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515A - 회로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515A
KR20060094515A KR1020067002590A KR20067002590A KR20060094515A KR 20060094515 A KR20060094515 A KR 20060094515A KR 1020067002590 A KR1020067002590 A KR 1020067002590A KR 20067002590 A KR20067002590 A KR 20067002590A KR 20060094515 A KR20060094515 A KR 20060094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urrent
circuit
circuit breaker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1478B1 (ko
Inventor
테리 에이. 죠지
프란 에이. 클레자
아킴 로즈만
클라우스 홀트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9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6Opening by severing a condu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0Adaptation for built-in fuses
    • H01H9/106Adaptation for built-in fuses fuse and switch being connected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Fus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차단 소자와 휴즈 소자가 병렬로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된 회로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차단 소자는 도전체, 및 그 수용 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도전체를 절단할 수 있는 전류 차단기를 포함한다. 차단 소자는 초기 상태와 작동 상태를 가진다. 차단 소자가 초기 상태에 있으면, 도전체는 휴즈 소자와 평행한 도전 경로를 제공한다. 차단 소자가 작동 상태에 있으면, 전류 차단기에 의해 도전체에 생성된 간극은 도전체를 통해 전류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는 차단 제어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한다.
차단 소자, 휴즈 소자, 회로 차단 장치, 도전체, 전류 차단기

Description

회로 차단 장치 {Circuit Interruption Device}
본 발명은 회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의 로드 회로 보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어 합체되는 2003년 8월 8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0/493,499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자동차, 해양선, 트럭 등과 같은 모터 차량들은 거의 대부분 높은 전류를 전도하는 시동 모터 케이블 및 다른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많은 모터 차량에서 일반적인 통상의 12 볼트 전기 시스템에 있어서, 시동 모터 케이블을 통해 유동하는 전류는 초기에 900 암페어 또는 어떤 경우에는 1500 암페어까지도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케이블을 통과하는 전류는 200 내지 600 암페어 사이의 정상 수준에서 안정되어서, 6초 이상 그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시동 모터와 같은 상기 고전류 장치로 전류를 공급하는 모든 회로들은 정상 상태와 과도 전류 모두의 높은 수준을 수용하는 설계를 요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예컨대 배터리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 상기 고전류 장치의 임의의 부품은 심각한 차량 충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접지 단락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회로와 관련된 휴즈 보호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 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시동 모터 케이블과 같은 부품은 회로 보호를 위해 휴즈와 합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렇게 휴즈 보호기가 없는 이유는 시동 모터 또는 다른 고전류 장치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류를 지지하도록 요구될 수 있는 비교적 큰 휴즈 크기이다. 배터리 케이블과 같은 고전류 회로 내의 임의의 부품이 저전류 장치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휴즈 보호기는 구현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예컨대, 차량 시동 모터 회로에서 초기에 급격한 전류 상승으로 인해 요구되는 전류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휴즈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전류 가 필요치 않은 동안에 보호를 거의 제공할 수 없다.
배터리 회로에서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개시되어 왔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6,144,111호, 제6,171,121호, 및 제5,783,987호는 이러한 회로 차단 장치를 개시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장치의 작동은 용이하게 역전되지 않는다. 상기 장치는 통상적으로 그와 관련된 회로를 불능하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한편, 작동된 회로는 통상적으로 회로는 저장하기 위해 교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호된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의 사용자는 불편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 차량의 경우에,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해 견인 또는 점프 시동이 요구될 수 있고, 차량이 운전 가능한 상태로 회복되기 전까지 지체될 수 있다.
배터리 회로 차량에서 단락이 발생할 때 배터리 케이블에서 전압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락은 차량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어백을 작동하도록 하는 정도의 감속의 한계 수준을 초과하거나 충돌 발생을 나타내도록 트리거하는 많은 충돌은 배터리 케이블과 같은 고전류 부품 에서 단락 회로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을 재시동하거나 또는 선택된 전기 로드로 전원 공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불행히도, 차량 충돌이 발생할 때마다 보호된 회로를 불능시키는 것을 수반하는 고전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장치는 단락 회로가 발생하지 않았어도 보호된 회로를 불필요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보호 조치는 추가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단 소자와 휴즈 소자가 전기적으로 병렬로 구성되어 있는 전류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차단 소자는 휴즈 소자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도전체를 포함한다.
또한, 예시적 실시예는 도전체의 전류 수용 용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도전체를 절단할 수 있는 전류 차단기를 더 포함한다. 차단 소자는 초기 상태와 작동 상태를 가진다. 차단 소자가 초기 상태에 있으면, 도전체는 휴즈 소자의 회로 경로와 병렬로 구성된 도전 경로를 제공한다. 차단 소자가 작동 상태에 있으면, 전류 차단기에 의해 도전체에 생성된 간극은 도전체를 통해 전류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는 장치가 에어백 작동 또는 배터리 회로의 단락과 같은 비정상적 상태의 발생을 가리키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배터리 케이블의 전류 수용 용량을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는 배터리 회로에 단락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충돌후 자동자 엔진의 정상적 재시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는 차단 제어 신호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전류 차단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류 차단기는 신호의 탐지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들은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2a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b는 작동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자동차 배터리 회로의 일부로서 접속되어 있는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의 일 태양의 평면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5b는 도5a의 회로 차단 장치의 일 태양의 사시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 도이다.
도6b는 도6a의 회로 차단 장치의 일 태양의 사시도이다.
이제 도면의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회로를 위한 안전 장치 또는 회로 차단 장치(110)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차단 소자(112)와 휴즈 소자(114)를 포함한다. 차단 소자(112)와 휴즈 소자(114)는 제1 및 제2 노드(116, 118)로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 각각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예시적 실시예의 회로 차단 장치(210)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차단 소자(212)와 휴즈 소자(214)를 포함한다. 차단 소자(212)와 휴즈 소자(214)는 제1 및 제2 노드(216, 218)로서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 각각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차단 소자(212)는 휴즈 소자(214)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도전체(220)를 포함한다. 도전체(220)는 좁은 접합점(222)을 포함한다. 도전체(220)는 전기 로드에 의해 요구되는 대부분의 전류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재질, 단면적, 및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도전체(220)는 휴즈 소자(214)가 정상적 사용 중에 개방 또는 용융하기에 충분한 전류를 전도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차단 소자(212)는 제1 및 제2 노드(216, 218) 사이의 전류를 수용하는 도전체(220)의 용량을 제거하도록 도전체(220)를 절단할 수 있는 전류 차단기(224)를 포함한다. 전류 차단기(224)는 도전체(220)를 통한 전류 유동을 방지하도록 도전체(220)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전류 경로를 휴즈 소자(214) 를 통해 온전히 연장하도록 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차단기(224)는 피로테크닉 구성요소(228)로 부분 충전된 발화 챔버(226)를 포함한다. 전류 차단기(224)는, 와이어(232)를 통해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피로테크닉 구성요소(228)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점화 소자(2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회로 차단 장치(210)는 전류 차단기(224)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보조 구성요소 및 적절한 상호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차단 소자(212)는 도전체(220)를 통해 연장하는 전류 경로를 개방 또는 끊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류 차단기(224) (도시되지 않은) 나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전체(220)는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전류 차단기(224)는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전체(220)는 (도시되지 않은) 휴즈를 포함할수 있고, 전류 차단기(224)는 (도시되지 않은) 가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가열 소자는 (도3에 도시된) 제어 모듈 또는 (도3에 도시된)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도시되지 않은) 휴즈를 용융하도록 구성된다.
도2a는 초기 상태에 있는 차단 소자(212)를 도시한다. 초기 상태에서, 도전체(220)는 휴즈 소자(214)에 병렬로 제1 및 제2 노드(216, 218) 사이에 도전 경류를 제공한다.
도2b는 전류 차단기(224)가 도전체(220)를 절단하여 제1 및 제2 노드(216, 218) 사이의 전류를 수용하는 도전체(220)의 용량을 차단한 후의 작동된 상태에 있는 차단 소자(212)를 도시한다. 작동된 상태에서, 전류 차단기(224)에 의해 도전 체(220) 내에 생성된 간극(234)은 제1 및 제2 노드(216, 218) 사이의 도전체(220)를 통해 전류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3은 자동차 배터리 회로의 일부로서 접속되어 있는 안정 장치 또는 회로 차단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회로 차단 장치(310)는 직류 전원 공급 또는 저장 배터리(364)의 양극 포스트(362)와 차량 전기 로드 사이의 주회로(360)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시동 모터(366), 발전기(368), 및 전기 센서(370)와 같은 통상적인 차량 전기 로드는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센서(380)는 전류를 수용하는 차단 소자(312)의 용량 제거가 필요한 비정상 상태를 탐지한다. 비정상 상태는 차량 충돌에서와 같은 급속한 감속 또는 가속(아마도 에어백의 작동을 유발할 정도의 충분한 힘)의 경우를 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센서(380)는 (36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된 회로에서 과전류 상태와 같은 다른 비정상적 상태를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380)는 센서(380)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탐지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382)과 통신한다. 제어 모듈(382)은 센서(380)로부터 나온 신호를 처리하고 와이어(332)를 통해 차단 소자(312)로 전송되는 차단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회로 차단 장치(3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로드 전류는 차단 소자(312)와 병렬 휴즈 소자(314)를 통해 접속점(336, 338) 사이에서 전도된다. 센서(380)는 전류를 수용하는 차단 소자(312)의 용량 제거에 대한 소망을 나타내는 비정상 상태를 탐지한다. 양호하게는 충격이 발생하기 전에, 제어 모듈(382)은 차단 소자(312)로 신호를 보내고 차단 소자(312)를 통한 전류 경로를 개방 하면, (36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된 배터리 케이블 또는 (366, 368, 37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로드의 유도된 단락 회로가 발생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블 단락 회로가 결과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면, 휴즈 소자(314)는 남은 병렬 회로를 개방하고 단락을 제거한다. 이러한 경우에, 보호된 회로(360)는 회로의 재설정 또는 닫힘(그렇게 하는 것은 전기적/열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없이 배터리 양극 포스트(362)로부터 영구적으로 차단된다. 다시 말해, 배터리 케이블 단락 회로가 충돌시 발생하지 않는다면, 휴즈 소자(314)는 병렬 회로를 개방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즈 소자(314)는 차량 엔진의 재시동과 같은 보호된 회로에서 필요한 고전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전류를 수용하는 용량을 제공하도록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차량 엔진이 충돌로 인해 정지하거나 엔진이 충돌 후에 꺼지는 경우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두 번째 경우에, (제한된 회수의 싸이클에 대해) 충돌 후 엔진의 재시동을 수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휴즈 크기 또는 등급은 차량의 수명 동안에 휴즈가 시동 회로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직렬로 구성된다면 요구될 수 있는 휴즈의 크기 또는 등급보다 현저히 작을 수 있다.
회로 차단 장치(310)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 배터리 회로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차단 장치(310)는 100 마이크로 오옴보다 작은 저항을 가지는 (도2a에서 220으로 도시된) 도전체와 125 암페어의 등급을 가지는 휴즈 소자(314)를 포함한다.
(배터리 케이블 상에 충돌 유도된 전기 단락 회로가 있든 없든 간에)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회로 차단 장치(310)는 충돌 후 수행되는 차량 서비스 정비의 일환으로 궁극적으로 제거되고 교체된다. 이러한 정비는 차량을 정상적인 사용으로 복귀시키기 이전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충돌로 인한 손상에 대해 배터리 케이블(들)을 수리 및/또는 교체하여 배터리 케이블(들)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도4를 참조하면, 회로 차단 장치의 일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410으로 도시된 태양에서, 단일 스템핑(412)은 도전체(414)와 휴즈 소자(416)(용융 가능한 부분)를 모두 포함한다. 도전체(414)와 휴즈 소자(416)는 제1 및 제2 노드(418, 420)로서 형성된, 스템핑(412) 상의 위치에서 접속된다. 스템핑(412)은 도3에서 336 및 338로 도시된 바와 같은 로드 회로 접속점으로 접속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지주에 볼트 결합되도록 각 단부에 구멍(422, 424)을 포함한다. 스템핑(412)의 도전체(414)는 통상적으로 사각형인 제1 버스 바아(426)에서 합체되어 있는데, 상기 바아(426)는 노치 가공 또는 다르게 약화되어서 좁은 접합점(428)을 제공함으로써, (도2a에서 224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 차단기를 통해 용이하게 차단한다. 스템핑(412)의 휴즈 소자(416)에는 접합점(428)의 대향측에 위치된 제1 및 제2 노드(418, 420) 사이의 전류를 수용하기 위한 병렬 전기 경로인 작은 제2 버스 바아(430)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휴즈 소자(416)는 휴즈 소자(416)를 통해 소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통과하면 용융하도록 구성된다. 휴즈 소자(416)를 용융시키는 소정 수준은 특정 휴즈 소자(416)의 재질, 표면적, 및/또는 단면적에 따른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템핑(412)은 약 1 내지 2 mm의 두께를 가지는 구리 재 료로 제조된다. 도전체(414)는 휴즈 소자(416)의 전류 수용 용량보다 큰 전류 수용 용량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도전체(414)와 휴즈 소자(416)의 크기, 모양, 및 재질의 조합은 도전체(414)가 스템핑(412)을 통해 유동하는 전류의 약 75% 이상을 수용하도록 선택된다.
스템핑(412)을 포함하는 전류 차단 장치의 운전은 전술한 전류 차단 장치(110, 210, 310)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된다. 또한, 전류 차단 장치(210)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휴즈와 차단 소자를 단일 스탬핑에 일체화하지 않고, 차단 소자 및 그 차단 소자와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된 별개의 휴즈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의의 이러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상기 장치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 회로에 손쉽게 조립하며 저렴한 서비스 교체를 제공하도록, 배터리 터미널 클램프 또는 다른 연결 장치와 함께 하우징에 즉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제 도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510)의 예시적 실시예는 도전성 스탬핑(512), 휴즈(514), 및 피로테크닉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전류 차단기(516)를 포함한다. 스템핑(512)은 도전체(518), 및 스탬핑(512)의 각각의 단부에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520, 522)를 포함한다. 휴즈(514)는 도전체(518)와 병렬로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520, 522) 사이에서 연장한다. 전류 차단기(516)는 전류 차단기(516)를 작동시키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탐지하면 도전체(518)를 통해 연장하는 회로 경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된다.
도5b는 도5a에서 도시된 전류 차단 장치(510)의 태양을 설명한다. 통상적으 로 540으로 도시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스템핑(512)은 도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도전체(518)와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520, 52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기 접속부(520, 522)는 도3에서 336 및 338로 도시된 바와 같은 로드 회로 접속점으로 접속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지주에 스템핑(512)을 볼트 결합시키도록 각각의 구멍(542, 544)을 포함한다. 도전체(518)는 노치 가공 또는 다르게 약화되어서 좁은 접합점(546)을 제공함으로써,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 차단기(516)를 통해 용이하게 차단한다.
예시적 실시예(540)은 또한 도전체(518)와 병렬로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520, 522) 사이에서 연장하는 휴즈(514)를 포함한다. 상기 휴즈(514)는 스템핑(512)의 각각의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520, 522)로 볼트 연결되기 위한 구멍(542, 544)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전기 접점(548, 550)을 포함한다.
이제 도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610)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스탬핑(612), 휴즈(614), 및 피로테크닉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전류 차단기(616)를 포함한다. 스템핑(612)은 도전체(618), 및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620, 622)를 포함한다. 도전체(518)는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620, 622) 사이에서 연장한다. 휴즈(614)는 도전체(618)와 전기적으로 병렬로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620, 622) 사이에 배치된다. 전류 차단기(616)는 전류 차단기(616)를 작동시키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탐지하면 도전체(618)를 통해 연장하는 회로 경로를 개방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된다.
도6b는 전류 차단 장치(610)의 태양을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640으로 도시 된 상기 태양에 있어서, 스템핑(612)은 도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도전체(618)와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620, 622)를 포함한다. 제1 전기 접속부(620)는 로드 회로 접속점으로 접속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지주에 스템핑(612)을 볼트 결합시키도록 구멍(642)을 포함한다. 제2 전기 접속부(622)는 (도6b에서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의 양극 단자로의 접속을 제공하도록 클램프(644)를 포함한다. 도전체(618)는 노치 가공 또는 다르게 약화되어서 좁은 접합점(646)을 제공함으로써,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 차단기(616)를 통해 용이하게 차단한다.
예시적 실시예(640)은 또한 도전체(618)와 전기적으로 병렬로 제1 및 제2 전기 접속부(620, 622) 사이에 배치된 휴즈(614)를 포함한다. 상기 휴즈(614)는 스템핑(612)과 볼트 연결되기 위한 제1 및 제2 전기 접점(648, 650)을 포함한다.
전기 회로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전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휴즈 소자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휴즈 소자를 상기 도전체에 병렬로 전기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전체 및 휴즈 소자를 전기 회로와 직렬로 전기 접속시키는 단계와, 소정의 상태를 탐지하고 상기 상태의 발생을 가리키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를 탐지할 수 있고 상기 신호에 응답으로 도전체를 절단하여 도전체의 전류 수용 용량을 제거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류 차단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방법은 소정의 상태의 발생을 탐지하는 단계와, 도전체를 통과하는 전류 유동을 차단하도록 도전체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시되고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들은 예로서만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유사하게, 예시적인 크기, 비율, 재질 및 구성 기술은 설명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의 범주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않되며, 후속하는 청구범위의 면밀한 숙독에 의해서만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다른 개조예 및 변형예가 명세서를 숙독하고 이해하면 착안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는 제어기를 회로 차단 소자에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신호는 무선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기 및/또는 센서는 본 발명의 회로 차단 장치와 함께 패키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이러한 개조예 및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21)

  1. 병렬로 접속된 차단 소자(112, 212, 312, 512, 612) 및 휴즈 소자(114, 214, 314, 514, 614)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 장치(110, 210, 310, 510, 6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소자는 상기 휴즈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도전체(220, 518, 618)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소자는 도전체를 절단할 수 있는 전류 차단기(224, 516, 616)을 더 포함하는 회로 차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소자는 초기 상태와 작동 상태를 가지고, 상기 차단 소자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도전체는 휴즈 소자와 병렬인 도전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차단 소자가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전류 차단기의 작동에 의해 도전체 내에 생성된 간극(234)은 전류가 상기 도전체를 통해 유동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로 차단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소자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차단 소자는 휴즈 소자의 전류 수용 용량보다 큰 전류 수용 용량을 제공하는 회로 차단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기는 피로테크닉 구성요소(228)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와 휴즈 소자는 스탬핑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회로 차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소자는 센서(380)와 통신하며, 상기 센서로부터의 소정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회로 차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회로에서 과전류 상태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회로 차단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차량 감속 속도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회로 차단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에어백의 작동을 탐지하도록 구성된 회로 차단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소자는 전류 차단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기(382)와 통신하는 회로 차단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차단 장치는 전원 공급기(364) 및 전기 로드(366, 368, 370)와 직렬로 전기 접속된 회로 차단 장치.
  14. 전기 회로에서 접속되는 안전 장치(110, 210, 310, 510, 610)이며,
    도전체(220, 414, 518, 618)와,
    상기 도전체와 병렬로 전기 접속된 휴즈 소자(114, 214, 314, 416, 514, 614)와,
    상기 도전체를 절단하여 상기 도전체를 통한 전류 유동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기(224)를 포함하는 안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기는 차단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도전체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안전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휴즈 소자의 전류 수용 용량보다 큰 전류 수용 용량을 제공하는 안전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및 휴즈 소자는 일체형으로 함께 접속된 안전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및 휴즈 소자는 전원 공급기(364) 및 전기 로드(366, 368, 370) 사이에서 직렬로 접속된 안전 장치.
  19. 전기 회로(360)의 안전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이며,
    도전체(220, 518, 618)를 제공하는 단계와,
    휴즈 소자(114, 214, 314, 514, 614)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휴즈 소자를 상기 도전체에 병렬로 전기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도전체 및 휴즈 소자를 상기 전기 회로와 직렬로 전기 접속하는 단계와,
    소정의 상태를 탐지하고 상기 상태의 발생을 가리키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센서(380)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를 탐지할 수 있고 상기 신호에 응답으로 도전체를 절단하여 도전체의 전류 수용 용량을 제거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류 차단기(224, 516, 61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소정 상태의 발생을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도전체를 통한 전류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도전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전기 회로(360)의 안전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이며,
    도전체(220, 518, 618)를 제공하는 단계와,
    휴즈 소자(114, 214, 314, 514, 614)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휴즈 소자 및 상기 도전체를 병렬로 전기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도전체 및 휴즈 소자를 상기 전기 회로와 직렬로 전기 접속하는 단계와,
    소정의 상태를 탐지하는 단계와,
    도전체의 전류 수용 용량을 제거하도록 상기 도전체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67002590A 2003-08-08 2004-08-06 회로 차단 장치와, 전기 회로의 접속을 위한 안전 장치와, 전기 회로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0851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349903P 2003-08-08 2003-08-08
US60/493,499 2003-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515A true KR20060094515A (ko) 2006-08-29
KR100851478B1 KR100851478B1 (ko) 2008-08-08

Family

ID=3413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590A KR100851478B1 (ko) 2003-08-08 2004-08-06 회로 차단 장치와, 전기 회로의 접속을 위한 안전 장치와, 전기 회로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75997B2 (ko)
EP (1) EP1654793B1 (ko)
JP (1) JP2007502005A (ko)
KR (1) KR100851478B1 (ko)
WO (1) WO200501570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695A (ko) * 2015-09-10 2018-05-10 메르센 프랑스 에스비 에스에이에스 전기 회로용 보호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전기 회로, 및 이러한 전기 회로의 보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4445B2 (en) * 2004-04-20 2012-03-1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RFID open fuse indicator, system, and method
EP1742280B1 (de) 2005-06-27 2014-12-24 Delphi Technologies, Inc. Anschlusseinheit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Komponenten mit einer Kraftfahrzeugbatterie
JP2007312491A (ja) * 2006-05-17 2007-11-29 Denso Corp 電力変換装置
JP5159540B2 (ja) * 2008-09-26 2013-03-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駆動回路及び液体吐出ヘッド駆動回路の保護方法
DE102008064393B4 (de) * 2008-12-22 2012-12-06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sicherung einer elektrischen Leitung
DE102009023801A1 (de) 2009-06-03 2010-02-04 Daimler Ag Sicherungsvorrichtung mit pyrotechnischer Sicherung
DE102009027387B4 (de) 2009-07-01 2019-01-03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ichern einer elektrischen Leitung mit einem steuerbaren Schaltelement
DE102010011150B4 (de) 2010-03-11 2012-03-29 Auto-Kabel Managementgesellschaft Mbh Elektrische Sicherung für Kraftfahrzeugenergieleitungen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solche Sicherung
DE102011014343A1 (de) * 2011-03-18 2012-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 Spannungsversorg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022083B4 (de) * 2012-11-09 2022-12-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Versorgungsnetz für ein Kraftfahrzeug
JP6255429B2 (ja) * 2016-02-04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流遮断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0312040B2 (en) * 2016-05-11 2019-06-0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dular circuit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61048B2 (en) * 2016-05-11 2019-07-2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yrotechnic circuit protection systems, modules, and methods
FR3051282B1 (fr) * 2016-05-16 2021-05-21 Herakles Dispositif de coupure destine a etre relie a un circuit electrique
FR3051281B1 (fr) * 2016-05-16 2020-06-05 Mersen France Sb Sas Dispositif de coupure electrique et systeme electrique securis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202017000338U1 (de) * 2016-11-15 2018-02-16 Liebherr-Components Biberach Gmbh Leistungselektronik mit Trennsicherung
FR3063570B1 (fr) * 2017-03-03 2019-04-19 Mersen France Sb Sas Dispositif de protection a double commande pour un circuit electrique et circuit electrique comprenant ce dispositif de protection
FR3064107B1 (fr) * 2017-03-17 2023-03-10 Livbag Sas Interrupteur pyrotechnique avec moyens fusibles
JP6883460B2 (ja) * 2017-04-07 2021-06-0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流遮断装置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DE102017207736B3 (de) * 2017-05-08 2018-08-23 Leoni Bordnetz-Systeme Gmbh Pyrotechnischer Schutzschalter und Versorgungsnetz mit einem pyrotechnischen Schutzschalter
DE102017207739B3 (de) * 2017-05-08 2018-08-23 Leoni Bordnetz-Systeme Gmbh Pyrotechnischer Schutzschalter und Versorgungsnetz mit einem pyrotechnischen Schutzschalter
SI25500B (sl) * 2017-08-01 2024-02-29 Eti Elektroelement, D.O.O. Stikalni sklop za prekinitev enosmernega električnega tokokroga
CN207939189U (zh) * 2017-08-28 2018-10-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断路器
DE102017125208B4 (de) 2017-10-27 2021-08-12 Auto-Kabel Management Gmbh Elektrisches Sicherungselemen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Sicherungselementes
US11108225B2 (en) 2017-11-08 2021-08-3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in an electric mobile application using a combined breaker and relay
WO2019092103A2 (en) 2017-11-08 2019-05-1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ower distribution unit and fuse management for an electric mobile application
US11070049B2 (en) 2017-11-08 2021-07-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in an electric mobile application using a combined breaker and relay
US11368031B2 (en) 2017-11-08 2022-06-2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ower distribution and circuit protection for a mobile application having a high efficiency inverter
US20200114784A1 (en) * 2017-11-08 2020-04-1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t control in a power distribution unit
DE102018207247A1 (de) * 2017-12-15 2019-06-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rennvorrichtung für ein Hochvoltbordnetz eines Kraftfahrzeugs, Hochvoltbordnetz sowie Kraftfahrzeug
SI25615A (sl) * 2018-03-14 2019-09-30 Nela Razvojni Center Za Elektroindustrijo In Elektroniko, D.O.O. Alternativno spremenljiv električni tokokrog in postopek spreminjanja poti električnega toka v električnem tokokrogu
US11043344B2 (en) 2018-05-23 2021-06-2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Arc flash reduction maintenance system with pyrotechnic circuit protection modules
FR3089053B1 (fr) * 2018-11-28 2020-12-18 Mersen France Sb Sas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un circuit électrique, circuit électriqu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et procédé de protection d’un tel circuit électrique
FR3089052B1 (fr) 2018-11-28 2020-12-11 Mersen France Sb Sas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un circuit électrique et circuit électriqu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JP2020136055A (ja) * 2019-02-19 2020-08-31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回路遮断装置
US11670937B2 (en) 2019-02-22 2023-06-0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olant connector having a chamfered lip and fir tree axially aligned with at least one o-ring
JP7357669B2 (ja) * 2019-03-01 2023-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発射体の組立体と電気回路遮断装置
FR3098006B1 (fr) * 2019-06-25 2021-07-09 Mersen France Sb Sas Coupe-circuit électrique
SI25930A (sl) * 2019-11-06 2021-05-31 Nela Razvojni Center Za Elektroindustrijo In Elektroniko, D.O.O. Stikalni sklop za prekinitev enosmernega električnega tokokroga z dvema viroma električne napetosti
EP3913781A1 (en) 2020-05-22 2021-11-24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td. Modular multilevel converters
KR20220090674A (ko) * 2020-12-22 2022-06-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의 비상 전력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095535A1 (ja) * 2021-11-26 2023-06-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56249B (de) * 1952-10-18 1959-04-30 Calor Emag Elektrizitaets Ag Einrichtung zur Schnellunterbrechung von Kurzschlussstroemen
DE1097016B (de) 1955-01-15 1961-01-12 Calor Emag Elektrizitaets Ag Einrichtung zur Schnellunterbrechung von Kurzschlussstroemen
FR2471662A1 (fr) 1979-12-12 1981-06-19 Ferraz & Cie Lucien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coupure a conducteur destructible par effet pyrotechnique avec systeme fusible en derivation
US4573032A (en) 1984-01-05 1986-02-25 General Electric Company Inductively compensated trigger circuit for a chemically augmented fuse
US4920446A (en) * 1986-04-18 1990-04-24 G & W Electric Co. Pyrotechnically-assisted current interrupter
US5019937A (en) * 1989-10-30 1991-05-28 A. B. Chance Company Circuit improvement apparatus having combination current limiting fuse and resettable vacuum switch to prevent single-phasing of three-phase loads
JP2560155B2 (ja) * 1991-04-23 1996-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直流しゃ断装置
US5536980A (en) * 1992-11-19 1996-07-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voltage, high current switching apparatus
DE19757026A1 (de) 1997-12-20 1999-07-01 Leonische Drahtwerke Ag Elektrische Sicherung
DE19832234A1 (de) * 1998-07-17 2000-01-20 Pudenz Wilhelm Gmbh Elektrisches Sicherungselement mit zwischen Anschlußstücken angeordnetem Schmelzstreifen
DE19909590A1 (de) * 1999-03-04 2000-09-07 Delphi Tech Inc Sicherungssystem
DE10049071B4 (de) * 2000-10-02 2004-12-16 Micronas Gmbh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n Stromkreis insbesondere in Kraftfahrzeugen
US6829129B2 (en) * 2000-11-14 2004-12-07 Monster, Llc Tri-mode over-voltage protection and disconnect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695A (ko) * 2015-09-10 2018-05-10 메르센 프랑스 에스비 에스에이에스 전기 회로용 보호 디바이스, 이러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전기 회로, 및 이러한 전기 회로의 보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75997B2 (en) 2011-01-25
EP1654793B1 (en) 2016-07-06
EP1654793A4 (en) 2009-03-04
WO2005015704A2 (en) 2005-02-17
JP2007502005A (ja) 2007-02-01
US20080137253A1 (en) 2008-06-12
EP1654793A2 (en) 2006-05-10
KR100851478B1 (ko) 2008-08-08
WO2005015704A3 (en)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478B1 (ko) 회로 차단 장치와, 전기 회로의 접속을 위한 안전 장치와, 전기 회로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방법
US10137783B2 (en) High-voltage vehicle network of a motor vehicle, quick-brea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high-voltage vehicle network
US20040041682A1 (en) Battery circuit disconnect device
CN111201687B (zh) 用于机动车辆的高压车载电网的断开装置、高压车载电网以及机动车辆
GB2489101A (en) Pyrotechnically actuated fuse for a motor vehicle
KR20010093097A (ko) 배터리와 안전 차단 기능을 갖는 전기 시스템
JP2001525158A (ja) 電気装置の保護装置
US20030080621A1 (en)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protection device
JP6124630B2 (ja) 車両用電源遮断装置
US11594391B2 (en) Active/passive fuse module
US20050135034A1 (en) Resettable circuit breaker
US5793121A (en) Low resistance current interrupter
JP2000324674A (ja) ワイヤーハーネス装置
US20180294130A1 (en) Device for Switching an Electrical Circuit
CN210404710U (zh) 用于熔断装置的控制电路及车辆
CN112993926A (zh) 主动/被动熔断器模块
JP2001135217A (ja) 回路遮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ーハーネス装置
JP3089352B2 (ja) 保護装置付蓄電池
JP3762576B2 (ja) 車両の給電装置
JPH11329190A (ja) 車両の異常報知装置
JPH11170932A (ja) 車両用バッテリー及び当該バッテリーを備えた車両の安全装置
JP3715155B2 (ja) 回路保護装置
JPH1118279A (ja) 車載電気回路の短絡保護装置
KR0132611Y1 (ko)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JP6658620B2 (ja) 電池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