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465A - 적층형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형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465A
KR20060087465A KR1020060009132A KR20060009132A KR20060087465A KR 20060087465 A KR20060087465 A KR 20060087465A KR 1020060009132 A KR1020060009132 A KR 1020060009132A KR 20060009132 A KR20060009132 A KR 20060009132A KR 20060087465 A KR20060087465 A KR 2006008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pacitor
electrodes
lead
multilay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274B1 (ko
Inventor
마사아키 토가시
타이수케 아히코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적층 콘덴서는 적층체와 적층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전극은 제 1 단자전극 및 제 2 단자전극을 포함한다. 적층체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복수의 내부전극층은 제 1 내부전극층 및 제 2 내부전극층을 포함한다. 제 1 내부전극층은 제 1 단자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을 갖는다. 제 1 콘덴서 전극에 설치된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1 인출 전극과 연속한다. 제 2 내부전극층은 제 2 단자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을 갖는다. 제 2 콘덴서 전극에 설치된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2 인출 전극과 연속한다.
적층 콘덴서, 내부전극층, 단자전극, 유전체층, 중앙처리장치

Description

적층형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변형예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적층체 10: 유전체층
11a, 11b, 11c, 11d: 제 1 단자전극
12a, 12b, 12c, 12d: 제 2 단자전극
20 ~ 26: 제 1 내부전극층 30 ~ 36: 제 2 내부전극층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이러한 종류의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0211호 참조).
디지털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PU)에 공급용의 전원에 있어서는 저전압화가 진행되는 한편으로 부하전류는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부하전류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전원전압의 변동을 허용치 내로 억제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게 되었다. 그래서, 디커플링 콘덴서라고 불리는 적층 콘덴서가 전원에 접속되게 되었다. 그리고, 부하전류의 과도적인 변동시에 이 적층 콘덴서로부터 CPU에 전류를 공급하고, 전원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CPU의 동작주파수의 더욱 고주파수화에 동반하여, 부하전류는 고속이며 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디커플링 콘덴서에 사용되는 적층 콘덴서에는 대용량화와 함께 등가 직렬 저항(ESR)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발명의 요약
그렇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0211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0211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ESL)를 저감시키 기 위해서, 내부전극층에 포함되는 인출 전극(extraction electrode)이 붙어 있는 부분을 폭 넓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이 과도하게 저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층은 인출 전극을 통하여 대응하는 단자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부전극층의 수가 증가하면 인출 전극의 수도 증가하고, 등가 직렬 저항은 작아져 버린다. 적층 콘덴서의 대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유전체층 및 내부전극층의 적층수를 많게 하면, 인출 전극의 수도 많아진다. 인출 전극의 저항성분은 단자전극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기 때문에, 인출 전극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이 더욱 작아져 버린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의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은, 상반되는 요구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적층 콘덴서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여, 유전체층 및 내부전극층의 적층수를 동일하게 하더라도, 인출 전극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는 점에 착안하였다. 그러나, 인출 전극의 길이를 단지 길게 하는 것으로는, 적층체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전극부분에 인출 전극으로서도 기능하는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길어지고, 등가 직렬 저항의 과도한 저감을 억 제할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인출 전극으로서도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에 따라서, 등가 직렬 저항을 소망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내부전극층은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내부전극층과 제 2 내부전극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자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을 포함하고, 제 1 내부전극층은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을 갖고, 제 2 내부전극층은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을 갖고, 제 1 콘덴서 전극에는 제 1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1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제 2 콘덴서 전극에는 제 2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2 인출 전극과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내부전극층은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내부전극층과 복수의 제 2 내부전극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자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및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포함하고, 제 1 내부전극층은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중 어느 1개와 접속되는 제 1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을 갖고, 제 2 내부전극층은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중 어느 1개와 접속되는 제 2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을 갖고, 제 1 콘덴서 전극에는 제 1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1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제 2 콘덴서 전극에는 제 2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2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내부전극층은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내부전극층과 복수의 제 2 내부전극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자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및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포함하고, 제 1 내부전극층은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을 갖고, 제 2 내부전극층은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을 갖고, 제 1 콘덴서 전극에는 각 제 1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신장하는 복수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제 1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제 2 콘덴서 전극에는 각 제 2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신장하는 복수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제 2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 각각에서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전극부분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인출 전극으로서도 기능한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길어진다. 따라서, 이들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콘덴서 전극에 제 1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슬릿부를 설치하는 것, 및, 제 2 콘덴서 전극에 제 2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슬릿부를 설치함으로써, 이들의 적층 콘덴서 각각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이 제어되게 된다. 그 때문에, 이들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은, 사행(蛇行)형상 또는 크랭크형상을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가 한층 더 길어진다. 그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인출 전극은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인출 전극의 면적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은,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 1 콘덴서 전극의 잔여부측의 폭이 제 1 인출 전극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기저항이 비교적 커지고,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 2 콘덴서 전극의 잔여부측의 폭이 제 2 인출 전극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기저항이 비교적 커지고,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슬릿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이 소망의 값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 이가 조절되게 되고,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예시적으로만 주어진 첨부 도면들로부터 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고, 예시적이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생각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적용의 다른 범위는 이하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지정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의 다양한 변화들 및 변경들이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의 기술 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동안, 예시적으로만 주어짐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17에 있어서,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내부전극층에 상당하는 영역에는 해칭(hatching)을 긋고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16에서는 XYZ 좌표축을 생략하고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좌표축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XYZ 좌표축과 동일하다.
[제 1 실시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적층 콘덴서(C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층체(1)와, 상기 적층체(1)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1a 내지 11d, 12a 내지 12d)을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1a 내지 11d, 12a 내지 12d)은 각각 4개이고,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4개의 제 1 단자전극(11a, 11b, 11c, 11d) 중 2개의 제 1 단자전극(11a 및 11b)은 적층체(1)의 측면(1a)에 위치하고, 나머지 2개의 제 1 단자전극(11c 및 11d)은 측면(1a)에 대향하는 적층체(1)의 측면(1b)에 위치한다. 한편, 4개의 제 2 단자전극(12a, 12b, 12c, 12d) 중 2개의 제 2 단자전극(12a 및 12b)은 적층체(1)의 측면(1a)에 위치하고, 나머지 2개의 제 2 단자전극(12c 및 12d)은 적층체(1)의 측면(1b)에 위치한다. 적층체(1)의 각 측면(1a, 1b)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11a 내지 11d, 12a 내지 12d)은 교대로 배치된다. 즉, 측면(1a) 상에 있어서는, 제 1 단자전극(11a), 제 2 단자전극(12a), 제 1 단자전극(11b), 제 2 단자전극(12b)의 순으로 배치되고, 측면(1b)상에 있어서는, 제 1 단자전극(11c), 제 2 단자전극(12c), 제 1 단자전극(11d), 제 2 단자전극(12d)의 순으로 배치된다.
적층체(1)는 도 2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9층)의 유 전체층(10)과,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전극(20, 22, 24, 26, 30, 32, 34, 36)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유전체층(10)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는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 1 내부전극층(20 내지 26)은 제 1 인출 전극(40, 42, 44, 46)과 제 1 콘덴서 전극(60, 62, 64, 66)을 갖는다.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 각각은, 제 1 단자전극(11a 내지 11d) 중 어느 1개와 접속된다.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 각각은 제 1 단자전극(11a 내지 11d)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1)의 2개의 측면(1a, 1b)의 어느 한쪽으로 끌려나오도록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으로부터 직사각형상을 띠면서 신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내부전극층(20)이 갖는 제 1 인출 전극(40)은, 제 1 단자전극(11a)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1 내부전극층(22)이 갖는 제 1 인출 전극(42)은, 제 1 단자전극(11b)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1 내부전극층(24)이 갖는 제 1 인출 전극(44)은 제 1 단자전극(11c)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1 내부전극층(26)이 갖는 제 1 인출 전극(46)은, 제 1 단자전극(11d)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2 내부전극층(30 내지 36)은 제 2 인출 전극(50, 52, 54, 56)과 제 2 콘덴서 전극(70, 72, 74, 76)을 갖는다.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 각각은 제 2 단자전극(12a 내지 12d) 중 어느 1개와 접속된다.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 각각은, 제 2 단자전극(12a 내지 12d)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1)의 2개의 측면(1a, 1b) 중 어느 한쪽으로 끌려나오도록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으로부터 직사각 형상을 띠면서 신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내부전극층(30)이 갖는 제 2 인출 전극(50)은 제 2 단자전극(12a)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2 내부전극층(32)이 갖는 제 2 인출 전극(52)은 제 2 단자전극(12b)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2 내부전극층(34)이 갖는 제 2 인출 전극(54)은 제 2 단자전극(12c)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2 내부전극층(36)이 갖는 제 2 인출 전극(56)은, 제 2 단자전극(12d)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1 인출 전극(40, 42), 제 2 인출 전극(50, 52)은 도 2에 있어서의 Y 방향에 관하여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인출 전극(40), 제 2 인출 전극(50), 제 1 인출 전극(42), 제 2 인출 전극(52)의 순으로 +Y 방향으로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제 1 인출 전극(44, 46), 제 2 인출 전극(54, 56)은 도 2에 있어서의 Y 방향에 관하여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인출 전극(44), 제 2 인출 전극(54), 제 1 인출 전극(46), 제 2 인출 전극(56)의 순으로 +Y 방향으로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2 내지 도 1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층체에 있어서의 유전체층과 내부전극층의 적층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Z축 방향에 수직이고 또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이 위치하는 적층체의 측면에 평행한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Z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콘덴서의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은 적층체(1)의 Z축 방향과 평행한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은 각각,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82, 84, 86)과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100, 102, 104, 106)을 포함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은 각각,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 전극(66 내지 66)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부(120, 122, 124, 126)에 의해서 대응하는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각 슬릿부(120 내지 126)는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과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이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X축 방향을 긴변방향으로서 신장하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직사각형상의 잘린자리이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은 슬릿부(120)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40)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2)은 슬릿부(122)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42)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4)은 슬릿부(124)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44)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6)은 슬릿부(126)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46)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100 내지 10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릿부(120 내지 126) 각각에 의해서 각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과는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은 한 쌍의 슬릿부(120 내지 126)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쌍으로 되어 있는 각 슬릿부(120 내지 126)는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의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100 내지 106)은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에 대하여,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의 잔여부로 된다.
콘덴서의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은 적층체(1) 의 Z축 방향과 평행한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은 각각,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 92, 94, 96)과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110, 112, 114, 116)을 포함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 내지 96)은 각각,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부(130, 132, 134, 136)에 의해서 대응하는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각 슬릿부(130 내지 136)는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과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이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X축 방향을 긴변방향으로서 신장하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직사각형상의 잘린 자리이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은 슬릿부(130)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50)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2)은, 슬릿부(132)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52)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4)은 슬릿부(134)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54)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6)은 슬릿부(136)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56)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110 내지 11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릿부(130 내지 136) 각각에 의해서 각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은 사이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 내지 96)은 한 쌍의 슬릿부(130 내지 136)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쌍으로 되어 있는 각 슬릿부(130 내지 136)는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의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110 내지 116)은 제 2 콘덴서 인 출 전극(90 내지 96)에 대하여,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의 잔여부가 된다.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과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은 Z축 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 각각은,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 각각과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은, 내부전극층에 있어서, 대응하는 단자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콘덴서 전극을 접속하는 인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20 내지 26, 30 내지 36)의 인출 전극으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하는 부분이라는 것은 각각,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과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에 의해서 형성되는 부분으로 된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20 내지 26, 30 내지 36)에 있어서는,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라고 하는 것이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를 포함시킬 수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길어지고,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또한,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콘덴서 전극(70 내지 76)과 Z축 방향에 있어서 겹치고, 콘덴서 성분을 형성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 내지 9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 전극(60 내지 66)과 Z축 방향에서 겹치고, 콘덴서 성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은 인출 전극으로서의 기능뿐 만 아니라, 콘덴서의 용량 성분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도 가질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은 각각, 각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며, 각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X축 방향에서의 길이에 따라서 그 길이는 바뀌어 간다. 즉, 제 1 및 제 2 콘덴서 전극(60 내지 66, 70 내지 76)에 형성하는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길이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인출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를 바꿀 수 있고, 그 결과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길이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인출 전극의 형상의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다르다.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1)의 분해사시도이다.
적층체(1)에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이 사행형상을 보인다. 또한, 이들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과 연속하는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도 사행형상을 보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20 내지 26, 30 내지 36)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의 형상을 사행형상으로 함으로써, 인출 전극으로서도 기능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의 길이를 길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20 내지 26, 30 내지 36)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지고,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 각각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길이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고,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은 사행형상이 아니며,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 전부가 사행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 중 어느 한쪽만이 사행형상이라도 좋다. 또는, 예를 들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중 일부의 콘덴서 인출 전극만이 사행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과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 형상이라도 좋다.
[제 3 실시예]
도 5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인출 전극 또는 인출 전극이 개구부를 갖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다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1)의 분해 사시도이다.
적층체(1)에서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과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이 원형상의 개구부(140, 142, 144, 146, 150, 152, 154, 156)를 갖고 있다. 개구부(140 내지 146)는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과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이 연속하는 부분에 있어서, X축 방향에 3개 원형상의 개구부가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형성된다. 개구부(150 내지 156)는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과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 내지 96)이 연속하는 부분에 있어서, X축 방향에 3개 원형상의 개구부가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20 내지 26, 30 내지 36)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 마찬가지로,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과,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이 개구부(140 내지 146, 150 내지 156)를 가짐으로써, 실질적으로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 각각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각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길이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고,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과 제 1 및 제 2 콘 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고, 이 중의 일부분에서만 개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 및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 중 어느 한쪽인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만이 개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는, 예를 들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만이 개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140 내지 146, 150 내지 15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140 내지 146, 150 내지 156)는 X축 방향으로 긴 타원형상인 것 1개라도 좋다. 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140 내지 146, 150 내지 156)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가 3개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 것이라도 좋다.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140 내지 146, 150 내지 156)는 X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것 1개라도 좋다.
[제 4 실시예]
도 9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인출 전극의 형상의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다르다. 도 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1)의 분해사시도이다.
적층체(1)에서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전체층(10)과 복수의 내부전극층(20 내지 26, 30 내지 36)이 적층하는 방향과 수직이고, 또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이 끌려나오는 적층체(1)의 측면(1a, 1b)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폭에 관하여, 인출 전극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의 폭과 비교하여, 제 1 및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100 내지 106, 110 내지 11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의 폭 쪽이 좁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의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100 내지 10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이,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과 비교하여 좁다. 바꿔말하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은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100 내지 106)측의 폭이 제 1 인출 전극(40 내지 46)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게 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 내지 96)의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110 내지 11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이,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과 비교하여 좁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90 내지 96)은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110 내지 116)측의 폭이 제 2 인출 전극(50 내지 56)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20 내지 26, 30 내지 36)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 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이 각각 제 1 및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100 내지 106, 110 내지 11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40 내지 46, 50 내지 5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과 비교하여 좁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 각각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슬릿부(120 내지 126, 130 내지 136)의 길이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고,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의 전부에 있어서, 이와 같이 Y축 방향에서 폭이 변화하는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80 내지 86, 90 내지 96) 중 어느 한쪽만이 상기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에서 폭이 변화하는 형상이고, 다른쪽의 콘덴서 인출 전극은 Y축 방향에서의 폭이 일정한 형상이라도 좋다.
[제 5 실시예]
도 10을 참조하여,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1개의 제 1 내부전극층이 접속되는 제 1 단자전극의 수 및 1개의 제 2 내부전극층이 접속되는 제 2 단자전극의 수의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다르다. 도 10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 덴서(C1)에 포함되는 적층체(1)의 분해사시도이다.
적층체(1)는 도 10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0)과,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전극(160, 170)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유전체층(1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 1 내부전극층(160)은 제 1 인출 전극(180, 182, 184, 186)과 제 1 콘덴서 전극(200)을 갖는다. 제 1 내부전극층(160)이 갖는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은 4개이고, 제 1 단자전극(11a 내지 11d)의 수와 동일하다.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은, 대응하는 제 1 단자전극(11a 내지 11d) 각각과 접속되고, 제 1 단자전극(11a 내지 11d)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1)의 측면(1a, 1b)으로 끌려나오도록 제 1 콘덴서 전극(200)으로부터 직사각형상을 띠면서 신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인출 전극(180)은 제 1 단자전극(11a)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1 인출 전극(182)은 제 1 단자전극(11b)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1 인출 전극(184)은 제 1 단자전극(11c)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1 인출 전극(186)은, 제 1 단자전극(11d)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2 내부전극층(170)은 제 2 인출 전극(190, 192, 194, 196)과 제 2 콘덴서 전극(210)을 갖는다. 제 2 내부전극층(170)이 갖는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은 4개이고, 제 2 단자전극(12a 내지 12d)의 수와 동일하다.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은 대응하는 제 2 단자전극(12a 내지 12d) 각각과 접속되고, 제 2 단자전 극(12a 내지 12d)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1)의 측면(1a, 1b)으로 끌려나오도록 제 2 콘덴서 전극(210)으로부터 직사각형상을 띠면서 신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인출 전극(190)은 제 2 단자전극(12a)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2 인출 전극(192)은 제 2 단자전극(12b)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a)으로 끌려나온다. 제 2 인출 전극(194)은 제 2 단자전극(12c)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2 인출 전극(196)은 제 2 단자전극(12d)과 접속되도록 적층체(1)의 측면(1b)으로 끌려나온다.
제 1 인출 전극(180, 182), 제 2 인출 전극(190, 192)은 도 10에 있어서의 Y 방향에 관하여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인출 전극(180), 제 2 인출 전극(190), 제 1 인출 전극(182), 제 2 인출 전극(192)의 순으로 +Y 방향으로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제 1 인출 전극(184, 186), 제 2 인출 전극(194, 196)은, 도 10에 있어서의 Y 방향에 관하여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인출 전극(184), 제 2 인출 전극(194), 제 1 인출 전극(186), 제 2 인출 전극(196)의 순으로 +Y 방향으로 어긋나서 위치하고 있다.
콘덴서의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200)은 적층체(1)의 Z축 방향과 평행한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콘덴서 전극(200)은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222, 224, 226)과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240)을 포함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은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의 총수와 동일한 수, 즉 4개이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은 도 10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 전극(200)에 형성된 4개의 슬릿부쌍(260, 262, 264, 266)에 의해서 각각이, 대응하는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 각각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은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과 제 1 콘덴서 전극(200)이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X축 방향을 긴변방향으로서 신장하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직사각형상의 잘린 자리이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은 슬릿부(260)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180)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4)은 슬릿부(262)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182)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4)은 슬릿부(264)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184)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6)은 슬릿부(266)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186)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240)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에 의해서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은 사이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콘덴서의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200)은 적층체(1)의 Z축 방향과 평행한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콘덴서 전극(200)은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과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240)을 포함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0 내지 236)은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의 총수와 동일한 수, 즉 4개이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0 내지 236)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콘덴서 전극(210)에 형성된 4개의 슬릿부쌍(270, 272, 274, 276)에 의해서 각각이, 대응하는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 각각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4개의 슬릿부쌍(270 내지 276)은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과 제 2 콘덴서 전극(210)이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X축 방향을 긴변방향으로서 신장하도록 형성된 폭이 좁은 직사각형상의 잘린 자리이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0)은 슬릿부(270)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190)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2)은 슬릿부(272)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192)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4)은 슬릿부(274)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194)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6)은 슬릿부(276)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196)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250)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슬릿부쌍(270 내지 276)에 의해서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은 사이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콘덴서 전극(200)과 제 2 콘덴서 전극(210)은, Z축 방향에서 보아 겹치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은 슬릿부(260 내지 266, 270 내지 276)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190 내지 196) 각각과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인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160, 170)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진다. 이로써,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은 슬릿 부(260 내지 266, 270 내지 276)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며, 슬릿부(260 내지 266, 270 내지 276)의 X축 방향에서의 길이에 따라서 그 길이는 바뀌어 간다. 그 때문에,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슬릿부(260 내지 266, 270 내지 276)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릿부(260 내지 266, 270 내지 276)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슬릿부(260 내지 266, 270 내지 276)의 길이에 따라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 6 실시예]
도 11을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인출 전극의 형상의 점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와 다르다. 도 11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1)의 분해사시도이다.
적층체(1)에서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이 사행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과 연속하는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도 사행형상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 (160, 170)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의 형상을 사행형상으로 함으로써, 인출 전극으로서도 기능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의 길이를 길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160, 170)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지고,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 270 내지 276) 각각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 270 내지 276) 각각의 길이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고,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은 사행형상이 아니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 전부가 사행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 중 어느 한쪽만이 사행형상이라도 좋다. 또는, 예를 들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중 일부의 콘덴서 인출 전극만이 사행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과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형상이라도 좋다.
[제 7 실시예]
도 13을 참조하여,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인출 전극 또는 인출 전극이 개구부를 갖는 점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와 다르다. 도 13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1)의 분해사시도이다.
적층체(1)에서는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과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이 각각 원형상의 개구부(280, 282, 284, 286, 290, 292, 294, 296)를 갖고 있다. 개구부(280 내지 286)는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과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이 연속되는 부분에 있어서, X축 방향에 3개 원형상의 개구부가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형성된다. 개구부(290 내지 296)는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과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0 내지 236)이 연속하는 부분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3개 원형상의 개구부가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160, 170)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과,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이 개구부를 가짐으로써, 실질적으로 인출 전극에 상당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 270 내지 276) 각각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 270 내지 276) 각각의 길이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고,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과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고, 이 중의 일부분에서만 개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 및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 중 어느 한쪽인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만이 개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는, 예를 들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180 내지 186)만이 개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280 내지 286, 290 내지 296)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80 내지 286, 290 내지 296)는, X축 방향으로 긴 타원형상인 것 1개라도 좋다. 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80 내지 286, 290 내지 296)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가 3개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것이라도 좋다. 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80 내지 286, 290 내지 296)는 X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인 것 1개라도 좋다.
[제 8 실시예]
도 17을 참조하여, 제 8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인출 전극의 형상의 점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와 다르다. 도 17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1)의 분해사시도이다.
적층체(1)에서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전체층(10)과 복수의 내부전극층(160, 170)이 적층하는 방향과 수직이고, 또한,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이 끌려나오는 적층체(1)의 면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폭에 관하여, 인출 전극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의 폭과 비교하여, 제 1 및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240, 250)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의 폭 쪽이 좁다. 즉,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의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240)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이, 제 1 인출 전극(220 내지 22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 에서의 폭과 비교하여 좁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은 제 1 콘덴서 본체 전극(240)측의 폭이 제 1 인출 전극(180 내지 186)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게 된다.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0 내지 236)의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250)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이,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과 비교하여 좁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30 내지 236)은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250)측의 폭이 제 2 인출 전극(190 내지 196)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160, 170)에 있어서 인출 전극에 실질적으로 상당하는 부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용량을 확보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8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이 각각 제 1 및 제 2 콘덴서 본체 전극(240, 250)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180 내지 186, 190 내지 196)과 연결되는 개소에서의 Y축 방향에서의 폭과 비교하여 좁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와 마찬가지로,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 270 내지 276) 각각의 길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등가 직접 저항의 값을 바꿀 수 있고,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4개의 슬릿부쌍(260 내지 266, 270 내지 276) 각 각의 길이에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소망의 값에 설정할 수도 있고, 소망의 등가 직렬 저항의 값을 갖는 적층 콘덴서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의 전부에 있어서, 이와 같이 Y축 방향에서 폭이 변화하는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콘덴서 인출 전극(220 내지 226, 230 내지 236) 중 어느 한쪽만이 상기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에서 폭이 변화하는 형상이고, 다른쪽의 콘덴서 인출 전극은 Y축 방향에서의 폭이 일정한 형상이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전체층(10)의 적층수 및 제 1 및 제 2 내부전극(20 내지 26, 30 내지 36, 160, 170)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층의 종류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라도 좋다.
따라서 설명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식들로 변경될 수도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경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의 벗어남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기술 내 당업자에게 명백할 모든 그러한 변경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라,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가 제공된다.

Claims (9)

  1.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전극층은,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내부전극층과 제 2 내부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층은, 상기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을 갖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층은, 상기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콘덴서 전극에는 상기 제 1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 1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상기 제 2 콘덴서 전극에는 상기 제 2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 2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전극층은,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내부전극층과 복수의 제 2 내부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및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중 어느 1개와 접속되는 제 1 인출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을 갖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중 어느 1개와 접속되는 제 2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콘덴서 전극에는 상기 제 1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 1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상기 제 2 콘덴서 전극에는 상기 제 2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제 2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3.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전극층은,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내부전극층과 복수의 제 2 내부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및 복수의 제 2 단자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1 콘덴서 전극을 갖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층은,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인출 전극과, 용량 성분을 형성하는 제 2 콘덴서 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콘덴서 전극에는 상기 각 제 1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신장하는 복수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상기 제 1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상기 제 2 콘덴서 전극에는 상기 각 제 2 인출 전극에 대응하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신장하는 복수쌍의 슬릿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상기 제 2 인출 전극과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은, 사행(蛇行)형상 또는 크랭크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인출 전극은,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은, 개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부분은, 상기 제 1 콘덴서 전극의 잔여부측의 폭이 상기 제 1 인출 전극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덴서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슬릿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부분은, 상기 제 2 콘덴서 전극의 잔여부측의 폭이 상기 제 2 인출 전극에 접속되는 측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등가 직렬 저항이 소망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콘덴서.
KR1020060009132A 2005-01-28 2006-01-27 적층형 콘덴서 KR101128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1952 2005-01-28
JP2005021952A JP4299252B2 (ja) 2005-01-28 2005-01-28 積層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65A true KR20060087465A (ko) 2006-08-02
KR101128274B1 KR101128274B1 (ko) 2012-03-27

Family

ID=3677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132A KR101128274B1 (ko) 2005-01-28 2006-01-27 적층형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99138B1 (ko)
JP (1) JP4299252B2 (ko)
KR (1) KR101128274B1 (ko)
CN (1) CN1812026B (ko)
TW (1) TWI3962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20B1 (ko) * 2008-02-14 2011-07-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7262B2 (en) 2005-10-31 2010-04-13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internal current cancellation and bottom terminals
US7414857B2 (en) * 2005-10-31 2008-08-19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internal current cancellation and bottom terminals
US20080165468A1 (en) * 2007-01-05 2008-07-10 Avx Corporation Very low profile multilayer components
US8238116B2 (en) 2007-04-13 2012-08-07 Avx Corporation Land grid feedthrough low ESL technology
US8120891B2 (en) * 2007-12-17 2012-02-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having low equivalent series inductance and controlled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KR100956237B1 (ko) 2008-05-08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US8446705B2 (en) * 2008-08-18 2013-05-21 Avx Corporation Ultra broadband capacitor
JP4600561B2 (ja) * 2008-09-30 2010-12-1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20100188799A1 (en) * 2009-01-28 2010-07-29 Avx Corporation Controlled esr low inductance capacitor
US9564275B2 (en) 2012-03-09 2017-02-07 The Paper Battery Co. Supercapacitor structures
US9831533B2 (en) 2013-03-15 2017-11-28 The Paper Battery Co. Energy storage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US9583277B2 (en) 2013-09-30 2017-02-28 The Paper Battery Company, Inc. Ultra-capacitor structures and electronic systems with ultra-capacitor structures
CN113133324B (zh) * 2019-10-30 2023-04-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5506A (ja) * 1987-06-06 1988-12-13 Murata Mfg Co Ltd 積層形コンデンサ
US6292350B1 (en) * 1997-11-10 2001-09-1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JP3336954B2 (ja) * 1998-05-21 2002-10-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2001052952A (ja) * 1999-08-10 2001-02-23 Tdk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3923723B2 (ja) * 2000-11-22 2007-06-06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JP3788329B2 (ja) * 2001-11-29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デンサアレイ
JP2004140211A (ja) 2002-10-18 2004-05-13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
TWI229878B (en) * 2003-03-12 2005-03-21 Tdk Corp Multilayer capacitor
JP3897745B2 (ja) * 2003-08-29 2007-03-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KR100568310B1 (ko) * 2004-09-08 2006-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캐패시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620B1 (ko) * 2008-02-14 2011-07-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10719A (ja) 2006-08-10
KR101128274B1 (ko) 2012-03-27
US20060176644A1 (en) 2006-08-10
TW200641935A (en) 2006-12-01
CN1812026B (zh) 2010-05-12
JP4299252B2 (ja) 2009-07-22
TWI396213B (zh) 2013-05-11
US7099138B1 (en) 2006-08-29
CN1812026A (zh)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74B1 (ko) 적층형 콘덴서
KR101145192B1 (ko) 적층 콘덴서
JP4299258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7145429B1 (en) Multilayer capacitor
KR101148893B1 (ko) 적층콘덴서, 및 적층콘덴서의 등가직렬저항 조정방법
US7046500B2 (en) Laminated ceramic capacitor
KR10089930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US7164184B2 (en) Multilayer capacitor
KR101130986B1 (ko) 적층 콘덴서 및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 조정 방법
JP2007317786A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2053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339693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1051620B1 (ko) 적층 콘덴서
JP4091054B2 (ja) 積層型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
KR10102730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79569B1 (ko) 적층 콘덴서
JP2005347778A (ja) 積層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