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625A - 지향성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장치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지향성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장치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625A
KR20060105625A KR1020060029298A KR20060029298A KR20060105625A KR 20060105625 A KR20060105625 A KR 20060105625A KR 1020060029298 A KR1020060029298 A KR 1020060029298A KR 20060029298 A KR20060029298 A KR 20060029298A KR 20060105625 A KR20060105625 A KR 20060105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incident
light guid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020B1 (ko
Inventor
야스히로 다이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a passeng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진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장치 및 이 조명장치를 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치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그 배면측에 배치되고, 다른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조명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향하게 하여 출사하는 조명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명장치는 판형상의 투명부재의 단면을 광입사 단면으로 하고, 한쪽의 판면을 광출사면으로 하며, 다른쪽의 판면을 상기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광변향면(光變向面)으로 하는 도광판을 구비하고 있고, 도광판의 광변향면은 상기 광입사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광입사면의 상기 중앙위치로부터 좌우 각각에 등거리의 2개의 위치 각각에 발광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표시패널, 액정층, 조명장치, 프리즘 시트, 출사면, 도광판

Description

지향성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ILLUMINATOR FOR EMITTING AT LEAST TWO LIGHTS HAVING DIRECTIVIT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도 1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액정표시패널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조명장치를 빛의 출사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조명장치에 있어서, 도광판에 입사한 빛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조명장치를 발광소자가 배열된 광입사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
도 8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명장치를 빛의 출사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이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명장치를 빛의 출사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
도 12는 이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조명장치를 발광소자가 배열된 광입사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
도 15는 이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조명장치를 발광소자가 배열된 광입사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17은 도 15에 나타낸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조명장치를 빛의 출사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18은 도 15에서 나타낸 제 5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
도 19는 이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나타낸 제 6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정표시패널 4: 시일재
9: 액정층 15: 조명장치
16: 광변향수단 17: 도광판
18: 광입사 단면 19: 광출사면
20, 24: 원호상 경사면 27: 프리즘 시트
이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진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장치 및 이 조명장치를 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치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시패널의 조명장치로서 에지 라이트형의 백 라이트가 알려져 있다. 이 백 라이트는 판형상의 투명판의 일단면을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입사면으로 하고, 1개의 판면을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받아들인 빛의 출사면으로 한 도광체와, 그 도광체의 일단면에 대향시켜 배치한 광원으로 구성되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입사면으로부터 도광체내로 받아들이고, 그 빛을 도광체에서 반사를 반복시켜 유도하여 출사면의 거의 전역에서 출사시키는 것이다.
한편, 표시패널을 이용한 표시장치로서는, 1개의 표시패널에, 이 표시패널의 오른쪽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보이는 화상과, 왼쪽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보이는 화상이 다른 2개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용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운전 사측에서 보았을 때에 네비게이션 화상을 표시시키고, 조수석측에서 보았을 때에 비디오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나, 또는 1개의 표시장치에 관찰자의 좌우의 눈에 대응한 시차(視差)를 가진 2개의 화상을 표시시켜 표시장치의 오른쪽 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우안용 화상을 관찰자의 오른쪽 눈에 인식시키고, 왼쪽 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좌안용 화상을 관찰자의 왼쪽 눈에 인식시키도록 하여 입체적인 삼차원화상을 표시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 삼차원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패널의 1열 거른 화소에 의해 좌안용 화상을, 다른 1열 거른 화소에 의해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고, 그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한쪽 행의 화소로부터의 출사광과 다른쪽 행의 화소로부터의 출사광을 표시관찰자의 좌안방향과 우안방향으로 양분하는 렌티큘러렌즈를 이용한 것(특개평3-119889호 공보) 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화소행과 평행한 복수의 투과부와 차광부가 교대로 나란히 하여 스트라이프상으로 형성된 패럴렉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를 통하여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관찰시키도록 한 것(특개평7-005455호 공보, 특개평10-268230호 공보)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1개의 표시패널에 2개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1열 거른 화소에 의해 한쪽의 화상을 표시하고, 다른 1열 거른 화소에 의해 다른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각각의 화상의 해상도가 낮고, 품질이 좋은 화상을 표시할 수 없다.
또, 표시패널의 화소 피치에 대응한 렌즈 피치의 렌티큘러렌즈, 또는 상기 화소 피치에 대응한 투과부 피치의 패럴렉스 베리어를, 그 각 렌즈부 또는 투과부를 상기 표시패널의 각 행의 화소에 대해 미리 정한 위치관계에서 정밀도 좋게 대응시켜 배치하지 않으면 않되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다.
이 발명의 목적은 1개의 표시패널에 적어도 2개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이들 화상을 표시패널의 우측 방향과 좌측 방향에 따로 따로 시인시키는 표시장치에 적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1개의 표시패널에 적어도 2개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이들 화상을 표시패널의 우측방향과 좌측방향에 따로 따로 시인시키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해상도가 높은 고품질의 삼차원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조명장치는,
판형상의 투명부재의 1개의 단면에 설치되고,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입사단면과,
광입사 단면과 직교하는 판면에 설치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유도되어 미리 정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대향하는 다른 판면에 설치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광출사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광입사 단면의 상기 광출사면이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며, 상기 광출사면과 상기 광입사 단면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으로 하고,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으로 했을 때,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위치에서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상기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1 및 제 2 발광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 1 관점에 의한 조명장치에 따르면, 2개의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상기 조명장치의 법선에 대해서, 좌측에 광강도의 피크를 가진 빛과, 우측에 광강도의 피크를 가진 빛으로 나누어 출사시킬 수 있고, 1개의 조명장치에 의해서,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가진 2개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다.
이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 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 평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반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굴절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굴절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또한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수평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리즘 시트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곡률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대향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을 상기 도광판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응시키고, 그 광입사 단면의 중앙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제 3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와 제 3 발광소자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광원구동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으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서, 그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명장치에 따르면, 1개의 조명장치로 관찰측에 보아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가진 2개의 조명광과, 정면 휘도가 높은 조명광을 선택적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보다도 또한 그 외측의 양쪽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와 제 4, 제 5 발광소자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광 원구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개의 조명장치로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갖고, 또한 시인 범위가 넓은 2개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각각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방향의 미리 정한 각도 범위로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을 산란하는 이방성 확산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1개의 조명장치로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갖고, 또한 시인 범위가 넓은 2개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2 관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표시영역을 갖고,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신호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판형상의 투명부재의 1개의 단면에 설치되고,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입사 단면과,
광입사 단면과 직교하는 판면에 설치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유도되어 미리 정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대향하는 다른 판면에 설치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광출사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광입사 단면의 상기 광출사면과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며, 상기 광출사면과 상기 광입사 단면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으로 하고,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으로 했을 때,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에서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서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복수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1 및 제 2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조명장치와;
상기 표시패널에 2개의 다른 화상을 차례차례 표시시키는 표시구동회로와,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된 화상에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광원구동회로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이 제 2 관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정면에 대해서 오른쪽 또는 왼쪽의 각각의 방향에서 다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이 표시장치를 입체표시장치에 적용할 때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출사하는 조명광을 좌우의 눈에 시인시키는 우안용과 좌안용의 조명광으로 함으로써 밝은 삼차원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배치하는 2개의 광원의 위치를 조정하여 좌우방향으로 출사하는 빛의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오른쪽 방향으로부터 관찰 가능한 화상과, 왼쪽 방향으로부터 관찰 가능한 화상을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으며, 좌우의 방향에서 전혀 다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 평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반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곡률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수평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프리즘 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굴절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굴절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응시키고, 그 광입사 단면의 중앙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제 3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고,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교대 점등과,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선택하는 점등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서 그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복수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정면 방향에서 밝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각각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방향의 미리 정한 각도 범위로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을 산란하는 이방성 확산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보다도 또한 그 외측의 양쪽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며,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서 한쪽측에 배치된 제 1, 제 4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과, 다른쪽측에 배치된 제 2, 제 5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교대로 실시시키는 점등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표시장치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기운 방향의 시인 가능한 각도 범위가 넓어진다.
이 제 3 관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표시영역을 갖고,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신호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판형상의 투명부재의 1개의 단면에 설치되며,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입사 단면과,
광입사 단면과 직교하는 판면에 설치되고, 상기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유도되어 미리 정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대향하는 다른 판면에 설치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광출사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의 상기 광출사면과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광출사면과 상기 광입사 단면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으로 하며,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으로 했을 때,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에서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복수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1 및 제 2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기준면을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된 조명장치와;
관찰자의 좌우 눈의 관찰 화상에 상당하는 시차를 가진 2개의 화상을 상기 표시패널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표시구동회로와,
상기 2개의 화상의 표시에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점등을 교대 로 전환하는 광원구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3 관점에 의한 표시장치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의 조명장치에 의해서, 입체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을, 상기 표시패널의 법선에 대해서 표시 관찰자의 좌우의 눈 중 한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을, 다른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도록 반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수평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 시트와 함께 상기 도광판의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법선에 대해서 표시 관찰자의 좌우의 눈 중 한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1 방 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을, 다른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도록 굴절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굴절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응시키고, 그 광입사 단면의 중앙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제 3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서 그 진행방향을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빛을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상기 원호상 경사면을 가지며,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교대 점등과,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선택하는 점등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정면 방향으로 밝은 이차원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보다도 또한 그 외측의 양쪽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며,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서 한쪽측에 배치된 제 1, 제 4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과, 다른쪽측에 배치된 제 2, 제 5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교대로 실시시키는 점등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정면 방향에서 입체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경사 방향에서는 오른쪽 또는 왼쪽 눈용 화상의 이차원화상을 넓은 범위에서 시인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도 7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입체표시를 실시하는 표시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표시장치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화소(도시하지 않음)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표시영역(1a)을 갖고,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신호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과는 반대측의 배면에 배치된 조명장치(15)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며, 이 액정표시패널(1)은 틀상의 시일재(4)(도 1 참조)를 통하여 접합된 한쌍의 투명기판(2, 3)과, 이들 기판(2, 3)의 대향하는 내면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의해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를 형성하는 투명전극(5, 6)과, 상기 한쌍의 기판(2, 3)간의 상기 시일재(4)로 둘러싸여진 영역에 설치된 네마틱 액정층(9)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용한 액정표시패널(1)은 상기 한쌍의 기판(2, 3)의 한쪽, 예를 들면 관찰측(도 2에 있어서 하측)과는 반대측의 기판(2)의 내면에, 행방향(화면의 좌우방향) 및 열방향(화면의 상하방향)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전극(5)을 설치하고, 다른쪽의 관찰측 기판(3)의 내면에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5)에 대향하는 한장 막형상의 대향전극(6)을 설치한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표시패널이다. 도 2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반대측 기판(2)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5)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TFT(박막트랜지스터)와, 각 행의 TFT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과, 각 열의 TFT에 화상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액정표시패널(1)은 고속 응답성을 갖는 밴트 배향형, 또는 액정층 두께(기판 간극)를 작게 하여 고속 응답화를 달성한 액정분자배열에 비틀림이 없는 호모지니어스 배향형의 액정표시패널이다. 밴트 배향형 액정표시패널의 경우, 상기 액정층(9)의 액정분자(9a)는 상기 한쌍의 기판(2, 3)의 내면에 상기 전극(5, 6)을 덮어서 설치된 수평배향막(7, 8)에 의해 프리틸트각을 제어하여 스프레이 배향시킨다. 호모지니어스 배향형의 액정표시패널의 경우, 상기 액정층(9)의 액정분자(9a)는 상기 수평배향막(7, 8)에 의해 배향 방향을 규정하여 한쪽 방향으로 분자장축을 맞추어 호모지니어스 배향시킨다.
그리고, 이 액정표시패널(1)의 한쌍의 기판(2, 3)의 외면에는 한쌍의 편광판(10, 11)이 각각의 투과축을 미리 정한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기판(2, 3)의 어느 쪽인가, 예를 들면 관찰측 기판(3)과 그 관찰측의 편광판(11)의 사이에는 표시의 콘트래스트를 높게 하기 위한 위상차판(12)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과는 반대측의 기판(2)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방향의 일단 가장자리와 열방향의 일단 가장자리에, 관찰측 기판(3)의 바깥쪽으로 내뻗는 드라이버 탑재부(2a, 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은 행방향의 드라이버 탑재부(2a)에 탑재된 게이트측 드라이버(13)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배선은 열방향의 드라이버 탑재부(2b)에 탑재된 데이터측 드라이버(14)에 접속된다. 상기 대향전극(6)은 상기 시일재(4)에 의한 기판 접합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크로스 접속부와 상기 드라이버 탑재부(2a, 2b)의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대향전극 접속배선을 통하여 상기 게이트측 드라이버(13)와 데이터측 드라이버(14)의 한쪽 또는 양쪽의 대향전극전위의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조명장치(15)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조명장치(15)의 광출사측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조명장치에 있어서, 도광판에 입사한 빛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조명장치(15)의 단면 구조를 해칭을 생략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조명장치(15)의 발광소자가 배열된 광입사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 조명장치(15)는 광변향수단(16)과, 제 1 발광소자(30a)와, 제 2 발광소자(30b)로 구성된다. 광변향수단(16)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화면의 상하 변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대응하는 측에, 빛을 입사시키는 광입사 단면(18)이 상기 액정 표시패널(1)의 좌우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1)에 대향하는 면과 그 반대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18a)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며, 상기 광입사 단면(18)으로부터 입사한 빛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측으로 출사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변향수단(16)의 광입사 단면(18)의 중앙위치(18a)의 근처이고, 또한 상기 원호상 변향면(20)의 곡률 중심(18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40)를 취한 위치 P1, P2에 배치되며, 상기 광변향수단(16)의 광입사 단면(18)을 향하게 하여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출사하는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로 이루어져 있다.
이 조명장치(15)의 광변향수단(16)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판 등의 판형상의 투명부재로 형성된 도광판(17)으로 구성된다. 도광판(17)의 주변 중,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화면의 상하 변의 어느 쪽인가 한쪽, 예를 들면 상기 화면의 윗변에 대응하는 측의 변부의 단면에 빛을 입사시키는 광입사 단면(18)이 형성된다. 또, 도광판(17)의 상기 투명부재의 상기 액정표시패널(1)에 대향하는 판면에,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기판(2, 3)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빛의 광출사면(19)이 형성된다. 또한,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에 대향하는(반대측) 면에 원호상 경사면(20)이 형성되어 있고, 원호상 경사면(20)은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18a)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18)으로부터 상기 투명부재내에 입사한 빛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출사면(1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측에 출사시킨다.
도면에서는 상기 도광판(17)의 원호상 경사면(20)을 크게 과장하고 있지만, 상기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화소 피치와 같은 정도 또는 그것보다도 작은 피치로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광판(17)의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은 각각 상기 반원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출사면(19)과는 반대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경사면이다.
상기 도광판(17)은 그 입사 단면(18)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도 3 내지 도 6에 화살표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과 외기(外氣)(공기)의 계면에서 전반사(全反射) 하여 방향을 바꾸고, 그 빛을 상기 광출사면(19)으로부터 이 출사면(19)과 외기의 계면에 의해 상기 출사면(19)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기 액정표시패널(1)측에 출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의 기울기 각은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입사시켰을 때에,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을 따른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빛을 출사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광변향수단(16)을 구성하는 도광판(17)에는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상기 광출사면(19)이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18a)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중앙위치(18a)로부터에 입사한 빛을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의 법선 방향으로 출사하도록 내면 반사시키는 원호상 경사면(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광변향수단(16)은 도 4에 가상선(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출사면(19)과 상기 광입사 단면(18)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16v)으로 하며,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16v)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16h)으로 했을 때,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하여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16h)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19)으로부터 출사한다. 또한 제 1 발광소자(30a)와 제 2 발광소자(30b)는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위치에서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광변향수단(16)은 상기 도광판(17)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18a)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을 구비한다.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서, 상기 광입사 단면(18)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30a)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17) 안을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은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바뀌어져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상기 광입사 단면(18)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30b)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17) 안을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은 상기 수평기준면(16h) 위에서 상기 수직평면에 대해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광출사면(19)으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17)의 후측(원호상 경사면(20)이 형성된 면의 외측)에, 상기 도광판(17)에 그 광입사 단면(18a)으로부터 입사한 빛 중, 상기 원호상 경사면(20)과 외기의 계면을 투과하여 상기 도광판(17)의 후측으로 샌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21)을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는 그 구조는 도시하지 않지만, LED(발광 다이오드)를 투명수지로 몰드한 것이며, 그 출사측에 상기 LED의 발광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을 따른 면 위로 확장하여 방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는 상기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a)의 중앙부 근처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40)를 취한 위치에 각각, 이들 발광소자(30a, 30b)로부터의 출사광의 확대방향을 상기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의 길이방향, 즉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화면의 좌우방향에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명장치(15)는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 중,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우측의 발광소자(30a)로부터의 출사광을 도 3 내지 도 6에 화살표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7)의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에 대해서 표시 관찰자의 좌안방향으로 기운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서 출사한다. 또,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좌측의 발광소자(30b)로부터의 출사광을 도 3 내지 도 6에 화살표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7)의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에 대해서 상기 표시 관찰자의 우안방향으로 기운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우안용 조명광으로서 출사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는 상기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의 중앙위치(18a)의 근처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40)를 취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 중,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우측의 P1점에 위치하는 발광소자(30a)로부터의 출사광은 상기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으로부터의 빛의 반사방향(30n)에 대해서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방향으로 각도θ만큼 기운 방향 (30a1)으로 반사된다. 또,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좌측의 발광소자(30b)로부터의 출사광은 상기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으로부터의 빛의 반사방향(30n)에 대해서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오른쪽 방향으로 기운 방향(30b1)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7)의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0)의 기울기 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7)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입사시켰을 때에,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을 따른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빛을 출사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우측의 발광소자(30a)를 점등시켰을 때, 즉 상기 도광판(17)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어긋난 점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입사시켰을 때는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에 대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방향, 즉 표시 관찰자의 좌안방향으로 기운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이 출사된다. 또,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좌측의 고체발광소자(30b)를 점등시켰을 때, 즉 상기 도광판(17)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에 대하여 왼쪽 방향으로 어긋난 점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입사시켰을 때는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에 대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오른쪽 방향, 즉 표시 관찰자의 우안방향으로 기운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우안용 조명광이 출사된다.
도 7은 상기 조명장치(15)로부터의 좌안용 조명광과 우안용 조명광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에 있어서, 마이너스의 각도는 이 조명장치(15)의 화면의 법선(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상기 조명장치(15)의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방향의 각도, 플러스의 시각(視角)은 상기 조명장치(15)의 화면의 법선에 대해서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오른쪽 방향의 각도이다. 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장치(15)의 법선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7˚∼8˚의 범위에 광강도의 피크를 갖는 강한 지향성의 출사광을 얻을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제어장치(32)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게이트측 드라이버(13) 및 데이터측 드라이버(14)를 제어하는 표시구동회로(32a)와, 상기 면광원(15) 의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의 점등을 제어하는 광원구동회로(32b)와, 이들의 표시구동회로(32a)와 광원구동회로(32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2c)로 이루어져 있다. 표시구동회로(32a)는 상기 표시패널(1)에 2개의 다른 화상을 차례차례 표시시키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1)을 구동하고, 입체표시의 경우는 관찰자의 좌우 눈의 관찰화상에 상당하는 시차를 가진 2개의 화상, 즉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교대로 표시시킨다. 또, 광원구동회로(32b)는 상기 2개의 화상의 표시에 동기시켜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를 교대로 점등시킨다.
이 제 1 실시예의 표시장치에서는 필드시퀀셜표시에 의해 삼차원 컬러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는 각각, 적색광을 발하는 적색 LED와, 녹색광을 발하는 녹색 LED와, 청색광을 발하는 청색 LED를 구비하고, 적, 녹, 청의 3색 광을 선택적으로 출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32)는 1개의 삼차원 컬러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1프레임을 6분할한 6개의 필드마다, 적, 녹, 청의 3색 단위색의 좌안용 화상데이터 및 우안용 화상데이터 중 1개의 화상데이터를 임의의 순서로 선택해 차례차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각 화소에 공급하고, 적, 녹, 청의 각 단위색의 좌안용 화상의 표시에 각각 동기시켜 상기 우측의 발광소자(30a)의 적, 녹, 청의 3색 LED 중 표시된 화상의 색 LED를 점등 구동하여 그 색의 좌안용 조명광을 상기 조명장치(15)로부터 출사시키며, 적, 녹, 청의 각 단위색의 우안용 화상의 표시에 각각 동기시켜 상기 좌측의 발광소자(30b)의 적, 녹, 청의 3색 LED 중 화상의 색 LED를 점등시켜서 그 색의 우안용 조명광을 상기 조명장치(15)로부터 출사시킨다.
즉, 이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제어회로(32)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복수의 화소에, 적, 녹, 청의 각 단위색의 좌안용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와, 적, 녹, 청의 각 단위색 우안용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각 단위색의 좌안용 화상을 표시시키고, 각각의 화상의 표시에 동기시켜, 상기 조명장치(15)로부터 적, 녹, 청의 각 단위색의 좌안용 조명광을 출사시키며, 상기 각 화소에 상기 각 단위색의 우안용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각 단위색의 우안용 화상을 표시시키며, 각각의 화상의 표시에 동기시켜, 상기 조명장치(15)로부터 적, 녹, 청의 각 단위색의 우안용 조명광을 출사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패널(1)에 상기 좌안용 화상데이터에 대응한 적, 녹, 청의 각 단위색의 좌안용 화상과, 상기 우안용 화상데이터에 대응한 적, 녹, 청의 각 단위색의 우안용 화상을 차례차례 표시시키고, 표시 관찰자에게 삼차원화상을 관찰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모든 화소를 이용한 좌안용 화상의 표시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모든 화소를 이용한 우안용 화상의 표시를 차례차례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양쪽 해상도가 높은 고품질의 삼차원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이 액정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배면측에, 좌우 눈의 방향으로 각각 지향성을 가진 빛을 출사하는 조명장치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휘도 밸런스가 좋은 삼차원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15)에서는 광변향수단(16)에,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상기 광출사면(19)이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18a)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중앙위치(18a)로부터에 입사한 빛을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의 법선 방향으로 출사하도록 내면 반사시키는 원호상 경사면(20)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를 상기 도광판(17)의 입사 단면(18)의 상기 중앙위치(18a)로부터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상기 조명장치의 법선에 대해서, 좌측으로 투과광 강도의 피크를 가진 빛과 우측으로 투과광 강도의 피크를 가진 빛으로 나누어 출사시킬 수 있다.
또, 이 발명의 조명장치는 원호상 경사면(20)과,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를 구비한다. 원호상 경사면(20)은 도광판(17)의 상기 대향면과 상기 광출사면(19)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상기 광출사면(19)이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18a)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광출사면(19)과 상기 광입사 단면(18)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16v)으로 하며, 상기 광출사면(19)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16v)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16h)으로 했을 때, 상기 입사 단면(18)의 상기 중앙위치(18a)로부터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16h)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19)으로부터 출사시킨다.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는 상기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18a)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18)으로부터 상기 도광판(17)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킨다. 따라서, 이 발명의 조명장치는 광출사면(19)의 관찰측에서 보아 좌우의 방향으로 강한 지향성을 가진 조명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이 조명장치를 입체표시용의 정면장치에 적용할 때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출사하는 조명광을 좌우의 눈에 시인시키는 우안용과 좌안용의 조명광으로 함으로써 밝은 삼차원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도광판(17)의 광입사면에 배치하는 2개의 광원의 위치를 조정하여 좌우방향으로 출사하는 빛의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오른쪽 방향으로부터 관찰 가능한 화상과 왼쪽 방향으로부터 관찰 가능한 화상을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고, 좌우의 방향에서 전혀 다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도 8 및 도 9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되는 조명장치를 빛의 출사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9는 상기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비해 광변향수단(16)의 구성이 다르고 있 고, 그 외의 구성은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115)는 도광판(22)과, 이 도광판(22)의 출사측에 배치된 프리즘 시트(27)와,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광판(22)은 아크릴 수지판 등의 판형상의 투명부재로 구성된다. 도광판(22)의 주변 중, 액정표시패널(1)의 화면의 상하 변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대응하는 측의 변부의 단면에 빛을 입사시키는 광입사 단면(23)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재의 상기 액정표시패널(1)에 대향하는 판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23)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23a)를 중심(23a)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광입사 단면(23)으로부터 상기 투명부재내에 입사한 빛의 방향을 바꾸어 출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4)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원호상 경사면(24)의 반대측의 판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23)으로부터 상기 투명부재내에 입사한 빛을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을 향하게 하여 반사하는 반사면(25)이 형성된다. 프리즘 시트(27)는 상기 도광판(22)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도광판(22)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의 곡률 중심(23a)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도광판(22)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28)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또, 프리즘 시트(27)의 상기 액정표시패널(1)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기판(2, 3)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28)에 의해 굴절된 빛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측에 출사하는 출사면 (29)이 형성된다. 이들의 원호상 경사면(24)을 갖는 도광판(22)과 상기 프리즘 시트(27)에 의해 광변향수단(116)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고체발광소자(30a, 30b)는 이 광변향수단(116)의 상기 도광판(22)의 입사 단면(23)의 중앙부의 근처이고, 또한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의 곡률 중심(23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40)를 취한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22)의 입사 단면(23)을 향하게 하여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출사한다.
상기 광변향수단(116)의 도광판(22)의 복수의 원호상 경사(24)는 각각, 상기 반원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반사면(25)과는 반대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굴절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프리즘 시트(27)의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28)은 각각, 이등변 삼각형상의 단면형상을 갖고 있다.
즉,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은 상기 광입사 단면(23)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이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광입사 단면(23)의 중앙위치(23a)로부터 입사한 빛을 상기 수평기준면(16h)과 평행한 방향으로 출사하도록 굴절시키는 원호상 굴절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4)은 상기 입사 단면(23)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30a)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22)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16h)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킨다. 또한 원호상 경사면(24)은 상기 입사 단면(23)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30b)로부터 출사해 상기 도광판(22)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16h)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굴절시킨다.
그리고, 프리즘 시트(27)는 상기 도광판(22)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의 곡률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2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광판(22)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수평기준면(16h)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22)의 반사면(25)을 상기 도광판(22)의 판면에 반사막(26)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있지만, 이 도광판(22)의 반사면(25)은 상기 도광판(22)의 판면과 외기의 계면으로 이루어지는 전반사면으로 해도 좋다.
이 조명장치(115)는 상기 변향수단(116)의 도광판(22)에 그 입사 단면(23)으로부터 입사한 빛을 도 9에 화살표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4)에 의해 방향을 바꾸어 상기 도광판(22)으로부터 출사시키고, 그 빛을 상기 프리즘 시트(27)의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28)에 의해 굴절시켜 상기 액정표시패널(1)측에 출사하는 것이다. 상기 도광판(22)의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24)의 기울기 각과, 상기 프리즘 시트(27)의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28)의 2개의 경사면의 기울기 각은 상기 도광판(22)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2)의 곡률 중심(23a)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입사시켰을 때에, 상기 프리즘 시트(27)의 출사면(2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을 따른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 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빛을 출사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명장치(115)는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 중,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우측의 발광소자(30a)를 점등시켰을 때, 즉 상기 도광판(22)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의 곡률 중심(23a)에 대해서 오른쪽 방향으로 어긋난 점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입사시켰을 때에, 도 8에 화살표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리즘 시트(27)의 출사면(2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에 대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방향, 즉 표시 관찰자의 우안방향으로 기운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우안용 조명광을 출사한다.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좌측의 발광소자(30b)를 점등시켰을 때, 즉 상기 도광판(22)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4)의 곡률 중심(23a)에 대해서 왼쪽 방향으로 어긋난 점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입사시켰을 때에, 도 8에 화살표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리즘 시트(27)의 출사면(29)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법선에 대해,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오른쪽 방향, 즉 표시 관찰자의 우안방향으로 기운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우안용 조명광을 출사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115)는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 중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우측의 발광소자(30a)의 점등에 의해 상기 좌안용 조명광을 출사하고,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좌측의 발광소자(30b)의 점등에 의해 상기 우안용 조명광을 출사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이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과는 반대측의 배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되는 조명장치의 광출사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11은 이 제 3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이다. 이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제 3 발광소자를 부가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은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조명장치(1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의 사이에 상기 광변향수단(16)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곡률 중심(18a)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변향수단(16)의 광입사 단면(18)을 향하게 하여 좌우방향으로 넓어지는 빛을 출사하는 제 3 발광소자(31)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제어수단(32)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복수의 화소에 이차원화상과 삼차원화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표시구동회로(32a)와, 그들 이차원화상의 표시와 삼차원화상의 표시에 동기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의 교대 점등과, 제 1 및 제 2 발광소자 및 제 3 발광소자(30a, 30b, 31)의 동시 점등을 선택적으로 실시시키기 위한 점등제어회로(32b1)를 갖는 광원구동회로(32b)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에서는 상기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18a)에 대응시키고, 그 광입사 단면(18)의 중앙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17)에 입사시키는 제 3 발광소자(3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17)은 상기 입사단면(18)의 상 기 중앙위치(18a)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그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16v)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복수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 및 제 3 발광소자(31)의 동시 점등에 의해서, 상기 조명장치의 법선에 대해서 관찰측에서 보아 왼쪽 방향 및 오른쪽 방향으로 기운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조명광과, 상기 조명장치의 법선을 따른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빛이 합성되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강도 분포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고, 조명장치의 정면 방향(법선 방향)에 있어서의 휘도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복수의 화소에 좌안용 화상데이터와 우안용 화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고, 상기 좌안용 화상의 표시에 동기시켜, 상기 조명장치(15)의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 중,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관찰측에서 보아 우측의 발광소자(30a)를 점등시키고, 상기 좌안용 화상의 표시에 동기시켜 상기 조명장치(15)의 상기 관찰측에서 보아 좌측의 발광소자를 점등시킴으로써 입체적인 삼차원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복수의 화소에 상기 이차원화상을 표시했을 때에는 그 이차원화상의 표시에 동기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 3 발광소자(31)를 동시에 점등시킴으로써 밝은 이차원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도 1∼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조명장치(15)에 상기 제 3 발광소자(31)를 추가로 구비시킨 것이지만,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의 조명장치(115)에 상기 제 3 발광소자(31)를 추가로 구비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의 표시패널은 컬러필터를 구비하지 않는 액정표시패널(1)을 이용하여 필드시퀀셜표시에 의해 컬러화상을 표시하는 것이지만, 이 발명은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색, 예를 들면 적, 녹, 청의 3색 컬러필터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컬러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4는 이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2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를 발광소자가 배열된 광입사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14는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이다.
이 제 4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또한 특정의 각도 범위에 확산판기능을 가진 이방성 확산판(50)을 부가함으로써, 시인 가능한 시야의 범위를 넓게 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은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표시패널(1)과 조명장치(15)의 사이에, 판면의 법선에 대해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각도 범위에서 입사한 빛을 확산시켜 투과하는 이방성 확산판(5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이방성 확산판(50)은 상기 표시장치의 도광판(17)의 상기 광출사면(19)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배치된다. 상기 광출사면(19)과 상기 광입사 단면(18)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16v)으로 하고,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16v)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16h)으로 했을 때, 상기 수평기준면(16h)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각각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방향의 미리 정한 각도 범위에서 입사하는 빛을 확산하여 출사한다.
이 실시예의 이방성 확산판(50)은 표시장치의 상하의 방향과 평행한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상기 수평기준면(16h) 위에서 좌우 각각에 10˚에서 60˚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빛을 확산하는 확산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으로부터 출사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로부터의 빛 중, 상기 이방성 확산판(50)의 법선에 대해서 좌우에 10˚에서 60˚의 범위에서 출사하는 빛을 이 이방성 확산판(50)에 의해 산란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에 입사시킨다.
그 결과, 이 조명장치(15)로부터 출사하는 빛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장치(15)의 광출사면의 법선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7˚내지 8˚로 강한 피크를 갖고, 또한 15˚내지 80˚의 범위에서도 충분히 시인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진 강도 분포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조명장치(15)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입체표시를 실시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정면으로부터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각각의 눈이 시인하여 삼차원의 입체화상으로서 관찰되고, 상기 표시장치의 오른쪽 또는 왼쪽방향으로 크게 기운 방향으로부터는 우안용 화상 또는 좌안용 화상의 한쪽이 이차원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으며, 시인의 범위를 크게 넓힐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표시장치의 조명장치(15)와 액정표시패널(1)의 사이에 이방성 확산판을 배치한 실시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일없이, 제 2 실시예로 나타낸 표시장치의 조명장치(115)와 액정표시패널(1)의 사이에 이방성 확산판(50)을 배치해도 좋고, 이 경우도 이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제 4 실시예에, 상기 제 3 실시예를 적용하여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의 중앙위치에 대응시켜 제 3 발광소자(31)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면휘도가 높고, 또한 시야각 범위가 넓은 이차원화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제 5 실시예)
도 15 내지 도 18은 이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5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를 발광소자가 배열된 광입사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17은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를 빛의 출사면측에서 본 정면도, 도 18은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이다.
이 제 5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또한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를 부가함으로써, 시인 가능한 시야의 범위를 넓게 한 것이며, 그 외의 구성은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의 조명장치(215)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조명장치(15)의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에,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17)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30c, 30d)를 추가로 배치시킨 것이다. 제 4 및 제 5 발광소자(30c, 30d)는 광입사 단면(18)에 배치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보다도 또한 그 외측의 양쪽에 설치되고,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18a)에 대해서,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41)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된다. 그리고, 광원구동회로(32b)는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와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회로, 즉 상기 중앙위치(18a)에 대해서 한쪽측에 배치된 제 1, 제 4 발광소자(30a, 30c)의 동시 점등과, 다른쪽측에 배치된 제 2, 제 5 발광소자(30b, 30d)의 동시 점등을 교대로 실시시키는 점등제어회로(32b1)를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에 설치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보다도 또한 그, 상기 광입사 단면(18)보다 외측에 상기 배치된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17)에 받아들여진 빛은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광입사 단면(18)의 중심위치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서 그 진행방향이 변향되고,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로부터의 출사광보다도, 또한 법선으로부터 기운 방향으로 그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빛으로서 상기 액정표시패널(1)을 향하여 출사한다.
즉, 상기 광출사면(19)과 상기 광입사 단면(18)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16v)으로 하고, 상기 광출사면(19)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16v)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16h)으로 했을 때,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로부터 출사한 빛은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수평기준면(16h) 위에서 각각 15˚의 각도로 기운 방향으로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빛으로 되어 이 조명장치(215)로부터 출사한다.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215)의 출사광의 강도 분포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으로부터 출사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에 의한 빛의 피크와,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로부터 출사한 빛의 피크를 가진 강도 분포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조명장치(215)를 이용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입체표시를 실시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정면으로부터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각각의 눈이 시인하여 삼차원의 입체화상으로서 관찰되고, 상기 표시장치의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15˚내지 20˚로 기운 방향으로부터는 우안용 화상 또는 좌안용 화상의 한쪽이 이차원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고, 시인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표시장치의 조명장치에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를 배치한 예를 나타냈는데, 이것에 한정하는 일없이, 제 2 실시예로 나타낸 표시장치의 조명장치(115)의 도광판(22)을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를 배치해도 좋고, 이 경우도, 이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제 5 실시예에, 상기 제 3 실시예를 적용하여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의 중앙위치(18a)에 대응시켜 제 3 발광소자(31)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면 휘도가 높고, 또한 시야각 범위가 넓은 이차원화상의 표시가 가능하 게 된다.
(제 6 실시예)
도 19 및 도 20은 이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9는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에 있어서의 출사광의 광강도 분포도이다.
이 제 6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구성에, 또한 제 5 실시예에 나타낸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를 부가함으로써, 또한 시인 가능한 시야의 범위를 넓게 한 것이며, 그 외의 구성은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의 조명장치(215)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표시장치의 조명장치(15)에, 또한 상기 광입사면(18a)으로부터 상기 도광판(17)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30c, 30d)를 배치한 것이다. 제 4 및 제 5 발광소자(30c, 30d)는 조명장치(15)의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에, 그 광입사 단면(18)에 배치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보다도 또한 그 외측의 양쪽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18a)에 대해서,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41)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된다. 그리고, 광원구동회로(32b)는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와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회로, 즉 상기 중앙위치(18a)에 대해서 한쪽측에 배치된 제 1, 제 4 발광소자(30a, 30c)의 동시 점등과, 다른쪽측에 배치된 제 2, 제 5 발광소자(30b, 30d)의 동시 점등을 교대로 실시시키는 점등 제어회로(32b1)를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에 설치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보다도 또한 중심위치(18a)에 대해서 외측에 배치된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17)에 받아들여진 빛은 상기 광입사 단면(18a)의 중심위치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서 그 진행방향이 변향되고,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30a, 30b)로부터의 출사광보다도 또한 법선으로부터 기운 방향으로, 그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빛으로서 상기 액정표시패널(1)을 향하여 출사한다.
즉, 상기 광출사면(19)과 상기 광입사 단면(18)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16v)으로 하고, 상기 광출사면(19)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16v)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16h)으로 했을 때,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로부터 출사한 빛은 상기 원호상 경사면(20)에 의해, 상기 수직기준면(16v)에 대해서, 수평기준면(16h) 위에서 각각 대략 15˚의 각도로 기운 방향으로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빛으로 되어 이 조명장치(215)로부터 출사된다. 이 조명장치(215)로부터의 출사광은 상기 수평기준면(16h) 위에서 좌우 각각에 10˚에서 60˚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에서 입사하는 빛을 확산하는 확산 특성을 가진 이방성 확산판(50)에 의해서 확산되어 액정표시패널(1)에 입사한다.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215)의 출사광의 강도 분포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7)의 광출사면(19)으로부터 출사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소자(30a, 30b)로부터 출사한 빛의 피크와, 제 4, 제 5 발광소자(30c, 30d)로부터 출사한 빛이 상기 이방성 확산판(50)에 의해서 확산되어 20˚내지 80˚의 범위에서 비교적 평탄한 범위를 가진 강도 분포의 조명광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조명장치(215)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입체표시를 실시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정면에서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각각의 눈이 시인하여 삼차원의 입체화상으로서 관찰되고, 상기 표시장치의 오른쪽 또는 왼쪽방향으로 15˚내지 80˚로 기운 방향으로부터도, 우안용 화상 또는 좌안용 화상의 한쪽이 이차원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고, 시인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 5 실시예로 나타낸 표시장치의 조명장치(215)와 액정표시패널의 사이에 이방성 확산판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냈는데, 이것에 한정하는 일없이, 제 2 실시예에서 나타낸 표시장치의 조명장치(115)와 액정표시패널(1)의 사이에 이방성 확산판(50)을 배치하고, 또한 제 4 및 제 5 발광소자(30c, 30d)를 설치해도 좋고, 이 경우도, 이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제 6 실시예에, 상기 제 3 실시예를 적용하여 도광판(17)의 광입사 단면(18)의 중앙위치(18a)에 대응시켜 제 3 발광소자(31)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정면휘도가 높고, 또한 시야각 범위가 넓은 이차원화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20)

  1. 판형상의 투명부재의 1개의 단면에 설치되고,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입사 단면과,
    광입사 단면과 교차하는 판면에 설치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유도되어 미리 정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대향하는 다른 판면에 설치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광출사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광입사 단면의 상기 광출사면과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며, 상기 광출사면과 상기 광입사 단면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으로 하고,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으로 했을 때,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위치에서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 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1 및 제 2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 평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반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 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굴절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굴절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수평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곡률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대향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을 상기 도광판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면광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응시키고, 그 광입사 단면의 중앙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제 3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와 제 3 발광소자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광원구동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으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서, 그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보다도 또한 그 외측의 양쪽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와,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와 제 4, 제 5 발광소자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광원구동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각각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방향의 미리 정한 각도 범위로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을 산란하는 이방성 확산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10.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표시영역을 갖고,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신호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판형상의 투명부재의 1개의 단면에 설치되고,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입사 단면과,
    광입사 단면과 직교하는 판면에 설치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유도되어 미리 정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대향하는 다른 판면에 설치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광출사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광입사 단면의 상기 광출사면과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며, 상기 광출사면과 상기 광입사 단면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으로 하고,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으로 했을 때,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에서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서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1 및 제 2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면광원장치와;
    상기 표시패널에 2개의 다른 화상을 차례차례 표시시키는 표시구동회로와,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된 화상에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점등상태를 제어하는 광원구동회로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 부터 출사하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 평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반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곡률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원호상 프리즘을 가지며, 상기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수평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의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 과 직교하는 면과 평행한 제 2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도록 굴절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굴절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응시키고, 그 광입사 단면의 중앙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제 3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고,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교대 점등과,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선택하는 점등제어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서 그 진행방향을 상기 수직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수평기준면 위에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각각 미리 정한 각도로 기운 방향의 미리 정한 각도 범위로 상기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을 산란하는 확산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보다도 또한 그 외측의 양쪽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며,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서 한쪽측에 배치된 제 1, 제 4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과, 다른쪽측에 배치된 제 2, 제 5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교대로 실시시키는 점등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표시영역을 갖고,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시신호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판형상의 투명부재의 1개의 단면에 설치되며, 광원의 빛이 입사되는 광입사 단면과,
    광입사 단면과 직교하는 판면에 설치되고, 상기 광입사 단면으로부터 입사한 빛이 유도되어 미리 정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광출사면과,
    상기 광출사면에 대향하는 다른 판면에 설치되는 대향면과,
    상기 대향면과 상기 광출사면의 어느 쪽인가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광입사 단면의 상기 광출사면과 교차하는 변의 길이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을 따르는 원호상을 이루고, 상기 광출사면과 상기 광입사 단면에 각각 직교하는 면을 수직기준면으로 하며,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기준면과 직교하는 면을 수평기준면으로 했을 때,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에서 그 양측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적어도 2개의 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 각각의 진행방향을, 상기 중앙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는 각각의 각도로 상기 수직기준면에 대해서 기울고, 또한 상기 수평기준면과 직교하는 각각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꾸어 이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복수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1 및 제 2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기준면을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된 조명장치와;
    관찰자의 좌우 눈의 관찰 화상에 상당하는 시차를 가진 2개의 화상을 상기 표시패널에 교대로 표시시키는 표시구동회로와,
    상기 2개의 화상의 표시에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점등을 교대로 전환하는 광원구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대향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 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을, 상기 표시패널의 법선에 대해서 표시 관찰자의 좌우의 눈 중 한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고,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을, 다른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도록 반사하는 복수의 원호상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수평기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원호상 경사면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출사면에, 상기 광입사 단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위에 복수 배열된 반원형의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 시트와 함께 상기 도광판의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1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1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법선에 대해서 표시 관찰자의 좌우의 눈 중 한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1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며, 상기 입사 단면에 배치된 제 2 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도광판내를 진행하는 제 2 광을, 다른쪽 눈의 방향으로 기운 제 2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지향성을 가진 좌안용 조명광으로 바꾸어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도록 굴절시키는 복수의 원호상 굴절면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응시키고, 그 광입사 단면의 중앙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제 3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사 단면의 상기 중앙위치로부터 입사한 빛에 대해서 그 진행방향을 상기 광출사면의 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출사광 강도의 피크가 존재하는 빛을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복수의 상기 원호상 경사면을 가지며,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의 교대 점등과,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선택하는 점등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 단면의 상기 제 1, 제 2 발광소자보다도 또한 그 외측 의 양쪽에, 상기 원호상 경사면의 원호의 곡률 중심이 정의되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를 둔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조명광을 입사시키는 제 4 및 제 5 발광소자를 추가로 구비하며,
    광원구동회로는 상기 중앙위치에 대해서 한쪽측에 배치된 제 1, 제 4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과, 다른쪽측에 배치된 제 2, 제 5 발광소자의 동시 점등을 교대로 실시시키는 점등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표시장치.
KR1020060029298A 2005-03-31 2006-03-31 액정표시장치 KR100830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1973 2005-03-31
JP2005101973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625A true KR20060105625A (ko) 2006-10-11
KR100830020B1 KR100830020B1 (ko) 2008-05-15

Family

ID=3707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98A KR100830020B1 (ko) 2005-03-31 2006-03-3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18593B2 (ko)
JP (2) JP4600317B2 (ko)
KR (1) KR100830020B1 (ko)
CN (2) CN100507678C (ko)
HK (1) HK1096157A1 (ko)
TW (2) TWI3435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810A (ko) * 2012-05-18 2015-02-05 리얼디 인크. 지향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편광 회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1474A2 (en) * 2004-01-20 2005-08-04 Sharp Kabushiki Kaisha Directional backlight and multiple view display device
JP5196744B2 (ja) * 2006-06-30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の表示装置
WO2008025765A1 (de) * 2006-09-01 2008-03-06 Seereal Technologies S.A. Richtungsgesteuerte beleuchtungseinheit für ein autostereoskopisches display
EP2391248B1 (en) * 2009-01-30 2012-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irror unit comprising a mirror surface and a lighting unit
CN102395915B (zh) * 2009-04-22 2014-04-16 株式会社藤仓 显示装置以及采光窗
JP5658752B2 (ja) * 2009-07-09 2015-01-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フリーフォームのライトモジュ−ル
US8354806B2 (en) * 2009-08-21 2013-01-15 Microsoft Corporation Scanning collimation of light via flat panel lamp
US9247286B2 (en) 2009-12-31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Frame formatting supporting mixed two and three dimensional video data communication
US20110157322A1 (en) * 2009-12-31 2011-06-30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a pixel array to support an adaptable light manipulator
US8854531B2 (en) 2009-12-31 2014-10-07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remote controllers that each simultaneously controls a different visual presentation of a 2D/3D display
US8823782B2 (en) * 2009-12-31 2014-09-02 Broadcom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integrated position, viewer identification and optical and audio test
US8723759B2 (en) * 2010-06-23 2014-05-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with light concentrating substrate
EP2431786A1 (de) * 2010-09-17 2012-03-21 Bayer MaterialScience AG Autostereoskopisches 3D-Display
WO2012068532A2 (en) 2010-11-19 2012-05-24 Reald Inc. Directional flat illuminators
JP5649936B2 (ja) * 2010-12-02 2015-01-0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20120087647A (ko) * 2011-01-28 2012-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201185B2 (en) 2011-02-04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rectional backlighting for display panels
JP5712738B2 (ja) * 2011-03-31 2015-05-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光源装置、映像源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20130027772A1 (en) * 2011-07-27 2013-01-31 Microsoft Corporation Variable-depth stereoscopic display
FR2982197B1 (fr) * 2011-11-07 2013-11-15 Saint Gobain Vehicule automobile avec vitrage repetiteur de clignotant
US9354748B2 (en) 2012-02-13 2016-05-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stylus interaction
US8605114B2 (en) * 2012-02-17 2013-12-10 Igt Gaming system having reduced appearance of parallax artifacts on display devices including multiple display screens
US9134807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JP2013205459A (ja) * 2012-03-27 2013-10-07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CN107037527A (zh) * 2012-05-18 2017-08-11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用于成像定向背光源的光源调节
EP2850488A4 (en) 2012-05-18 2016-03-02 Reald Inc DIRECTIONAL BACK LIGHTING
US9678267B2 (en) 2012-05-18 2017-06-13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JP6508832B2 (ja) * 2012-05-18 2019-05-08 リアルディー スパーク エルエルシー 指向性バックライトの複数の光源の制御
KR102253212B1 (ko) 2012-05-18 2021-05-20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지향성 조명식 도파관 배열체
BR112014028612B1 (pt) 2012-05-18 2021-12-28 Reald Spark, Llc Aparelho de tela direcional
US9188731B2 (en) * 2012-05-18 2015-11-17 Reald Inc. Directional backlight
US9350980B2 (en) * 2012-05-18 2016-05-24 Reald Inc. Crosstalk suppression in a directional backlight
US8947353B2 (en) 2012-06-12 2015-02-03 Microsoft Corporation Photosensor array gesture detection
US9256089B2 (en) 2012-06-15 2016-02-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bject-detecting backlight unit
US9625637B2 (en) * 2012-08-13 2017-04-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ffractive lighting devices with 3-dimensional appearance
US8964379B2 (en) 2012-08-20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Switchable magnetic lock
JP5939107B2 (ja) * 2012-09-24 2016-06-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表示装置
EP2904778B1 (en) 2012-10-02 2020-05-27 RealD Spark, LLC Temporally multiplexed display with landscape and portrait operation modes
JP2014127836A (ja) * 2012-12-26 2014-07-07 Japan Display Inc 立体表示装置における映像表示方法
TWI622811B (zh) 2013-02-22 2018-05-01 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具方向的背光源
WO2014204950A1 (en) 2013-06-17 2014-12-24 Reald Inc. Controlling light sources of a directional backlight
TWI495904B (zh) * 2013-07-12 2015-08-11 Vision Technology Co Ltd C 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場色序法液晶顯示器及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方法
KR102097705B1 (ko) * 2013-09-10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6346B1 (ko) 2013-10-14 2022-02-23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지향성 백라이트를 위한 광 입력
WO2015057625A1 (en) 2013-10-14 2015-04-23 Reald Inc. Control of directional display
US11067736B2 (en) 2014-06-26 2021-07-20 Reald Spark, Llc Directional privacy display
GB2530525A (en) 2014-09-25 2016-03-30 Sharp Kk Light steering backlight
US9835792B2 (en) 2014-10-08 2017-12-05 Reald Spark, Llc Directional backlight
US10356383B2 (en) 2014-12-24 2019-07-16 Reald Spark, Llc Adjustment of perceived roundness in stereoscopic image of a head
JP6540020B2 (ja) * 2014-12-25 2019-07-10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表示装置及び遊技機
RU2596062C1 (ru) 2015-03-20 2016-08-27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кол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Науки И Технологий"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глаз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ашинного об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машинного обучения
KR20160117938A (ko) * 2015-04-01 201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US10359560B2 (en) 2015-04-13 2019-07-23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EP3304188B1 (en) 2015-05-27 2020-10-07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EP3369034B1 (en) 2015-10-26 2023-07-05 RealD Spark, LLC Intelligent privac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459321B2 (en) 2015-11-10 2019-10-29 Reald Inc. Distortion matching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EP3374822B1 (en) 2015-11-13 2023-12-27 RealD Spark, LLC Surface features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EP3374692B1 (en) 2015-11-13 2021-02-24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EP3400706B1 (en) 2016-01-05 2022-04-13 RealD Spark, LLC Gaze correction of multi-view images
EP3458897A4 (en) 2016-05-19 2019-11-06 RealD Spark, LLC DIRECTIONALLY WIDE IMAGING IMAGING BACKLIGHTS
WO2017205183A1 (en) 2016-05-23 2017-11-30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JP6680195B2 (ja) * 2016-12-08 2020-04-15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表示装置及び遊技機
US10401638B2 (en) 2017-01-04 2019-09-03 Reald Spark, Llc Optical stack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WO2018187154A1 (en) 2017-04-03 2018-10-11 Reald Spark, Llc Segmented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9915773B1 (en) 2017-04-28 2018-03-13 Delta Electronics, Inc. Backlight module and ster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0303030B2 (en) 2017-05-08 2019-05-28 Reald Spark, Llc Reflective optical stack for privacy display
US10126575B1 (en) 2017-05-08 2018-11-13 Reald Spark, Llc Optical stack for privacy display
WO2018208619A1 (en) 2017-05-08 2018-11-15 Reald Spark, Llc Optical stack for directional display
US10740985B2 (en) 2017-08-08 2020-08-11 Reald Spark, Llc Adjusting a digital representation of a head region
TW201921060A (zh) 2017-09-15 2019-06-01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用於可切換定向顯示器的光學堆疊結構
US11109014B2 (en) 2017-11-06 2021-08-31 Reald Spark, Llc Privacy display apparatus
KR20200122326A (ko) 2018-01-25 2020-10-27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를 위한 반사 광학 스택
EP3743766A4 (en) 2018-01-25 2021-12-22 RealD Spark, LLC TOUCH SCREEN FOR CONFIDENTIALITY DISPLAY
CN112987395B (zh) * 2019-12-17 2024-03-0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US11821602B2 (en) 2020-09-16 2023-11-21 Reald Spark, Llc Vehicle external illumination device
US11966049B2 (en) 2022-08-02 2024-04-23 Reald Spark, Llc Pupil tracking near-ey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248A (en) 1986-08-11 1988-05-10 Alza Corporation Dosage form for delivering acid sensitive beneficial agent
JP2857429B2 (ja) 1989-10-02 1999-02-17 日本放送協会 3次元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3119889B2 (ja) 1990-06-25 2000-12-25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素子
GB2272555A (en) 1992-11-11 1994-05-18 Sharp Kk Stereoscopic display using a light modulator
JP2837597B2 (ja) 1992-12-11 1998-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カラーled表示板
US5526146A (en) * 1993-06-24 1996-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ck-lighting system for transmissive display
US5897184A (en) * 1996-07-02 1999-04-27 Dimension Technologies, Inc. Reduced-thickness backlighter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display using the backlighter
JP3434163B2 (ja) 1997-03-28 2003-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EP1001300B1 (en) * 1998-11-13 2008-06-18 THOMSON multimedi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 two back light sources
JP2002131552A (ja) * 2000-10-24 2002-05-09 Nitto Denko Corp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6697130B2 (en) * 2001-01-16 2004-02-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lexible led backlighting circuit
JP4035998B2 (ja) * 2002-01-23 2008-01-23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拡散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085360B2 (ja) * 2002-02-22 2008-05-14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100504464C (zh) * 2002-08-09 2009-06-24 三菱丽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AU2003261840A1 (en) 2002-08-30 2004-04-30 Hitachi Chemical Co., Ltd.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device
JP4367054B2 (ja) 2002-08-30 2009-11-1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4170084B2 (ja) * 2002-12-04 200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DE602004005768T2 (de) * 2003-03-28 2008-05-15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an Jose Rücklicht-Beleuchtungssystem und Anzeigevorrichtung
WO2004088996A1 (en) * 2003-03-31 2004-10-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data thereon
EP1637799A4 (en) * 2003-06-12 2006-06-2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PLANARE LIGHT SOURCE AND PICTURE DISPLAY
JP4483233B2 (ja) * 2003-08-28 2010-06-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4655465B2 (ja) * 2003-10-06 2011-03-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4274921B2 (ja) * 2003-12-10 2009-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5331565A (ja) * 2004-05-18 2005-12-02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810A (ko) * 2012-05-18 2015-02-05 리얼디 인크. 지향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편광 회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18593B2 (en) 2009-04-14
JP5168323B2 (ja) 2013-03-21
US20060221642A1 (en) 2006-10-05
JP2006310269A (ja) 2006-11-09
TW200639528A (en) 2006-11-16
TWI457905B (zh) 2014-10-21
US20090174700A1 (en) 2009-07-09
JP2010232194A (ja) 2010-10-14
US8139024B2 (en) 2012-03-20
CN100507678C (zh) 2009-07-01
TW201112219A (en) 2011-04-01
JP4600317B2 (ja) 2010-12-15
KR100830020B1 (ko) 2008-05-15
HK1096157A1 (en) 2007-05-25
CN101598863B (zh) 2013-07-17
CN101598863A (zh) 2009-12-09
CN1866112A (zh) 2006-11-22
TWI343500B (en) 201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020B1 (ko) 액정표시장치
US7916221B2 (en) Surface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7692733B2 (en) Surface light source capable of varying angular range for diffusing emitted 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electively with wide view angle and narrow view angle by using same
JP4655465B2 (ja) 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4692040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9093989A (ja)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483233B2 (ja) 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4720207B2 (ja) 液晶表示装置
JP4780224B2 (ja) 表示装置
JP4501625B2 (ja) 面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4433724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5034590B2 (ja) 表示装置
JP4622509B2 (ja) 液晶表示装置
US762318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5077447B2 (ja) 立体画像投影用の表示装置
JP2010277099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328287A (ja) 表示装置
CN117043668A (zh) 背光组件及显示装置
JP200623491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