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224A -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드레인재 - Google Patents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드레인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96224A KR20060096224A KR1020050021029A KR20050021029A KR20060096224A KR 20060096224 A KR20060096224 A KR 20060096224A KR 1020050021029 A KR1020050021029 A KR 1020050021029A KR 20050021029 A KR20050021029 A KR 20050021029A KR 20060096224 A KR20060096224 A KR 200600962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ft ground
- drain material
- vertical drain
- vertical
- airtight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53—Production methods using suction or vacuum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확실하게 연직 드레인재의 때려박기가 가능하며,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 가능한 드레인재를 제공한다.
이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은 투수성의 연직 드레인재(11)를 연약지반(1) 중에 타설하여, 연직 드레인재 내를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함으로써 연약지반 중의 물을 연직 드레인재를 통하여 배수시킨다. 연직 드레인재는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배수용 통재(13)를 연결하는 기밀성 캡(12)을 설치하고, 연직 드레인재를 기밀성 캡을 위쪽으로 하여 기밀성 캡의 깊이가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2)에 도달할 때까지 연약지반 중에 삽입한다.
연약지반, 지하수위면, 연직 드레인재, 진공압밀, 보강재, 진공펌프, 기밀성 캡, 배수용 통재
Description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에 타설된 연직 드레인재와 기밀성 캡과 배수 호스의 배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연직 드레인재를 일부 노치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연직 드레인재와 배수 호스를 연결하는 기밀성 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연직 드레인재와 집수관의 배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1, 도 2 내지 도 4의 연직 드레인재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사용 가능한 드레인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a) 및 그 일부 확대도(b).
도 6은 도 5의 롤형으로 권취한 드레인재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과는 다른 배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1의 배치에서 연약지반(1) 중에 사층 등의 중간 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의 대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에 타설된 연직 드레인재와 불투기부와 집수관의 배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불투기부와 집수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다 른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b).
도 11은 도 9의 연직 드레인재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사용 가능한 드레인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a) 및 그 드레인재를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b).
도 12는 종래의 연약지반에 타설된 연직 드레인재나 집수관이나 진공 펌프의 배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종래의 연약지반에 타설된 연직 드레인재나 집수관이나 진공 펌프의 배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2의 종래의 진공압밀공법에 있어서의 각 문제를 해결하는 공법으로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배치 예(a) 및 (b)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연약지반 1a : 중간 투수층
2 : 지하수위면 10 : 연약지반(1)의 상면
11 : 연직 드레인재 11a : 연직 드레인재
11b : 다른 연직 드레인재 11c :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
11d : 불투기부 12 : 기밀성 캡
13 : 배수 호스(배수용 통재) 14 : 불투기부
14a : 불투기부의 선단부 15 : 집수관
20 : 진공 펌프(감압수단) 21 : 보강재
22 : 심재 23 : 투수성 피복재
24 : 합성수지 코팅 30 : 드레인재
31 : 보강재 40 : 설치구
41 : 설치구 45 : 드레인재
L : 삽입 깊이 L1 : 돌출 길이
L2 : 삽입 길이
본 발명은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 가능한 드레인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이하, 「진공압밀공법」(vacuum consolidation method)이라고 생략하는 경우도 있음)의 개요도를 도 12, 도 13에 도시한다. 도 12, 도 13과 같이, 연약지반상에 샌드매트(sand mat)를 부설한 후, 연약지반 내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연직 드레인재를 상부가 샌드매트 내에 매립되도록 타설하고, 그 후, 그 샌드매트의 표면을 밀봉 시트로 덮고, 그 밀봉 시트 내를, 샌드매트 내에 매립한 집수관(集水管)을 통해서 진공 펌프를 사용한 감압수단으로 감압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종래의 진공압밀공법은 연약지반 중에 삽입한 드레인 내를 감압함으로써 대기압을 지반 표면에 재하(載荷)하여 압밀( 및 배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도 12, 도 13의 종래의 진공압밀공법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1) 샌드매트의 부설에 코스트가 들며, 집수 효율이 나쁘기(배수저항이 크다) 때문에 필요한 진공 펌프 용량이 증대한다.
(2) 해사(海砂)의 채취를 제한하는 자치체가 늘어나고 있고, 환경적 측면에서 모래의 사용량을 적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3) 토사 처분장 내에서 토사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감용화(減容化)를 위해서 상기 진공압밀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샌드매트의 두께분(통상 1.0 내지 2.0m)만큼 신규의 유입 토량이 감소하여 버린다.
(4) 상기 진공압밀공법에서는 밀봉 시트가 불가결하지만, 밀봉 시트의 단부를 점성토층 내에 1.5m 정도 매립할 필요가 있고, 밀봉 시트의 부설에 공정수와 비용이 든다.
(5) 밀봉 시트의 시공에서는 높은 기밀성의 유지가 요구되지만, 광범위에 걸친 기밀성 확보를 위한 작업에는 세심한 주의와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압밀공법에 있어서의 각 문제를 해결하는 공법으로서,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분만큼,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외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不透氣部)를 설치하며, 그 불투기부의 하단을 연약지반 내에 소정 깊이(H)까지 넣어, 불투기부의 상단에, 배수용 통재를 연통시킨 기밀성 캡을, 외주로부터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연결하고, 배수용 통재를 감압수단에 연통시켜, 밀봉 시트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공법이 개발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재에 미리 기밀성 캡과 배 수용 통재를 접속한 것을 기밀성 캡이 연약지반 중의 소정 깊이(H)가 되도록 넣고, 배수용 통재를 감압수단에 연통시키도록 한 공법도 개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도 14의 (a) 및 (b)의 각 공법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1) 각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기밀성 캡을 개재하여 배수 호스를 설치하는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종래의 공법은 연속한 연직 드레인재를 릴에 감아 시공현장에 반입하고, 시공현장에서 소정의 삽입 길이마다 절단하여, 단부의 불투기부를 형성하며, 또한 기밀성 캡을 장착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을 연직 드레인재의 때려박기(driving)마다 행하였기 때문에, 현장작업 공정수가 많고,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요한다.
(2) 미리 각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기밀성 캡을 개재하여 배수 호스를 설치한 것을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는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종래의 공법에서는 기밀성 캡과 배수 호스의 연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축식 호스 밴드나 번선(番線) 조임 방법이 채용되고, 또한 다른 드레인재와의 연결에는 공업용 스테이플(staple)에 의한 고착 등의 방법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드레인 때려박기시에 재료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서, 연결한 배수 호스가 찢어지거나, 기밀성 캡이나 다른 드레인재의 하단의 연결부가 이탈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어, 그 때마다 타설을 다시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이 많이 발생하였다.
(3) 불투기부의 하단을 매립하는 심도는 경험적으로 1 내지 2m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지만, 어떤 깊이까지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면 좋은가 하는 상세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2001-226951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2002-1384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고려하여, 현장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확실하게 연직 드레인재의 때려박기가 가능하며,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 가능한 드레인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제 1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은 투수성의 연직 드레인재를 연약지반 중에 타설하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 내를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함으로써 상기 연약지반 중의 물을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통하여 배수시키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상기 연직 드레인재는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상기 감압수단에 통하는 배수용 통재를 연결하는 기밀성 캡을 설치하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상기 기밀성 캡을 위쪽으로 하여 상기 기밀성 캡의 깊이가 상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의하면, 연직 드레인재를 기밀성 캡의 깊이 위치가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는 것으로, 기밀성 캡의 깊이 위치 이상의 부 분을 기밀 밀봉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은 투수성의 연직 드레인재를 연약지반 중에 타설하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 내를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함으로써 상기 연약지반 중의 물을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통하여 배수시키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상기 연직 드레인재는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분만큼,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하여 두며, 상기 불투기부의 상단에 상기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배수용 통재를 연결하는 기밀성 캡을 설치하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상기 불투기부의 하단을 상기 연약지반 내에 상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2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의하면, 연직 드레인재를 연직 드레인재와 불투기부와의 경계부의 깊이 위치가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는 것으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깊이 위치 이상의 부분을 기밀 밀봉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깊이 위치 또는 기밀성 캡의 깊이 위치를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진공 펌프 등의 감압수단을 사용하여 드 레인재의 내부를 감압하고 지반을 압밀시키는 경우, 지반에 작용시킬 수 있는 부압은 펌프의 배수(배기) 능력과 시스템 내에 유입되는 물·공기의 양과의 비에 의해서 결정된다. 기밀 밀봉층으로서 이용하는 상부의 층 두께는 얇아질수록 침투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필요하게 되는 펌프의 용량이 커진다. 또한, 침투류는 초기에는 발생하지 않고 어떤 시기로부터 압밀에 의한 배수량에 부가되는 형태로 발생한다. 각 깊이 위치가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면, 침투류 발생 후의 침투 유량과 압밀 배수량의 합계가 초기의 압밀 배수량을 상회하지 않기 때문에, 지반에 부압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깊이 위치 또는 기밀성 캡의 깊이 위치를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지하수위면까지의 깊이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동조건의 흙에서 투수 계수(물을 통과시키는 능력)와 투기 계수(공기를 통과시키는 능력)를 비교하면, 후자는 전자의 80배 정도가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공기는 감압에 의해서 용이하게 팽창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을 허가하면 소기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데 필요하게 되는 펌프 용량이 커져 경제적이지 않다. 따라서, 드레인재의 상단을 지하수위면 이하로 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며, 펌프 용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는다.
상기 제 1, 제 2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상기 연직 드레인재는 미리 상기 길이로 절단되어 또한 상기 배수용 통재와 연결하도록 상기 기밀성 캡이 설치된 상태로 연약지반 개량 대상지에 반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작업현장에서 연직 드레인재의 절단이나 배수용 통재와의 연결이나 기밀성 캡의 설치가 불필요해져, 현장작업 공정수가 대폭 줄어, 현장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용 통재가 드레인 타설시에 상기 기밀성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재가 상기 배수용 통재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재에 의해 드레인 타설시에 배수용 통재가 기밀성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배수용 통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확실하게 연직 드레인재의 때려박기가 가능해져,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측에 고착한 기밀성 캡을 개재하여 연결한 배수용 통재 및 드레인 타설시의 상기 배수용 통재의 상기 기밀성 캡으로부터의 이탈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선단을 다른 연직 드레인재의 하단에 고착하도록 하여 복수의 연직 드레인재를 1개로 연결한 상태로 연약지반 개량 대상지에 반입하여,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타설하고, 그 상단측의 상기 배수용 통재를 절단하여 떼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현장에서의 드레인재의 타설작업을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재는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된 연직 드레인재와,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측에 고착한 기밀성 캡과, 상기 기밀성 캡을 개재하여 상기 연직 드레인재에 연결한 배수용 통재를 1세트로 하여, 상기 배수용 통재의 선단을 다른 연직 드레인재의 하단에 고착하도록 하여 복수의 세트를 1개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배수용 통재가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드레인 타설시에 상기 기밀성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재가 상기 배수용 통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의 선단을 상기 다른 연직 드레인재의 하단에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드레인재에 의하면, 상기 제 1, 제 2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연직 드레인재로서 사용할 수 있고, 작업현장에서 연직 드레인재의 절단이나 배수용 통재와의 연결이나 기밀성 캡의 설치가 불필요해져, 현장작업 공정수가 대폭 줄어, 현장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재에 의해 드레인 타설시에 배수용 통재가 기밀성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배수용 통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확실하게 연직 드레인재의 때려박기가 가능하여,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3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은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분만큼,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외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한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사용하여,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상기 불투기부의 하단을 상기 연약지반 내에 상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고, 상기 불투기부의 상단을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배수로에 연결시켜서,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 상기 연직 드레인재 내를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의하면,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접속한 불투기부의 상단을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배수로에 직접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밀성 캡이나 배수 호스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깊이 위치를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침투류 발생 후의 침투 유량과 압밀 배수량의 합계가 초기의 압밀 배수량을 상회하지 않기 때문에, 지반에 부압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깊이 위치 또는 기밀성 캡의 깊이 위치를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지하수위면까지의 깊이 이상으로 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며, 펌프 용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는다.
상기 제 3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한 상기 연직 드레인재와, 상기 상면으로부터의 삽입 길이와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배수로까지의 돌출 길이에 대응한 길이의 상기 불투기부를 1세트로 하여, 복수 세트를 롤의 상태로 연약지반 개량 대상지에 반입하여,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연약지반에 삽입한 후, 그 불투기부의 상단을 절단하여 떼어내고, 상기 배수로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작업현장에서 연직 드레인재의 절단이 불필요해지고, 종래의 배수용 통재와의 연결이나 기밀성 캡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현장작업 공정수가 대폭 줄어, 현장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드레인재는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된 연직 드레인재와,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접속되어, 상기 연약 지반의 상면으로부터의 삽입 길이와 상기 상면으로부터 배수로까지의 돌출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내부는 통수성을 가지며, 외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1세트로 하여, 복수 세트를 롤의 상태로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드레인재에 의하면, 상기 제 3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연직 드레인재로서 사용할 수 있고, 작업현장에서 연직 드레인재의 절단이 불필요해져, 종래의 배수용 통재와의 연결이나 기밀성 캡의 설치가 없기 때문에, 현장작업 공정수가 대폭 줄어, 현장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상기 연직 드레인재에, 상기 연약지반 중에 존재하는 사층(砂層) 등의 중간 투수층에 대응하고, 내부는 통수성을 가지며, 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약지반 중에 존재하는 사층 등의 중간 투수층에 대응하여 연직 드레인재에 불투기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중간 투수층으로부터의 흡수가 없어지며, 연약지반 내의 배수 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드레인재는 상기 연직 드레인재에, 상기 연약지반 중에 존재하는 중간 투수층에 대응하여,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연약지반의 상면은 연약지반의 표면이지만, 연약지반의 위에 사질토층이나 역층(礫層)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사질토층이나 역층 등을 고려 하지 않은 연약지반의 표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에 타설된 연직 드레인재와 기밀성 캡과 배수 호스의 배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직 드레인재의 일례를 도시하며, 이것을 일부 노치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직 드레인재와 배수 호스를 연결하는 기밀성 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직 드레인재와 집수관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드레인재(11)는 투수성을 갖고, 기밀성 캡(12)을 개재하여 배수 호스(13)에 연결되어 있다. 기밀성 캡(12)을 위쪽으로 하여 기밀성 캡(12)이 연약지반(1)의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2)에 도달할 때까지 연약지반(1) 중에 삽입된다. 연약지반(1)의 상면(10)으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된 배수 호스(13)는 집수관(15)에 접속되어, 배수로를 구성한다.
연직 드레인재(1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파형 단면의 보강재(21)가 수용된 박형 각 통형상의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심재(22)의 외주를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피복재(23)로 피복한 구조를 갖는다. 또, 연직 드레인재(11)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 섬유제의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케미컬 드레인 등, 내부에 중공 또는 다공질의 통수로가 형성되고, 그 자체에 보형성(保形性)이 있는 드레인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밀성 캡(12)은 정상부에 배수 호스(13)가 연결되고, 하단측 개구부에 연직 드레인재(11)의 상단이 삽입되어, 예를 들면 테이핑이나 접착제 도포에 의해 연직 드레인재(11)와 기밀성 캡(12)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의 연직 드레인재(11)는 연약지반 개량 대상지에 다수개가 때려박기되고, 기밀성 캡(12)을 개재하여 연결된 배수 호스(13)의 선단은 각각 집수관(15)에 연결되고, 집수관(15)을 감압수단인 진공 펌프(20)에 연통시켜, 집수관(15), 배수 호스(13)를 통하여 연직 드레인재(11) 내를 감압하여, 연약지반(1)으로부터 물을 빨아내어, 연약지반(1)의 상면(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하여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을 개량한다.
도 1의 연직 드레인재(11)는 공장에서의 제조시에, 도 2, 도 3과 같이, 미리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된 연직 드레인재(11)의 상단에 기밀성 캡(12)을 설치하고, 기밀성 캡(12)에 배수 호스(13)를 연결한 드레인재로서 연약지반 개량의 시공현장에 반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시공현장에서 연직 드레인재(11)의 절단이나 기밀성 캡(12)의 설치나 배수 호스(13)의 기밀성 캡(12)에 대한 연결이 불필요해져, 현장작업 공정수가 대폭 줄어, 현장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연직 드레인재(11)는 도 5, 도 6과 같은 드레인재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의 (a) 및 (b)는 도 1, 도 2 내지 도 4의 연직 드레인재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사용 가능한 드레인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a) 및 그 일 부 확대도(b)이다. 도 6은 도 5의 롤형으로 권취한 드레인재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 도 6과 같이, 드레인재(30)는 미리 공장에서의 제작시에,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한 연직 드레인재(11a)의 상단에 고착한 기밀성 캡(12)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설치한 배수 호스(13) 및 보강재(31)의 선단을 다른 연직 드레인재(11b)의 하단에 고착하도록 하여 다수의 연직 드레인재를 1개로 연결하여 권취한 롤상태로 지반 개량현장에 반입할 수 있다.
연직 드레인재(11a)를 타설한 후, 연결한 배수 호스(13)의 상단을 절단하는 것으로 떼어내고, 기밀성 캡(12)과 배수 호스(13)를 각각 연약지반(1) 중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현장에서의 타설 작업이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1)가 배수 호스(13)를 따라 기밀성 캡(12)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배수 호스(13)의 파손 및 기밀성 캡(1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연직 드레인재의 때려박기를 행할 수 있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보강재(31)로서는 평판형의 경질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4와 같이, 각 연직 드레인재(11)를 타설한 후, 연결한 배수 호스(13)를 진공 펌프(20) 등의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집수관(15)에 연결시키고, 진공 펌프(20)를 작동시켜서 각 연직 드레인재(11) 내를 감압시켜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을 하지만, 이 때, 도 1과 같이, 기밀성 캡(12)의 연약지반(1) 내의 깊이 위치를 연약지반(1)의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으로 하며 또한 상면(10)으로부터 지하수위면(2)까지의 깊이 이상으로 하는 이유에 관해서 설명한다.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으로 하는 이유
진공 펌프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연직 드레인 내부를 감압하여 지반을 압밀 하는 경우, 지반에 작용시킬 수 있는 부압은 펌프의 배수(배기) 능력과 시스템 내에 유입되는 물·공기의 양과의 비에 의해서 결정된다. 참고문헌 1(고메다니 외, 「진공압밀공법에 있어서의 점성토층의 기밀 유지 효과」, 제37회 지반공학연구발표회, No.534, 2002. 7)에 의하면, 기밀 밀봉층으로서 이용하는 상부의 점성토층 두께는 실내실험의 결과로 볼 때 50cm이어도 기능하지만, 층 두께가 얇아질수록 침투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필요로 되는 펌프의 용량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침투류는 개량 초기에는 발생하지 않고, 어떤 시기(설계상의 Th=0.1이 되는 시점)로부터 압밀에 의한 배수량에 부가되는 형태로 발생한다. 그래서, 표준 시공 조건으로, 침투류 발생 후의 침투 유량과 압밀 배수량의 합계가 초기의 압밀 배수량을 상회하지 않게 되는 층 두께로 시산하면, 50cm라는 결과가 된다. 또한, 과거의 시공 실적으로부터도, 시공오차를 고려하면 50cm 정도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지하수위면까지의 깊이 이상」으로 하는 이유
참고문헌 2(미키, 「투수 계수와 투기 계수」, 흙과 기초, Vol.19, No. 6, 1971)에 의하면, 동조건의 흙으로 투수 계수(물을 통과시키는 능력)와 투기 계수(공기를 통과시키는 능력)를 비교하면, 후자는 전자의 80배 정도가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공기는 감압에 의해서 용이하게 팽창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을 허가 하면 소기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데 필요하게 되는 펌프 용량이 커져 경제적이지 않다. 따라서, 드레인(배수)부의 상단은 지하수위면 이하로 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다음에, 도 7에 의해, 도 1과는 다른 연직 드레인재와 기밀성 캡과 배수 호스의 배치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의 배치는 연직 드레인재(11)의 상단과 기밀성 캡(12)의 사이에 불투기부(14)를 설치하고, 기밀성 캡(12)은 연약지반(1) 내에 삽입하지 않고 상면(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불투기부(14)는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외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하는 구성이고, 예를 들면, 도 2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드레인재(11)의 투수성 피복재(23)의 외주면에 불투기성의 합성수지 코팅(24)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연직 드레인재(11)를 타설하여, 연직 드레인재(11)의 상단(11c; 불투기부(14)의 하단)을 연약지반(1)의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상면(10)으로부터 지하수위면(2)까지의 깊이에 도달하도록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불투기부(14; 합성수지 코팅(24))의 길이는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상면(10)으로부터 지하수위면(2)까지의 깊이에 도달하는 길이를 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불투기부(14)를 포함하는 드레인재는 합성수지 코팅(24)을 기밀성 캡(12)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실시하도록 한 것 이외에는 도 5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 도 7의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에 의하면, 종래의 기밀 시트를 생략할 수 있고, 기밀 시트를 대체하는 상부의 점성토층 두께를 합리적인 두께(연약지반(1)의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상면(10)으로부터 지하수위면(2)까지의 깊이에 도달한다)로 하는 것으로, 경제적인 설계, 경비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 도 6의 드레인재(30)에 의하면, 작업현장에서 연직 드레인재(11)의 절단이나 배수 호스(13)와의 연결이나 기밀성 캡(12)의 설치가 불필요해져, 현장작업 공정수가 대폭 줄어, 현장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31)를 배수 호스(13)를 따라 기밀성 캡(12)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되고, 보강재(31)의 선단을 다른 연직 드레인재(11b)의 하단에 고착하는 것으로, 드레인 타설시, 배수 호스(13)의 기밀성 캡(12)으로부터의 이탈 및 배수 호스(13)의 파열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이러한 이탈이나 파손이 생겨 다시 타설을 하는 등의 작업이 많이 발생하였던 것에 대하여, 이러한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연직 드레인재(11)의 때려박기가 가능해져,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연약지반(1) 중에 사층 등의 중간 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의 대책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배치에서 연약지반(1) 중에 사층 등의 중간 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의 대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약지반은 통상, 점성토층으로 이루어지지만, 연약지반의 중간위치에 사층 등의 중간 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의한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을 실행하면, 중간 투수층으로부터 지하수나 공기가 연직 드레인재에 흘러 들어와, 연약지반층 내의 배수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없게 된다. 이 대책으로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약지반(1) 내의 중간위치에 존재하는 사층 등의 중간 투수층(1a)에 대응하여 연직 드레인재(11)의 중간에 불투기부(11d)를 미리 설치하여 둔다.
불투기부(11d)는 도 7의 불투기부(14)와 같은 구성으로 되며, 예를 들면, 도 2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드레인재(11)의 투수성 피복재(23)의 외주면에 불투기성의 합성수지 코팅(24)을 형성한다. 불투기부(11d)는 중간 투수층(1a)의 상단, 하단을 포함하도록 중간 투수층(1a)의 층 두께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의하면, 연약지반(1) 내의 중간 투수층(1a)으로부터의 흡수가 없어지며, 연약지반(1) 내의 배수 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도 1과 같은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을 효율 좋게 실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연약지반에 타설된 연직 드레인재와 불투기부와 집수관의 배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불투기부와 집수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다른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이다.
제 2 실시예는 도 7과 비교하여, 배수 호스와 기밀성 캡을 생략하여 연직 드레인재(1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불투기부(14)를 집수관(15)까지 연장시키는 배치이다.
즉, 도 9와 같이, 장척의 연직 드레인재(11)의 연약지반(1)에 대한 삽입 깊이(L; 불투기부(14)의 연약지반(1)에 대한 삽입 길이(L2)를 포함한다) 및 상면(10)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1)에 대응한 길이마다, 연직 드레인재(11)를 타설한다. 이 때, 연직 드레인재(11)의 상단(11c; 불투기부(14)의 하단)을 연약지반(1)의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상면(10)으로부터 지하수위면(2)까지의 깊이에 도달하도록 삽입한다. 이와 같이, 불투기부(14)의 연약지반(1)에 대한 삽입 길이(L2)는 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상면(10)으로부터 지하수위면(2)을 넘는 길이이다. 또한, 연직 드레인재(11) 및 불투기부(14)는 예를 들면, 도 2, 도 3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의 (a)와 같이, 집수관(15)에는 집수관(15)의 외주면에 주벽을 관통하고 또한 연직 드레인재(11) 및 불투기부(14)의 형상에 대응한 평판 직사각형상의 설치구(40)가 설치되어 있다. 불투기부(14)는 설치구(40)에 그 선단부(14a)를 꽂고 나서, 조임 밴드나 접착제나 걸쇠 등을 사용하여 고착한 후, 설치구(40)와 불투기부(14)의 선단부(14a)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는 등에 의해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직 드레인재(11)를 도 4의 진공 펌프(20) 등의 감압수단 으로 통하는 집수관(15)에 연결시키고, 진공 펌프(20)를 작동시켜 각 연직 드레인재(11) 내를 감압시켜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을 개량한다.
또한, 집수관(15)의 설치구(40)는 도 10a와 같이, 도 9의 연직 드레인재(11)의 배치에 대응하여 약 180° 반대측에 설치하고, 또한, 도 4와 같은 집수관(15)의 길이방향의 타설 간격에 맞추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9의 연직 드레인재(11)는 도 11과 같은 드레인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연직 드레인재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사용 가능한 드레인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a) 및 그 드레인재를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b)이다.
도 11의 (a)와 같이, 드레인재(45)는 미리 공장에서의 제작시에, 연약지반 중으로의 연직 드레인재(11)의 삽입 길이(L-L2) 및 불투기부(14)의 길이(L1+L2)에 대응한 길이마다 1세트의 드레인재로서 복수 세트를 1개로 구성하며, 도 11의 (b)와 같이 롤형으로 권취한다.
도 11의 (b)의 롤형의 드레인재(45)를 지반 개량 현장에 반입하여, 연직 드레인재(11)를 연약지반에 삽입한 후, 그 불투기부의 상단을 절단하는 것으로 떼어내고, 도 10의 (a)와 같이 집수관에 접속한다. 그리고, 다음의 연직 드레인재(11)를 마찬가지로 연약지반(1)에 타설한다.
이상과 같이, 도 9, 도 10의 (a)의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의하면, 연직 드레인재(L1)의 상단(11c)에 접속한 불투기부(14)의 상단을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집수관(15)에 직접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밀성 캡이나 배 수 호스를 생략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기밀 시트를 생략할 수 있고, 기밀 시트를 대체하는 상부의 점성토층 두께를 합리적인 두께(상면(10)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상면(10)으로부터 지하수위면(2)까지의 깊이에 도달한다)로 하는 것으로, 경제적인 설계, 경비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1의 드레인재에 의하면, 종래의 기밀성 캡이나 배수 호스의 이탈이나 파손의 문제는 없고, 현장에서의 타설 작업이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배수 호스와 같이 두께가 없기 때문에, 보다 많은 개수분의 드레인재를 하나의 롤에 권취할 수 있어, 시공 효율이 오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 도 7, 도 9에 있어서의 연직 드레인재는 도 2, 도 3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등의 다른 형상, 다른 구조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연직 드레인재(11) 및 불투기부(14)를 원통형으로 구성한 경우는 도 10의 (b)와 같이, 불투기부(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집수관(15)의 설치구(41)를 원통형상으로 구성하여, 불투기부(14)의 선단부(14a)를 설치구(41)에 꽂고, 조임 밴드나 접착제나 걸쇠 등을 사용하여 고착한 후, 설치구(41)와 불투기부(14)의 선단부(14a)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는 등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도 7, 도 9에 있어서 연약지반(1) 내의 중간위치에 사층 등의 중간 투 수층이 존재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중간 투수층에 대응하여 연직 드레인재(L1)의 중간에 불투기부(11d; (도 8)를 미리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도 7, 도 9에 있어서, 연약지반(1)의 상면(10)의 위에 사질토층이나 역층 등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의 깊이는 사질토층이나 역층 등을 고려하지 않고 도면의 상면(10)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드레인재에 의하면, 현장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확실하게 연직 드레인재의 때려박기가 가능하고, 효율 좋게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Claims (11)
- 투수성의 연직 드레인재를 연약지반 중에 타설하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 내를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함으로써 상기 연약지반 중의 물을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통하여 배수시키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상기 연직 드레인재는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상기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배수용 통재를 연결하는 기밀성 캡을 설치하고,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상기 기밀성 캡을 위쪽으로 하여 상기 기밀성 캡의 깊이가 상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투수성의 연직 드레인재를 연약지반 중에 타설하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 내를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함으로써 상기 연약지반 중의 물을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통하여 배수시키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상기 연직 드레인재는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분만큼,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하여 두며, 상기 불투기부의 상단에 상기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배수용 통재를 연결하는 기밀성 캡을 설치하 고,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상기 불투기부의 하단을 상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 드레인재는 미리 상기 길이로 절단되고 또한 상기 배수용 통재와 연결하도록 상기 기밀성 캡이 설치된 상태로 연약지반 개량 대상지에 반입되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통재가 드레인 타설시에 상기 기밀성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재가 상기 배수용 통재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측에 고착한 기밀성 캡을 개재하여 연결한 배수용 통재 및 드레인 타설시의 상기 배수용 통재의 상기 기밀성 캡으로부터의 이탈 방지를 위한 보강재의 선단을 다른 연직 드레인재의 하단에 고착하도록 하여 복수의 연직 드레인재를 1개로 연결한 상태로 연약지반 개량 대상지에 반입하여,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타설하고, 그 상단측의 상기 배수용 통재를 절단하여 떼어내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된 연직 드레인재와,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측에 고착한 기밀성 캡과, 상기 기밀성 캡을 개재하여 상기 연직 드레인재에 연결한 배수용 통재를 1세트로 하고,상기 배수용 통재의 선단을 다른 연직 드레인재의 하단에 고착하도록 하여 복수의 세트를 1개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배수용 통재가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드레인 타설시에 상기 기밀성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재가 상기 배수용 통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의 선단을 상기 다른 연직 드레인재의 하단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재.
-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한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분만큼,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외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한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사용하고,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의 상기 불투기부의 하단을 상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 50cm 이상이며 또한 지하수위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약지반 중에 삽입하며,상기 불투기부의 상단을 감압수단으로 통하는 배수로에 연결시키고,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 상기 연직 드레인재 내를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한 상기 연직 드레인재와, 상기 상면으로부터의 삽입 길이와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배수로까지의 돌출 길이에 대응한 길이의 상기 불투기부를 1세트로 하여, 복수 세트를 롤의 상태로 연약지반 개량 대상지에 반입하여, 상기 연직 드레인재를 연약지반에 삽입한 후, 그 불투기부의 상단을 절단하여 떼어내고, 상기 배수로에 연결시키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연약지반 중으로의 삽입 깊이에 대응한 길이로 절단된 연직 드레인재와, 상기 연직 드레인재의 상단에 접속되며, 상기 연약지반의 상면으로부터의 삽입 길이와 상기 상면으로부터 배수로까지의 돌출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내부는 통수성을 가지며, 외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1세트로 하여, 복수 세트를 롤의 상태로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 드레인재에, 상기 연약지반 중에 존재하는 중간 투수층에 대응하여,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하는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 제 6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 드레인재에, 상기 연약지반 중에 존재하는 중간 투수층에 대응하여, 내부는 통수성을 갖고, 주면으로부터의 통기를 차단시킨 불투기부를 설치한 드레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060101 | 2005-03-04 | ||
JP2005060101A JP4493522B2 (ja) | 2005-03-04 | 2005-03-04 | 真空圧密による軟弱地盤改良工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6224A true KR20060096224A (ko) | 2006-09-11 |
Family
ID=3704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1029A KR20060096224A (ko) | 2005-03-04 | 2005-03-14 |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드레인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493522B2 (ko) |
KR (1) | KR2006009622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9238B1 (ko) * | 2013-07-22 | 2015-07-24 | 주식회사 동아지질 | 연약지반 개량에 사용되는 배수재 조립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22608B2 (ja) * | 2008-12-01 | 2013-10-23 | 東亜建設工業株式会社 | 軟弱地盤改良装置 |
JP5656685B2 (ja) * | 2010-03-01 | 2015-01-21 | 東亜建設工業株式会社 | 軟弱地盤の改良装置及び分岐管 |
JP6059029B2 (ja) * | 2013-01-28 | 2017-01-11 | 五洋建設株式会社 | 砂層の振動締固め工法およびその管理方法 |
JP6249560B2 (ja) * | 2014-01-30 | 2017-12-20 | 五洋建設株式会社 | 地盤改良工法およびドレーン材 |
JP6319838B2 (ja) * | 2014-07-03 | 2018-05-09 | 五洋建設株式会社 | 吸水管システム、地下水位低下工法および飽和地盤の締め固め工法 |
JP6391163B2 (ja) * | 2015-03-05 | 2018-09-19 | 五洋建設株式会社 | 真空圧密工法 |
KR101651834B1 (ko) * | 2015-03-12 | 2016-08-29 |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 집수형 지반 관입식 배수재 및 이를 이용한 급속 연약지반 개량 공법 |
JP6448133B2 (ja) * | 2015-03-13 | 2019-01-09 | 五洋建設株式会社 | 真空圧密工法および真空圧密システム |
CN110332010B (zh) * | 2019-07-16 | 2021-06-04 | 警通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隧道出入口的排水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412A (ja) * | 1982-06-24 | 1984-01-05 | Oyo Kikaku:Kk | 軟弱地盤の脱水工法 |
JP2873764B2 (ja) * | 1992-03-27 | 1999-03-24 | 五洋建設株式会社 | 超軟弱地盤の改良方法 |
JP3777566B2 (ja) * | 2000-02-18 | 2006-05-24 | 五洋建設株式会社 | 真空圧密による軟弱地盤改良工法 |
JP3731201B2 (ja) * | 2000-11-02 | 2006-01-05 | 五洋建設株式会社 | 中間深さ位置に砂層を有する軟弱地盤の真空圧密による地盤改良工法 |
JP4110551B2 (ja) * | 2003-05-07 | 2008-07-02 | 五洋建設株式会社 | 真空圧密工法におけるドレーン打設方法 |
-
2005
- 2005-03-04 JP JP2005060101A patent/JP4493522B2/ja active Active
- 2005-03-14 KR KR1020050021029A patent/KR200600962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9238B1 (ko) * | 2013-07-22 | 2015-07-24 | 주식회사 동아지질 | 연약지반 개량에 사용되는 배수재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241872A (ja) | 2006-09-14 |
JP4493522B2 (ja) | 2010-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96224A (ko) | 진공압밀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공법 및 드레인재 | |
US5551797A (en) | Underground drainage sump system and method of retrofitting for protecting a floor slab | |
JP5656685B2 (ja) | 軟弱地盤の改良装置及び分岐管 | |
US7607861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late-type vertical drain and circular horizontal drainpipe and method of constructing horizontal drain layer in soft ground using the same | |
JP2009046918A (ja) | 真空圧密による軟弱地盤改良工法 | |
JP4596962B2 (ja) | 軟弱地盤の改良構造およびその改良工法 | |
JP4707001B2 (ja) | 透水層混在軟弱地盤の真空圧密改良工法 | |
JP2009209571A (ja) | 導水材および導水材の設置方法 | |
KR100789976B1 (ko) | 연속배수공간이 구비된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연약지반배수방법 | |
JP2008002237A (ja) | ドレーン装置、地盤改良装置、及び、地盤改良方法 | |
JP2006336338A (ja) | 水抜管及び水抜管を用いた排水方法 | |
KR101880038B1 (ko) | 유공관 암거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3777566B2 (ja) | 真空圧密による軟弱地盤改良工法 | |
JP3731201B2 (ja) | 中間深さ位置に砂層を有する軟弱地盤の真空圧密による地盤改良工法 | |
KR100954527B1 (ko) | 연약지반 배수시스템 | |
KR200236381Y1 (ko) | 터널방수공용 방수시트 | |
JP5322608B2 (ja) | 軟弱地盤改良装置 | |
KR20020013686A (ko) | 터널방수공용 방수시트 | |
JP3763054B2 (ja) | 真空圧密による軟弱地盤改良工法 | |
JP3838011B2 (ja) | 潜函工法における漏気回収装置 | |
JPH09184159A (ja) | 地下壁排水用パネル及び地下壁の内側排水構造 | |
JP2007092293A (ja) |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 |
KR20060005466A (ko) |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 |
JP2001164564A (ja) | 遮水壁及び壁体継手部の排水構造の設置方法 | |
KR200314875Y1 (ko) |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