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584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584A
KR20060090584A KR1020060010651A KR20060010651A KR20060090584A KR 20060090584 A KR20060090584 A KR 20060090584A KR 1020060010651 A KR1020060010651 A KR 1020060010651A KR 20060010651 A KR20060010651 A KR 20060010651A KR 20060090584 A KR20060090584 A KR 20060090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pring
barrier
shaf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타 나가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터리를 확실히 배출한다. 전자기기(1)는, 케이스(2)와, 케이스(2) 내에 설치된 배터리 수납부(69)와 이 수납부(69)에 삽입된 배터리로 가압되어 축세되는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을 갖추고 있다.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은, 스프링 힘 발생부(162)와 스프링 힘 발생부(162)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암부(163)와 스프링 힘 발생부(162)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제 1의 암부(163)에 대해서 소정의 개방 각도를 가지고 연장하는 제 2의 암부(164)와 제 1의 암부(163)의 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축부(165)와, 제 2의 암부(164)의 단부에 설치된 제 2의 축부(166)를 갖추고 있다. 상기 제 1의 축부(165)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제 1의 베어링부(172)에 장착되고 상기 제 2의 축부(166)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제 2의 베어링부(17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Electronic instrument}
도 1a는 배리어를 제 1의 위치(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배리어를 제 2의 위치(폐색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카메라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b는 카메라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의 실시 예의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배터리가 삽입되기 전의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이 밀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배터리가 수납된 후의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 1의 암부를 미리 만곡시켰을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만곡시킨 제 1의 암부가 배터리에 의해서 일직선상으로 늘어놓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제 2의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제3의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제4의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배리어를 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배리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롤러의 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a는 토글 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9b는 토글 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토글 스프링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배터리뚜껑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배터리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배터리뚜껑과 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배터리뚜껑에 축을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5a는 축의 일단부에 설치한 스프링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b는 축의 일단부에 설치한 스프링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c는 축의 일단부에 설치한 스프링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배터리뚜껑을 열어 배터리를 수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배터리를 수납해 배터리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배터리 릴리스 레버를 되밀어낼 수 없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배터리 수납 부내의 단자에 의해 배터리가 밀어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배터리 릴리스 레버로 배터리를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스트랩 금구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카메라에 멀티 커넥터를 설치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카메라에 멀티 커넥터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멀티 커넥터가 스트랩 금구에 락 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락이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메모리 카드 뚜껑을 닫은 상태의 뚜껑 회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메모리 카드 뚜껑을 반쯤 열려 있는 상태의 뚜껑 회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메모리 카드 뚜껑을 연 상태의 뚜껑 회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메모리 카드 뚜껑을 닫은 상태의 클릭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메모리 카드 뚜껑을 반쯤 열려 있는 상태 한 상태의 클릭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메모리 카드 뚜껑을 연 상태의 클릭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2는 메모리 카드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종래 예의 설명도이다.
도 44는 종래 예의 설명도이다.
도 45는 다른 종래 예의 설명도이다.
도 46은 다른 종래 예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디지털 카메라 2. 케이스
3. 제 1의 주면 4. 촬상 렌즈
68. 케이스의 단면 69. 배터리 수납부
69a. 개구부 111. 배터리
161.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 162. 스프링 힘 발생부
163. 제 1의 암부 164. 제 2의 암부
165. 제 1의 축부 166. 제 2의 축부
171. 스프링 부착부 172. 제 1의 베어링부
173. 제 2의 베어링부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의 소위 휴대형의 전자기기로서 배터 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는, 케이스 내에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를 갖추고 있고, 이 배터리 수납 부내에 배터리를 삽입하고, 이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 수납부 내에 장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때,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터리를 빼내게 되어 있다.
상기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터리를 빼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을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에는, 예를 들면 도 43에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201)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202)를 배터리 수납부(203) 내에 삽입하면, 상기 배터리(202)의 선단면(202a)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201)이 압축되어 축세되고, 상기 배터리(202)가 배터리 수납부(203)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배터리 락 부재(204)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202)가 락 됨과 동시에, 배터리 커버(205)가 닫혀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락 부재(204)의 락을 해제하면, 상기 배터리 커버(205)가 열림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202)가 상기 코일 스프링(201)에 축세된 스프링 힘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202)를 배터리 수납부(203) 내로부터 밀려나오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 문헌 1) 특개2001-223480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에 코일 스프링(201)을 사용한 전자기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202)가 배터리 수납부(203) 내에 수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201)이 압축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코일 스프링(201)은, 그 권수에 대응한 높이(길이)(H)를 가지므로, 적어도 상기 높이(H)를 가지는 스프링 수납 스페이스(206)를 필요로 한다. 상기 높이(H)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45에 나타내는 원추형 모양 등의 코일 스프링(201)을 사용하여, 압축되었을 때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 수납 스페이스(206)의 높이(H)를 낮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원추형 모양 등의 코일 스프링(201)을 사용했을 경우에, 그 권수가 많아지면 필연적으로 최대지름이 크게 되어, 스프링 수납 스페이스(206)의 직경이 크게 된다.
(2)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에 코일 스프링(201)을 사용했을 경우는, 도 43에 나타내는 배터리 미삽입시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201)의 선단은 프리 상태로 되어 있고, 소위 예압은 부여되지 않고(스프링 힘은 발생하고 있지 않고), 배터리(202)를 삽입하고, 이 배터리(202)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201)이 압축되고 처음으로 스프링 힘이 발생한다. 그리고, 배터리(202)가 배터리 수납부(203) 내에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201)의 스프링 힘은 최대가 된다. 따라서, 배터리(202)를 배터리 수납부(203) 내에 삽입할 때, 삽입하는 힘을 서서히 상승시켜 가지 않으면 안 되므로, 최초부터 대략 균일한 힘으로 배터리(202)를 삽입할 수 없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201)에는 예압이 부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배출시에 있어서 배터리의 질량 등에 의해, 도 43에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201)의 선단의 위치까지 확실히 배터리(202)를 배출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스프링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스프링 수납 스페이스 내에 삽입할 때에,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을 대략 균일의 힘으로 가압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설치된 배터리 수납부와, 이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에서 가압되어 축세되는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을, 스프링 힘 발생부(토션(torsion) 스프링부)와 이 스프링 힘 발생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암부와,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의 암부에 대해서 소정의 개방 각도를 가지고 연장하는 제 2의 암부와, 상기 제 1의 암부의 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축부와, 상기 제 2의 암부의 단부에 설치된 제 2의 축부에서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축부를, 상기 배터리에서 가압 되었을 때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제 1의 베어링부에 장착하고, 상기 제 2의 축부를, 상기 배터리에서 가압 되었을 때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제 2의 베어링부에 장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1) 전자기기 전체의 개략 구성, (2)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구성, (3) 배터리 수납부의 뚜껑의 구성, (4) 배터리 릴리스 레버의 구성, (5) 메모리 카드 수납부의 뚜껑의 구성, (6) 케이스의 구성, (7) 배리어(barrier)의 구성 , (8) 롤러의 구성, (9)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의 구성, (10) 토글(toggle) 스프링의 구성, (11) 스트랩 금구(金具)의 구성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전자기기 전체의 개략 구성,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제 1의 주면(정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를 제 2의 주면(이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는, 상기 평평한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2)의 제 1의 주면(3)에 임해 촬상 렌즈(4)와 오토 포커스용의 보조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AF 일루미네이터(5)와 플래시용의 발광부(6)가 배치되어 있고, 도 1a에 나타내는 상기 촬상 렌즈(4), AF 일루미네어터(5), 플래시용의 발광부(6)를 노출시키는 제 1의 위치와 도 1b에 나타내는 상기 촬상 렌즈(4), AF 일루미네이터(5), 플래시용의 발광부(6)를 은폐하는 제 2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배리어(렌즈 커버)(7)를 갖추고 있다. 상기 케이스(2)의 제 1의 주면(3)에서는, 상기 케이스(2)에 수용한 아이리스 구동 기구(8)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 이 배리어(7)에 의해 은폐된 위치에서, 또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도 이 배리어(7)에 의해 은폐되는 위치에 상기 아이리스 구동 기구(8)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배리어(7)는, 대략 구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케이스(2)의 제 1의 주면(3)에 접촉하는 제 1 ~ 제 4의 롤러(11~14)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동 방향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제 1,제 2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 1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7)는,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14)와 제 1,제 2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 16)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2)의 제 1의 주면(3) 상을 상기 제 1의 위치와 상기 제 2의 위치의 상호에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는, 다음에 케이스의 구성의 항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 측에 설치한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와, 배리어 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중합(重合)하는 레일 모양의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제 2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6)는, 상기 제 1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와 같게, 상기 케이스(2) 측에 설치한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와, 배리어 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중합하는 레일 모양의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리어(7)는, 상기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리어 가세 스프링(이하, 토글 스프링이라고 칭함)(17)의 스프링 힘에서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에 상기 레일 모양의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 92)의 일단 측에 설치한 제 1의 스톱퍼부(18)가 강압되고 상기 촬 상 렌즈(4), AF 일루미네이터(5), 플래시용의 발광부(6)를 노출시킨 상태로 유지된다. 또, 상기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글 스프링(17)의 스프링 힘으로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에 상기 레일 모양의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 92)의 타단 측에 설치한 제 2의 스톱퍼부(19)가 강압되고 상기 촬상 렌즈(4), AF 일루미네이터(5), 플래시용의 발광부(6) 및 상기 아이리스 구동 기구(8)의 일부를 은폐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케이스(2) 내에는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 수납부(이하, 메모리 카드 수납부라고 칭함)(6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주면(3)과 상기 제 2의 주면(51)을 묶는 제 2의 단면(하단면)(65) 측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 수납부(66)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부는 메모리 카드 수납부용의 뚜껑(이하, 메모리 카드 뚜껑이라고 칭함)(67)에 의해 개폐된다. 또, 상기 케이스(2) 내에는 배터리 수납부(6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주면(3)과 상기 제 2의 주면(51)을 묶는 제 3의 단면(우측 단면)(68)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배터리 뚜껑(70)과,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에의 배터리의 삽입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배터리의 빼냄을 허용하는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와,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열었을 때에 이 배터리 뚜껑(70)이 겹치는 스트랩 금구(72)와, 멀티 커넥터 접속 단자(73)와, 전원 버튼(7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0)는, 상기 배터리 뚜껑(69)의 측방에, 이 배터리 뚜껑(69)과 비중합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안쪽 단면에는, 배터리 접촉 단자(112)와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에 배터리를 삽입하면, 이 배터리의 선단면에서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이 가압되고, 이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은 축세되어 간다. 배터리가 배터리 수납부(69) 내에 수납되면, 상기 배터리의 선단면에 설치한 단자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안쪽 단면에 설치한 배터리 접촉 단자(112)로 접촉한다. 그래서,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의 선단에서 상기 배터리의 배면을 누르고, 배터리가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배터리를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빼낼 때,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배면의 누름을 해제하면,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의 스프링 힘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소정량 밀려 나온다.
(2)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구성,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은, 스프링 힘 발생부(토션 스프링부)(162)와, 이 스프링 힘 발생부(162)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암부(163)와,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 2의 암부(164)와, 상기 제 1의 암부(163)의 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축부(165)와, 상기 제 2의 암부(164)의 단부에 설치된 제 2의 축부(166)를 갖추고 있다.
도 4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암부(163)와 제 2의 암부(164)는,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암부(163)의 길이(L1)는, 상기 제 2의 암부(164)의 길이(L)보다 길게(L1>L2)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암부(163)와 상기 제 2의 암부(164)는, 소정의 개방 각도(θ1)로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축부(165)는, 상기 제 1의 암부(163)의 단부를 내측, 즉 상기 제 2의 암부(164) 측으로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의 축부(166)는, 상기 제 2의 암부(164)의 단부를 내측, 즉 상기 제 1의 암부(163) 측으로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은, 탄성을 가지는 한 개의 금속선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소위 형성된 선 스프링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축부(165)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스프링 부착부(171)의 1측면(171a)에 설치한 제 1의 베어링부(베어링 구멍)(17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의 축부(166)는, 스프링 부착부(171)의 타측면(171b) 설치한 긴 홈 모양의 제 2의 베어링부(173)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배터리 삽입시에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가 눌리면, 상기 긴 홈 모양의 제 2의 베어링부(173) 내를 그 길이 방향에 따라서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의 작용을 도 7에 나타내는 모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161은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 162는 스프링 힘 발생부, 163은 제 1의 암부, 164는 제 2의 암부, 165는 제 1의 축부, 166은 제 2의 축부, 172는 제 1의 베어링부, 173은 제 2의 베어링부, N은 상기 제 1의 축부(165)와 상기 제 2의 축부(166)의 사이의 거리이다.
2점 쇄선(鎖線)으로 나타내는 제 1의 암부(162)와 제 2의 암부(164)의 사이의 개방 각도(θ1)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각도(θ2)에 압축한 상태로 제 1의 축부(165)를 제 1의 베어링부(172)에 삽입하고, 제 2의 축부(166)를 제 2의 베어링부(173)에 삽입하면,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가 비틀어서 발생하는 모멘트(스프링 힘)(Tf)에 의해 상기 제 2의 축부(166)에 힘(F)이 생긴다. 상기 힘(F)은 분력(Fx), 분력(Fy)으로 분해되고, 상기 분력(Fx)에 의해 상기 제 2의 축부(166)는 상기 긴 홈 모양의 제 2의 베어링부(173)의 일단부에 강압된다. 상기 분력(Fy)의 반력(Fy')에 의해서, 제 1의 축부(165)에 회전 방향의 힘(Tp)(Tp=Fy×N)을 발생시킨다. 상기 힘(Tp)에 의해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의 선단의 스프링 힘 발생부(162)에 힘(P)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힘(P)의 분력(Py)이 배터리 배출 힘으로서 작용한다.
다음에, 상기 제 2의 베어링부(172)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제 2의 축부(166)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를 배터리 수납부 내에 삽입하기 전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의 축부(166)가 상기 제 2의 베어링부(173)의 일단부에 당접하고,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은, 소정의 경사 각도로 경사한 상태로 되어 있다. 배터리를 배터리 수납부 내에 삽입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한 배터리(111)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가 눌리고, 상기 제 2의 축부(166)가 상기 제 2의 베어링부(172) 내를 상기 제 1의 축부(165) 측으로 향하여 이동하고,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 전체가 넘어지도록 경사되어진다.
상기 PY가 증대하는 요소로서는,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의 변위량(비트는 양)의 증가에 의한 상기 Tf의 증가, 상기 F의 작용각(θ3)의 감소에 의한 상기 Fy의 증가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 Tp(Tp=Fy×N)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Fy의 작용점, 즉, 상기 제 1의 축부(165)와 제 2의 축부(166)를 접근시키고, 상기 N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상기 TF가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의 암부(163)의 길이(L1)와 제 2의 암부(164)의 길이(L2)를 접근해 감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의 쪽을 상기 배터리(111)에 작용하는 힘(Py)을 작게 하는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가상의 스프링 정수는(압축 코일 스프링에서 고려한 경우의 스트로크와 하중의 관계치)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예를 들면 큰 지름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다면, 그 스트로크의 가운데의 2점에서, 그 2점 사이를 변위시켜도 부하가 변함없는 휘어지는 특성 같은 부분을 갖게 하는 것은 용이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의 부분을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구현화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제 1의 암부(163)를 일직선 모양으로 형성했을 경우, 배터리를 삽입했을 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암부(163)가 솟아오르도록 만곡하고, 배터리 수납부에의 배터리의 수납에 지장을 초래하는 우려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암부(163)를 미리 만곡하게 하고, 배터리가 삽입되었을 때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암부(163)가 일직선 모양으로 연장함으로써, 상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의 폭(W1)을, 상기 제 1의 암부(163)와 제 2의 암부(164)의 사이의 폭(W2)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의 폭(W1)을, 상기 제 1의 암부(162)와 제 2의 암부(164)의 사이의 폭(W2)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162)를 배터리의 선단면에 확실히 당접 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의 축부(165)와 상기 제 2의 축부(166)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했을 경우를 나타냈지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축부(165)와 상기 제 2의 축부(166)를 서로 배반(背反)하는 방향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축부(165)와 상기 제 2의 축부(166)를 같은 방향으로 향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의 축부(166)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 1의 축부(165)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제 2의 축부(166)를 회전 가능하게, 제 1의 축부(16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로서 촬상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기기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외,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휴대형의 게임기, 휴대형의 컴퓨터 등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넓게 적용된다. 또, 상기 스프링 구조는, 전자기기의 배터리 배출 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종의 메카 기구의 배출 장치나 테이프 카셋트, 디스크 카트리지 등의 기록 매체의 배출 장치, 더욱이, 각종의 산업용 기기나 자동차등으로부터 완구 등 일반용 기기까지 넓게 활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3) 배터리 수납부의 뚜껑(배터리 뚜껑)의 구성,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주면(3)과 상기 제 2의 주면(51)을 묶은 단면(68)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개구부(69a)를 개폐하는 배터리 뚜껑(70)과,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에의 배터리의 끼우고 떼어내기를 허용하는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와,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열었을 때에 이 배터리 뚜껑(70)이 겹치는 스트랩 금구(72)와, 멀티 커넥터 접속 단자(73)를 갖추고 있다.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는, 상기 배터리 뚜껑(7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의 외측에 늘어놓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뚜껑(70)은, 축(101)에 의해 상기 케이스(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축(10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단면(68) 위에 겹쳐지고, 상기 개구부(69a)를 닫는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100°회동시키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뚜껑(70)은, 열린 상태가 되어 상기 스트랩 금구(72)와 겹쳐져 또한 회동이 규제되어 상기 스트랩 금구(72)에 의해서 보호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101)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봉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 측에는 상기 배터리 뚜껑(70)의 폐색시에 있어서 이 배터리 뚜껑(70)을 상기 케이스(2)의 단면(68) 측으로 강하게 누르고, 또, 상기 배터리 뚜껑(70)의 개방시에 있어서 이 배터리 뚜껑(70)을 상기 스트랩 금구(72)로 강하게 누르는 스프링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102)는, 상기 축(101)의 일단측을 접어 구부리는 것으로 이 축(10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25a, 도 25b, 도 2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 측에 설치한 스프링 당접면(102)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 뚜껑(70)의 폐색시에 있어서는, 도 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102)는, 케이스(2) 측에 설치한 스프링 당접면(103)에 접촉하고, 상기 축(101) 및 배터리 뚜껑(70)에 화살표 A방향(시계 방향)의 회동력을 부여하여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상기 케이스(2)의 단면(68) 측으로 강하게 누른다. 도 25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개방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 다음 상기 스프링부(102)는 상기 스프링 당접면(103)에서 눌려 변형하여 가고,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뚜껑(70)이 소정 각도, 예를 들면 45°열렸을 때에 상기 스프링부(102)는 가장 변형하고, 상기 축(101) 및 배터리 뚜껑(70)에 회동력을 부여하지 않는 중립 위치로 된다. 도 25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개방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 후는 상기 스프링부(102)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개방시키는 방향(화살표 B방향)의 스프링 힘이 생기고, 상기 배터리 뚜껑(70)은, 도 25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 금구(72)로 강하게 누르고, 상기 케이스(2)의 개구부(69a)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된다.
(4) 배터리 릴리스 레버의 구성,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는, 도 21,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에 설치한 배터리 계합부(106)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개구부(69a)의 일부를 차지하는 위치와 상기 개구부(69a)를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제 1의 단면(68)에 설치한 레버 가이드부(107)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는, 저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재(108)에 의해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개구부(69a)의 일부를 차지하는 위치에 가세 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계합부(106)의 상면은 경사 모양의 배터리 압출면(106a)으로 되어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를 상기 스프링재(108)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배터리(111)를 삽입하는데 지장이 없는 위치, 즉 상기 개구부(69a)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되밀어낸 상태로 배터리(111)를 배터리 수납부(69)에 삽입한다. 배터리(111)를 배터리 수납부(69)에 삽입하면, 상기 배터리(111)의 선단면에서,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이 밀려 휘어 축세 된다. 그리고, 배터리(111)의 선단면에 설치한 단자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안쪽 단면에 설치한 배터리 단자에 접촉한다.
배터리(111)를 배터리 수납부(69)에 수납한 후,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의 되밀기를 해제하면, 이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는, 상기 스프링재(108)의 스프링 힘으로 자동적으로 상기 배터리 수납부(69)의 개구부(69a)의 일부를 차지하는 위치까지 복귀하여, 배터리(111)가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닫아 배터리(111)의 삽입 작업이 종료한다.
상기 배터리 뚜껑(70)이 닫혀진 상태로,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를 되밀어내는 것이 가능하다면,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가 잘못하여 되밀어내진 것 같은 경우에, 배터리(111)가 배터리 수납부(69)의 안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접촉 단자(112)의 스프링 힘 등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밀려 나와 버리는 일이 있다. 밀려나오는 양이 적으면, 상기 배터리 뚜껑(70)의 존재에 의해서, 배터리(111)가 배터리 수납부(69) 내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명확하게 안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에 뚜껑 계합부(113)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배터리 뚜껑(70)에 릴리스 레버 계합부(114)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닫은 상태로 하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뚜껑 계합부(113)의 측방에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 계합부(114)가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를 되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면, 상기 뚜껑 계합부(113)가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 계합부(114)에 계합하여 상기 배터리 뚜껑(70)이 닫혀 진 상태로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가 되밀어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의 배터리(111)의 빼냄은, 상기 배터리 뚜껑(70)을 개방한 후에,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를 상기 스프링재(108)의 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되밀어내는 것으로 된다.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를 되밀어내고, 배터리(111)의 누름을 해제하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111)는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밀려나온다.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배터리(111)가 밀려나온 후에,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를 배터리(111)로 이동시키면, 도 30에 나 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의 배터리 계합부(106)의 상면의 경사 모양의 배터리 압출면(106a)에서 상기 배터리(111)의 프레임(111a)에 설치한 경사면(111b)을 눌러 상기 배터리(111)를 더욱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밀어낸다. 또한, 상기 배터리 릴리스 레버(71)의 배터리 압출면(106a)을 사용하여 배터리(111)를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밀어낼 필요가 없도록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161)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배터리(111)를 배터리 수납부(69)로부터 밀어내도 좋다.
(5) 메모리 카드 수납부의 뚜껑(메모리 카드 뚜껑)의 구성,
메모리 카드 뚜껑(67)은, 메모리 카드 수납부(66)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고, 도 36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주면(3)과 상기 제 2의 주면(51)을 묶는 제 2의 단면(하단면)(65)과 대략 면 하나에 겹쳐지는 단면 중합부(뚜껑 본체부)(141)와, 상기 제 2의 주면(51)에 대략 면 하나에 겹쳐지는 주면 중합부(142)를 갖추고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은, 뚜껑 회동 기구(143)에 의해 상기 케이스(2)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 카드 수납부(66)의 개구부(66a)를 폐색하는 제 1의 위치(도 36)와, 상기 개구부(66a)를 개방하는 제 2의 위치(도 38)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뚜껑 회동 기구(143)는,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의 회동지점축(144)과, 상기 회동지점축(144)을 상기 케이스(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과,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의 개폐에 수반하는 상기 회동지 점축(14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회동지점축(144)을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락(146)과 피니언(pinion)(147)을 갖추고 있다.
상기 회동지점축(144)은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에 설치되고,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은 케이스(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47)은, 상기 회동지점축(144)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락(146)은,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의 축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은, 메모리 카드 수납부(66)에의 메모리 카드(148)의 삽입 방향(A)·배출 방향(B)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을 닫는다면 상기 회동지점축(144)이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 내를 메모리 카드(148)의 삽입 방향(A)으로 이동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을 개방하면 상기 회동지점축(144)이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 내를 메모리 카드(148)의 배출 방향(B)으로 이동한다.
또,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을 닫았을 때에, 상기 회동지점축(144)을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의 메모리 카드(148)의 삽입 방향(A)의 단부 측으로 강하게 누르고(도 36),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을 열었을 때에 상기 회동지점축(144)을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의 메모리 카드(148)의 배출 방향(B)의 단부 측으로 강하게 누르는(도 38) 클릭 기구(151)를 갖추고 있다.
상기 클릭 기구(151)는,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에 설치되어 있고 이 메모리 카드 뚜껑(67)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는 클릭축(152)과, 상기 케이스(2)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릭축(152)의 주위면에 접촉하고 있는 스프링재(판 스프링)(1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릭축(152)의 주위면에는, 상기 스프링재(153)에서 상기 회동지점축(144)을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의 메모리 카드(148)의 삽입 방향(A)의 단부 측으로 강하게 누르는 방향의 가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의 스프링 접촉면(154)과, 상기 회동지점축(144)을 상기 긴 홈 모양의 베어링(145)의 메모리 카드(148)의 배출 방향(B)의 단부 측으로 강하게 누르는 방향의 가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의 스프링 접촉면(155)이 상기 클릭축(152)의 회동 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 1의 스프링 접촉면(154)과 제 2의 스프링 접촉면(155)의 경계부(156)는, 상기 스프링재(153)에 상기 클릭축(152)의 회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소위 뉴트럴(neutrall) 위치이다. 상기 경계부(156)의 상기 클릭축(152)의 회동축심(C)으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는, 상기 클릭축(152)의 회동축심(C)으로부터 상기 제 1, 제 2의 스프링 접촉면(154, 155)까지의 반경 방향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42는, 메모리 카드 뚜껑(67)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상기 뚜껑 회동 기구(143)는 메모리 카드 뚜껑(67)의 양측부에 한 쌍 배치되고, 상기 클릭 기구(151)는 상기 뚜껑 회동 기구(143)의 내측에 한 쌍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의 메모리 카드 뚜껑(67)은, 상술과 같은 구성이며 뚜껑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 뚜껑(67)의 외면은, 케이스(2)의 외면과 대략 면 하나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 뚜껑(67)을 개방하면, 이 메모리 카드 뚜껑(67)은, 서서히 케이스(2)로부터 돌출하여, 전개상태 로 하면,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카드 뚜껑(67)은, 주면 중합부(142)의 높이만 상기 케이스(2)의 제 2의 주면(51)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단면 중합부(뚜껑 본체부)(141)가 상기 제 2의 주면(51)에 대해서 평행상태로 된다.
(6) 케이스의 구성,
도 16은 상기 배리어(7)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평평한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2)의 제 1의 주면(3)의 상단측의 한 구석부에 임하여 촬상 렌즈(4)가 배치되고, 이 촬상 렌즈(4)의 일측부에는 AF 일루미네이터(5)와 플래시용의 발광부(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촬상 렌즈(4), AF 일루미네이터(5), 플래시용의 발광부(6)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제 1의 개구부(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의 개구부(22) 내에 상기 아이리스 구동 기구(8)의 일부가 수용되고 있다. 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제 2의 개구부(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의 개구부(23) 내에는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1의 위치에 있는지, 혹은 상기 제 2의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2)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리어 위치 검출 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체(2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 16)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상기 제 1, 제 2의 개구부(22, 23)의 양측부에,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25, 26)를 설치하기 위한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 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 32)에는, 복수의 보스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조작체(24)는, 판 스프링을 대략 구 모양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조작체(24)의 일측부에는, 이 스위치 조작체(24)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초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치 기초부(34)에는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에 설치한 보스부(33)를 삽입하는 복수의 보스 삽입 구멍(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조작체(24)는, 상기 제 2의 개구부(23) 내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설치 기초부(34)에 설치한 복수의 보스 삽입 구멍(35)에 상기 복수의 보스부(33)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에 설치된다.
또,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는, 금속판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의 일측부에는, 이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초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치 기초부(41)에는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에 설치한 보스부(33)를 삽입하는 복수의 보스 삽입 구멍(4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상기 제 1의 커버 계합체 부착부(31)에 설치한 보스부(33)를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의 설치 기초부(34)에 설치한 보스 삽입 구멍(35)에 삽입한 후, 이들 보스부(33)를 상기 설치 기초부(41)에 설치한 보스 삽입 구멍(42)에 삽입하고, 상기 보스부(33)의 선단부에 소위 코킹(caulking) 가공을 하여 확경함으로써,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는 상기 케이스(2)의 제 1의 주면(3)과의 사이에 스위치 조작체(26)의 설치 기초부(34)를 사이에 둔 상태로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의 설치 기초부(41)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 보스(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보스(43)는,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를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1)에 설치했을 때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에 설치한 보스 삽입 구멍(44)에 감합하여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의 설치 기초부(41)에는 상기 토글 스프링(17)의 일단부를 계지하는 제 1의 스프링 계지부(4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는,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와 같게 금속판을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의 일측부에는, 이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3)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기초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치 기초부(46)에는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2)에 설치한 보스부(33)를 삽입하는 복수의 보스 삽입 구멍(4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2)에 설치한 보스부(33)를 상기 설치 기초부(46)에 설치한 보스 삽입 구멍(52)에 삽입하고, 상기 보스부(33)의 선단부에 소위 코킹 가공을 하여 확경함으로써,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는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2)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의 설치 기초부(46)에는 위치 결정 보스(4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 치 결정 보스(48)는,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를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2)에 설치했을 때에, 이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부착부(32)에 설치한 위치 결정 보스 삽입 구멍(49)에 감합하여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 설치한 제 1의 개구부(22)는 아이리스 커버시트(50)로 메우고, 상기 제 1의 개구부(22)로부터 케이스(2) 내로의 먼지 등의 침입이 저지된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상기 제 1의 주면(3)에 대향하는 제 2의 주면(51)에는, 액정 등의 표시부(52)와, 모드 변환 스위치(53)와, 메뉴 버튼(54)과, 컨트롤 버튼(55)과, 화면 표시 온 오프 버튼(56)과 스피커(5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의 주면(3)과 상기 제 2의 주면(51)을 묶는 제 1의 단면(상단면)(61)에는, 마이크로폰(62)과, 줌 버튼(63)과, 셔터 버튼(64)이 설치되어 있다.
(7) 배리어의 구성,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7)는, 틀 모양의 내측체(81)와 이 틀 모양의 내측체(81)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조작체(26)를 가압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체 가압부(82)를 설치한 금속판(83)과, 이 금속판(83)을 설치한 상기 내측체(81)의 외면에 양면 접착 시트(84) 등으로 설치된 외측체(85)로 되어 있다.
상기 내측체(81)에는, 대략 사각형의 절결창부(8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절결창부(86)에 임하여 상기 금속판(83)이 설치된다. 상기 금속판(82)에는 상기 스위치 조작체 가압부(82)가 절단하여 세워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의 설치 기초부(41)에 설치한 제 1의 스프링 계지부(45)에 일단 부가 계지된 상기 토글 스프링(17)의 타단부를 계지하는 제 2의 스프링 계지부(87)를 설치한 설편(tongue)(88)이 절단하여 세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83)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보스 삽입 구멍(89)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보스 삽입 구멍(89)에 상기 내측체(81)의 절결창부(86)의 주연부에 설치한 보스(90)를 삽입하고, 이들 보스(90)의 선단에 코킹 가공을 하여 확경함으로써 상기 금속판(83)은 상기 내측체(81)에 설치된다.
또, 상기 내측체(81)의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케이스(2)의 제 1의 주면(3)에 접촉하는 제 1 ~ 제 4의 롤러(11 ~ 14)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동 방향의 양측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에 설치한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가 계합하여 이동하는 레일 모양의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 9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는, 상기 내측체(81)의 일측부에 형성한 제 1의 긴 구멍(93)의 일측부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2)는, 상기 내측체(81)의 일측부에 형성한 제 2의 긴 구멍(94)의 일측부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7, 28)와 상기 레일 모양의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 92)에 의해,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 16)가 구성된다.
(8) 롤러의 구성,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 ~ 14)는, 원판 모양의 롤러 본체부(95)와, 이 롤러 본체부(95)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한 회전 중심축 (96)을 갖추고 있다.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 ~ 14)는, 상기 내측체(81)의 네 모서리부에 설치한 제 1 ~ 제 4의 롤러 수용부(97)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9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재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 ~ 14)가 회전 자재로 수용된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 수용부(97)에는 측방으로부터 대략 U 자형의 클립(98)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 ~ 14)가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 수용부(9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대략 U 자형의 클립(98)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98a)에는 절결창(98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절결창(98b)으로부터 상기 원판 모양의 롤러 본체부(95)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체(81)를 상기 케이스(2)의 상기 제 1의 주면(3)에 겹쳐지면,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 ~ 14)가 상기 케이스(2)의 상기 제 1의 주면(3)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9)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의 구성,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는, 문자 그대로 상기 배리어(7)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7)의 일측부에 제 1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가 배치되어 타측부에 제 2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5)는, 상기 케이스(2)에 설치한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를 상기 내측체(81)에 설치한 레일 모양의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의 배리어 슬라이드 가이드부(16)는, 상기 케이스(2)에 설치한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6)를 상기 내측체(81)에 설치한 레일 모양의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2)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는, 상기 내측체(81)의 일측부에 형성한 제 1의 긴 구멍(93)을 거쳐서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가 겹쳐진 상태로 계합되고,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 ~ 14)를 케이스(2)의 주면(3)에 가볍게 누르고 있다. 또,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2)는, 상기 내측체(81)의 타측부에 형성한 제 2의 긴 구멍(94)을 거쳐서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8)가 겹쳐진 상태로 계합되고,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11 ~ 14)를 케이스(2)의 주면(3)에 가볍게 누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의 긴 구멍(93, 94)의 일측부를 따라서, 상기 배리어(7)는, 상기 촬상 렌즈를 노출시키는 제 1의 위치 또는 촬상 렌즈를 은폐하는 제 2의 위치에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 모양의 제 1,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1, 92)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는, 제 1의 스톱퍼(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1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제 1의 스톱퍼(18)가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에 당접하여 또한 이동이 저지된다. 또,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의 긴 구멍(93, 94)의 길이 방향의 타단 측에는 제 2의 스톱퍼(1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2의 위치로 이동하여 왔을 때에,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가 당접하여 또한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상기 제 2의 배리어 계합체 계합부(92)의 제 1, 제 2의 스톱퍼부(18, 19)는, 상기 제 2, 제 4의 롤러(12, 14)가 상기 제 1 ~ 제 4의 롤러 수용부(9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상기 대략 U 자형의 클립(98)으로 구성되어 있다.
(10) 토글 스프링의 구성,
토글 스프링(17)은,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에 제 1의 스톱퍼부(18)로 눌러 상기 배리어(7)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에 상기 제 2의 스톱퍼부(19)로 눌러 상기 배리어(7)를 폐색 상태로 유지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토글 스프링(17)은, 코일부(17a)와, 이 코일부(17a)의 일단으로부터 성장하는 제 1의 암부(17b)와, 상기 코일부(17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의 암부(17c)로부터 이루어지는 소위 비튼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토글 스프링(17)의 제 1의 암부(17b)는, 상기 제 1의 배리어 계합체(25)의 설치 기초부(41)에 설치한 제 1의 스프링 계지부(45)에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또, 상기 토글 스프링(17)의 제 2의 암부(17c)는, 상기 내측체(81)에 설치한 금속판(83)(도 17 참조)의 절기편(88)에 설치된 제 2의 스프링 계지부(87)에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상기 토글 스프링(17)은, 상기 배리어(7)가 상기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에 제 1의 스톱퍼부(18)를 눌러 상기 배리어(7)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7)를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에 이동시켜 가면, 상기 토글 스프링(17)의 코일부(17a)가 회동(반전)하고, 상기 배리어(7)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오면, 상기 토글 스프링(17)의 스프링 힘의 작용 방향이 역전하고,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 2의 배리어 계합체(25, 26)에 제 2의 스톱퍼부(19)를 눌러 상기 배리어(7)를 폐색 상태로 유지한다.
(11) 스트랩 금구의 구성,
스트랩 금구(72)는, 낙하 방지를 위해서 손목용의 리스트 스트랩이나 목에 거는 넥 스트랩 등을 부착하기 위한 금구이며, 촬영시에 엄지 등을 맞힘으로써 케이스(2)를 보관 유지하기 쉽게 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스트랩 금구(72)는, 도 2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단면(61)의 상기 제 2의 주면(51) 측의 측 테두리를 따라서 기립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의 주면(51) 측의 제 1의 면(72a)과 반대 측의 제 2의 면(72b)이 상기 배터리 뚜껑(70)의 수면(受面)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면(72b)은, 상기 케이스(2)의 단면(61) 또는 배터리 수납부(69)의 개구부(69a)에 대해서 적어도 90°보다 큰 경사 각도(θ)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의 면(72a)에는, 상기 멀티 커넥터 접속 단자(73)에, 다음에 설명하는 멀티 커넥터(121)를 접속했을 때에, 이 멀티 커넥터(121)가 상기 멀티 커넥터 접속 단자(7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 멀티 커넥터(121)의 계합부(127)가 계합하는 홈 모양의 피계합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스트랩 금구(72)에는, 스트랩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1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32는, 상기 멀티 커넥터 접속 단자(73)에 접속하는 멀티 커넥터(121)를 나타낸다. 상기 멀티 커넥터(121)는, DC입력 단자(122)와, USV 단자(123)와, A/V출력 단자(124)를 제 1의 측면(121a)에 구비하고, 상기 멀티 커넥터 접속 단자(73)에 삽입하는 단자(125)와, 상기 스트랩 금구(72)를 삽입하는 스트랩 금구 삽입 오목부(126)을 제 2의 측면(121b)에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금구 삽입 오목부(126)의 내면에 임하여 상기 스트랩 금구(72)의 홈 모양의 피계합부(115)에 계합하는 계합부(127)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부(127)의 상기 피계합부(115)로부터의 계합 해제 조작을 행하는 계합 해제 버튼(128)을 제 3의 측면(121c)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1)의 대략 바로 옆에서 상기 멀티 커넥터 접속 단자(73)에 단자(125)를 삽입하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 금구(72)가 스스로 상기 스트랩 금구 삽입 오목부(126) 내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계합부(127)가 상기 피계합부(115)에 계합하고, 상기 멀티 커넥터(121)를 카메라(1) 측에 잠근다.
도 34는, 상기 멀티 커넥터(121)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손톱 모양의 계합부(127)는, 축(1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스프링(132)에 의해서 상기 스트랩 금구 삽입 오목부(126) 내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 금구(72)를 상기 스트랩 금구 삽입 오목부(126)에 삽입하면, 이 스트랩 금구(72)의 선단면(72a)에서 상기 계합부(127)의 선단의 경사면(127a)이 밀려 상기 계합부(127)는, 상기 스프링(132)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동 한다. 상기 스트랩 금구(72)가 상기 스트랩 금구 삽입 오목부(126)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고, 상기 스트랩 금구(72)의 선단면(72a)에 의한 상기 계합부(127)의 선단의 경사면(127a)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계합부(127)는, 상기 스프링(129)의 가세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홈 모양의 피계합부(115)에 계합한다.
상기 멀티 커넥터(121)를 카메라(1)에서 제외하는 경우에는, 상기 계합 해제 버튼(128)을 가압하면,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계합부(127)는, 상기 스프링(129)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홈 모양의 피계합부(115)와의 계합이 빗나가 카메라(1)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커넥터(121)가 상기 스트랩 금구(72)와 계합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통상, 이와 같이 멀티 커넥터와 스트랩 금구를 계합하지 않은 구조와 비교하고, 예를 들면 상기 멀티 커넥터(121)의 코드가 잡아당겨지거나 하여 강한 힘이 걸려도, 직접, 커넥터 접속부에 상기 힘이 걸리지 않게 되어, 커넥터나 단자를 보호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 도 2 등의 촬상 장치의 입체도에 대해서, 도 17 ~ 도 31등은, 촬상 장치의 각부를 평면적으로 본 것이며, 곡면이나 경사면, 원통면 등에 있어서는 곡율 반경이나 경사각도 등에 약간의 상위(相違)가 있었다고 해도 그것은 작도상의 것이며 동일 부합 부분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또, 도 1, 도 2등의 촬상 장치의 입체도와, 도 21, 도 22등에 나타내는 촬상 장치의 입체도와의 사이에 있어서, 곡면이나 경사면, 원통면 등에 있어서도 곡율 반경이나 경사각도 등에 약간의 상위가 있었다고 해도 이것도 작도상의 것이다. 또, 단면도에 있어서, 일 부, 해칭선(hatching line)을 생략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에 의해 발생시킨 스프링 힘에서 상기 제 2의 축부를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제 2의 베어링부의 일단부에 당접(압접) 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선단에 소망한 예압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압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선단의 위치까지 확실히 배터리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되어 온 배터리에서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스프링 힘 발생부가 가압되면, 상기 제 2의 축부가 상기 제 2의 베어링부 내를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의 스프링 힘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Claims (8)

  1.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설치된 배터리 수납부와, 이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에서 가압되어 축세(畜勢)되는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은, 스프링 힘 발생부와, 이 스프링 힘 발생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암부와,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의 암부에 대해서 소정의 개방 각도를 가지고 연장하는 제 2의 암부와, 상기 제 1의 암부의 단부에 설치된 제 1의 축부와, 상기 제 2의 암부의 단부에 설치된 제 2의 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축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제 1의 베어링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의 축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제 2의 베어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은, 탄성을 가지는 한 개의 금속선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선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암부는, 상기 제 1의 암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배출용의 스프링이 상기 배터리로 가압 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축부는, 상기 제 2의 베어링부 내를 상기 제 1의 축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암부와 상기 제 2의 암부는, 일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암부는, 배터리로 밀렸을 때에 대략 일직선 모양으로 늘리도록 미리 만곡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축부와 상기 제 2의 축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축부와 상기 제 2의 축부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향하여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힘 발생부의 폭은, 상기 제 1의 암부와 상기 제 2의 암부의 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0010651A 2005-02-09 2006-02-03 전자기기 KR20060090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2570 2005-02-09
JP2005032570A JP4196952B2 (ja) 2005-02-09 2005-02-09 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584A true KR20060090584A (ko) 2006-08-14

Family

ID=3638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651A KR20060090584A (ko) 2005-02-09 2006-02-03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29311B2 (ko)
EP (1) EP1691430A3 (ko)
JP (1) JP4196952B2 (ko)
KR (1) KR20060090584A (ko)
CN (1) CN100459832C (ko)
TW (1) TW2006415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5536A (ja) * 2004-02-19 2005-09-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US20060151845A1 (en) * 2005-01-07 2006-07-13 Shrinivas Govindarajan Method to control interfacial properties for capacitors using a metal flash layer
JP4626818B2 (ja) * 2006-02-09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TWI318812B (en) * 2007-02-06 2009-12-21 Asustek Comp Inc A sim card retainer
US7804683B2 (en) * 2007-06-21 2010-09-28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mponent eject mechanism
TWI449843B (zh) * 2009-10-08 2014-08-21 Hon Hai Prec Ind Co Ltd 自動裝卸電池的電子裝置
US8048552B1 (en) 2010-04-23 2011-11-01 Psion Inc. Battery module mount
CN103885542B (zh) * 2014-02-21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R3038232B1 (fr) * 2015-06-30 2017-07-28 Crossject Dispositif d’injection sans aiguille equipe d’un ressort de compression
CN112401309B (zh) * 2019-08-15 2022-07-08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充电装置及具有该充电装置的吸烟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2944A (en) * 1951-02-09 1954-10-26 Rca Corp Battery mounting means
DE1140614B (de) * 1958-08-05 1962-12-06 Robert Bosch Elektronik Ges Mi Behaelter fuer eine Knopfzelle in elektrischen Kleingeraeten, z. B. in Hoerbrillen oder anderen Schwerhoerigengeraeten
JPH0820919B2 (ja) * 1989-05-16 1996-03-04 株式会社東芝 ハンディターミナル
JP2741842B2 (ja) * 1994-10-25 1998-04-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テリーの着脱機構
CN2250624Y (zh) * 1995-11-10 1997-03-26 刘晖 插式电池槽
JP4026260B2 (ja) * 1998-12-29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蓋開閉装置
US6783390B2 (en) * 2001-10-24 2004-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polarity contact between a standard dry cell battery terminal and a battery compartment contact
US6875049B2 (en) * 2002-11-27 2005-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multiple power consuming circuit boards
CN2619377Y (zh) * 2003-04-29 2004-06-02 吴月琴 电夹盒
US6948975B1 (en) * 2004-01-08 2005-09-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lternative lantern flashlight battery ada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20785A (ja) 2006-08-24
EP1691430A3 (en) 2008-07-02
CN100459832C (zh) 2009-02-04
US20060202659A1 (en) 2006-09-14
US7229311B2 (en) 2007-06-12
EP1691430A2 (en) 2006-08-16
CN1819751A (zh) 2006-08-16
JP4196952B2 (ja) 2008-12-17
TWI304149B (ko) 2008-12-11
TW200641501A (en)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0584A (ko) 전자기기
JP5948825B2 (ja) 開閉蓋装置、電子機器
JP4499026B2 (ja) 蓋の開閉機構
JP4695463B2 (ja) 携帯機
CN104717411B (zh) 摄像设备及其把持部
US20100062324A1 (en) Battery receiving mechanism
JP4353103B2 (ja) 電子機器
JP4239967B2 (ja) 撮像装置
JP2008109494A (ja) 携帯端末装置
JP4389816B2 (ja) 電子機器
JP2003152351A (ja) 収納装置
JP2015145905A (ja) スライド開閉蓋の開閉検出構造
JP2010238660A (ja) キャップ構造
US6542701B2 (en) Camera
JP2008294636A (ja) 電子機器
JP2009070608A (ja) 電子機器
JP4525336B2 (ja) 撮像装置
JP2012038465A (ja) 電子機器
JP2004014308A (ja) 電子機器
JP2006186207A (ja) 電子機器
JP2007212641A (ja) 沈胴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KR101277209B1 (ko) 전자기기
JP4191950B2 (ja) 携帯型機器
JP2007212642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蓋開閉機構
JP2009176469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