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423A -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 Google Patents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423A
KR20060087423A KR1020060007617A KR20060007617A KR20060087423A KR 20060087423 A KR20060087423 A KR 20060087423A KR 1020060007617 A KR1020060007617 A KR 1020060007617A KR 20060007617 A KR20060007617 A KR 20060007617A KR 20060087423 A KR20060087423 A KR 2006008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eastern
package
flexible plat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에 하타케야마
히로시 사토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65D5/1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rton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패키지를 조립하기 위한 가요성 판은 본체부, 대저부편, 소저부편, 저부좌측편 및 저부우측편으로 구성된다. 본체부는 동부배면편, 동부좌측편, 동부정면편, 동부우측편으로 구성된다. 대저부편은 동부배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소저부편은 동부정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대상편과 제 1 돌출편 및 제 2 돌출편을 가진다. 저부좌측편은 동부좌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제 1 돌출편과 인접한 부분에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우측편은 동부우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제 2 돌출편과 인접한 부분에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편의 길이는 제 1 돌출편과 제 2 돌출편 사이의 간격보다 짧다.
패키지, 가요성 판, 대저부편, 저부좌측편, 소저부편, 저부우측편, 절입부, 노치부, 대상편, 돌출편,

Description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FLEXIBLE BOARD FOR FORMING PACKAGE}
도 1은 위쪽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패키지에 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키지의 전개도;
도 3은 패키지의 조립 작업의 도중에, 패키지를 그 저부(bottom)가 위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조립된 패키지의 저부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
도 7은 도 6의 패키지에 형성된 제 3 노치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
본 발명은 사진기와 같은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상품이 수납되는 패키지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패키지에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03422호에 기재된 것처럼 "아메리칸 로크(American Lock)"라고 불리는 상자 저부(box bottom)를 가지고 있다. 상자 저부는 저부배면편, 저부좌측편, 저부정면편, 저부우측편을 조립함으로써 쉽게 성형되며, 그래서 풀칠하기 또는 아교바르기 등과 같은 공정이 필요가 없다. 상자의 외측으로부터 상자 저부를 보았을 때, 저부좌측편과 저부우측편은 삼각형으로 보이며, 저부배면편과 저부정면편은 사다리꼴로 나타난다. 그래서 이러한 두개의 사다리꼴은 윗변이 서로 접촉하고, 사다리꼴의 빗변은 삼각형의 빗변과 접촉한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03422호 도 2 참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패키지의 상자 저부는, 그 중앙부가 내측으로부터 눌려지더라도 저부배면편, 저부좌측편, 저부정면편과 저부우측편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쉽게 열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비교적 무거운 상품도 이 패키지에 수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품의 일련번호와 같은 정보를 상자 저부의 외면에 표시하여야 할 경우, 상술한 종래의 상자 저부는 두 개의 사다리꼴과 두 개의 삼각형으로 구획되어 있고, 사다리꼴과 삼각형 사이의 분할 선들이 상자 저부의 중앙에 존재하기 때문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개소가 제한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반면에 외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시일(seal)을 상자 저부에 첨부함으로써 정보 를 표시하는 개소가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패키지의 운반 도중에 진동에 의해서 분할 선이 어긋날 수 있고, 그래서 시일이 열화되고, 결과적으로 정보는 읽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자 저부 위에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개량해서 정보를 표시하는 개소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모양으로 전개되어 있고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이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판은 본체부, 대저부편, 소저부편, 저부좌측편 및 저부우측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는 동부(胴部)배면편(rear body piece), 동부좌측편(left-side body piece), 동부정면편(front body piece) 및 동부우측편(right-side body piece)으로 구성되며, 이들 편들은 직사각형이고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띠 모양을 형성한다. 대저부편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동부배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다. 대저부편의 연직 길이(상하방향의 길이)는 동부좌측편의 수평 길이(좌우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대저부편은 그것의 선단부에 삽입편을 가지고 있다. 소저부편은 동부정면편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부정면편을 따라 뻗어있는 대상편(strip piece)과, 동부정면편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대상편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한 제 1 돌출편과 제 2 돌출편을 가지고 있다. 저부좌측편은 동부좌측편의 하부측에 연결 되어 있으며, 제 1 돌출편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절입부(cut-out section)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우측편은 동부우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돌출편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2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동부배면편에 나란한 방향에서의 삽입편의 길이는 상기 제 1 돌출편과 상기 제 2 돌출편 사이의 간격보다 짧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했을 때, 다각형 저부 개구를 가지고 있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이 제공된다. 가요성 판은 평면 모양으로 전개된 본체부, 대저부편, 소저부편, 저부좌측편 및 저부우측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는 동부배면편, 동부좌측편, 동부정면편 및 동부우측편으로 구성되며, 이들 편들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띠 모양을 형성한다. 동부배면편은 다각형에서 동부정면편과 대향한 변에 위치된다. 대저부편의 형상은 상기 다각형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며, 상기 동부배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대저부편은 그것의 선단부에 삽입편을 가지고 있다. 소저부편은 상기 동부정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부정면편을 따라 뻗어있는 대상편과, 상기 동부정면편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대상편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한 제 1 돌출편과 제 2 돌출편을 가지고 있다. 저부좌측편은 동부좌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돌출편과 가까운 부분에 제 1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우측편은 동부우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돌출편과 가까운 부분에 제 2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동부배면편과 나란한 방향에서의 삽입편의 길이가 상기 제 1 돌출편과 상기 제 2 돌출편 사이의 간격보다 짧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아래의 설명에 의 하여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패키지에 관한 사시도이다.
패키지(10)는 예를 들어 사진기와 그것의 부속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패키지(10)는 직육면체의 구성을 하고 있으며, 이 구성은 4면을 가진 본체부(20), 본체부(20)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한쌍의 측편(31, 32)과 덮개부(33) 그리고 저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33)의 선단부(33a)는 본체부(20)의 측으로 절곡(fold)되고, 오목부(20a)는 덮개부(33)가 쉽게 열릴 수 있도록 본체부(20)의 정면측 상부에 형성된다.
패키지(10)는 가요성 판을 절곡함으로써 성형된다. 가요성 판은 예컨대 코팅된 종이 또는 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로 제작된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패키지(10)의 전개도이다.
본체부(20)는 동부배면편(21), 동부좌측편(22), 동부정면편(23)과 동부우측편(24)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편들은 직사각형이고 서로 연결되어 띠 모양을 형성한다. 즉, 동부배면편(21), 동부좌측편(22), 동부정면편(23)과 동부우측편(24)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인접 편들 사이의 경계는 접힘부(25)에 의하여 구획된다. 고정플랩(26)은 동부좌측편(22)과 대향하는 동부배면편(21)의 한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접힘부(25)를 외측으로 되도록 직각으로 절곡하고, 고정플랩(26)을 동부 우측편(24)의 가장자리에 접착함으로써 각통상의 본체부(20)가 형성된다.
대저부편(41)은 동부배면편(21)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대저부편(41)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대저부편(41)의 연직 길이는 동부좌측편(22)의 수평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대저부편(41)은 패키지(10)의 저부 개구의 대부분을 덮는 본체부(41a)와 대저부편(41)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편(41b)을 가지고 있다.
소저부편(42)은 동부정면편(23)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소저부편(42)은 동부정면편(23)을 따라 뻗어있는 대상편(42a)과, 동부정면편(23)과 맞은편으로 대상편(42a)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한 제 1 돌출편(42b)과 제 2 돌출편(42c)을 가진다. 대상편(42a)과 제 1 돌출편(42b) 및 제 2 돌출편(42c)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부(42d, 42e)는 도 2에서 교차하는 두 직선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원호 또는 사분원의 형상이다.
저부좌측편(43)은 동부좌측편(22)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저부좌측편(43)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저부좌측편(43)의 연직 길이는 동부정면편(23)의 수평 길이의 대략 절반이다. 저부좌측편(43)에는 제 1 돌출편(42b)에 대응하거나 인접한 부분에 제 1 절입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입부(43a)의 선단부는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이다.
동일하게, 대략 직사각형인 저부우측편(44)은 동부우측편(24)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저부우측편(44)의 연직 길이는 동부정면편(23)의 수평 길이의 대략 절반이다. 저부우측편(44)에는 제 2 돌출편(42c)에 대응하거나 인접한 부분에 반원 형상의 선단부를 가진 제 2 절입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대저부편(41)에서, 동부배면편(21)에 따른 삽입편(41b)의 수평길이는 제 1 돌출편(42b)과 제 2 돌출편(42c) 사이의 간격보다 짧다. 더욱이, 원호 형상(또는 사분원 형상)의 제 1 노치부(41c)와 제 2 노치부(41d)가 본체편(41a)과 삽입편(41b) 사이에 형성된다.
대저부편(41), 저부좌측편(43), 소저부편(42), 저부우측편(44) 및 본체부(20)가 접힘부(45)에 의해 분할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각통상의 본체부(20)가 형성된 후에, 가요성 판은 접힘부(45)가 외측으로 되는 식으로 절곡되어 패키지(10)의 저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 과정은 후술한다.
한편, 덮개부(33)는 동부배면편(21)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측편(31)은 동부좌측편(22)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측편(32)은 동부우측편(24)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덮개부(33), 측편(31, 32) 및 본체부(20)는 접힘부(34)에 의해 구획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패키지(1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형상을 가진 박판은 블랭크 판으로부터 스탬핑된다. 박판은 동부좌측편(22)과 동부정면편(23) 사이의 접힘부(25)에서 절곡되고, 고정플랩(26)은 동부우측편(24)의 가장자리부의 뒷면에 접착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접착된 박판들이 겹쳐 쌓여서 포장되어, 상품의 포장 공정이 수행되는 장소에 이송될 수 있다.
우선, 수납 작업 장소에서, 박판의 저부측은 위로 향하도록 회전되고, 본체부(20)가 상자 모양으로 되도록 펼쳐지며, 소저부편(42)은 내측으로 접힌다. 그 다음,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저부좌측편(43)과 저부우측편(44)은 소저부편(42) 위에서 겹쳐지도록 내측으로 접히고, 그 후 대저부편(41)은 대저부편(41)이 저부좌측편(43)과 저부우측편(44)을 덮도록 접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저부편(41)의 삽입편(41b)을 누르면, 소저부편(42), 저부좌측편(43) 및 저부우측편(44)은 아래방향으로 크게 변형되며, 그 결과 저부좌측편(43)과 저부우측편(44)의 선단부(43b, 44b)가 소저부편(42)의 대상편(42a)의 하측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소저부편(42), 저부좌측편(43), 저부우측편(44) 및 대저부편(41)이 복원되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저부(40)가 성형된다. 즉, 삽입편(41b)은 대상편(42a)의 안쪽에 위치하고, 제 1 돌출편(42b)과 제 2 돌출편(42c)은 각각 저부좌측편(43)과 저부우측편(44)의 안쪽에 위치한다. 또한, 대저부편(41)의 노치부(41c), 저부좌측편(43)의 제 1 절입부(43a)와 소저부편(42)의 맞물림부(42d)는 인터로킹 방식으로 맞물리는 한편, 대저부편(41)의 노치부(41d), 저부우측편(44)의 제 2 절입부(44a)와 소저부편(42)의 맞물림부(42e) 역시 인터로킹 방식으로 맞물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저부(40)는 단지 대저부편(41)을 누름으로써 간단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패키지(10)의 성형공정은 간단하다. 또한, 노치부(41c), 제 1 절입부(43a) 및 맞물림부(42d)의 맞물림과, 노치부(41d), 제 2 절입부(44a) 및 맞물림부(42e)의 맞물림 때문에, 저부(40)의 강도가 확보되고 내용물 역시 패키지(10) 내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게다가, 저부좌측면(43)의 선단부와 저부우측면(44)의 선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저부(40) 전체를 덮고 있으므로, 저부(40)는, 내용물이 예컨대 중간 크기의 사진기와 같은 중량물이어도 그 중량으 로 인하여 파괴되지 않는다.
대저부편(41)의 본체편(41a)은 패키지(10)의 저부 개구를 덮을 정도의 크기이므로, 패키지(10) 내에 수용된 상품에 관한 정보가 종래 패키지의 저부에 형성되었던 분할 선에 의해 분할되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저부(40) 위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시일이 저부(40)에 첩부된 경우라도, 시일이 첩부된 영역은 분할 선을 포함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종래보다 더 큰 시일이 저부(40)에 첩부될 수 있으며, 시일이 첩부되는 장소의 자유도는 개선된다. 시일은 본체편(41a) 뿐만 아니라 동부배면편(21)에도 첩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시일이 동부배면편(21)과 본체편(41a) 양쪽에 걸쳐 첩부될 수 있어, 복수의 시일이 패키지(10)에 별도로 첩부되는 경우에 비해서 시일의 인쇄 공정은 더 간단해진다.
노치부(41c, 41d), 절입부(43a, 44a) 및 맞물림부(42d, 42e)가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 형상이지만, 이것들은 곡선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원호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시트의 재질이 판지나 플라스틱 물질과 같이 충분한 강도가 있다면, 노치부(41c) 등은 곡선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동부배면편(21)과 동부정면편(23)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저부편(41)은 저부좌측편(43)과 저부우측편(44)의 사이에 위치하고, 소저부편(42)는 저부좌측편(43)의 좌측부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 1 절입부(43a)는 저부좌측편(43)의 좌측부에, 즉 제 1 돌출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절입부(44a)는 저부우측편(44)의 우측부에 , 즉 제 2 돌출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이며, 기본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차이점은 대저부편(51), 소저부편(52), 저부좌측편(53)과 저부우측편(54)의 형상이다.
즉, 대저부편(51)에서 삽입편(51b)에 인접한 본체부(51a)의 부분(51c, 51d)은 직선적으로 테이퍼져 있고, 삽입편(51b)과 연결되는 부분에 노치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저부좌측편(53)과 저부우측편(54)에 형성된 절입부(53a, 54a)는 반원 형상이 아니고 직각의 각부이다. 소저부편(52)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대략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대상편(52a)과 제 1 돌출편(52b) 및 제 2 돌출편(52c)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소저부편(52)에서 맞물림부(52d, 52e)는 사분원 형상이 아니고 직각의 각부이다. 반면에, 저부좌측편(53)과 저부우측편(54)의 연직 길이는 소저부편(52)의 제 1 돌출편(52b)과 제 2 돌출편(52c)의 길이보다 약간 길고, 저부정면편(23)의 수평길이의 대략 1/4 정도이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며, 조립 방법도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각각의 편끼리의 어긋남이나 불일치의 정도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패키지는 높은 정밀도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저부편의 가장자리부가 무엇인가에 걸렸을 때 가장자리가 말려 올라가는 문제는 좀처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패키지의 강도는 패키지의 크기에 따라 열화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가 있는 판지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를 시트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대저부편(61)의 형상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저부편(61)은 패키지의 저부 개구의 대부분을 덮는 본체편(61a)과, 삽입편(61b)을 가지고 있고, 더욱이, 본체편(61a)과 삽입편(61b) 사이에 제 3 노치부(61c)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노치부(61c)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예각의 노치부(61e)가 제 1 실시예에서의 노치부(4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방식으로(도 2 참조) 형성된다. 즉, 제 3 노치부(61c)는 삽입편(61b)의 길이 방향(동부배면편(21)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 돌출한 맞물림 클로(claw, 61f)가 삽입편(61b)의 단부에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맞물림 클로(61f)의 윤곽은 직각보다 작은 각도로 교차하는 두 개의 직선(A1, A2)을 포함하고 있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조립 방법도 동일하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의 저부에서, 노치부(61c), 저부좌측편(63)의 절입부(63a) 및 맞물림부(62d) 사이의 맞물림 강도와, 노치부(61d), 저부우측편(64)의 절입부(64a) 및 맞물림부(62e)의 맞물림 강도가 증대되어,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무거운 내용물도 보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이다.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대저부편(71)의 형상이다. 즉, 대저부편(71)에서 제 3 노치부(71c, 71d)가 본체편(71a)과 삽입편(71b)의 사이에 설치되어, 맞물림 클로(71e, 71f)가 형성된다. 제 3 노치부(71c, 71d)는 제 3 실시예의 경우 보다 깊고, 맞물림 클로(71e, 71f) 각각의 윤곽은 전체적으로 볼 때 곡선이다. 삽입편의 윤곽에는 제 3 노치부(71c, 71d)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깊이가 제 3 노치부(71c, 71d)보다 얕은 오목부(71g, 71h)가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게 패키지의 저부에, 노치부(71c), 저부좌측편(73)의 절입부(73a) 및 맞물림부(72d)의 맞물림 강도와, 노치부(71d), 저부우측편(74)의 절입부(74a) 및 맞물림부(72e)의 맞물림 강도는 증대되어,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무거운 내용물도 보관할 수 있다. 깊이가 얕은 오목부(71g, 71h)를 설치함으로써, 삽입편(71b)은 패키지의 재질에 따라(예컨대 재료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 소저부편(72) 아래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이다.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게 대저부편(81)의 형상이다. 즉, 대저부편(81)에서, 제 3 노치부(81c, 81d)는 본체편(81a)과 삽입편(81b) 사이에 설치되어 맞물림 클로(81e, 81f)가 형성된다. 제 3 노치부(81c, 81d)는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면 그 깊이가 더 깊고, 맞물림 클로(81e, 81f) 각각의 윤곽은 전체적으로 볼 때 곡선이다. 제 4 실시예의 경우와는 얕은 오목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패키지의 저부에서, 노치부(81c), 저부좌측편(83)의 절입부(83a) 및 맞물림부(82d)의 맞물림 강도와, 노치부(81d), 저부우측편(84)의 절입부(84a) 및 맞물림부(82e)의 맞물림 강도는 증대되어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무거운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이다. 기본 구성은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제 3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소저부편(92)의 형상이다. 즉, 소저부편(92)에서, 제 1 돌출편(92b) 및 제 2 돌출편(92c)은 동부정면편(23)의 반대방향으로 대상편(92a)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된다. 대상편(92a)과 제 1 돌출편(92b) 및 제 2 돌출편(92c) 사이에 형성된 맞물림부(92d, 92e)는 직사각형의 노치부이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패키지의 저부에서, 노치부(61c), 저부좌측편(63)의 절입부(63a) 및 맞물림부(92d)의 맞물림 강도와, 노치부(61d), 저부우측편(64)의 절입부(64a) 및 맞물림부(64a)의 맞물림 강도는 증대되어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무거운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인 패키지의 전개도이다. 패키지는 조립된 경우 육각형 형상의 저부를 가진다. 즉, 본체부(100)는 동부배면편(101), 제 1 동부좌측편(102) 및 제 2 동부좌측편(103), 동부정면편(104)과 제 1 동부우측편(105) 및 제 2 동부우측편(106)을 가진다. 동부배면편(101)은 육각형에 있어서 동부정면편(104)을 대향하는 한 변에 위치된다. 상기 편들(101 내지 106)의 수평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대저부편(111)은 개구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본체편(111a)을 가지고, 삽입편(111b)은 대저부편(111)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소저부편(112)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대상편(112a)과 제 1 돌출편(112b) 및 제 2 돌출편(112c)을 가진다. 저부좌측편(113)은 동부정면편(104)의 좌측부에 인접한 제 2 동부좌측편(103)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제 1 절입부(113a)는 제 1 돌출편(112b)의 인접 위치에 형성된다. 저부우측편(114)은 동부정면편(104)의 우측부에 인접한 제 1 동부우측편(105)의 하부측에 연결된다. 제 2 절입부(114a)는 제 2 돌출편(112c)의 인접 위치에 형성된다. 동부배면편(101)에 따른 방향으로 삽입편(111b)의 길이는 제 1 돌출편(112b)와 제 2 돌출편(112c) 사이의 간격보다 짧다.
육각형 덮개(121)는 그 형상이 개구의 형상과 동일하며, 동부배면편(101)의 상부측에 연결된다. 보조편(122)은 제 1 동부좌측편(102)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제 2 동부좌측편(103)의 상부측에, 제 1 동부우측편(105)의 상부측에, 제 2 동부우측편(106)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연결된다. 보조편(122)의 형상은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며, 저부의 강도의 향상이 필요한 경우 더 큰 크기로 확장할 수 있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조립 과정 역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것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7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가진 패키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정육각형처럼 변의 개수가 짝수인 패키지에도 적용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동부배면편이 동부정면편을 대향하는 한 변에 위치하는 한, 변의 수가 홀수개인 다각형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패키지는 하나의 가요성 판을 접어서 성형되지만, 가요성 판은 두 개의 가요성 판을 연결하거나 접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하였 지만,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자 저부 위에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을 개량해서 정보를 표시하는 개소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이 제공된다.

Claims (13)

  1. 평면 모양으로 전개되어 있고,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에 있어서,
    각각의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서로 연결되어 띠 모양을 형성하는 동부배면편, 동부좌측편, 동부정면편 및 동부우측편을 가지고 있는 본체부;
    상기 동부배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대략 직사각형인 대저부편;
    상기 동부정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부정면편을 따라 뻗어 있는 대상편과, 상기 동부정면편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상기 대상편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한 제 1 돌출편 및 제 2 돌출편을 가지고 있는 소저부편;
    상기 동부좌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편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1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저부좌측편; 및
    상기 동부우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출편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2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저부우측편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저부편의 연직 길이가 상기 동부좌측편의 수평 길이와 대략 동일하고, 상기 대저부편은 그 선단부에 삽입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동부배면편에 따른 방향에서의 상기 삽입편의 길이가 상기 제 1 돌출편과 상기 제 2 돌출편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저부편은 상기 패키지의 저부 개구의 대부분을 덮기 위한 본체부를 포함하고 있고, 원호 형상의 제 1 노치부 및 제 2 노치부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저부편은 상기 패키지의 저부 개구의 대부분을 덮기 위한 본체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동부배면편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한 맞물림 클로가 상기 삽입편의 단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 3 노치부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삽입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클로는 직각보다 작은 각도로 교차하는 두 직선을 포함하는 윤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클로는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의 윤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클로는 상기 제 3 노치부와는 반대측에 형성된 홈이 있는 윤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맞물림 부가 상기 대상편과 상기 제 1 돌출편 및 제 2 돌출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입부와 상기 제 2 절입부의 형상이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저부좌측편과 상기 저부우측편의 연직 길이가 상기 동부정면편의 수평길이의 대략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이 상기 패키지로 조립될 때, 상기 삽입편이 상기 대상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돌출편 및 제 2 돌출편이 상기 저부좌측편과 상기 저부우측편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11. 조립된 경우 저부 개구가 다각형 형상이고, 평면 모양으로 전개되어 있고,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띠 모양을 형성하는, 동부배면편, 동부좌측편, 동부정면편 및 동부우측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동부배면편이 다각형에서 동부정면편과 대향하는 다각형의 한 변에 위치되는 본체부;
    다각형과 대략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동부배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에 삽입편을 가지고 있는 대저부편;
    상기 동부정면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동부정면편을 따라 뻗어 있는 대상편과, 상기 동부정면편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대상편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한 제 1 돌출편 및 제 2 돌출편을 가지고 있는 소저부편;
    상기 동부좌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제 1 절입부가 상기 제 1 돌출편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저부좌측편; 및
    상기 동부우측편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제 2 절입부가 상기 제 2 돌출편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저부우측편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동부배면편에 따른 방향에서 상기 삽입편의 길이가 상기 제 1 돌출편과 상기 제 2 돌출편 사이의 간격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의 형상이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KR1020060007617A 2005-01-28 2006-01-25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KR20060087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21862 2005-01-28
JPJP-P-2005-00021862 2005-01-28
JPJP-P-2005-00290054 2005-10-03
JP2005290054A JP2006232402A (ja) 2005-01-28 2005-10-03 パッケージン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23A true KR20060087423A (ko) 2006-08-02

Family

ID=3675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617A KR20060087423A (ko) 2005-01-28 2006-01-25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07568B2 (ko)
JP (1) JP2006232402A (ko)
KR (1) KR20060087423A (ko)
TW (1) TW200631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8645B1 (ja) * 2023-02-06 2023-10-24 大王パッケージ株式会社 箱用シー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491B2 (ja) * 2007-09-28 2012-06-20 マックス株式会社 箱体
FR2931457A1 (fr) * 2008-05-26 2009-11-27 Ds Smith Kaysersberg Emballage en forme de caisse avec un fond semi-automatiqu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109A (en) * 1907-04-20 1908-05-26 Howe And Davidson Company Container.
US3119546A (en) * 1961-11-20 1964-01-28 Fibreboard Paper Products Corp Container carrier
US3365134A (en) * 1965-10-21 1968-01-23 Crown Paper Box Corp Container with locking cover feature
US3374937A (en) * 1966-01-24 1968-03-26 Le Roy P. Wilson Collapsible setup carton
US4817796A (en) * 1988-03-04 1989-04-04 Essex Group, Inc. Packing box
US5150789A (en) * 1991-01-31 1992-09-29 At&T Bell Laboratories Package of elongated strand material and carton blank thereof
US5529186A (en) * 1994-12-09 1996-06-25 At&T Corp. Boxed pay-out reel for optic fiber cable or wire or the like, with smooth pay-out, high-impact and cable end holding features
JP2000103422A (ja) 1998-09-29 2000-04-11 Kg Pack Kk 包装用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8645B1 (ja) * 2023-02-06 2023-10-24 大王パッケージ株式会社 箱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7568B2 (en) 2009-10-27
JP2006232402A (ja) 2006-09-07
TW200631872A (en) 2006-09-16
US20060169758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7423A (ko)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판
JP4620499B2 (ja) 紙箱
JP6912286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包装箱
JP6127897B2 (ja) スタッキングトレー兼用箱
RU2286296C2 (ru) Твердая пачка с откидной крышкой
JP7156431B2 (ja) 包装箱
JP6733197B2 (ja) 組立箱
JP2007039072A (ja) 梱包箱
JP7365040B2 (ja) 包装容器
JP7354917B2 (ja) 包装箱
JP5001061B2 (ja) 煙草箱を収納する硬質の包装容器
JP2008056262A (ja) 包装用箱
JP3119149U (ja) 包装用箱
JP3217784U (ja) 緩衝仕切り付き包装箱
JP2007182249A (ja) 蓋付きカートン
JP3200520U (ja) 中仕切付包装箱
JP4886604B2 (ja) 変形包装箱
JP3881728B2 (ja) 仕切付包装用箱
JP2020097443A (ja) 収容箱
JP7344528B2 (ja) 包装容器およびその板材
JP7276066B2 (ja) 包装用箱仕切り板及びそのブランクシート
JP3240713U (ja) 包装容器及び展開体
JP6967889B2 (ja) 包装用箱
JP7342767B2 (ja) 包装箱
WO2023073902A1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