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929A -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929A
KR20060096929A KR1020060021411A KR20060021411A KR20060096929A KR 20060096929 A KR20060096929 A KR 20060096929A KR 1020060021411 A KR1020060021411 A KR 1020060021411A KR 20060021411 A KR20060021411 A KR 20060021411A KR 20060096929 A KR20060096929 A KR 20060096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le
light guide
substrat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254B1 (ko
Inventor
요이치 후지카와
오사무 에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LED 등의 광원을 실장한 기판과 도광체의 위치 결정 구조에 대하여, 도광체에 대한 광원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명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LED(6)를 실장한 FPC 기판(4)과, FPC 기판(4)에 마련된 구멍(42b)과, 구멍(42b)의 가장자리로부터 그 구멍(42b)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3)와, LED(6)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광 입사면(7a)을 구비한 도광체(7)와, 도광체(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구멍(42b)에 들어가는 핀(41b)을 갖는 조명 장치(2)이다. 돌출부(43)는 FPC 기판(4)이 광 입사면(7a)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핀(41b)의 측면을 누른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LIGHTING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를 조립한 상태로 그것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FPC 기판의 주요부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구멍과 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a)의 화살표 D에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구멍에 핀이 들어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b)는 (a)의 E-E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전기 광학 장치를 조립한 상태로 그것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FPC 기판의 주요부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구멍과 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a)의 화살표 I에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구멍과 돌출부의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구멍과 돌출부의 형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핀의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 51 : 액정 표시 장치(전기 광학 장치) 2, 52 : 조명 장치
3, 53 : 액정 패널(전기 광학 패널) 4, 54 : FPC 기판
5, 55 : 케이스 5a, 55a : 도광체 수용부
5b, 55b : 액정 패널 수용부 5c, 55c : 도광체 계지부
6 : LED(광원) 7 : 도광체
11 : 제 1 기판 11a : 제 1 투광성 기판
12 : 제 2 기판 12a : 제 2 투광성 기판
13 : 밀봉재 14 : 액정층
15a, 15b : 편광판 21 : 연장부
22 : 구동용 IC 23 : ACF
24, 27 : 배선 25 : 외부 접속용 단자
31 : 도광체 31a : 광 입사면
31b : 광 출사면 32 : LED(광원)
33 : 광 확산 시트 34a, 34b : 프리즘 시트
35a, 35b : 볼록부 36 : 광 반사층
37 : 차광 시트 37a : 차광부
37b : 개구부
41a, 41b, 61a, 61b : 핀(돌기) 42a, 62a : 위치 결정용 구멍
42b, 62b : 구멍 43, 63 : 돌출부
58 : LED 기판 110 : 제어 회로
111 : 액정 표시 장치(전기 광학 장치) 112 : 조명 장치
113 : 액정 패널(전기 광학 패널) 114 : 구동 회로
120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121 : 본체부
122 : 표시체부
123 : 표시 장치(전기 광학 장치) 124 : 표시 화면
125 : 조작 버튼 126 : 안테나
127 : 수화부 128 : 송화부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체를 이용하여 조명 부분으로 전달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하 여 구성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IC 리코더 등의 전자 기기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전자 기기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화상으로서 표시하기 위해서 전기 광학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제어에 의해서 광을 제어하여 표시를 하는 것으로, 광의 공급원으로서 조명 장치가 필요하다.
전기 광학 장치로 이용되는 조명 장치는, 일반적으로,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도광체와, 광을 발생하는 광원을 갖는다. 이 광원에는,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LED로부터 발생된 광은 도광체의 광 입사면으로부터 도광체의 내부로 도입되어, 도광체의 내부를 진행한 후, 도광체의 광 출사면으로부터 면 형상의 광으로 되어 전기 광학 장치의 표시에 제공된다.
광원인 LED는, 일반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가요성 프린트 회로) 기판 등의 가요성을 구비한 기판 상에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LED는 도광체를 수용하는 프레임 또는 도광체에 직접 FPC 기판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그 발광면이 도광체의 광 입사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명 장치로서, 종래, FPC 기판의 단부에 마련한 노치(notch)와, 프레임에 마련한 리브(rib)를 계합함으로써, 도광체에 대한 LED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조의 조명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LED의 발광면에 마련한 위치 결정용 핀과, 도광체의 광 입사면에 마련한 위치 결정용 오목부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도광체에 대한 LED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조의 조명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258236 호 공보(5 페이지, 도 4)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30830 호 공보(9 페이지, 도 2)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FPC 기판에 마련한 노치의 위치와 프레임에 마련한 리브의 위치 사이에 치수 차가 발생한 경우, LED가 도광체에 대한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설치될 우려가 있었다. 이렇게 되면, 조명 장치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노치의 위치와 프레임에 마련한 리브의 위치 사이에 치수 차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도광체와 LED 사이에 간격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 간격에 의해서, 도광체에 도입되는 광의 휘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도, LED의 발광면에 특수한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조명 장치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LED 등의 광원을 실장한 기판과 도광체의 위치 결정 구조에 대하여, 도광체에 대한 광원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명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원을 실장한 기판과, 해당 기판에 마련된 제 1 구멍과, 해당 제 1 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해당 제 1 구멍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입사면으로부터 받아들여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도광체와, 해당 도광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멍에 들어가는 제 1 돌기를 갖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판이 상기 광 입사면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광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돌기는, 예컨대, 도광체에 직접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돌기는 도광체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부재, 예컨대, 도광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광원을 실장한 기판은, 돌출부가 제 1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광체의 광 입사면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기판에 실장된 광원은 도광체의 광 입사면에 접근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은 광원과 광 입사면 사이에서 감쇠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그 광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광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도광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을 발생하는 발광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광면을 상기 광 입사면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제 1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발광면과 광 입사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발광면과 광 입사면 사이에서 광이 감쇠함으로써 광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그 결과,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도광체의 내부에 보다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도광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광 입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도광체의 광 입사면을 향해서 기판을 보다 안정하게 누를 수 있기 때문에, 광 입사면에 광원을 확실히 접근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구멍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제 1 돌기에 의해, 상기 광 입사면과 평행 방향에서의 상기 광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광원을 도광체의 광 입사면에 접근시키는 것과 동시에, 광 입사면과 평행 방향에서의 광원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체에 대한 광원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로부터 편차가 없는 안정한 휘도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도광체와 일체인 제 2 돌기와, 상기 기판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기와 결합하는 위치 결정용 구멍을 갖고, 해당 위치 결정용 구멍은 상기 도광체의 광 입사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의 상기 기판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 2 돌기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용 구멍을 마련한 본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도광체의 광 입사면 에 대하여 평행 방향에 관한 기판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광 입사면과 평행 방향에서, 상기 제 1 돌기가 통과할 수 있을 치수만큼 제 1 돌기의 외형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통과할 수 있을 치수는 돌기 또는 구멍의 치수에 편차가 발생하는 등에 의해서 돌기와 구멍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위치 결정용 구멍과 제 2 돌기로 기판의 위치 결정된 상태로, 제 1 돌기가 제 1 구멍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하는 치수이다. 제 1 구멍을 제 1 돌기의 직경보다, 제 1 돌기가 통과할 치수만큼 크게 형성하면, 제 2 돌기가 위치 결정 구멍에 들어갔을 때에, 제 1 돌기의 위치와 제 1 구멍의 위치 사이에 치수 차가 발생한 경우이더라도, 제 1 돌기가 제 1 구멍에 확실히 들어갈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계란 형상, 타원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구멍을 계란 및 타원의 장축(長軸)의 방향, 또는 직사각형의 긴 변의 방향이 광 입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되도록 마련하면, 이 방향에서의 제 1 구멍의 직경을 제 1 돌기의 직경보다 통과할 치수만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돌기가 위치 결정 구멍에 들어갔을 때에, 제 2 돌기의 위치와 제 2 구멍의 위치의 치수 차가 발생한 경우이더라도, 제 1 돌기가 제 1 구멍에 확실히 들어갈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 1 구멍의 중앙, 상기 제 1 구멍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친 한쪽, 또는 상기 제 1 구멍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친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한 경우는, 어느 경우이더라도 돌출부에 의해서 도광체의 광 입사면을 향해서 기판을 이동시키도록 제 1 돌기를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은 광 입사면에 접근시켜진다. 이렇게 되면,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광원과 광 입사면 사이에서 감쇠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그 광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광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도광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광원을 실장한 기판과, 해당 기판에 마련된 제 1 구멍과, 해당 제 1 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해당 제 1 구멍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입사면으로부터 받아들여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도광체와, 해당 도광체의 상기 광 출사면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도광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멍에 들어가는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는 상기 광원이 상기 광 입사면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기 광학 패널」은 전기적인 조건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광학적인 출력 상태를 변화시키는 패널 구조체이다. 또한, 이 전기 광학 패널은 액정 등의 전기 광학 물질을 포함하는 패널 구조체로서, 그 전기 광학 물질의 전기 광학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전기 광학 패널은, 예컨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상에 전기 광학 물질을 배치하거나,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을 봉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전기 광학 물질로서, 예컨대 액정을 이용하면,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이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광원을 실장한 기판은 돌출부가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광체의 광 입사면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기판에 실장된 광원은 도광체의 광 입사면에 접근시켜진다. 이렇게 되면,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광원과 광 입사면 사이에서 감쇠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그 광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강도가 높고 편차가 없는 광을 도광체의 내부에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도광체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광학 패널에 휘도가 높은 광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편차가 없는 밝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광원을 실장한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도광체의 광 출사면과 반대쪽 면을 향해 구부러지는 가요성을 갖는 배선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 기판은 전기 광학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나 신호를 외부의 기기로부터 공급하기 위한 기판이며, 복수의 회로 부품이나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선 기판에 광원을 실장하면, 광원용 기판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상에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휘도가 높고 편차가 없는 광을 출사하는 조명 장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편차가 없는 밝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 는 그 전자 기기에 관한 정보를 안정하게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조명 장치와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되는 조명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이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로부터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지만, 이 도면에서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구조 중 중요한 구성요소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각 요소를 실제와는 다른 상대적인 치수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를 조립했을 때의 측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2)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 에지 기록형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구조의 조명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2)는 광원에 점 형상의 광원인 LED(Light Emitting Diode)를 복수개 이용한 구조의 조명 장치이다.
도 1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는 전기 광학 패널로서의 액정 패널(3)과, 배선 기판으로서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가요성 프린트 기판) 기판(4)과, 조명 장치(2)와, 케이스(5)를 갖는다. 이 액정 표시 장치(1)는 화살표 A로 도 시된 측이 관찰측이다.
액정 패널(3)은, 제 1 기판(11)과, 그것에 대향하는 제 2 기판(12)을 갖고, 그들의 기판을 화살표 A의 관찰 방향에서 보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의 밀봉재(13)에 의해서 접합하여 형성한다.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 사이에는 간격, 이른바 셀 갭이 형성되고, 그 내에 전기 광학 물질로서의 액정이 봉입되어 액정층(14)을 구성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11)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관찰 방향에서 보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제 1 투광성의 기판(11a)을 갖는다. 이 제 1 투광성 기판(11a)은, 예컨대, 투광성의 유리, 투광성의 플라스틱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이 제 1 투광성 기판(11a)의 외측 표면에는, 편광판(15a)이 접착 등에 의해서 장착된다.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적절한 광학 요소를 이용하여도 된다.
제 1 기판(11)에 대향하는 제 2 기판(12)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관찰 방향에서 보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제 2 투광성의 기판(12a)을 갖는다. 이 제 2 투광성 기판(12a)은, 예컨대, 투광성의 유리, 투광성의 플라스틱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제 2 투광성 기판(12a)의 외측 표면에는, 편광판(15b)이 접착 등에 의해서 장착된다.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적절한 광학 요소를 이용하여도 된다.
액정 패널(3)은 임의의 표시 모드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구동 방식으로 말하면, 단순 매트릭스 방식 및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액정 모드의 종별로 말하면, TN(Twisted Nematic), STN(Super Twisted Nematic), 부(負)의 유전율을 가지는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배향 모드, 그 외의 임의의 액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채광 방식으로 말하면, 투과형, 반사형, 반투과 반사형 중 어느 하나이어도 무방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3)의 화살표 A가 도시된 측과 반대측에 조명 장치(2)를 마련하기 때문에, 채광 방식으로서는 투과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의 것으로 된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이란, 각 화소에 능동 소자를 가지지 않고, 주사 전극과 데이터 전극의 교차부가 화소 또는 도트에 대응하여, 구동 신호가 직접 인가되는 매트릭스 방식이다. 이 방식에 대한 액정 모드로서는, TN, STN이 이용된다. 다음에,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이란, 화소 또는 도트마다 능동 소자가 마련되고, 기록 기간에서는 능동 소자가 ON 상태로 되어 데이터 전압이 기입되고, 다른 기간에서는 능동 소자가 OFF 상태로 되어 전압이 유지되는 매트릭스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 사용하는 능동 소자에는 3 단자형과 2 단자형이 있다. 3 단자형의 능동 소자에는, 예컨대, TFT(Thin Film Transistor)가 있다. 또한, 2 단자형의 능동 소자에는, 예컨대, TFD(Thin Film Diode)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패널(3)에 있어서, 컬러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 1 기판(11) 또는 제 2 기판(12)에 컬러 필터가 마련된다. 컬러 필터는 특정한 파장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이다. 구체적으로는, 3원색인 B(청색), G(녹색), R(적색)의 1색씩을 제 1 기판(11) 또는 제 2 기판(12) 상의 각 도트에 대응시켜 소정의 배열, 예컨대 스트라이프 배열, 델타 배열, 모자이크 배열로 나열시 킨다.
도 2에 있어서, 제 2 기판(12)을 구성하는 제 2 투광성 기판(12a)은 대향 기판인 제 1 기판(1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를 갖는다. 이 연장부(21)의 제 1 기판(11)측의 표면 상에는, 액정 패널(3)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IC(22)가, 예컨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방성 도전막)(23)을 이용한 COG(Chip On Glass) 기술에 의해서 실장된다. 구동용 IC(2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3개 실장되어 있다. 이들 구동용 IC(22)는 액정 패널(3)의 전극에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액정 패널(3)을 구동한다.
도 2에 있어서, 연장부(21) 상이고 제 2 투광성 기판(12a)의 끝 변측에는 배선(24)이 형성된다. 이 배선(24)은 복수 라인이 지면 수직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선(24)은 구동용 IC(22)의 출력용 단자, 예컨대 출력용 범프에 연결된다. 또한, 이들 배선(24)은 액정 패널(3)의 내부, 즉 액정층(14)(도 1 참조)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으며, 단순 매트릭스 방식의 경우에는 주사 전극 및 데이터 전극에 접속된다. 또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경우에는 TFD 소자나 TFT 소자 등의 능동 소자 및 전극에 접속된다.
이 연장부(21)의 단부에는 외부 접속용 단자(25)가 형성된다. 이 외부 접속용 단자(25)는 복수개가 지면 수직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외부 접속용 단자(25)는 구동용 IC(22)의 입력용 단자, 예컨대 입력용 범프로 이어진다. 또한, 이들 외부 접속용 단자(25)에는, 가요성을 구비한 배선 기판인 FPC 기판(4)이, 예컨대 ACF(23)에 의해서 접속된다. FPC 기판(4)과 외부 접속용 단자(25)의 접속에는 땜납, 히트 밀봉 등의 도전 접속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FPC 기판(4)은, 예컨대,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기재로서 형성되는 굴곡성이 우수한 기판이다. 이 FPC 기판(4)은 도 1의 화살표 C와 같이 굽어져 액정 패널(3)에 대면하는 표면 S1과 그 반대면인 표면 S2를 갖는다. 표면 S1은 굽어져 축소되는 면이다. 한편, 표면 S2는 굽어져서 신장하는 면이다. 또한, FPC 기판(4)은 입력용 단자(4a)와, 굴곡부(4b)와, 출력용 단자(4c)를 갖는다. 굴곡부(4b)는 FPC 기판(4)을 화살표 C와 같이 굽었을 때에 굽어진 부분이다. 입력용 단자(4a)에는,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 내에 마련되는 제어 회로, 전원 등이 접속된다.
FPC 기판(4)에는, 액정 패널(3)을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복수의 회로 부품과, 그들 회로 부품을 접속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이들 회로 부품 및 배선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복수의 회로 부품은, FPC 기판(4)을 화살표 C와 같이 굽혔을 때에, 다른 부재에 닿지 않는 위치, 예컨대, 굴곡부(4b)에 가까운 곳이고 제 2 기판(12)의 끝 변, 즉 액정 패널(3)의 끝 변과 거의 평행하게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또한, 굴곡부(4b)의 연장측 표면 S2에는, 액정 패널(3)을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배선(27)이 마련된다. 이들 배선(27)은 제 2 기판(12)의 끝 변, 즉 액정 패널(3)의 끝 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배선(27)은 복수의 회로 부품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자 회로의 출력 신호를 출력용 단자(4c)로 전송하기 위한 배선이다. 출력용 단자(4c)로 전송된 신호는 액정 패널(3)의 외부 접속용 단자(25)를 통해서 구동용 IC(22)로 전송된다.
조명 장치(2)는, 도광체(7)와, 광원으로서의 LED(FPC 기판(4)에 실장되어 있음)(6)와, 복수의 광학 시트(33, 34a, 34b)를 갖는다. 도광체(7)는 액정 패널(3)의 제 2 기판(12)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도광체(7)는, 예컨대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도광체(7)의 측면 중,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한 상태에서, 연장부(21)에 대응하는 측면(7a)이 광 입사면이다. 또한, 화살표 A가 도시된 측의 면, 즉 액정 패널(3)에 대향하는 면(7b)이 광 출사면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입사면(7a)의 양쪽에 위치하는 측면에는 복수의 볼록부(3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볼록부(35)는 하나의 면에 4개씩, 양측면에서 합계 8개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면에 마련된 4개의 볼록부(35)는 광 출사면(7b) 측에 마련된 2개의 볼록부(35a)와, 광 출사면(7b)의 반대측에 마련된 2개의 볼록부(35b)가 있다. 볼록부(35a)는 케이스(5)에 수용된 도광체(7)가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볼록부(35b)는 케이스(5)에 수용된 도광체(7)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한다.
LED(6)는 FPC 기판(4)의 표면 S1 상의 굴곡부(4b)에 가까운 곳으로서, 제 1 기판(11)의 끝 변, 즉 액정 패널(3)의 끝 변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그 LED(6)의 발광면(6a)은 제 1 기판(11)의 끝 변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LED(6)가 소정의 간격, 예컨대 등(等)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FPC 기판(4)을 화살표 C 방향으로 굽은 상태, 즉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3개의 LED(6)는 그 발광면(6a)이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LED(6)로부터 발생한 광은 광 입사면(7a)을 통해서 도광체(7)의 내부로 도입되어, 도광체(7)의 내부를 진행한 후, 광 출사면(7b)으로부터 평면 형상의 광으로서 출사한다. 또, 광원은 LED(6) 이외의 점 형상 광원이나, 냉음극관 등의 선 형상 광원에 의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되돌아가, 화살표 A 방향에서 보아 도광체(7)의 배면측에는 필요에 따라 광 반사층(36)이 마련된다. 또한, 도광체(7)의 관찰측, 즉 광 출사면(7b)측에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광학 시트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학 시트로서 1장의 광 확산 시트(33)와, 2장의 프리즘 시트(34a, 34b)가 마련되어 있다. 또, 프리즘 시트는 1장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들의 광학 시트 이외의 광학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광 확산 시트(33)는 도광체(7)의 광 출사면(7b) 상에 접촉, 구체적으로는 면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이 광 확산 시트(33)는 광 출사면(7b)으로부터 출사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확산된 광은 광 출사면(7b)의 전체로 넓어지는 동일 면 형상의 광으로서 조명 장치(2)의 외부로 출사된다.
프리즘 시트(34a, 34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확산 시트(33) 위에 마련된다. 이들 프리즘 시트(34a, 34b)는 입사광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속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광학 요소이며, 예컨대, 다수의 프리즘 형상을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장의 프리즘 시트(34a, 34b)를 겹쳐서 마련하고 있다. 이들은, 예컨대 프리즘 형상의 배열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이들 프리즘 시트(34a, 34b)를 이용하는 것은 액정 패널(3)로 향하는 광을 집속하여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도 2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했을 때에, 상기한 LED(6), 도광체(7), 광 반사층(36), 광 확산 시트(33) 및 2장의 프리즘 시트(34a, 34b)에 의해서 형성되는 부분이 조명 장치(2)이다. 이 조명 장치(2)에 의해서 액정 패널(3)로 광이 공급된다.
상기한 프리즘 시트(34a, 34b)와 액정 패널(3) 사이에는 차광성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차광 시트(37)가 마련된다. 이 차광 시트(3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부(37a)와 개구부(37b)를 구비하고 있다. 차광 시트(37)의 개구부(37b)에서는, 도광체(7)의 광 출사면(7b)으로부터 나가는 광이 통과하여 액정 패널(3)의 표시 영역 V의 범위에 공급된다. 한편, 차광부(37a)에서는, 도광체(7)로부터 나가는 광을 차광하여 액정 패널(3)의 표시 영역 V 이외로 광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차광 시트(37)는 그 양면에 점착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점착이란, 사람의 손에 의해서 용이하게 벗길 수 있을 정도의 접착의 의미이다. 이 차광 시트(37)에 의해서 케이스(5)와 액정 패널(3)이 점착된다.
도 1에 있어서, 케이스(5)는, 도광체 수용부(5a)와, 액정 패널 수용부(5b)와, 도광체 계지부(light guide latching part)(5c)와, LED 수용부(5d)를 갖는다. 이 케이스(5)는, 예컨대,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광체 수용부(5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5)의 내측이고 화살표 B가 도시된 측에 마련된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 도광체(7)가 수용된다. 또한, 액정 패널 수용부(5b)는 케이스(5)의 내측이고 화살표 A가 도시된 관찰측에 마련된 공간이며, 이 공간 내에 액정 패널(3)이 수용된다.
도광체 계지부(5c)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 수용부(5a)의 내측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광체 계지부(5c)는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8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 도광체 계지부(5c)에 도광체(7)의 돌기(35a, 35b)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도광체(7)가 케이스(5)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 결정된다.
LED 수용부(5d)는, 도광체 수용부(5a)에 도광체(7)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과 케이스(5)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이며, FPC 기판(4)을 화살표 C로 굽은 상태에서 이 공간 내에 LED(6)가 수용된다.
도 1의 액정 패널(3), 구동용 IC(22), FPC 기판(4), 그리고 조명 장치(2)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먼저, 구동용 IC(22)을 액정 패널(3)의 연장부(21)에 실장하고, 도 2의 편광판(15a, 15b)을 액정 패널(3)에 장착한다. 다음에, FPC 기판(4)을 액정 패널(3)의 연장부(21)의 외부 접속용 단자(24)를 마련한 부분에 접속한다. 다음에, 도 1의 조명 장치(2)를 케이스(5)의 도광체 수용부(5a)에 수용한다. 이 때, 조명 장치(2)는 도광체(7)에 마련된 합계 8개의 돌기(35a, 35b)를 케이스(5)의 도광체 계지부(5c)에 각각 끼워넣는 것에 의해, 케이스(5)에 대하여 어긋나지 않도록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차광 시트(37)를 장착한다. 이 때 차광 시트(37)는 액정 패널 수용부(5b)와 프리즘 시트(33b)의 단부에 걸쳐 마련되어 양자를 점착한다. 그리고 다음에, 도 1의 액정 패널(3)을 액정 패널 수용부(5b)에 수용한다. 수용된 액정 패널(3)은 차광 시트(37)에 의해서 케이스(5)에 점착된다. 이렇게 해서, 액정 패널(3)과 조명 장치(2)는 케이스(5)에 의해서 도 2의 지면 좌우 방향 및 지면 수직 방향의 위치로 규제되고, 이에 따라, 항상 케이스(5) 내의 일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FPC 기판(4)을 도 1의 화살표 C와 같이 구부려, 도 2에 있어서, FPC 기판(4)의 선단을 광 반사층(36)에 접촉시킨다. 이렇게 해서, 액정 패널(3), 조명 장치(2), FPC 기판(4)이 소정의 위치 관계로 케이스(5)에 수용되어, 액정 표시 장치(1)가 제작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조명 장치(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1) 중, 액정 패널(3)과 FPC 기판(4)의 접속부의 근방에 있어서의 FPC 기판(4) 및 케이스(5)를, 화살표 B가 도시된 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b)은 도 3(a)에서 부호 D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B가 도시된 측으로서 도광체(7)를 수용했을 때에 광 입사면(7a)이 위치하는 쪽의 케이스(5)의 양 코너(角部)에는, 제 2 돌기로서의 핀(41a)과, 제 1 돌기로서의 핀(41b)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핀(41a, 41b)은, 예컨대, 케이스(5)의 화살표 B가 도시된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액정 패널(3)에 접속된 FPC 기판(4)에는 위치 결정용 구멍으로서의 구멍(42a)과, 제 1 구멍으로서의 구멍(42b)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구멍(42a, 42b)은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했을 때에, 핀(41a, 41b)의 각각이 구멍(42a, 42b)에 들어가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 3(a)에 있어서, 핀(41a)이 들어가는 구멍(42a)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핀(41a)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구체적으로는, 핀(41b)이 구멍(42a) 내에서 허용 한계 치수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을 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허용 한계 치수는 조명 장치(2)의 소기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치수로 할 수 있어, 예컨대, LED(6)로부터 발생된 광을 충분한 강도를 가져 도광체(7)에 입사하기 위한 LED(6)의 설치 범위 등이 생각된다.
상기한 구멍(42a)은, 도 2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했을 때에,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과 평행 방향(즉, Y 방향)에 있어서의 LED(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구멍이다. 도 3(a)에 있어서, 위치 결정용 구멍(42a)에 핀(41a)이 들어가는 것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했을 때의 FPC 기판(4)의 Y 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FPC 기판(4)에 실장된 LED(6)는 광 입사면(7a)에 대한 Y 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핀(41a) 및 구멍(42a) 모두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42a)은 Y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X 방향 및 그 외 360° 방향의 전역에 관해서 핀(41a)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다.
한편, 구멍(42b)에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42b)의 가장자리로부터 그 구멍(42b)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 부(43)는 FPC 기판(4)에 구멍(42b)을 돌출부(43)를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멍(42b)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43)는 FPC 기판(4)과 마찬가지로 가요성 및 탄성을 갖고 있다. 탄성이란, 외력에 의해서 형상이 변화된 물체가,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본래의 상태로 회복하는 성질이다. 즉, 탄성을 갖은 돌출부(43)는 힘이 가해져 구부러지면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반발하는 힘을 갖고 있다.
도 4는 도 2의 구멍(42b)에 핀(41b)이 들어간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도 2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에 있어서, 구멍(42b)의 Y 방향의 폭 w1은 핀(41b)의 직경 d1보다 여유를 가지고 크며, 구체적으로는, 핀(41a)과 구멍(42a)의 간격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3(a)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LED(6)의 Y 방향의 위치는 위치 결정용 구멍(42a)에 핀(41a)이 들어가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에, 핀(41a)과 핀(41b) 사이의 거리 t1과, 위치 결정 구멍(42a)과 구멍(42b) 사이의 거리 t2에서 치수의 차가 발생하거나, 액정 패널(3)이나 FPC 기판(4) 등의 부재간의 조립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생각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42b)의 Y 방향의 폭 w1을 핀(41b)의 직경 d1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하면, t1과 t2 사이에 치수 차나 조립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핀(41b)이 구멍(42b)에 확실히 들어갈 수 있다.
도 3(b)에 있어서, 돌출부(43)가 구멍(42b)의 내측으로 직선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 그 돌출부(43)의 선단과 구멍(42b)의 둘레까지의 폭 w2는 핀(41b)의 직경 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구멍(42b)에 핀(41b)이 들어간 경우, 즉, 도 2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한 경우, 도 4(b)의 돌출부(43)는 핀(41b)에 눌려져, 도 4(b)의 지면상 방향, 즉 Y 방향으로 굽어진다. 이렇게 되면, 핀(41b)에는, 돌출부(43)가 갖는 탄성에 의해서 핀(41b)을 X 방향으로 누르는 힘 F가 작용하기 때문에, FPC 기판(4)은 X와 반대 방향인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눌려진다. 즉, 도 2에 있어서 FPC 기판(4)은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눌려진다.
그런데, LED(6)의 발광면(6a)은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발광면(6a)과 광 입사면(7a)이 서로 접촉하도록(즉, 간격이 0으로 되도록) 마련한다. 이렇게 하면, LED(6)로부터 발하는 광은 광 입사면(7a)으로부터 직접 도광체(7)의 내부로 도입되기 때문에, 그 광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LED(6)를 마련하고 있지만, 3개의 LED(6)의 발광면(6a)이 모두 광 입사면(7a)에 접촉하고 있으면, 모든 LED(6)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도광체(7)의 내부로 균일하게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1)를 조립한 경우에는, LED(6)를 FPC 기판(4)으로 실장할 때의 편차나, 조립에 대한 공차(公差)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FPC 기판(4)과 도광체(7)에 관해서 하등의 고안도 실시되고 있지 않으면, 조립 후의 LED(6)와 도광체(7)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도광체(7)에 도입되는 광의 휘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예컨대, 광 입사면(7a)과 발광면(6a) 사이에 0.1㎜의 간격이 가능한 경우에는, 도광체(7)에 도입되는 광의 휘도는 10% 정도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도광체(7)에 대한 LED(6)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도광체(7)에 도입되는 광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2)에 의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PC 기판(4)에 마련된 LED(6)는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을 향해서 FPC 기판(4)이 이동하도록 돌출부(43)가 핀(41b)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에 접근시켜 접촉한다. 이에 따라, LED(6)가 발광한 광은 휘도가 저하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도광체(7)의 내부에 도입된다. 그 결과, 도광체(7)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LED(6)의 발광면(6a)이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에 접촉함으로써, 도광체(7)에 대하여 LED(6)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7)에 도입되는 광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 장치와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및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도 5의 액정 표시 장치를 조립했을 때의 측면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이전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에서는, 액정 패널(3)에 접속되는 FPC 기판(4) 상에 광원인 LED(6)를 실장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에 반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51)는 액정 패널(53)에 접 속되는 FPC 기판(54)과는 별도로 LED 기판(58)을 마련하고, 그 LED 기판(58) 상에 LED(6)를 실장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하, 도 5의 액정 표시 장치(51)를,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51)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의 구성과, FPC 기판(54) 및 LED 기판(58)을 제외하면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LED 기판(58)을 실장하는 부분의 근방에 있어서의 케이스(55)의 형상도 다르다.
도 5에 있어서, 액정 패널(53)은 도 1의 액정 패널(3)과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이 액정 패널(53)의 연장부(21)의 단부에는, 배선 기판으로서의 FPC 기판(54)이, 예컨대 ACF(23)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FPC 기판(54)은 도 5의 화살표 C와 같이 굽어져 액정 패널(53)에 대면하는 표면 S1과 그 반대면인 표면 S2를 갖는다. 또한, FPC 기판(54)은 입력용 단자(54a)와, 굴곡부(54b)와, 출력용 단자(54c)와, LED용 단자(54d)를 갖는다. 이 FPC 기판(54)은 도 1의 FPC 기판(4)과, 이하의 점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먼저, FPC 기판(4)은 축소측 표면 S1 상에 3개의 LED(6)를 실장하고 있지만, 도 5의 FPC 기판(54)에서는 LED(6)를 실장하고 있지 않는다. 또한, 도 1의 FPC 기판(4)에서는, 굴곡부(4b) 근방의 양단부에 구멍(42a, 42b)을 마련하고 있지만, 도 5의 FPC 기판(54)에서는 이들 구멍(42a, 42b)을 마련하고 있지 않다.
또한, FPC 기판(54)의 축소측 표면 S1 상에는 LED용 단자(54d)가 마련되어 있다. 이 LED용 단자(54d)에는, 후술하는 LED 기판(58)의 입력용 단자(58a)가, 예컨대 핸더 등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 LED용 단자(54d)에 커넥터를 부착하여, 이 커넥터에 LED 기판(58)의 입력용 단자(58a)를 삽입해서 양자를 접속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5에 있어서, 케이스(55)는 도광체 수용부(55a)와, 액정 패널 수용부(55b)와, 도광체 계지부(55c)와, LED 수용부(55d)를 갖고, 예컨대,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케이스(55)는 도 1의 케이스(5)와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케이스(5)와 다르다. 도 1의 케이스(5)에서는, 화살표 B가 도시된 측으로서 도광체(7)를 수용했을 때에 광 입사면(7a)이 위치하는 쪽의 양 코너에 각각 핀(41a, 41b)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도 5의 케이스(55)에서는, 화살표 A가 도시된 측인 액정 패널 수용부(55b)의 내측으로서, 도광체(7)를 중요한 포인트로 했을 때에 광 입사면(7a)이 위치하는 측의 양 코너, 각각 제 2 돌기로서의 핀(61a)과 제 1 돌기로서의 핀(61b)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 핀(61a, 61b)은, 예컨대, 케이스(55)의 화살표 A가 도시된 측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조명 장치(52)는 도광체(7)와, 광원으로서의 LED(6)와, 복수의 광학 시트(33, 34a, 34b)와, LED(6)가 실장되는 LED 기판(58)을 갖는다. 이 조명 장치(52)는 LED 기판(58)을 제외하면, 도 1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LED 기판(58)은, 예컨대, 폴리이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으 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기재로서 형성되는 굴곡성이 우수한 기판이다. 이 LED 기판(58)의 굴곡부(58b)의 선단에는 입력용 단자(58a)가 마련된다. 이 입력용 단자(58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FPC 기판(54)의 LED용 단자(54d)에 접속된다. LED 기판(58)의 굴곡부(58b)는, 도 6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51)를 조립할 때, FPC 기판(54)에 접속된 상태에서 FPC 기판(54)이 도 5의 화살표 C와 같이 구부려짐에 따라서, FPC 기판(54)과 마찬가지로 구부려진다.
LED(6)는 LED 기판(58)의 표면 S3에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3개 실장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58)에는 2개의 구멍(62a, 62b)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구멍(62a, 62b)은, 액정 표시 장치(51)를 조립했을 때에, 핀(61a, 61b)의 각각이 구멍(62a, 62b)에 들어가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 7(a)는 도 5에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51) 중, LED 기판(58) 및 케이스(55)를, 화살표 B가 도시된 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b)은 도 7(a)에서 부호 I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 있어서, 핀(61a)이 들어가는 구멍(62a)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핀(61a)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구체적으로는, 핀(61a)이 구멍(62a) 내에서 허용 한계 치수 이상으로 움직이지 않을 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62a)은, 도 6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51)를 조립했을 때에,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과 평행 방향(즉, Y 방향)에 있어서의 LED(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용 구멍이다. 도 7(a)에 있어서, 위치 결정용 구멍(62a)에 핀(61a)이 들어가는 것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51)를 조립했을 때의 LED 기판(58)의 Y 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기판 (58)에 실장된 LED(6)는 광 입사면(7a)에 대한 Y 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구멍(62b)은,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62b)의 가장자리로부터 그 구멍(62b)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63)는 LED 기판(58)에 구멍(62b)을 돌출부(63)를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멍(62b)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63)는 LED 기판(58)과 마찬가지로 가요성 및 탄성을 갖고 있다. 탄성을 갖는 돌출부(63)는 힘이 가해져 굽어지면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반발하는 힘을 갖고 있다.
도 4(a)에 있어서, 구멍(62b)의 Y 방향의 폭 w1은 핀(61b)의 직경 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7(a)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LED(6)의 Y 방향의 위치는 위치 결정용 구멍(62a)에 핀(61a)이 들어가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에, 핀(61a)과 핀(61b) 사이의 거리 t1과, 위치 결정 구멍(62a)과 구멍(62b) 사이의 거리 t2에서 치수의 차가 발생하거나, 부재간의 조립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생각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62b)의 Y 방향의 폭 w1을 핀(61b)의 직경 d1보다 크게 형성하면, t3과 t4 사이에 치수 차나 조립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핀(61b)이 구멍(62b)에 확실히 들어갈 수 있다.
도 7(b)에 있어서, 돌출부(63)가 구멍(62b)의 내측으로 직진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돌출부(63)의 선단과 구멍(62b)의 둘레까지의 폭 w2는 핀(61b)의 직경 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구멍(62b)에 핀(61b)이 들어간 경우, 즉, 도 6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51)를 조립한 경우, 도 4(b)의 돌출부(63)는 핀(61b)에 눌려, 도 4의 지면의 상측 방향, 즉 Y 방향으로 굽는다. 이렇게 되면, 핀(61b)에는, 돌출부(63)가 갖는 탄성에 의해서 핀(61b)을 X 방향으로 누르는 힘 F가 작용하기 때문에, LED 기판(58)은 X와 반대 방향인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눌린다. 즉, 도 6에 있어서 LED 기판(58)은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눌린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52)에 의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기판(58)에 마련된 LED(6)는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을 향해서 LED 기판(58)이 이동하도록 돌출부(63)가 핀(61b)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에 접근시켜 접촉한다. 이에 따라, LED(6)가 발광한 광은 휘도가 저하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도광체(7)의 내부에 도입된다. 그 결과, 도광체(7)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LED(6)의 발광면(6a)이 도광체(7)의 광 입사면(7a)에 접촉함으로써, 도광체(7)에 대하여 LED(6)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체(7)에 도입되는 광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예)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개변(改變)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42b, 62b)은 핀(41b, 61b)의 직경 d1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여유를 갖고 큰, 구체 적으로는, 핀(41a, 61a)과 구멍(42a, 62a)의 간격보다 충분히 큰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돌출부(43, 63)는 구멍(42b, 62b)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의 대략 중심부에, X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구멍(42b, 62b)의 형상 및 돌출부(43, 63)의 형상은 상기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42b, 62b)의 형상은 타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멍(42b, 62b)은 Y 방향, 즉, 도 1 또는 도 5에 있어서의 광 입사면(7a)과 평행한 방향이 길이 축으로 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43, 63)는 타원의 가장자리로부터 X 방향, 즉 타원의 단축 방향으로, 타원의 중심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형성한다.
도 8(b)는 도 8(a)과 동일한 타원 형상의 구멍(42b, 62b)에, 돌출부(43, 63)를, X 방향을 향하여 폭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43, 63)의 폭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돌출부(43, 63)가 핀(41b, 61b)을 누르는 힘 F(도 4(b) 참조)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돌출부를 단계적으로 하는 경우의 구멍은 타원 형상 또는 그 외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c)는 도 4(b)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구멍(42b, 62b)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친 양측에 돌출부(43, 63)를 형성하고, 그들 양측의 돌출부(43, 63)에 의해서 핀(41b, 61b)을 누르는 구조이다. 도 9(d)는 구멍(42b, 62b)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친 한쪽에 돌출부(43, 6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41a, 41b, 61a, 61b)은 케이스(5, 55)로부터 돌출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러 나, 이들 핀(41a, 41b, 61a, 61b)의 형상은 상기한 것만은 아니다. 예컨대, 주상(柱狀)의 돌기이면 그 단면 형상은 임의적이며, 예컨대, 원형, 타원 형태, 직사각형, 정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 형상의 핀(41a, 41b, 61a, 61b)의 꼭대기 부분을 둥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핀(41a, 41b, 61a, 61b)이 위치 결정 구멍(41a, 61a) 및 구멍(41b, 61b)에 들어가기 쉽게 되기 때문에,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 및 도 5의 액정 표시 장치(51)를 조립하기 쉬워진다.
도 10(b)는 핀(41a, 41b, 61a, 61b)의 꼭대기 부분을 구부린 형상이며, 측면에서 보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핀(41a, 41b, 61a, 61b)으로부터 위치 결정 구멍(41a, 61a) 및 구멍(41b, 61b)이 빠지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 및 도 5의 액정 표시 장치(51)에 충격 등이 가해졌을 때에, 기판이 어긋나 LED(6)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는 액정 표시 장치(111)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10)를 갖는다. 제어 회로(110)는 표시 정보 처리 회로(115), 전원 회로(116), 타이밍 발생기(timing generator)(117) 및 표시 정보 출력원(118)에 의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111)는 액정 패널(113), 조명 장치(112) 및 구동 회로(114)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118)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나, 각종 디스크 등의 저장 유닛이나,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 등을 구비하며, 타이밍 발생기(117)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클럭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의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115)에 공급한다.
다음에, 표시 정보 처리 회로(115)는 증폭·반전 회로나, 회전(rotation) 회로나, 감마 보정 회로나,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周知)의 회로를 다수 구비하며,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여, 화상 신호를 클럭 신호 CLK와 함께 구동 회로(114)에 공급한다. 여기서, 구동 회로(114)는 주사선 구동 회로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함께, 검사 회로 등을 총칭한 것이다. 또한, 전원 회로(116)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에 소정의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액정 표시 장치(111)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 또는 도 5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5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 51)는 휘도가 높고 편차가 없는 광을 출사하는 조명 장치(2, 5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편차가 없는 밝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액정 표시 장치(1, 51)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그 전자 기기에 관한 정보를 안정하고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다른 실시예인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120)는 본체부(121)와, 이것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표시체부(122)를 갖는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해서 구성된 표시 장치(123)는 표시체부(1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화 통신에 관한 각종 표시는 표시체부(122)에서 표시 화면(124)에 의해서 눈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체부(121)에는 조작 버튼(125)이 배열되어 있다.
표시체부(122)의 일단부에는 안테나(126)가 신축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표시체부(122)의 상부에 마련된 수화부(127)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가 배치된다. 또한, 본체부(121)의 하단부에 마련된 송화부(128)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표시 장치(12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휴대 전화기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의 일부로서, 또는 그 제어부와는 별도로, 본체부(121) 또는 표시체부(122)의 내부에 저장된다.
표시 장치(123)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1), 또는 도 5에 나타낸 액정 표시 장치(5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 51)는 휘도가 높고 편차가 없는 광을 출사하는 조명 장치(2, 5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편차가 없는 밝은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액정 표시 장치(1, 51)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120)는 그 휴대 전화기(120)에 관한 정보를 안정하고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변형예)
또, 전자 기기로서는, 이상에 설명한 휴대 전화기 등의 외에도, 퍼스널 컴퓨터,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기, POS 단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LED 등의 광원을 실장한 기판과 도광체의 위치 결정 구조에 대하여, 도광체에 대한 광원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명의 휘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광원을 실장한 기판과,
    해당 기판에 마련된 제 1 구멍과,
    해당 제 1 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해당 제 1 구멍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입사면으로부터 받아들여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도광체와,
    해당 도광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멍에 들어가는 제 1 돌기
    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판이 상기 광 입사면을 향해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광면을 상기 광 입사면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제 1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광 입사면과 평행한 방향에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1 구멍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제 1 돌기에 의해, 상기 광 입사면과 평행 방향에서의 상기 광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와 일체인 제 2 돌기와,
    상기 기판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기와 결합하는 위치 결정용 구멍
    을 더 갖고,
    해당 위치 결정용 구멍은, 상기 도광체의 광 입사면에 대하여 평행 방향의 상기 기판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제 2 돌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상기 광 입사면과 평행 방향에서, 상기 제 1 돌기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 1 돌기의 외형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은, 계란 형상(oval), 타원 형상(ellipse) 또는 직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구멍의 중앙, 상기 제 1 구멍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친 한쪽, 또는 상기 제 1 구멍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친 양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광원을 실장한 기판과,
    해당 기판에 마련된 제 1 구멍과,
    해당 제 1 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해당 제 1 구멍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입사면으로부터 받아들여 광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도광체와,
    해당 도광체의 상기 광 출사면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도광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멍에 들어가는 돌기
    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광 입사면으로 향해서 이동하도록 상기 돌기의 측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실장한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도광체의 광 출사면과 반대쪽 면을 향해 구부러지는 가요성을 갖는 배선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21411A 2005-03-08 2006-03-07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764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3479A JP4244942B2 (ja) 2005-03-08 2005-03-08 液晶装置、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5-00063479 2005-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929A true KR20060096929A (ko) 2006-09-13
KR100764254B1 KR100764254B1 (ko) 2007-10-05

Family

ID=3697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411A KR100764254B1 (ko) 2005-03-08 2006-03-07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90973B2 (ko)
JP (1) JP4244942B2 (ko)
KR (1) KR100764254B1 (ko)
CN (1) CN100388091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80B1 (ko) * 2013-07-19 2014-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210012195A (ko) * 2019-07-24 2021-02-03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토출 상태 검사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549A (ko) * 2006-07-31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35043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20893B1 (ko) * 2007-02-14 2013-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BRPI0803104A2 (pt) * 2007-03-30 2011-08-30 Hitachi Chemical Co Ltd elemento de conexão ótica e aparelho de exibição
JP4650448B2 (ja) * 2007-04-03 2011-03-16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
CN201093372Y (zh) * 2007-08-31 2008-07-3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光源单元及采用该光源单元的显示模组
US8373824B2 (en) * 2008-07-08 2013-02-1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72823B2 (ja) * 2008-12-25 2012-11-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00127177A (ko) * 2009-05-25 201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KR100939382B1 (ko) * 2009-06-24 2010-01-29 (주)엘포인트 엘이디 모듈 기판과 섀시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KR101034121B1 (ko) * 2009-12-22 2011-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4998545B2 (ja) * 2009-12-28 2012-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1080954A1 (ja) * 2009-12-28 2011-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122060A1 (ja) * 2010-03-31 2011-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782232B1 (ja) * 2010-04-09 2011-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8979293B2 (en) * 2010-09-24 2015-03-17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JP5141852B2 (ja) * 2011-03-28 2013-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99226A (zh) * 2011-09-12 2013-03-27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反射式触控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20160062034A1 (en) * 2013-04-18 2016-03-0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090200B1 (ko) * 2013-08-08 2020-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637927B (zh) * 2013-11-12 2019-01-22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基于柔性基板的三维封装结构及工艺方法
US9841645B2 (en) 2015-04-02 2017-12-12 Himax Display, Inc. Display device
CN104765175A (zh) * 2015-04-13 2015-07-08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面板组件
JP6050856B2 (ja) * 2015-04-21 2016-12-21 立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6200166A (zh) * 2016-08-22 2016-12-0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19192574A (ja) * 2018-04-27 2019-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導光部材、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6790035B2 (ja) 2018-09-19 2020-11-2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109870850B (zh) * 2019-03-27 2021-02-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CN110058455B (zh) * 2019-04-29 2021-09-2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1077A (en) * 1971-03-31 1973-05-01 Honeywell Inc Illuminated indicator for high and low ambient light environments
JPS61127506U (ko) * 1985-01-30 1986-08-11
JPH1039779A (ja) 1996-07-24 1998-02-13 Toshiba Electron Eng Corp 平面表示装置
KR100238004B1 (ko) * 1997-08-30 2000-01-15 구본준 액정표시장치의 배광장치의 고정구조
JP3594500B2 (ja) 1998-11-12 2004-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器取付接続装置
JP3642263B2 (ja) 2000-05-23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100228A (ja) 2000-09-21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面照明装置
JP2002116440A (ja) * 2000-10-10 2002-04-1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機構
JP2004184493A (ja) 2002-11-29 2004-07-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349557B2 (ja) 2002-11-29 2009-10-21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069763B2 (ja) 2003-02-25 2008-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40097467A (ko) * 2003-05-12 2004-11-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CN1303463C (zh) * 2003-05-20 2007-03-07 统宝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组装框架结构
TWM270369U (en) * 2004-11-26 2005-07-11 Innolux Display Corp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80B1 (ko) * 2013-07-19 2014-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210012195A (ko) * 2019-07-24 2021-02-03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토출 상태 검사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03515A1 (en) 2006-09-14
US7490973B2 (en) 2009-02-17
JP4244942B2 (ja) 2009-03-25
CN1831613A (zh) 2006-09-13
KR100764254B1 (ko) 2007-10-05
CN100388091C (zh) 2008-05-14
JP2006252789A (ja)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254B1 (ko)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4534972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65678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US8974070B2 (en) Backlight units and display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7461962B2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20080084520A1 (en) Backlight assembly,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77962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sandwiched betwe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US8303156B2 (en) Light source unit,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JP2006236641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3355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3001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297021B2 (ja) 電気光学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JP4238926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031464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57232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123931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3902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7138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084651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JP200528382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40078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084598A (ja) 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379502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154353B2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3082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