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69B1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69B1
KR101079569B1 KR1020090128639A KR20090128639A KR101079569B1 KR 101079569 B1 KR101079569 B1 KR 101079569B1 KR 1020090128639 A KR1020090128639 A KR 1020090128639A KR 20090128639 A KR20090128639 A KR 20090128639A KR 101079569 B1 KR101079569 B1 KR 10107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ain
internal
main electrode
intern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333A (ko
Inventor
마사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Abstract

제 1 내부 전극은 복수 종류를 가지고,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주전극부와, 제 1 인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인출부는 제 1 주전극부로부터 적층체의 일단으로 신장되어 제 1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은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으로 정전 용량 성분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주전극부와, 각 제 2 주전극부간을 접속하는 연결부와, 제 2 인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인출부는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중 하나의 제 2 주전극부로부터 적층체의 타단으로 신장되어 제 2 단자 전극과 직접 접속된다.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의 위치가 다른 동시에,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와 제 2 인출부의 거리가 다르다. 연결부의 폭은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전극부의 폭보다도 좁다.
적층 콘덴서, 적층체, 단자 전극, 인출부, 주전극부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적층 콘덴서로서,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이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적층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단자 전극과, 적층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제 1 내부 전극에는 제 1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인출부가 형성되고, 제 2 내부 전극에는 제 2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인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71811호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71811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 전극은 복수 종류를 가지고,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의 위치가 다르고,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와 제 2 인출부의 거리가 다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71811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 따르면, 광대역에 걸친 저임피던스화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한층 더 광대역에 걸친 저임피던스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에 걸친 저임피던스화를 한층 더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적층 콘덴서는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이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적층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단자 전극과, 적층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제 1 내부 전극은 복수 종류를 가지고,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주전극부와, 제 1 주전극부로부터 적층체의 일단으로 신장되어 제 1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되는 제 1 인출부를 포함하고, 제 2 내부 전극은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으로 정전 용량 성분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주전극부와, 각 제 2 주전극부간을 접속하는 연결부와,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중 하나의 제 2 주전극부로부터 적층체의 타단으로 신장되어 제 2 단자 전극과 직접 접속되는 제 2 인출부를 포함하고,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의 위치가 다른 동시에,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와 제 2 인출부의 거리가 다르고, 연결부의 폭은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전극부의 폭보다도 좁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 전극을 복수 종류 형성함으로써, 제 1 내부 전극(제 1 주전극부), 제 2 내부 전극(제 2 주전극부) 및 유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 성분이 복수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ESL) 또는 정전 용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와 제 2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거리가 작을 수록,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가 낮다. 그 결과,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가 높다. 본 발명에서는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와 제 2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에 대응하는 각 정전 용량 성분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가 다르고, 결과적으로 각 콘덴서부의 자기 공진 주파수가 다르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자기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가 되는 적층 콘덴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이때, 제 1 내부 전극의 종류가 많을 수록, 적층 콘덴서가 가지는 자기 공진 주파수의 수가 많기 때문에, 더욱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 2 내부 전극은 제 2 주전극부간을 접속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의 폭이,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전극부의 폭보다도 좁기 때문에, 각 제 2 주전극부가 자기적으로 분리되고, 각 정전 용량 성분에 의한 자기 공진 주파수도 더욱 분리된다. 이 결과,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를 한층 더 저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 되지 않는 제 1 중간 전극부를 더욱 포함하고, 제 1 주전극부와 제 1 중간 전극부는 제 1 주전극부와 제 1 중간 전극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이 형성되도록,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1종류의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이,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으로 분할된다. 이 결과, 또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가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층체에는 제 3 주전극부와, 제 3 주전극부로부터 적층체의 타단으로 신장되어 제 2 단자 전극과 직접 접속되는 제 3 인출부와, 제 2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제 3 중간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 3 내부 전극이 적층되어 있고, 제 3 주전극부와 제 3 중간 전극부는 적어도 1종류의 제 1 내부 전극과 제 3 주전극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이 형성되도록,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내부 전극과 제 3 내부 전극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이 형성된다. 이 결과, 또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으로 주어져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때,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적용 범주는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 내에 있는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므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단지 예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적층 콘덴서는 광대역에 걸친 저임피던스화를 한층 더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 C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내부 전극 및 제 2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적층 콘덴서 C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체로서의 콘덴서 소체(1)와, 콘덴서 소체(1)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단자 전극(11)과, 콘덴서 소체(1)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단자 전극(13)을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1)는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상대향하는 장방 형상의 제 1 주면(2) 및 제 2 주면(3)과, 상대향하는 제 1 단면(4) 및 제 2 단면(5)과, 상대향하는 제 3 단면(6) 및 제 4 단면(7)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단면(4) 및 제 2 단면(5)은 제 1 주면(2)과 제 2 주 면(3)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주면(2) 및 제 2 주면(3)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제 3 단면(6) 및 제 4 단면(7)은 제 1 주면(2)과 제 2 주면(3)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주면(2) 및 제 2 주면(3)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1)의 제 1 단면(4)에는 제 1 단자 전극(11)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은 제 1 단면(4)을 덮도록,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단면(6, 7)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1)의 제 2 단면(5)에는 제 2 단자 전극(13)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3)은 제 2 단면(5)을 덮도록, 제 1 및 제 2 주면(2, 3) 및 제 3 및 제 4 단면(6, 7)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11, 13)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분말 및 유리 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1)가 대응하는 외표면에 부여하고,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전극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콘덴서 소체(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전체층(21)과,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31, 33, 35)과, 제 2 내부 전극(41)을 가지고 있다. 각 유전체층(21)은 제 1 및 제 2 주면(2, 3)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적층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31, 33, 35)과 제 2 내부 전극(41)이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 하고 있다. 각 유전체층(21)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 C1에서는 각 유전체층(21)은 유전체층(21)과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31, 33, 35)과 제 2 내부 전극(41)은 콘덴서 소체(1)에 있어서, 유전체층(21)의 적층 방향, 즉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31, 33, 35)은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둔 상태로,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33)은 제 1 내부 전극(31, 3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31, 33, 35)은 제 3 단면(6)으로부터 제 4 단면(7)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1 내부 전극(31), 제 1 내부 전극(33), 제 1 내부 전극(35)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31, 33, 35)은 적층형의 전기 소자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비금속인 Ni 등)로 이루어진다. 각 제 1 내부 전극(31, 33, 35)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각 제 1 내부 전극(31, 33, 35)은 직사각 형상의 제 1 주전극부(31a, 33a, 35a)와, 제 1 단면(4)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1 주전극부(31a, 33a, 35a)로부터 제 1 단면(4)으로 신장되는 제 1 인출부(31b, 33b, 35b)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제 1 인출부(31b, 33b, 35b)는 대응하는 제 1 주전극부(31a, 33a, 35a)의 제 1 단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1 단면(4)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다. 제 1 주전극부(31a, 33a, 35a)와 제 1 인출부(31b, 33b, 35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은 각 제 1 인출부(31b, 33b, 35b)의 제 1 단면(4)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제 1 인출부(31b, 33b, 35b)는 제 1 단자 전극(11)에 직접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부 전극(31, 33, 35)은 제 1 단자 전극(11)에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은 제 1 내부 전극(31, 33, 35)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41)은 유전체층(21)을 사이로 하고, 제 1 내부 전극(31, 33, 35; 제 1 주전극부(31a, 33a, 35a))과 대향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41)도, 적층형의 전기 소자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상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2 내부 전극(41)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2 내부 전극(41)은 직사각 형상의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와, 제 2 단면(5)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2 주전극부(41c)로부터 제 2 단면(5)으로 신장되는 제 2 인출부(41d)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주전극부(41b)는 제 2 주전극부(41a, 41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는 제 3 단면(6)으로부터 제 4 단면(7)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2 주전극부(41a), 제 2 주전극부(41b), 제 2 주전극부(41c)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인출부(41d)는 제 2 주전극부(41c)의 제 2 단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2 단면(5)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다.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와 제 2 인출부(41d)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3)은 제 2 인출부(41d)의 제 2 단면(5)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 인출부(41d)는 제 2 단자 전극(13)에 직접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41)은 또, 연결부(43a, 43b)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부(43a)는 제 2 주전극부(41a)와 제 2 주전극부(41b)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43a)는 제 2 주전극부(41a)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과, 제 2 주전극 부(41b)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을 접속하고 있다. 연결부(43b)는 제 2 주전극부(41b)와 제 2 주전극부(41c)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43b)는 제 2 주전극부(41b)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과, 제 2 주전극부(41c)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을 접속하고 있다. 연결부(43a, 43b)는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 및 제 2 인출부(41d)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내부 전극(41)은 제 2 단자 전극(13)에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연결부(43a, 43b)는 제 1 내부 전극(31, 33, 35)과 대향하지 않고, 유전체층(21)의 적층 방향(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제 1 내부 전극(31, 33, 35)과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연결부(43a, 43b)의 폭은 각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의 폭보다도 좁다. 연결부(43a, 43b)의 폭은 제 1 단면(4)과 제 2 단면(5)의 대향 방향에서의 연결부(43a, 43b)의 길이(폭)이며, 각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의 폭은, 마찬가지로 제 1 단면(4)과 제 2 단면(5)의 대향 방향에서의 각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의 길이(폭)이다.
제 1 내부 전극(31)의 제 1 주전극부(31a)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주전극부(41a)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31)의 제 1 주전극부(31a)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주전극부(41a)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주전극부(31a)와 제 2 주전극부(41a) 에 겹치는 부분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11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내부 전극(31)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하나의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1 내부 전극(33)의 제 1 주전극부(33a)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주전극부(41b)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유전체층(21)의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33)의 제 1 주전극부(33a)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주전극부(41b)도,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주전극부(33a)와 제 2 주전극부(41b)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12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내부 전극(33)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하나의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1 내부 전극(35)의 제 1 주전극부(35a)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주전극부(41c)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유전체층(21)의 적층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35)의 제 1 주전극부(35a)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주전극부(41c)도,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주전극부(35a)와 제 2 주전극부(41c)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13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내부 전극(35)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하나의 콘덴서가 구성된다.
그런데,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ESL)를 L, 정전 용량을 C라고 하면,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은
fr=1/(2π(L*C)1/2)
로 나타내진다.
따라서,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L이나 정전 용량 C의 값을 바꾸는 것으로,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을 바꿀 수 있다. 이때, 이극성이 되는 2개의 내부 전극의 인출부간의 거리가 작을 수록, 등가 직렬 인덕턴트 L이 낮기 때문에, 자기 공진 주파수 fr이 높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 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31, 33, 35)이 같은 층에 위치하고, 제 3 단면(6)으로부터 제 4 단면(7)을 향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부 전극(31)의 제 1 인출부(31b)와, 제 1 내부 전극(33)의 제 1 인출부(33b)와, 제 1 내부 전극(35)의 제 1 인출부(35b)의 형성 위치는 다르다.
정전 용량 성분 C11에 있어서의 제 1 내부 전극(31)의 제 1 인출부(31b)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인출부(41d) 사이의 거리 D1, 정전 용량 성분 C12에 있어서의 제 1 내부 전극(33)의 제 1 인출부(33b)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인출부(41d) 사이의 거리 D2, 및 정전 용량 성분 C13에 있어서의 제 1 내부 전극(35)의 제 1 인출부(35b)와 제 2 내부 전극(41)의 제 2 인출부(41d) 사이의 거리 D3의 관계는
D1>D2>D3
이 된다. 각 제 1 인출부(31b, 33b, 35b)와 제 2 인출부(41d)의 사이의 거리 D1, D2, D3은 각 제 1 인출부(31b, 33b, 35b)와 제 1 단자 전극(11)의 접속점과, 제 2 인출부(41d)와 제 2 단자 전극(13)의 접속점의 사이의 최단 직선 거리를 말한다.
이 때문에, 제 1 내부 전극(31)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ESL1, 제 1 내부 전극(33)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ESL2, 및 제 1 내부 전극(35)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ESL3의 관계는
ESL1>ESL2>ESL3
이 된다. 따라서, 제 1 내부 전극(31)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1, 제 1 내부 전극(33)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2, 및 제 1 내부 전극(35)과 제 2 내부 전극(4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3의 관계는
fr1<fr2<fr3
이 되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 C1의 주파수(Hz)에 관한 임피던스(Ω)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다. 도 4에 도시한 그래프의 가로축은 주파수(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임피던스(Ω)를 나타낸다.
제 2 내부 전극(41)은 각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 사이를 접속하는 연결부(43a, 43b)를 포함하고, 연결부(43a, 43b)의 폭이,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의 폭보다도 좁다. 이 때문에, 각 제 2 주전극부(41a, 41b, 41c)가 자기적으 로 분리되고, 각 정전 용량 성분 C11, C12, C13에 의한 자기 공진 주파수 frl, fr2, fr3도 더욱 분리된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 C1에서는 한층 더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 C1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내부 전극 및 제 2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 C1과 본 변형예에서는 연결부(43a, 43b)의 위치에 관해서 상이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연결부(43a)는 제 2 주전극부(41a)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과, 제 2 주전극부(41b)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을 접속하고 있다. 연결부(43b)는 제 2 주전극부(41b)의 제 1 단면(4) 근처의 부분과, 제 2 주전극부(41c)의 제 1 단면(4) 근처의 부분을 접속하고 있다. 연결부(43a)와 연결부(43b)는 제 1 단면(4)과 제 2 단면(5)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단자 전극(13)을 흐르는 전류의 경로가 구불구불하기 때문에, 제 1 내부 전극(31)과 제 2 내부 전극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ESL1 및 제 1 내부 전극(33)과 제 2 내부 전극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ESL2는 더욱 높다. 따라서, 제 1 내부 전극(31)과 제 2 내부 전극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1 및 제 1 내부 전극(33)과 제 2 내부 전극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2가 변화되고,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이 변화된다. 이렇게, 연결부(43a, 43b)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7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 C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내부 전극, 제 2 내부 전극, 및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적층 콘덴서 C2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1)와, 콘덴서 소체(1)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단자 전극(11)과, 콘덴서 소체(1)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단자 전극(13)을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1)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전체층(21)과,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51, 53)과, 제 2 내부 전극(61)과, 제 3 내부 전극(71)을 가지고 있다. 콘덴서 소체(1)는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51, 53)과 제 2 내부 전극(61)이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51, 53)과 제 2 내부 전극(61)은 콘덴서 소체(1)에 있어서, 유전체층(21)의 적층 방향, 즉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1)에서는 제 3 내부 전극(71)이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내부 전극(51)과 대향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51, 53)은 서로의 사이에 간격을 둔 상태로, 같은 층 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51, 53)은 제 3 단면(6)으로부터 제 4 단면(7)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1 내부 전극(51), 제 1 내부 전극(5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51, 53)은 적층형의 전기 소자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상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각 제 1 내부 전극(51, 53)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1 내부 전극(51)은 직사각 형상의 제 1 주전극부(51a, 51b)와, 제 1 단면(4)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1 주전극부(51a)로부터 제 1 단면(4)으로 신장되는 제 1 인출부(51c)와, 제 1 주전극부(51a)와 제 1 주전극부(51b) 사이를 접속하는 연결부(51d)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인출부(51c)는 제 1 주전극부(51a)의 제 1 단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1 단면(4)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다. 제 1 주전극부(51a, 51b)와 제 1 인출부(51c)와 연결부(51d)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53)은 직사각 형상의 제 1 주전극부(53a)와, 제 1 단면(4)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1 주전극부(53a)로부터 제 1 단면(4)으로 신장되는 제 1 인출부(53b)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인출부(53b)는 제 1 주전극부(53a)의 제 1 단면(4)측의 단부로부터, 제 1 단면(4)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다. 제 1 주전극부(53a)와 제 1 인출부(53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1)은 각 제 1 인출부(51c, 53b)의 제 1 단면(4)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 제 1 인출부(51c, 53b)는 제 1 단자 전극(11)에 직접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부 전극(51, 53)은 제 1 단자 전극(11)에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61)은 제 1 내부 전극(51, 53)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61)은 유전체층(21)을 사이로 하고, 제 1 내부 전극(51, 53; 제 1 주전극부(51a, 53a))과 대향하고 있다. 제 2 내부 전극(61)도, 적층형의 전기 소자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상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2 내부 전극(61)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2 내부 전극(61)은 직사각 형상의 제 2 주전극부(61a, 61b)와, 제 2 단면(5)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2 주전극부(61b)로부터 제 2 단면(5)으로 신장되는 제 2 인출부(61c)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주전극부(61a, 61b)는 제 3 단면(6)으로부터 제 4 단면(7)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2 주전극부(61a), 제 2 주전극부(61b)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인출부(61c)는 제 2 주전극부(61b)의 제 2 단면(5)측의 단부로부터, 제 2 단면(5)을 향해서 신장되어 있다. 제 2 주전극부(61a, 61b)와 제 2 인출부(61c)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13)은 제 2 인출부(61c)의 제 2 단면(5)에 노출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 인출부(61c)는 제 2 단자 전극(13)에 직접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61)은 또 연결부(63)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부(63)는 제 2 주전극부(61a)와 제 2 주전극부(61b)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63)는 제 2 주전극부(61a)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과, 제 2 주전극부(61b)의 제 2 단면(5) 근처의 부분을 접속하고 있다. 연결부(63)는 제 2 주전극부(61a, 61b) 및 제 2 인출부(61c)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내부 전 극(61)은 제 2 단자 전극(13)에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연결부(63)는 제 1 내부 전극(51, 53)과 대향하지 않고, 유전체층(21)의 적층 방향(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제 1 내부 전극(51, 53)과 겹치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연결부(63)의 폭은 각 제 2 주전극부(61a, 61b)의 폭보다도 좁다. 연결부(63)의 폭은 제 1 단면(4)과 제 2 단면(5)의 대향 방향에서의 연결부(63)의 길이(폭)이며, 각 제 2 주전극부(61a, 61b)의 폭은, 마찬가지로 제 1 단면(4)과 제 2 단면(5)의 대향 방향에서의 각 제 2 주전극부(61a, 61b)의 길이(폭)이다.
제 3 내부 전극(71)은 직사각 형상의 제 3 주전극부(73)와, 제 3 중간 전극부(75)과, 제 2 단면(5)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3 주전극부(73)로부터 제 2 단면(5)으로 신장되는 제 3 인출부(77)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주전극부(73)는 제 1 내부 전극(51, 53)과 간격을 둔 상태로, 제 1 내부 전극(51, 53)과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제 2 내부 전극(61)과 간격을 둔 상태로, 제 2 내부 전극(61)과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유전체층(21)을 사이로 하고, 제 1 내부 전극(51)의 제 1 주전극부(51a)와 제 3 주전극부(73)에 대향하고 있다. 제 3 주전극부(73)와 제 3 인출부(7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71)도, 적층형의 전기 소자의 내부 전극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상기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3 내부 전극(71)은 상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2 단자 전극(13)은 제 3 인출부(77)의 제 2 단면(5)에 노출된 부분도 모 두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3 인출부(77)는 제 2 단자 전극(13)에 직접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내부 전극(71)의 제 3 주전극부(73) 및 제 2 내부 전극(61)은 제 2 단자 전극(13)에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11, 13)에 직접 접속되지 않았다.
제 1 내부 전극(51)의 제 1 주전극부(51b)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주전극부(61a)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51)의 제 1 주전극부(51b)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주전극부(61a)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주전극부(51b)와 제 2 주전극부(61a)에 겹치는 부분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1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내부 전극(51)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하나의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주전극부(53a)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주전극부(61b)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주전극부(53a)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주전극부(61b)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주전극부(53a)와 제 2 주전극부(61b) 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하나의 콘덴서가 구성된다.
제 1 내부 전극(51)의 제 1 주전극부(51a)와, 제 3 내부 전극(71)의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51)의 제 1 주전극부(51a)와, 제 3 내부 전극(71)의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주전극부(51a)와 제 3 중간 전극부(75)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3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3 내부 전극(71)의 제 3 주전극부(73)와, 제 3 내부 전극(71)의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71)의 제 3 주전극부(73)와, 제 3 내부 전극(71)의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3 주전극부(73)와 제 3 중간 전극부(75)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4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이상과 같이, 제 3 주전극부(73) 및 제 3 중간 전극부(75)는 제 1 내부 전 극(51)과 제 3 내부 전극(71) 사이에 2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3, C24가 형성되도록, 절연체층(21)을 끼워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3, C24는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51)과 제 3 내부 전극(71)으로 직렬 접속된 2개의 콘덴서가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콘덴서 C2에서는 제 1 내부 전극(51, 53)이 같은 층에 위치하고, 제 3 단면(6)으로부터 제 4 단면(7)을 향하는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부 전극(51)의 제 1 인출부(51c)와,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인출부(53b)의 형성 위치는 다르다.
정전 용량 성분 C21에 있어서의 제 1 내부 전극(51)의 제 1 인출부(51c)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인출부(61c) 사이의 거리 D4, 및, 정전 용량 성분 C22에 있어서의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인출부(53b)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인출부(61c) 사이의 거리 D5의 관계는
D4>D5
이다. 각 제 1 인출부(51c, 53b)와 제 2 인출부(61c) 사이의 거리 D4, D5는 각 제 1 인출부(51c, 53b)와 제 1 단자 전극(11)의 접속점과, 제 2 인출부(61c)와 제 2 단자 전극(13)의 접속점 사이의 최단 직선 거리를 말한다.
이 때문에, 제 1 내부 전극(51)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ESL4, 및,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트 ESL5의 관계는
ESL4>ESL5
가 된다. 따라서, 제 1 내부 전극(51)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4, 및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5의 관계는
fr4<fr5
가 된다.
제 1 내부 전극(51)과 제 3 내부 전극(71)으로 형성되는 2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3, C24의 합성 정전 용량 성분, 및,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 C22의 관계는
2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3, C24의 합성 정전 용량 성분<정전 용량 성분 C22
가 된다. 그리고,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5, 및, 제 1 내부 전극(51)과 제 3 내부 전극(71)으로 구성되는 콘덴서의 자기 공진 주파수 fr6의 관계는
fr5<fr6
이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fr4<fr5<fr6이 된다. 제 3 중간 전극부(75)를 개재함으로써 제 1 내부 전극(51)과 제 3 내부 전극(71)으로 직렬 접속된 2개의 콘덴서가 구성되기 때문에, 한층 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내부 전극(61)은 각 제 1 내부 전극(51, 53)에 대응하여 상기 정전 용량 성분을 각각 형성하는 제 2 주전극부(61a, 61b)와, 상기 각 제 2 주전극부(61a, 61b) 사이를 접속하는 연결부(63)를 포함하고, 연결부(63)의 폭이, 제 2 주전극부(61a, 61b)의 폭보다도 좁다. 이 때문에, 각 제 2 주전극부(61a, 61b)가 자기적으로 분리되고, 각 정전 용량 성분 C21, C22에 의한 자기 공진 주파수 fr4, fr5도 더욱 분리된다. 이 결과, 적층 콘덴서 C2에서는 한층 더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 C2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내부 전극, 제 2 내부 전극, 및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 C2와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내부 전극(53)의 구성에 관해서 상이하다.
제 1 내부 전극(53)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제 1 주전극부(81)와, 복수의 제 1 중간 전극부(83, 85, 87)와, 제 1 단면(4)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1 주전극부(81)로부터 제 1 단면(4)으로 신장되는 제 1 인출부(89)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주전극부(81)와 제 1 인출부(89)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주전극부(81)는 제 2 내부 전극(61)과 간격을 둔 상태로, 제 2 내부 전극(61)과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3, 87)는 제 1 내부 전극(51)과 간격을 둔 상태로, 제 1 내부 전극(51)과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5)는 제 2 내부 전극(61) 및 제 1 주전극부(81)와 간격을 둔 상태로, 제 2 내부 전극(61) 및 제 1 주전극부(81)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3)는 유전체층(21)을 사이로 하고,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주전극부(81)와 제 1 중간 전극부(85)에 대향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5)는 유전체층(21)을 사이로 하고, 제 1 중간 전극부(83)와 제 1 중간 전극부(87)에 대향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7)는 유전체층(21)을 사이로 하고, 제 1 중간 전극부(85)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주전극부(61b)에 대향하고 있다.
제 1 인출부(89)는 제 1 단자 전극(11)에 직접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주전극부(81)는 제 1 단자 전극(11)에 물리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 1 중간 전극부(83, 85, 87)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11, 13)에 직접 접속되지 않았다.
제 2 주전극부(61a)와 제 2 주전극부(61b)를 접속하는 연결부(63)의 폭은 제 2 주전극부(61a)의 폭보다도 좁고, 제 2 주전극부(61b)의 폭과 같은 정도이다.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주전극부(81)와,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중간 전극부(83)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주전극부(81)와, 제 1 내부 전극(53)의 제 1 중간 전극부(83)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21) 중, 제 1 주전극부(81)와 제 1 중간 전극부(83)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1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중간 전극부(83)와 제 1 중간 전극부(85)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3)와 제 1 중간 전극부(85)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중간 전극부(83)와 제 1 중간 전극부(85)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2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중간 전극부(85)와 제 1 중간 전극부(87)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5)와 제 1 중간 전극부(87)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중간 전극부(85)와 제 1 중간 전극부(87)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3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제 1 중간 전극부(87)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주전극부(61b)는 콘덴서 소체(1)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21)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중간 전극부(87)와 제 2 내부 전극(61)의 제 2 주전극부(61b)는 제 1 및 제 2 주면(2, 3)의 대향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전체층(21) 중, 제 1 중간 전극부(87)와 제 2 주전극부(61b)에 겹치는 부분은 1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4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영역이다.
이상과 같이, 제 1 주전극부(81) 및 제 1 중간 전극부(83, 85, 87)는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 제 2 주전극부(61b)) 사이에 4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1, C22 -2, C22 -3, C22 -4가 형성되도록, 절연체층(2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1, C22 -2, C22 -3, C22 -4는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 제 2 주전극부(61b))으로 직렬 접속된 4개의 콘덴서가 구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내부 전극(53)과 제 2 내부 전극(61; 제 2 주전극부(61b))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이, 직렬 접속된 4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1, C22 -2, C22 -3, C22 -4로 분할되고, 4개의 정전 용량 성분 C22 -1, C22 -2, C22 -3, C22-4의 합성 정전 용량 성분은 상기 정전 용량 성분이 분할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지극히 작다. 따라서, 지극히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가 저하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내부 전극의 형상이나, 각 내부 전극의 인출부의 형성 위치, 형상, 수 등에 대해서는 특히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술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시발점으로 간주될 수 없으며, 이러한 모든 변형은 당업자에게는 하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계획된 것이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내부 전극 및 제 2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형 콘덴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선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1 내부 전극 및 제 2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제 1 내부 전극, 제 2 내부 전극, 및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제 1 내부 전극, 제 2 내부 전극, 및 제 3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 는 정전 용량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3)

  1. 적층 콘덴서로서,
    제 1 내부 전극과 제 2 내부 전극이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단자 전극과,
    상기 적층체의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내부 전극은 복수 종류를 가지고, 상기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주전극부와, 상기 제 1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일단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 1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되는 제 1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부 전극은 상기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으로 정전 용량 성분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주전극부와, 상기 각 제 2 주전극부간을 접속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중 하나의 제 2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타단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 2 단자 전극과 직접 접속되는 제 2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인출부의 위치가 다른 동시에, 상기 각 종류의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인출부와 상기 제 2 인출부와의 거리가 다르고,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전극부의 폭보다도 좁은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류의 상기 제 1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제 1 중간 전극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전극부와 상기 제 1 중간 전극부는 상기 제 1 주전극부와 상기 제 1 중간 전극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이 형성되도록,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에는 제 3 주전극부와, 상기 제 3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타단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 2 단자 전극과 직접 접속되는 제 3 인출부와, 상기 제 2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제 3 중간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 3 내부 전극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3 주전극부와 상기 제 3 중간 전극부는 적어도 1종류의 상기 제 1 내부 전극과 상기 제 3 주전극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정전 용량 성분이 형성되도록, 상기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KR1020090128639A 2009-03-13 2009-12-22 적층 콘덴서 KR101079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1552 2009-03-13
JP2009061552A JP4710998B2 (ja) 2009-03-13 2009-03-13 積層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333A KR20100103333A (ko) 2010-09-27
KR101079569B1 true KR101079569B1 (ko) 2011-11-04

Family

ID=4273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639A KR101079569B1 (ko) 2009-03-13 2009-12-22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25760B2 (ko)
JP (1) JP4710998B2 (ko)
KR (1) KR101079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57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아모텍 광대역 커패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8624B2 (en) 2019-11-08 2024-02-20 Amotech Co., Ltd. Broadband capaci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811A (ja) 2006-09-12 2008-03-27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及び電子機器
KR100884499B1 (ko) * 2006-03-01 2009-02-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9054652A (ja) 2007-08-23 2009-03-12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0985B2 (ja) * 1992-06-16 1999-05-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バンドパスフィルタ
JPH0935998A (ja) * 1995-07-21 1997-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貫通コンデンサー
JP2001044074A (ja) * 1999-07-27 2001-02-16 Tokin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3051729A (ja) * 2001-08-06 2003-02-21 Tdk Corp 積層型フィルタアレイ
TWI229878B (en) * 2003-03-12 2005-03-21 Tdk Corp Multilayer capacitor
US7046500B2 (en) * 2004-07-20 2006-05-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aminated ceramic capacitor
JP4577325B2 (ja) * 2007-03-29 2010-11-10 Tdk株式会社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2009016807A (ja) * 2007-06-04 2009-01-22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ンデンサ及び集積回路を搭載した回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499B1 (ko) * 2006-03-01 2009-02-18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적층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8071811A (ja) 2006-09-12 2008-03-27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及び電子機器
JP2009054652A (ja) 2007-08-23 2009-03-12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57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아모텍 광대역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10998B2 (ja) 2011-06-29
US20100232086A1 (en) 2010-09-16
US8125760B2 (en) 2012-02-28
KR20100103333A (ko) 2010-09-27
JP2010219143A (ja)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6500B2 (en) Laminated ceramic capacitor
JP4374041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148894B1 (ko) 적층 콘덴서
KR100899299B1 (ko) 적층 콘덴서
KR101010875B1 (ko) 적층 콘덴서
KR101128274B1 (ko) 적층형 콘덴서
KR20080030501A (ko) 적층 콘덴서
KR101386540B1 (ko) 적층 콘덴서
JP2006286731A (ja) 積層コンデンサ
JP4462194B2 (ja)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
KR10102053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4501970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8189321B2 (en) Multilayer capacitor
JP2008021861A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101079569B1 (ko) 적층 콘덴서
JP4091054B2 (ja) 積層型セラミックキャパシタ
JP5093044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2730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4600561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6064362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077180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303944B2 (ja) 積層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