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519A -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519A
KR20060105519A KR1020060028446A KR20060028446A KR20060105519A KR 20060105519 A KR20060105519 A KR 20060105519A KR 1020060028446 A KR1020060028446 A KR 1020060028446A KR 20060028446 A KR20060028446 A KR 20060028446A KR 20060105519 A KR20060105519 A KR 20060105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anel
light
optical
electro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910B1 (ko
Inventor
가츠미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2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에 의해, 제 1 광학 패널에 제 2 광학 패널의 그림자가 비쳐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이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기 광학 물질(14)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11, 12)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학 패널(10)과, 전기 광학 물질(24)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21, 22)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제 1 광학 패널(10)과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제 1 광학 패널(10)보다 평면 치수가 작은 제 2 광학 패널(20)과, 광을 사출하는 광원(31)과, 제 1 광학 패널(10)과 제 2 광학 패널(2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광학 패널(10)과 제 2 광학 패널(20) 각각에 광원(31)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입사시키는 도광 부재(32)를 갖는 조명 장치(30)와, 제 1 광학 패널(10)과 제 2 광학 패널(20) 사이에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 이외에 마련된 광 흡수 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를 나타내는 하면도,
도 5는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의 광 흡수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의 광 흡수 부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표시 장치(전기 광학 장치)
10 : 제 1 액정 패널
14 : 액정층(전기 광학 물질)
20 : 제 2 액정 패널
30 : 조명 장치
31 : 광원
32 : 도광판(도광 부재)
32a : 도광판의 한쪽 면
32b : 도광판의 다른쪽 면
45 : 차광 부재
45a : 차광 부재의 개구부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 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리(表裏)의 양면에 광학 패널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이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휴대형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표시부로서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로서, 특히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정보 휴대 단말에, 2개의 액정 장치를 표리 관계로 배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전자 기기는, 제 1 액정 패널과 제 2 액정 패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1 액정 패널과 제 2 액정 패널 사이에, 제 1 액정 패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도광 부재 및 반투과 반사판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광 부재를 도광한 광 중 일부의 광은 반투과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제 1 액정 패널로 향하고, 나머지의 광은 반투과 반사판에서 투과되어 제 2 액정 패널로 향한다. 이렇게 하여, 화상 광이 각 액정 패널의 표시면측으로부터 사출된다.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반투과 반사판을 사이에 두고 제 1 액정 패널과 제 2 액정 패널을 대향 배치시킨 경우, 서로의 액정 표시가 그림자로서 반대측의 액정 표시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표시 불량의 원인으로 된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양면 표시 기기로서, 제 2 액정 패널을 흑색 표시(LED를 노멀리 블랙)로 설정하고, 배면으로부터의 투과광을 차폐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87409 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07801 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78047 호 공보
여기서, 상기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반투과 반사판을 이용하여 도광 부재의 광을 양면으로 나누는 것밖에 기재되어 있 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양면 표시 기기에서는, 어디까지나 제 2 액정 패널측으로부터 입사하는 외광을 차광하여, 제 1 액정 패널측에서 보았을 때, 제 2 액정 패널이 배치된 영역이 밝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환경에 따라서는, 제 1 액정 패널측에서 보았을 때, 제 2 액정 패널의 영역이 어둡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이한 구성에 의해, 제 1 광학 패널에 제 2 광학 패널의 그림자가 비쳐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이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학 패널과,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학 패널보다 평면 치수가 작은 제 2 광학 패널과, 광을 사출하는 광원과,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 각각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입사시키는 도광 부재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 사이로서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 이외에 마련된 광 흡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문제점을 검토했을 때, 제 1 액정 패널에 있어서, 제 2 광학 패널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제 2 광학 패널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강도에는 차이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찾아내었다. 이것은, 도광 부재로부터 제 2 광학 패널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사출된 광이, 예컨대, 케이싱(casing)의 내부에서 반사한 후, 제 1 광학 패널로 향하기 때문에, 광의 강도가 제 2 광학 패널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에 비해서 강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이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먼저,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 부재를 도광하여 제 1 광학 패널 및 제 2 광학 패널로 향한다. 그리고, 도광 부재를 도광한 광 중 일부는 제 1 광학 패널측으로 향하고, 나머지의 광은 제 2 광학 패널측으로 향한다. 이 때, 제 2 광학 패널측으로 향한 광 중,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 이외에서부터 사출되어, 예컨대, 케이싱의 내부에서 반사한 후, 제 1 광학 패널로 향하는 광은 광 흡수 부재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제 1 광학 패널측에서 본 제 1 광학 패널 영역에서, 제 2 광학 패널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제 2 광학 패널이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강도가 대략 균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광학 패널측에서 본 표시의 휘도 얼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광학 패널에 제 2 광학 패널의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는 없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 전기 광학 장치란, 전계에 의해 물질의 굴절률이 변화되어 광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전기 광학 효과를 갖는 것 외에, 전기 에너지를 광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 등도 포함하여 총칭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명 장치로부터 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전기 광학 물질로서 액정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광 흡수 부재가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제 2 광학 패널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광 흡수 부재를 제 2 광학 패널측의 도광 부재의 일단(一端) 면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 이외의 부분에 광 흡수 부재를 배치할 때, 광 흡수 부재와 제 2 광학 패널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제 1 광학 패널측에,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사출된 광을 상기 제 1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에 입사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차광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차광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 1 광학 패널로부터 사출되는 광이 제 1 광학 패널의 단부 면에서 확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도광 부재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대부분을 활용하면서, 휘도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광 흡수 부재가 흑색의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광 흡수 부재가 흑색의 수지 필름이기 때문에, 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장치 전체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학 패널보다 평면 치수가 작은 제 2 광학 패널과, 광을 사출하는 광원과,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 각각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입사시키는 도광 부재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 사이로서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 이외에 마련된 광 흡수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광 흡수 부재에는,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사출된 광을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에 입사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의 둘레가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주변부의 차광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 부재를 도광하여 제 1 광학 패널 및 제 2 광학 패널로 향한다. 이 제 2 광학 패널로 향한 광 중, 제 2 광학 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 이외에서부터 사출되는 광은 광 흡수 부재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제 2 광학 패널의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한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부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는, 화상을 고품위로 표시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해서, 각 부재의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의 일 실시예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2) 내에 마련되고, 한 쌍의 기판(11, 12)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액정 패널(10)과, 한 쌍의 기판(21, 22)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제 1 액정 패널(10)과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제 1 액정 패널(10)보다 평면적인 크기가 작은 제 2 액정 패널(20)과, 제 1, 제 2 액정 패널(10, 20)에 공통의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조명 장치(30)와, 제 1 액정 패널(10)과 제 2 액정 패널(20) 사이에 마련된 광 흡수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액정 패널(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재(13)를 거쳐서 서로 셀 갭을 두고 대향하여 마련된, 평면에서 보아, 한 쌍의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11, 12)과, 이들 기판(11, 12) 사이에 유지된 액정층(전기 광학 물질)(14)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판(12)측에 조명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판(11)의 외면(外面)(11a)에는 사출측 편광판(15)이, 기판(12)의 외면(12a)에는 입사측 편광판(16)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판(12)에는, 각 제 1, 제 2 액정 패널(10, 20)의 화상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드라이버(4)가 실장되어 있다.
제 2 액정 패널(2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10)과 마찬가지로, 밀봉재(23)를 거쳐서 서로 셀 갭을 두고 대향하여 마련된, 평면에서 보아, 한 쌍의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21, 22)과, 이들 기판(21, 22) 사이에 유지된 액정층(전기 광학 물질)(24)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판(22)측에 조명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판(21)의 외면(21a)에는 사출측 편광판(25)이, 기판(22)의 외면(22a)에는 입사측 편광판(26)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기판(21)에는, 액정층(24)측의 상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의 주사선(도시 생략)과 복수의 데이터선(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이들 주사선과 데이터선에 둘러싸인 영역마다 화소 전극(4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주사선과 데이터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TFT 소자(41)가 마련되고, TFT 소자(41)를 거쳐서 각 화소 전극(42)이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사선과 데이터선에 대하여 신호를 인가하면, TFT 소자(41)가 온·오프되어 화소 전극(42)으로의 신호의 기입이 행하여지게 되어 있다. 이들 TFT 소자(41) 및 화소 전극(42) 등 위의 전면(全面)에는 러빙 처리가 실시된 배향막(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22)의 액정층(24)측의 하면에는, 주변 차광막(51), 컬러 필터(52)와, 오버 코팅층(53), 공통 전극(54), 배향막(55)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 전극(54)은 ITO 등의 투광성 도전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막이다. 주변 차광막(51)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갖고, 밀봉재(23)의 내주측을 따라 마련되어 있으며, 화상의 유효 표시 영역 A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컬러 필터(52)는 차광부(52a)와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착색부(52R, 52G, 52B)를 구비하며, 차광부(52a)는 각 착색부(52R, 52G, 52B)를 구획하도록 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광부(52a)는 예컨대, 흑색 감광성 수지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기판(11, 12, 21, 22)은, 예컨대, 유리 등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 투과성 기판이다. 또한, 배향막(43, 55)은, 예컨대 폴리이미드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액정 패널(10, 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PC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3)이 마련되어 있다. 이 FPC 기판(3)은 유연성이 있는 회로 기판로서, 전자 부품(5) 등이 실장되어 있다.
조명 장치(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을 사출하는 광원(31)과, 제 1 액정 패널(10)과 제 2 액정 패널(2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액정 패널(10)과 제 2 액정 패널(20) 각각에 광원(31)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입사시키는 도광판(도광 부재)(32)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31)은,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광원(31)은 LED 이외의 것으로 구성하더라도 되며, 예컨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단면 발광 반도체 레이저 또는 면 발광 반도체 레이저 등의 반 도체 레이저 등으로 광원(31)을 구성하더라도 된다. 또한, 냉음극관으로 광원을 구성하더라도 된다. 그리고, 광원(3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31a)에 부착되어 실장되어 있다.
도광판(32)은 아크릴 수지 등의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板材)이며, 제 1 액정 패널(10)이 배치된 한쪽의 면(다른 면)(32a)에는, 확산 시트(34), 제 1 프리즘 시트(35) 및 제 2 프리즘 시트(36)가 순서대로 마련되어 있다.
확산 시트(34)는 도광판(32)으로부터의 사출광을 확산시키는 판 형상의 시트 부재이다. 확산 시트(34)로서는 확산제를 분산시킨 아크릴 시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확산 시트(34)에 의해, 도광판(32)으로부터의 사출광의 면 휘도를 균일화할 수 있고, 또한, 제 1 프리즘 시트(35) 및 제 2 프리즘 시트(36)의 홈이나 요철 형상의 반사(휘도 불균일)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프리즘 시트(35) 및 제 2 프리즘 시트(36)는 투명한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판재의 1면측(제 1 액정 패널(10)측)이 프리즘면으로 되어, 예컨대 측면 삼각파 형상의 주기적인 요철(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액정 패널(20)측의 도광판(32)의 다른쪽의 면(32b)에는 반투과 반사 시트(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반투과 반사 시트(33)는, 예컨대 투명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도광판(32)을 도광한 광의 일부를 제 1 액정 패널(10)로 향하여 반사시키고, 나머지의 광을 제 2 액정 패널(20)로 향하여 투과시키는 것이다.
광 흡수 부재(4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액정 패널(20)과 동 등한 크기의 개구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 흡수 부재(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10)과 제 2 액정 패널(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 흡수 부재(40)는 도광판(32)의 다른쪽 면(32b)측에 마련되어, 광 흡수 부재(40)의 일단부가 제 2 액정 패널(20)을 유지하는, 예컨대, 백색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광 흡수 부재(40)는 제 2 액정 패널(20)의 표시 영역 이외에 마련되어 있다. 즉, 광 흡수 부재(4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액정 패널(20)의 표시 영역에 개구부(40a)가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광 흡수 부재(40)는, 구체적으로는 개구부(40a)의 둘레(edge)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액정 패널(20)의 주변부의 주변 차광막(차광 영역)(5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개구부(40a)의 둘레로부터 주변 차광막(51)의 컬러 필터(52)측의 단면(51a)까지의 길이 L은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할 때의 제 2 액정 패널(20)과 광 흡수 부재(40)의 위치 어긋남 이상의 길이로 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따라, 광 흡수 부재(40)에 의해 유효 표시 영역 A를 차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 길이 L은 0.5㎜이다.
이러한 광 흡수 부재(40)에 의해, 도광판(32)의 다른쪽 면(32b)으로부터 사출되어, 제 2 액정 패널(20)의 유효 표시 영역 A 이외로부터 사출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액정 패널(20)의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흡수 부재(40)는, 도광판(32)의 다른쪽 면(32b)으로부터 사출되어, 제 2 액정 패널(20)의 표시 영역 이외로 향하는 광 및 케이싱(2) 내부나 프레임(6) 등에서 반사되어 제 2 액정 패널(20)측으로부터 제 1 액정 패널(10)로 향하는 광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즉, 제 1 액정 패널(10)에 있어서, 제 2 액정 패널(20)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을 개구부(40a)로부터 투과시키고, 제 2 액정 패널(20)이 배치되어 있지 않는 영역으로부터의 사출되는 광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 흡수 부재(40)는 수지 필름으로서, 검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PET)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 광 흡수 부재(40)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PEN)(polyethylenenaphthalate), 트리아세틸셀룰로즈(TAC)(triacetylcellulos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셀로판,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투과 반사 시트(33)와 광 흡수 부재(40) 사이에는 상술한 확산 시트(34), 제 1 프리즘 시트(35) 및 제 2 프리즘 시트(36)와 동일한 확산 시트(41), 제 1 프리즘 시트(42) 및 제 2 프리즘 시트(43)가 반투과 반사 시트(33)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마련되어 있다.
차광 부재(45)는, 도광판(32)의 한쪽 면(32a)측의 입사측 편광판(16)과 제 2 프리즘 시트(3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도광판(32)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제 1 액 정 패널(10)에 입사시키기 위한 개구부(45a)를 갖고 있다. 이 개구부(45a)는 확산 시트(34), 제 1 프리즘 시트(35) 및 제 2 프리즘 시트(36)의 외주변 부근 및 단면을 덮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광판(32)으로부터 사출된 광 중, 제 1 액정 패널(10)의 주연부의 비(非)표시 영역에 광이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광원(31)으로부터 사출된 광이 도광판(32)에 입사하고, 도광판(32) 내부를 도광한다. 그리고, 도광판(32) 내부를 도광하는 광 중 일부는 도광판(32)의 다른쪽 면(32b)에 마련된 반투과 반사 시트(33)에 의해 제 1 액정 패널(10)측으로 반사되고, 나머지의 광은 제 2 액정 패널(20)측으로 투과된다. 이 때, 제 1 액정 패널(10)로 향한 광 중, 제 2 액정 패널(20)의 표시 영역 이외에서부터 사출된 광 및 케이싱(2) 내부나 프레임(6) 등에서 반사되어 제 2 액정 패널(20)측으로부터 제 1 액정 패널(10)로 향하는 광은 광 흡수 부재(40)에 흡수된다. 이에 따라, 제 1 액정 패널(10)측에서 본 제 1 액정 패널(10)의 영역에서, 제 2 액정 패널(20)이 배치되어 있지 않는 영역과, 제 2 액정 패널(20)이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강도가 대략 균일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에 의하면, 광 흡수 부재(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액정 패널(10)측에서 본 표시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정 패널(10)에 제 2 액정 패널(20)의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는 없다.
<전자 기기>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휴대 전화의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부호 (1000)는 휴대 전화를 나타내고, 부호 (1001)는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휴대 전화(1000)의 표시부(1001)에는,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을 고품위로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박형, 경량의 휴대 전화(10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휴대 전화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북,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뷰 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 등의 전자 기기의 화상 표시 수단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어, 어떠한 경우라도, 화상을 고품위로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박형·경량의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근거하고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광 흡수 부재(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정 패널(10)과 제 2 액정 패널(2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도광판(32)의 한쪽 면(32a)측에 마련된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판(32)의 한쪽 면(32a) 측에 마련하고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제 1 광학 패널에 제 2 광학 패널의 그림자가 비쳐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이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학 패널과,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학 패널보다 평면 치수가 작은 제 2 광학 패널과,
    광을 사출하는 광원과,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각각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입사시키는 도광(導光) 부재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사이로서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 이외에 마련된 광 흡수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 부재는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제 2 광학 패널 쪽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제 1 광학 패널 쪽에,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사출된 광을 상기 제 1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에 입사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차광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 부재는 흑색의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광학 패널과,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한 쌍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학 패널보다 평면 치수가 작은 제 2 광학 패널과,
    광을 사출하는 광원과,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각각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입사시키는 도광 부재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제 1 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사이로서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 이외에 마련된 광 흡수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광 흡수 부재에는, 상기 도광 부재로부터 사출된 광을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표시 영역에 입사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의 둘레는, 상기 제 2 광학 패널의 주변부의 차광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부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28446A 2005-03-29 2006-03-29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744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4118 2005-03-29
JPJP-P-2005-00094118 2005-03-29
JPJP-P-2005-00348803 2005-12-02
JP2005348803A JP4017007B2 (ja) 2005-03-29 2005-12-02 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19A true KR20060105519A (ko) 2006-10-11
KR100744910B1 KR100744910B1 (ko) 2007-08-01

Family

ID=3707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446A KR100744910B1 (ko) 2005-03-29 2006-03-29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71944B2 (ko)
JP (1) JP4017007B2 (ko)
KR (1) KR100744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4972B2 (ja) * 2005-03-30 2010-09-0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145878B2 (ja) * 2007-11-07 2013-0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113467B1 (ko) * 2010-04-01 2012-0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137734A (ko) * 2013-05-23 2014-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인셀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4725B2 (ja) * 2001-11-01 2005-12-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599022B2 (ja) * 2002-01-10 2004-1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021238A (ja) * 2002-06-20 2004-01-22 Nec Saitama Ltd 表示デバイス及び携帯端末装置
JP4148453B2 (ja) 2002-08-21 2008-09-1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両面表示機器
JP4076214B2 (ja) 2002-08-29 2008-04-1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両面発光照明ユニット
KR100751932B1 (ko) * 2003-04-01 2007-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 필터와 그의 제조 방법
JP3873940B2 (ja) * 2003-07-31 2007-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両面液晶表示装置
JP4682502B2 (ja) 2003-09-01 2011-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17007B2 (ja) 2007-12-05
KR100744910B1 (ko) 2007-08-01
US7271944B2 (en) 2007-09-18
US20060221428A1 (en) 2006-10-05
JP2006309136A (ja)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83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73015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rein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elements activated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display is performed by the first or second liquid crystal panel
US7559683B2 (en) Backlight assembly, light guiding plate including plurality of discontinuously formed prisms
US7671940B2 (en) Dual panel display and method for improving display performance thereof
JP2005331565A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20076071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60154172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50198756A1 (en) Optical pattern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80058911A (ko) 액정표시장치
US8860908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744910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7327417B2 (en) Display device
JP5529427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255345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41488B1 (ko)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장치 설계 방법
JP470233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048725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6467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682502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325534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1231426A (zh) 电光装置及具备该电光装置的电子设备
JP2010244804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16353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275621A (ja) 液晶表示装置
JP3823750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