 피니언
48 - 지름이 큰 기어부 59 - 판스프링
59a - 중간 편부 59b - 양측 편부
65 - 반전체 66 - 축구멍
67 - 구멍부 68 - 돌기부
본 발명은, 가동체를 본체에 설정되어 있는 제 1 위치(예를 들면, 폐쇄 위치)와 제 2 위치(예를 들면, 개방 위치)로 버튼조작에 의해 전환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덮개개폐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덮개개폐장치는, 2분할된 덮개체(도어체 114, 116)를 동시에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전환하는 것이다. 기구의 특징은, 개방버튼(118) 및 폐쇄버튼(120)과, Z형상 암(158, 164)과, 큰 기어인 회전체(132)와, 일단(150A)이 회전체(132)의 걸어맞춤홈(144)에 걸어맞춰지고 타단(150B)이 본체측에 축(152)을 통하여 지지된 반전식 스프링(1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방버튼(118)은 축(154)을 통하여 암(158)의 일단(158A)에 연결되고, 폐쇄버튼(120)은 축(160)을 통하여 암(164)의 일단(164A)에 연결되어 있다. 부호 130은 덮개체(116)측의 작은 기어로서, 회전체(132)에 맞물려 있다. 부호 138은 덮개체(114)중에서 암(158)을 배치하고 있는 측과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작은 기어이다. 상기 작은 기어(138)는 아이들기어를 통하여 덮개체(116)의 대응측의 작은 기어와 맞물려 있다. 상기한 기구에서는 덮개체(114, 116)가 도 13(a)의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개방버튼(118)을 압입하면, 암(158)이 구멍(168)에 끼워맞춰져 있는 축(16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암(158)의 하단 선단부(158C)가 스프링(150)의 연결부(150A)를 압압하여, 상기 연결부(150A)가 회전체(132)의 걸어맞춤홈(144)을 따라 좌측단부(144A, 안정점)에서 우측단부(144B)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스프링(150)의 연결부(150A)가 중립점을 넘어서 걸어맞춤홈(144)의 우측의 단부(144B)로 이동한다. 그러면, 회전체(132)에는 스프링(150)의 분력(分力)으로서, 회전체(1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개방버튼(118)에서 손을 떼어도, 스프링(150)의 탄지력에 의해 회전체(132)가 덮개체(114, 116)를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덮개체(114, 116)가 도 13(b)의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폐쇄버튼(120)을 압입하면, 암(164)이 축(166)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암(164)의 하단 선단부(164C)가 스프링(150)의 연결부(150A)를 압압하여 상기 연결부(150A)가 회전체(132)의 걸어맞춤홈(144)을 따라 우측단부(144B, 안정점)에서 좌측단부(144A)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스프링(150)의 연결부(150A)가 중립점을 넘어서 걸어맞춤홈(144)의 좌측단부(144A)로 이동되면, 회전체(132)에는 스프링(150)의 분력으로서, 회전체(1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폐쇄버튼(120)에서 손을 떼어도 스프링(150)의 탄지력에 의해 회전체(132)가 덮개체(114, 116)를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2-362237호 공보
상기한 특허문헌 1의 기구에서는, 덮개체를 대응하는 버튼의 조작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전환하거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전환하지만, 개방버튼 및 폐쇄버튼이 병설되어 있는 관계로, 버튼용 배치부나 조작공간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운전자나 탑승자가 목적으로 하는 버튼을 잘못 압입할 우려가 있다. 이것은 버튼을 잘못 누르면, 덮개체가 개방 위치로 탄지력에 의해 전환되기 때문에 안전성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단일한 버튼으로 개방 및 폐쇄조작을 겸하는 기구를 개발하였다(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04-141616). 본 발명은 그 기구를 더욱 개량하고,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과 오작동이 발생하기 어려운 기구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의 구조, 도 11의 구조, 도 12의 구조에 공통된 구성을 특정한 것으로, 가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전환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체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할 때 각각 사용되며 압압력을 해방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가능한 단일한 조작용 버튼과, 상기한 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버튼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이동체와, 상기한 이동체에 대해서 일단측의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부하를 받으면 탄지력에 저항하여 요동되며 부하의 해방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 가능한 압압체와, 상기한 가동체에 형성된 기어부 또는 래크부에 맞물려 있음과 아울러, 회동중심과 외주의 사이에 긴 홈을 형성하고 있는 기어체와, 상기한 기어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회동중심을 사이에 두고 돌기부 및 구멍부를 형성하고 있는 반전체와, 일단이 위치고정되며 타단이 상기한 반전체의 구멍부에서 상기한 기어체의 긴 홈으로 관통되어 있는 턴오버용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버튼이 압압되면, 상기한 이동체 및 상기한 압압체가 상기한 기어체측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한 압압체의 대응 단면부가 상기한 반전체의 돌기부 또는 스프링부재의 타단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한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상기한 반전체를 회동시킨 후, 증대된 탄지력으로 상기한 기어체 및 반전체를 일체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가동체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6과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한 기구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덮개체를 본체의 대응면에 대해서 이 대응면을 덮는 폐쇄 위치와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덮개개폐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작동방향 반전기구를, 상기 가동체를 상기한 덮개체로 하고, 상기 제 1 위치를 덮개체의 폐쇄 위치로 하고, 상기한 제 2 위치를 덮개체의 개방 위치로 하여 적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각 발명은 조작용 버튼이 단일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개방버튼 및 폐쇄버튼을 형성하는 구조에 비해 버튼을 잘못 누를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버튼용의 설치공간을 반감하거나, 외관 의장성을 개선하기 쉬워진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04-141616에 기재된 구조에 비해, 하트캠 방식의 걸림수단을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구를 간소화 하거나 오작동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없앨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와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압체는,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의 안내 작동에 따라서 상기 일단측의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청구항 2), 대략 ㄷ자 형상의 판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이동체에 대해서 상기한 판스프링을 ㄷ자 형상의 중간편부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ㄷ자 형상의 양측편부 사이에 상기 압압체를 끼움지지하여 상기한 중립위치에 유지시키고 있는 것(청구항 3, 청구항 4), 상기 압압체는,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이동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는 고정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이동체와 함께 초기 위치까지 슬라이드되었을 때 걸리는 축부를 가지고 있는 것(청구항 5)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작동방향 반전(反轉)기구를 적용한 덮개개폐장치를 나타내고, 도 3~도 6은 작동방향 반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고, 도 7~도 10은 상기한 덮개개폐장치의 요부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과 도 12는 작동방향 반전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요, 요부구조, 작동, 변형예의 순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개요) 발명대상의 작동방향 반전기구는 도 7이나 도 11 및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동체로서의 덮개체{2(2A, 2B)} 또는 덮개체(2C, 2D)를 단일한 조작용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 본체(1)의 대응부(개구나 스위치 등의 조작면)에 대해서, 상기 대응부를 덮는 폐쇄 위치(제 1 위치)와 개방하는 개방 위치(제 2 위치)로 회동식이나 슬라이드식으로 전환할 때에 적합한 기구로서, 케이스(3)에 조립되어 유닛화 되어 있다. 여기에서, 덮개체는 도어나 커버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고, 도 1 내지 도 10과 같이 2분할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의 덮개체(2C)나 도 12의 덮개체(2D)와 같이 단일형태의 덮개이어도 된다. 본체는 기기나 장치의 하우징이나 상자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요부구조) 도 1 내지 도 10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차량용 콘솔박스에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에 수용 배치되는 본체(1)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기구이다. 장치 내지는 기구의 특징은, 단일한 조작용 버튼(4)과, 버튼(4)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되는 이동 체(5)와, 이동체(5)에 일단측의 축부(62)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압압체(6)와, 덮개체측에 형성된 기어부(25) 또는 래크부(29)에 맞물려 있는 구동용 기어체(7)와, 기어체(7)에 대해서 단독 및 연동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반전체(65)와, 일단(8a)이 위치고정되고, 타단(8b)이 기어체(7)의 대향하는 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일측의 긴 홈(72), 반전체(65)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67), 기어체(7)의 대향하는 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타측의 긴 홈(72)에 관통되어 있는 턴오버용 스프링부재(8)를 적어도 구비함으로써,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 덮개체(2A~2D)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각각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할형태의 덮개의 경우에는 도 11이나 도 12의 변형예의 단일형태의 덮개와 비교하여 일측의 덮개체(2A)에 타측의 덮개체(2B)를 연동하여 전환 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9) 등이 추가된다. 또한 버튼(4), 이동체(5), 압압체(6), 기어체(7), 반전체(65), 스프링부재(8)는 케이스(3)에 부착되어 유닛화 되어있다. 세부는 이하와 같다.
본체(1)는 전측벽(11)과, 후측벽(12)과, 저벽(13)과, 양측벽(14) 등에 의해 상측이 개구된 용기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7이나 도 8과 같이 전측벽(11) 및 후측벽(12)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축(24)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후측벽(12)에는 상술한 케이스(3)가 복수의 나사 등을 통하여 부착된다. 이에 대해서, 덮개체(2A, 2B)는 전후의 암부(20, 21, 또는 22, 23)가 본체(1)의 대응되는 전측벽(11) 및 후측벽(12)에 축(24)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24)을 지지점으로 해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회동 전환된다. 또한 덮개체(2A) 전측의 암부(20)와, 덮개체(2B) 전후의 암부(22, 23)에는 축(24)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 주위부에 연속된 기어형상, 즉 기어부(25 또는 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덮개체(2A, 2B)는, 본체(1)에 축(24)을 통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후, 본체(1)의 전측벽(11)에서 동력전달수단(9)과 연동됨과 아울러, 본체(1)의 후측벽(12)에서 본 발명의 작동방향 반전기구와 연동된다. 동력전달수단(9)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측벽(11)에 위치하여, 덮개체(2A)의 전측암부(20)와 덮개체(2B)의 전측암부(22)의 사이에 축(27) 등을 통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맞물려 있는 한 쌍의 아이들기어(9A, 9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9)은 예를 들면, 덮개체(2B)가 축(24)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면, 각 맞물림에 의해 덮개체(2A)가 축(24)을 지지점으로 하여 덮개체(2B)와 동시에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도 8 중, 부호 28은 양단이 아이들기어(9A, 9B)의 대응부에 나사 등에 의해 걸어맞춰져 있는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코일스프링(28)은 덮개(2A, 2B)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각각 전환되는 도중에 탄지방향을 반전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코일스프링(28)은 예를 들면, 덮개체(2A, 2B)가 폐쇄방향에서 개방방향으로 전환되는 도중의 위치까지는 스프링 차지(spring charge, 탄지력을 축적하는 의미)하고,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약간 앞서서 탄지방향을 반전시켜 상기 탄지력에 의해, 도중의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동 전환한다. 이와 같은 반전식 스프링(28)은 본 발명의 작동방향 반전기구에 필수는 아니지만, 덮개체의 중량이 과대하게 되거나, 회동 또는 슬라이드저항이 과도하게 될 때에 스프링부재(8)의 탄지력을 보강하 여 자동전환 작동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케이스(3)는 베이스(30)와 커버(35)에 의해 내부를 구획하고 있다. 베이스(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대략 직사각형부분 및 하측 돌출형상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대략 직사각형 부분의 네 귀퉁이에 형성된 간격 형성 및 연결 겸용의 규제축(31a~31d), 상측 중간부에 형성된 축받이부(32), 축받이부(32)와 병설되어 있는 축부(32a), 하측 돌출형상부분으로 형성되고, 스프링부재(8)의 일단(8a)을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는 부착구멍(31e), 기어체(7) 등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33), 축부(33)를 중심으로 하여 통형상으로 구획되어 있는 대략 원통형상부(34), 원통형상부(34)의 내외를 관통하고 있는 절결부(34a) 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커버(3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0)보다 깊은 용기형상을 이루고, 내측에 있어서 규제축(31a~31d)과 끼워맞춰지는 도시하지 않은 보스부 및 상기 각 보스부를 관통하고 있는 연결구멍(36a~36d),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배치용 테두리부(37) 및 테두리부(37)의 저면에서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버튼용 가이드통 및 상기 가이드통의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축부, 대략 중앙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테두리(38) 및 상기 걸어맞춤테두리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있는 부착구멍(38a) 등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테두리(38)에는 고정판(39)이 장착되어 있다. 요컨대, 고정판(39)은 대략 직사각형판으로 이루어지고, 판의 외면측에 형성된 돌출부(39a)와, 판의 내면측에 형성된 릴리프홈(39b)과, 릴리프홈(39b)의 편측부분에 형성되어 릴리프홈(39b)측에서 일단측에 접근함에 따라 상하 중간위치에 수속(收束)되는 오목부(39c)를 가지며, 돌출부(39a)가 걸어맞춤테두리(38)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가(假)고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가 부착구멍(38a)을 통하여 걸리는 것에 의해 커버(35)에 장착된다.
이상의 베이스(30)와 커버(35)는, 베이스(30)에 기어체(7)와 스프링부재(8) 및 기어부재(45) 등을 조립하고, 커버(35)에 버튼(4)과 이동체(5) 및 압압체(6) 등을 조립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그 유닛상태에서 본체(1)의 후측벽(12)에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
이중에서, 우선, 버튼(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하면에서 테두리부(4b)가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테두리부(4b)에 래크부재(40)를 연결하고 있다. 래크부재(40)는, 도 4와 같이 편측면에 형성한 래크(41)와, 상측의 연결돌조(42)와, 도 6과 같이 내면에 돌출 형성한 돌기(43)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4)은, 래크부재(40)가 커버(35)의 테두리부(37)내에서 상기한 가이드통을 관통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버튼(4)과 테두리부(37) 저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탄지스프링(44)의 탄지력에 의해 버튼(4)이 누름조작된 후, 상기 압압력이 해방되었을 때 거의 일정한 높이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부호 15는 지지판이다. 상기 지지판(15)은, 돌기(43)와 끼워맞춰지는 가이드구멍(15a), 베이스(30)의 축부(32a)가 관통되는 관통구멍(15c)와 후술하는 기어부재(45)의 축부(46)를 통하게 하는 관통구멍(15b) 등을 가지며, 베이스(30)와 래크부재(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동체(5)는, 종단면이 개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커버(35)의 걸어맞춤테두리(38)에 장착되는 고정판(39)을 ㄷ자 형상의 상하편부(50, 50)내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39)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이동체(5)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측편부(50, 50)를 접속하고 있는 판부분(51)에 형성된 2개의 원호형상의 가이드홈(52, 53)과, 상측편부(50)를 따라서 형성된 래크부(54)와, 판부분(51)의 내면 일단측에 형성된 축부(55)와, 축부(55)의 상하에 형성된 보스부(56a) 및 보스부(56b)의 사이에 형성된 편부(57)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동체(5)에는 판스프링(59)이 보스부(56a, 56b) 및 편부(57)를 통하여 조립된다. 상기한 판스프링(59)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부(59a)가 편부(57)와 축부(55)의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양편부(59b)가 탄성력을 가지는 상태로 대응하는 보스부(56a, 56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이동체(5)에는 압압체(6)가 축부(5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압압체(6)는, 이동체(5)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고, 축부(55)에 끼워맞춰지는 축구멍(60)과, 자유단측의 단면(61)에 형성된 상하의 오목부(61a, 61b)와, 가이드홈(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축부(62)와, 가이드홈(53)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대략 L형의 돌조부(63)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압압체(6)는 이동체(5)에 대해서, 축부(55)와 축구멍(60)을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기단부측이 판스프링(59)의 양편부(59b, 59b)의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부하를 받으면 판스프링(5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부하방향인 상측 또는 하측으로 요동되고, 부하해방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5)에는 래크부(54)와 래크부재(40)의 래크(41)의 사이에 기어부재(45)가 개재되고, 상기 기어부재(45)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체(5)는 고정판(39)에 대해서 슬라이드된다. 즉, 기어부재(45)는, 베이스(30)의 축받이부(32)에 끼워맞춰지는 축부(46)와, 래크부재(40)의 래크(41)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47)과, 이동체(5)의 래크부(54)와 맞물려 있는 지름이 큰 기어부(48)를 가지며, 축받이부(32) 등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기어부재(45)는, 버튼(4)의 누름조작에 의해 래크부재(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래크(41)와 피니언(47)의 맞물림을 통하여 회동된다. 그 결과, 이동체(5)는 래크부(54)와 기어부(48)의 맞물림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기어체(7)는 덮개체(2B)의 기어부(25)와 맞물림하는 기어부(71)를 외주에 형성하고 있는 본체부분(70)과, 상기한 본체부분(70)의 외측 단면측에 간격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된 대략 반원의 주머니형상의 지지부(72)에 의해 윤곽을 구획하고, 상기한 본체부분(70) 및 지지부(72)에 대해서 축구멍(73)과 긴 홈(74)을 연이어 통하게 한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기어부(71)는,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분(70)의 대응부가 원통형상부(3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기어부(25)와 맞물림된다. 축구멍(73)은 본체부분(70)과 지지부(72)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긴 홈(74)은 본체부분(70)과 지지부(72)의 중심과 외주의 사이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부호 75는, 상기 본체부분(70)의 외측단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리브이다.
반전체(65)는 상기 기어체(7)의 본체부분(70)과 지지부(72)의 사이에 배치되는 크기의 대략 반(半)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축구멍(66)과, 지지부(72)에 대향하는 단면측에 있어서, 축구멍(66)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68) 및 구멍부(6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반전체(65)는 상기한 본체부분(70)과 지지부(72)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30)의 축부(33)가 본체부분(70)의 축구멍(73), 반전체(65)의 축구멍(66), 지지부(72)의 축구멍(73)에 끼워져 통과되고, 거듭 지지부(72)의 외면에 배치되는 링(77)에 끼워져 통과된 상태에서, 나사(76)가 축부(33)의 선단구멍에 나사맞춤되는 것에 의해, 기어체(7)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경우, 축부(33)에는 우선, 칼라(78)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후, 기어체(7) 및 반전체(65)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칼라(78)는, 구멍부(67)와 같은 구멍부를 가지며, 그 구멍부로부터 스프링부재(8)의 타단(8b)이 관통된다.
상기한 반전체(65)는, 스프링부재(8) 및 긴 홈(74)에 의해 도 7(a)과 도 9로부터 추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어체(7)에 대해서 축부(33)를 중심으로 하여 단독으로 회동 가능하고, 또한, 도 9와 도 7(b)로부터 추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축부(33)를 중심으로 하여 기어체(7)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부재(8)는 전체형상이 대략 Ⅴ형이고, 일단(8a)과 타단(8b)의 사이에 권취부(8C)를 형성하고 있다. 일단(8a)은 베이스(30)의 부착구멍(31e)에 나사 등을 통하여 걸어맞춰진다. 타단(8b)은 보호튜브를 장착하고 있고, 탄지력을 가지면서 절결부(34a)를 통하여 베이스(30)의 원통형상부(34)내에 배치된 후, 상기한 칼라(78)의 구멍 부, 상기한 본체부분(70)의 긴 홈(74), 반전체(65)의 구멍부(67), 지지부의 긴 홈(74)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작동) 다음으로, 이상의 덮개개폐장치의 실시형태의 주요한 작동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8(a)의 실선은 덮개체의 폐쇄 위치를 나타내고, 도 7(b) 및 도 8(b)은 덮개체의 개방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덮개체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전환될 때의 본 발명의 작동방향 반전기구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10은 덮개체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전환될 때의 본 발명의 작동방향 반전기구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덮개체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덮개체(2B)는 도 7(a)와 같이 기어체(7)가 스프링부재(8)의 탄지력을{긴 홈(74)의 일단에 맞닿아 있는 타단(8b)을 통하여} 받아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기 때문에, 그 탄지력에 비례한 힘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덮개체(2A, 2B)는 도 8(a)와 같이 각 기어부(26)와 맞물려 있는 양측의 아이들기어(9A, 9B)에 걸어맞춰져 있는 코일스프링(28)의 스프링압에 의한 강도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도 9는 덮개체를 개방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4)을 도시하지 않은 탄지스프링(4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측으로 누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버튼(4)이 손 등에 의해 눌려서 하강되면, 기어부재(45)는 피니언(47)과 래크부재(40)의 래크(41)의 맞물림을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동시에 이동체(5)가 기어부(48)와 래크부(54)의 맞물림을 통하여 압압체(6)와 함께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압압체(6)의 자유단면(61)중, 하측 오목부(61b)가 스프링부재(8)의 타 단(8b)에 끼워맞춰진다. 압압체(6)는 이동체(5)를 통하여 거듭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끼워맞춰진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부재(8)의 탄지력을 증대시키면서, 타단(8b)을 긴 홈(74)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변위시킨다. 이 때 반전체(65)가 그 변위에 의해 단독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 후, 버튼(4)의 압압력을 해방하면 기어체(7) 및 반전체(65)가 스프링부재(8)의 증대된 탄지력에 의해 타단(8b)에 의해 압압되면서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한 기어체(7)의 회동에 의해 기어부(25)와 기어부(71)가 맞물려서 회동되고, 아이들기어(9A, 9B)와 기어부(26)의 맞물려서 회동되는 것에 의해 덮개체(2B)와 덮개체(2A)는 개방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회동 전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덮개체(2A, 2B)는 개방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스프링부재(8)의 탄지력 및 코일스프링(28)의 탄지력에 의해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버튼(4) 및 이동체(5) 등은 도 7(a)의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이동체(5)는 압압체(6)의 축부(62)가 고정판(39)의 오목부(39c)에 걸리는 것에 의해 초기위치로 확실하게 복귀된다.
도 10은 덮개체(2A, 2B)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버튼(4)을 누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버튼(4)이 다시 눌려서 하강되면, 기어부재(45)는 피니언(47)과 래크부재(40)의 래크(41)의 맞물림을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동시에 이동체(5)가 기어부(48)와 래크부(54)의 맞물림을 통하여 압압체(6)와 함께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압압체(6)의 자유단면(61)중, 상측 오목부(61a)가 반전체(65)의 돌기부(68)에 끼워맞춰진다. 압압체(6)는 이동체(5)를 통하여 거듭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끼워맞춰진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부재(8)의 탄지력을 증대시키면서 타단(8b)을 긴 홈(74)의 타단에서 일단측의 도중까지 변위시킨다. 반전체(65)는 상기한 변위에 의해 단독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 후, 버튼(4)의 압압력을 해방하면, 기어체(7) 및 반전체(65)는, 스프링부재(8)의 증대된 탄지력에 의해 타단(8b)이 긴 홈(74)의 일단에 맞닿고, 거듭 타단(8b)에 의해 압압되면서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한 기어체(7)의 회동에 의해 기어부(25)와 기어부(71)가 맞물려서 회동되고, 아이들기어(9A, 9B)와 기어부(26)가 맞물려서 회동되는 것에 의해, 덮개체(2B)는 덮개체(2A)는 폐쇄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회동 전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덮개체(2A, 2B)는, 폐쇄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부재(8)의 탄지력 및 코일스프링(28)의 탄지력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변형예) 도 11과 도 12의 각 변형예는 단일인 덮개체(2C 또는 2D)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일례이다. 그 중, 도 11의 덮개체(2C)는 회동 되는 타입이고, 도 12의 덮개체(2D)는 슬라이드 되는 타입이다. 이들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작동적으로 같은 부재 및 부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변경점만을 상술한다.
도 11의 덮개개폐장치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덮개체(2A) 및 동력전달수단(9)을 생략한 구성이고, 그것 이외는 실질적으로 같다. 또한 상기 덮개개폐장치에서는 상기한 코일스프링(28)에 대응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코일스프링은 스프링 양단이 덮개체(2C){상기한 실시형태의 덮개체(2B)에 대응되어 있다}의 전측암부와 본체(1A)의 전측벽 대응부에 걸리게 된다.
도 12의 덮개개폐장치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대비하여, 덮개체(2D)가 본체(1B)에 요철 끼워맞춤 등의 가이드 수단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도 12(a)의 폐쇄 위치와 도 12(b)의 개방 위치로 슬라이드식으로 전환되는 변형예이다. 상기 덮개개폐장치에서는, 덮개체(2D)가 하면측에 형성된 래크부(29)를 가지며, 상기 래크부(29)를 기어체(7)의 기어부(71)에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래크부(29)를 제외한 작동방향 반전기구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다. 즉, 덮개체(2D)가 래크부(29)와 기어부(71)의 맞물림에 의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슬라이드식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덮개개폐장치는 과제로 언급했던 바와 같은 문제를 일소하여 덮개체가 충격하중에 의해 뜻하지 않게 개방 위치로 전환될 우려를 확실히 없애거나, 개폐조작성을 향상시키거나, 배치공간이나 외관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아무런 제약이 없고, 각 수단의 세부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로 변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청구항 1과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개방버튼 및 폐쇄버튼을 형성한 종래 구조에 비해 조작용 버튼이 단일하기 때문에 버튼을 잘못 누를 우려가 없고, 버튼용의 설치공간을 반감하거나, 외관이나 의장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동시에 가동체(덮개체)가 도 7의 예에 있어서, 도 7(a)의 제 1 위치(폐쇄 위치) 및 도 7(b)의 제 2 위치(개방 위치) 모두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을 받고, 상기 탄지력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래치 등의 걸림수단 및 그것에 요구되는 충돌하중에 의한 오작동의 발생을 없애는 까다로운 과제를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압압체가 예를 들면, 도 7(a)~도 9, 또는 도 7(b)~도 10과 같이 이동체에 대해서 일단측의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될 때, 축부가 끼워맞춰져 있는 가이드홈의 안내 작동에 의해 양호하고 안정되게 요동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전환 작동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압압체가 중립위치에서 요동된 후, 부하의 해방에 의해 다시 중립위치로 복귀되는 구성으로 하여 간이화 및 작동의 확실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가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전환하는 작동방향 반전(反轉)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할 때 각각 사용되며 압압력을 해방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 가능한 단일한 조작용 버튼과,
    상기 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버튼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대해서 일단측의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부하를 받으면 탄지력에 저항하여 요동되고, 부하의 해방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 가능한 압압체와,
    상기 가동체에 형성된 기어부 또는 래크부에 맞물려 있음과 아울러, 회동중심과 외주의 사이에 긴 홈을 형성하고 있는 기어체와,
    상기 기어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회동중심을 사이에 두고 돌기부 및 구멍부를 형성하고 있는 반전체와,
    일단이 위치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반전체의 구멍부에서 상기 기어체의 긴 홈으로 관통되어 있는 턴오버용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이 압압되면 상기 이동체 및 상기 압압체가 상기 기어체측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압압체의 대응 단면부가 상기 반전체의 돌기부 또는 스프링부재 의 타단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재가 탄지력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반전체를 회동시킨 후, 증대된 탄지력으로 상기 기어체 및 반전체를 일체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체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는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의 안내 작동에 따라서 상기 일단측의 축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대략 ㄷ자 형상의 판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이동체에 대해서 상기 판스프링을 ㄷ자 형상의 중간편부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ㄷ자 형상의 양측편부 사이에 상기 압압체를 끼움지지하여 상기 중립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대략 ㄷ자 형상의 판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이동체에 대해서 상기 판스프링을 ㄷ자 형상의 중간편부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ㄷ자 형상의 양측편부 사이에 상기 압압체를 끼움지지하여 상기 중립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체는,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이동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는 고정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해서, 상기 이동체와 함께 초기위치까지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걸리는 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방향 반전기구.
  6. 덮개체를 본체의 대응면에 대해서 이 대응면을 덮는 폐쇄 위치와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덮개개폐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작동방향 반전기구를, 상기 가동체를 상기 덮개체로 하고, 상기 제 1 위치를 덮개체의 폐쇄 위치로 하고, 상기 제 2 위치를 덮개체의 개방 위치로 하여 적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장치.
  7. 덮개체를 본체의 대응면에 대해서 이 대응면을 덮는 폐쇄 위치와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하는 덮개개폐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5에 기재한 작동방향 반전기구를, 상기 가동체를 상기 덮개체로 하고, 상기 제 1 위치를 덮개체의 폐쇄 위치로 하고, 상기 제 2 위치를 덮개체의 개방 위치로 하여 적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개폐장치.
KR1020060038146A 2005-04-27 2006-04-27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KR100737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8811A JP4384078B2 (ja) 2005-04-27 2005-04-27 作動方向反転機構及びそれを適用した蓋開閉装置
JPJP-P-2005-00128811 2005-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507A true KR20060113507A (ko) 2006-11-02
KR100737148B1 KR100737148B1 (ko) 2007-07-06

Family

ID=3747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146A KR100737148B1 (ko) 2005-04-27 2006-04-27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384078B2 (ko)
KR (1) KR100737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05B1 (ko) * 2006-08-29 2007-07-1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8358B2 (ja) * 2007-04-06 2012-12-26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装置
JP4712079B2 (ja) * 2008-08-26 2011-06-2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開閉装置
EP3840990A4 (en) 2018-08-21 2022-04-20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11565629B2 (en) 2018-08-31 2023-01-31 Toyoda Gosei Co., Ltd. Double-doored lid apparatus
CN110422121B (zh) * 2019-08-30 2024-04-30 上海华特企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开式双扶手锁止机构
JP2021049811A (ja) 2019-09-20 2021-04-01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ボックス装置
DE102020207319A1 (de) 2020-06-12 2021-12-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 und Entriegelungseinrichtung, Mittelkonsole, sowie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514A (ja) * 1998-03-31 1999-10-12 Nifco Inc 蓋部材の開閉構造
JP4218225B2 (ja) * 2001-06-01 2009-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JP4619037B2 (ja) * 2004-02-20 2011-01-26 株式会社ニフコ 蓋開閉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05B1 (ko) * 2006-08-29 2007-07-1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148B1 (ko) 2007-07-06
JP4384078B2 (ja) 2009-12-16
JP2006307911A (ja)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148B1 (ko)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US20050252759A1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732795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535763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US7064285B2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4648167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装置
EP2703581B1 (en) Door locking device
US20020101091A1 (en) Panel driving device
RU2594867C2 (ru) Шарнир
JP6350451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CN208142056U (zh) 双电源自动转换开关的挂锁机构和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101536279A (zh) 开关设备
JP6264342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JP2009100816A (ja) 配線カバー装置
JP4678346B2 (ja) 開閉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
JP2003003731A (ja) 扉開閉機構
JP4342421B2 (ja) 扉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JP2007002535A (ja) 引戸のロック機構
JP4082366B2 (ja) 連動開閉式引き戸
CN217841171U (zh) 门组件及冰箱
US20240001760A1 (en) Fuel lid opener
JP4312030B2 (ja) 動作変換機構、駆動装置、ラッチ装置及び家具
WO2023141995A1 (en) Dual power transfer switch
KR100704105B1 (ko) 리미트 스위치
CN114360943A (zh) 一种柜门联锁装置及使用该柜门联锁装置的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