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667A -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667A
KR20150111667A KR1020140035298A KR20140035298A KR20150111667A KR 20150111667 A KR20150111667 A KR 20150111667A KR 1020140035298 A KR1020140035298 A KR 1020140035298A KR 20140035298 A KR20140035298 A KR 20140035298A KR 20150111667 A KR20150111667 A KR 2015011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patch
composition
gel composition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272B1 (ko
Inventor
김종훈
안재현
김지혜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3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2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용 패치를 부착하기 위한 겔 조성물로서, 상기 겔 조성물은 겔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을 함유하며, 물 및 에탄올에 모두 용해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겔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및 치아 미백용 패치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치아 부착용 패치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아 미백 패치의 미백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Ge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dhesive property for tooth patch}
본 발명은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개선된, 치아용 패치를 치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겔 형태의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치가 치아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치아 미백 효과를 증진시켜줄 수 있는 겔 형태의 치면 접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美)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미백 성분을 함유한 미백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미백제들 중 대표적인 제형이 치아에 부착할 수 있는 미백 패치(patch)이다.
치아 미백 패치는 치아 미백 성분과 기타 유효 성분들을 모두 함유하는 하나의 층으로 구성된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 성분을 함유하는 약물(미백 성분) 전달층과 함께, 미백 성분을 치아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미백 성분의 효과 발현을 촉진하거나, 미백 성분과 함께 혼합될 경우 다른 성분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거나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상기 약물(미백 성분) 전달층 이외의 다른 추가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패치가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의 미백 패치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층만으로 이루어진 미백용 패치에 비해서 미백 성분 등 유효 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설계를 통해 목적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층 구조의 치아 미백 패치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백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백 패치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미백 패치 적용 전 치아 표면에 별도의 겔제를 도포한 후 미백 패치를 부착하는 방법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겔제는 물과 고분자(polymer)로 기본 점도를 형성한 후 원하는 효능 물질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고, 빠른 건조를 위해서는 물 대신 알코올을 고함량 함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두 가지 조성의 겔제는 단독 사용에는 무리가 없지만 패치와 함께 사용할 때, 물을 주요 용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패치가 미끄러져 적절한 안착이 되지 않아 원하는 부위에의 약물 전달이 어렵고, 알코올을 주요 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너무 빠르게 건조되면서 치아의 타액까지 함께 건조되어 패치가 치아에 부착되지 않아 적절한 약물의 전달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아 부착용 미백 패치가 치아 표면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미백 패치의 사용성, 사용용이성 및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겔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치아에 도포될 때 적절한 속도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효과적인 겔제의 조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 효과를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겔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겔제를 구성으로 포함하는 치아 미백 키트를 이용하여, 치아에 부착력이 우수하면서도 치아에 치아용 패치를 부착하기 용이하고, 또한 치아용 패치가 미백용 패치일 경우 미백 효과가 뛰어난 치아 미백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용 패치를 부착하기 위한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은 치아용 패치가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성이 향상된 것으로,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이용하고, 상기 물과 에탄올에 모두 용해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겔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치아 부착용 패치, 특히 건식 타입(dry type)의 치아 부착용 패치가 치아 표면에 잘 부착되면서, 약물의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겔 조성물은 치아 부착용 패치가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겔 조성물은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는 상기 겔 조성물을 도포한 후 부착될 치아 미백용 패치에 포함된 미백 성분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겔 조성물은 치아 점착성을 가지면서, 물과 에탄올 모두에 용해될 수 있는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오스(hydroxyprop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셀룰로오스;
잔탄검 (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카라게난검(carrageenan gum), 아라비아검(Arabic gum), 및 알지네이트(alginate g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검; 및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및 폴리옥스(polyox)로 이루어진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치아 부착용 패치 특히, 치아 미백을 위한 치면 부착용 패치에 포함된 미백 성분이 치면에 부착될 때 효과적으로 활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는 본 발명의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에 포함되며,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가 물에 용해된 상태로 치면에 도포될 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겔 제형을 캐리어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는 치아 미백 성분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제품 유통 시 미백 성분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된 안정화제에 의해 치아에 미백 활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한 미백 효과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과산화물의 활성화를 위한 성분들이 이용될 수 있고,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2가 또는 3가 금속촉매, pH 조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가 또는 3가 금속촉매는 과산화물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2가 또는 3가 금속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칼슘, 마그네슘, 망간, 구리, 철 또는 칼륨 이온을 방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마그네슘, 글루콘산마그네슘, 젖산철, 글루콘산철, 염화철, 황산망간, 글루콘산망간, 염화망간 및 구연산망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과산화물과 반응하여 퍼하이드록시라디칼을 발생시켜 치아미백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알칼리 pH조절제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EDTA-4N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알칼리 pH조절제는 조성물의 pH가 8~11이 되도록 적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 성분들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사용 시 안정화제가 미백 성분이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도록 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접착용 겔 조성물은 사용된 용매의 종류 및 비율에 따라 건조되는 속도가 달라지며, 치아 부착용 패치의 부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물과 에탄올을 동시에 용매로 사용할 때 치아 부착용 패치가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패치에 포함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패치가 치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착용 조성물 내 용매의 혼합비율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물 1 중량부 대비 에탄올 0.5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70 중량%이고, 에탄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에 포함된 물이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 패치가 미끄러져 치아 표면에 안착되지 않아 치아 표면의 원하는 부위에 약물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 포함된 에탄올이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의 건조가 너무 빠르고 타액까지 함께 건조되어 패치가 부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패치가 가장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겔 조성물의 용매 비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겔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 겔 조성물 내에 물과 에탄올을 함유하며,
물 및 에탄올에 모두 용해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겔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패치를 부착하기 위한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및
(b) 치아 미백 성분 및 선택적으로 치아 미백 성분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상 구조를 갖는 치아 미백용 패치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에 사용될 수 있는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과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과산화물로는 과산화 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 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borat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치아 미백을 위한 치아 부착용 패치는 미백 성분으로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치는 상기 과산화물의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과산화물과 상용성이 뛰어난 금속-콤플렉스제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과산화물 상용성이 좋은 안정화제로는 축합인산염 (polyphosphate)으로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또는 금속-킬레이트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페이트 및 그 염, 하이드록시에틸렌다이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 다이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부착을 위한 패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로는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139, S9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K-15~K120),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한 패치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을 빠르게 방출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친수성이며 물에 대한 용해성이 좋은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잔탄(Xanthan),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플루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가 치아의 굴곡면을 따라 유연하게 구부러지게 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피마자 오일(castor oil), 수소화 피마자 오일(hydrogenated castor oil) 등의 가소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상기의 미백 성분 함유 층 위나 아래에 새로운 층을 더 포함하고 있는 다층 구조의 치아 부착용 패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러한 새로운 층은 향료, 표백 활성화제, 잇몸 질환 개선제, 과수 안정화제 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패치는 구강 내 다른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위해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은 지지층의 목적상 주로 폴리에틸렌,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비용해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소제, 오일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는 사용 전에 제거하는 약물 전달층에 부착된 박리층(release lin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6,682,721호, 제6,689,344호, 제6,780,401호, 제6,946,142호 등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패치의 구성 성분과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용 겔 조성물은 치아 부착용 패치를 치아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치아 미백용 패치의 접착강도는 UTM(Universal Test Machine)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접착력은 55 gf/㎠ 내지 400 gf/㎠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60 gf/㎠ 내지 350 gf/㎠, 더욱 바람직하게는 63 gf/㎠ 내지 330 gf/㎠이다.
치아의 표면에 도포된 본 발명의 접착용 겔과 치아 부착용 패치와의 접착력이 55 gf/㎠ 미만일 경우 패치가 치아 표면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아 유효 성분의 전달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400 gf/㎠을 초과하는 경우 패치를 치아 표면에서 제거하기 어려워 치아 표면에 잔류물이 남을 수 있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 부착용 패치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편의성이 개선된 겔 제형의 접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겔 제형의 접착용 조성물은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치아 미백용 패치의 미백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는 치아 부착용 패치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편의성을 증대시켜 원하는 부위에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미백 패치의 제조>
하기 조성을 갖는 제1제(겔제) 및 제2제(패치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의 제1제는, 정제수 및 알코올 혼합용액에 염화철, 실리카, 및 사카린나트륨을 용해시킨 후 PVP 및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하였다. 사카린나트륨을 첨가하고 10분간 진공탈기하였다.
비교예 1의 제1제는 정제수 및 알코올 혼합용액 대신, 정제수만을 용매로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의 제1제는 에탄올만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제2제는 미국특허 제6,682,721호의 실시예 2와 같이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함량은 중량%로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겔제 염화철 0.5% 염화철 0.5% 염화철 0.5% 염화철 0.5% 염화철 0.5% 염화철 0.5% 염화철 0.5% 염화철 0.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실리카 9% 실리카 9% 실리카
9%
실리카
9%
실리카
9%
실리카
9%
실리카
9%
실리카
9%
사카린나트륨 1% 사카린나트륨 1% 사카린나트륨 1% 사카린나트륨 1% 사카린나트륨 1% 사카린나트륨 1% 사카린나트륨 1% 사카린나트륨 1%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정제수 to 100% 에탄올 to 100% 에탄올
10%
에탄올
20%
에탄올
30%
에탄올
40%
에탄올
50%
에탄올
6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패치제 과산화수소 3% 과산화수소 3% 과산화수소 3% 과산화수소 3% 과산화수소 3% 과산화수소 3% 과산화수소 3% 과산화수소 3%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PVP 10%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글리세린 5%
SAPP 0.5% SAPP 0.5% SAPP 0.5% SAPP 0.5% SAPP 0.5% SAPP 0.5% SAPP 0.5% SAPP 0.5%
풀루란 5% 풀루란 5% 풀루란 5% 풀루란 5% 풀루란 5% 풀루란 5% 풀루란 5% 풀루란 5%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정제수 to 100%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키트의 접착력 측정>
인공 치아 시편을 준비하여 미리 물을 가한 후 표면의 물기는 닦아내어 Wet 상태로 만들고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의 겔제를 도포한 약 1분 후 패치를 부착한다. 일정한 힘으로 동일 시간 동안 힘을 가해 눌러준 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패치를 떼어낼 때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다.
Pre-load : 1gf
Pre-load speed : 2mm/s
Test speed : 5mm/s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필요힘 50gf/㎠ 15gf/㎠ 65gf/㎠ 120gf/㎠ 280gf/㎠ 305gf/㎠ 310gf/㎠ 270gf/㎠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정제수만을 용매로 사용한 비교예 1과 에탄올만을 용매로 사용한 비교예 2에 비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은 부착된 패치를 떼어낼 때 더욱 많은 힘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할 때 패치의 부착이 더욱 용이할 것이라는 예측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생각된다.
특히, 에탄올과 물의 혼합비율에 따라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에탄올: 정제수의 비율이 약 2:1인 실시예 5의 경우, 패치를 제거하는데 가장 많은 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0)

  1. 치아용 패치를 부착하기 위한 겔 조성물로서,
    상기 겔 조성물은 조성물 내에 겔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을 함유하며,
    물 및 에탄올에 모두 용해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겔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패치의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은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및 에탄올에 모두 용해 가능한 고분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오스(hydroxyprop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셀룰로오스;
    잔탄검 (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카라게난검(carrageenan gum), 아라비아검(Arabic gum), 및 알지네이트(alginate g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검; 및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폴(carbopol),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및 폴리옥스(polyox)로 이루어진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1 중량부 대비 에탄올 0.5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조성물 내의 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70 중량%이고, 에탄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 성분 활성제는 2가 또는 3가 금속촉매, pH 조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8. (a) 겔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 겔 조성물 내에 물과 에탄올을 함유하며,
    물 및 에탄올에 모두 용해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겔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패치를 부착하기 위한 치면 접착용 겔 조성물; 및
    (b) 치아 미백 성분 및 선택적으로 치아 미백 성분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상 구조를 갖는 치아 미백용 패치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을 위한 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 성분은 과산화 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 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 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 나트륨(sodium perborat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치면 접착용 조성물을 치아 표면에 도포한 후, 상기 치아 미백용 패치를 부착시키며,
    상기 치면 접착용 조성물과 상기 미백용 패치의 접착력이 55 gf/㎠ 내지 400 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40035298A 2014-03-26 2014-03-26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KR10213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298A KR102131272B1 (ko) 2014-03-26 2014-03-26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298A KR102131272B1 (ko) 2014-03-26 2014-03-26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651A Division KR102241995B1 (ko) 2020-06-26 2020-06-26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667A true KR20150111667A (ko) 2015-10-06
KR102131272B1 KR102131272B1 (ko) 2020-07-07

Family

ID=5434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298A KR102131272B1 (ko) 2014-03-26 2014-03-26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27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186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54902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WO2017123020A3 (ko) * 2016-01-13 2017-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용 제제
KR20190108097A (ko) * 2015-10-28 2019-09-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17466A (ko) * 2015-11-10 2019-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US10603252B2 (en) 2015-09-09 2020-03-3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026868B2 (en) 2015-10-06 2021-06-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CN113116733A (zh) * 2020-01-13 2021-07-16 株式会社Lg生活健康 牙齿包裹材料及其牙齿用套件、使用方法及牙齿美白方法
CN114028242A (zh) * 2021-10-12 2022-02-11 南昌思麦科技有限公司 一种易剥离的牙齿美白干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784A (ko)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부착제
KR20040061731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수용성 점착제 용액과 수용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취로구성되는 패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미백 방법
KR100458336B1 (ko) * 2001-06-23 2004-1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20060094713A (ko) *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KR20060097172A (ko) * 2005-03-04 2006-09-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KR20060118670A (ko) * 2005-05-17 2006-11-24 (주)아모레퍼시픽 치아미백용 겔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36B1 (ko) * 2001-06-23 2004-1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20040000784A (ko)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 부착제
KR20040061731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수용성 점착제 용액과 수용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취로구성되는 패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미백 방법
KR100550066B1 (ko) * 2002-12-31 2006-02-08 주식회사 태평양 수용성 점착제 용액과 수용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패취로구성되는 패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미백 방법
KR20060094713A (ko) * 2005-02-25 2006-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KR20060097172A (ko) * 2005-03-04 2006-09-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KR20060118670A (ko) * 2005-05-17 2006-11-24 (주)아모레퍼시픽 치아미백용 겔 조성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3252B2 (en) 2015-09-09 2020-03-3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654090B2 (en) 2015-10-06 2023-05-2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229582B2 (en) 2015-10-06 2022-01-2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US11026868B2 (en) 2015-10-06 2021-06-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KR20190108097A (ko) * 2015-10-28 2019-09-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49186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17466A (ko) * 2015-11-10 2019-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54902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US10925830B2 (en) 2016-01-13 2021-02-2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eparation for oral cavity
WO2017123020A3 (ko) * 2016-01-13 2017-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용 제제
CN114306214A (zh) * 2016-01-13 2022-04-12 株式会社Lg生活健康 口腔用制剂
CN114344249A (zh) * 2016-01-13 2022-04-15 株式会社Lg生活健康 口腔用制剂
US11872310B2 (en) 2016-01-13 2024-01-16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eparation for oral cavity
CN113116733A (zh) * 2020-01-13 2021-07-16 株式会社Lg生活健康 牙齿包裹材料及其牙齿用套件、使用方法及牙齿美白方法
CN114028242A (zh) * 2021-10-12 2022-02-11 南昌思麦科技有限公司 一种易剥离的牙齿美白干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272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272B1 (ko)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JP3957685B2 (ja) 多層構造の歯牙美白パッチ
US20180289606A1 (en) Multi-film delivery system for multi-component teeth whitening, desensitization and remineralization compositions
TWI767887B (zh) 通過刷牙可去除的牙齒貼片
JP7407791B2 (ja) 水性口腔ケアヨウ化物含有組成物、方法、及びキット
US10195129B2 (en) Oral composition for tooth whitening product, and kit comprising same
KR100662203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102241995B1 (ko)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KR102182976B1 (ko) 치아 또는 치아 주변 조직 부착용 패치
KR102025751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17466A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1983824B1 (ko) 전이 방지층이 포함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187824B1 (ko) 치면 부착용 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0471920B1 (ko) 드라이 타입의 치아 미백 패취
KR101812291B1 (ko) 패치형 치아 미백 제품
KR102034156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50111654A (ko) 치아 미백 효과 증진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315452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024539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361348B1 (ko)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KR102311086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US10758469B2 (en) Oral composition for tooth whitening product, and kit comprising same
JP2018530562A (ja) 歯磨きで除去可能な歯牙付着用パッチ
JP2018530562A5 (ko)
KR102114128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