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612B1 -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 Google Patents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612B1
KR101065612B1 KR1020050016097A KR20050016097A KR101065612B1 KR 101065612 B1 KR101065612 B1 KR 101065612B1 KR 1020050016097 A KR1020050016097 A KR 1020050016097A KR 20050016097 A KR20050016097 A KR 20050016097A KR 101065612 B1 KR101065612 B1 KR 10106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ooth
copolymer
whitening agent
exper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713A (ko
Inventor
윤세영
곽상훈
김한수
장석윤
최안기
김지영
양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1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6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능이 개선된 건식 타입의 치아 미백 부착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약물층에 수분이 닿으면 접착력을 가져 치아에 붙이기 쉬운 고분자에 물에 의한 용해성이 좋은 고분자를 첨가하여 접착력을 유지 하면서도 약물층에서 치아 미백 성분이 방출되는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짧은 시간 사용시 치아 미백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한 사용시간이 줄어들어서 이용이 편리하다.
치아미백, 건식, 용해성, 사용시간

Description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Fast dissolving dry type tooth whitening strip}
본 발명은 tray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치아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치아를 하얗게 하는 건식 치아 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용해성이 좋은 고분자에 의해 치아미백성분의 방출이 빨라져 단위시간당 효과가 상승되며 사용시간이 짧아 사용이 편리하도록 고안된 치아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다공성으로 이루어진 무기질이라고 볼 수 있다. 약물, 흡연, 음식물 등 치아 변색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공통적으로 치아가 하얀 색이 아닌 다른 색을 띠는 이유는 다공성의 치아의 특징 때문에 치아 내부의 미세 공간에 색을 띠는 물질이 침착되게 되고 그 물질들이 쌓이면서 노란 색을 띠는 것이다. 사람들은 미용이나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하얀 치아를 원해왔고, 1960년대 말에 처음으로 표준화된 치아미백 방법이 치과에서 행해진 후에 여러 가지 치아미백 방법이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치아 내부에 있는 색을 띠는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과산화물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종래 치아에 약물을 전달하는 가장 대표적인 제형인 치약의 경우에는 제형의 특성상 치아에 물을 전달하는 시간이 3분 이내로 짧아 충분한 미백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때문에 약물을 치아에 전달할 수 있는 시간을 오래 가져갈 수 있는 형태의 치아 미백제가 필요했다.
기존 치과에서 사용하던 트레이(tray)를 가정용으로 개선한 제형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고농도의 과산화물 겔을 트레이(tray)에 담아 도포해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하고 트레이를 착용하는 동안 다른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게 되고, 바깥으로 새는 과산화물 겔에 의한 잇몸의 손상, 트레이(tray)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 등 여러가지 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었고 치과 의사들에 의해 시술이 이루어지므로 가격이 비싸서 많은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트레이(tray)를 사용하지 않는 여러 가지 제형의 연구되고 발전 되어져 왔다. 미국 특허 제 5,310,632호에서 처음으로 과산화물이나 미백효능 물질을 캡슐화하여 첨가하는 부착제가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는 손에 묻어나고 캡슐 상태로 미백효능이 제대로 전달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별다른 부착력이 없어 떨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피엔지(Procter & Gamble)사는 미국 특허 제5,879,691호, 제5,891,453호, 제5,989,569호에서 폴리에틸렌 필름에 치아 미백성분인 과산화물을 포함한 카보머 겔을 도포한 후 부착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것은 부착력을 가진 고분자를 이용하여 부착력을 개선하였고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은 점에서 발전하였으나 여전히 완전한 부착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사용할 때 손에 묻어나는 단점이 있다.
콜게이트(Colgate)사는 미국특허 제6,419,906호에서 열가소성이 있는 에틸렌 옥사이드 고분자와 미백성분로서 고형의 과탄산염(percarbonate)을 사용한 치아미백제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에틸렌 옥사이드 고분자만으로는 원하는 치아 부착성을 가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착층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용해되어 원하는 시간만큼 약물 전달하기가 어렵고, 같은 이유로 구강의 다른 점막에 붙어 자극을 일으키기 쉬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2-96264호, 제10-2002-97297호, 제10-2002-97298호, 제10-2003-299호, 제10-2003-1297호, 제10-2003-3973호에선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친수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품이 건식이어서 손에 전혀 묻어나지 않아 사용에 편리하며 건조 상태에서 접착력이 없다가 치아의 수분과 접촉시 접착력을 나타내는 형태의 치아미백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건식 미백 패취의 경우 건조된 상태로 치아에 접착된 후 일정시간이 지난후에 수화되면서 약물이 방출되기 시작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초기용출속도를 개선함으로써 치아미백성분의 방출을 높여 더욱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발명은 트레이(tray)나 젤(gel)에 비해 사용하기 편한 건식치아미백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고분자가 수화되면서 치아 미백성분을 방출하는 초기 속도를 빠르게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미백효과를 내는 치아미백 패취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에 있는 수분에 의해 치아와 접 착되는 성질을 갖는 고분자에 수분에 의해 약물이 방출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고분자를 첨가하고 치아미백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치아미백 부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아미백 부착제 포함되는 성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치아미백제의 미백물질 전달에 치아 점착성을 갖는 역할을 하는 고분자로는 물에 의해 수화되는 성질을 가져야 하므로 친수성 고분자이거나 적어도 약간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고분자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139, S9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15~K120),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고분자의 용매로는 주로 물, 에탄올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다른 유기용매들,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토니트릴 단독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약물의 방출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제품에 포함되는 고분자로는 친수성이며 물에 대한 용해성이 좋은 고분자를 포함한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잔탄(Xanthan)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플루란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친수성 고분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들은 치아미백제가 접착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0.2 ~ 50중량% 사용할 수 있다.
치아 미백제는 치아에 접착력을 지녀야 하지만 고르지 않은 치열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치아의 굴곡에 맞게 잘 구부러지는 특성을 지녀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유연성이며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원하는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적당한 가소제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 사용 가능하다.
치아미백에 쓰이는 과산화물질이나 치아에서 과산화물질을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의 안정성은 치아미백제품의 효능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안정성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안정화제로는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염,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염, 알킬 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 스판 20(Span 20; Sorbitan Monolaurate), 스판 40(Span 40; Sorbitan Monopalmitate), 스판 60(Span 60; Sorbitan Monostearate), 스판 80(Span 80; Sorbitan Monooleate), 스판 85(Span 85, Sorbitan Trioleate), 트윈(TWEEN; POE sorbitan fatty acid ester)계,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 소르 베이트(POE(20) Sorbitan Monolaurate, POE(20) Sorbitan Monostearate, POE(20) Sorbitan Monooleate, POE(20) Sorbitan Tristearate, POE(20) Sorbitan Trioleate)이다. 이들 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약물층에는 과산화물의 경시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킬레이팅제, 예를 들어 EDTA나 구연산나트륨, Dequest 포스포네이트 류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물층에 첨가되는 치아 미백 성분으로는 과산화물, 폴리 인산염, 효소, 염소계 표백물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산염과 효소는 에나멜 부착층에 함유된 주요 stain 제거에 효과적이다. 폴리 인산염으로는, 예를 들어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그리고 울트라 인산염인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및 산성 폴리인산염(acidic sodium polyphosph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 인산염은 치약에서 치석 제어(tartar control)제로 치석 생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은 금속의 좋은 킬레이팅제로 치아의 stain 중에서 음식물이나 작업 환경 속의 철, 칼슘, 마그네슘 등의 금속에 의해 생성된 치아 stain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미백 효과의 향상에 다소 기여할 수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이들 폴리 인산염을 사용할 경우, 심하지 않은 외인성 오염(light extrinsic stain) 제거에 의한 미백 효과 향상 뿐 아니라 치아와 축합 인산염의 접촉 시간을 연장해 주어 치석 형성 억제나 치석 제거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염소계 표백물로는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이 있다. 이밖에 파파인, 비타민 E 및 중조 등도 미백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지지층(backing Layer)은 타액, 구강내 접촉 등 물리적, 화학적인 접촉으로부터 내부(중간층, 약물층)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거나, 제품의 형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려면 그 재료로 수불용성 고분자나 부분적으로 물에 녹는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고분자로는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락(Shellac),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Yukaformer: 제조회사 Mitsubishi, methacryloylethyl betain/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Eudragit L 100, Eudragit L 12,5, Eudragit L 100-55, Eudragit L 30D-55),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Eudragit E 100, Eudragit E 12,5, Eudragit RL 100, Eudragit RL 30D)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장용성 코팅(enteric coating) 물질도 pH 6 내지 8 사이의 구강 조건 내에서 일정한 시간을 두고 녹는 고분자라면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용매를 사용하는 캐스팅(casting) 공정 외에, 열가소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압출(extrusion) 방법으로 쉬트(sheet)를 만드는 방법도 가능하다.
지지층(backing layer) 역시 부착 점착제층이나 과산화물을 함유한 약물층과 같은 이유로 여러 가소제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가소제(plasticizer)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외에도 사용한 용매에 따라 더 많은 종류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피마자유(caster oil),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er oil)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치아 부착형 미백용 패취를 제조하였다. 양에 따른 오차를 없애기 위해 각각 동량을 사용하였다.
제조방법: 이형제 위에 약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지지층을 도포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2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3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5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4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5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잔탄(xanthan) 1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6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잔탄(xanthan) 5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7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5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8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15%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 폴리비닐 알코올 1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중량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2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2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3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5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4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폴리아크릴산 1 중량 0%,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5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1 중량%, 물을 가해 100 %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6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젤라틴(gelatin) 5 중량%, 물을 가해 100 %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 글리세린 5 %,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7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알긴산 (sodium alginate) 5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8
1. 약물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중량%, 과산화 수소 5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에탄올 30 중량%,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15 중량% 물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2. 지지층 제조용액: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에탄올을 가해 100 중량%로 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약물층의 용출속도 측정
수분이 있는 상황에서 약물층이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사라지는데 걸리는 시 간을 측정하였다. 장치를 이용하여 약물층이 물에 닿고 지지층은 공기를 향하게 고정시킨 후, 물을 적당한 속도로 교반하면서 관찰하면 약물층이 녹으면서 지지층만 남게되는데 이때 지지층만 남아서 패치가 투명하게 보일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구분 완전 용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초) 비고
실시예1 403 평균치(각 5회 실험)
실시예2 380 평균치(각 5회 실험)
실시예3 350 평균치(각 5회 실험)
실시예4 316 평균치(각 5회 실험)
실시예5 335 평균치(각 5회 실험)
실시예6 328 평균치(각 5회 실험)
실시예7 339 평균치(각 5회 실험)
실시예8 305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1 579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2 580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3 583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4 510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5 580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6 556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7 460 평균치(각 5회 실험)
비교예8 590 평균치(각 5회 실험)
위의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에서 제조한 것이 비교예에 비해 녹는 속도가 빨랐다. 즉, 본 발명의 제제에서 특정 고분자들이 미백패치의 약물방출속도가 빨라지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 (354초)과 실시예 2 (341초)에 비해 실시예 4 (316초)가 훨씬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의 함량의 차이만 있는 것으로서 고분자의 함량 증가에 따라 약물의 용출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미백효과
시간에 따른 미백효과
치아부착형 미백패취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오염된 시편의 제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분말을 IR 프레스로 태블릿을 만들어 1000℃에서 소결한 후 에폭시 수지로 몰딩하여 수지를 만들고, 강산으로 표면을 에칭시킨 다음 차, 커피, 철, 뮤신을 녹인 TSB(trypticase soy broth) 용액에 시편을 담갔다가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이 조작을 1 주일 계속하여 시편을 오염시켰다. 오염시킨 시편을 흐르는 물에 칫솔로 가볍게 씻어 주어 물에 의해 녹거나 쉽게 제거되는 오염을 제거해 준 다음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2. 미백효과 평가 1
오염시킨 시편의 명도를 측정하여 L값으로 표기하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한 부착형 치아미백 패취를 물에 적신 시편에 부착한 후, 구강조건과 비슷하게 하기 위하여 온도를 37℃, 습도를 95%로 맞춘 항온 항습기에 넣고 6시간 후에 치아 미백용 패취를 떼고 흐르는 물에서 가볍게 남아 있는 물질을 닦아 낸후 건조시켜 L값을 측정하고 초기값과의 변화량을 기록한다.(L값의 변화가 클수록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다.)
구분 치아미백 변화량(L) 비고
실시예1 38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2 35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3 34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4 33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5 39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6 34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7 36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8 32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1 38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2 35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3 34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4 36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5 37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6 39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7 32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8 37 평균치(각 10회 실험)
위의 표 2에서 보듯이 효과 면에서는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약물이 충분히 방출될 수 있는 시간을 주면 초기에 약물이 빨리 방출되는 것과 상관없이 같은 양을 함유하면 같은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3. 미백효과 평가 2
오염시킨 시편의 명도를 측정한 후 그 값을 L값으로 표기하고, 상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한 부착형 치아미백 패취를 물에 적신 시편에 부착하고, 구강조건과 비슷하게 하기 위하여 온도를 37℃, 습도를 95%로 맞춘 항온 항습기에 넣고 30분 후에 제거한 후, 남아 있는 물질을 닦아낸 후 건조시킨다. 이 과정을 10회 반복한 후 L값을 측정한 후 초기값과의 변화량을 기록한다.(L값의 변화가 클수록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다.)
구분 치아미백 변화량(L) 비고
실시예1 36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2 32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3 33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4 35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5 35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6 36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7 31 평균치(각 10회 실험)
실시예8 30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1 23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2 20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3 19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4 21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5 23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6 16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7 19 평균치(각 10회 실험)
비교예8 22 평균치(각 10회 실험)
위의 표3에서 보듯 실시예에서의 치아미백 변화량이 비교예에서의 변화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유는 패치 부착후 초기에 약물이 나오는 양이 비교예의 경우보다 실시예의 경우가 크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더 많은 효과를 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경시안정성
치아 부착형 미백패취의 주요 활성성분인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치아 미백제 내의 과산화물 평가 방법
삼각 플라스크에 패취의 모든 층을 녹일 수 있는 혼합 용매를 취하고, 적당한 양의 패취를 정확히 무게를 측정하여 완전히 녹이고, 여기에 6 N 염산을 5 ㎖ 정도 취하고 요오드화 칼륨을 약 2 g 녹여 냉암소에 1 시간 정도 방치한 후 50 mM 티오설페이트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하여 패취 내 과산화물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보관 온도는 40℃, 습도는 75% 항온 항습이었고, Al-Pouch에서 4주 보관 후 평가한 것이다.
구분 과산화물 잔존량(%) 비고

실시예
실시예2 84 각 10회 실험
실시예6 92 각 10회 실험
실시예7 94 각 10회 실험

비교예
비교예2 70 각 10회 실험
비교예4 60 각 10회 실험
비교예7 86 각 10회 실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경시안정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실시예의 구성 고분자중에서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실시예에서 가장 좋은 경시 안정성을 보였다. 비교예 중에서 비교적 약물 용출속도가 좋았던 물질 중에서 비교예 4의 경우 경시안정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본 발명은 성능이 개선된 건식 타입의 치아 미백 부착제에 관한 것으로 약물층에 수분이 닿으면 접착력을 가져 치아에 붙이기 쉬운 고분자에 물에 의한 용해성이 좋은 친수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접착력을 유지 하면서도 약물층에서 치아 미백 성분이 방출되는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짧은 시간 사용시 치아 미백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한 사용시간이 줄어들어서 이용이 편리하다.

Claims (7)

  1. 치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치아미백제제에 있어서, 약물층에 약물층의 용해를 증가시키는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치아미백성분의 용출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약물층의 용해를 증가시키는 친수성 고분자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잔탄(Xanthan),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플루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제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의 용해를 증가시키는 친수성 고분자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중량의 0.2 중량%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제제.
  4. 제 1항에 있어서, 치아미백성분이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peroxidat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제제.
  5. 제 1항에 있어서, 약물층에 접착력을 지니는 고분자로서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제제.
  6. 제 1항에 있어서, 치아 부착형 미백제의 유연성을 위해 가소제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제제.
  7.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층에 사용하는 고분자로서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락(Shellac),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부착형 미백제제.
KR1020050016097A 2005-02-25 2005-02-25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KR10106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097A KR101065612B1 (ko) 2005-02-25 2005-02-25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097A KR101065612B1 (ko) 2005-02-25 2005-02-25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713A KR20060094713A (ko) 2006-08-30
KR101065612B1 true KR101065612B1 (ko) 2011-09-19

Family

ID=3760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097A KR101065612B1 (ko) 2005-02-25 2005-02-25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272B1 (ko) * 2014-03-26 2020-07-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용 패치의 부착성이 향상된 겔 조성물
NZ741276A (en) 2015-09-09 2024-01-26 Lg H&H Co Ltd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brushing
KR102034156B1 (ko) * 2015-11-10 2019-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US11229582B2 (en) 2015-10-06 2022-01-2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tch for tooth attachment able to be removed by tooth brushing
KR102309837B1 (ko) * 2015-11-10 2021-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AU2017206470B2 (en) 2016-01-13 2022-08-1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reparation for oral cavity
KR102010417B1 (ko) * 2016-01-13 2019-08-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용 제제
CN105640787A (zh) * 2016-01-26 2016-06-08 浙江浙北药业有限公司 一种美白牙贴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97A (ko) * 2001-06-23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97A (ko) * 2001-06-23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713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336B1 (ko) 여러 층으로 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1065612B1 (ko) 속박성 건식 치아미백패취
JP2003526648A (ja) 歯牙美白用パッチ
KR100647974B1 (ko)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KR100455228B1 (ko) 반투명한 치아 미백용 패취
AU2016319622A1 (en) Tooth-attachable patch capable of being removed by toothbrushing
KR100471918B1 (ko) 치아 미백 용 패취
KR20020045224A (ko)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아 미백용 패취제
KR101154932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치아미백용 패취
KR100553433B1 (ko) 성능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미백용 패취 제제
KR101277276B1 (ko)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약
KR100873274B1 (ko) 필름 타입 치약 조성물
KR101173602B1 (ko) 치아 탈착 성능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KR100457271B1 (ko) 과산화물이 안정화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2025751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17466A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0471920B1 (ko) 드라이 타입의 치아 미백 패취
KR101197673B1 (ko) 산화효소를 이용한 치아미백제
KR100471921B1 (ko) 사용감이 개선된 치아 미백 용 패취
KR102034156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315452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275877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08549A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114128B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49186A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