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209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209B1
KR101277209B1 KR1020060090328A KR20060090328A KR101277209B1 KR 101277209 B1 KR101277209 B1 KR 101277209B1 KR 1020060090328 A KR1020060090328 A KR 1020060090328A KR 20060090328 A KR20060090328 A KR 20060090328A KR 101277209 B1 KR101277209 B1 KR 10127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n body
cover
electronic device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5620A (ko
Inventor
양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20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는 메모리 장착 유닛과; 상기 본체 또는 메모리 장착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자기기의 낙하 등에 의한 충격에도 메모리카드가 메모리 장착 유닛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도 1은 메모리 장착 유닛을 가지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장착 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메모리 장착 유닛의 일 단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에서 메모리 장착 유닛의 덮개부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덮개부가 분리되어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제한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확대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메모리 장착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200: 메모리 장착 유닛
210: 하우징 220: 덮개부
300,400,500: 이탈방지유닛 310: 제1 연장부
320: 제2 연장부 410: 돌출부
420: 안내채널 430: 잠금돌기
510: 걸림부 520: 가압돌기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하여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는 메모리 장착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카드(memory card)는 이동통신 단말기,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 각종 디지털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장치이다. 위와 같은 메모리카드는 전자기기에 장착된 메모리 장착 유닛에 수용되어,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도 1은 메모리 장착 유닛을 가지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11)와 제2 바 디(12)가 힌지부(1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형 단말기이다. 배터리(15)가 분리된 제1 바디(11)의 일 면에는 메모리 장착 유닛(20)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메모리 장착 유닛(20)은 제1 바디(11)에 장착되는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부(22)를 포함한다. 하우징(21)에는 그에 수용되는 메모리카드(M)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21')는 제1 바디(11), 구체적으로는 그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덮개부(22)는 하우징(21)의 길이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전 방향(R)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우징(21)을 개폐한다. 그에 따라, 메모리카드(M)를 하우징(21)의 단자(21')에 접속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장착 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메모리 장착 유닛의 일단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2)는 일단부에 힌지축(22a)을 구비한다. 그러한 힌지축(22a)에 대응하여, 하우징(21)의 측면에는 슬라이딩방향(S)으로 연장하는 장홀 형태의 운동슬롯(21a)가 형성된다. 힌지축(22a)이 운동슬롯(21a)에 삽입됨에 따라, 덮개부(22)가 하우징(21)에 대하여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회전방향(R)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21)의 측면에 절개된 운동부(21b)를 통해서는 덮개부(22)의 타단부에 구부려져 형성된 후크부(22b)가 삽입되어, 하우징(21)의 단부에 돌출 형성 된 걸림부(21c)에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덮개부(22)는 하우징(2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기의 낙하 등을 통해서 메모리 장착 유닛(20)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덮개부(22)가 슬라이딩방향(S)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운동부(21b)를 통해 하우징(21)에서 이탈하기도 한다. 그에 따라, 메모리카드(M)가 하우징(21)에서 이탈되어 분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메모리 장착 유닛(20)에 가해지는 충격은 후크부(22b)가 벌어지도록 변형시켜, 후크부(22b)와 걸림부(21c)의 걸림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게 한다. 이 역시, 덮개부(22)가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함에 따라 메모리카드(M)가 하우징(21)에서 이탈되어 분실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메모리 장착 유닛에 가해지는 충격에도 불구하고 메모리카드가 메모리소켓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본체와, 메모리 장착 유닛 및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한다. 메모리 장착 유닛은 본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탈방지유닛은 본체에 형성되는 제한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한돌기는 메모리 장착 유닛의 덮개부의 운동에 간섭을 일으켜 서 덮개부의 운동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덮개부가 메모리카드의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하여 메모리카드가 메모리 장착 유닛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탈방지유닛은 메모리 장착 유닛 자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과 그에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에 각각 돌출부 및 안내채널, 나아가 잠금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덮개부가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메모리카드는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탈방지유닛은 덮개부 자체에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유닛은 덮개부 자체에 메모리카드가 장착되게 한다. 그에 따라, 덮개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운동하는 경우에도 메모리카드는 덮개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메모리 장착 유닛을 구비하는 전자기기라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 Player(MP3플레이어), 전자사전,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에서 메모리 장착 유닛의 덮개부 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덮개부가 분리되어 하우징이 개방된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본체(100)와, 메모리 장착 유닛(200) 및 이탈방지유닛(3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제1 바디(110)에 대하여 제2 바디(120)가 힌지부(13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형 단말기의 본체이다. 제1 바디(110)의 전면{메모리 장착 유닛(200)이 장착된 면의 반대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한, 예를 들어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미도시)도 구비된다. 나아가, 제1 바디(110)의 배면에는 배터리(1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결합시 메모리 장착 유닛(20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게 된다. 제2 바디(120)의 일 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121)이 구비된다. 또한, 소리를 출력시키는 스피커(123)도 디스플레이 유닛(121)의 부근에 배치된다.
메모리 장착 유닛(200)은 하우징(210)과 덮개부(220)를 포함하며, 제1 바디(110)의 배면에 개구된 개구부(150)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쇄회로기판(P)에 장착된다. 하우징(210)에 결합된 단자(211)는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M)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덮개부(220)는 하우징(210)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220)는 하우징(210)에 대하여 회전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20)는 하우징(210)에 결합된 채로 슬라이딩 방향(S)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탈방지유닛(300)은 본체(100)에서 덮개부(2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한돌기이다. 이러한 제한돌기(300)는 덮개부(220)가 슬라이딩 방향(S)으로 밀리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그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제한돌기(300)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도 4의 제한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확대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한돌기(300)는 제1 연장부(310)와 제2 연장부(320)를 ㅍ포함한다.
제1 연장부(310)는 본체(100)의 개구부(150)를 한정하는 단부 측에서 덮개부(220)를 향하여 돌출하여 연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 연장부(310)의 덮개부(220)와 접촉하게 되는 면은 덮개부(220)의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가지는 빗변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연장부(320)는 제1 연장부(310)에서 연장하여 대략 덮개부(220)의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서 연장한다. 제2 연장부(320)와 본체(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는 이격부(111)가 형성된다.
나아가, 제2 연장부(320)에는 본체(100)를 향하여 형성되는 스톱퍼(stopper)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톱퍼는 제2 연장부(320)가 본체(100)를 향하여 회전 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스톱퍼는 제2 연장부(320)의 단부 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멈춤돌기(330)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톱퍼는 제2 연장부(320)의 단부 측에 장착되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부재(340)일 수 있다. 이러한 용수철(340)은 제2 연장부(320)와 일체로 이중사출되거나 다른 형태로 그에 결합된다. 후자의 예로는 제2 연장부(320)에 수용홀(미도시)을 형성하고 그에 용수철(340)을 삽입하는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모리 장착 유닛(200)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메모리 장착 유닛(200)의 덮개부(220)는 하우징(210)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우징(210)에 결합된다. 이러한 메모리 장착 유닛(200)에 메모리카드(M)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단은 덮개부(220)를 슬라이딩 방향(S)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된 덮개부(220)를 회전방향(R)으로 회전시키면, 덮개부(220)의 일단은 하우징(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메모리카드(M)를 하우징(21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220)의 개방 과정에서 제한돌기(300)는 덮개부(220)의 슬라이딩 및 회전을 제한한다.
먼저, 도 4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20)의 일측 단부는 제1 연장부(310)의 제1 연장부(310)에 형성된 빗변부(311)에 걸린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메모리 장착 유닛(2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덮개부(220)가 슬라이딩 방향(S)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하우징(210)으로부터 이탈하려는 운동이 제한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빗변부(311)를 통해 가해지는 힘을 극복하고 덮개부(220)가 빗변부(311)를 타고 넘으면서 회전방향(R)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과정에서는 빗변부(311)뿐만 아니라 제2 연장부(320)가 덮개부(2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덮개부(220)는 저항력을 받게 되어, 그 회전 운동이 제한된다.
이때, 멈춤돌기(330)는 본체(100)의 단부에 접촉되어 지지 됨에 따라, 제1 연장부(310)의 회전 변형의 범위를 제한한다. 그에 따라, 과도한 변형에 의해 제1 연장부(310)가 소성 변형됨에 따라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재(340)는 제한돌기(300)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100)에 의해 지지되어 제한돌기(300)를 덮개부(220)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그에 따라, 제한돌기(300)가 덮개부(2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부(220)에 가하는 힘을 배가시킨다. 이러한 탄성부재(340)에 의하여, 덮개부(220)의 회전은 더욱 강력하게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부(22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압축된 탄성부재(340)는 덮개부(220)가 하우징(210)과 결합되는 원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에,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회전하는 덮개부(2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덮개부(220)를 개방 후에 원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복귀 동작이 탄성부재(3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이격부(111)는 제한돌기(300)가 본체(100)로부터 보다 많이 돌출하 여 덮개부(220)의 슬라이딩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하게 한다. 이는, 이격부(111)에 의하여 제한돌기(300)가 본체(100)를 향하여 많이 변형될 수 있음에 따라, 덮개부(220)가 회전 운동하여 하우징(210)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제한돌기(300)는 사용자가 덮개부(220)를 개방하고자 하는 조작에 일정 부분 장애가 되기는 하나, 낙하 등에 의해 단말기에 가해지는 의도하지 않은 충격 등에 대하여 메모리카드(M)가 메모리 장착 유닛(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자기기의 메모리 장착 유닛 및 이탈방지유닛을 제외한 본체 등에 대해서는 앞선 도면들의 도시 및 그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모리 장착 유닛(200)은 앞선 제1 실시예와 같이 본체(100)에 장착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회전 및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탈방지유닛(400)은 돌출부(410)와 안내채널(420)을 포함한다. 돌출부(410)는 하우징(210)와 덮개부(220)의 마주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안내채널(420)은 하우징(210)과 덮개부(220)의 마주하는 면들 중 다른 하나에 연장하여 형성된다. 또한, 안내채널(420)의 일 단부 측에는 잠금돌기(430)가 안내채널(420)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421)가 형성된다.
안내채널(420)이 하우징(210)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방향(S)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에는, 덮개부(220)의 회전 방향(R)을 따르는 회전은 돌출부(410)가 안내채널(420){또는 안내채널(420)을 한정하는 하우징(210)}에 걸리게 됨에 따라 제한된다. 다만, 덮개부(220)가 슬라이딩 방향(S)으로 슬라이딩 되어 잠금돌기(430)가 개방부(421)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안내채널(420)은 더 이상 덮개부(220)의 회전 운동을 제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덮개부(220)의 슬라이딩 방향(S)으로의 운동을 사전에 제한하기 위하여, 하우징(210)의 안내채널(420)을 한정하는 부분에서는 슬라이딩 방향(S)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잠금돌기(43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돌기(430)에는 덮개부(220)의 돌출부(410)가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덮개부(220)의 슬라이딩 방향(S)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돌출부(410)와 안내채널(420)이 덮개부(220)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고 돌출부(410)와 잠금돌기(430)가 덮개부(2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게 됨에 따라, 덮개부(220)가 충격에 의해 하우징(2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메모리카드(M, 도 5 참조)의 이탈의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메모리 장착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전자기기의 메모리 장착 유닛 및 이탈방지유닛을 제외한 본체 등에 대해서는 앞선 도면들의 도시 및 그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모리 장착 유닛(20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유닛(500)은 걸림부(510)와 가압돌기(520)를 포함한다.
걸림부(510)는 덮개부(220)의 주면(main face)에서 연장하는 측면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걸림부(510)는 위의 측면의 양 측에서 서로를 향하여 연장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메모리카드(M)의 지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가압돌기(520)는 덮개부(220)의 주면들 중 하우징(210)을 마주하는 면에서 하우징(21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돌기(520)는 단자(21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메모리카드(M)는 걸림부(510)에 의하여 덮개부(220)에 장착되게 된다. 그에 따라, 덮개부(220)가 하우징(210)에서 분리되는 경우라도 메모리카드(M)는 덮개부(2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는 있게 된다.
또한, 가압돌기(520)가 메모리카드(M)를 가압함에 따라, 메모리카드(M)는 걸림부(51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에 따라, 메모리카드(M)의 덮개부(220)에 대한 장착 상태는 더욱 확고해져서, 메모리카드(M)가 덮개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가압돌기(520)가 단자(21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됨에 따라, 메모리카드(M)와 단자(211)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관계가 더욱 견고해져서, 메모리카드(M)의 접촉 불량의 문제가 해결되는 등의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본체 또는 메모리 장착 유닛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장착 유닛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제한돌기는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본체에서 돌출함에 따라 그 변형량이 커서, 덮개부의 제한적인 회전은 가능하게 하면서도 초기 슬라이딩은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톱퍼는 제한돌기의 소성변형을 방지한다. 특히, 탄성부재가 스톱퍼로 채용되는 경우에, 탄성부재가 제한돌기에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의 운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됨과 동시에 덮개부의 복귀가 그 탄성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 자체에 형성된 가압돌기는 메모리카드가 하우징에 장착된 단자와 보다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Claims (15)

  1. 본체;
    메모리카드가 안착되고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시키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서 상기 덮개부의 운동 경로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본체와 이격된 채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운동 경로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빗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에 상기 이격된 본체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본체를 향한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2 연장부에서 돌출한 멈춤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메모리카드를 수용하는 메모리 장착 유닛; 및
    상기 본체 또는 메모리 장착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메모리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장착 유닛은,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개폐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덮개부의 마주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하우징과 덮개부의 마주하는 면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운동을 제한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채널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을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과 덮개부의 마주하는 면들 중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채널을 한정하는 본체부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안내 채널을 따르는 슬라이딩을 제한시키는 잠금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덮개부의 주면에서 연장하는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의 주면에 상기 메모리카드를 장착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모리카드를 상기 걸림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정보를 상기 본체에 입력시키는 입력유닛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시각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0090328A 2006-09-18 2006-09-18 전자기기 KR10127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328A KR101277209B1 (ko) 2006-09-18 2006-09-18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328A KR101277209B1 (ko) 2006-09-18 2006-09-18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620A KR20080025620A (ko) 2008-03-21
KR101277209B1 true KR101277209B1 (ko) 2013-06-24

Family

ID=3941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328A KR101277209B1 (ko) 2006-09-18 2006-09-18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2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637A (ko) * 2002-12-28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인증카드 이탈 방지장치
KR20050089582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5258915A (ja) * 2004-03-12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Sim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2006005831A (ja) * 2004-06-21 2006-01-0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637A (ko) * 2002-12-28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인증카드 이탈 방지장치
KR20050089582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5258915A (ja) * 2004-03-12 2005-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Sim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2006005831A (ja) * 2004-06-21 2006-01-0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620A (ko)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2956B2 (ja) 携帯通信端末用の蓋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US8913396B2 (en) Card h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862264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lot cover ejection mechanism
US7131871B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7762827B2 (en) Card assembly with a hinged cover including a torsion spring
US7804683B2 (en) Electronic device component eject mechanism
US8937811B2 (en) Chip card h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60231619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jecting a card when a cover is opened
JP2000305662A (ja) カード接続用アダプタ
TW201237767A (en) Chip card holding structure
JP2008109494A (ja) 携帯端末装置
KR101277209B1 (ko) 전자기기
JP2004222170A (ja) 折畳式携帯電子装置
JP3662861B2 (ja) メモリーカード付携帯端末機器
JP200612780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11222314A (ja) カード装着装置、電子機器
JP4804124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022160B2 (ja) トレイ式のカードコネクタ
JP4558439B2 (ja) 小型電子機器
JP2003142205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6195633A (ja) 電子機器のカード型電子部品抜け出し防止機構
JP2008243461A (ja) カードコネクタ
CN108667475B (zh) 插卡装置及电子设备
US8100442B2 (en) Rotary lock mechanism
JP4550022B2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