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355A - 워블신호 추출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워블신호 추출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355A
KR20060113355A KR1020057009956A KR20057009956A KR20060113355A KR 20060113355 A KR20060113355 A KR 20060113355A KR 1020057009956 A KR1020057009956 A KR 1020057009956A KR 20057009956 A KR20057009956 A KR 20057009956A KR 20060113355 A KR20060113355 A KR 2006011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obble
optical disc
optical disk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우이치 가네카미
히로야스 모리카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3Reproducing non-user data, e.g. wobbled address, prepits, BC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워블에 기인하는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광디스크 신호, 및 상기 제 1 광디스크 신호와는 역상인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에 있어서, 신호레벨 고정부(24a 및 24b)는,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를 소정 레벨로 고정시킨다.

Description

워블신호 추출회로 및 광디스크장치{WOBBLE SIGNAL EXTRACTING CIRCUIT AND OPTICAL DISK DRIVE}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정보가 기록 또는 재생 가능한 광디스크에 대한 정보기록재생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홈 워블에 기초하여, 광디스크의 회전제어 및 트랙의 위치정보 취득을 실행하는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신호로부터 워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워블신호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회로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디스크장치는, 광디스크 표면의 지름방향에 미리 사행시켜 형성된 안내 홈, 즉 워블(wobble)에 기초하여, 트랙킹을 실행하면서 광디스크에 대해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도 6은 종래 광디스크장치의 일례로서의 CD-R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광픽업(100)은 어느 속도로 회전시킨 광디스크(101)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분할된 광검출기로 반사광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신호에 대해, 서보신호생성회로(102)는, 포커스 또는 트랙킹 오류신호를 생성하여, 서보제어기(103)를 통해 광픽업(100)의 포커스 또는 트랙킹 서보를 실행한다.
도 7은, 서보가 인가된 상태의 광디스크(101) 표면을 확대시킨 도이다. 서보 가 인가된 상태에서, 광픽업(100)이 조사하는 레이저광은, 레이저 스폿(110)과 같이 집광되어, 항상 안내 홈(111)을 따르도록 트랙킹 제어된다. 또 광디스크(101)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안내 홈(111)에는 핏트(112)가 존재하여, 광픽업(100)은 핏트(112)의 유무에 따라 강약이 변화하는 반사광에 기초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도 6으로 돌아와, 워블신호 추출회로(104)는, 도 7에 나타낸 안내 홈(111), 즉 워블에 기인하는 워블신호를 추출한다. 서보제어기(103)는, 워블신호의 주파수가 원하는 값으로 되도록 스핀들모터(10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스핀들 서보를 인가한다. 또 워블신호에는, 광디스크(101)의 어드레스정보를 나타내는 절대시간정보(ATIP: Absolute Time In Pre-groove)가 조합된다. ATIP복호기(106)는, 워블신호로부터 ATIP를 복조시켜, 광디스크(101)의 광픽업(100) 위치정보를 CPU(107)로 송신한다. 한편 데이터신호 생성회로(108)는, 광픽업(100)이 생성하는 신호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복호기(109)는 데이터신호 생성회로(108)가 생성하는 데이터신호를 복호하여 광디스크(101)에 기록된 신호를 복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광디스크장치에서의 워블신호 추출회로(104)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종래 워블신호 추출회로(104)의 구성을 나타낸다. 워블신호 추출회로(104)는, 광픽업(100)으로부터, 데이터 재생신호인 RF신호성분과 광디스크(101)에 형성된 워블에 기인하는 워블신호성분을 포함하는 광디스크신호(S1 및 S2)를 입력하고, 감산기(120)에서 광디스크신호(S1)로부터 광디스크신호(S2)를 감산하여 워블신호를 추출한다.
도 9는 워블신호 추출회로(104)에 의한 워블신호 추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기록을 마친 광디스크의 재생을 실행할 경우, 이상적으로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130)이 디스크 면에서, 광검출기(131)의 분할부분(A, B, C 및 D)에 대해 각각 균등하게 반사된다. 이 때 디스크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된 분할부분(A 및 D)이 생성하는 A+D신호, 즉 도 8에 나타낸 광디스크신호(S1)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된 분할부분(B 및 C)이 생성하는 B+C신호, 즉 도 8에 나타낸 광디스크신호(S2)에서, 이들 신호에 포함되는 RF신호성분은 동일 상이며 동일 진폭이고, 워블신호 성분은 역상이며 동일 진폭이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감산기(120)에 의해 광디스크신호(S1)로부터 광디스크신호(S2)를 감산함으로써, 이들 신호에 포함되는 RF신호성분이 상쇄되고, 감산기(120)의 출력신호로서 워블신호 성분만을 포함하는 (A+D)-(B+C)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광디스크장치의 제조 시 등에 있어서의 광검출기(131) 설치정밀도의 한계 등이 원인으로,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130')이 광검출기(131)에 대해 비대칭으로 반사된다. 이 때 A+D신호와 B+C신호에서는, 이들 신호에 포함되는 RF신호성분 및 워블신호성분의 진폭에 차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광디스크신호(S1 및 S2)는 각각, 자동이득조정기(이하 AGC회로로 칭함)(121 및 122)로 진폭이 일정해지도록 조정된 후, 감산기(120)에 부여된다. 또한 감산기(120) 출력에 잔류하는 RF신호성분은 대역통과필터(123)에 의해 제거되어 워블신호(S3)가 추출된다. 그 후, 추출된 워블신호(S3)는, 2진화회로(124)로 2진화되어, 광디스크장치에서의 클록으로서, 스핀들 서보 및 디스크 어드레스 정보의 취득 등에 이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현재, 시장에는 CD-R 외에, DVD-R과 같은 추기형 광디스크나, CD-RW, DVD-RAM, DVD-RW 등의 기입변환 가능한 광디스크도 존재한다. 이들 광디스크에 대응한 기록재생장치도 또한, 데이터기록 시에는 상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광디스크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여 필요한 클록신호를 생성한다.
(특허문헌 1) 일특개평 8-19496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DVD-RAM디스크에서는, 랜드그루브(Land Groove) 기록방식이 채용된다. 랜드그루브 기록방식에서, 어드레스정보는, 랜드부 및 그루브부 각각의 트랙에 대해 델타형으로 배치된다. 때문에, 워블신호는 연속된 신호로 되지 않고 CAPA(Complimentary Allocated Pit Addressing)부의 판독 시에 단절된다. 따라서 CAPA부의 판독 시, 즉 레이저 조사광이 DATA부에서 CAPA부로, 또는 CAPA부에서 DATA부로 천이할 때, 도 8에 나타내는 감산기(120)에 입력되는 광디스크 신호의 DC변동 및 진폭이 급격히 변동하여, 감산기(120)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초과해버려, 감산기(120)가 포화돼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판독 개소가 DATA부로 천이된 후, 감산기(120)가 포화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복귀하는데 얼마간의 시간을 필요로 하며, 이 복귀 기간 중에는 감산기(120)의 응답특성이 정상상태의 특성과 다른 것이 돼버린다.
한편 DVD-R/RW에서는, 디스크 표면의 랜드 프리핏트(Land Pre-Pit) 영역을 판독할 때, 랜드 프리핏트 신호가 RF신호에 중첩된다. 따라서 DVD-RAM과 마찬가지로 도 8에 나타내는 감산기(120) 또는 AGC회로(121 및 122)에 입력되는 신호의 진폭레벨이 급격히 변동하여, 회로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초과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산기(120) 앞단에 AGC회로(121 및 122)를 배치할 경우에는, CAPA부의 판독 시,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2 개의 광디스크신호 중 한쪽이 결락되게 되므로, 이 결락된 쪽의 AGC회로가 포화돼버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문제의 대책으로서, 감산기(120)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DC변동분 및 진폭변동분을 고려하여 충분히 크게 설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회로의 소비전력이나 실장면적 면에서도 불리하다. 또 수광부로부터 감산기(120)에 이르는 경로에 HPF(고역통과필터)를 배치하더라도, 상기한 DC변동은 RF대역과 가까운 주파수 성분이므로 제거할 수 없다. 즉 CD-R/RW 기록재생장치의 워블신호 추출회로는 DVD-RAM/R/RW에는 대응하지 못해, 이를 DVD-RAM/R/RW에 적용할 경우, 안정된 워블신호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CD-R/RW 및 DVD-RAM/R/RW 모두에 대응한 광디스크장치를 실현할 경우에는, 2 종류의 워블신호 추출회로를 실장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는 회로의 실장면적 면에서 불리하다.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회로규모 및 소비전력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여러 가지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안정된 워블신호 추출이 가능한 워블신호 추출회로 및 광디스크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수단은,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워블(wobble)에 기인하는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광디스크 신호, 및 제 1 광디스크 신호와는 역상인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로서,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을 소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가 소정의 레벨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회로, 예를 들어 감산기로,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일탈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어, 당해 회로의 허용입력진폭 범위가 비교적 작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워블신호 추출회로는,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의 진폭을 소정 크기로 조정하는 제 1 및 제 2 정규화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는, 각각 제 1 및 제 2 정규화부의 앞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워블신호 추출회로는,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이 소정의 레벨로 고정됐을 때, 제 1 및 제 2 정규화부의 이득을,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이 소정의 레벨로 고정되기 직전의 값 또는 소정값으로 고정시키는 이득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는 각각,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에 대해 샘플·홀딩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 또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시키는 것임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수단은,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워블에 기인하는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광디스크 신호, 및 제 1 광디스크 신호와는 역상인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로서, 제 1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제 2 광디스크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감산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고정시키는 신호레벨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신호레벨 고정부에 의해 감산기의 출력신호가 소정의 레벨로 고정된다. 따라서 감산기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회로, 예를 들어 대역통과필터로,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일탈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어, 당해 회로의 허용입력진폭 범위가 비교적 작아도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수단은,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워블에 기인하는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광디스크 신호, 및 제 1 광디스크 신호와는 역상인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로서,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와, 신호절환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 1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감산하는 감산기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신호절환기는,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제 1 광디스크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신호절환기로부터는 제 1 광디스크 신호가 출력되어, 감산기의 2 개 입력이 동일해져 상쇄된다. 따라서 감산기의 허용입력진폭 범위가 비교적 작아도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디스크는, DVD-RAM 규격 또는 DVD-R/RW 규격에 준거한 것이며, 상기 워블 비연속 개소는, CAPA부 또는 랜드 프리핏트(Land Pre-Pit) 영역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해 하나의 워블신호 추출회로에서 워블신호가 안정되게 추출된다. 이로써 2 종류의 워블추출회로를 배치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회로 실장면적이 저감된다. 또 각 회로에 필요한 허용입력진폭 범위가 작게 억제되므로, 저소비전력 및 저전원전압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DVD-RAM에서의 CAPA부 판독 시 광디스크 신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도.
도 6은 종래의 광디스크장치의 구성도.
도 7은 서보가 인가된 상태의 광디스크 표면 확대도.
도 8은 워블신호 추출회로에 의한 워블신호 추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는 추출된 워블신호와 이를 2진화한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 중의 주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24, 24a, 24b : 신호레벨 고정부
26a, 26b : 정규화부
27a, 27b : 이득조정부
28 : 신호절환기
23 : 감산기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광검출기(20), 가산회로(21 및 22),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 감산기(23), 및 대역통과필터(25)를 구비한다. 이 중,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워블신호 추출회로는, 가산회로(21 및 22),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 감산기(23), 및 대역통과필터(25)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4 분할된 광검출기(20)로 검출한 신호를 각각 광디스크신호(A, B, C 및 D)로 한다. 이들 신호는, 광검출기(20)에 트랙킹 및 포커스 서보가 인가되어, 광디스크에 데이터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하게 된 후 광검출기 (20)에 의해 판독된 신호이며, RF신호 성분 및 워블신호 성분이 합성된 신호이다. 이들 광디스크신호(A∼D)로부터, 가산회로(21, 22)에 의해, 제 1 광디스크신호에 상당하는 디스크 내주 쪽 합성신호(A+D)와, 제 2 광디스크신호에 상당하는 디스크 외주 쪽 합성신호(B+C)가 생성된다. 그리고 감산기(23)에 의해 합성신호(A+D)에서 합성신호(B+C)가 감산됨으로써, 이들 2 개의 합성신호에 포함되는 RF신호 성분이 제거되어 워블신호가 추출된다. 그 후 대역통과필터(25)에 의해, 차동신호(A+D)-(B+C)로부터, 원하는 주파수 성분이 추출된다. 이하 DVD-RAM의 경우를 예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워블신호 추출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DVD-RAM의 경우,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정보를 나타내는 CAPA부(113)가, 랜드부(114) 및 그루브부(115)에 대해 델타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CAPA부(113)의 판독 시,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신호에 급격한 DC레벨 변동 및 진폭레벨 변동이 생긴다. 이 레벨 변동에 의한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감산기(23)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충분히 크게 설계할 필요가 있으나, 이는 회로규모 및 소비전력의 증대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워블신호 추출회로의 신호레벨 고정부(24a 및 24b)는, CAPA부(113)의 판독 시, 감산기(23)로의 입력을 허용입력진폭 범위 내 소정의 레벨로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신호레벨 고정부(24a 및 24b)는, CAPA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된 광디스크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고정시킨다. CAPA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는, DVD-RAM장치에 필수의 신호이며, 도 1에 나타낸 것 이외의 회로에서 생성된다. 이로써 CAPA부(113)의 판독 시의 광디스크신호가 제거되어, 감산기(23)에는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초과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CD-R/RW장치에서 이용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감산기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특별히 크게 설계할 필요없이, DVD-RAM장치에서 그대로 이용하여 안정되게 워블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 샘플&홀딩 방식으로 서보시스템이 실현된 경우에는,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의 기능은 샘플·홀딩회로에서 실현하면 좋다. 즉 당해 샘플·홀딩회로는, CAPA부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취하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된 광디스크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샘플&홀딩 방식이 채용된 경우에는, 회로규모의 증가를 수반하는 일없이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의 기능이 실현된다.
또 광디스크장치에 세팅된 광디스크 종류에 따라, CD-R/RW의 경우에는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의 기능을 무효로 하고, DVD-RAM의 경우에는 유효로 함으로써, CD-R/RW 및 DVD-RAM 모두에 대응하는 광디스크장치에서, 하나의 워블신호 추출회로로 모든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해 워블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에서 감산기(23) 앞단에 정규화부(26a 및 26b)를 배치하고, 또 이득조정부(27a, 및 27b)를 배치한 형태이다. 정규화부(26a 및 26b)는 각각, 감산기(23)에 입력되는 광디스크신호((A+D) 및 (B+C))의 진폭을 일정 크기로 한다. 그리고 감산기(23)에 의해 정규 화 후의 두 광디스크신호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추출된 워블신호로의 RF신호 혼입이 억제되어, 양호한 워블신호 추출특성이 얻어진다.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는 각각, CAPA부 판독 시, 정규화부(26a 및 26b)로의 입력을 허용입력진폭 범위 내의 소정 레벨로 고정시킨다. 이로써 CAPA부 판독 시의 광디스크신호가 제거된다. 즉 정규화부(26a 및 26b)로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초과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CD-R/RW장치에서 이용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정규화부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특별히 크게 설계할 필요 없이, DVD-RAM장치에서 그대로 이용하여 안정된 워블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에 의해 정규화부(26a 및 26b)의 입력이 소정 레벨로 고정된 경우, 예를 들어 레벨이 0 근방으로 됐을 경우, 정규화부(26a 및 26b)의 이득이 최대로 되고, 그 상태인 채로 계속돼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득조정부(27a, 27b)는,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에 의해 정규화부(26a 및 26b)의 입력이 소정 레벨로 고정됐을 때, 정규화부(26a 및 26b)의 이득을 직전의 값 또는 소정값으로 고정시킨다. 이로써 정규화부(26a 및 26b)의 과도응답이 억제되어, 판독 개소가 CAPA부에서 DATA부로 이행될 때 양호한 과도응답특성이 얻어진다.
여기서 광디스크장치에 세팅된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의 유효 및 무효를 절환시키는 점, 및 샘플&홀딩 방식으로 서보시스템이 실현됐을 경우의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 기능 실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이다.
(제 3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광검출기(20), 가산회로(21 및 22), 감산기(23), 신호레벨 고정부(24), 대역통과필터(25), 및 정규화부(26a, 26b)를 구비한다. 이 중,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워블신호 추출회로는, 가산회로(21 및 22), 감산기(23), 신호레벨 고정부(24), 대역통과필터(25), 및 정규화부(26a, 26b)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신호레벨 고정부(24)는 CAPA부의 판독 시, 대역통과필터(25)로의 입력을 허용입력진폭 범위 내의 소정 레벨로 고정시킨다. 이로써 CAPA부 판독 시의 광디스크신호가 제거되어, 대역통과필터(25)로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초과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CD-R/RW장치에서 이용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대역통과필터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특별히 크게 설계할 필요 없이, DVD-RAM장치에서 그대로 이용하여 안정된 워블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디스크장치에 세팅된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신호레벨 고정부(24)의 유효 및 무효를 절환시키는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이다.
(제 4 실시형태)
도 5는 본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디스크장치는, 광검출기(20), 가산회로(21 및 22), 감산기(23), 대역통과필터(25), 정규화부(26a, 26b) 및 신호절환기(28)를 구비한다. 이 중,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워블신호 추출회로는, 가산회로(21 및 22), 감산기(23), 대역통과필터(25), 정규화부(26a, 26b) 및 신호절환기(28)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감산기(23)는 정규화부(26a)의 출력으로부터 신호절환기(28)의 출력을 감산한다. 신호절환기(28)는 CAPA부의 판독 시 정규화부(26a)의 신호를 출력으로 하고, 이 이외일 때 정규화부(26a)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CAPA부의 판독 시, 감산기(23)에 입력되는 두 광디스크신호는 동일해지므로 상쇄된다. 이로써 CAPA부 판독 시의 광디스크신호가 제거된다. 그러므로 CD-R/RW장치에서 이용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감산기의 허용입력진폭 범위를 특별히 크게 설계할 필요 없이, DVD-RAM장치에서 그대로 이용하여 안정된 워블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디스크장치에 세팅된 광디스크의 종류에 따른 신호절환기(28)의 유효 및 무효 절환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신호레벨 고정부(24a, 24b)의 유효 및 무효 절환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편의를 위해 DVD-RAM장치를 상정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DVD-R/RW의 경우, 랜드 프리핏트 영역을 판독할 때, 광디스크신호에 급격한 DC레벨 변동 및 진폭레벨 변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 중의 CAPA부를 랜드 프리핏트 영역으로 적절히 치환함으로써 DVD-R/RW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에 관한 워블신호 추출회로는, 종래와 동등한 회로규격 및 소비전력으로, 여러 종류의 광디스크에 대응하여 안정된 워블신호 추출을 실현하므로, CD-R/RW 및 DVD-RAM/R/RW 모두에 대응한 광디스크장치에서의 워블신호 추출회로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워블(wobble)에 기인하는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광디스크 신호, 및 상기 제 1 광디스크 신호와는 역상인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로서,
    상기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을 소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의 진폭을 소정 크기로 조정하는 제 1 및 제 2 정규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정규화부의 앞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이 상기 소정의 레벨로 고정됐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정규화부의 이득을, 상기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각각이 상기 소정의 레벨로 고정되기 직전의 값 또는 소정값으로 고정시키는 이득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 호 추출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레벨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에 대해 샘플·홀딩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며, 또 상기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를 상기 소정의 레벨로 유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5.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워블에 기인하는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광디스크 신호, 및 상기 제 1 광디스크 신호와는 역상인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로서,
    상기 제 1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광디스크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상기 감산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고정시키는 신호레벨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6. 광디스크 표면에 형성된 워블에 기인하는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광디스크 신호, 및 상기 제 1 광디스크 신호와는 역상인 워블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워블신호를 추출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디스크 신호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절환기와,
    상기 신호절환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상기 제 1 광디스크 신호로부터 감산하는 감산기를 구비하며,
    상기 신호절환기는, 상기 워블의 비연속 개소가 검출됐을 때, 상기 제 1 광디스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7.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DVD-RAM 규격에 준거한 것이며,
    상기 워블 비연속 개소는, CAPA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8.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DVD-R/RW 규격에 준거한 것이며,
    상기 워블 비연속 개소는, 랜드 프리핏트(Land Pre-Pit)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블신호 추출회로.
  9.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워블신호 추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KR1020057009956A 2003-10-31 2004-10-19 워블신호 추출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KR20060113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2481 2003-10-31
JP2003372481 2003-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55A true KR20060113355A (ko) 2006-11-02

Family

ID=3454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956A KR20060113355A (ko) 2003-10-31 2004-10-19 워블신호 추출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17667B2 (ko)
EP (1) EP1688931A4 (ko)
JP (1) JPWO2005043516A1 (ko)
KR (1) KR20060113355A (ko)
CN (1) CN1739146A (ko)
TW (1) TWI298484B (ko)
WO (1) WO2005043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4167B2 (en) * 2006-12-26 2011-07-05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c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equipment with the optical disc apparatus, and focusing control LSI in the optical dis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462A (ja) * 1993-04-05 1994-10-18 Sony Corp 信号検出方法及び信号検出装置
JP3458502B2 (ja) 1995-01-11 2003-10-2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5852599A (en) * 1996-01-26 1998-12-22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JP3968193B2 (ja) * 1999-04-26 2007-08-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リピット検出装置
JP4122631B2 (ja) * 1999-05-17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657828B2 (ja) * 1999-09-22 2005-06-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4211158B2 (ja) * 1999-10-20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4422855B2 (ja) * 2000-03-16 2010-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ウォブル信号再生回路
JP2001297445A (ja) * 2000-04-10 2001-10-2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装置と光ディスクのトラックずれ判断方法
JP3812348B2 (ja) * 2001-02-26 2006-08-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2279640A (ja) * 2001-03-21 2002-09-27 Ricoh Co Ltd ウォブル検出回路とその装置
JP3876686B2 (ja) * 2001-10-29 2007-02-0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7099244B2 (en) * 2002-10-10 2006-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obble demodulator and wobble demodulation method
JP2004227643A (ja) * 2003-01-22 2004-08-12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TWI258134B (en) * 2003-04-10 2006-07-11 Via Optical Solution Inc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valuating beta-parameter according to write-in result of portion of write-in data with specific content while performing optimal power control of optical disk drive
US7529173B2 (en) * 2003-05-12 2009-05-05 Asahi Kasei Microsystems Co., Ltd. Optical disc device, circuit for optical disc device, wobble signal reproduction method, and land pre-pit signal reproduction method
KR100930241B1 (ko) * 2003-05-20 200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트랙 성형에 의해 부가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형기록 매체와, 이를 위한 디스크 트랙 성형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7272087B2 (en) * 2003-06-26 2007-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address in pre-groove (ADIP) signal in wobble detection system of optical disc apparatus
WO2005024800A1 (ja) * 2003-09-02 2005-03-17 Ricoh Company Ltd. プッシュプル信号生成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043516A1 (ja) 2007-05-10
TW200525509A (en) 2005-08-01
CN1739146A (zh) 2006-02-22
WO2005043516A1 (ja) 2005-05-12
US7317667B2 (en) 2008-01-08
TWI298484B (en) 2008-07-01
EP1688931A1 (en) 2006-08-09
US20060256671A1 (en) 2006-11-16
EP1688931A4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4210B2 (en) Disc 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obble information
EP1610307B1 (en) Wobble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optical disk device
JP2005196846A (ja) ウォブル信号抽出回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3736398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507560B1 (ko) 광 디스크장치
JP4579803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60113355A (ko) 워블신호 추출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US7212486B2 (en) Optical disk device setting a gain of an amplifier so that a peak value and a bottom value of wobble signal components coincide
JP4492810B2 (ja) 減衰量調整回路、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減衰量調整方法およびアドレス情報取得方法
US7529173B2 (en) Optical disc device, circuit for optical disc device, wobble signal reproduction method, and land pre-pit signal reproduction method
JP4387422B2 (ja) 信号再生装置
KR20080034087A (ko) 랜드 프리피트 신호 검출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광디스크장치 및 전자기기
US7729214B1 (en)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in optical disc drive for obtaining push-pull signal via adjusting amplifying gain according to fluctuating signals generated from photo detector of pick-up head
JP2005353195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048841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光ディスク装置及びウォブル信号検出方法
JP2004192807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5032341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40036580A (ko) 광 디스크 장치
JP200320335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5032373A (ja) 光検出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記録装置および集積回路
JP2006120235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4241115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5166143A (ja) 記録情報再生方法および記録情報再生装置
JP2004247041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ウォブル信号検出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114095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