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13B1 - 구강 패치 - Google Patents

구강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13B1
KR102151313B1 KR1020180145285A KR20180145285A KR102151313B1 KR 102151313 B1 KR102151313 B1 KR 102151313B1 KR 1020180145285 A KR1020180145285 A KR 1020180145285A KR 20180145285 A KR20180145285 A KR 20180145285A KR 102151313 B1 KR102151313 B1 KR 10215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adhesive portion
patch
oral cavity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932A (ko
KR102151313B9 (ko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코자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코자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코자임
Priority to KR102018014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3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13B1/ko
Publication of KR10215131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1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는 유효물질을 포함하고, 타액에 의해 완전히 용해되는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점착부보다 구강 내에서 먼저 제거되어 상기 유효물질이 구강 내로 방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비점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패치{A PATCH FOR ORAL CAVITY}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점착되면서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구강 패치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구강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대표적인 노인성 구강질환인 잇몸질환의 진료비도 증가 추세에 있다.
구강질환에 따른 개인 및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는데, 국내 외래진료 다빈도 상병 현황 순위 내에 구강관련 2개 상병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1위가 치아 및 치주질환으로 나타났으며, 12위는 치아우식증(충치)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구강질환의 조기 예방과 치료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잇몸병, 구강건조증 등에 대한 만족스러운 예방 및 치료제가 없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구강질환의 원인이 되는 구강 내에 존재하는 바이오필름(biofilm) 조절 기능이 없어서 근본적인 예방 및 치료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시중에서 잇몸병과 관련해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스테로이드 유사성분으로 염증만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효과만 있으며, 치아우식증(충치) 관련 예방 제품으로는 자일리톨 껌과 불소 강화 치약, 가글 등이 있으나 뛰어난 예방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다.
최근에는, 구강 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구감점막용 패치가 소개된 바 있다. 이러한 패치는 일면은 소수성이고, 다른 일면은 친수성인 섬유 지지체로 형성되어, 소수성 면을 통한 타액의 침투 및 약물이 구강 내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강 내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을 점막에 직접 흡수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치아에 부착할 수 있는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가 소개된 바 있다. 이러한 패치는 치아에 부착하여 약물을 치아에 전달하고, 구강 내의 타액에 의해 용해되어 떼어낼 필요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치들은 약물이 점막 또는 치아에 흡수되어 생리적인 기능을 발휘하므로, 구강 내로 유효물질이 방출되어 작용하여야 하는 구취 제거 등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장기적인 효과가 있으며,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물질을 점막에 직접 흡수시키지 않아도,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물질이 섭취되며, 타액에 의해 완전히 용해되어 탈착하지 않아도 되는 구강 패치를 개발하였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108703 (공개, 2016.09.20.) 한국특허등록 제10-0647974 (공고, 2006.11.2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강 내에 점착하면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유효물질을 구강 내로 방출할 수 있는 구강 패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는 수용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제제로 형성된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상온에서는 고체로 존재하고 구강온도에서 융해되는 식물성 지방으로 형성되는 비점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 지방은 팜유(palm oil) 또는 코코아 버터(cocoa butter)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지방의 융점은 30도 내지 37도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는 유효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물질은 아연화합물, 비타민, 천연 추출물, 항진균제, 항염증제, 마취제, 항균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물질은 구강 내에서 상기 비점착부가 용해된 후, 상기 점착부의 일면 방향인 구강 내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의 타면은 구강 타액에 의해 용해되어 구강점막,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될 수 있다.
상기 비점착부는 구강 내에서 상기 점착부보다 빨리 녹을 수 있다.
상기 점착부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박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부는 상기 점착부로부터 탈착되며, 수불용성(water-insoluble)이고 수불투과성(water-impermeable)인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강 패치가 구강 내의 타액에 의해 용해되면서 아연화합물, 비타민 등의 유효물질이 구강 내로 장기간 지속적으로 방출됨으로써 침과 함께 섭취되어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착부의 일면 위에 점착부보다 구강 내에서 먼저 제거되는 비점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구강 패치를 사용하기 전에는 점착부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물질이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강 패치가 구강점막에 점착된 후에는 비점착부가 바로 융해되어 유효물질이 구강 내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는 점막부가 구강 내의 타액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강점막,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한 후 스스로 완전 용해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탈착할 필요가 없어 탈착에 대한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 패치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를 윗턱 구강점막에 부착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의 유효물질이 구강 내로 방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강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를 사용한 후의 구강 내 아연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를 사용한 후의 구강 내 구취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패치"라는 용어는 특정 성분을 담은 부착형 제형을 의미하며, 패치의 형태 또는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 패치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를 윗턱 구강점막에 부착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의 유효물질이 구강 내로 방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1000)는 점착부(100)와 점착부(100)의 일면에 위치하는 비점착부(200)를 포함한다.
점착부(100)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물질(110)을 포함하고, 구강점막(1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유효물질(110)은 아연 화합물, 비타민, 구강 병원균에 대한 항균성과 항바이오 필름 활성을 지닌 천연 추출물, 항진균제, 항염증제, 마취제, 항균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 목적을 위한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연 화합물은 염화아연, 황산아연, 글루콘산아연, 아세트산아연, 시트르산아연, 킬레이트화아연, 살리실산아연, 질산아연,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징크 카보네이트(zinc carbonate), 징크 올레이트(zinc oleate), 징크 플루오라이드(zinc fluoride), 징크 아세테이트(zinc acetate), 징크 포르메이트 (zinc formate), 징크 락테이트(zinc lactate), 징크 암모니움 설페이트(zinc ammonium sulfate), 징크 니트레이트(zinc nitrate), 징크 설포네이트(zinc sulfonate), 징크 클로라이드(zinc chloride), 징크 설페이트(zinc sulfate), 징크 시트레이트(zinc citrate), 징크 글리세로포스페이트(zinc glycerophosphate), 징크 타르타레이트(zinc tartarate), 또는 이들의 아연 복합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연은 휘발성 황화물(VSC)과 반응하여 불용성 무취의 황화아연(zinc sulfide)를 형성하고, 항균작용으로 구강 내 미생물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휘발성 황화물(VSC)의 전구물질인 티올기(-SH)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구취예방 및 구취제거에 효과적이다. 또한, 아연은 세포의 분화, 증식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여 성장, 조직 및 골격형성, 생식, 면역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연의 황산화작용으로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1000)의 유효물질이 아연 화합물인 경우에는, 아연 화합물 중 아연의 함유량은 1mg 이상 30mg 이하로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 화합물 중 아연을 1mg 미만으로 형성하면 구취예방 및 구취제거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30mg 초과하면 아연의 과다섭취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효물질(110)이 비타민인 경우에는 비타민B12 또는 비타민A일 수 있다.
비타민B12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코발라민으로 불리며 적혈구 생성, 신경기능, DNA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메티오닌 합성과 L-메틸말로닐-보조효소A-뮤타제(L-methylmalonyl-CoA mutase) 합성의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또한 신경기능을 위한 수초(미엘린)의 유지에 필요한 성분이다.
특히, 비타민B12 결핍될 경우 신체 말단의 따끔거림, 무감각, 운동장애, 인지능력 장애 등의 신경장애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비타민A는 치주염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이다.
일 실시예로, 유효물질(110)이 천연 추출물인 경우에는 우방자, 갈화, 자화지정, 익모초, 팥꽃, 초오, 익모초, 황기, 인삼, 지모(anemarrhena), 치자나무, 금앵자, 지부자, 연전초, 고량강, 과체, 화피, 청상자, 천련자, 조협, 봉선화, 황금/목단피, 씀바귀, 감초, 정향, 가지꼭지, 백지, 구기자, 솔잎, 나비꽃, 멘톨, E-M, 무환자(Sapindus mukurossi Gaerth), 매실, 돼지감자, 감태, 아마란스, 카사바(cassava), 퍼슬린(purslane), 파슬리(parsley), 차이브(chives), 발효 허브, 후박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한 천연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효물질(110)이 항진균제인 경우에는 니스타틴, 플루코나졸, 이트라코나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효물질이(110)이 항염증제인 경우에는 스테로이드계(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아세타미노펜, 스테로이드계(프레드니솔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유효물질이(110)이 마취제인 경우에는 리도카인, 프로카인, 부피바카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항균제인 경우에는 CPC(세티리피리디늄)일 수 있다.
점착부(100)의 일면(130)은 유효물질(110)이 방출되는 방출면이고, 점착부(100)의 타면(150)은 구강 내 점막(1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되는 점착면이다.
점착부(100)는 구강 내 타액 또는 혀의 접촉에 의해 서서히 완전히 용해되고, 구강 내 타액에 의해 일부 용해되어 구강점막(1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될 수 있는 생분해성 점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강 패치(1000)의 점착면(150)을 구강점막(10) 또는 치아를 향하도록 2 내지 3초간 누르고 있으면 점착부(100)가 구강 내 타액에 일부 용해되어 구강점막(1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될 수 있다.
점착부(100)에 포함되는 생분해성 점착물질은 수성의 계 내에서 겔 또는 점성 용액을 형성한다. 생분해성 점착물질은 표면과의 부착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공지된 다양한 점착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세포 또는 조직을 포함하는 생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의 수용성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수용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제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생분해성 수용성 중합체면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제제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카라기난이 포함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소듐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메타아크릴산 기재의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산, 또는 하이프로멜로스, 히알루론산, 셀룰로오스 검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부(100)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점착물질은 부착 후 일정한 시간 대략적으로 6시간 내지 10시간 정도가 지나면서 구강 내의 타액에 의해 스스로 완전히 용해됨으로써, 구강점막(2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한 후 사용자가 별도로 탈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비점착부(200)는 점착부(100)의 일면(130)에 형성된다.
비점착부(200)는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구강온도에서는 액체로 녹는 식물성 지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어 융점이 30 내지 37도인 팜유(palm oil), 코코아 버터(cocoa butte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팜유(palm oil), 코코아 버터(cocoa butter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융점이 30 내지 37도인 식물성 지방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쉐어(shea butter), 피스타치오 버터(pistachio)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지방은 포화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어서 녹는점이 높다. 상온에서는 고체 형태로 존재하며, 구강온도에서는 액체로 녹아야 하기 때문에 융점이 30 내지 37도인 식물성 지방이 사용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지방의 융점(melting point)이다.
종류 융점(℃)
팜유(palm oil) 31 내지 38
코코아 버터(cocoa butter) 30 내지 3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1000)의 비점착부(200)는 상온에서는 고체로 존재하고 구강온도에서는 융해되는 식물성 지방으로 형성됨으로써, 구강점막(1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되기 전에는 점착부(100)의 일면(130)에 고체로 형성되어 있다가, 구강 내 구강점막(10) 또는 치아에 점착된 후에는 융해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1000)는 구강점막(1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 에 점착된 후 비점착부(200)가 구강온도에서 의해 빨리 융해되고, 점착부(100)는 구강 내 타액에 의해 서서히 용해되기 때문에, 비점착부(200)는 유효물질(110)이 점착부(100)의 일면(130)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비점착부(200)는 구강점막(10),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된 후 빨리 융해되기 위해서 점착부(100)의 일면(130) 위에 식물성 지방으로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비점착부(200)는 분말형태로 점착부(100)의 표면에 산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1000)의 비점착부(200)는 사용자가 구강 패치(1000)를 구강점막(10) 또는 치아에 부착하기 전에는 고체형태로 존재해서 유효물질(110)이 구강 패치(1000)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착 후에는 융해됨으로써 유효물질(100)이 구강 내로 방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1000)는 구강점막(10)에 점착된 후 비점착부(200)가 바로 융해되어 유효물질(110)이 구강 내로 방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1000)는 구강 내에서 비점착부(200)가 융해된 후 점착부(100)가 구강 내 타액에 의해 서서히 용해되면서 점착부(100)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화합물, 비타민 등의 유효물질도 구강 내로 장기간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침과 함께 섭취됨으로써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구강 패치(1000)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물질이 구강점막(20)을 통해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구강 내로 방출되어 침과 함께 지속적으로 장기간 섭취되어야 하는 구취, 구강 건조증 등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강 패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강 패치(1000)는 점착부(100)의 타면 상에 박리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리부(300)를 점착부(100)의 타면 상에 형성함으로써, 구강 패치(1000)를 구강 점막,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하기 전에 외부 물질로부터 구강 패치(100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부(300)는 수불용성(water-insoluble)이고 수불투과성(water-impermeable)인 폴리머를 사용하여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박리부(300)는 수분에 의해 용해되지 않고, 수분이 거의 통과하지 않으며, 시각적으로도 거부감을 가지지 않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박리부(300)로 사용가능한 폴리머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그릴산 공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yukaformer), 메타아크릴 공중합체,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udragit E, RL),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PVC, 폴리우레탄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아래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구강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의 제조방법>
(1)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점착부의 조성으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두께를 조정한 후 졸 코팅하고, 0 내지 70도에서 3시간 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2)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점착부의 조성을 점착부 위에 도포한 후 10도 이하에서 빠르게 건조하였다. 점착부의 두께는 300 내지 500 ㎛가 되도록 제조하였고, 비점착부의 두께는 10㎛ 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점착부의 조성으로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두께를 조정한 후 졸 코팅하고, 0 내지 70도에서 3시간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2)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점착부 조성 용액을 점착부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 점착부의 두께는 300 내지 500 ㎛가 되도록 제조하였고, 비점착부의 두께는 10㎛ 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비교예 2의 제조방법>
비교예2는 실시예 2에서 비점착부가 없는 것으로, 실시예의 제조방법 (1)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점차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3 3
글리세린 8 8 10 8
글루콘산아연 1.5 1.5 1.5 1.5
폴리 비닐 피롤리돈 22
과산화수소 5
글리세린 10
에탄올 30
정제수 87.5 87.5 21.5 87.5
비점착부 팜유 100
코코아 100
솔비톨 8
폴리에틸렌 글리콜 3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
정제수 79
[효과 시험예 1] 부착성 평가
부착성 평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군 당 일반인 40명을 대상으로 테스트하였다. 10점 척도로 평가되었고, 각 실험군당 각 10회 시도하였으며, 10분이상 부착되면 만점으로, 실패하게 되면 2점씩 감점되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부착 용이성 9.5 9.1 5.1 7.2
[효과 시험예 2] 구강 내 아연 농도 측정 평가
도 7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를 사용한 후의 구강 내 아연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강 내의 아연 농도 측정 평가는 구강 내의 2mL의 비자극타액을 Passive drool collection method를 이용하여 채취하여 실린지 필터에 걸러서 점도가 낮은 타액을 1mL 추출한다. 본 표본을 Ion chromatography (IC)에 주입하여 구강내의 아연이온(Zn2+)의 농도를 측정한다. 각 구강 패치를 붙이기 전, 붙인 후 30분 뒤, 1시간 뒤에 각각 타액을 추출하여 아연의 농도를 측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에 대한 시간에 따른 구강 내 아연 농도이다.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구강 내 아연 농도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는 구강 내 아연 농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1은 구강 내 아연 농도의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즉, 비점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 2는 비점착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2와 거의 동일한 구강 내 아연 농도 변화가 있는 걸로 봐서 실시예 1, 2의 비점착부는 구강 패치가 구강에 점착된 후 곧 용해되어 사라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점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비교예 1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강 내 농도 변화가 적은 걸로 봐서, 비교예 1의 비점착부는 구강 패치가 구강에 점착된 후 용해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효과 시험예 3] 구강 내 구취 농도 평가
도 8은 실시예 1, 2, 비교예 1, 2 및 리스테린과 가글린을 사용한 후의 구강 내 구취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리스테린은 존슨앤존슨의 리스테린 구강세정제를 사용하였고, 가글린은 동아제약 가그린 제로를 사용하였다.
구강 내의 구취농도는 트윈브레셔 장치로 측정되었다. 0분의 구취농도를 측정 후, 구강 패치를 구강점막에 붙인 다음 각 10분 뒤, 15분 뒤, 30분 뒤, 1시간 뒤의 구취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 비교예 1, 2 및 리스테린과 가글린에 대한 시간에 따른 구강 내 구취 농도이다.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구강 내 구취 농도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는 구강 내 구취 농도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1은 구강 내 구취 농도의 변화가 미비함을 알 수 있고, 리스테린과 가글링은 사용 후 10분 까지는 구강 내 구취 농도가 감소하다가 10분 이후부터는 다시 구강 내 구취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비점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 2는 비점착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2와 거의 동일한 구강 내 구취 농도가 감소하고 있는 걸로 봐서 실시예 1, 2의 비점착부는 구강 패치가 구강에 점착된 후 곧 용해되어 사라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구강 내 아연 농도가 증가됨으로써 구취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점착부를 포함하고 있는 비교예 1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강 내 구취 농도 변화가 미비한 걸로 봐서, 비교예 1의 비점착부는 구강 패치가 구강에 점착된 후 용해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스테린과 가글링은 사용 후 10분 내에는 구강 내 구취의 효과가 있지만 10분 이후에는 다시 구강 내 구취가 증가하는 걸로 봐서 지속적인 구취 제거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패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물질인 아연이 구강점막을 통해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구강 내로 방출되어 침과 함께 지속적으로 장기간 섭취됨으로써 구취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점착부 110: 유효물질
130: 점착부의 일면 150: 점착부의 타면
200: 비점착부 300: 박리부
1000: 구강 패치 10: 구강점막

Claims (11)

  1.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인 유효물질을 포함하고, 타액에 의해 완전히 용해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제제로 형성된 점착부; 및
    상기 점착부의 일면에 위치하며, 상온에서는 고체로 존재하고 구강온도에서 융해되는 식물성 지방으로 형성되는 비점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지방은 팜유(palm oil) 또는 코코아 버터(cocoa butter)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점착부는 구강 내에서 상기 점착부보다 빨리 녹아, 상기 유효물질이 상기 점착부의 일면 방향인 구강 내로 방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구강 패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의 융점은 30도 내지 37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은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패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물질은 아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패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타면은 구강 타액에 의해 용해되어 구강점막, 잇몸 또는 치아 중 어느 하나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패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박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패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점착부로부터 탈착되며, 수불용성(water-insoluble)이고 수불투과성(water-impermeable)인 폴리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패치.
KR1020180145285A 2018-11-22 2018-11-22 구강 패치 KR10215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285A KR102151313B1 (ko) 2018-11-22 2018-11-22 구강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285A KR102151313B1 (ko) 2018-11-22 2018-11-22 구강 패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32A KR20200059932A (ko) 2020-05-29
KR102151313B1 true KR102151313B1 (ko) 2020-09-02
KR102151313B9 KR102151313B9 (ko) 2021-07-14

Family

ID=7091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285A KR102151313B1 (ko) 2018-11-22 2018-11-22 구강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74B1 (ko) * 2005-03-04 2006-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KR100843001B1 (ko) * 2002-01-16 2008-07-01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구강점막 부착형 필름제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08359A (pt) * 2004-03-03 2007-09-25 Warner Lambert Co composições de pelìcula
KR101610894B1 (ko) * 2014-05-08 2016-04-08 (주) 네추럴웨이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KR101723724B1 (ko) 2015-03-05 2017-04-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감응성 겔이 도포된 야누스패브릭을 포함하는 구강점막용 또는 경피흡수용 패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001B1 (ko) * 2002-01-16 2008-07-01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구강점막 부착형 필름제제
KR100647974B1 (ko) * 2005-03-04 2006-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용성이 개선된 치아 부착형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932A (ko) 2020-05-29
KR102151313B9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369A (en) Method of treating an injured part on the oral mucosa and the covering material for use thereof
KR940011243B1 (ko) 구강내 투약용 생점착성 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E69736641T2 (de) Pharmazeutische Trägerzusammensetzung zur Anwendung an muköse Oberflächen
US9161909B2 (en) Adhesive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xerostomia
US2009011705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oral pain, comprising cloves or extracts thereof in combination with a steroid
US20120225111A1 (en) Product for the management of inflammations, pressure sores and/or oral sores (aphthas) as well as the use of such product
DE2908847B2 (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mit verzögerter Freigabe
EP2037941B1 (en) Cobalamin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mucositis
RU2701513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лектро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 полученные волокна, композиция, имеющая улучшенное время удержания в месте применения
JP5096921B2 (ja) 経粘膜搬送デバイス
AU2009217366A1 (en) Treating canker sores with patches to speed healing and relieve pain
JPH059412B2 (ko)
DE202016102375U1 (de) Dentales Mittel auf Basis von Hyaluronan und Octenidindihydrochlorid
US20090053309A1 (en) Adhesive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xerostomia
KR20050119914A (ko) 고기능 복합 패치형 구강 조성물
KR20210012215A (ko) 구강 패치
US20040156930A1 (en) Treating mouth ulcers with patches to speed healing and relieve pain
Weiss et al. Pulp capping in deciduous and newly erupted permanent teeth of monkeys
KR102151313B1 (ko) 구강 패치
CN114746082B (zh) 口腔内黏膜涂覆用消炎性液态组合物、及采用该组合物的口腔炎预防和/或治疗用药物组合物
KR20210012226A (ko) 구강 패치
NO125872B (ko)
RU2058783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слизистой рта
KR102569590B1 (ko) 필름형 치약
RU2624502C2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для стоматолог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2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18

Effective date: 2020072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