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234A -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234A
KR20060091234A KR1020060011958A KR20060011958A KR20060091234A KR 20060091234 A KR20060091234 A KR 20060091234A KR 1020060011958 A KR1020060011958 A KR 1020060011958A KR 20060011958 A KR20060011958 A KR 20060011958A KR 20060091234 A KR20060091234 A KR 2006009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tabilizer
emulsion composition
emulsifier
composition
stabilizer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232B1 (ko
Inventor
마사키 호사카
마사토시 홈마
요시히데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06009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45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containing cationic or anionic groups, e.g. mor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43Agents preventing ageing of paper, e.g. radiation absorbing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5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orm
    • D21H21/52Additives of definite length or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보존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더라도, 형성되는 도막의 제반 물성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없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및 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계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물, 유화제,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이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A LIGHT STABILIZER EMULSIFYING COMPOSITION}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80486호 특허청구의 범위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85045호 특허청구의 범위 [0016]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61759호 특허청구의 범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내후성을 부여하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및 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한 코팅제 조성물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코팅제 조성물로는, 수계 도료, 수계 잉크, 광학용 코팅제, 섬유용 약제, 종이용 약제 등의 코팅용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코팅제 조성물에는, 형성된 도막의 내후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광안정제는, 예를 들어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을 보충하는 힌더드 아민 화합물이나, 자외선을 보충하는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들 광안정제는 통상 유용성 유기 화합물이기 때문에, 수계 조성물에 첨가한 경우, 배합한 광안정제가 양호하게 분산되지 않고, 형성된 도막이 충분한 내후성을 갖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광안정제를 첨가한 코팅제 조성물은 보관 중에 광안정제가 분리되어, 보존안정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수계 에멀션을 사용하는 용도 등에서는 수계 에멀션을 중합하는 공정에서 광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1) 30∼96중량% (질량%), 특정 중합성 카르복실산 (2) 의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의 혼합물 1∼10중량% (질량%), 중합성 유화제 (3) 1∼10중량% (질량%), 벤조페논계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중합성 광안정제 (4) 1∼20중량% (질량%) 및 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오르가노알콕시실란 화합물 (5) 1∼30중량% (질량%) 로 이루어지는 합계 100중량% (질량%) 의 단량체 혼합물과, 염기상수 (PKb) 가 8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HALS) (6) 0.1∼5중량% (질량%) 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유화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실리콘 에멀션 조성물 (청구항 1) 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A) 플루오로올레핀계 공중합체 에멀션 및 (B) (a)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 5∼70중량% (질량%) 및 (b) 기타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 30∼95중량% (질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과, (c)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제의 혼합물을 유화 중합하여 얻어지는,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공중합 에멀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 (청구항 1) 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의 [0016] 단락에는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나, 힌더드 아민 유도체 등의 광안정제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리 광안정제를 물에 유화 또는 분산시키고 나서 수계 에멀션에 첨가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에는 광안정제와 유화제와 물을 함유하며, 상기 광안정제를 20∼85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안정제 수성 에멀션 (청구항 1) ; 상기 광안정제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안정제 수성 에멀션 (청구항 3) 이 개시되어 있다. 이 광안정제 수성 에멀션은, 수계 에멀션이나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나중에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고 또한 내후성이라는 기능이 발휘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2 에 의하면, 광안정제를 수계 에멀션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지만, 광안정제가 에멀션 입자에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형성된 도막에 충분한 내후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3 의 광안정제를 물에 유화 또는 분산시킨 광안정제 수계 에멀션에서는, 수계 에멀션이나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나중에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하고, 또한 내후성이라는 기능이 발휘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분리나 침전이 일어나기 쉽고 보존안정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들을 첨가한 수계 코팅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한 경우, 광택의 악화나 발색 불량 등 도막의 제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 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보존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더라도 형성되는 도막의 제반 물성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및 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계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특정한 크기로까지 미세하게 유화함으로써, 장기보존안정성이 좋고,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한 경우에도, 형성된 도막의 제반 물성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물, 유화제,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광안정제 등」이라 함) 를 함유하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이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유화제로서 후술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B) 를 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계 코팅제 조성물은, 상기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장품은, 상기 수성 코팅제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을 갖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출원인은, 친수기로서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반응시킨 폴리에테르사슬을 갖고, 소수기로서 탄소수 1∼30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유화제와, 광안정제 등과,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이미 출원하고 있다 (일본 특허출원 2004-228397호). 이 출원에 있어서, 유화제의 사용량은 광안정제 등에 대하여 1∼40질량% 의 범위 내이지만, 이 범위의 사용량에서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까지 미세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에서, 유화 조성물이란 예를 들어 물과 기름과 같이 서로 혼합되지 않는 2 종류의 물질 사이에서 어느 한 쪽의 물질이 다른 쪽 액체 속에 분산된 상태의 것이다. 유화 조성물은 크게 나누어 O/W 형과 W/O 형 2 종류가 있으며, O/W 형은 물을 연속층으로 하여 비수용성 물질이 물 속에 분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우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W/O 형은 기름을 연속층으로 하여 물이나 수용성 물질이 기름 속에 분산된 것으로, 예를 들어 마가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O/W 형의 유화 조성물이고, 평균입자직경이 150㎚ 이하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물 속에 분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것에 성공한 것이다. 또, 「평균입자직경」은 동적광산란법 등으로 측정하는 입도분포계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이란,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광안정제 등만으로 구성되는 성분 또는 후 술하는 기타 임의성분과 광안정제 등의 혼합성분이라는 의미이다. 기타 임의성분이 광안정제와 혼합되는 경우란, 기타 임의성분이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후술하는 「광안정제의 평균입자직경」,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의 평균입자직경」 또는 「에멀션입자」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에 관한 기재이다.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물 속에 평균입자직경 150㎚ 이하로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제의 합계량을 광안정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40질량부를 초과 100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사용함으로써 유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의 유화제의 일부 또는 전부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A) 는, 옥시에틸렌기와 탄소수 3 이상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사슬을 갖고, 또한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A) 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알킬(또는 알케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부틸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알킬(또는 알케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알킬(또는 알케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알킬(또는 알케닐)아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다가 알코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폴리아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다당 또는 단당 또는 올리고당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지방산 에스테르, 상기 에테르류에 지방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것 등의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하기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
R-O-(AO)n-H (1)
(식 중 R 은 탄소수 8∼30 의 탄화수소기이고, A 는 탄소수 2∼4 의 2 종 이상의 알킬렌기이며 에틸렌기가 전체의 50몰% 이상이고, n 은 8∼80 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R 은 탄소수 8∼30 의 탄화수소기이다. 이들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옥틸, 2-에틸헥실, 2급 옥틸, 노닐, 2급 노닐, 데실, 2급 데실, 운데실, 2급 운데실, 도데실, 2급 도데실, 트리데실, 이소트리데실, 2급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2급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2급 헥사데실, 스테아릴, 에이코실, 도코실, 테트라코실, 트리아콘틸, 2-부틸옥틸, 2-부틸데실, 2-헥실옥틸, 2-헥실데실, 2-옥틸데실, 2-헥실도데실, 2-옥틸도데실, 2-데실테트라데실, 2-도데실헥사데실, 2-헥사데실옥타데실, 2-테트라데실옥타데실, 모노메틸분지-이소스테아릴, 에이코실, 헨에이코실, 도코실, 트리코실, 테트라코실, 펜타코실, 헥사코실, 헵타코실, 옥타코실, 노나코실, 트리아콘틸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는, 예를 들어 옥테닐, 노네닐, 데세닐, 운데세닐, 도데세닐, 테트라데세닐, 올레일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서는, 예를 들어 자일릴, 쿠메닐, 메시틸, 펜에틸, 스티릴, 신나밀, 벤즈히드릴, 트리틸, 에틸페닐, 프로필페닐, 부틸페닐, 펜틸페닐, 헥실페닐, 헵틸페닐, 옥틸페닐, 노닐페닐, 데실페닐, 운데실페닐, 도데실페닐, 스티렌화페닐, p-쿠밀페닐, 페닐페닐, 벤질페닐, α-나프틸, β-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탄화수소기 중에서, R 로는 알킬기,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는 8∼24 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8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제로서의 성능이 떨어지고, 보존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탄소수가 3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였을 때 상용성이 나빠 석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경우에는, 상용성 문제로부터 R 은 탄소수 8∼16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예로는, 예를 들어 잉크젯 용지 등에 도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A 는 탄소수 2∼4 의 2 종 이상의 알킬렌기이고, A 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메틸에틸렌, 부틸렌, 1-메틸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에틸에틸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1,4-부틸렌옥사이드) 등에서 유도할 수 있다.
A 는 2 종 이상의 알킬렌기이면 어떠한 조합이든 되지만, 에틸렌옥사이드에서 유도되는 에틸렌기와, 기타 알킬렌옥사이드에서 유도되는 알킬렌기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기와 조합하는 다른 알킬렌옥사이드로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옥사이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부가시키는 알킬렌옥사이드의 중합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에틸렌옥사이드와 다른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의 랜덤 공중합, 블록 공중합 또는 랜덤/블록 공중합 등이면 된다. 이들 중에서도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나 에멀션 입자직경의 면에서 랜덤 공중합이 바람직하다.
또, 유화성의 관점에서, A 에서 차지하는 에틸렌기의 비율은 전체의 5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50∼99몰% 가 더 바람직하고, 60∼95몰% 가 더욱 바람직하고, 68∼92몰% 가 가장 바람직하다. 에틸렌기의 비율이 50몰% 미만인 경우 유화제로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균일하게 유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에틸렌기가 100몰% 가 되면 융점이 높아져 석출 등에 의해 보존안정성이 나빠지거나 에멀션 입자직경이 커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여 그것을 도막으로 한 경우, 형성된 도막물성, 예를 들어 도료 등에서는 광택 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n 은 8∼80 의 수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8∼70, 더 바람직하게는 8∼60, 더욱 바람직하게는 8∼40 의 수이다. n 이 8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 조성물로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 n 이 80 을 초과하면 유화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경우에는, 상용성의 면에서 n 은 8∼30 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8∼20 의 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는 예로는, 예를 들어 잉크젯 용지 등에 도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에는, 유화제로서 상기 서술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에 더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 (B) 를 병용할 수도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B) 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이외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라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으며,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아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또는 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N-메틸모노에탄올아미드 또는 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또는 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세린에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메틸에스테르에톡시레이트, N-장쇄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 계면활성제 (B) 중에서도, 소르비탄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하기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H-(EO)p-(PO)q-(EO)r-OH (2)
(EO 는 옥시에틸렌기, PO 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q 는 20∼80 의 수이고, p 와 r 은 각각 독립된 2∼32 의 수이고, 옥시에틸렌기는 전체의 30중량% 이하이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B) 로서 사용할 수 있는 소르비탄에스테르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라우르산모노에스테르, 소르비탄라우르산디에스테르, 소르비탄라우르산트리에스테르, 소르비탄미리스트산모노에스테르, 소르비탄미리스트산디에스테르, 소르비탄미리스트산트리에스테르, 소르비탄팔미트산모노에스테르, 소르비탄팔미트산디에스테르, 소르비탄팔미트산트리에스테르, 소르비탄스테아르산모노에스테르, 소르비탄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소르비탄스테아르산트리에스테르, 소르비탄올레산모노에스테르, 소르비탄올레산디에스테르, 소르비탄올레산트리에스테르 등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라우르산모노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라우르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라우르산트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미리스트산모노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미리스트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미리스트산트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팔미트산모노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팔미트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팔미트산트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스테아르산모노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 틸렌소르비탄스테아르산트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올레산모노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올레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올레산트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소르비탄에스테르계 화합물 중에서도,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 한다는 관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HO-(C3H6O)q-H 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 옥시에틸렌기를 부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q 는 옥시프로필렌기의 평균부가몰수를 나타내고, 20∼80 의 수이며, 바람직하게는 25∼70 의 수이다. q 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유화제로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8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 프로필렌글리콜이나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저분자량의 부생성물이 다량으로 생성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유화제로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p 및 r 은 HO-(C3H6O)q-H 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2 개의 수산기에 각각 부가한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를 나타내며, 2∼32 의 수이다.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2 미만인 경우 유화제로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32 를 초과하면 저장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는 일반식 (2) 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총분 자량에서 차지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30질량% 이하가 되도록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15질량% 이다. 또, 에틸렌옥사이드의 비율이 30질량% 를 초과하면 저장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유화제의 양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 할 수 있는 범위 내이고, 광안정제 등 100질량부에 대한 유화제의 양은 40질량부를 초과하고 100질량부까지의 범위 내이다. 또한, 유화제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의 함량이 50∼100질량% 의 범위 내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광안정제 등 100질량부에 대한 유화제의 양이 42∼100질량부의 범위 내이고, 또한 유화제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의 함량이 50∼100질량% 의 범위 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광안정제 등 100질량부에 대한 유화제의 양이 45∼80질량부이고, 또한 유화제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의 함량이 50∼100질량% 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의 유화와 비교하여 다량의 유화제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그 성분의 표면적이 커져, 필요한 유화제량도 표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 유화제의 양이 40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상기 유화제, 물 및 광안정제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여기에서, 광안정제 등으로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나, 벤조페논류, 벤조트리아졸류, 트리아진류, 벤조에이트류, 옥살닐리드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2,2,6,6-테트라메틸-4-비페리딜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도데실숙신산이미드, 1-〔(3,5-디 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3,5-디 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테트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ㆍ디(트리데실)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ㆍ디(트리데실)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옥시)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3,9-비스〔1,1-디메틸-2-{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옥시)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5,8,12-테트라키스〔4,6-비스{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1,5,8,12- 테트라아자도데칸, 1,6,11-트리스〔{4,6-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운데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숙신산디메틸 축합물, 2-제3옥틸아미노-4,6-디클로로-s-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축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디브로모에탄 축합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운데칸)디에탄올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2-히드록시벤조페논류;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제3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제3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제3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제3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히드록시-3-제3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2-〔2-히드록시-3-(2-아크릴로일옥시에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5-제3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5-제3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5-제3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 드록시-3-제3부틸-5-(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제3아밀-5-(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제3부틸-5-(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C12∼C13 혼합 알콕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아세틸옥시에톡시)페닐〕-4,6-비스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3-알릴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3-메틸-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6-디아릴-1,3,5-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류;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제3부틸페닐-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스테아릴(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의 치환 옥사닐리드류;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 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안정제 등은, 필요에 따라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유화 안정성의 면에서,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유화제와 물을 사용하여, 평균입자직경이 150㎚ 이하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안정적으로 유화ㆍ분산시킨 유화 조성물로, 광안정제 등을 바람직하게는 1∼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4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0질량% 함유하는 것이다. 광안정제 등이 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충분한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수성 코팅제 조성물이 다량의 물에 의해 희석되어 도막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광안정제 등이 50질량%을 초과하면,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물, 광안정제 등, 유화제, 및 그 밖의 임의 성분을 공지된 유화방법을 사용하여 유화하는 방법이면 된다. 유화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전상(轉相)유화법, 기계적 강제 유화법 등이 있고,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들 유화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기로는, 예를 들어, 고속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의한 교반, 호모믹서 [특수기화공업(주) 제품], 고압 호모게니저, 파티클사이저, 초음파식 유화기, 비드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기기 중에서도, 평균입자직경이 작은 유화 조성 물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고압 호모게니저나 파티클사이저 등 압력을 가하여 유화하는 고압 유화기나, 비드밀을 사용하여 유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호모게니저 등의 고압 유화기는, 유화하고자 하는 용액을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한번 호모믹서 등으로 유화시킨 에멀션을 고압 유화기로 처리함으로써 더욱 입자가 작은 에멀션으로 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호모믹서 등으로 유화시킨 용액이 들어 있는 조(槽)의 하부로부터 용액을 고압 유화기로 이송하고, 처리한 용액을 별도의 조로 옮기는 방법이나, 호모믹서 등으로 유화시킨 용액을 넣은 조의 하부로부터 고압 유화기로 이송하고, 처리한 용액을 원래의 조로 되돌리는 등의 방법이 있는데, 하나의 조로 모든 처리가 가능하고, 몇 번이고 고압 유화기로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압 유화기로 처리한 용액을 원래의 조로 되돌리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 비드밀은, 물, 유화제,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흡수제의 혼합물을 유리나 금속, 세라믹, 수지 등의 비드가 들어 있는 용기 내에서 혼합하여,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흡수제 입자를 잘게 분쇄하여 유화 조성물을 얻는 것이다. 여기서, 광안정제 등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직경 0.3㎜ 이하의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 0.1㎜ 이하의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드의 직경이 0.3㎜ 를 초과하면, 광안정제 등의 평균입자직경이 150㎚ 이하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비드밀로 처리하기 전에 호모믹서 등으로 예비 유화하면, 입자직경이 작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이 150㎚ 이하이면, 광안정제 등으로서의 성능이나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 등이 향상되고, 그 이외에도 예를 들어, 잉크젯 용지 등에 도포하는 경우에 광의 난반사나 간섭을 방지하거나, 잉크젯용 잉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극소직경의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은, 광안정제 등의 평균입자직경이 작을수록 효과가 높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을 150㎚ 이하로 하지만, 1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50㎚ 이하의 평균입자직경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유화제 및 배합량을 사용하여 유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보다 소직경의 유화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고압 유화기기 또는 비드밀로 복수 회 또는 장시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처리시간으로는, 예를 들어, 처리하고자 하는 용액 (C㎏) 을 처리능력 (D㎏/시간) 의 고압 유화기 또는 비드밀로 처리하는 경우, C/D 시간보다 긴 시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C/D 시간보다 긴 시간 처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C/D 시간보다 긴 시간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D 시간보다 처리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평균입자직경이 작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수계 조성물이면 어느 것에도 첨가할 수는 있지만, 도막의 내후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므로, 내후성을 필요로 하는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내후성을 필요로 하는 수계 코팅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수계 도료 등의 수지 에멀션 조성물, 염료 나 안료 등의 착색제를 사용한 수계 잉크 조성물, 잉크젯 용지나 감열지, 벽지 등의 종이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목재나 타일, 쿠션플로어 등의 바닥용 코팅제 조성물, 섬유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광학 기록 담체의 보호층 등과 같은 광학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금속이나 유리 등의 보호나 수식을 목적으로 한 수계 코팅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이들 수계 코팅제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중의 광안정제 등이 0.001∼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3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3질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0.001질량% 미만인 경우, 첨가하더라도 충분한 내후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5질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의 내수성 등이 나빠지는 경우나, 첨가량에 걸맞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용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또, 이들의 물질이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광안정제 등과 함께 유화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류의 황산에스테르염, 술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이나, 지방산 비누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알킬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이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황산에스테르염형 양성 계면활성제, 술폰산염형 양성 계면활성제, 인산에스테르염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인계 산화방지제, 페놀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제3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5-디제3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모노, 디혼합 노닐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산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제3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디페닐데실포스파이트, 디페닐옥틸포스파이트, 디(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부틸포스파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디부틸산포스파이트, 디라우릴산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트리티오포스파이트, 비스(네오펜틸글리콜)ㆍ1,4-시클로헥산디메틸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제3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5-디제3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제3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C12∼C15 혼합 알킬)-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닐포스파이트, 비스[2,2'-메틸렌비스(4,6-디아밀페닐)]ㆍ이소프로필 리덴디페닐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ㆍ4,4'-부틸리덴비스(2-제3부틸-5-메틸페놀)디포스파이트, 헥사(트리데실)ㆍ1,1,3-트리스(2-메틸-5-제3부틸-4-히드록시페닐)부탄ㆍ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제3부틸페닐)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트리스(2-〔(2,4,7,9-테트라키스제3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6-일)옥시〕에틸)아민,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2-부틸-2-에틸프로판디올ㆍ2,4,6-트리제3부틸페놀모노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2,6-디제3부틸-p-크레졸,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스테아릴(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트리데실ㆍ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티오아세테이트, 티오디에틸렌비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오비스(6-제3부틸-m-크레졸), 2-옥틸티오-4,6-디(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녹시)-s-트리아진, 2,2'-메틸렌비스(4-메틸-6-제3부틸페놀), 비스[3,3-비스(4-히드록시-3-제3부틸페닐)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4,4'-부틸리덴비스(2,6-디제3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제3부틸-3-메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제3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부틸페닐)부탄, 비스[2-제3부틸-4-메틸-6-(2-히드록시-3-제3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2,6-디메틸-3-히드록시-4-제3부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제3부틸- 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2-제3부틸-4-메틸-6-(2-아크릴로일옥시-3-제3부틸-5-메틸벤질)페놀, 3,9-비스[2-(3-제3부틸-4-히드록시-5-메틸히드로신나모일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β-(3-제3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토코페롤이나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황계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티오디프로피온산의 디라우릴, 디미리스틸, 미리스틸스테아릴, 디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아민계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1-나프틸아민, 페닐-1-나프틸아민, p-옥틸페닐-1-나프틸아민, p-노닐페닐-1-나프틸아민, p-도데실페닐-1-나프틸아민, 페닐-2-나프틸아민 등의 나프틸아민계 산화방지제;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소부틸-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디-β-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페닐-N'-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디옥틸-p-페닐렌디아민, 페닐헥실-p-페닐렌디아민, 페닐옥틸-p-페닐렌디아민 등의 페닐렌디아민계 산화방지제; 디피리딜아민, 디페닐아민, p,p'-디-n-부틸디페닐아민, p,p'-디-t-부틸디페닐아민, p,p'-디-t-펜틸디페닐아민, p,p'-디옥틸디페닐아민, p,p'-디노닐디페닐아민, p,p'-디데실디페닐아민, p,p'-디도데실디페닐아민, p,p'-디스티릴디페닐아민, p,p'-디메톡시디페닐아민, 4,4'-비스(4-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p-이소프로 폭시디페닐아민, 디피리딜아민 등의 디페닐아민계 산화방지제; 페노티아진, N-메틸페노티아진, N-에틸페노티아진, 3,7-디옥틸페노티아진, 페노티아진카르복실산에스테르, 페노셀레나진 등의 페노티아진계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다.
용제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등의 수용성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은계 방부제, 주석계 방부제, 파라벤류, 제4급암모늄염류, 피리디늄염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글리세린알킬에테르류, 옥탄디올로 대표되는 글리콜류, 알긴산나트륨류, 카테킨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계 코팅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수계 도료 등의 수계 에멀션 조성물,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를 사용한 수계 잉크 조성물, 잉크젯 용지나 감열지, 벽지 등의 종이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목재나 타일, 쿠션플로어 등의 바닥용 코팅제 조성물, 섬유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광학 기록 담체의 보호층 등과 같은 광학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금속이나 유리 등의 보호나 수식을 목적으로 한 수계 코팅제 조성물 등의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수성 코팅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광안정제 등이 0.001∼5질량부가 되도록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계 코팅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용제, 방부제, 또는, 조막보조제, 안료, 염료, 무기충전제, 유기충전제, 분 산제, 점도조정제, 소포제, 가소제, 경화제, 경화촉진제, 중합방지제, pH 조정제, 산소흡수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계 코팅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목재, 종이, 섬유, 콘크리트, 모르타르, 석재,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류, 금속 등의 각종 기재의 표면에 직접 도포, 또는 초벌칠한 후 도포할 수 있다. 도포방법으로는, 스프레이 도장, 브러시 도장, 롤 도장, 샤워 도장, 침지 도장, 전착 도장, 프린터 등에 의한 인자, 펜 등의 필기용구에 의한 인자 등, 공지된 수법을 사용하여 도포 또는 인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장품은, 본 발명의 수계 코팅제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건축물의 외벽이나 내장, 지붕, 바닥; 자동차의 외장이나 내장; 의료 제품; 피혁 제품; 인공 피혁 제품; 잉크젯 용지나 감열지 등의 종이류; 인쇄물; 가정용이나 오피스용 기기류; 렌즈나 플라스틱 필름, 기판, 광디스크 등의 광학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 「%」 및 「ppm」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시험방법을 이하에 서술한다.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호모믹서와 승온장치를 구비한 1000㎖ 의 용기에 광안정제 등과 유화제를 넣고, 호모믹서로 혼합하면서 60∼70℃ 로 승온하였다. 소정량의 물을 용기내의 상태를 보아가면서 서서히 투입하면, 어느 일정량의 물을 투입한 시점에서 W/O 에멀션에서 O/W 에멀션으로 전상된다. 그것을 확인한 후, 온도를 30∼40℃ 로 냉각하고, 나머지 물을 모두 첨가하여, 그 후 2시간 교반을 계속해서 예비 유화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예비 유화 조성물을, 20∼40℃ 에서 고압 호모게니저 (주식회사 스기노머신사 제조; HJP-25005) 로 처리하여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또, 광안정제 등과 유화제의 종류 및 양, 물의 양, 평균입자직경, 고압 호모게니저의 처리시간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은, 얻어진 유화 조성물을 물로 1000배 희석한 후, 입도 분포계 (오오쓰카전자사 제조; ELS-8000) 로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예비 유화 조성물을, 20∼40℃ 에서 비드밀 (고토부키공업주식회사: 울트라스펙밀 UAM-015) 에 의해 0.1㎜ 의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여 처리한 후, 평균입자직경을 측정하였다. 비드밀에서의 결과와 배합비, 처리시간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또, 고압 호모게니저로 처리한 것은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6 이고, 비드밀로 처리한 것은 실시예 13∼17 및 비교예 7 이다.
<보존안정성 시험>
얻어진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100㎖ 의 유리밀폐용기에 80㎖ 넣고, 50℃ 의 항온조에서 50일간 보관하고, 10일, 20일, 30일, 40일, 50일 후의 유화 조성물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기재한다. 또, 표 2 중, ◎: 균일, ○: 표면이 미소하게 분리, △: 표면의 분리가 확실히 관찰됨, ×: 전체적으로 불균일 또는 큰 분리가 관찰됨, ××: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 을 각각 나타낸다.
<도막 시험 1>
시판 중인 그로스 도료 (칸사이 페인트사 제조; 아쿠아그로스) 에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광안정제 등이 1질량% 가 되도록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 후, 10mil 의 애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유리판 위에 도막을 형성시켰다. 도막이 건조된 후, 그로스미터 (닛폰덴쇼쿠: VG2000) 를 사용하여 도막의 그로스치를 측정하고, 광안정제 등 첨가 전의 도료의 그로스치로부터, 첨가 후의 그로스치를 감산하여 이것을 강하 그로스치로 하였다. 강하 그로스치가 작을수록, 원래의 도료의 그로스를 떨어뜨리지 않아 성능이 좋음을 나타낸다.
<도막 시험 2>
하기에 배합을 나타낸 도공액을 15질량% 의 수용액에 희석하고, 10g/㎡ 가 되도록 바코터로 상질지에 도공하였다. 도공한 용지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건조시킨 후, 잉크젯 프린터 (캐논사 제조; BJC-600J) 를 사용하여, 도공한 용지 위에 시안, 옐로, 마젠다의 3색으로, 문자 및 도형을 인자하였다. 인자한 용지는, 공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두께 1㎜ 의 유리판 2장 사이에 끼운 후, 일광이 드는 장소에 두고, 인자한 문자 및 도형의 색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 표 3 중, ○: 변화 없음, △: 퇴색이 미소하게 관찰됨, ×: 퇴색이 확실히 관찰됨, 을 각각 나타낸다.
(도공액)
화이트카본 (분말 실리카/양이온성 콜로이드성 실리카=9/1: 75질량부
폴리비닐알코올 (중합도 n=1000, 99.9% 비누화): 15질량부
양이온 폴리머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중합물): 10질량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2질량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광안정제 등 순분이 2질량부가 되도록 배합하였다.
이하에, 시험에 사용한 유화제 및 광안정제 등을 나타낸다. 또 하기 중에서, EO 는 에틸렌옥사이드를, PO 는 프로필렌옥사이드를, BO 는 부틸렌옥사이드를 나타낸다.
<유화제>
A1: 트리데칸올 11 EO/3 PO 랜덤 공중합품
A2: 트리데칸올 25 EO/5 BO 랜덤 공중합품
A3: 트리데칸올 50 EO/8 PO 랜덤 공중합품
A4: 트리데칸올 11 EO/3 PO 블록 공중합품
A5: 올레일알코올 25 EO/4 PO 랜덤 공중합품
A6: 부탄올 8 EO/2 PO 블록 공중합품
A7: 2-에틸헥실산의 10 EO/3 PO 랜덤 공중합품
B1: 소르비탄올레산에스테르
B2: 소르비탄라우르산에스테르 6 EO 부가품
B3: H-(EO)5-(PO)60-(EO)5-H
B4: H-(EO)6-(PO)30-(EO)6-H
C1: 트리데칸올 12 EO
C2: 올레일알코올 25 EO
또, 유화제 A1∼A7 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에 포함되는 화합물이고, 유화제 B1∼B4 는 비이온 계면화합물 (B) 에 포함되는 화합물이다.
<광안정제 등>
D1:
[화 1]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1
[식 중, R 은 하기 기 (A) 또는 (B): -C13H27 이고, (A)/(B)=1/1 (몰비) 이다]
[화 2]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2
D2 :
[화 3]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3
[식 중, R' 는 하기 기 (A') 또는 (B): -C13H27 이고, (A')/(B)=1/3 (몰비) 이다]
[화 4]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4
D3 :
[화 5]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5
D4:
[화 6]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6
D5:
[화 7]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7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8
Figure 112006009174461-PAT00009
Figure 112006009174461-PAT00010
또, 비교예 8 은 광안정제 등을 배합하지 않은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수계 도료 등의 수지 에멀션 조성물,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를 사용한 수계 잉크 조성물, 잉크젯 용지나 감열지, 벽지 등의 종이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목재나 타일, 쿠션플로어 등의 바닥용 코팅제 조성물, 섬유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광학기록 담체의 보호층 등의 광학용 수계 코팅제 조성물, 금속이나 유리 등의 보호나 수식을 목적으로 한 수계 코팅제 조성물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장기보존안정성이 양호하고, 수계 코팅제 조성물에 첨가하더라도 형성되는 도막의 제반 물성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이 미세한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 것에 있다.

Claims (11)

  1. 물, 유화제,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평균입자직경이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화제는, 옥시에틸렌기와 탄소수 3 이상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사슬을 갖고, 또한 탄화수소기를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A) 는, 하기 일반식 (1)
    R-O-(AO)n-H (1)
    (식 중, R 은 탄소수 8∼30 의 탄화수소기이고, A 는 탄소수 2∼4 의 2종 이상의 알킬렌기이고, 에틸렌기가 전체의 50몰% 이상이고, n 은 8∼80 의 수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에 있어서, R 은 탄소수 8∼16 의 지방족탄화수소기이고, n 은 8∼30 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화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B) 를 병용하는,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B) 는 소르비탄에스테르계 화합물 및/또는 하기 일반식 (2)
    H-(EO)p-(PO)q-(EO)r-OH (2)
    (식 중, EO 는 옥시에틸렌기이고, PO 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q 는 20∼80 의 수이고, p 와 r 은 각각 독립된 2∼32 의 수이고, 옥시에틸렌기는 전체의 30중량% 이하이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의 함유량은,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40질량부 초과 100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이고, 유화제 합계량 중에서 차지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A) 의 양이 50∼100질량% 의 범위 내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안정제의 적어도 1종이 힌더드아민 화합물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안정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1∼50질량% 의 범위 내인,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코팅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기재된 수계 코팅제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품.
KR1020060011958A 2005-02-14 2006-02-08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KR101227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6365 2005-02-14
JP2005036365 2005-02-14
JP2006008780A JP5084143B2 (ja) 2005-02-14 2006-01-17 光安定剤乳化組成物
JPJP-P-2006-00008780 2006-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234A true KR20060091234A (ko) 2006-08-18
KR101227232B1 KR101227232B1 (ko) 2013-01-28

Family

ID=3659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958A KR101227232B1 (ko) 2005-02-14 2006-02-08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1096B2 (ko)
EP (1) EP1690897B1 (ko)
JP (1) JP5084143B2 (ko)
KR (1) KR101227232B1 (ko)
CN (1) CN1896152B (ko)
DE (1) DE602006000875T2 (ko)
TW (1) TWI3757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4462B2 (ja) * 2007-01-31 2013-05-08 Jnc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5202883B2 (ja) * 2007-06-26 2013-06-05 日本乳化剤株式会社 黄変防止用エマルション
WO2009145813A1 (en) 2008-03-04 2009-12-03 Qd Vision, Inc. Particles including nanoparticles, uses thereof, and methods
US20100264371A1 (en) * 2009-03-19 2010-10-21 Nick Robert J Composition including quantum dots, uses of the foregoing, and methods
KR101773536B1 (ko) 2009-09-04 2017-08-31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5744033B2 (ja) 2009-09-09 2015-07-01 キユーデイー・ビジ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ナノ粒子を含む粒子、それの使用および方法
WO2011031876A1 (en) 2009-09-09 2011-03-17 Qd Vision, Inc. Formulations including nanoparticles
JP5357064B2 (ja) * 2010-01-04 2013-12-04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学用フィルム
WO2013078252A1 (en) 2011-11-22 2013-05-30 Qd Vision, Inc. Quantum dot-containing compositions including an emission stabilizer, products including same, and method
JP6485800B2 (ja) * 2014-01-07 2019-03-20 株式会社Adeka 繊維用機能性付与剤
EP3591001A1 (en) * 2014-11-20 2020-01-08 Cytec Industries Inc. Stabiliz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for protecting organic materials from uv light and thermal degradation
CN108610500A (zh) * 2018-04-28 2018-10-02 镇江华扬乳胶制品有限公司 一种橡胶手套的抗紫外线处理方法
CN109135395A (zh) * 2018-09-03 2019-01-04 烟台新秀化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分散性光稳定剂的制备方法
CN113527936A (zh) * 2020-04-13 2021-10-22 天津利安隆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水分散性光稳定剂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327A (ja) * 1982-03-17 1983-09-22 Jiyuuzen Kagaku Kk 水性樹脂エマルジヨンの安定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マルジヨンの安定化法
FR2595730B1 (fr) * 1986-03-15 1989-12-01 Sandoz Sa Compositions stables au stockage d'absorbants u.v.
ES2074688T5 (es) * 1990-07-23 1998-11-01 Ciba Geigy Ag Dispersion acuosa de absorbentes de uv poco solubles.
JPH04239591A (ja) * 1991-01-23 1992-08-27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熱および光酸化劣化防止剤分散液
JP2972373B2 (ja) * 1991-03-29 1999-11-08 株式会社日本化学工業所 紫外線遮蔽用水性分散組成物
US5180830A (en) * 1991-04-24 1993-01-19 Himont Incorporated Process for preparing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WO1994007460A1 (en) * 1992-09-30 1994-04-14 Henkel Corporation Methods for improving uv absorbance of sunscreen compounds
US5772920A (en) * 1995-07-12 1998-06-30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U.V. absorber compositions
DE19631244A1 (de) * 1996-08-02 1998-02-12 Clariant Gmbh Neue Lichtstabilisatoren auf Basis von sterisch gehinderten Aminen
JP3721549B2 (ja) * 1997-07-17 2005-11-30 東レ・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アクリル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H1180497A (ja) 1997-09-08 1999-03-26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BR9911448A (pt) * 1998-06-22 2001-03-20 Ciba Sc Holding Ag Absorventes de luz ultravioleta de trisaril-1,3,5-triazinas substituìdas por fenol impedido
US6635702B1 (en) * 2000-04-11 2003-10-21 Noveon Ip Holdings Corp. Stable aqueous surfactant compositions
CN1185311C (zh) * 2001-12-28 2005-01-19 北京纳美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水性建筑外墙涂料用紫外光稳定剂的制备方法
JP3685142B2 (ja) * 2002-03-12 2005-08-17 藤倉化成株式会社 光安定剤水性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
ES2380705T3 (es) 2004-08-04 2012-05-17 Adeka Corporation Composición fotoestabilizante en emulsión y composición acuosa de recubrimiento que la conti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6152A (zh) 2007-01-17
TW200636025A (en) 2006-10-16
TWI375706B (en) 2012-11-01
EP1690897B1 (en) 2008-04-09
JP5084143B2 (ja) 2012-11-28
DE602006000875D1 (de) 2008-05-21
US7671096B2 (en) 2010-03-02
KR101227232B1 (ko) 2013-01-28
JP2006249410A (ja) 2006-09-21
EP1690897A1 (en) 2006-08-16
US20060183824A1 (en) 2006-08-17
DE602006000875T2 (de) 2009-05-28
CN1896152B (zh)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232B1 (ko)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KR101214028B1 (ko) 광안정제 유화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계 코팅제조성물
US5401303A (en) Aqueous inks having improved halo characteristics
EP2439217B1 (en) Vinyl chloride-based resin emulsion, water-based ink and recording paper
EP0518225B1 (en) Aqueous pigmented inks for ink jet printers
CN104640943B (zh) 胶乳和相关的喷墨油墨
EP2222735B1 (en) Steric stabilized latex particulates
JP2006506512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の相互作用するインクセット
JP3897128B2 (ja) 着色微粒子水分散体
US5962552A (en) Ink composition and image recording method
EP2687550A1 (en) Vinyl chloride-based resin emuls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water-based ink, and recording paper
JPH08259871A (ja) 着色微粒子水分散体
JPH08253728A (ja) 着色水分散体
JP2002138231A (ja) 水性インク組成物
JPH076111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DE19500195A1 (de) Verwendung weißgetönter Kunststoffe zum Weißtönen von Papierstreichmassen und derart weißgetönte Papierstreichmassen
KR100409081B1 (ko)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안료형 잉크 조성물
DE60203204T2 (de) Tintenstrahldruckverfahren
DE60034217T2 (de)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EP3925992A1 (en) Vinyl chloride-based resin emulsion, water-based ink, and recording paper
JP2002138230A (ja) 水性インク組成物
JP2003118224A (ja) 塗工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記録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