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452A -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 Google Patents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452A
KR20060108452A KR1020050030838A KR20050030838A KR20060108452A KR 20060108452 A KR20060108452 A KR 20060108452A KR 1020050030838 A KR1020050030838 A KR 1020050030838A KR 20050030838 A KR20050030838 A KR 20050030838A KR 20060108452 A KR20060108452 A KR 2006010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withdrawal
bundle
uni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380B1 (ko
Inventor
성민주
이성철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38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에서 제공되는 무인용 현금입출금기 및 계원이 사용하는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에서 대량의 현금 출금이 요청될 시에 일정액에 대해서는 현금의 묶음 출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에게 편리를 제공하고, 업무의 신속성을 향상시켜 은행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대량의 출금이 주로 창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해볼 때, 창구의 계원이 이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대량의 금액을 편리하게 묶음으로 출금하여 줌으로써 업무 경감 및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또한, 일정 금액의 묶음을 미리 보관함으로써 일반 거래 시보다 신속한 출금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다.
현금입출금기, 출금, 묶음 지폐

Description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ATM with Function of Bundle Drawing}
도 1a 내지 도 1b는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묶음지폐관리부가 장착된 현금입출금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입출금기의 묶음지폐관리부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묶음 출금이 가능한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묶음지폐관리부가 장착된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현금 인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10 : 키입력부 12, 220 : 통장/카드 인지부
14 : 보안장치부 16 : 저장부
18 : 보안카메라부 20, 240 : 제어부
22 : 표시부 24 : 인쇄부
26 : 수표입출력부 28,250 : 통신부
30 : 현금입출력부 100 : 현금입출금기
110, 260 : 묶음지폐관리부 120, 270 : 묶음지폐출금부
140, 280 : 묶음지폐이동부 142 : 벨트
144 : 돌기 146 : 모터
160, 290 : 묶음지폐보관부 162, 164 : 보관금고
166 : 용수철 180, 300 : 묶음지폐감지부
190 : 묶음지폐 200 : 계원용 현금입출금기
230 : 현금출금부
본 발명은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에서 제공되는 무인용 현금입출금기 및 계원이 사용하는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에서 대량의 현금 출금이 요청될 시에 일정액에 대해서는 현금의 묶음 출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에게 편리를 제공하고, 업무의 신속성을 향상시켜 은행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대부분의 회사들의 주 5일제 시행으로 사람들이 직접 은행에 가는 경우 보다는 ATM이나 CD기와 같은 금융 자동화기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에는 금융 업무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금융 자동화기기에 여러 가지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은행의 주 5일제 근무에 따라 금융 자동화기기의 설치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 자동화기기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현재, 금융 자동화기기에는 주요 업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까지 함께 고려하여 구현되고 있는 중이고, 이에 따라, 은행 경쟁력 향상 및 고객 만족을 위해 금융 자동화기기에 대한 여러 가지 도난 방지, 편리한 현금 수송 및 현금을 재충당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는 거래 업무를 위해 기본적인 입력을 위해서 다수의 키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키입력부(10)와, 삽입되는 통장이나 카드를 인지하기 위한 통장 /카드 인지부(12)와, 수표의 입금과 출금 기능을 수행하는 수표입출력부(26)와, 현금을 입금하거나 출금하기 위한 현금입출력부(30)가 있다.
이 외에도 일반적인 거래를 위하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현금입출금기의 거래 내용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6)와, 본점의 중앙컴퓨터와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통신부(28)와, 상기의 통신부(28)를 통해 본점과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제어부(20)와, 거래 내역 등을 화면에 나타내는 표시부(22)와, 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인쇄부(24)가 있다.
그리고 이 외에도 부가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위협적인 상황을 고려한 보안장치부(14)나 추후 불량 거래자의 신원확인을 위해 사용할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보안카메라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통장/카드 인지부(12)는 통장이나 카드의 마그네틱 띠(stripe, 스트라이프)에 저장된 정보나 IC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상기의 통신부(28)를 통해 본점의 중앙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거래자의 신원을 조회하고, 입금과 출금의 내용을 기록하는 작업 후에 카드나 통장을 돌려 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안장치부(14)는 외부로부터 위협이 가해지면 작동을 중지하고, 잠금장치가 가동된다거나 감시 카메라나 감시 버튼으로 전문 보안 서비스 회사와 전화선으로 연결되어 24시간 감시가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키입력부(10)와 통장/카드 인지부(1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의 통신부(28)를 통해 본점의 중앙컴퓨터와 정보교환을 하여 금융 거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정보 및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금융 거래 시에는, 사용자가 통장이나 카드를 삽입하면 통장/카드 인지부(12)에서는 이를 인지하고, 이어 사용자는 표시부(22)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키입력부(10)를 통해 금융 거래를 진행시키고, 안내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는 통신부(28)를 통하여 본점의 중앙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금융 거래를 진행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현금입출금기의 거래 내용을 저장부(16)에 저장하고, 인쇄부(24)가 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출력하고 난 후에, 수표나 현금을 수표입출력부(26)이나 현금입출력부(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거래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금입출금기에서의 현금출금은 낱장으로만 출금하는 것만이 가능하였으며, 현금입출금기에는 한번 인출하거나 하루에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이 한정되어 있어, 다량의 현금을 인출할 시에 현금입출금기에서 여러 번 현금을 인출하거나, 창구에서 직원이 직접 다량의 금액을 계수하여 일정 단위로 이를 일일이 묶어 줌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창구 직원들의 불필요한 인력이 낭비되어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은행에서 제공되는 무인용 현금입출금기 및 계원이 사용하는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에서 대량의 현금 출금이 요청될 시에 일정액에 대해서는 현금의 묶음 출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에게 편리를 제공하고, 업무의 신속성을 향상시켜 은행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발명은, 대량의 출금이 주로 창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해볼 때, 창구의 계원이 이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대량의 금액을 편리하게 묶음으로 출금하여 줌으로써 업무 경감 및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또한, 일정 금액의 묶음을 미리 보관함으로써 일반 거래 시보다 신속한 출금할 수 있는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운용 방법을 설명하고, 또한 상기 과정들을 달성하기 위한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내부 구성 모듈을 제안한다.
현금입출금기에서의 묶음 출금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객이 현금입출금기에서 현금 인출을 요청하는 단계와; 현금입출금기의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금액이 대량 현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요청된 인출 금액이 대량 출금이면, 고객에게 묶음 출금을 희망하는지 낱장 출금을 희망하는지를 물어보는 단계와; 고객이 낱장 출금을 희망할 경우에는 낱장으로, 고객이 묶음 출금을 희망할 경우에는 묶음 출금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단계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현금입출금기는 일반적인 거래 업무를 위한 기본적인 입출력을 담당하는 키입력부와, 삽입되는 통장이나 카드를 인지하기 위한 통장/카드 인지부와, 거래 내역 등을 화면에 나타내거나 터치패널 등을 이용하여 기능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와, 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인쇄부와, 수표나 현금의 입금과 출금을 수행하는 수표/현금 입출력부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금융 자동화기기의 거래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본점의 중앙컴퓨터와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의 각 단계를 제어하는 제어부 외에도,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보관하는 묶음지폐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묶음지폐관리부는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보관하는 묶음지폐보관부와, 대량의 현금 인출이 요청된 경우, 요청된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출금하는 묶음지폐출금부와, 상기 묶음지폐보관부에 있는 묶음 지폐가 묶음지폐출금부에서 출금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묶음지폐이동부와, 묶음 지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져 묶음지폐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묶음지폐감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묶음지폐관리부가 장착된 현금입출금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현금입출금기는 기존의 현금입출금기에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10)와, 통장/카드 인지부(12)와, 표시부(22)와, 인쇄부(24)와, 수표입출력부(26)나 현금입출력부(30)와, 저장부(16)와, 통신부(28)와, 상기의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보관하는 묶음지폐관리부(11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묶음지폐관리부(110)는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출금하는 묶음지폐출금부(120)와, 묶음 지폐가 출금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묶음지폐이동부(140)와, 묶음 지폐를 보관하는 묶음지폐보관부(160)와, 묶음지폐가 출금될 때 이를 카운트할 수 있는 묶음지폐감지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묶음지폐관리부(110)는 도 2b와 같이 종래의 현금입출금기(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묶음 지폐를 보관하기 쉽게 묶음지폐보관부(160)는 여러 개의 보관금고로 나뉘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제어부(20)는 현금 인출이 요청된 경우, 요청된 현금이 대량 현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능과, 요청된 인출 금액이 대량 현금일 경우, 인출 금액 중에서 묶음 출금이 가능한 금액만큼은 묶음으로 나머지 금액은 낱장 출금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청된 금액이 대량 금액일 경우, 고객이 묶음 출금을 희망하는지 일 반 낱장 출금을 희망하는지를 확인하여 고객의 희망에 따라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묶음지폐관리부(110)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묶음지폐관리부(110)는 대량의 현금 인출이 요청된 경우, 요청된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출금하는 묶음지폐출금부(120)와, 묶음지폐보관부에 있는 묶음 지폐가 상기 묶음지폐출금부에서 출금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묶음지폐이동부(140)와, 정액으로 묶여진 묶음 지폐를 일정한 단위로 보관하는 묶음지폐보관부(160)와, 묶음 지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져 묶음지폐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묶음지폐감지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묶음지폐보관부(160)에는 제1보관금고(162), 제2보관금고(164) 등이 있고, 상기 각 보관금고의 내부에는 묶음 지폐(190)가 놓여져 있고, 그 아래 부분에는 용수철(166)이 놓여져 있어, 상기의 용수철(166) 위의 묶음 지폐(190)를 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보관금고의 위에는 지폐의 길이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돌기(144)를 포함한 벨트(142)가 모터(146)에 의해 회전하고 있다.
각 보관금고 아래에 놓인 용수철(166)은 묶음 지폐(190)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되고, 위로 올려진 묶음 지폐(190)는 한 다발씩 지폐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놓여진 돌기(144) 사이로 밀어 넣어 지게 된다. 계속하여, 돌기를 부착하고 있는 벨 트(142)가 모터(146)의 의해 일정 간격씩 돌면서 묶음 지폐(190)를 한 다발씩 묶음지폐출금부(120)로 보내 줌으로써 고객에게 묶음 지폐(19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묶음지폐감지부(18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빛의 양으로 지폐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나, 지폐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지폐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묶음 출금이 가능한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묶음지폐관리부가 장착된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의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계원용 현금입출금기(200)는 기존의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에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210)와, 통장/카드 인지부(220)와, 현금출금부(230)와, 통신부(250)와, 상기의 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현금입출금기와 같이 요청된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출금하는 묶음지폐출금부(270)와, 묶음지폐보관부에 있는 묶음 지폐가 상기 묶음지폐출금부에서 출금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묶음지폐이동부(280)와, 정액으로 묶여진 묶음 지폐를 일정한 단위로 보관하는 묶음지폐보관부(290)와, 묶음 지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져 묶음지폐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묶음지폐감지부(300)로 구성된 묶음지폐관리부(260)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계원용 현금입출금기(200)의 묶음지폐보관부(290)는 도 2b의 현금입출금기(100)처럼 정액으로 묶여진 묶음 지폐를 일정한 단위로 보관하고 있으며, 상기 보관되어 있는 묶음 지폐는 묶음지폐이동부(280)에 의해서 묶음지폐출금부(270)를 통해서 계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현금 인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고객이 현금입출금기(100)에서 하고자 하는 작업을 선택한다. 상기에서 고객이 요청한 작업이 현금을 인출하는 작업이라면(S102), 현금입출금기의 제어부(20)는 상기 요청한 금액이 대량 금액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104).
상기에서 요청된 인출 금액이 대량 금액으로 확인된다면(S106), 고객에게 인출금액을 묶음 출금으로 출금할 지의 여부를 현출입출금기의 표시부를 통해서 제공하고(S108), 그 여부를 확인받는다.
이 때, 고객이 묶음 출금을 희망한다면(S108), 각 보관금고 아래에 놓인 용수철(166)에 의해 위로 올려진 묶음 지폐(190)가 한 다발씩 돌기(144) 사이로 밀어 넣어 진 상태에서 벨트(142)가 모터(146)의 의해 일정 간격씩 돌면서 묶음 지폐(190)를 한 다발씩 묶음지폐출금부(120)로 보내주게 된다.
묶음지폐감지부(180)에서는 상기 묶음 지폐를 카운트하여 고객이 요청한 금액 중 가능한 금액만큼을 묶음 지폐(190)를 제공하고, 나머지는 일반 낱장 출금으로 현금입출금부(30)나 수표입출금부(26)를 통해서 고객에게 제공한다(S110).
예를 들어, 고객이 요청한 인출금액이 120만원이고, 묶음 출금의 단위가 100 만원일 경우에는, 묶음 출금은 100만원, 낱장 출금으로 20만원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에서 고객이 일반 낱장 출금을 희망한다면(S108), 일반 낱장 출금으로 현금입출금부(30)나 수표입출금부(26)를 통해서 고객에게 인출 금액을 제공함(S112)으로써 상기의 인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S114).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은행에서 제공되는 무인용 현금입출금기 및 계원이 사용하는 계원용 현금입출금기에서 대량의 현금 출금이 요청될 시에 일정액에 대해서는 현금의 묶음 출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에게 편리를 제공하고, 업무의 신속성을 향상시켜 은행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현금입출금기를 이용하여, 대량의 출금이 주로 창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해볼 때, 창구의 계원이 이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대량의 금액을 편리하게 묶음으로 출금하여 줌으로써 업무 경감 및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또한, 일정 금액의 묶음을 미리 보관함으로써 일반 거래 시보다 신속한 출금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더욱 유리한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Claims (8)

  1. 고객이 현금입출금기에서 현금 인출을 요청하는 제 1단계;
    현금입출금기의 제어부는 상기 요청된 금액이 대량 출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
    요청된 인출 금액이 대량 출금이면, 고객에게 묶음 출금을 희망하는지 낱장 출금을 희망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3단계와;
    고객이 낱장 출금을 희망할 경우에는 낱장으로, 고객이 묶음 출금을 희망할 경우에는 묶음 출금으로 제공하는 제 4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화기기의 묶음 출금 방법.
  2. 일반적인 거래 업무를 위한 기본적인 입출력을 담당하는 키입력부와,
    통장이나 카드를 인지하기 위한 통장/카드 인지부와,
    거래 내역 등을 화면에 나타내거나 터치패널 등을 이용하여 기능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와,
    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인쇄부와,
    수표나 현금의 입금과 출금을 수행하는 수표/현금 입출력부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금융 자동화기기의 거래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본점의 중앙컴퓨터와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의 각 단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현금입출금기에 있어서,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보관하는 묶음지폐관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관리부는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보관하는 묶음지폐보관부와;
    대량의 현금 인출이 요청된 경우, 요청된 현금을 일정한 금액 단위로 묶어서 출금하는 묶음지폐출금부와;
    상기 묶음지폐보관부에 있는 묶음 지폐가 묶음지폐출금부에서 출금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묶음지폐이동부와;
    묶음 지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져 묶음지폐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묶음지폐감지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이동부는
    벨트의 양 단에 위치하여 벨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묶음 지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벨트와;
    묶음 지폐가 한 다발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벨트 위에 지폐의 길이 간격대로 놓여진 돌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감지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빛의 양으로 지폐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묶음지폐감지부는
    지폐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지폐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터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금 인출이 요청된 경우, 요청된 현금이 대량 현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요청된 인출 금액이 대량 현금일 경우, 인출 금액 중에서 묶음 출금이 가능한 금액만큼은 묶음으로 나머지 금액은 낱장 출금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요청된 금액이 대량 금액일 경우, 고객이 묶음 출금을 희망하는지 일반 낱장 출금을 희망하는지를 확인하여 고객의 희망에 따라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KR1020050030838A 2005-04-13 2005-04-13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KR10065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38A KR100659380B1 (ko) 2005-04-13 2005-04-13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38A KR100659380B1 (ko) 2005-04-13 2005-04-13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244U Division KR200387886Y1 (ko) 2005-04-13 2005-04-13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452A true KR20060108452A (ko) 2006-10-18
KR100659380B1 KR100659380B1 (ko) 2006-12-19

Family

ID=3762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838A KR100659380B1 (ko) 2005-04-13 2005-04-13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3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74B1 (ko) * 2008-02-29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0973875B1 (ko) * 2008-02-29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009172B1 (ko) * 2008-02-29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작동 방법
KR101452912B1 (ko) * 2008-11-10 2014-10-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311B1 (ko) 2008-11-10 2011-07-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용 트레이
KR101035190B1 (ko) 2008-11-10 2011-05-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
KR102374463B1 (ko) * 2020-10-16 2022-03-1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잔돈 시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계원용 모출납기 및 이를 이용한 시재 관리 정산 자동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494A (ja) * 1987-10-06 1989-04-13 Laurel Bank Mach Co Ltd 紙幣出金機
JP2000099793A (ja) * 1998-09-18 2000-04-07 Toshiba Corp 複数金種・任意枚数の紙幣を施封する紙幣処理装置
KR19990037852A (ko) * 1999-02-03 1999-05-25 박광소 동전지급이가능한은행거래처리장치및그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74B1 (ko) * 2008-02-29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0973875B1 (ko) * 2008-02-29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009172B1 (ko) * 2008-02-29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작동 방법
KR101452912B1 (ko) * 2008-11-10 2014-10-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380B1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6098B2 (ja) 紙幣取扱装置
KR100659380B1 (ko)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JP2005234618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制御
KR20060055395A (ko) 금전처리장치
KR200387886Y1 (ko)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KR20060119386A (ko)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CN214376782U (zh) 一种多功能智能机
JP2003067808A (ja) 自動取引装置
KR200337023Y1 (ko)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단일출금출구장치
KR101002515B1 (ko) 수표이미지 처리기가 장착된 금융자동화기기
JP2008225806A (ja) 現金処理装置およびその出力方法
KR950011843B1 (ko) 현금 및 수표의 자동 지급 장치와 입금 및 출금 장치
JPS5853785B2 (ja) 貨幣支払い装置
JP5228470B2 (ja) 自動取引装置
KR100981139B1 (ko) 금융 자동화기기에서의 현금 입금 방법
KR20070071821A (ko) 지로용지 수납기능을 가지는 금융 자동화기기
KR20200044493A (ko)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KR20050030645A (ko)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수납고
JP2010146152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KR20080062605A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실시간 수표 처리 방법
JP5482729B2 (ja) 金銭処理装置
JP4952104B2 (ja) 現金処理機
JP4478611B2 (ja) 顧客受付用端末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顧客受付システム
JP2008046974A (ja) 現金処理システム
JP5061801B2 (ja) 自動取引装置認証切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