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962A -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962A
KR20060095962A KR1020067005175A KR20067005175A KR20060095962A KR 20060095962 A KR20060095962 A KR 20060095962A KR 1020067005175 A KR1020067005175 A KR 1020067005175A KR 20067005175 A KR20067005175 A KR 20067005175A KR 20060095962 A KR20060095962 A KR 2006009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orage case
fixing member
vertical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오쿠무라
마사유키 고테라
요시미쓰 다부치
Original Assignee
오에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에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에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베이스에 수납 케이스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어느 위치에나 수납 케이스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영사용의 스크린을 감기 위한 권취 롤을 수납 케이스2에 회전하도록 마련하고, 베이스에 상기 수납 케이스2를 복수의 고정부재3을 통하여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크린으로서, 상기 수납 케이스2에 대한 상기 고정부재3, 3의 상기 권취 롤의 회전축심Y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ROJECTION SCREEN}
본 발명은, 벽면이나 천장 등의 베이스에 영사용의 스크린이 수납된 수납 케이스를 고정부재를 통하여 부착하기 위한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영사 스크린의 수납 케이스를 예를 들면 벽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수납 케이스의 양단(兩端)이 각각 용접되어 있는 고정부재로서의 브래킷(bracket)을 통하여 수납 케이스를 벽면에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6161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 수납 케이스는 금속제인 것이 많아 특히 큰 사이즈의 스크린에 있어서는 그 무게가 많이 나간다. 그러한 중량이 있는 수납 케이스를, 안쪽에 기둥이 없는 벽면에 오직 브래킷을 통하여 볼트로 체결하면, 볼트가 벽면으로부터 빠져나오고 그 결과, 수납 케이스가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보통은 벽면의 안쪽에 기둥이 있는 부분에 보강재를 볼트로 체결하고, 그 보강재에 수납 케이스를 브래킷을 통하여 볼트로 체결하여야만 한다. 이렇게 특별한 보강재를 필요로 하는 구성에서는, 비용면에 있어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벽면에 보강재를 고정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여 수납 케이스의 설치 작업에 시간이 걸리고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이 상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베이스에 수납 케이스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어느 위치에나 수납 케이스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사용의 스크린을 감기 위한 권취 롤을 수납 케이스에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베이스에 상기 수납 케이스를 복수의 고정부재를 통하여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크린으로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 대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권취 롤의 회전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베이스인 벽면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기단부로부터 상기 벽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역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권취 롤을 회전하도록 부착하여 지지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대략 역L자 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전방을 덮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에 착탈하도록 구비시킨 커버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앞측의 수직단면(垂直端面)에, 상기 수납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수평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편부(水平片部)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기단부의 상단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편부와 상기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직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수직편부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납 케이스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한다.
상기 결합부재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기 수직편부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수직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결합하여 상기 수직편부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납 케이스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부재의 저판부와 접촉하여 본체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파형(波形) 모양의 스프링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본체를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병설(倂設)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의 수직부의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조용 수직편부를 구비하고, 이 보조용 수직편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직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시켜, 상기 제1결합부에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 본체 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을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2결합부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하여도 좋다.
도1은 영사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2는 천장과 벽면에 걸친 상태로 부착된 영사 스크린의 측면도이다.
도3은 천장과 벽면에 걸친 상태로 부착된 영사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4는 영사 스크린의 일부를 생략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5는 영사 스크린의 일단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캡을 부착하기 직전의 영사 스크린의 일단측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2에 나타낸 스크린보다 큰 스크린을 수납한 대형의 영사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8은, 도7에 나타낸 스크린보다 큰 스크린을 수납한 대형의 영사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9는, 별도의 브래킷으로 권취 롤을 지지한 상태의 영사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0은, 별도의 브래킷으로 권취 롤을 지지한 상태의 영사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11은, 별도의 브래킷으로 권취 롤을 지지한 상태의 영사 스크린의 종단 측면도로서, (a)는 커버부재를 케이스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커버부재를 케이스 본체에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커버부재를 케이스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낸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크린 2 수납 케이스
3 고정부재 3S 저판부
4 권취 롤 4A 지축(支軸)
5 손잡이 5B 바(BAR)
6B 오목부 6A 상단판부(上段板部)
6 수평부(水平部) 6a 볼트 삽입구멍
7 수직부 7A 배판부(背板部)
7a, 7b 볼트 삽입구멍 8 케이스 본체
8X 오목부 8S 고정면
8a, 8b 결합 지지부 9 커버부재
10 수평부 11 수직부
11A 경사판부 12 수직편부
13 결합부재 14A 결합부
14 본체 15 스프링부
16 조작부 17 보조용 수직편부
18 스토퍼 부재 18A 종판부(縱板部)
18B 수평판부 18b 볼트 삽입구멍
19 오목부 20 결합부
21 돌출편(突出片) 22B 플랜지부
22 브래킷 22A 브래킷 본체
22K 관통구멍(노치(notch)) 23 볼트
24 너트 25 캡
26 비스 27, 28 록 부재
28A 관통구멍 29 연장부
30 비스 31 볼트
도1에, 베이스 측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사용의 스크린1(도3 참조)이 수납된 수납 케이스2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2는, 그것의 뒤쪽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고정부재3, 3을 통하여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할 수 있는 영사 스크린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천장T와 벽면H에 걸쳐서 모서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벽이나 천장을 베이스라 부르는 외에 기둥 등 지진 또는 기타의 진동이나 충격을 막을 수 있는 것도 베이스라고 부른다. 여기에서는 2개의 고정부재3, 3을 이용하여 수납 케이스2를 베이스 측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수납 케이스2를 베이스 측에 고정함으로써 스크린의 하중을 3개 이상의 고정부재로 분산되게 하여 수납 케이스2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측으로부터 수납 케이스2가 빠지는 것을 더한층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크린1은, 상기 수납 케이스2 내에 회전하도록 설치된 권취 롤(卷取 roll)4에 권취된 수납자세(도2 참조)와 그 스크린1의 하단에 부착된 손잡이5를 하방으로 당기는 조작을 함으로써 인출하여 프로젝터 등으로부터의 영상을 비출 수 있는 사용자세(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 자세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는, 스크린1의 일단에 부착되어서 스크린1의 권취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바5B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은, 벽면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6과 이 수평부6에 있어서 벽면 측의 기단부(基端部)로부터 벽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7로 이루어져 측면에서 볼 때에 대략 역L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강도면에서 금속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 혹은 나무 등으로 제작하더라도 좋다. 상기 고정부재3의 수평부6을 구성하는 상단판부(上端板部)6A에 크기가 서로 다른 대소(大小) 2개씩의 볼트 삽입구멍6a, 6a, 6b, 6b를 형성하고, 또 고정부재3의 수직부7을 구성하는 배판부(背板部)7A의 상하 2곳에 볼트 삽입구멍7a, 7b를 형성함으로써 천장 및 벽면의 양방에 또는 어느 일방에 볼트로 고정부재3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2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 롤4를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지지하는데, 고정부재3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대략 L자 형상의 케이스 본체8과, 이 케이스 본체8의 전방을 덮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에서 볼 때에 대략 반원호 형상의 커버부재9 로 이루어지고, 강도면에서 금속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 혹은 나무 등으로 제작하더라도 좋다.
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을 구성하는 수평부6의 앞측의 수직단면(垂直端面)에, 상기 수납 케이스2의 케이스 본체8을 구성하는 수평부10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수평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편부10A를 수평방향으로부터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로서의 오목부6B를 구비하고, 수납 케이스2를 구성하는 수평부10의 기단부의 상단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편부12와 수납 케이스2를 구성하는 수직부11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수직편부12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고정부재3으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수납 케이스2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결합부재13을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한 상태로 고정부재3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재13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수직편부12와 수납 케이스2의 수직부11의 사이에서 하방으로부터 결합하여 그 수직편부12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고정부재3으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수납 케이스2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14A를 구비한 본체14의 하단에, 고정부재3의 저판부(底板部)3S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여 본체14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파형(波形) 모양의 스프링부15 및 고정부재3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본체14가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6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2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은, 수직부7의 횡측 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방향의 장공(長孔)7K를 통하여 2개의 비스32, 32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스프링부15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된 상태로 고정부재3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2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8의 수직부11의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조용 수직편부17을 구비하고, 이 보조용 수직편부17과 케이스 본체8의 수직부11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부재3으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케이스 본체8에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18을 고정부재3의 저판부3S에 복수의 볼트31을 통하여 고정 및 고정해제 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18은, 상기 보조용 수직편부17과 케이스 본체8의 수직부11의 사이에 삽입되는 종판부(縱板部)18A와 이 종판부18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 벽면 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판부18B로 이루어지고, 이 수평판부18B에 볼트 삽입구멍18b, 18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11은 케이스 본체8의 상단과 하단의 2곳에 배치되고, 이 2개의 수직부11, 11이 후술하는 고정면8S를 형성하는 경사판부11A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2를,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천장과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그 모서리에 복수(여기에서는 2개이지만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의 고정부재3, 3을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볼트를 이용하여 벽의 이면(裏面)에 있는 기둥이나 천장 안의 채널 부재 등에 고정한다. 다음에 수납 케이스2를 고정부재3, 3에 즉 그것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13, 13에 결합시켜서 가결합(假結合)한 다음에, 스토퍼 부재18을 고정부재3의 저판부3S에 복수의 볼트31을 통하여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18로 수납 케이스2를 고정부재3, 3에 완전하게 고정할 때까지는 결합부재13의 조작부16을 하방으로 당기는 조작을 함으로써 결합을 해제하고 나서, 고정부재3, 3에 대하여 수납 케이스2를 다시 결합함으로써 수납 케이스2에 대한 고정부재3, 3의 위치, 즉 수납 케이스2에 대한 고정부재3, 3의 권취 롤4의 회전축심(回轉軸芯)Y 방향(도1 참조)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9의 상방 후단부에 상방을 향하고 대략 반원호 모양의 상단20을 구비하고, 그 상단20에 결합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8의 전단에 후방 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원호 모양의 오목부19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9를 형성하는 상하 한 쌍의 돌출편 중에서 하측의 돌출편21을 전방으로 연장시키고 나서 상방으로 연장시킨 연장부로 구성함으로써, 그 연장부21의 상단(선단)에 커버부재9의 상방 측에서 후방 측 부분을 하방으로부터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까지 커버부재9를 그 하방을 잡고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함으로써 결합부20을 오목부19로부터 결합해제 할 수 있고, 그 결합해제 후에 있어서 전방 측으로 커버부재9를 이 동시킴으로써 커버부재9를 케이스 본체8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 3을 천장과 벽면에 걸친 상태로 부착한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20이 오목부19로부터 결합해제 가능하게 되는 위치까지 커버부재9를 상방 측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고정부재3의 상하 치수L을 설정함으로써, 고정부재3, 3으로부터 수납 케이스2를 떼어내지 않고도 커버부재9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권취 롤4의 양단에 구비시킨 크기가 서로 다른(동일하더라도 좋다) 고정 측(회전하지 않는다)의 지축4A는, 상기 케이스 본체8에 착탈하도록 부착된 브래킷22, 22를 관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2, 22는 상기 지축4A를 관통시켜 지지하는 판자 모양의 브래킷 본체22A와, 이 브래킷 본체22A의 후단부를 대략 90도 접어 구부려 상기 케이스 본체8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flange部)22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2B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케이스 본체8의 고정면8S가 상측일수로 전방에 위치하도록 앞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브래킷22, 22를 케이스 본체8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각 브래킷22가 그것의 전단부 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브래킷22를 케이스 본체8에 경사자세로 부착함으로써, 도7 및 도8(도8 쪽이 도7보다 크다)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형의 스크린1(권취 롤4)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고정부재3, 3, 케이스 본체8, 브래킷22, 22를 공통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커버부재9를 대형인 것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대형의 스 크린1(권취 롤4)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양단에 구비시킨 2개의 브래킷22, 22 모두 케이스 본체8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했지만, 일방의 브래킷22 만을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상기 케이스 본체8에, 상기 권취 롤4의 회전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상기 플랜지부22B를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상하 한 쌍의 결합 지지부8a, 8b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지지부8a, 8b로 상기 플랜지부22B를 결합,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22B에 형성된 관통구멍22K를 관통시킨 볼트23의 선단을 상기 고정면8S보다 후방으로 유도함과 아울러, 그 선단에 나사결합 시키기 위한 너트24를 수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8X를 상기 케이스 본체8에 형성하고 있다.
도4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케이스2의 양단의 각각에, 단부(端部) 개구부(開口部)를 덮기 위한 캡25를 복수의 비스26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지만, 캡25를 수납 케이스2에 외부에서 결합함으로써 고정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상기 수납 케이스2로부터 권취 롤4를 떼어내서 점검하거나 다른 권취 롤로 교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양단의 캡25, 25를 떼어냄과 아울러 커버부재9를 떼어내고 나서, 일방의 브래킷22를 케이스 본체8로부터 떼어낸다. 계속하여 권취 롤4를 좌우방향 중 브래킷22를 뺀 측으로 이동시켜 타방의 브래킷22로부터 권취 롤4의 지축4A를 빼내서 권취 롤4를 떼어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권취 롤4를 좌우방향 중 브래킷22를 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양방의 브래킷22, 22를 떼어내면 된다. 한편, 떼어낸 권취 롤4를 다시 부착하거나 또는 다른 권취 롤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브래킷22, 22에 권취 롤의 지축4A, 4A를 삽입하고 나서 브래킷22, 22를 케이스 본체8에 볼트23과 너트24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양단의 캡25, 25를 부착함과 아울러 커버부재9를 부착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브래킷22, 22에 있어서의 권취 롤4의 지축4A의 관통구멍22C를,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개구하는 노치(notch)로 구성하고, 그 노치22C에 권취 롤4의 지축4A를 고정하기 위한 록 부재27 또는 28을 고정해제 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브래킷22, 22를 떼어내지 않고 권취 롤4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9의 록 부재27은 브래킷22에 수평축심X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그 록 부재27의 선단이 브래킷22에 결합 및 결합해제 되도록 설치한다. 또, 도10의 록 부재28은 권취 롤4의 지축4A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8A를 구비한 판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판부재28을 브래킷22에 비스30을 이용하여 고정 및 고정해제 하도록 설치한다.
도1~도10에서는 상기 커버부재9의 상방 후단부에 상방을 향하고 대략 반원호 모양의 상단(上端)20을 구비시켜 그 상단20에 결합하는 제1결합부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8의 전단에 후방 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원호 모양의 오목부19를 형성하여, 제1결합부19에 커버부재9의 상단20을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구성하였지만, 도11(a), (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좋다. 즉, 제1결합부19에 커버부재9의 상단2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재9를 케이스 본체8 측으로 이동시켜서 커버부재9를 케이스 본체8에 장착함에 따라, 커버부재9의 하단에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로서의 비스32를 후술하는 좌우의 브래킷33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도1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8로부터 떼어낸 커버부재9의 상단20을, 도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결합부19에 결합하여 제1결합부19를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커버부재9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원호 모양으로 구부려진 커버부재9의 하단9A가 그것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결합부32를 지나 제2결합부32보다 후방 측에 위치함으로써 하단9A의 선단이 제2결합부32에 접하고, 커버부재9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커버부재9 상하단20, 9A를 케이스 본체8에 결합하여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1~도10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9에 캡25, 25의 일부가 외부에서 결합하여 고정하지 않아도, 커버부재9가 케이스 본체8로부터 쉽게 빠져버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캡25, 25를 떼어내지 않고 커버부재9만을 케이스 본체8로부터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9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하단9A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가락 등으로 하방으로 조금 밀어 내린 상태(제2결합부32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까지 밀어 내린 상태)에서 커버부재9를 제1결합부19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케이스 본체8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다른 구성은 상기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1~도10에 나타낸 좌우의 브래킷22, 22를 도11(a), (b), (c)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1~도10에 나타낸 캡25, 25의 일부가 커버부재9의 좌우 양단에 외부에서 결합하지 않아 상기한 바와 같이 캡25, 25를 떼어내지 않고 커버부재9를 케이스 본체8로부터 독립하여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케이스 본체8 및 커버부재9의 좌우 양단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케이스 본체8에 비스로 고정되고, 또한 외면 측에서 캡25가 비스로 고정되는 판부재33의 내면에, 상기 권취 롤4의 지축4A를 삽입시켜서 지지할 수 있는 노치34A가 형성된 아치형(문 모양)의 브래킷34를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판부재33에 지축4A를 빼기 위한 관통구멍33A를 형성하고 있다. 또, 판부재33의 뒤쪽부분을 대략 역U자 모양으로 노치하여 그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서 대략 수평방향의 돌출편33B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의 부착구조는, 손잡이5를 하방으로 끌어 내려서 수납자세의 스크린1을 사용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 외에, 전동모터의 전동력을 이용하여 권취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1을 수납자세와 사용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수납 케이스의 구체적 구성 및 형상은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수납 케이스에 대한 고정부재의 권취 롤의 회전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벽면이나 천장에 수납 케이스를 고정하는 경우에, 벽면에 있어서는 이면에 기둥을 구비한 부위에, 또 천장에 있어서는 이면에 채널 부재를 구비한 부위에 고정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지금까지 부착할 수 없었던 장소에도 보강재가 필요 없게 하면서도 고정부재를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수납 케이스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를 베이스 측에 부착한 후에 수납 케이스를 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경우가 고정부재를 베이스 측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수납 케이스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베이스 측의 특정부위에 얼라인먼트 하면서 고정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고정부재는, 베이스인 벽면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기단부로부터 그 벽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역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권취 롤을 회전하도록 설치하여 지지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대략 역L자 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전방을 덮기 위하여 그 케이스 본체에 착탈하도록 구비시킨 커버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평판 모양의 고정부재에 비하여 형태를 유지시키는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커버부재를 떼어내서 케이스 본체 내 의 스크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커버부재만을 교체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앞측의 수직단면에, 수납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수평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편부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시켜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기단부의 상단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편부와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직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수직편부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고정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수납 케이스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고정부재에 대하여 결합작용에 의하여 수납 케이스를 지지시킬 수 있고, 나사체결 등에 의하여 고정부재에 수납 케이스를 지지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수납 케이스를 고정부재에 지지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중량이 있는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유리하다.
결합부재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수직편부와 수납 케이스의 수직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결합하여 그 수직편부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고정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수납 케이스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의 하단에, 고정부재의 저판부에 접촉하여 본체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파형 모양의 스프링부 및 고정부재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본체를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병설함으로써, 조작부가 있어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조작만으로 결합을 해제하여 고정부재에 대하여 수납 케이스를 떼어낼 수 있으면서도, 3개 부재, 즉 결합부재, 스프링부, 조작부를 각각 구성하여 조립하는 구성에 비하여 조립 작업면 및 재고관리를 포함한 총비용면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의 수직부의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조용 수직편부를 구비하고, 이 보조용 수직편부와 케이스 본체의 수직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케이스 본체에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이 해제된 경우에도 고정부재에 대하여 수납 케이스가 빠지는 것을 스토퍼 부재에 의하여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의 상단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를 케이스 본체에 구비시켜 제1결합부에 커버부재의 상단을 결합한 상태에서, 커버부재를 케이스 본체 측으로 이동시켜서 커버부재를 케이스 본체에 장착함에 따라 커버부재의 하단을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2결합부를 케이스 본체에 구비시킴으로써, 커버부재의 상하단을 케이스 본체에 결합하여 지지시키는 것만으로 장착 상태의 커버부재가 케이스 본체로부터 잘 빠지지 않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의 저감화를 도모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아지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영사용의 스크린을 감기 위한 권취 롤을 수납 케이스에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베이스에 상기 수납 케이스를 복수의 고정부재를 통하여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스크린으로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 대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권취 롤의 회전축심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베이스인 벽면으로부터 대략 수평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기단부로부터 상기 벽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역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권취 롤을 회전하도록 부착하여 지지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대략 역L자 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전방을 덮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에 착탈하도록 구비시킨 커버부재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앞측의 수직단면(垂直端面)에, 상기 수납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수평방향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편부(水平片部)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평부의 기단부의 상단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편부와 상기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직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수직편부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납 케이스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기 수직편부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수직부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결합하여 상기 수직편부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납 케이스와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본체의 하단에, 상기 고정부재의 저판부와 접촉하여 본체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파형(波形) 모양의 스프링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본체를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병설(倂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의 수직부의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보조용 수직편부를 구비하고, 이 보조용 수직편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직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접촉하여 그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고정 및 고정해제 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시켜 상기 제1결합부에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 본체 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을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2결합부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KR1020067005175A 2003-09-17 2004-09-06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KR20060095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25179 2003-09-17
JP2003325179 2003-09-17
JPJP-P-2004-00232976 2004-08-10
JP2004232976A JP2005115340A (ja) 2003-09-17 2004-08-10 映写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962A true KR20060095962A (ko) 2006-09-05

Family

ID=3438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175A KR20060095962A (ko) 2003-09-17 2004-09-06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672423A4 (ko)
JP (1) JP2005115340A (ko)
KR (1) KR20060095962A (ko)
WO (1) WO20050291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0302B2 (en) 2013-04-24 2018-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050B2 (ja) * 2005-09-06 2011-05-18 理研軽金属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収納ボックス
GB2433091A (en) 2006-02-03 2007-06-13 Busybase Ltd Clip with biased latch
TW201003291A (en) * 2008-07-01 2010-01-16 Coretronic Suzhou Corp Slider retainer structure
JP5609549B2 (ja) * 2010-11-02 2014-10-22 株式会社オーエスエム スクリーン装置
WO2014116171A1 (en) * 2013-01-25 2014-07-31 Draper Europe Ab A screen case end unit and a frame profile intended therefore
CN106444261B (zh) * 2016-11-25 2018-06-19 盐城工学院 一种具有底部伸拉式稳定装置的电动幕布
CN109270783A (zh) * 2018-10-19 2019-01-25 深圳御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全息投影幕布
JP7392920B2 (ja) 2020-05-25 2023-12-06 株式会社オーエスエム 固定式スクリーン装置、及び固定式スクリーン装置の固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8403U1 (ko) * 1991-07-08 1991-10-24 Mechanische Weberei Gmbh & Co., 4792 Bad Lippspringe, De
JPH0596846U (ja) * 1992-05-27 1993-12-27 株式会社シネマ工房 スクリーンの収納取付装置
US5274499A (en) * 1992-09-04 1993-12-28 Draper Shade & Screen Co., Inc. Battery operated projection screen with spring assisted roller and replaceable fascia
JP3002103B2 (ja) * 1994-06-20 2000-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可搬式スクリーン
JP2845132B2 (ja) * 1994-06-22 1999-01-13 株式会社オーエス 映写スクリーン
US6111694A (en) * 1997-05-23 2000-08-29 Draper, Inc. Casing for projection screen system
JP3211734B2 (ja) * 1997-07-28 2001-09-25 株式会社オーエス スクリーン用ボック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0302B2 (en) 2013-04-24 2018-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10448531B2 (en) 2013-04-24 2019-10-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2423A4 (en) 2007-01-31
WO2005029176A1 (ja) 2005-03-31
JP2005115340A (ja) 2005-04-28
EP1672423A1 (en)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79661A (ja) モニタースタンド
KR20060095962A (ko) 영사 스크린의 부착구조
JP2008050870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6239013A (ja) カバー体の支持構造及び配線ダクト
JPH1147350A (ja) ゲーム機のパネル取付装置
KR100526598B1 (ko) 벽걸이형 스피커 장치
JPH101206A (ja) コンベアのテンションローラ保持具
JP5470584B2 (ja) 遊技機の筐体構造
JP5524713B2 (ja) 電子機器収納箱
US6757163B2 (en) Computer having an auxiliary memory unit removably fastened on a fixing bracket
JP5524712B2 (ja) 電子機器収納箱
JP4144490B2 (ja) 映写スクリーン
KR200446630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트레이
EP1806815B1 (en) A switchboard enclosure
CN218441681U (zh) 支撑装置
KR200227747Y1 (ko) 금속물 운반용 자력흡착기의 핸들고정장치
JP2004205913A (ja) スクリーンの端部連結構造
JP4422083B2 (ja) 遊技機用筐体
JP3397708B2 (ja) 光ケーブル固定装置
JPH0723981Y2 (ja) ユニット固定用バーのヒンジ機構
KR200302112Y1 (ko) 통신장비용 케이스
JP4023673B2 (ja) 間仕切パネルの連結装置
JP2006020911A (ja) 遊技機
KR200172451Y1 (ko) 디스플레이모니터의 악세사리기기용 장착장치
JP3119763U (ja) 展示用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