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380A -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380A
KR20060101380A KR1020067018395A KR20067018395A KR20060101380A KR 20060101380 A KR20060101380 A KR 20060101380A KR 1020067018395 A KR1020067018395 A KR 1020067018395A KR 20067018395 A KR20067018395 A KR 20067018395A KR 20060101380 A KR20060101380 A KR 2006010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thium ion
ion secondary
secondary batte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시라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8Devices for illuminating the head of the screw or the n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B25F5/021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with 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오 등의 전기디바이스를 부가기능으로서 가지며, 또한 경량으로 작업하기 쉬운 전동공구를 제공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전동공구로서,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한 전력으로 작동하는 전기디바이스를 부가한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이다.
전동공구, 리튬이온, 배터리 팩, 미약전력,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POWER TOOL WITH ADDITIONA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기초한 라디오부착 전동드라이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기초한 시계부착 전동드라이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기초한 라이트부착 전동드라이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기초한 전지잔량 표시기능 및 시계기능이 부착된 디스플레이장치부착 전동드라이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의 전기적 결합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전기디바이스로서의 시계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전기디바이스로서의 라이트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전기디바이스로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핸들
3 ... 배터리 팩 5 ... 스위치 방아쇠
6 ... 원터치 홀더 7 ... 드라이버 비트(7)
8 ... 푸쉬 버튼 17 ... 잔량표시부
18 ... 시계표시부 19 ... 디스플레이표시장치
51 ... 전동공구 본체부 52 ... 리튬이온 이차전지부
53 ... 미약전력 출력부
본 발명은, 나사조임작업에서 사용하는 전동 드라이버 등의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사조임작업에 사용되는 전동 드라이버 등의 전동공구는, 작업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기 때문에, 주로, 업무용으로서 건축현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근래에는, 홈센터 등에서 판매되어, 집안의 목수일용에 일반적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집안의 목수일에서는, 전동공구의 사용빈도가 적기 때문에, 한 작업당의 가격은 고가의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전동공구에는 어떠한 부가가치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업무작업현장에 휴대용 라디오를 자주 가지고 들어가기 때문에, 전동 공구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라디오를 부가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2000-92726호 공보: 대응하는 미국특허6427070호 공보 및 미국특허6496688호 공보). 그러나, 업무작업자가 사용하는 작업현장에서는, 상용전원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업무작업을 발주하고 있는 고객이 전기세를 지불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들 이유로, 작업현장에서는, 교환용의 배터리를 준비하고,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많다. 따라서, 충전기가 아니라 전동공구자체에 어떠한 부가가치를 붙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동공구는 손으로 들고 작업하기 때문에, 휴대할 수 있도록, 가볍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중량이 증가되는 부가기능은 붙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령 부가기능이 붙어 있더라도 경량으로 작업하기 쉬운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전동공구로서,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부터의 미약한 전력으로 작동하는 전기디바이스를 부가기능으로서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종래, 전동공구로서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축전지나, 니켈수소축전지에 비교해서 경량이기 때문에, 그 중량이 적은 만큼에 대응한 중량을 가진 부가기능을 붙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동 드라이버에서는, 서브 C 사이즈의 니켈수소축전지가 10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총중량은 550g이다. 이것을 리튬이온 이차전지로 바꾸면, 같은 총전지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18650사이즈로 8개여도 되고, 총중량은 320g이 되어, 200g의 여유가 생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부가기능을 미약한 전력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으로서의 전지의 전력을 그렇게 소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특유의 단점으로서, 만충전으로 보존했을 때, 즉 만충전 상태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면, 특이적인 열화(劣化)를 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부가기능에 의해 전지의 전력을 소비함으로써, 그 단점을 억제한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디바이스와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전기디바이스가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한 전력을 계속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계 등과 같이, 통상 작동을 계속하여, 그에 따라 미약한 전력을 계속 소비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상정되어 있는 전기디바이스가 그 예이다. 혹은, 라디오 등의 전기디바이스의 경우는, 스위치를 OFF로 하고 있는 경우라도 암전류 등에 의해 미약한 전력을 계속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예이다. 상기 전기디바이스에 의해 전지의 전력을 계속 소비하는 것에 의해,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하는 상기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배터리 팩에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 팩에 상기 전기디바이스가 일체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터리 팩 에의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상기 전기디바이스의 일체적인 구성에 의해, 배터리 팩(리튬이온 이차전지)을 전동공구본체로부터 떼어낸 경우라도, 상기 전기디바이스에 의한 전지의 전력의 소비를 계속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하는 상기 효과를 계속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리튬이차전지의 특이적인 열화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성질로서, 이 전지를 고온중에서 보존하면, 활물질과 전해액이 반응하여, 전지의 활물질표면에 피막을 형성하거나, 반응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가 팽창하거나 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지의 충전심도(充電深度), 전지가 방치되어 있는 온도, 전지가 방치되어 있는 시간과 관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지의 충전심도가 높을수록, 전지의 방치온도가 높을수록, 전지의 고온에서의 방치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전지를 만충전상태로, 40∼50℃에서 1주간정도 방치하였다고 하면, 피막발생에 따른 전지의 방전특성의 저하, 전지의 팽창에 의한 방전특성이나 사이클수명특성의 저하가 현저히 인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특이적인 열화라고 기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공구가, 40∼70℃ 정도의 고온환경에 장기간 방치된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 특이적인 열화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동공구는 전동 드라이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 드라이버는, 다른 작업중에서도, 휴대 벨트로 휴대되는 경우가 많고, 부가기능을 잘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디바이스로서, 라디오, 시계 및 라이트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표시장치가 전지잔량표시기능 및 시계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전기디바이스는, 작업현장이나 가정에서, 상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동공구사용자에게 있어서 부가기능으로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이들 전기디바이스를 부가기능으로서 전동공구에 탑재함으로써, 전동공구사용자가 전동공구를 조심스럽게 취급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특히, 전지잔량표시기능이 부착된 디스플레이표시장치가 있으면, 배터리의 교환시기를 예측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기초한 라디오부착 전동드라이버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회전구동계가 내장된 하우징(1)에 핸들(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핸들(2)의 끝에 배터리 팩(3)이 있고, 래치(4)로 걸림고정되어 있다. 핸들(2)에는 더욱 스위치 방아쇠(5)가 있고, 스위치 방아쇠(5)를 당기고 있는 동안, 원터치 홀더(6)로 고정된 드라이버 비트(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의 회전방 향은, 푸쉬 버튼(8)에 의해 바꿀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 팩(3)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외에 라디오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 팩(3)의 측면에는, 라디오의 전원스위치(9), 볼륨스위치(10) 및 튜너스위치(11)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스위치(9)를 넣어, 볼륨스위치(10) 및 튜너스위치(11)를 적절하게 합치면, 스피커(12)로부터 음성이 들리게 된다.
또한 동시에, 이러한 라디오사용에 의해,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한 전력이 소비되고, 그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 팩(3)에 라디오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 드라이버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있을 때에도 라디오를 사용할 수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배터리 팩(3)이 전동 드라이버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있을 때에도, 라디오에 의해,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중에서, 전동공구와,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전기디바이스를 구비한 부가기능부가,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 일례를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기재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및 다른 실시형태에도 적용된다) 부가기능 부착 전동공구(전동 드라이버)(50)의 전기적 결합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50)는, 전동공구(전동 드라이버) 본체부(51)와, 그 전동공구 본체부(5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동일 전동공구 본체부(5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부(52)를 구비한다.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50)는 더욱이, (1)리튬이온 이차전지부(5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동일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전력을 받아 미약전력을 출력하는 미약전력출력부(53)와, (2)동일 미약전력출력부(53)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동일 미약전력출력부(53)로부터의 미약전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전기디바이스(라디오)(54)를 구비하는 부가기능부를 가진다. 전기디바이스(라디오)(54)는, 미약전력출력부(53)로부터의 미약전력으로 구동되는 라디오회로부(56)와, 그 라디오회로부(56)에 결합된 라디오본체부(57){로드스피커(12) 등}를 구비한다.
전동공구 본체부(51)와 리튬이온 이차전지(52)와의 전기적 결선의 중간점에는, 필요에 따라서 전기 커넥터(55)가 설치된다. 그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52), 혹은 리튬이온 이차전지(52)와 미약전력출력부(53)와 전기디바이스(라디오)를 구비한 배터리 팩을, 전동공구 본체부(51)로부터 떼어내어 라디오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라디오로서는, 라디오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라디오의 스위치가 OFF이더라도 암전류에 의해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한 전력을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특이적인 열 화라고 하는 단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및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기디바이스(54)가 라디오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도 5의 구성예는, 본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후술의 다른 실시형태 2∼4에도 공통적인 구성예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기디바이스로서 라디오를 사용하고 있지만, 실시형태 2∼4에 있어서는, 그 라디오를 대신하여, 전기디바이스로서, 시계, 라이트 및 디스플레이표시장치(예를 들면 전지잔량표시 및 시계표시)를 사용한다. 그 이외는, 도 5 및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라디오회로부(56) 및 스피커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 미약전력은, 전동 드라이버본체의 회전구동계에 필요한 전력에 비교해서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팩(3)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회전구동계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 전기량이 적어지면 충전된다. 그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도 있다. 즉, 예를 들면 독립된 전원을 가진 라디오를 배터리 팩(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지 않고서, 단순히 기계적으로 부착한 경우에는, 라디오를 듣고 싶을 때에 전원이 끊어진다거나, 라디오 때문에만 전원을 교체하는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러한 문제가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라디오를 배터리 팩(3)에 부착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을 전동 드라이버 본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도, 라디오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일체로 되어 있음으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 나, 그 효과를 요구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라디오를 하우징(1) 등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에 부착하여도 상관없다.
(실시형태 2)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기초한 시계부착 전동드라이버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도 1의 요소에 부여된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부여된 요소는, 도 1의 각 요소와 같은 명칭 및 기능을 가진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 팩(3)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외에 시계구동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 팩(3)의 측면에는, 시계(전기디바이스)(14)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각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이 시계에 의해,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이 소비되고, 그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기초한 시계부착 전동드라이버의 전기적 결합의 구성예는, 도 5의 전기디바이스(라디오)(54)를, 도 6의 개략적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계(14)에 의해 치환한 것이다. 도 6에 있어서의 미약전력출력은, 도 5의 미약전력출력부(53)로부터의 출력이다. 도 6에 있어서, 시계(14)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시계구동회로부(66)와, 시계표시부(67)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 팩(3)에 시계(14)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3)을 전동 드라이버 본체(전동공구본체부)로부터 떼어내어, 시계(14)를 사용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배터리 팩(3)이 전동 드라이버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있을 때에도, 시계에 의해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을 소비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는 단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계구동회로를 작동하고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은, 전동 드라이버본체의 회전구동계에 필요한 전력에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팩(3)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회전구동계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 전기량이 적어지면 충전된다. 그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예를 들면 독립된 전원을 가진 시계를 배터리 팩(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지 않고서, 단순히 기계적으로 부착한 경우에는, 불시에 전원이 끊어진다거나, 시계 때문에만 전원을 교체할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러한 문제가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계를 배터리 팩(3)에 부착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을 전동 드라이버본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도, 시계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일체로 되어 있음으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 효과를 요구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시계를 하우징(1) 등의 전동 드라이버 본체에 부착하여도 상관없다.
(실시형태 3)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라이트부착 전동드라이버의 개략적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도 도 1의 요소에 부여된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부여된 요소는, 도 1의 각 요소와 같은 명칭 및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1)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라이트(전기디바이스)(15)가 구비되어 있고, 핸들(2)은 라이트 스위치(16)가 부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라이트를 회중전등처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밑으로 기어들어가 작업할 때 등의 주위가 어두울 때에도, 나사 등 필요한 부분에 빛을 비추는 것에 의해, 그들의 장소를 똑똑히 볼 수가 있다.
또한 동시에, 이러한 라이트사용에 의해,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이 소비되고, 그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기초한 라이트부착 전동 드라이버의 전기적 결합의 구성예는, 도 5의 전기디바이스(라디오)(54)를, 도 7의 개략적 블록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라이트(15)에 의해 치환한 것이다. 도 7에 있어서의 미약전력출력은, 도 5의 미약전력출력부(53)로부터의 출력이다.
라이트(15)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으로 작동한다. 이 미약전력은, 전동 드라이버본체의 회전구동계에 필요한 전력에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팩(3)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회전구동계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 전기량이 적어지면 충전된다. 그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도 있다. 즉, 예를 들면 독립된 전원을 가진 라이트를 배터리 팩(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지 않고, 단순히 기계적으로 부착한 경우에는, 불시에 전원이 끊어진다거나, 라이트 때문에만 전원을 교체하는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러한 문제가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라이트(15)를 하우징(1)의 상부에 2개 부착하였지만, 1개만이라도 상관없고, 또한 하우징(1)의 측부에 복수개 부착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라이트(15)를 배터리 팩(3)의 측면에, 배터리 팩(3)과 일체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배터리 팩(3)을 전동 드라이버본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도, 라이트에 의해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을 소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튬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전지잔량표시기능 및 시계기능이 부착된 디스플레이장치부착 전동드라이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도 1의 요소에 부여된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부여된 요소는, 도 1의 각 요소와 같은 명칭 및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 팩(3)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외에 전지잔량검출회로 및 시계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배터리 팩(3)의 측면에는, 잔량표시부(17) 및 시계표시부(18)가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1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시간맞춤(20) 및 알람맞춤(21)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교환시기나 시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에 의해,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이 소비되고, 그에 따라, 리튬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장치부착 전동드라이버의 전기적 결합의 구성예는, 도 5의 전기디바이스(라디오)(54)를, 도 8의 개략적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9)에 의해 치환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의 미약전력출력은, 도 5의 미약전력출력부(53)로부터의 출력이다.
도 8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9)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에 기초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전지잔량검출회로부(86)와, 그 검출회로부(86)에 의해 검출된 전지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전지잔량표시부(17)와,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시계회로부(88)와, 시계회로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시계표시부(18)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 팩(3)에 시계회로부(88)와 시계표시부(18)를 구비하는 시계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 드라이버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있을 때에도 시계기능 즉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배터리 팩(3)이 전동 드라이버본체로부터 떼어내어져 있을 때에도, 시계기능 즉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을 소비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만충전상태의 계속에 의한 특이적인 열화라고 하는 단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의 회로{전지잔량검출회로부(86)와 시계회로부(88)}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로부터의 미약전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 미약전력은, 전동 드라이버본체의 회전구동계에 필요한 전력에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팩(3)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회전구동계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어느 정도 전기량이 적어지면 충전된다. 그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예를 들면 독립된 전원을 가진 디스플레이장치를 배터리 팩(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지 않고서, 단지 기계적으로 부착한 경우에는, 불시에 전원이 끊어진다거나,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하여서만 전원을 교체하는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러한 문제가 없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지잔량표시기능 및 시계기능이 부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배터리 팩(3)에 부착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을 전동 드라이버본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도, 디스플레이장치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 효과를 요구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하우징(1) 등의 전동 드라이버본체에 부착하여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에 의하면, 휴대성을 높이면서, 라디오 등의 부가기능을 이용하거나, 즐기거나 할 수 있다. 더욱이, 리튬이온 이차전지 특유의 만충전으로 저장하였을 때의 특이적인 열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디바이스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설명서 등에서 금지되어 있는 공구를 해머 대신에 사용하는 것과 같은 잘못 사용되는 경우도 적어져, 전동공구사용자로부터 전동공구제조회사로의 불평 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전동공구에 있어서,
    전동공구 본체부(51)와, 전동공구 본체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동공구 본체부(5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부(52)와, 리튬이온 이차전지부(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리튬이온 이차전지부(52)로부터 미약전력이 출력되는 미약전력 출력부(53)와, 미약전력 출력부(5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되는 전기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표시장치(19)를 구비하는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표시장치(19)가 전지잔량표시기능 및 시계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진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KR1020067018395A 2002-05-20 2003-04-24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KR20060101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4238A JP4345260B2 (ja) 2002-05-20 2002-05-20 付加機能付電動工具
JPJP-P-2002-00144238 2002-05-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738A Division KR100673155B1 (ko) 2002-05-20 2003-04-24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80A true KR20060101380A (ko) 2006-09-22

Family

ID=295450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395A KR20060101380A (ko) 2002-05-20 2003-04-24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KR1020047018738A KR100673155B1 (ko) 2002-05-20 2003-04-24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738A KR100673155B1 (ko) 2002-05-20 2003-04-24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49862B2 (ko)
EP (1) EP1508407A4 (ko)
JP (1) JP4345260B2 (ko)
KR (2) KR20060101380A (ko)
CN (1) CN100357066C (ko)
TW (1) TW572813B (ko)
WO (1) WO2003097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3585B2 (en) 2002-11-22 2007-08-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US7589500B2 (en) 2002-11-22 2009-09-1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protection
US8471532B2 (en) 2002-11-22 2013-06-2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US7714538B2 (en) 2002-11-22 2010-05-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JP2005144564A (ja) * 2003-11-11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可搬式電動工具
US8408327B2 (en) * 2004-04-02 2013-04-02 Black & Decker Inc.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driver
JP4624740B2 (ja) * 2004-08-26 2011-02-02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の収納ケース
US7404696B2 (en) * 2005-02-18 2008-07-29 Black & Decker Inc. Drill driver with chuck-mounted drill accessories
JP2006281404A (ja) 2005-04-04 2006-10-19 Hitachi Koki Co Ltd コードレス電動工具
JP2006315117A (ja) * 2005-05-11 2006-11-24 Nidec Shibaura Corp コードレス電動工具
US20060292997A1 (en) * 2005-06-28 2006-12-28 Yang Hsiu C Tool handle having radio
JP2007015045A (ja) * 2005-07-06 2007-01-25 Nidec Shibaura Corp コードレス電動工具
US7682035B2 (en) * 2005-09-01 2010-03-23 Robert Bosch Gmbh Housing device for hand-held power tool
US7489111B2 (en) * 2005-12-08 2009-02-10 Robert W. Wise Holstered cordless power tool
CN2858199Y (zh) * 2005-12-22 2007-01-17 特力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工具的基座
JP2008221436A (ja) * 2007-03-15 2008-09-25 Hitachi Koki Co Ltd 燃焼式動力工具
TWM336121U (en) * 2007-12-28 2008-07-11 Eclatorq Technology Co Ltd Digital tool with light display
JP5047853B2 (ja) * 2008-03-26 2012-10-10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JP5206084B2 (ja) * 2008-04-10 2013-06-12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CN201411059Y (zh) * 2008-04-23 2010-02-24 奥格派克有限公司 带有储能器的捆扎设备
US10518914B2 (en) 2008-04-23 2019-12-31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RU2471687C2 (ru) 2008-04-23 2013-01-10 Оргапак Гмбх Обвя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натяж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RU2471689C2 (ru) 2008-04-23 2013-01-10 Оргапак Гмбх Мобильное обвя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09129633A1 (de) 2008-04-23 2009-10-29 Orgapack Gmbh Umreifungsvorrichtung mit einer getriebeeinrichtung
CN201411057Y (zh) 2008-04-23 2010-02-24 奥格派克有限公司 带有电子传动装置的捆扎设备
US20110133696A1 (en) * 2008-05-28 2011-06-09 David Leigh Scrimshaw Accessory and charging system for a rechargeable hand-held electrical device
JP5180697B2 (ja) * 2008-06-19 2013-04-10 株式会社マキタ 手持式作業工具
DE102008035766A1 (de) * 2008-07-31 2010-02-04 Metabowerke Gmbh Radiogerät
US20110058356A1 (en) 2009-02-25 2011-03-10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light emitting assembly
US8317350B2 (en) 2009-02-25 2012-11-27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a light for illuminating a workpiece
US8328381B2 (en) * 2009-02-25 2012-12-11 Black & Decker Inc. Light for a power tool and method of illuminating a workpiece
JP2011233957A (ja) * 2010-04-23 2011-11-17 Hitachi Koki Co Ltd 携帯用テレビ
US9028088B2 (en) 2010-09-30 2015-05-12 Black & Decker Inc. Lighted power tool
US9328915B2 (en) 2010-09-30 2016-05-03 Black & Decker Inc. Lighted power tool
DE202010014879U1 (de) * 2010-10-29 2012-01-30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g Handgeführtes Presswerkzeug
JP2012166309A (ja) * 2011-02-15 2012-09-06 Makita Corp 燃焼式の打込み機
CH705743A2 (de) 2011-11-14 2013-05-15 Illinois Tool Works Umreifungsvorrichtung.
DE102012204407A1 (de) * 2012-03-20 2013-09-26 Robert Bosch Gmbh System zumindest mit einem Handwerkzeugkoffer und einem Baustellenradio
US9242355B2 (en) 2012-04-17 2016-01-26 Black & Decker Inc. Illuminated power tool
CN105324310B (zh) 2012-09-24 2018-03-27 信诺国际Ip控股有限责任公司 捆扎装置
US20140139344A1 (en) * 2012-11-19 2014-05-22 Snap-On Incorporated Warning light devices and methods
JP2014198354A (ja) * 2013-03-29 2014-10-23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CH708294A2 (de) 2013-05-05 2014-12-15 Orgapack Gmbh Umreifungsvorrichtung.
JP6141678B2 (ja) * 2013-05-07 2017-06-07 株式会社マキタ 電動機器用装置
PL3105128T3 (pl) 2014-02-10 2021-11-22 Signode International Ip Holdings Llc Urządzenie do taśmowania z urządzeniem do przesuwu taśmy w przód
US20160226278A1 (en) * 2015-02-02 2016-08-04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battery pack and system
USD864688S1 (en) 2017-03-28 2019-10-29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device
US11207763B2 (en) * 2017-08-29 2021-12-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tool comprising rotating body rotated by impacts delivered from drive apparatus
EP4110555A4 (en) 2020-02-24 2024-03-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IMPACT TOO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779A (ja) 1984-01-13 1985-08-0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化学気相析出法におけるガス導入方法
JPS60117078U (ja) * 1984-01-13 1985-08-07 日立工機株式会社 計算機能を有する電動工具
JPS60149779U (ja) * 1984-03-13 1985-10-0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付ポケツト・ライフツ−ル
JPH0379279A (ja) 1989-08-15 1991-04-04 Hayashi Tokei Kogyo Kk 電動ドライバ
JP2512328Y2 (ja) * 1989-12-06 1996-10-02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動工具
JP3329892B2 (ja) * 1992-09-14 2002-09-30 松下電工株式会社 充電式電気機器
JPH06226566A (ja) * 1993-01-28 1994-08-16 Kita Toshio ねじの軸力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438923B2 (ja) * 1993-12-13 2003-08-1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工具に使用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JP3260254B2 (ja) * 1995-02-21 2002-02-25 トップ工業株式会社 トルクレンチ稼動状況記録装置
SE9502145L (sv) * 1995-06-13 1996-12-14 Ergonomi Design Gruppen Ab Portabelt eldrivet verktyg
JPH0947982A (ja) * 1995-08-04 1997-02-18 Nippon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電動工具及びこのコードレス電動工具用載置台
JP3703555B2 (ja) * 1996-02-23 2005-10-05 ローム株式会社 携帯情報装置及びその充電装置
EP0825520A4 (en) * 1996-02-26 1999-06-23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JPH1020379A (ja) * 1996-07-03 1998-01-23 Ricoh Co Ltd カメラ
KR100216204B1 (ko) 1996-12-31 1999-08-16 전주범 트랜지스터장착용 방열판 핀의 높이 검사장치
US6366809B1 (en) * 1997-04-08 2002-04-02 Survivalink Corporation Defibrillator battery with memory and status indication guage
US6007940A (en) * 1997-11-26 1999-12-28 Celgard Llc Portable power tool having low rate, rechargeable batteries
US6273582B1 (en) * 1999-05-12 2001-08-14 Swiss Army Brands, Inc. Compact multiple function tool
US6912410B2 (en) * 1998-08-24 2005-06-28 Christopher L. Auten Communication devices and power packs that include a light source
US6427070B1 (en) * 1999-03-04 2002-07-30 Black & Decker Inc. Heavy-duty audio equipment
WO2000065674A1 (en) * 1999-04-23 2000-1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al appliance with battery holder
JP2000308980A (ja) * 1999-04-26 2000-11-07 Kazuhiro Takasaki 金属感知器内臓電動工具
KR20000073516A (ko) 1999-05-11 2000-12-05 오진환 광전지가 구비된 휴대폰 및 휴대폰 배터리팩
TW429637B (en) * 1999-12-17 2001-04-11 Synergy Scientech Corp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JP2001300867A (ja) * 2000-04-21 2001-10-30 Makita Corp 電動工具用アダプタ
DE10045985A1 (de) * 2000-09-16 2002-03-28 Hilti Ag Elektrohandwerkzeuggerät mt Drehmomentkontro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7066C (zh) 2007-12-26
JP4345260B2 (ja) 2009-10-14
TW200306904A (en) 2003-12-01
KR20050004170A (ko) 2005-01-12
EP1508407A4 (en) 2008-03-19
EP1508407A1 (en) 2005-02-23
TW572813B (en) 2004-01-21
US7249862B2 (en) 2007-07-31
KR100673155B1 (ko) 2007-01-22
JP2003340749A (ja) 2003-12-02
CN1652903A (zh) 2005-08-10
WO2003097306A1 (fr) 2003-11-27
US20050152131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155B1 (ko) 부가기능부착 전동공구
US747975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battery configur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7357526B2 (en) Power tool and accessory
US7183745B2 (en) Adapter for a power tool battery
US6404168B1 (en)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devices
US6876173B2 (en) Battery adapter for a cordless power tool system and related method
CA2498080C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battery configuration, and associated method
EP2129497B1 (en) Cordless power tool with fuel cell battery and accommodation case therefor
EP0786849B1 (en) Manually operated auxiliary power supply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US20100065295A1 (en) Cordless power tool and accomodation case
JP2010532153A (ja) 多重電源式の電気機器
US7579810B2 (en) Portable power supplying device
CN201075396Y (zh) 电池组
US20050194928A1 (en) Power tool capable of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unit that includes at least a standard-sized battery cell
US20040251040A1 (en) High torsion electromotive opener
KR20027460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KR20020015493A (ko) 휴대용 컴퓨터용 에이씨 어댑터
KR20070000812U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충전식 에프엠 라디오 및휴대전화보조배터리
AU2002100088A4 (en) Stand-by batter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CN2418051Y (zh) 车船启动一体单格结构组合式蓄电池
KIEHNE et al. 16.1 BATTERY-OPERATED APPLIANCES
Kiehne et al. Feasibility Study for Appliances
KR20020034126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GB2412796A (en) Power supply with rechargeable cell and voltage booster
JP2000300312A (ja) 携帯電子機器のバン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06

Effective date: 2007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