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029A - 피놀렌산의 용도 - Google Patents

피놀렌산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029A
KR20060093029A KR1020060009434A KR20060009434A KR20060093029A KR 20060093029 A KR20060093029 A KR 20060093029A KR 1020060009434 A KR1020060009434 A KR 1020060009434A KR 20060009434 A KR20060009434 A KR 20060009434A KR 20060093029 A KR20060093029 A KR 20060093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derivative
pinolenic
pinole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800B1 (ko
Inventor
조스 헤이메릭스
울리케 슈미드
알렉산드라 윌헬미나 칼라 아이너핸드
위로 바쏠로메우스 스템
루이사 겜벨리
Original Assignee
로더스 크로클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7568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9302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더스 크로클란 비.브이. filed Critical 로더스 크로클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9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4Cont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는 중량 조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피놀렌산은 식품 보조제, 약제학적 조성물 혹은 식품 조성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피놀렌산, 중량조절, 비만, 포만감, 식용

Description

피놀렌산의 용도{Use of Pinolenic Acid}
도 1은 파인 너트 유리지방산(FFAs) 및 다른 FFAs를 사용하여 얻어진 CCK 수준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며,
도 2는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혈중 CCK 수준(pmol/L)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혈중 GLP1 수준(pmol/L)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는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동안의 식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동안의 예상 음식물 섭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은 피놀렌산 실시예 3(ⅱ) TG(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혈중 CCK 수준(pmol/L)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7은 피놀렌산 TG(아래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위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동안의 식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은 피놀렌산 TG(아래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위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 동안의 예상 음식물 섭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섭취 및 식욕을 조절하고 체중을 조절 및/또는 감소시켜 무게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를 포함한다.
비만이 선진사회에서 개개인에게 현저하게 보편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과체중 및 비만은 에너지 섭취 및 이용의 불균형으로 인한 것이다. 개개인 각각의 에너지 불균형 원인은 몇몇 요소의 결합에 기인하며 수많은 환경 및 유전적 결정으로 인한 것이다. 비만은 관상동맥질병, 고혈압, 발작, 당뇨병 및 특정 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의 발생율 증가를 기여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중량감소는 이들 비만-관련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첫번째 처방으로 종종 권장된다. 총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시도에서, 개개인은 중량 조절을 행할 수 있으며, 그 목적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비만 혹은 과체중인 사람은 체중감소를 원하겠지만, 다른 사람은 체중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 로 유지하기를 원할 수 있다. 심지어, 일단 체중을 감소시킨 후, 체중 조절은 예전에 잃었던 체중을 다시 얻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종 요구된다. 가장 효과적인 중량 감소 프로그램은 전형적으로 저칼로리 다이어트(diet) 및/또는 에너지 소비증가를 포함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량 조절을 행한 많은 사람들은 허기 수준의 증가 및/또는 고당 음식물을 원하는 것을 경험한다. 이로 인하여 이들은 중량 조절에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중량 조절을 도와주고 이들의 중량조절을 지속하루 있는 새롭고 효과적인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돕는 방법을 제공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놀렌산(즉, 5,9, 12 C18:3 지방산, 5,9 및 12 위치에 3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18 C 원자를 갖는 지방산)은 예를들어, 파인 너트 오일(pine nut oil) 및 이들의 분류물에 존재한다.(J Am Oil Chem Soc 1998, 75, p.45-50). 파인 너트 오일 및 따라서, 피놀렌산이 음식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예를들어, 15% 피놀렌산 농축물을 음식물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는 FR-A-2756465참조. 피놀렌산의 존재는 조성물에 혈중지방저하효과(hypolipemic effect)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WO 98/43513은 네일 화일(nail files)을 피놀렌산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이는 화일(files)사용시 감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JP-A-61238729에 따르면, 파인 너트 오일(pine nut oil)은 콜레스테롤 방지제(anticholesteric agent)로 사용될 수 있다. 피놀렌산의 건강에 대한 효과를 개시하고 있는 다른 문헌으로는 인체 건강에 유용한 일반적으로 활성을 개시되어 있는 JP-A-61058536을 포함한다. 상기 건강에 대한 활성은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지는 않다 Sugano, Brit J. of Nutr 72 (1994) 775-783은 피놀렌산을 포함하는 다이어트의 건강에 대한 효과를 다수 개시하고 있다. 언급된 건강에 대한 효과는 저콜레스테롤혈증 작용(hypocholesterolaemic effect), ADP-유도된 혈소판 응집, 대동맥 프로스타사이클린 생성(aortic prostacylic production) 및 혈압에 대한 영향이다. EP-A-1088552는 피놀렌산을 항염증제(anti-inflammatory agent)로 사용하는 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Matsuo 등의, Prostaglandins, Leukotrienes and Essential Fatty Acids, (1996), 55(4), 223-229는 브라운-노르웨이 쥐의 면역요소(parameters)에 대한 γ-리놀렌산과 피놀렌산의 영향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어떠한 문헌도 피놀렌산 혹은 이의 유도체가 비만 및/또는 중량 조절의 처치 혹은 방지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지 않다.
US 6,429,190, US 2002/0119948 및 US 2002/0119915는 칼슘 공급원, 단백질 및 C12-18 지방산을 포함하는 포만감을 장기간 유지하는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올레산은 상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지방산이다.
WO 02/088159는 활성 우리딘 에스테르 및 이들의 구성성분 산 및 우리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합물 및 이들의 광범위한 의약적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은 유리 지방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비만 치료를 위해 예를 제시하고 있지 않다.
2005. 2. 9일자로 공개된 EP-A-1504778은 이식가능한(implantable) 비만 치료용 펌프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펌프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으나, 피놀렌산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CN-A-1377673은 심장병 및 뇌혈관질환(cerebral vascular disease) 및 고지방혈증(hyperlipemia)에 기인한 지방과다증(adiposity)뿐만 아니라 고혈당증(hyperglycemia)에 기인한 당뇨병에 파인 너트 오일(pine nut oil)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허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켜 중량을 조절하는 조성물의 제조에 대한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허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조절 혹은 방지 및/또는 중량 조절에 적합하며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피놀렌산 유도체로는 피놀렌산의 염 및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피놀렌산 유도체로는 예를들어, 기하학적 이성질체(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랜스(trans) 이중결합을 갖음; 피놀렌산의 이중결합은 모두 시스(cis)임)및/또는 예를들어, 감마 리놀렌산, 알파 리놀렌산, 퓨닉산(punicic acid), 엘레오스테아르산(eleostearic acid) 및 이들의 염 및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3개의 이중결합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피놀렌산에 비하여 알킬 사슬의 다른 위치에 있는 화합물과 같은 피놀렌산 이성질체이다.
본 발명은 또한, 따라서, 허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켜 중량을 조절하는 α-리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의 용도; 허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켜 중량을 조절하는 γ-리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의 용도; 허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켜 중량을 조절하는 퓨닉산 혹은 그 유도체의 용도; 및 허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켜 중량을 조절하는 엘레오스테아르산(또한, α-엘레오스테아르산이라 함) 혹은 그 유도체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비만을 치료 혹은 방지하거나 및/또는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는 단독 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식용의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유리산(free acid) 혹은 글리세라이드(예를들어, 모노-, 디- 혹은 트리-글리세라이드)로서 리놀레산(linoleic acid) 10-60중량% 및/또는 올레산 5-52중량%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탁솔레산(taxoleic acid) 0.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인 너트 오일의 지방산 및 따라서 피놀렌산이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방출의 자극에 사용될 수 있음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CCK는 음식 섭취후에 방출되는 펩타이드이다.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CCK 방출 단백질(CCKRP)가 소장에서 방출된다. CCKRP는 장(intestinal) 세포에서 CCK의 방출을 자극한다. CCK의 방출은 포만감과 관련된 반응증상을 나타낸다. 또한, 증가된 CCK 수준은 장에서 점막 면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gut)에서의 IgA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장관(intestinal tract)내에서 증가된 IgA 수준은 유기미생물의 침입에 대한 상승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의 투여를 포함하는 면역(예를들어, 점막 면역)증진 방법, 면역(예를들어, 점막 면역)을 증대시키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및 면역(예를들어, 점막 면역)을 증대시키는 조성물의 제조에 대한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면역 증대는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중량 조절 및/또는 비만치료 혹은 방지에 대한 18개의 탄소원자와 3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직쇄 카르복시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중량조절은 허기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보조제(food supplement), 약제학적 조성물 혹은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과 같은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조성물은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성분(예를들어, 파인 너트 오일에 존재하는 바와 같이)과 함께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성분은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와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거나 이들은 상기 제품의 포장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예를들어,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를 둘러싸는 캡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를 0.3-100중량%, 바람직하게는 5-8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10-30중량% 혹은 20-30중량%와 같이)포함한다. 숙련된 기술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의 퍼센트가 조성물의 특성에 의존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들어,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는 식품조성물에서 보다 약제학적 조성물 혹은 식품 보조제의 총중량에서 보다 많은 퍼센트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보조제 혹은 약제학적 제품 형태인 경우, 상기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 혹은 상기 화합물중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식품용 캡술화 재료로 캡슐화된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캡술화 재료는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들어 젤라틴 및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피놀렌산은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피놀렌산의 유도체 혹은 다른 유도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들의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유도체는 비독성이고 식용이며, 바람직하게는 예를들어, 염 및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피놀렌산의 다른 유도체는 예를들어, 기하학적 이성질체(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랜스(trans) 이중결합을 갖음; 피놀렌산의 이중결합은 모두 시스(cis)임)및/또는 예를들어, 감마 리놀렌산, 알파 리놀렌산, 퓨닉산(punicic acid), 엘레오스테아르산(eleostearic acid) 및 이들의 염 및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18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3개의 이중결합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피놀렌산에 비하여 알킬 사슬의 다른 위치에 있는 화합물과 같은 피놀렌산 이성질체이다. 적합한 염으로는 소디움(sodium) 염 같은 식품용 양이온을 갖는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에스테르로는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리딘, 디옥시우리딘, 우리딘 모노포스페 이트, 디옥시 우리딘 모노포스페이트 및/또는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우리딘 에스테르(uridine esters) 및/또는 뉴클레오사이드(nucleosides) 및/또는 뉴클레오타이드(uncleotides)가 없는(혹은 실질적으로 없는, 즉, 0.1㎎ 미만으로 함유)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피놀렌산에 대한 적합한 공급원은 파인 넛 오일 혹은 이들의 농축물이다. 예를들어, 피놀렌산의 글리세라이드는 파인 넛 오일 혹은 이들의 농축물로 부터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피놀렌산 혹은 이들의 유도체의 함량이 15wt%이상 혹은 28wt% 이상인 오일 혹은 농축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지방산(즉, 12-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카르복시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른 지방산의 예로는 리놀레산, 올레산, 탁솔레산(taxoleic acid), 주니페론산(juniperonic acid), 스시아돈산(sciadonic acid), 포화지방산,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임의로 풍부한 이성질체 혼합물) 및 EPA(아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및 DHA(docosahexaenoic)(임의로 EPA 혹은 DHA의 풍부한 이성질체 혼합물)를 포함한다. 농축물(enrichment)은 다른 기하학적 이성질체의 상대적인 양의 변화와 같은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이성질체 혼합물(예를들어, 천연산물에서)의 변형을 포함한다. 이들 조성물에서, 다른 지방산 혹은 다른 지방산들 각각은 유리지방산 혹은 이들의 유도체(모노-, 디-, 혹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염)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는 임의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기 전에 상기 부가적인 지방산 혹은 글리세라이드와 임의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 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방산 및/또는 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부가적인 지방산 및/또는 글리세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콩유(soybean oil), 해바라기유, 평지씨유(rape seed oil) 및 면화씨유와 같은 액상 오일; 코코아 버터 및 코코아 버터 등가물(equivalents); 팜유(palm oil) 및 이들의 분획(fractions);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된 지방(fats); 어유(fish oil) 및 이들의 분획;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 및 이들의 풍부한 이성질체 혼합물; 감마 리놀렌산 및 이들의 풍부한 혼합물; 경화된 액체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부터 선택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적인 지방산 혹은 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스테빌라이즈드 지방(non stabilised fat)에서 NMR-펄스로 측정한 경우 N20=1-80, 바람직하게는 5-45, 20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미만의 N35의 고형 지방함량을 나타낸다. 상기 값은 지방(fat)을 80℃에서 용융(melt)시키고, 0℃로 냉각하고 상기 지방을 0℃에서 30분간 유지하여 얻은 것이며, 이때 상기 지방은 측정 온도 N으로 가열되고 상기 온도에서 N 값을 측정하기 전에 30분간 유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지방산의 혼합물은 피놀렌산 1.5-6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8-60wt%, 리놀레산 10-60wt% 그리고 올레산 5-52wt%, 예를들어, 25-85wt%(리놀레산과 올레산), 0-70wt%, 예를들어 25-65wt%(트랜스(trans)와 포화지방산). 상기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wt% 미만이다. 적합한 혼합물의 예는 트랜스(trans)와 포화 지방산 함량이 10wt% 미만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놀렌산이 아닌 다른 지방산이 없는 혹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일 수 있다.(즉, 다른 C12-C24 지방산 0.01wt%미만과 같이 1wt% 미만,보다 바람직하게는 0.1wt% 미만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단백질(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피놀렌산 및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 및/또는 단백질의 배합은 상기 장 세포(intestinal cells)로 부터 CCK의 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칼슘 이온 및/또는 단백질이 없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일 수 있다(즉, 이들 성분 각각은 조성물에 0.01중량% 미만과 같이, 1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놀렌산 및/또는 그 유도체를 단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들어, 체중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돕거나 혹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것과 같이 체중 조절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조성물의 용도는 예를들어, 지방 감소 유도를 도와서 바디 슬리밍(body slimming)을 보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는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도록 돕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체중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돕거나 및/또는 체중을 감소시키도록 돕거나 및/또는 슬리밍(slimming)을 돕는 것일 수 있다. 체중 감소는 에너지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는 허기감을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위에서 고칼로리 식품에 대한 수용력이 감소되도록 하므로써 고칼로리 식물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는 식전에, 식사도중 및/또는 식후에 포만감 또는 만족감을 증대시키거나 및/또는 오랜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는 식이요법(dieting) 도중의 허기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이어트(diet) 성공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소비는 CCK 및/또는 IgA의 방출을 자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용도는 예를들어, 만족감 및 포만감을 증대시켜 식욕 감소를 돕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만을 치료 혹은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유효양의 조성물이 포유류, 예를들어 인간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중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유효양의 조성물이 포유류, 예를들어 인간에게 투여된다. 상기 투여는 의사 혹은 의료 감독(medical supervision)하에서 행하여질 필요가 없으며, 단지 포유류가 상기 조성물, 예를들어, 식품 혹은 식품 보조제 형태로 상기 조성물을 섭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전 2시간-3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시간-15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25분에 투여(혹은 섭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이잇을 볼 수 있는 다른 포유류로는 애완동물(예를들어, 개, 고양이, 말, 토끼, 햄스터 및 구니아 피그(guinea pigs)) 및 농장동물(예를들어, 소, 양 및 돼 지)를 포함한다. 개 및 고양이가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식품(food products) 생산시, 상기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는 음식물에 사용되는 구성성분과 먼저 혼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들 혼합물은 예를들어, 몸에 좋은 지방(fats) 조성물로서 식품에 이롭게 적용될 수 있다.
파인 너트 오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인 너트 오일이 피놀렌산을 최고 약 26wt% 포함하므로, 농축물이 보다 높은 수준의 피놀렌산을 함유하는 것이 이롭다.(특히, 식품 보조제에 사용되거나 혹은 작은 크기의 먹기 편한 용량(dosage) 형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의 농축물은 어떠한 적합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공정은 EP-A-1088552에 기술되어 있다.
일 적합한 공정에서, 효소 가수분해 혹은 글리세롤화(glycerolysis)는 델타 5 이중결합을 갖는 지방산과 다른 지방산을 구별할 수 있는 효소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상기 공정은:
ⅰ) 델타 5 이중결합을 갖는 지방산과 다른 지방산을 구별할 수 있는 효소의 존재하에 시스5 이중결합을 갖는 지방산 최소 2중량%를 포함하는 글리세라이드 물질 과 물 혹은 글리세롤을 반응시키는 단계;
ⅱ) 상기 반응혼합물을 부분적으로 글리세라이드가 풍부한 성분과 지방산이 풍부한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splitting);
ⅲ) 임의로 단계 ⅱ)의 부분 글리세라이드를 적합한 효소 존재하에서 유리 지방산으로 전환하는 단계(converting);
ⅳ) 임의로 단계 ⅱ)의 지방산이 퐁부한 성분을 적합한 효소와 같은 적합한 촉매 존재하에서 글리세롤과 반응시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전환하는 단계;
ⅴ) 임의로 단계 ⅱ)의 부분적으로 글리세라이드가 풍부한 물질을 a) 모노글리세라이드가 풍부, b) 디글리세라이드가 풍부 및 c)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풍부한 성분으로 분리하고 그 후, 임의로 상기 부분 글리세라이드 a) 및 b)를 적합한 효소 존재하에서 지방산과 반응시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계 ⅰ)에서 피놀렌산 함량이 5-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5중량%인 글리세라이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물질의 예는 피놀렌산 오일 (pinolenic oils) 및 그 농축물이다. 상기 공정은 최소 28중량% 피놀렌산을 포함한는 농축물(concentrate)를 생성한다.
단계 ⅰ), ⅲ), ⅳ) 및 ⅴ)에 사용하기 적합한 효소는 리파아제(lipases)이다. 적합한 리파아제로는 칸디다 루고사 리파아제(Candida rugosa lipase); 리파제 QL(Lipase QL); 리파아제 SL(Lipase SL); 리파아제 OF(Lipase OF); 리조푸스 델레마(Rizopus delemar); 리파아제(lipase); 리조푸스 오리자에 리파아제(Rhizopus oryzae lipase); 고트리첨 칸디덤 B 리파아제(Geotrichum candidum B lipase); 및 리조무코 마이에헤이(Rhizomucor miehei) 리파아제를 포함한다. 단계 ⅰ)에 바람직한 효소는 칸디다 루고사 리파아제 및 고트리첨 칸디덤 B 리파아제이다.
적합한 리파아제로는 또한, Lipozyme IM(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효소)를 포함한다. 단계 ⅳ)에 사용하기 적합한 효소로는 Lipozyme M(Rhizomucor miehei로 부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food product)일 수 있다. 피놀렌산 혹은 이들의 유도체 혹은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은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아가린, 저지방 스프레드(low fat spreads); 극저지방 스프레드(very low fat spreads); 이상연속 스프레드(bicontinuous spreads); 수 연속 스프레드(water continuous spreads); 쵸콜렛, 코팅(coatings) 혹은 필링(fillings)와 같은 과자류 제품; 아이스 크림; 아이스 크림 코팅; 아이스 크림 함유물(inclusions); 드레싱(dressings); 마요네즈; 소스; 베이커리 지방(bakery fats); 쇼트닝(shortenings); 치즈; 식사대용품; 헬스 바(health bars); 뮤즐리 바(muesli bars); 드링크류; 낙농제품; 저탄수화물 제품; 저 칼로리 제품; 수프; 시리얼; 및 밀크 쉐이크를 포함한다.
식품에 피놀렌산, 그 유도체 혹은 최소 하나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은 이들 식품의 질감(texture), 경도, 외관, 리올러지, 구강내 용융, 향기, 퍼짐성(spreadability), 미세구조(microstructure)(결정크기, 드롭 크기(droplet size)), 에어레이션(aeration) 특성 혹은 가공용이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피놀렌산의 글리세라이드의 사용은 상기한 면에서 특히 이롭다.
조성물의 다른 예는 타블렛, 필(pills), 캡슐, 캐플릿(caplets), 그래뉼(granules), 비드(beads), 펠릿(pellets)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립자(multiparticulates); 분말, 엘릭시르(elixirs), 시럽, 서스펜션 및 용액 형태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희석제 혹은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장관외 투여(parenterally administration)(예를들어, 경구)되도록 개질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조성물은 고상 혹은 액상 형태일 수 있으며 타블렛, 분말, 서스펜션 및 시럽 형태로 취하여질 수 있다. 임의로 상기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미료(flavour) 및/또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캐리어는 약제학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놀렌산 0.1-9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니트 용량(unit dosage) 형태로 일반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피놀렌산의 유니트 용량(unit dosage)은 1-1000㎎(보다 바람직하게는 100-750mg)이다. 이들 조성물 의 제조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첨가제이다.
상기 조성물에 대한 추가적인 제품 형태의 예는 겔라틴, 글리세롤, 전분(starch), 개질된 전분, 글루코스, 스쿠로스, 락토스 및 프룩토스(fructose)와 같은 전분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캡슐화 재료(encapsulating material)를 포함하는 소프트 겔(soft gel) 혹은 하드 캡슐(hard capsule) 형태와 같은 식품 보조제(food supplements)(영양제 제품을 포함하는)이다. 캡슐화 재료는 임의로 교차-결합제 혹은 중합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감광성 필(light-sensitive fills)을 보호하기 위한 광흡수제(light absorbing agents), 방부제(preservatives)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음식 보조물에서 피놀렌산의 유니트 용량은 1-1000㎎(보다 바람직하게는 100-750㎎이다.). 유니트 용량 형태에 사용되는 파인 너트 오일 양은 바람직하게는 100-2000㎎, 예를들어, 1일 4회 섭취시, 250-1500㎎ (예를들어, 7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및 약제품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향미제 성분, 착색제, 감미료 및 에멀션화제를 포함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명세서에서, 모든 퍼센트, 부(parts) 및 비율은 특히 달리 언 급하지 않는 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장 세포에서 CCK 방출에 대한 다양한 유리 지방산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관내(in-vitro)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포만감 성분으로서 파인 너트 오일 및 따라서, 피놀렌산의 유리지방산 효과를 나타낸다.(하기 데이타 참고.)
세포 배양
STC1-1 세포주(cell line)을 5% FCS, 2mM 글루타민, 100 U/㎖ 페니실린 및 50 μM 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RPMI 1640에서 37℃, 5% CO2, 95% 공기 분위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PBS 로 세포층을 세척하고 트립신-EDTA 용액으로 인큐베이팅하여 70-80%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 정기적으로 옮겨주었다.
시험 프로토콜
시험하기 24시간전에, STC1 세포를 40-60% 컨플루언시로 6-웰 배양 플레이트(well culture plate)에 심었다. 시험당일에, 세포를 0.2%(wt/vol) BSA(KRBB)를 포함하는 1㎖ Krebs-Ringer 바이카보네이트 버퍼(pH 7,4)로 세척하였다. STC1 세포를 시험하려는 약제와 함께 혹은 시험하려는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1시간동안 KRBB 2㎖에서 인큐베이션하기 전에 KRBB 2㎖에서 15분간 예비-인큐베이션하엿다. 인큐베 인션 종료시, 상청액(supernatant)을 수집하하고, 1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즉시 -20℃에서 RIA에 대하여 냉각하였다. 배양 세포 내용물을 추출한 후에 DNA 함량을 형광측정법(fluorometry)으로 측정하였다.
RIA 분석
CCK 면역활성을 항혈청 .39A(1/300,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는 CCK-33 및 CCK-8과 100%, 술페이트화된 카스트린-17과 12%, 술페이트화되지 않은 가스트린-17과 5%, 그리고 술페이트화 되지 않은 CCK-8 및 가스트린-34와 0.1% 미만으로 교차반응(cross reaction)한다. CCK-8이 표준물질(stancard)로 사용된다. Bolton-Hunter(Thr, NIe)-CCK-9를 클로르아민-T 법(Chloramine-T method)으로 요오드 125를 표식(label)하고 역상(reverse-phase) PHLC로 정제하였다. 상기 분석 버퍼는 pH 7.5의 0.05M 소디움 포스페이트였다. 상청액 1-200㎕ 분취량을 이중으로 시험하였다(0일). 상기 표식(label)을 1일에 첨가하고 목탄 침전을 48h 후에 행하였다.
도 1은 파인 너트 유리지방산(FFAs) 및 다른 FFAs를 사용하여 얻어진 CCK 수준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은 시험된 다른 물질에 비하여 파인 너트 오일이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CCK를 생성함을 나타낸다. 각각의 샘플은 300g/mol FFA에 대한 분자량을 기준으 로 100μM, 500μM, 및 1mM 의 3가지 다른 농도에서 CCK 수준을 측정하였다. 마리놀(Marinol)은 EPA 및 DHA를 포함하는 Loders Croklaan BV(Wormerveer, The Netherlands)에서 구입한 어유(fish oil) 농축물이다. 클라리놀(clarinol)은 80%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linoleic acid)을 포함하는 Loders Croklaan BV(Wormerveer, The Netherlands)의 제품이다. 다른 FFA 샘플은 다른 천연 제품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 충진된 겔라틴 캡슐의 예이다. 피놀렌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이 기술분야에 잘-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겔라틴 캡슐로 캡슐화된다. 결과물인 캡슐화된 제품은 피놀렌산 500㎎ 를 포함하며, 캡슐 하나는 성인을 기준으로 1일에 4회 섭취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면에서 다음의 도는 실시예 3에 관한 것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3g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혈중 CCK 수준(pmol/L)을 나타내며;
도 3은 3g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 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혈중 GLP1 수준(pmol/L)을 나타내며;
도 4는 3g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동안의 식욕을 나타내며;
도 5는 3g 피놀렌산 FFA(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동안의 예상 음식물 섭취를 나타내며;
도 6은 3g 피놀렌산 실시예 3(ⅱ) TG(위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아래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혈중 CCK 수준(pmol/L)을 나타내며;
도 7은 3g 피놀렌산 TG(아래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위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동안의 식욕을 나타내며;
도 8은 3g 피놀렌산 TG(아래쪽 그래프; 파쇄선) 혹은 플라시보(placebo)(위쪽 그래프; 실선)을 섭취한 후, 4시간 동안의 예상 음식물 섭취를 나타낸다.
도에서 별표(*)는 유효한 차이를 나타낸다.
피놀렌산을 포함하는 두가지 조성물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3(ⅰ) 유리지방산 (FFA) 형태로 피놀렌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3(ⅱ) 트리글리세라이드(TG) 형태로 피놀렌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두가지 조성물에 대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FAME) 분석은 다음과 같다:
일반명칭 화학명 약어 조질의 파인너트 오일 실시예 3(ⅱ) TG 실시예 3(ⅰ)FFA
팔미트산 (palmitic acid) 헥사데카노산 C16:0 4.3 4.1 4.4
팔미톨레산 (palmitoleic acid) 시스-9 헥사데세노산 C16:1 0.2 0.2 0.2
마가르산 (margaric acid) 헵타데카노산 C17:0 0.1 0.1 0.1
스테아르산 (stearic acid) 옥타데카노산 C18:0 2.1 2.1 2.1
올레산(oleic acid) 시스-9 옥타데세노산 C18:1 24.4 24.5 24.9
리놀레산(linoleic acid) 시스-9,12 옥타데카디에노산 C18:2 44.3 45.5 45.9
탁솔레산(taxoleic acid) 시스-5,9 옥타데카디에노산 5,9-C18:2 2.1 2.2 2.1
리놀렌산(linolenic acid) 시스-9,12,15 옥타데테카트리에노산 9, 12, 15-C18:3 0.3 0.2 0.2
피놀렌산 (pinelenic acid) 시스-5,9,12 옥타데카트리에노산 5,9,12-C18:3 15.6 15.9 15.8
실시예 3(ⅰ) FFA 조성물 3g, 실시예 3(ⅱ) TG 조성물 3g, 혹은 플라시보(올리브 오일) 캡슐 3g을 두 조각의 화이트 브레드와 마말레이드로된 가벼운 저지방 아침과 함께 18명의 과체중 여성(BMI=25-30)에서 섭취시켜서 무작위의, 크로스-오버, 플라시보 콘트롤된 이중-블라인드 시험을 하였다. 0, 30, 60, 90, 120, 180 ㅁ및 240분에 CCK, GLP-1, 글루코스, 인슐린, 유리지방산 및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분석하기 위해 혈액 샘플을 취하였다. 시험대상의 포만감은 식욕 및 예상 음식 섭취 에 대하여 VAS(visual analogue scale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각각의 시험대상은 라틴 스퀘어 디자인(Latin square design)에 따라 1주간의 워시-아웃(wash-out) 기간 그리고 2주내에 무작위한 순서로 3회 처방을 받았다.
VAS 스케일은 각 말단에 붙은 문구를 갖는 150-mm 수평선으로 이루어지며, 각 말단에 붙은 문구는 가장 파지디브(positive)한 느낌과 가장 네거티브한 느낌을 나타낸다. 시험대상은 이들의 허기감에 상응하는 수평선의 각 포인트에서 수직선을 그었다. VAS 스케일에서의 거리를 0-100의 수치로 나타내었다.
CCK 및 GLP-1 농도를 최적화되고 허가된 상업용 인체 RIA 키트를 사용하여 혈액 샘플에서 측정하였다. ANOVA로 통계학적으로 처리를 행하였으며 P<0.05은 유효(significant)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이상반응(AES, adverse events)를 모니터하였다.
실시예 3(ⅰ) FFA 조성물 3g의 섭취는 30분후에 CCK 방출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플라시보에 대한 CCK 방출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것이었다(도 2). GLP-1 방출은 실시예 3(ⅰ) FFA 조성물을 섭취한 후 60분에 피크를 나타냈으며, 또한, 플라시보에 대한 GPL-1 수준보다 현저하게 높았다.(도 3). 4시간동안, 실시예 3(ⅰ) FFA 조성물 섭취에 대한 반응으로 혈액 스트림으로 방출되는 CCK의 총량은 커브 아래의 면적으로 측정하여 플라시보에 비하여 60% 더 높았으며 GLP 1 수준은 플 라시보에 비하여 25% 더 높았다. 실시예 3(ⅰ) FFA의 조성물은 또한, 섭취 후 4시간동안 "식욕" 및 "예상 섭취" 스코어가 감소되었다.(도 4 및 도 5). 이들 스코어는 실시예 3(ⅰ)의 FFA 조성물 섭취후 30분에서 최소이었으며 플라시보와의 차이가 현저하였다. 실시예 3(ⅱ) TG 조성물은 실시예 3(ⅰ) FFA의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식욕과 CCK 방출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었다.(도 6 내지 8).
정리하면, 상기 CCK 및 GLP1 데이타는 명백하고 현저한 처리 효과를 나타낸다. FFA 및 TG 조성물은 30-60분내에 혈액에서 포만감-유도 호르몬, CCK 및 GLP1의 수준을 증가시키며 섭취후 최대 4시간 동안 상기 수준이 유지된다. 더욱이, 30분에서 식욕 및 예상 섭취 스코어는 플라시보를 섭취한 후에 비하여 실시예 3(ⅰ) FFA 및 실시예 3(ⅱ) TG 조성물 섭취후가 더 적었다.
악영향 혹은 심각한 악영향은 보고되지 않았다. 더욱이 캡슐을 섭취한 후, 0-4시간에서 측정된 글루코스, 인슐린, 유리 지방산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혈중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그룹간에 어떠한 시점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유리지방산 수준은 현저하게 다르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모든 참여자가 가벼운 설탕-함유 아침을 섭취하였으므로 글루코스와 인슐린 수준이 두 그룹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4시간동안의 글루코스 및 인슐린 반응은 유사하였으며, 실시예 3(ⅰ)FFA 및 실시예 3(ⅱ) TG가 잘 받아들여졌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글루코스 수준은 조성물 실시예 3(ⅱ) TG 및 플라시보를 섭취한 후에 비하여 실시예 3(ⅰ)FFA 조성물을 를 섭취한 후에 더 많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플라시보 올리브 오일을 섭취한 후에 비하여 실시예 3(ⅰ)FFA 조성물 및 실시예 3(ⅱ) TG 조성물을 섭취한 후에 더 완만하게 감소된다. 그 결과, 인슐린 수준은 플라시보 및 실시예 3(ⅱ) TG 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에 비하여 실시예 3(ⅰ)FFA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에 더 느리게 증가하고 후속적으로 빨리 감소된다. 따라서, 실시예 3(ⅰ)FFA의 조성물은 플라시보에 비하여 글루코스 및 인슐린의 혈중 수준이 보다 완만하게 변화되도록 하고, 실시예 3(ⅱ) TG 조성물이 그 사이이다.
실시예 4
다수의 다른 화합물에 의한 상대적인 CCK 방출을 장세포에서 방출되는 CCK에 대한 다양한 유리지방산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관내(in-vitro) 시험으로 시험관에서 측정하였다. 이 연구는 파인 너트 오일 그리고 따라서 피놀렌산의 유리 지방산의 포만감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나타내었다.(하기 데이타 참조). 파인 너트 오일에 많은 양 및 적은 양으로 존재하는 다른 지방산(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탁솔레산(taxoleic acid), 시아돈산(sciadonic acid) 및 주니페론산(juniperonic acid))이 많은 양의 CCK를 자극할 수 없다. 27% 피놀렌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16% 피놀렌산에 비하여 조금 더 높은 양의 CCK를 자극한다.
세포 배양
엔테로엔도크린(enteroendocrine) STC-1 세포주를 표준배양액(DMEM)에서 37℃에서 5% CO2, 95% 공기 분위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세포층을 PBS로 세척하고 트립신-EDTA 용액으로 인큐베이팅하여 70-80% 컨플루언시에 도달시, 통상적으로 옮겨주었다. 2x106 셀(cell)x 75㎠의 플레이팅 밀도가 통상적인 이차배양(subculture)에 사용되었다.
시험 프로토콜
STC1 세포를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심고, 시험 약제를 사용하여 또는 사용하지 않고 1시간동안 규준 배양 매질로 인큐베이션 하였다. 모든 약제를 유리지방산 형태로 100μM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지방산이 에탄올로 희석되었으므로, 에탄올에 의한 효과가 시험되었으며 베이스라인 CCK 수준을 나타내었다. 카프르산(capric acid)이 음성 대조구 지방산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카프르산이 CCK를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봄베신(bombesin) 영향이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사용되었다. 인큐베이션 종료시, 상청액을 수집하고, 원심분리하고, RIA에 대하여 즉시 -20℃로 냉각하였다.
세포의 생존력을 현미경으로 분석하여 체크하였으며, DNA 함량 분석은 배양 세포 내용물을 추출한 후에 형광측정법(fluorometry)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부가적인 LDH 방출을 측정하였다.
RIA 분석
CCK 방출을 표준 CCK RI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방산의 작용을 6-폴드(fold)에서 측정하였다.
하기 표는 각각 16% 및 27% 피놀렌산을 샘플이 음성 대조구 지방산, 카프르산(capric acid)보다 약 4-배 및 5-배(fold) 높은 CCK를 생성함을 나타낸다. 피놀렌산을 1% 미만으로 포함하는 피너스 피네아(Pinus pinea)에서 유래된 오일은 CCK 방출을 더 잘 유도하지 못하였다(카프르산에 비하여 단지 약 2-배). 올레산, 리놀레산, 탁솔레산, 주니페론산 및 시아돈산과 같은 파인 너트 오일에 존재하는 다른 지방산은 또한, 다량의 CCK를 자극할 수 없었다(카프르산에 비하여 단지 약 2-배). 퓨닉(punicic acid)와 같은 다른 18:3 지방산과 달리, γ-리놀렌산, α-리놀레산 및 α-엘레오스테아르산은 피놀렌산과 유사하게 우수한 CCK 자극제이나, 이들 지방산은 순수한 형태로 측정되는 반면, 피놀렌산은 단지 16% 및 27% 순도로 시험되었다. 순도 95% CLA(c9, t11과 t10, c12 이성질체의 50:50 혼합)은 피놀렌산을 포함하는 CLA와 유사하게 다량의 CCK를 유도할 수 없었다. 분류된 팜 오일(palm oil)과 통귀리 오일(oat oil)의 혼합물로 구성된 상업적 제품이 또한, CCK (카프르산에 비하여 2-배)를 유도에 매우 활성적이지는 않았다.
화합물 방출되는 CCK의 상대량
16% 피놀렌산 188
27% 피놀렌산 210
피너스 피네아(Pinus pinea) 오일(0.35% 피놀렌산) 101
올레산 18:1 90
리놀레산 18:2 68
γ-리놀레산 18:3 140
α-리놀렌산 18:3 177
α-엘레오스테아르산 18:3 212
퓨닉산(punicic acid) 18:3 320
팜 오일/통귀리 오일(상업용 제품) 91
CLA 혼합 + 16% 피놀렌산 112
카프르산 43
에탄올 53
실시예 5
실시예 3(ⅰ) 및 3(ⅱ)의 피놀렌산 TG 및 피놀렌산 FFA 조성물이 원료로 "조질의 파인 너트 오일"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파인 너트를 실온에서 고압을 적용하여 압착기(expeller)에서 공급기(supplier)로 분쇄하였다. 익스펠링(expelling)동안 발생되는 열은 압착기에서 시드(seed)가 분쇄됨으로 인한 것이며, 50℃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된 오일은 그후, 이를 캔버스에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이 "조질의 파인 너트 오일"이다.
상기 조질의 오일은 추가로 공정처리되어 TG 및 FFA 조성물을 얻었다. 처리공정은 다음의 주요 단계로 구성된다: 정제(refining), 가수분해 및 증류.
정제단계(refining step)는 잔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표백토(bleaching earth)를 사용하는 브리칭 단계(bleaching step), 그 후 탈취 단계(deodorization step)(스팀 스트리핑)로 구성되는 물리적인 정제단계이다. 상기 정제된 파인 너트 오일은 TG 조성물이다.
상기 정제된 파인 너트 오일은 식품용 리파아제를 이용하여 추가로 가수분해되어 유리 지방산, 글리세롤 및 완전히 가수분해되지 않은 오일 잔류물(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수분해된 혼합물을 증류하여 FFA조성물을 얻었다.
시예 6
회전 다이 공정(rotary die processing)으로 소프트 겔 캡슐을 얻었다. 캡슐, 겔 및 필(fill)의 회부 쉘 용 재료를 별도로 배합하였다. 상기 겔 덩어리(mass) 및 필 덩어리가 준비되면, 상기 겔을 얇은 필름으로 펼쳐서 2개의 겔라틴 리본을 형성한다. 그 후, 이는 캡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두개의 별도의 다이(die)에서 롤(roll)된다. 겔라틴 필름이 다이에 적용됨에 따라, 상기 필(fill)은 캡슐 1개당 500㎎, 750mg 혹은 1000mg 오일 수준으로 조심스럽게 일회분 용량으로 측정되고 2개의 겔라틴 리본사이에 주입되고 그 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두 겔라틴 리본을 즉시 밀봉하였다. 기기에서 캡슐이 떨어지고 그 후, 뜨거운 공기 스트림하에 건조되었다.
피놀렌산 혹은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체중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돕거나 혹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것과 같이 체중 조절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허기감을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포만감을 증가시키므로써 중량 조절에 사용되는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보조물, 약제학적 조성물 혹은 식품 조성물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놀렌산을 유리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혹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인 너트 오일이거나 혹은 파인 너트 오일로 부터 유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α-리놀렌산, γ-리놀렌산, 퓨닉산(punicic acid), 엘레오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염 혹은 알킬 에스테르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혹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혹은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7.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부가적으로 리놀레산, 올레산,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이 풍부한 이성질체 혼합물, EPA 및 DHA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지방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혹은 이들의 유도체는 유리 지방산, 혹은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혹은 트리글리세라이드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리놀레산, 올레산, 트랜스 산 및 포화지방산으로 부터 형성된 최소 하나의 글리세라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라이드는 콩유(soybean oil), 해바라기유, 평지씨유(rape seed oil) 및 면화씨유로 부터 선택된 액상오일; 코코아 버터 및 코코아 버터 등가물(equivalents); 팜유(palm oil) 및 이들의 분획(fractions);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된 지방(fats); 어유(fish oil) 및 이들의 분획;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 및 이들의 풍부한 이성질체 혼합물; 감마 리놀레산 및 이들의 풍부한 혼합물; 경화된 액체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11.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아가린, 저지방 스프레드(low fat spreads); 극저지방 스프레드(very low fat spreads); 이상연속 스프레드(bicontinuous spreads); 수 연속 스프레드(water continuous spreads); 쵸콜렛, 코팅(coatings) 혹은 필링(fillings)와 같은 과자류 제품; 아이스 크림; 아이스 크림 코팅; 아이스 크림 함유물(inclusions); 드레싱(dressings); 마요네즈; 소스; 베이커리 지방(bakery fats); 쇼트닝(shortenings) 혹은 치즈; 식사대용품; 헬스 바(health bars); 뮤즐리 바(muesli bars); 드링크류; 낙농제품; 저탄수화물 제품; 저 칼로리 제품; 수프; 시리얼; 및 밀크 쉐이크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식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12. 제 1항 내지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타블렛, 필(pills), 캡슐, 캐플릿(caplets), 그래뉼(granules), 비드(beads), 펠릿(pellets) 및 마이크로-캡슐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립자(multiparticulates); 분말, 엘릭시르(elixirs), 시럽, 서스펜션 및 용액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형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13. 제 1항 내지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겔라틴, 전분, 개질된 전부 및 전분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캡슐화 재료를 포함하는 소프트 겔 혹은 하드 캡슐 형태의 식품 보조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14. 상기 청구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유지 및/또는 체중감소를 돕거나 및/또는 바디 슬리밍을 돕거나 및/또는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고칼로리 식품에 대한 수용력을 감소시켜 중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15. 제 1항 내지 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포유류는 인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16. 제 1항 내지 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포유류에서 콜레시스토키닌(CKK)의 생성을 자극하는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피놀렌산 또는 그 유도체.
KR1020060009434A 2005-01-31 2006-01-31 피놀렌산의 용도 KR100895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50517 2005-01-31
EP05250517.9 2005-01-31
GBGB0514463.9A GB0514463D0 (en) 2005-01-31 2005-07-14 Use of pinolenic acid
GB0514463.9 2005-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029A true KR20060093029A (ko) 2006-08-23
KR100895800B1 KR100895800B1 (ko) 2009-05-08

Family

ID=3675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434A KR100895800B1 (ko) 2005-01-31 2006-01-31 피놀렌산의 용도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060172023A1 (ko)
EP (2) EP1685834B1 (ko)
JP (2) JP2006213711A (ko)
KR (1) KR100895800B1 (ko)
CN (1) CN1853621A (ko)
AR (1) AR053803A1 (ko)
AT (1) ATE429218T1 (ko)
AU (1) AU2006200169B2 (ko)
BR (1) BRPI0600199A (ko)
CA (1) CA2533196C (ko)
DE (1) DE602006006354D1 (ko)
DK (1) DK1685834T3 (ko)
ES (1) ES2344017T3 (ko)
GB (1) GB0514463D0 (ko)
MY (1) MY148723A (ko)
PL (1) PL1685834T3 (ko)
RU (1) RU2358476C2 (ko)
ZA (1) ZA20060079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58B1 (ko) * 2008-03-03 2011-05-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놀레닌산 고함유 δ5-지방산의 제조방법
KR20180013716A (ko) * 2016-07-28 2018-02-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증포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0440A1 (en) * 2006-06-27 2008-01-03 Lipid Nutrition B.V. Use of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und
CA2602273A1 (en) * 2006-10-27 2007-12-19 Iomedix Development International Srl Composition and method for weight loss
WO2008090198A1 (en) * 2007-01-25 2008-07-31 Janssen Pharmaceutica Nv Use of mtp inhibitors for increasing levels of satiety hormones
RU2009143325A (ru) * 2007-04-24 2011-05-27 Липид Нутришн Б.В. (Nl) Композиция напитка
KR20100016611A (ko) * 2007-04-24 2010-02-12 리피트 뉴트리션 비.브이. 요구르트
WO2008154522A1 (en) * 2007-06-09 2008-12-18 Arizona Chemical Company Pinolenic acid compositions, products made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pinolenic acid compositions and products
EP2002731A1 (en) * 2007-06-11 2008-12-17 Lipid Nutrition B.V. Use of pinolenic acid for increasing lean body mass
EP2002730A1 (en) * 2007-06-11 2008-12-17 Lipid Nutrition B.V. Pinolenic acid compositions for treating fatty liver
US20110052760A1 (en) * 2007-10-29 2011-03-03 Lipid Nutrition B.V. Soup or sauc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PT2055198E (pt) * 2007-10-29 2011-01-12 Lipid Nutrition Bv Composição de tempero
EP2090172A1 (en) * 2007-10-29 2009-08-19 Lipid Nutrition B.V. Dough composition
WO2009118968A1 (ja) * 2008-03-26 2009-10-01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満腹感誘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US20110098358A1 (en) * 2008-06-11 2011-04-28 Ricom Corporation Human beta3 adrenergic receptor ligand, and food or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ing the same
EP2805717A4 (en) * 2012-01-19 2015-06-10 Nippon Suisan Kaisha Ltd CUTTING HUNGER
US9456916B2 (en) 2013-03-12 2016-10-04 Medibotics Llc Device for selectively reducing absorption of unhealthy food
CA2904898C (en) 2013-03-11 2019-10-15 Jan Remmereit Lipid compositions containing bioactive fatty acids
US9067070B2 (en) 2013-03-12 2015-06-30 Medibotics Llc Dysgeusia-inducing neurostimulation for modifying consumption of a selected nutrient type
JP2015205846A (ja) * 2014-04-22 2015-11-19 出光興産株式会社 レプチン分泌促進剤
CL2015003182A1 (es) * 2015-10-29 2016-04-29 Univ Concepcion Un producto nutracéutico modulador del apetito y sensibilizador a la insulina en mamíferos
WO2017091647A1 (en) * 2015-11-25 2017-06-01 Sciadonics, Inc. Lipid formulations containing bioactive fatty acids
WO2020028263A1 (en) * 2018-07-30 2020-02-06 Sciadonics, Inc. 5,11,14-eicosatrieno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R114010A1 (es) * 2018-10-17 2020-07-08 Team Foods Colombia Sa Composición lipídica con micronutrientes para la prevención y/o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metabólica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0050B1 (en) * 1981-06-15 1984-09-19 Unilever N.V. Margarine fat blend
JPS6158536A (ja) 1984-08-31 1986-03-25 Nippon Oil & Fats Co Ltd 栄養組成物
JPS61238729A (ja) 1985-04-16 1986-10-24 Nippon Oil & Fats Co Ltd コレステロ−ル低下剤
US5567751A (en) * 1995-06-01 1996-10-22 Witco Corporation Alkyl-tin PVC stabilizers with added aromatic ether alcohol to prevent precipitation
FR2756465B1 (fr) * 1996-12-03 1999-02-19 D A Noste Additif alimentaire, composition cosmetique et medicament a base d'huile de graines de pin
US5813416A (en) 1997-04-03 1998-09-29 Rudolph; James M. File with sanitizing agent
WO2000062772A1 (fr) * 1999-04-15 2000-10-26 Kaneka Corporation Agonistes du recepteur sensible a l'activateur du type peroxysome
US6838431B2 (en) 1999-07-27 2005-01-04 Pacific Health Laboratories, Inc. Nutritional intervention composition containing a source of proteinase inhibitor extending post meal satiety
EP1088552B1 (en) 1999-09-30 2006-04-19 Loders Croklaan B.V. Compositions containing pinolenic acid and its use a health component
ES2213666T3 (es) * 2000-02-24 2004-09-01 Unilever N.V. Acido pinolenico contra la diabetes.
EP1357977B1 (en) 2000-09-21 2004-07-21 Nutrition 21, Inc. Chromium containing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the reduction of body fat, improvement of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tion of hyperglycemia and hypercholesteremia
JP4104814B2 (ja) * 2000-09-22 2008-06-18 株式会社カネカ 配合食用油脂
US6429190B1 (en) 2000-12-15 2002-08-06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extending the satiety of food by adding a nutritional composition designed to stimulate cholecystokinin(CCK)
DE10102050A1 (de) * 2001-01-17 2002-07-18 Basf Ag Zubereitung zur Verbesserung der Nahrungsverwertung
GB0105069D0 (en) * 2001-03-01 2001-04-18 Univ Ulster The Modified peptide
CN1164292C (zh) 2001-04-05 2004-09-01 尹嘉斌 治疗高血脂及高血糖类疾病的天然药物
PL209031B1 (pl) * 2001-04-30 2011-07-29 Trommsdorff Arzneimittel Estry urydyny, ich zastosowanie i sposób wytwarzania, oraz kompozycje farmaceutyczne je zawierające
US20020192266A1 (en) * 2001-05-21 2002-12-19 Miles Douglas C. Therapeutic and nutritive dietary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6888016B2 (en) * 2001-10-16 2005-05-03 Loders Croklaan Usa Llc Mixtures for stimulating glucose up-take
US20050038415A1 (en) 2003-08-06 2005-02-17 Rohr William 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EP1570752B1 (en) * 2004-03-06 2008-07-02 Cognis IP Management GmbH Verwendung von ungesättigten Fettsäuren zur Verringerung des Appetits oder der Essensaufnah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58B1 (ko) * 2008-03-03 2011-05-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놀레닌산 고함유 δ5-지방산의 제조방법
KR20180013716A (ko) * 2016-07-28 2018-02-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증포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00169B2 (en) 2007-08-23
AR053803A1 (es) 2007-05-23
EP2072048A1 (en) 2009-06-24
RU2006102649A (ru) 2007-08-20
ES2344017T3 (es) 2010-08-16
JP2012111778A (ja) 2012-06-14
JP2006213711A (ja) 2006-08-17
ATE429218T1 (de) 2009-05-15
GB0514463D0 (en) 2005-08-17
BRPI0600199A (pt) 2006-09-19
DK1685834T3 (da) 2009-07-20
RU2358476C2 (ru) 2009-06-20
PL1685834T3 (pl) 2009-09-30
AU2006200169A1 (en) 2006-08-17
CA2533196C (en) 2011-05-24
EP1685834A1 (en) 2006-08-02
CA2533196A1 (en) 2006-07-31
DE602006006354D1 (de) 2009-06-04
ZA200600799B (en) 2006-09-27
KR100895800B1 (ko) 2009-05-08
CN1853621A (zh) 2006-11-01
EP1685834B1 (en) 2009-04-22
MY148723A (en) 2013-05-31
US20060172023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800B1 (ko) 피놀렌산의 용도
JP4391673B2 (ja) 油脂組成物
US20090099261A1 (en) Omega-3 mixtures
FR2955459A1 (fr) Composition huileuse riche en monoglycerides de dha
US20090203780A1 (en) Use of a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und
CA2196880C (en) Nervonic acid compositions
WO2011122389A1 (ja) 糖尿病の予防又は治療用油脂組成物
JPS6115647A (ja) 油脂食品
JP2006306813A (ja) 肥満細胞増殖抑制剤
WO2010133377A1 (en) Fat blends and uses thereof
EP2273895B1 (fr) Compositions comprenant de l&#39;acide myristique, des acides gras comprenant un diene conjugue n-5cis, n-7trans ou un triene conjugue n-5cis, n-7trans, n-9cis
JP5066856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
Bhat Functional Lipids as Nutraceuticals: A Review
WO2018066394A1 (ja) 筋肉を柔軟にするための組成物
MXPA06001190A (en) Use of pinolenic acid
JP7356833B2 (ja) 末梢体温亢進剤
AU711302C (en) Nervonic acid compositions
EP2002729A1 (en) Use of pinolenic acid for lowering cholesterol
JP2008247791A (ja) 肝機能改善剤
JPWO2003074042A1 (ja) 脱共役蛋白質発現亢進剤
EP2002730A1 (en) Pinolenic acid compositions for treating fatty liver
EP2002731A1 (en) Use of pinolenic acid for increasing lean body mass
FR2929515A1 (fr) Utilisation d&#39;acides gras comprenant un diene conjugue n-5cis, n-7trans ou un triene conjugue n-5cis, n-7trans, n-9cis en tant que medic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