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9602A - 리액터 - Google Patents

리액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602A
KR20060089602A KR1020050057065A KR20050057065A KR20060089602A KR 20060089602 A KR20060089602 A KR 20060089602A KR 1020050057065 A KR1020050057065 A KR 1020050057065A KR 20050057065 A KR20050057065 A KR 20050057065A KR 20060089602 A KR20060089602 A KR 2006008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gap
reactor
typ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šœ지 나카지마
유지 하가
히데토 사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8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7/00Fixed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1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리액터를 제공한다.
코일(3)이 설치되는 중간다리부(11)와, 이 중간다리부(11)의 양측에 배치된 바깥다리부(12, 13)를 코어가 구비하고, 코일(3)과 바깥다리부(12, 13)와의 사이에 틈을 가짐과 동시에 중간다리부(11)에 갭을 갖는 리액터에 있어서, 코일(3)을 누르도록 틈에 설치된 방진절연물(5A, 5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액터 {REACTOR}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리액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코일의 부착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방진절연물의 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를 이용한 소음측정치를 나타내는 측정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를 이용한 소음측정치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8은 코일의 부착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코일의 부착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리액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리액터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형 코어 11 : 중간다리부
11A : 갭 12, 13 : 바깥다리부
12', 13' : 코어의 코일옆부분
14, 15 : 개구부 2 : I형 코어
3 : 코일 31 : 권선
32 : 단차부분 4A∼4D : 틈
5A∼5D : 방진절연물 6 : 스페이서
본 발명은, 각종 기기의 전원장치 등에 이용되는 리액터에 관한 것이다.
리액터에는, E형 코어와 I형 코어를 조합하여, 코어를 구성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리액터의 코어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의 코어는, 단면형상이 E형을 한 E형 코어(101)와, 단면형상이 I형을 한 I형 코어(102)를 구비하고 있다. I형 코어(102)는, E형 코어(101)의 바깥다리부(101A, 101B)의 끝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E형 코어(101)의 중간다리부(101C)에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코일이 부착되고, 리액터가 구성된다. 게다가 리액터의 특성향상을 위해서, E형 코어(101)의 중간다리부(101C)에는, 갭(101D)이 설치되고 있다. 갭(101D)에는, 절연물(101E)이 삽입되고 있다.
그런데, 갭을 갖는 리액터에는 다음의 과제가 있다. 리액터에 고조파전류가 통할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갭(101D)에 의한, 코어 자왜(磁歪)의 진동 및 코어 전체의 자왜 진동과 코일의 진동이 발생하여, 이 진동에 의한 진동음이 소음으로서 리액터로부터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에어컨 시장에서는 전력절약화를 위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를 DC로 변환하는 인버터회로(201)와, 이 DC를 고주파의 AC로 변환하는 인버터회로(202)와의 사이에 리액터(203)가 접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리액터(203)에 가해지는 전류의 고조파 성분에 의해, 소음이 리액터(203)로부터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여,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리액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코일이 설치되는 중간다리부와, 이 중간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된 바깥다리부를 코어가 구비하고, 상기 코일과 상기 바깥다리부와의 사이에 틈을 갖는 동시에 상기 중간다리부에 갭을 갖는 리액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누르도록 상기 틈에 설치된 방진절연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리액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바깥둘레부에 권선이 도중에서 감기가 끝났을 때에, 단차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방진절연물은 이 단차부분을 메우는 돌출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리액터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E형 코어와, 이 E형 코어의 바깥다리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I형 코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E형 코어의 중간다리부의 앞 끝단부와 상기 I형 코어와의 사이에 상기 갭을 갖고, 이 갭에 스페이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리액터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의 리액터는, E형 코어(1)와 I형 코어(2)와 코일(3)과 방진(防振)절연물(5A, 5B)과 스페이서(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는 E형 코어(1)와 I형 코어(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형 코어(1)의 단면형상은 E형이다. 즉, E형 코어(1)는, 중간다리부(11)의 양측에 바깥다리부(12, 13)가 배치된 구조이다. I형 코어(2)의 단면형상은 I형이고, I형 코어(2)는 E형 코어(1)의 바깥다리부(12, 13)의 끝단부에 고정되고, 코어가 형성되어 있다. I형 코어(2)와 중간다리부(11)와의 사이에는, 간격(L1)의 갭(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다리부(11)와 바깥다리부(12)와의 사이와, 중간다리부(11)와 바깥다리부(13)와의 사이에는, 코일(3)을 부착하기 위한 개구부(14, 15)가 형성되고 있다.
개구부(14, 15)에는, 코일(3)이 부착되어 있다. 코일(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31)이 도중에서 감기가 끝난 경우에, 감기가 끝난 부분으로부터 끝단부까지의 사이에 단차부분(32)가 생긴다. 또한, 코일(3)이 개구부(14, 15)에 부착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3)의 바깥둘레부와 바깥다리부(12)의 내면과의 사이 및 코일(3)의 바깥둘레부와 바깥다리부(13)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L2)의 틈(4A, 4B)이 생기고, 코일(3)의 단차부분(32)에서는, 간격(L3)의 틈(4C, 4D)이 생긴다.
틈(4A, 4B)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진절연물(5A, 5B)이 설치되 어 있다. 방진절연물(5A, 5B)은, 연체의 재료는 아니고 강체의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이 강체의 재료로서 경질의 종이, 합성수지의 성형품, 내열성과 절연성을 갖는 노멕스지(등록상표) 등이 있다. 방진절연물(5A, 5B)의 두께는, 틈(4A, 4B)의 부분에서는 간격(L2)보다 커지고 있다. 또한, 코일(3)의 단차부분(32)에서는, 방진절연물(5A, 5B)의 폭은, 이 단차부분(32)에 대응하도록, 틈(4C, 4D)의 부분에서 간격(L3)보다 커져(도 4 참조), 방진절연물(5A, 5B)에 돌출부분이 형성되고 있다. 요컨대, 방진절연물(5A, 5B)이 틈(4A∼4D)에 설치되면, 방진절연물(5A, 5B)에 의해 코일(3)이 눌러지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코일(3) 및 코어의 코일옆부분(12', 13')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6)(도 1, 5 참조)를 E형 코어(1)의 중간다리부(11)의 앞끝단부에 형성된 갭(11A)(도 4)에 설치하고 있다. 스페이서(6)의 두께는, 갭(11A)의 간격(L1)보다 커지고 있다. 스페이서(6)를 중간다리부(11)에 설치할 때에, 스페이서(6)를 중간다리부(11)의 끝단부에 배치하여, 이후, I형 코어(2)를 가압하여, I형 코어(2)를 E형 코어(1)에 용접 또는 적절한 부착쇠장식(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거나 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페이서(6)가 갭(11A)에 설치되면, 스페이서(6)에 의해 중간다리부(11)가 눌러지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결과, E형 코어(1)의 중간다리부(11) 및 I형 코어(2)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도 억제할 수 있지만, 코어(1, 2)의 코일옆부분(12', 13')으로의 진동확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한다. 그것을 방진절연물(5A)에 의해,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A로 나타나는 범위 의 소음이 되어, 화살표 B로 나타나는 종래의 리액터와 비교하여, 18(dB)의 소음저하를 얻을 수 있었다. 요컨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가 4000(Hz) 부근으로부터의 고주파의 레벨을 40(dB) 이하로 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액터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가 4000(Hz) 부근으로부터의 고주파에서는, 레벨이 40 (dB) 이상이 되는 범위가 많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3)과 바깥다리부(12)와의 사이 및 코일(3)과 바깥다리부(13)와의 사이에 틈(4A∼4D)이 생긴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2)의 바깥다리부(12)의 코일 바깥둘레부측 내면과 코일(3)의 바깥둘레부와의 사이의 일부에 틈이 생겨 단차부가 된 경우나,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다리부(12)의 코일 바깥둘레부측 내면과 코일(3)의 바깥둘레부와의 사이 전역에 공극부분이 생기는 경우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8의 경우에는, 코일(3)의 단차부분(32)에 방진절연물(5C)을 설치하면 좋다. 또한, 도 9의 경우에는, 코일(3)의 바깥둘레부와 이것과 대향하는 바깥다리부(12)와의 사이의 공극부분에 대응하여 방진절연물(5D)을 설치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E형 코어(1)와 I형 코어(2)와의 조합에 의해, 코어를 형성했지만, 코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개의 E형 코어를 조합한 것 등, 각종의 것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해, 코어와 코일의 틈에 방진절연물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코일 및 E형 코어의 코일측 바깥다리부가 고정되어, 코일 및 E형 코어의 코일측 바깥다리부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해, 코일의 권선이 도중에서 감기가 끝났을 때에도, 감기가 끝난 부분으로부터 끝에 형성된 코일의 단차부분 및 그 인접하는 E형 코어의 코일측 바깥다리부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해, E형 코어와 I형 코어와의 조합에 의해, 코어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코어중간다리부의 갭에 진동방지용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E형 코어중간다리부나 I형 코어의, 갭을 형성하는 부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지만, 일부 코어의 다른 부분으로의 진동확산이 발생하여, 그것을 청구항 1, 2의 발명에 의해, 소음을 저감한다.

Claims (3)

  1. 코일(3)이 설치되는 중간다리부(11)와, 이 중간다리부(11)의 양측에 배치된 바깥다리부(12, 13)를 코어가 구비하고, 상기 코일(3)과 상기 바깥다리부(12, 13)와의 사이에 틈을 갖는 동시에 상기 중간다리부(11)에 갭을 갖는 리액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3)을 누르도록 상기 틈에 설치된 방진절연물(5A, 5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3)의 바깥둘레부에 권선이 도중에서 감기가 끝났을 때에 단차부분(32)이 형성되고, 상기 방진절연물(5A, 5B)은 이 단차부분(32)을 메우는 돌출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E형 코어(1)와, 이 E형 코어(1)의 바깥다리부(12, 13)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I형 코어(2)로 이루어지고, 상기 E형 코어(1)의 중간다리부(11)의 앞 끝단부와 상기 I형 코어(2)와의 사이에 상기 갭(11A)을 갖고, 이 갭(11A)에 스페이서(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액터.
KR1020050057065A 2005-02-04 2005-06-29 리액터 KR20060089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8553 2005-02-04
JP2005028553 2005-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602A true KR20060089602A (ko) 2006-08-09

Family

ID=3674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065A KR20060089602A (ko) 2005-02-04 2005-06-29 리액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60089602A (ko)
CN (2) CN2812247Y (ko)
DE (1) DE102006005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5402B4 (de) * 2008-07-09 2012-05-31 Kendrion Magnettechnik Gmbh Magnetostriktiver Aktor
DE102011116861A1 (de) * 2011-10-25 2013-04-25 Epcos Ag Elektronisches Bauelement zur Führung eines Magnetfeldes
CN102709031A (zh) * 2012-02-03 2012-10-03 苏州天擎电子通讯有限公司 新型电抗器
RU168706U1 (ru) * 2016-10-19 2017-02-16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ензенский завод точных приборов" (ЗАО "ПЗТП") Дроссель помехоподавляющий электро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JP6599933B2 (ja) * 2017-06-29 2019-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及びノイズ低減ユニット
CN108594311A (zh) * 2018-06-11 2018-09-28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一种基于磁致伸缩线缆的谐波源检测装置及方法
RU189538U1 (ru) * 2019-01-28 2019-05-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осэнерготранс" (ООО "Росэнерготранс") Запирающий контур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помехоподавл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812247Y (zh) 2006-08-30
DE102006005243A1 (de) 2006-08-17
CN1815642A (zh)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9602A (ko) 리액터
JP5804628B2 (ja) コイル部品
US10410778B2 (en) Magnetic circuit component
JP2002043136A (ja) リアクトル
JP5842282B2 (ja) コイル部品
JP2007128984A (ja) 磁性部品
JP2008005171A (ja) ベース付ラインフィルタ
JP5010055B1 (ja) 変圧器
JP3730753B2 (ja) 高圧トランス
JPH0864432A (ja) 電磁装置
JP2007123767A (ja) リアクター
JP4973230B2 (ja) トランス
KR101855039B1 (ko) 변압기용 철심 구조물의 소음 저감 장치
JP2007165623A (ja) チョークコイル
JP2010021479A (ja) トランス
JP4922191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3444040B2 (ja) インダクタンス部品
JP4008403B2 (ja) コア、ボビン及び搭載基板
JP3600485B2 (ja) リードタイプのリアクター
KR100346661B1 (ko) 리액터
KR102421178B1 (ko) 고조파 저감용 리액터
JP2005158864A (ja) リアクタ
JPH10144537A (ja) 小型トランス
JP2009272438A (ja)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
JP3606210B2 (ja) チョーク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