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214A - 막판 및 그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 - Google Patents

막판 및 그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214A
KR20060112214A KR1020060036151A KR20060036151A KR20060112214A KR 20060112214 A KR20060112214 A KR 20060112214A KR 1020060036151 A KR1020060036151 A KR 1020060036151A KR 20060036151 A KR20060036151 A KR 20060036151A KR 20060112214 A KR20060112214 A KR 2006011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base material
wall
plat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9897B1 (ko
Inventor
다카시 혼다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재료 또는 금속재료로 만들어지는 경량화된 막판을, 건물측의 장착면의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막판과, 그 막판을 설치한 외벽 시공 구조를 개시한다.
건물 외벽면(2)에,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장착부(13)를 구비한 베이스재(10)를 고정 나사(3)로 고정한다. 베이스재(10)는, 제 1과 제 2 결합 단부(16, 17)를 갖는다. 고정한 베이스재(10)에 대하여, 제 1과 제 2 결합 폴(32, 33)을 갖는 막판 본체(30)를 외결합시킨다. 그 결합에 의해 성형되는 중첩 영역 S에 고정 나사(4)를 비틀어 넣어, 막판 본체(30)와 베이스재(10)를 확실하게 일체화한다.
외벽부, 베이스재, 막판, 표면부, 장착부, 결합 단부, 고정용 나사

Description

막판 및 그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A curtain plate and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outer wal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막판(幕板)을 구성하는 베이스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막판을 구성하는 막판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막판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막판을 시공한 후의 외벽 시공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외벽 시공 구조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외벽 시공 구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접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엔드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막판을 구비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의 바깥쪽 모서리부에서 사용되는 막판 본체 바깥쪽 모서리재를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에서 본 도면.
도 10은 막판 본체 바깥쪽 모서리재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막판을 구비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의 안쪽 모서리부에서 사용되는 막판 본체 안쪽 모서리재를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에서 본 도면.
도 12는 막판 본체 안쪽 모서리재의 측면도.
도 13은 막판을 시공한 후의 외벽 시공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막판을 시공한 후의 외벽 시공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요업계의 막판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6은 수지재료를 사용한 막판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7은 수지재료를 사용한 막판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막판 2: 외벽면
3, 4: 고정용 나사 5: 가로 바디 가장자리
6(6a, 6b): 외벽판 7: 못
8: 물받이(drip) 9: 상하 접합 금속부재
10: 베이스재 11: 막판의 표면부
13: 하측 장착부 12a, 12b, 13a, 13b: 볼록 줄
14, 15: 세로가 긴 장공 16: 제 1 결합 단부
17: 제 2 결합 단부 19: 수직판
20, 21: 개구 22: 노치 홈
30: 막판 본체 31: 막판 본체의 표면부
32: 제 1 결합 폴 33: 제 2 결합 폴
34: 노치 홈 35: 수직판
36: 수평판 50: 접합부재
60: 엔드캡 30A: 막판 본체 바깥쪽 모서리재
30B: 막판 본체 안쪽 모서리재 38A, 38B: 접합면
39A, 39B: 보강재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있어서의 상하의 외벽판의 접합부 등에 주로 장식의 목적으로 장착되는 막판과, 그것에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로 길게 뻗은 판은 막판이라고 불리며, 건물의 외벽면에 외벽판을 붙인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는, 1층부로부터 2층부 처럼 외벽 의장이 변화하는 장소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막판이 장착된다. 또한, 외벽판을 접착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상위의 외벽판 하단과 하위의 외벽판 상단의 사이의 접합부분을 덮을 목적으로 막판이 장착되는 경우도 있다.
도 15는, 상하 외벽판 접합부를 화장(化粧) 막판으로 덮은 시공 구조의 일 예이고, 여기에서는, 상하의 외벽판(6a, 6b)의 단부간에 물받이(drip; 8)가 고정되고, 그 물받이(8)에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10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재(100)에 형성한 상하의 탄성을 갖는 결합편(101, 102)을 이용하여, 이면에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하향 볼록 줄(111)과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U자 홈(112)을 구비한, 요업계의 막판 본체(110)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시공 구조는, 막판 본체(110)의 장착 시공은 용이하고, 또한, 막판 본체(110) 표면에 못머리 등이 노출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외관이 얻어진다(특허문헌 1 참조).
요업계의 막판은 중후감이 있어 바람직하지만, 중량이 크기 때문에 작업성이 약간 부족하다. 또한, 막판의 표면에 화장 도장을 실시할 필요도 있다. 그러한 사실로부터, 수지재료나 금속재료를 사용한 막판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등). 이 형태의 막판은 요업계의 막판과 비교하여 경량이고, 작업성은 개선된다.
도 16, 도 17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막판을 도시하고 있다. 이 막판은, 베이스재(120)와 막판 본체(130)로 구성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재(120)는 외벽면(2)에 대한 장착면인 평탄부(121)를 갖고, 상기 평탄부(121)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는 결합 단부(123, 124)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막판 본체(130)는 표면부(131)를 갖고, 그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는 베이스재(120)의 결합 단부(123, 124)에 외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 폴(132, 133)이 형성되어 있다.
시공 시에는, 베이스재(120)가 막판 본체(130)의 길이 간격을 두고 외벽면(2)에 못(3)으로 고정되고, 고정한 베이스재(120)의 결합 단부(123, 124)에 막판 본체(130)의 결합 폴(132, 133)을 외결합시킨다. 그것에 의해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120)와 막판 본체(130)는 일체화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9008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148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96319호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구성의 막판은, 수지재료의 일체 성형품이며 경량이고 작업성은 양호하다. 또한, 제조도 용이한 동시에, 도장에 의하지 않고서 높은 표면 의장을 확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베이스재(120)의 외벽면(2)에 대한 장착면은 넓은 평탄면(121)으로 되어 있고, 건물측의 외벽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나, 도 15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상하의 외벽판의 사이에 물받이(8)를 배치하는 경우에, 베이스재(120)를 외벽면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베이스재(120)에 대한 막판 본체(130)의 고정은, 베이스재(120)의 결합 단부(123, 124)와 막판 본체(130)의 결합 폴(132, 133)의 외결합에만 의존하고 있어, 양자의 결합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지재료 또는 금속재료로 만들어지는 막판 본체를, 건물측의 장착면의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서, 안정적으로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막판과 그 시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막판은, 외벽부에 장착하는 소재가 금속재료 또는 수지재료인 베이스재와, 베이스재를 개재하여 외벽부에 장착되는 소재가 금속재료 또는 수지재료인 막판 본체로 이루어지는 막판이며, 베이스재는 표면부와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상측 장착부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하측 장착부가 일체 성 형되고, 또한 표면부의 상측 장착부 근방에는 제 1 결합 단부가 또한 표면부의 하측 장착부 근방에는 제 2 결합 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며, 막판 본체는 표면부와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 및 하측 가장자리 근방에 일체 성형한 상기 베이스재의 제 1 및 제 2 결합 단부에 결합하는 서로 평행한 제 1 결합 폴 및 제 2 결합 폴을 갖고 있고, 베이스재의 제 1과 제 2 결합 단부에 막판 본체의 제 1과 제 2 결합 폴을 각각 외결합하여 일체화한 자세에서는,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은 중첩한 영역을 형성하고, 그 영역에는 양자를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용 나사가 장착 가능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본 발명에 의한 막판은 소재가, 금속재료 또는 수지재료이고, 경량화되기 때문에 작업성은 양호하다. 일체 성형도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재의 건물측에 대한 장착부는,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하여 일체 성형된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의 부분뿐이며, 양자간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벽면의 요철에 대한 순응성이 높아지고, 외벽면에 대한 베이스재의 고정 상태는, 이면 전체면이 장착면으로 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각별하게 안정된다. 또한, 상하의 외벽판의 사이에 물받이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 사이의 공간에 물받이를 위치시킴으로써, 베이스재를 안정적으로 외벽판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막판에서는, 막판 본체를, 이렇게 하여 외벽면에 고정 베이스재의 제 1과 제 2 결합 단부에 대하여, 그 제 1과 제 2 결합 폴을 각각 외결 합하여 일체화한 자세로, 상기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은 중첩한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영역에 고정용 나사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막판 본체는, 결합 단부와 결합 폴의 결합에 더하여, 고정용 나사에 의한 고정도 가해지게 되고, 양자 간에 안정된 고정 상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첩부에서의 나사 고정을 용이화하기 위해서, 적어도 막판 본체의 중첩 영역이 되는 부분의 표면에,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하여 오목홈을 형성한다. 이 오목홈은, 막판 본체를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와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판에도 동일한 오목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베이스재를 외벽부에 나사 고정할 때의 공구 삽입구멍으로 되는 개구가 형성된다(청구항 2). 이 형태에서는, 표면부에 형성한 개구를 통하여, 고정용 나사 및 나사 회전용 공구를 삽입할 수 있고, 베이스재의 외벽면에 대한 고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재의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에는 선단이 외벽면과의 접촉부가 되는 볼록 줄 또는 돌기가 일체 성형된다(청구항 3). 이 형태에서는, 베이스재를 외벽면에 고정하였을 때 베이스재와 외벽면의 접촉면은, 볼록 줄 또는 돌기의 선단면뿐이기 때문에, 외벽면의 요철에 대한 베이스재의 장착 자유도가 더욱 커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이 중첩한 영역은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경사진 자세로 되게 된다(청구항 4). 이 형태에서는, 고정용 나사를 비틀어 넣는 방향이 상기 경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전동공구 등을 사용하여 고정용 나사를 비틀어 넣을 때의 상기 공구의 조작 공간을 넓힐 수 있고, 시공시의 고정용 나사를 비틀어 넣는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재는 제 2 결합 단부보다도 하방 위치에 수직판을 갖고, 막판 본체는 제 2 결합 폴보다도 하방 위치이며 베이스재와 일체화하였을 때에 베이스재의 상기 수직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직판을 갖고, 상기 막판 본체의 수직판의 하단에는 베이스재의 수직판을 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판이 형성된다(청구항 5). 이 형태에서는, 상기 수평판이 눈가리개로 되어, 베이스재를 외벽면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아래로부터 쳐다보았을 때에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평판의 길이는, 그것을 베이스재에 장착하였을 때에, 그 선단과 외벽면의 사이에 약간의 틈이 형성되도록 된다. 그것에 의해서, 외벽면을 흐르는 빗물을 원활하게 하방으로 흘릴 수 있어, 낙수물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막판 본체 표면부를 측면에서 본 형상은 일체 성형이 가능한 형상이라면 임의이고, 평탄한 면, 단차가 붙은 면, 만곡한 면 등이라도 좋지만, 의장성이나 베이스재에 대한 장착의 용이함 등의 관점으로부터, 막판 본체 표면부는 측면에서 보아 만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청구항 6). 마찬가지로 베이스재 표 면부의 측면에서 본 형상도 임의이며, 평탄한 면, 단차가 붙은 면, 만곡한 면 등이라도 좋다. 베이스재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베이스재 표면부는 측면에서 보아 만곡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만곡면은, 그 만곡상태가 막판 본체와 베이스재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막판 본체 표면부와 베이스재 표면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게 된다(청구항 7). 이와 같이, 막판 본체와 베이스재의 쌍방의 표면부를 곡율이 다른 만곡면으로 하고, 양자간에 틈을 형성하여 둠으로써, 막판 본체를 베이스재에 나사 고정할 때에, 상부 결합 상태에 있는 막판 본체가 베이스재로부터 이탈할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그 틈은, 바깥쪽 모서리 구성재나 안쪽 모서리 구성재의 보강재 또한 엔드캡 등의 삽입공간으로서도 이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막판 본체 및 베이스재는 알루미늄의 압출 성형품이다(청구항 8). 알루미늄의 압출 성형품은, 성형성도 양호하고, 적절한 탄성을 구비하고, 그대로로 높은 의장성을 갖고, 또한 내후성도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내후성이 우수한 AES 수지와 같은 수지재료의 일체 성형품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로서, 건물 외벽면에 외벽판이 고정되고, 상기 외벽판에 베이스재가 그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의 이면을 외벽판에 접촉시킨 자세로 나사 고정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재의 제 1 결합 단부에 제 1 결합 폴을 제 2 결합 단부에 제 2 결합 폴을 외결합시킨 상태에서 막판 본체가 장착되고, 또한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의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에 있어서의 중첩한 영역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도 개시한다(청구항 9).
시공에 있어서는, 건물 외벽면에 종래법에 의해 외벽판을 고정한다. 외벽판의 고정은 못박음 시공이라도 좋고 고정 쇠장식을 사용한 금속부재 시공이라도 좋다. 고정된 외벽판의 표면에 소정의 가로 방향 간격을 두고 베이스재를 고정용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 때에, 베이스재의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의 이면을 외벽판에 접촉시킨 자세로 하고,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를 나사 고정한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기본적으로는, 사용하는 막판 본체의 길이와 동일한 거리이다. 막판 본체 1개분의 가로폭이 없는 부분에서는, 그 폭에 맞추어 베이스재를 고정하는 동시에, 그 거리에 맞추어서 막판 본체를 절단한다.
막판 본체의 좌우 양단이 고정한 베이스재에 걸리도록 하여, 막판 본체를 장착한다. 최초에, 막판 본체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에 일체 성형한 제 1 결합 폴을, 고정한 베이스재의 제 1 결합 단부에 외결합시키고, 그 자세로, 목판 본체의 표면부를 베이스재측으로 세게 누른다. 그것에 의해서, 막판 본체의 하측 가장자리 근방에 일체 성형한 제 2 결합 폴은, 고정 베이스재의 제 2 결합 단부를 타넘어 더욱 내측으로 들어가고, 최종적으로, 제 2 결합 폴은 제 2 결합 단부에 외결합한다. 그것에 의해서, 막판 본체는 베이스재에 대하여 가고정된다.
가고정함으로써, 막판 본체의 양 단부에,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의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중첩한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중첩한 영역에 고정용 나사를 비틀어 넣는다. 그것에 의해서, 막판 본체는 베이스재에 확실하게 고정되고, 막판을 구비한 외벽 시공 구조가 완성된다. 막판 본체와 베이스재는 나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을 받더라도 빠지는 일은 없다. 개량 공사 등에서 막판 본체를 떼어내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고정용 나사를 떼어내면, 용이하게 막판 본체를 뗄 수 있다.
상기의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 베이스재를 외벽판에 고정하는 데에 사용하는 나사의 길이는 임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사로서 긴 것을 사용하여, 고정용 나사가 외벽판을 넘어 바디 가장자리와 같은 건물 외벽면 구성부재로까지 들어가도록 한다(청구항 10). 그것에 의해서, 베이스재의 외벽재에 대한 고정은 안정된 것으로 되고, 결과로서, 안정된 막판의 고정 구조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 외벽면에서의 막판의 장착 위치는 임의이고, 일층 외벽면과 이층 외벽면의 경계선이 되는 위치에 액센트를 내기 위해서 장착하여도 좋고, 건물 외벽면에 고정된 상하의 외벽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숨길 목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베이스재의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는, 건물 외벽면에 고정된 상하에 위치하는 다른 외벽판의 하단부분과 상단부분에 각각 고정된다(청구항 11).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재는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의 사이에 공간을 갖고 있고, 상하의 외벽판의 사이에 물받이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베이스재를 안정적으로 외벽판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베이스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막판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막판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막판을 시공한 후의 외벽 시공 구조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그 정면도이고, 도 6은 그 단면도이다.
막판(1)은, 베이스재(10) 및 막판 본체(30)로 이루어지고, 이 예에 있어서, 베이스재(10)와 막판 본체(30)는 모두 알루미늄의 압출 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품이다.
베이스재(10)는, 표면부(11)와, 그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가장자리에 따르는 하측 장착부(13)를 갖고, 상기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장착부(13)에는 건물측에 대한 고정시에 고정용 나사가 통과하는 세로가 긴 장공(14, 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장착부(13)의 이면에는 긴변 방향으로 뻗은 2개의 볼록 줄(12a, 12b 및 13a, 13b)이 형성되어 있고, 각 볼록 줄의 선단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표면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장착부(12)의 근방에는 긴변 방향을 따르는 제 1 결합 단부(16)가, 또한 표면부(11)에 있어서의 상기 하측 장착부(13)의 근방에는 제 1 결합 단부(16)와 평행하게 제 2 결합 단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볼록 줄(12a, 12b 및 13a, 13b)은 생략할 수도 있다.
표면부(11)의 측면에서 본 형상에 특히 제한은 없고 평탄면이라도 좋지만, 이 예에 있어서, 표면부(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측면에서 보아 만곡면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상측 가장자리 근방으로서 상기 제 1 결합 단부(16)에 근접한 영역은,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평탄면 영역(11a)으로 되어 있다. 또한, 표면부(11)의 상기 제 2 결합 단부(17)보다도 하방 위치에는 수직판(19)이 형 성되어 있다.
표면부(11)에 있어서의 상기 상측 장착부(12)에 형성한 장공(1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개구(20)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직판(19)에 있어서의 하측 장착부(13)에 형성한 장공(15)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개구(20, 21)는, 베이스재(10)를 건물측으로 고정할 때의 고정용 나사 및 회전공구의 통과구멍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표면부(11)의 상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평탄면 영역(11a)에는 긴변 방향으로 뻗은 노치 홈(22)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재(10)에 막판 본체(30)를 고정할 때의 고정용 나사의 안내홈으로서 이용된다. 이 노치홈(22)은 생략할 수도 있다.
막판 본체(30)는, 표면부(31)와, 그 상측 가장자리 근방 및 하측 가장자리 근방에 일체 성형한 긴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제 1 결합 폴(32)과 제 2 결합 폴(33)을 갖는다. 제 1 결합 폴(32)과 제 2 결합 폴(33)의 형상과 그 사이의 거리는, 막판 본체(30)를 베이스재(10)에 전방으로부터 세게 눌렀을 때에, 각 결합 폴(32, 33)은 베이스재(10)의 대응하는 제 1과 제 2 결합 단부(16, 17)에 전방으로부터 접촉하고, 또한 밀어넣음으로써, 막판 본체(30)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거기를 타넘은 후, 서로 이탈하지 않도록 외결합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표면부(31)의 측면에서 본 형상은, 베이스판(10)의 표면부(11)에 접촉하지 않고서 베이스재(10)에 외결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임의이고, 평탄면이나 단차가 있는 면이라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측면에서 보아 만곡면을 이루고 있다. 표면부(31)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이며 상기 제 1 결합 폴 (32)에 근접한 영역은,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평탄면 영역(31a)으로 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재(10)에 막판 본체(30)를 외결합 상태에서 일체화하였을 때에, 상기 평탄면 영역(31a)은, 베이스재(10)에 형성한 평탄면 영역(11a)과, 중첩한 영역 S(도 6 참조)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평탄면 영역(31a)에서의, 중첩한 영역 S가 형성되었을 때에 베이스재(10)의 평탄면 영역(11a)에 형성한 노치 홈(22)에 대향하는 위치에도, 긴변 방향으로 뻗은 노치 홈(34)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재(10)에 막판 본체(30)를 고정할 때의 고정용 나사의 안내홈으로서 이용된다. 이 노치홈(34)은 생략할 수도 있다.
막판 본체(30)의 표면부(31)가 만곡면인 경우, 그 곡율을 베이스재(10) 표면부(11)의 곡율과 다르게 하여, 양자를 일체화하였을 때에,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같이 베이스재 표면부(11)와 막판 본체 표면부(31) 사이에 약간의 틈 P(도 6 참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서, 막판 본체(30)를 베이스재(10)에 나사 고정할 때에, 막판 본체(30)가 베이스재(10)로부터 이탈할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막판 본체 표면부(31)의 상기 제 2 결합 폴(33)보다도 하방 위치에는 수직판(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판(35)의 하단에는, 베이스재(10)에 외결합하였을 때에, 베이스재(10)의 수직판(19)을 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판(36)이 형성되어 있다.
막판(1)을 건물측에 장착하는 순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2는 건물측의 외벽면이며, 최초에, 외벽면(2)에, 고정하고자 하는 막판 본체 (30)의 길이 분의 간격을 두고 베이스재(10)를 고정한다(도 5도 참조). 고정시에, 베이스재(10)의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장착부(13)의 이면을 외벽면(1)에 접촉시키고, 표면부(11)에 형성한 개구(20)와 수직판(19)에 형성한 개구(21)로부터 고정용 나사(3)를 삽입하고, 그 선단을 장공(14, 15)에 삽입하고, 적절한 회전공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용 나사(3)를 건물측으로 비틀어 넣는다. 베이스재(10)의 건물측에 대한 접촉면은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장착부(13)의 이면뿐이고, 특히 도시한 예에서는, 거기에 형성한 볼록 줄(12a, 13a)의 선단뿐이며, 건물 외벽면에 요철이 있더라도, 지장 없이 고정할 수 있다.
간격을 두고 고정 베이스재(10, 10)에 양단이 올라가도록 하여, 막판 본체(30)를 베이스재(10)를 향하여 밀어넣는다. 또는, 막판 본체(30)에 형성한 제 1 결합 폴(32)을 베이스재(10)의 제 1 결합 단부(16)에 결합시킨 상태로 하고, 거기를 지점으로 하여 막판 본체(30)를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서, 제 1 결합 단부(16)에 제 1 결합 폴(32)이, 또한 제 2 결합 단부(17)에 제 2 결합 폴(33)이 각각 외결합한 상태로 되어, 막판 본체(30)는 베이스재(10)에 일체화된다.
일체화한 상태에서, 베이스재(10)에 형성한 평탄면 영역(11a)과 막판 본체(30)에 형성한 평탄면 영역(31a)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첩한 영역 S를 형성하고, 그 영역에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그 영역에는, 노치홈(22, 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나사(4)의 선단을 노치 홈(34)에 넣은 자세로, 도시하지 않는 회전공구로 고정용 나사(4)를 회전시킴으로써, 쌍방의 평탄면 영역(31a과 11a)을 고정용 나사(4)에 의해 일체로 고정한다. 중첩한 영역 S는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공구에 의해서 비틀어 넣는 작업도 용이화된다.
이렇게 하여 고정한 막판(1)을 가지는 외벽 시공 구조의 일 예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여기에서는, 건물 외벽면(2)에는 가로 바디 가장자리(5)가 장착되고, 그것을 이용하여 외벽판(6)이 못(7)에 의해 세로로 뻗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방의 외벽판(6a)과 하방의 외벽판(6b) 사이에는 물받이(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외벽 시공 구조 자체는 종래 알려진 구조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판 본체(30)의 길이 분의 거리를 두고 복수개 베이스재(10)가 외벽면에 고정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각 베이스재(10)는, 그 상측 장착부(12)를 상위의 외벽판(6a)의 하단측에 두고, 하측 장착부(13)를 하위의 외벽판(6b)의 상단측에 놓은 자세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외벽판(6)에 대하여 고정된다. 고정용 나사(3)로서, 외벽판(6)과 가로 바디 가장자리(5)를 통과하여 건물 외벽면(2)으로까지 도달하는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고 있고, 고정 상태는 대단히 안정된다. 또한, 베이스재(10)의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장착부(13) 사이는 공간으로 되어 있고, 상하의 외벽판(6a, 6b)의 사이에 물받이(8)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베이스재(10)의 고정은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된 좌우 베이스재(10, 10)의 양단이 걸리도록 위치시켜 두고, 도 3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막판 본체(30)를 베이스재(10)에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재(10)의 표면부(11)와 막판 본체 (30)의 표면부(31)의 사이에 약간의 틈 P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막판 본체(30)를 베이스재(10)에 고정 나사(4)에 의해 고정할 때에, 막판 본체(30)가 베이스재(10)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또한, 막판 본체(30)의 하단에 수평판(3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로부터 보았을 때에 고정용 나사(3)의 머리가 보이는 일은 없고, 양호한 외관이 얻어진다. 수평판(36)의 선단과 외벽판(6b)의 표면의 사이에는 틈 P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 수평판(36)에 의해서 막히는 일도 없다.
상기 시공 구조에 있어서, 시공의 형편에 의해, 좌우의 막판 본체(30, 30)의 단면 맞댐부에 약간의 틈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 틈은 약간이며 그대로 있더라도 각별한 지장은 없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하는 형태의 접합부재(50)를 사용하여 그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 4, 도 5에서는, 접합부재(50)를 사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접합부재(50)는, 알루미늄 제품이라도 좋고, AES 수지와 같은 수지제품이라도 좋다. 접합부재(50)는, 막판 본체(30)의 표면부(31)와 수직판(35)의 측면에서 본 형상과 거의 동일한 측면에서 본 형상인 표면 만곡부(51)와 수직부(52)를 구비한다. 표면 만곡부(51)의 상단영역은, 막판 본체(30)의 표면부(31)에 형성한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평탄면 영역(31a)에 대향하는 평탄면(53)으로 되어 있고, 상기 평탄면(53)에는 나사용 개구(54)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선단에는, 막판 본체(30)의 상단가장자리에 결합하는 결합 폴(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부(52)의 하단에는 막판 본체(30)의 수직판(35)의 하단에 결합하는 결합 폴(56) 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막판 본체(30, 30)의 단면 접합부에, 접합부재(50)의 상하의 결합 폴(55, 56)을 막판 본체(30)의 상하단 가장자리에 결합한 상태로 하여, 나사용 개구(54)로부터 고정용 나사를 밀어 넣도록 한다. 그것에 의해서, 접합부재(50)는 막판(1)측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상기 시공 구조에 있어서, 시공 상황에 따라서는, 외벽면에 고정된 막판(1)의 단면이 그대로 밖에서 보이는 상태로 되는 경우도 있다. 도 8은 그와 같은 경우에, 막판 단면을 숨기기 위해서 사용되는 엔드캡(60)을 도시하고 있다. 엔드캡(60)은, 상기한 접합부재(50)와 마찬가지로, 막판 본체(30)의 표면측의 형상에 따른 형상의 표면재(61)와, 그 단면에 성형된 단면재(62)를 구비한다. 표면재(61)의 하단에는 막판(1)의 하단을 덮도록 된 바닥판(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재(61)와 단면재(62)로부터는, 막판(1)의 긴변 방향을 향한 복수의 삽입편(64)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들이, 막판(1) 베이스재(10) 또는 막판 본체(30)의 이면 또는 그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엔드캡(60)은 막판(1)의 단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엔드캡(60)은, 알루미늄 제품이라도 좋고, AES 수지와 같은 수지제품이라도 좋다.
도 9와 도 10은 상기한 막판(1)을 구비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의 바깥 모서리부에서 사용되는 막판 본체 바깥 모서리재(30A)를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에서 본 도면을, 도 10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막판 본체 바깥쪽 모서리재(30A)는, 막판 본체(30)와 같은 측면에서 본 형상의 부재를, 이 면측으로 개방한 45도의 절단면에서 절단하여 형성한 2개의 바깥 모서리재편(30A1, 30A2)을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합면(38A)에서 맞대어, 배면측으로부터 접착제로 접합한 것이다. 도 9, 도 10에 있어서, 각 바깥 모서리재편(30A1, 30A2)의 부재로서 막판 본체(30)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0에서 39A는 2개의 바깥 모서리재편(30A1, 30A2)의 접합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 막판 본체 바깥쪽 모서리재(30A)는, 바깥 모서리부 근방에 고정되어 베이스재(10)에 대하여, 상기한 막판 본체(30)의 경우 동일하게 하여 고정되고, 막판(1)의 바깥 모서리부를 형성한다.
도 11과 도 12는 상기한 막판(1)을 구비한 외벽 시공 구조에 있어서의 안쪽 모서리부에서 사용되는 막판 본체 안쪽 모서리재(30B)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위에서 본 도면을, 도 12는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막판 본체 안쪽 모서리재(30B)는, 상기 막판 본체 바깥쪽 모서리재(30A)와 마찬가지로, 막판 본체(30)와 동일한 측면에서 본 형상의 부재를, 표면측으로 개방한 45도의 절단면에서 절단하여 형성한 2개의 안쪽 모서리재편(30B1, 30B2)을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합면(38B)에서 맞대고, 배면측으로부터 접착제로 접합한 것이다. 도 11, 도 12에 있어서도, 각 안쪽 모서리편(30B1, 30B2)의 부재로서 막판 본체(30)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2에서 39B는 2개의 안쪽 모서리재편(30B1, 30B2)의 접합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 막판 본체 안쪽 모서리재(30B)는, 안쪽 모서리부 근방에 고정 베이스재(10)에 대하여, 상기한 막판 본체(30)의 경우 동일하게 하여 고정되고, 막판(1)의 안쪽 모 서리부를 형성한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외벽 시공 구조 외의 형태를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외벽판(6a, 6b)의 상하 접합에 상하 접합 금속부재(9)를 사용하고 있고, 도 14의 예에서는, 스타터 금속부재(90)와 물받이(8)의 쌍방을 사용하고 있다. 어느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재(10)의 상측 장착부(12)와 하측 장착부(13) 사이는 공간으로 되어 있고, 베이스재(10)의 고정에는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은 것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도 13, 도 14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하 접합 금속부재(9)는 종래 알려진 것이라도 좋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재료 또는 금속재료로 만들어지는 경량화된 막판을, 건물측의 장착면의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Claims (11)

  1. 외벽부에 장착하는 소재가 금속재료 또는 수지재료인 베이스재와, 베이스재를 개재하여 외벽부에 장착되는 소재가 금속재료 또는 수지재료인 막판 본체로 이루어지는 막판으로서,
    베이스재는 표면부와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상측 장착부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하측 장착부가 일체 성형되고, 또한 표면부의 상측 장착부 근방에는 제 1 결합 단부가 그리고 표면부의 하측 장착부 근방에는 제 2 결합 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막판 본체는 표면부와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 및 하측 가장자리 근방에 일체 성형된 상기 베이스재의 제 1 및 제 2 결합 단부에 결합하는 서로 평행한 제 1 결합 폴 및 제 2 결합 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재의 제 1 및 제 2 결합 단부에 막판 본체의 제 1 및 제 2 결합 폴을 각각 외결합하여 일체화한 자세에서는,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은 중첩한 영역을 형성하고, 그 영역에는 양자를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용 나사가 장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베이스재를 외벽부에 나사 고정할 때 공구 삽입구멍으로 되는 개 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의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에는 선단이 외벽면과의 접촉부로 되는 볼록 줄 또는 돌기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이 중첩한 영역은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는 제 2 결합 단부보다도 하방 위치에 수직판을 가지며, 상기 막판 본체는 제 2 결합 폴보다도 하방 위치로서 베이스재와 일체화하였을 때 베이스재의 상기 수직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직판을 가지며, 상기 막판 본체의 수직판 하단에는 베이스재의 수직판을 넘어 안쪽으로 연장되는 수평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판 본체 표면부는 측면에서 보아 만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 표면부는 측면에서 보아 만곡면을 이루며, 상기 만곡면은 그 만곡 상태가 막판 본체와 베이스재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막판 본체 표면부와 베이스재 표면부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막판 본체 및 베이스재는 알루미늄의 일체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판.
  9.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로서,
    건물 외벽면에 외벽판이 고정되고, 상기 외벽판에 베이스재가 그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의 이면을 외벽판에 접촉시킨 자세로 나사 고정되고, 상기 고정 베이스재의 제 1 결합 단부에 제 1 결합 폴을 그리고 제 2 결합 단부에 제 2 결합 폴을 외결합시킨 상태에서 막판 본체가 장착되고, 또한 베이스재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과 막판 본체의 표면부의 상측 가장자리 근방에서의 중첩한 영역은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를 외벽판에 고정하는 데 사용한 나사는 외벽판을 넘어 바디 가장자리와 같은 건물 외벽면 구성부재로까지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재의 상측 장착부와 하측 장착부는 건물 외벽 면에 고정된 다른 외벽판의 하단부분과 상단부분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 구조.
KR1020060036151A 2005-04-26 2006-04-21 막판 및 그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 KR100799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7358A JP4113884B2 (ja) 2005-04-26 2005-04-26 幕板およびその幕板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
JPJP-P-2005-00127358 2005-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14A true KR20060112214A (ko) 2006-10-31
KR100799897B1 KR100799897B1 (ko) 2008-01-31

Family

ID=3719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151A KR100799897B1 (ko) 2005-04-26 2006-04-21 막판 및 그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80381B2 (ko)
JP (1) JP4113884B2 (ko)
KR (1) KR100799897B1 (ko)
CN (1) CN100436729C (ko)
CA (1) CA2544601C (ko)
RU (1) RU2347045C2 (ko)
TW (1) TW2007025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6848B2 (en) 2012-08-03 2015-03-03 Hunter Douglas Chile S.A. Sun Louvre formed by a structure supporting an interweave of metal shee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8181B1 (en) * 2006-01-20 2010-07-06 Centria Advanced building envelope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8631620B2 (en) * 2006-01-20 2014-01-21 Centria Advanced building envelope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9187907B2 (en) * 2007-06-06 2015-11-17 Steven Schraga Drywall joint system and method
JP5010363B2 (ja) * 2007-06-21 2012-08-29 ケイミュー株式会社 壁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金具付き壁パネル
JP5111266B2 (ja) * 2008-07-02 2013-01-09 倉敷紡績株式会社 化粧材の取付具および取付構造
KR100938174B1 (ko) * 2009-11-02 2010-01-21 박재형 선박용 걸레받이
CL2012002170U1 (es) * 2012-08-03 2012-11-30 Hunter Douglas Chile S A Un revestimiento para fachadas o muros, conformado por una pluralidad de paneles convexos y concavos, en donde los paneles en un extremo estan dotados de un primer doblez, y en otro extremo estan dotados de un segundo doblez, en donde el primero y segundo doblez se introducen en una primera y segunda cavidad respectivamente.
US10813455B2 (en) * 2014-12-17 2020-10-27 Mccue Corporation Bumper assembly
USD766465S1 (en) * 2014-12-23 2016-09-13 Nichiha Corporation Fastening member
USD874688S1 (en) * 2018-05-15 2020-02-04 Sonny's Enterprises, Llc Curb cover to prevent vehicle wheel damage
US20200318357A1 (en) * 2019-04-05 2020-10-08 Inpro Corporation Handrail, Ki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ame
EP4071056A1 (en) * 2021-04-09 2022-10-12 B/E Aerospace (UK) Limited Bump strip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1999A (en) * 1967-09-19 Arrangement for installing battens on panelled roofs and walls
US3404495A (en) * 1966-07-08 1968-10-08 Reynolds Metals Co Combined flashing and fascia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837176B2 (ja) * 1989-05-26 1998-12-14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パネルの目地構造
JP3065144B2 (ja) * 1991-11-26 2000-07-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見切材の取付構造
JPH07300981A (ja) * 1994-05-06 1995-11-14 Ig Tech Res Inc 端部構造
US5579617A (en) * 1994-12-08 1996-12-03 Tapco International Dentil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molding insert member
US6276101B1 (en) * 1995-01-27 2001-08-21 Tapco International Corporation Door and window surround
JP3688352B2 (ja) * 1995-08-03 2005-08-2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幕板
JPH1096319A (ja) 1996-09-20 1998-04-14 Asahi Glass Co Ltd 幕 板
JP3596999B2 (ja) * 1996-11-14 2004-12-02 ナカ工業株式会社 壁面設置用ガードレール
CN1208108A (zh) * 1997-08-08 1999-02-17 汪沛 室内快速装饰装修方法
JP2001271485A (ja) 2000-03-28 2001-10-05 Nisshin Steel Co Ltd 鋼製幕板
JP5019667B2 (ja) * 2000-09-13 2012-09-05 倉敷紡績株式会社 化粧材の取付構造
JP3490674B2 (ja) * 2000-09-20 2004-01-26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施工構造
CN2495737Y (zh) * 2001-07-24 2002-06-19 李国有 一种用于室内装饰的腰线
CN2541541Y (zh) * 2002-04-20 2003-03-26 张志勇 卡扣式安装的装饰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6848B2 (en) 2012-08-03 2015-03-03 Hunter Douglas Chile S.A. Sun Louvre formed by a structure supporting an interweave of metal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897B1 (ko) 2008-01-31
RU2347045C2 (ru) 2009-02-20
TWI319034B (ko) 2010-01-01
US7380381B2 (en) 2008-06-03
US20060272255A1 (en) 2006-12-07
CN1854428A (zh) 2006-11-01
RU2006113737A (ru) 2007-11-10
JP2006307423A (ja) 2006-11-09
JP4113884B2 (ja) 2008-07-09
CN100436729C (zh) 2008-11-26
CA2544601A1 (en) 2006-10-26
TW200702532A (en) 2007-01-16
CA2544601C (en) 200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897B1 (ko) 막판 및 그 막판을 사용한 외벽 시공 구조
US6637170B2 (en) External wall construction, sealing fixture, external wall panel, and external wall constructing method
JP3140518U (ja) 巾木スター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
JP4324151B2 (ja) 木質部材の接合用ガイド具及び接合構造
JP3403370B2 (ja) 建築板用留め付け部材、該留め付け部材を固定した建築板、及びその留め付け構造
JP2010013013A (ja) 車両のヒンジカバー部構造および車両のヒンジカバー部構造の組立方法
JP2006307419A (ja) 外壁板用の留め付け金具および該留め付け金具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
JP4248991B2 (ja) コーナー部材の取付け構造
JP3921003B2 (ja) 留め付け金具
JP4996090B2 (ja) 化粧材の取付構造
JP4892309B2 (ja) 外装化粧材及びその位置決め治具
JP2005068879A (ja) 外装材の接続構造
JP4111449B2 (ja) フェンス本体
JP3164123B2 (ja) 乾式壁材のジョイント部材
JPS5819202Y2 (ja) 本実形状板体雌実部の下縁部分と固定取付具との組合せ
JP2001098741A (ja) 外装材取付け金具
JP2917801B2 (ja) 枠体と被支持部材との取り付け構造
JP4413683B2 (ja) 部材の位置決め具
JP3965178B2 (ja) 目地材
JP4178054B2 (ja) 化粧材取付具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取付構造
JP2001020498A (ja) 建築用化粧板材の取付金具およびその金具を用いた取付構造
JP2001098755A (ja) 廻り縁の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JP5806570B2 (ja) サンシェード用ハンドル
JP2001020496A (ja) 縦張り外装材の取付金具、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3614691B2 (ja) 外装材の取り付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