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172A -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 Google Patents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172A
KR20060097172A KR1020050018205A KR20050018205A KR20060097172A KR 20060097172 A KR20060097172 A KR 20060097172A KR 1020050018205 A KR1020050018205 A KR 1020050018205A KR 20050018205 A KR20050018205 A KR 20050018205A KR 20060097172 A KR20060097172 A KR 20060097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layer
sodium
copolymer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974B1 (ko
Inventor
윤세영
곽상훈
김한수
김후덕
김상년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1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9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041Treads having means to adjust the height, the depth and/or the slope of the stair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에 관한 것으로, 치아에 부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에 있어서, 약물층과 당류층을 포함하며 구강내의 타액에 의해 용해되어 떼어낼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는, 치아 부착시 접착력이 없어 손이나 입술 주위에 오염 없이 사용 가능하고, 부착중에는 약물층 중의 고분자가 수화되면서 약물이 방출되는데, 약물 방출 동안에는 약물이 치아로만 방출될 수 있도록 당류층이 타액에 의해서 완전히 침식되지 않고, 약물 방출이 완료된 시점에 당류층이 완전히 녹아 사용 후에 떼어낼 필요가 없다.
치아 부착형 제제, 치아 미백, 약물층, 중간층. 당류층, 과산화물.

Description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IMPROVED TOOTH WHITENING SYSTEMS FOR ORAL CARE CONVENIEN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층 구조를 갖는 치아 부착형 제제를 보여주는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층 구조를 갖는 치아 부착형 제제를 보여주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형제 2: 약물층
3: 중간층 4: 당류층
본 발명은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에 관한 것으로, 약물층과 당류층을 포함하며, 치아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치아에 약효 물질을 전달할 뿐 아니라,치아 부착시 타액에 의해 일정 시간 경과 후 용해되는 제제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부착시 접착력이 없어 손이나 입술 주위에 오염 없이 사용 가능하고, 부착중에는 약물층 중의 고분자가 수화되면서 약물이 방출되는데, 약물 방출 동안 에는 약물이 치아로만 방출될 수 있도록 당류층이 타액에 의해서 완전히 침식되지 않고, 약물 방출이 완료된 시점에 당류층이 완전히 녹아 사용 후에 떼어낼 필요가 없도록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치아에 약물을 전달하는 가장 대표적인 제형은 치약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치약은 그 제형 특성상 치아와 약물간의 접촉 시간이 1∼3 분으로 짧기 때문에 약효 물질을 효과적으로 치아에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치아에 치아미백 물질을 전달하는 방법 중 피엔지(Procter & Gamble)사에서 고안한 것으로, 미국특허 제5,879,691호, 제5,891,453호 및 제5,989,569호, 그리고 WO 98/55044에서는 마우스트레이를 사용하는 대신 얇고 투명하며 유연성이 좋은 폴리에틸렌 스트립(polyethylene strip)에 치아 미백제로 프로페셔날 화이트닝 겔이나 이와 비슷한 처방을 pre-coating시키거나 사용 전에 치아나 스트립에 직접 도포한 후 부착하는 치아 미백제 전달 시스템(delivery system)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마우스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상 간편성이 개선되고, 착용시 투명하고 얇아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특허 및 제품(Crest White Strips)을 사용할 경우 부착시 젤에 의한 손 오염이 있고 사용 후에는 탈착 후 제거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방법을 상당 부분 개선시킨 것이 대한민국 특허 제10-0457271호에서 개시된다. 이는 건식(dry type)의 치아 미백제로서, 매트릭스 타입의 부착약물층이 있고, 기제로 친수성 글라시 폴리머(glassy polymer)를 사용함으로써 습한 구강 내에서 친수성 글라시 폴리머가 수화될 때 치아의 에나멜 층에 강한 접착력이 생기는 동시에 치아 미백제를 방출하게 하는 새로운 타입의 치아 미백용 제제이다. 이 제제에서는 지지층에 수용성 고분자가 있고 이들이 수화되어 접착력을 발휘하나 끈적임 또한 발생되어 구강 내의 원치 않는 부위에 이전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59552호의 건조박막형 치아미백물질 전달 시스템은 침에 의해 일정 시간 후에 용해되기 때문에 사용 후 제거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지지층(보호필름층)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물질은 타액에 녹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참고: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Fourth Edition, P301 7항). 따라서, 이 시스템은 침에 의해 일정시간 후에 용해되지 않을 것이다. 더우기, 실시예 1에 따르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녹이기 위하여 아세톤을 사용하고 있어, 건조 후 제품 중에 독성이 강한 아세톤이 잔류하게 된다. 이런 위험에도 불구하고 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한 이유는 이 물질이 물 또는 알코올에 녹지 않기 때문으로, 공정 중에서 녹지 않는 성분이 구강내 소량의 타액에 의해 녹기를 기대하기는 더욱 어려울 것이다.
또한 미국 특허공개 US 2003/0228264 A1에서는 젤라틴 캡슐과 같은 제형의 내부에 과산화물을 넣고 치아에 부착한 뒤 젤라틴이 녹으면서, 또는 젤라틴을 찢어서(crushing) 내부의 약효물질이 치아에 전달되는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캔디 정도의 크기와 무게를 갖춘 제제를 치아에 접촉시키자 마자 부착시키기는 어려우며, 이 경우 부착되기까지 손으로 잡고 있거나 아니면 보조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더우기, 이 제형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매우 간단하게 언급하였지만, 실제로 제품을 생산하려면 많은 공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단순히 압출 성형(extrusion) 등으로 제형을 만들 수 있다고 언급하였지만, 실제적으로 본 공정은 고온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고, 치아미백 성분인 과산화물은 열에 매우 불안정한 성분이라는 위험성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0440241호는 치아 미백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카르복실기 (-COOH)를 함유하는 고분자와 카르보닐기(-C=O) 또는 에테르기(-O-)를 함유하는 고분자의 수소결합으로 형성된 침식성 고분자 복합체(erodible polymer complex) 및 치아 미백 성분을 포함하는 치아 부착층과, 친수성 고분자와 필름 형성 고분자(film-forming polymer)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침식속도 조절층으로 이루어진 치아 미백용 제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제제는 필름 형태이며 치아 부착 후 미백 성분을 방출하고 침식·소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치아 부착층 및 침식속도 조절층 모두 수용성 고분자와 함께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는데, 치아 부착층의 경우 수용성 고분자 단독의 물성을 이용하여도 치아 부착성을 조절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고분자를 혼합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침식속도 조절층에서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치아 부착층으로부터 약효물질 또는 수분성분을 전달 받게 되는데, 이 경우 약효물질이 소실되기 쉬운 것은 물론, 수용성 고분자가 수화되면서 부착력이 발생하여 치아 외의 점막에 부착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고분자의 함량을 높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치아미백제를 부착하는 약 30 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 침식속도 조절층이 전부 녹기 어렵게 된다. 그리 고, 이 제제는 수화에 의해 층을 이루는 성분들이 침식되는 것으로, 떨어져 나온 부분들이 입 안에 잔류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다. 결론적으로, 이 제제는 일정 시간 경과 후 구강 안에서 녹아 없어지는 형태로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치아 미백용 제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 보관 및 부착 중에는 건조(dry) 상태로 점착력이 없고, 사용 중에는 치아미백 성분을 방출하면서 본 제제가 불필요한 부위에 접착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구강 내에서 서서히 녹아 없어져 떼어내 제거할 필요가 없는 편리한 제형의 치아 부착형 제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치아에 부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에 있어서, 약물층과 당류층을 포함하며 구강내의 타액에 의해 용해되어 떼어낼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제는 단층 또는 두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층은 과산화물 활성화제(activator), 색소, TiO2, HAP(hydroxyapatite), 향료, 구취 억제제, 지각 과민제, 불소, 잇몸 질환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층과 당류층을 포함하는 치아 부착형 제제는, 치아 부착시 접착력이 없어 손이나 입술 주위에 오염 없이 사용 가능하고, 부착중에는 약물 층 중의 고분자가 수화되면서 약물이 방출되는데, 약물 방출 동안에는 약물이 치아로만 방출될 수 있도록 당류층이 타액에 의해서 완전히 침식되지 않고, 약물 방출이 완료된 시점에 당류층이 완전히 녹아 약물의 전달이나 접착 없이 구강 내에서 소멸되기 때문에 떼어낼 필요가 없고, 떨어져 나온 부분들이 입 안에 잔류되는 일이 없어 사용감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구조를 갖는 치아 부착형 제제를 보여주는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층 구조를 갖는 치아 부착형 제제를 보여주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치아 부착형 제제는 이형제(1), 약물층(2) 및 당류층(4)으로 구성되거나, 이형제(1), 약물층(2), 중간층(3) 및 당류층(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이형제는 PET, PE, 종이 등과 같이 일정 수준의 견고성을 갖춘 물질로, 필요에 따라 이형제의 단면 또는 양면에 코팅을 하여 치아 부착물을 박리시킬 때 도움을 주게 된다.
약물층은 건조 상태에서는 접착력이 없거나 강도가 약하다가, 미백제가 작용하기 원하는 부위에서 적은 양의 물에 의해 수화되면서 접착력이 생기거나 수화되기 시작하면서 미백제의 방출이 시작되는 건식 타입(dry type)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체적인 점도에 의해서 치아에 부착 가능한 젤(gel) 상태인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친수성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이라도 친수성을 나타내야 한다. 주로 사용되는 고분자는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록사 머(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15∼K-120),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의 용매로는 주로 물, 에탄올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유기용매들,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토니트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치아 부착물은 치아에 직접 부착하여 치아의 굴곡에 따라 쉽게 모양이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폴리머에 따라서는 이러한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가소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적절한 가소제는 폴리머의 종류와 그 처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사용 가능하다.
친수성 고분자 중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은 과산화물 안정화제를 함께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산화물을 제형 내에서 안정화시키는 안정화제로는 알킬 설포네이트 염,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염, 알킬 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 네이트, 스판 20(Span 20; Sorbitan Monolaurate), 스판 40(Span 40; Sorbitan Monopalmitate), 스판 60(Span 60; Sorbitan Monostearate), 스판 80(Span 80; Sorbitan Monooleate), 스판 85(Span 85, Sorbitan Trioleate), 트윈(TWEEN; POE sorbitan fatty acid ester)계,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 소르베이트(POE(20) Sorbitan Monolaurate, POE(20) Sorbitan Monostearate, POE(20) Sorbitan Monooleate, POE(20) Sorbitan Tristearate, POE(20) Sorbitan Trioleat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약물층에 첨가되는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과산화물, 폴리 인산염, 효소, 염소계 표백물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산염과 효소는 에나멜 부착층에 함유된 stain 제거에 효과적이다. 폴리 인산염으로는,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그리고 울트라 인산염인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및 산성 폴리인산염(acidic sodium polyphosphate) 중에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 인산염은 치약에서 치석 제어(tartar control)제로 치석 생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은 금속의 좋은 킬레이팅제로 치아의 stain 중 음식물이나 작업 환경 속의 철, 칼슘, 마그네슘 등의 금속에 의해 생성된 치아 stain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미백 효과의 향상에 다소 기여할 수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이들 폴리 인산염을 사용할 경우, 심하지 않은 외인성 오염(light extrinsic stain) 제거에 의한 미백 효과 향상 뿐 아니라 치아와 축합 인산염의 접촉 시간을 연장해 주어 치석 형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염소계 표백물로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이 있다. 이밖에 파파인, 비타민 E 및 중조 등도 미백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약물층에는 과산화물의 경시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킬레이팅제, 예를 들어 EDTA나 구연산나트륨, Dequest 포스포네이트 류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약물층의 두께는 5∼500 ㎛가 바람직한데, 5 ㎛ 미만이면 함유되는 미백제의 함량이 적어서 치아 미백 효과가 낮고, 500 ㎛ 보다 두꺼우면 그 두께로 인하여 사용성이 떨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두께는 30∼15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당류층(Sugar Layer)은 타액, 구강내 접촉 등 화학적, 물리적 접촉으로부터 내부(중간층, 약물층)를 보호 및 격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려면 그 재료는 타액에는 서서히 녹아야 하되, 수화된 고분자들의 경우처럼 끈적거리는 점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물 층에 함유된 수분 및 수화된 고분자에는 잘 녹지 않아야 하며 주성분인 과산화수소와의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당류층에 사용 가능한 성분으로는, 당류로서 말토덱스트린, 자일리톨, 솔비톨, 수크로즈, 말리톨 등이 있으며, 고분자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산, 잔탄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플루란, 폴리비닐산,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젤라틴, 또는 쉘락 성분을 첨가하여 부착 시간 및 물성 조절이 가능하다. 당류는 3∼85 %까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 % 미만에서는 당류의 함량이 낮아 타액에 의해 용해될 때 끈적거리는 현상이 있고 약물층의 주요 성분이 원치 않는 방향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당류의 함량이 85 % 보다 높으면 제조 및 사용시 필름의 유연성이 떨어져서 쉽게 갈라지는 현상이 나타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당류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당류 단독 사용시에는 점성이 부족하여 압출, 주물 등의 경제성이 미약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는데, 수용성 고분자는 수분에 의해 수화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분자와 당류를 혼합 사용하여 matrix 용해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는 swelling 속도가 당과 고분자에서 차이가 있음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당류의 -OH 기는 과산화물의 라디칼을 scavenging하여 구강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도 나타내게 된다.
당류층의 두께는 2∼700 ㎛ 범위가 바람직한데, 2 ㎛ 미만은 protect barrier로서의 역할이 미약하고, 700 ㎛ 보다 두꺼우면 유연성 및 용해 속도가 적 합치 않다.
당류층은 압출(Extrusion) 성형, 주물(Casting), 롤링(rolling) 등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당류 성분 및 첨가제를 용매에 혼합한 후 건조하여 층(sheet)를 만드는 주물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부착형 제제에서, 중간층은 약물층과 당류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층은 당류층의 유연성을 보강해주어 치아 부착시 구강 내에서 사용 편리성을 높여주고, 당류층이 음료 섭취 등 특수한 구강 환경에서 타액에 의해 너무 빨리 용해 소멸될 우려가 있을 경우 이를 보완하여 약물층을 보호 및 격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약물층과 당류층을 격리하는 역할을 하여, 약물층의 반응성 높은 과산화물 등이 당류의 미세 성분과 반응하여 경시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중간층의 또 다른 중요 용도는, 약물층의 반응성 높은 과산화물 때문에 약물층에 함께 첨가하기 어려운 성분들을 중간층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분들의 일반적인 예로는 과산화물 활성화제(activator), 색소, TiO2, HAP(hydroxyapatite), 향료, 구취 억제제, 지각 과민제, 불소, 잇몸 질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들 간의 상용성이 불량할 경우에는 중간층을 여러 층으로 만들어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층에는 목적에 따라 약물층에 사용된 고분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중간층에 사용 가능한 고분자로는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Poloxa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카르복시폴리메틸렌,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sodium alginate),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락(Shellac),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또는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의 두께는 2∼300 ㎛ 정도가 바람직한데, 2 ㎛ 미만에서는 protect barrier로서의 역할이 미약하고, 300 ㎛ 보다 두꺼우면 구강 내에서 녹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아 부착 미백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방법: 이형제 위에 약물층 용액을 도포하고, 그 위에 실시예의 경우는 중간층 및/또는 당류층 용액을 도포하고, 비교예의 경우는 지지층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 층의 두께는 60∼80 ㎛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1) 실시예 1
약물층 제조 용액: 폴리비닐 피롤리돈 22 %, 과산화수소 5 %, 글리세린 10 %, 에탄올 30 %, 물을 가해 100 %로 하였다.
당류층 제조 용액: 자일리톨 20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오스 10 %, 물 35 %, 에탄올을 가해 100 %로 하였다.
(2) 실시예 2
약물층 제조 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 과산화수소 5 %, 글리세린 10 %, 에탄올 30 %, 향 0.5 %, 정제수를 가해 100 %로 하였다.
당류층 제조 용액: 솔비톨 8 %, 폴리에틸렌 글리콜 3 %,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10 %에 정제수를 가해 100 %로 하였다.
(3) 실시예 3
약물층 제조 용액: 간트레즈(Gantrez) S-97 20 %, 과탄산나트륨 15 %, 프로필렌 글리콜 3 %, 정제수를 가해 100 %로 하였다.
당류층 제조 용액: 말토덱스트린 17 %, 폴리에틸렌 글리콜 5 %에 정제수를 가해 100 %로 하였다.
중간층 제조 용액: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Na-CMC) 2 %,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 %, l-멘톨(방향제) 1 %, 정제수를 가해 100 %로 하였다.
(4) 실시예 4
약물층 제조 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 과산화 수소 5 %, 글리세린 10 %, 에탄올 30 %, 향 0.5%, 정제수를 가해 100 %로 하였다.
당류층 제조 용액: 솔비톨 8 %, 폴리에틸렌 글리콜 3 %에 정제수를 가해 100 %로 하였다.
(5) 비교예 1
약물층 제조 용액: 폴리비닐 피롤리돈 16 %, 과산화수소 5 %,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1 %, 글리세린 10 %, 에탄올 30 %, 물을 가해 100 %로 하였다.
지지층 제조 용액: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11 %, 폴리에틸렌 글리콜 5 %, 에탄올을 가해 100 %로 하였다.
(6) 비교예 2
약물층 제조 용액: 폴리비닐 피롤리돈 17 %, 아크릴산 공중합체 2 %, 과산화수소 4 %, 프로필렌 글리콜 3 %,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1 %, 정제수, 에탄올을 가해 100 %로 하였다.
지지층 제조 용액: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11 %,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10 %, 폴리에틸렌 글리콜 6 %, 에탄올을 가해 100 %로 하였다.
(7) 비교예 3
약물층 제조 용액: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10 %,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20 %, 과산화수소 4 %, TSPP 1 %, 글리세린 5 %, 물을 가해 100 %로 하였다.
지지층 제조 용액: 에틸 셀룰로오즈 20 %, SAPP 1 %, 정제수 30 %, 에탄올을 가해 100 %로 하였다.
효과시험예 1: 사용성 평가(소비자 테스트)
사용 편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용성을 테스트하였다. 5 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경우가 5 점을 받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치아 미백제를 가지고 사용 편리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실험군 당 남녀 각각 30 명
기간: 1 달, 1 일 2 회(오전, 오후) 사용
1 회 사용 시간 및 방법: 치아미백제를 부착하고 사용중, 사용후 2 단계로 나누어 평가 하였다.
다음 표 1은 사용 편리성 평가 결과이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사용감 사용중 4.1 4.1 4.3 3.5 2.2 2.4 3.2
사용후 4.2 4.2 4.4 3.5 2.5 2.8 2.2
위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의 "사용중" 항목 점수가 비교예 보다 고르게 높았다. 이는 당류층에 기인한 것으로, 당류층은 타액에 의해 서서히 녹지만 비교예의 경우처럼 끈적이는 물성을 보이지 않는데, 이로 인해 사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비교예 1 및 2는 비록 서서히 녹는 타입이라 하더라도 고분자가 수화되면서 필연적으로 점착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사용 도중 입천장, 입술 안쪽 등에 묻어나서 불편하였다. 비교예 3은 비교예 중에서 비교적 점수가 높은데, 이는 지지층이 녹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불완전하게 녹는 처방보다는 차라리 녹지 않는 것이 더 사용감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효과시험예 2: 미백 효과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의 미백 효과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오염시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 태블릿 시편 제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분말을 IR 프레스로 태블릿을 만들어 1000 ℃에서 소결한 후 에폭시 수지로 몰딩하여 수지를 만들고, 강산으로 표면을 에칭시킨 다음 차, 커피, 철, 뮤신을 녹인 TSB(trypticase soy broth) 용액에 시편을 담갔다가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이 조작을 1 주일 계속하여 시편을 오염시켰다. 오염시킨 시편을 흐르는 물에 칫솔로 가볍게 씻어 주어 물에 의해 녹거나 쉽게 제거되는 오염을 제거해 준 다음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2) 미백 효과 평가법
오염시킨 HAP 태블릿 시편의 초기 L 값(L은 명도를 나타내며 100일 때는 white, 0일 때는 black)을 색차계로 측정하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를 물에 적신 시편에 붙이고, 실제 구강 조건과 비슷하게 해주기 위해 온도를 37 ℃, 습도를 95 %로 세팅시킨 항온 항습기에 방치한 다음, 4 시간 후에 치아 미백용 치아미백제를 떼어내고 흐르는 물에 가볍게 칫솔로 문질러 준 후 실온에서 건조시켜 L 값을 측정하였다. 치아 미백제를 붙이기 전후의 L 값의 차이 ΔL을 계산하고(ΔL을 값이 클수록 치아 미백에 효과적임을 의미함),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구분 ΔL(치아 명도 변화량) 비 고
실시예 실시예 1 40 10회 평균치
실시예 2 43 10회 평균치
실시예 3 51 10회 평균치
실시예 4 40 10회 평균치
비교예 비교예 1 40 10회 평균치
비교예 2 32 10회 평균치
비교예 3 50 10회 평균치
위 표 2에서 보면,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치아 명도 변화량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중간층 또는 지지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즉, 실시예 1과 2는 실시예 3과 달리 중간층이 없기 때문에 약물이 다른 곳으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4에서는 당류층에 수용성 고분자가 없어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지 않았기에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았다. 반면, 비교예 3은 지지층이 녹지 않는 성분으로, 약물이 오직 치아로만 방출 가능하다.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약물의 분해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을 사용하였는데, 이로 인해 약물층 전체의 붕해 및 방출력도 연동되어 낮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효과시험예 3: 경시 안정성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에서 치아 미백 성분인 과산화수소의 고온(40 ℃)에서의 경시 안정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삼각 플라스크에 치아 미백제의 모든 층을 녹일 수 있는 혼합 용매를 취하고, 적당한 양의 치아 미백제를 정확히 칭량하여 완전히 녹인 후, 여기에 6 N 염산을 5 ㎖ 정도 취하고 요오드화 칼륨을 약 2 g 녹여 냉암소에 1 시간 정도 방치한 다음, 50 mM 티오설페이트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여 치아 미백제 내 과산화물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보관 온도는 40 ℃, 습도는 75 % 항온 항습이었고, Al-Pouch에서 4 주 보관 후 평가한 것이다.
구 분 과산화수소 잔존량(%) 비 고
실시예 실시예 1 90 10회 평균치
실시예 2 91 10회 평균치
실시예 3 92 10회 평균치
비교예 비교예 1 86 10회 평균치
비교예 2 78 10회 평균치
비교예 3 87 10회 평균치
위 표 3에서 보돗이, 경시안정성은 실시예와 비교예가 유사하였다. 실시예 3이 가장 우수한 이유는 당류층이 약물층의 과산화수소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비교예 2가 상대적으로 경시 안정성이 불량하였는데, 이는 고분자를 2 종 이상 사용함으로서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불순물 등 이물질이 더 많이 혼합되어 반응성이 높은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치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제제로서 약물층과, 이 약물층을 보호하는 당류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는, 치아 부착시 접착력이 없어 손이나 입술 주위에 오염 없이 사용 가능하고, 부착중에는 약물층 중의 고분자가 수화되면서 약물이 방출되는데, 약물 방출 동안에는 약물이 치아로만 방출될 수 있도록 당류층이 타액에 의해서 완전히 침식되지 않고, 약물 방출이 완료된 시점에 당류층이 완전히 녹아 사용 후에 떼어낼 필요가 없다.
또한, 약물층과 당류층 사이에 중간층을 더욱 포함하는 본 발명의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에서 중간층은 과산화물의 경시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첨가제를 추가시키는 목적 등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치아에 부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에 있어서, 약물층과 당류층을 포함하며 구강내의 타액에 의해 용해되어 떼어낼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당류층이 당류와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약물층이 건식 또는 겔(g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약물층에 치아 미백 성분으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 (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 폴리인산염(acidic sodium polyphosphate), 파파인, 비타민 E, 중조,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약물층에 고분자로서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Poloxa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카르복시폴리메틸렌,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sodium algin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당류층에 당류로서 말토덱스트린, 자일리톨, 솔비톨, 수크로즈, 말리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고분자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산, 잔탄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플루란, 폴리비닐산,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젤라틴, 쉘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층에 고분자로서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Poloxamer;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카르복시폴리메틸렌,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sodium alginate),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락(Shellac),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층은 과산화물 활성화제(activator), 색소, TiO2, HAP(hydroxyapatite), 향료, 구취 억제제, 지각 과민제, 불소, 잇몸 질환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층은 단층 또는 두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 제제.
KR1020050018205A 2005-03-04 2005-03-04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KR10064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05A KR100647974B1 (ko) 2005-03-04 2005-03-04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05A KR100647974B1 (ko) 2005-03-04 2005-03-04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172A true KR20060097172A (ko) 2006-09-14
KR100647974B1 KR100647974B1 (ko) 2006-11-23

Family

ID=3762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205A KR100647974B1 (ko) 2005-03-04 2005-03-04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9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667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KR20170030312A (ko) *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80103593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용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KR20190082738A (ko) * 2015-09-09 2019-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US10603252B2 (en) 2015-09-09 2020-03-3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026868B2 (en) 2015-10-06 2021-06-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545B1 (ko) * 2016-12-21 2019-01-29 한훈섭 안정성이 보장된 변색층을 갖는 치아 미백용 패치
KR102151313B1 (ko) 2018-11-22 2020-09-02 주식회사 테코자임 구강 패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906B1 (en) 2001-03-12 2002-07-16 Colgate Palmolive Company Strip for whitening tooth surfaces
KR100458337B1 (ko) 2002-06-25 2004-1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부착제
KR100440241B1 (ko) 2003-04-30 2004-07-14 아이큐어 주식회사 치아 미백용 패취제
KR100553433B1 (ko) 2003-11-13 2006-0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성능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미백용 패취 제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667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KR20170030312A (ko) *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082738A (ko) * 2015-09-09 2019-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US10603252B2 (en) 2015-09-09 2020-03-3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026868B2 (en) 2015-10-06 2021-06-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229582B2 (en) 2015-10-06 2022-01-2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654090B2 (en) 2015-10-06 2023-05-2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KR20180103593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용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974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336B1 (ko)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0647974B1 (ko)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TWI767887B (zh) 通過刷牙可去除的牙齒貼片
JP2003526648A (ja) 歯牙美白用パッチ
KR101065612B1 (ko)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KR101154932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치아미백용 패취
KR100553433B1 (ko) 성능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미백용 패취 제제
KR101277276B1 (ko)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약
KR100873274B1 (ko) 필름 타입 치약 조성물
KR102025751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17466A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1173602B1 (ko) 치아 탈착 성능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US11654090B2 (en)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KR100471920B1 (ko) 드라이 타입의 치아 미백 패취
KR102034156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1197673B1 (ko) 산화효소를 이용한 치아미백제
KR102315452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311086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024539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114128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