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267A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267A
KR20060086267A KR1020057025032A KR20057025032A KR20060086267A KR 20060086267 A KR20060086267 A KR 20060086267A KR 1020057025032 A KR1020057025032 A KR 1020057025032A KR 20057025032 A KR20057025032 A KR 20057025032A KR 20060086267 A KR20060086267 A KR 20060086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guide
ribbon
ribbon guide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022B1 (ko
Inventor
타케시 오오야마
에이시치 쿠게
야스유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 B41J35/10Vibrator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41J35/12Vibrator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adjustable, e.g. for case shift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리본가이드를 인자헤드 또는 상기 인자헤드를 탑재하는 캐리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잉크리본의 교환시 등에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리본가이드의 매체에 접촉하는 면의 마모량이 커져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자품질이 저하되지 않고, 잉크리본 감음에 지장도 없도록 한다. 매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23)와, 상기 캐리지(23)에 탑재되고, 상기 매체 위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헤드(15)와, 상기 인자헤드(15)의 선단면에 잉크리본을 가이드하는 리본 가이드(16)를 갖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가이드(16)는, 상기 매체에 접촉하는 매체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23) 또는 인자헤드(15)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인자헤드, 리본가이드, 캐리지, 매체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은행, 우체국, 신용 금고 등의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예금통장 등의 통장에 기장하기 위해 통장 기장기 등의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 상기 프린터에 있어서는, 매체로서 통장의 소정 위치에 인자하여 기장하기 위해, 삽입구로부터 통장 기장기에 삽입된 통장을 반송로에 마련된 반송 롤러 등의 롤러에 의해 인자부까지 반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자부는, 인자헤드, 반송로를 끼워서 상기 인자헤드에 대향하는 플래튼 및 상기 인자헤드의 선단면을 따라 주행하는 잉크리본을 가이드 하는 리본가이드를 갖는다. 또, 상기 리본 가이드는 인자헤드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매체가 인자부에 도달하면, 플래튼이 상승하여 매체의 밑면을 지지하고, 매체의 윗면을 리본 가이드에 밀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인자헤드가 매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자를 행한다. 이에 따라 매체는 리본 가이드와 플래튼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이 소정 거 리로 유지되므로, 인자헤드에 의한 매체로의 인자가 안정되게 행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공평 6-5021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리본 가이드의 매체에 접촉하는 면이 마모되어,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장기간에 걸쳐 리본 가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리본 가이드의 매체에 접촉하는 면의 마모량이 커지고,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이 크게 변화된다. 이렇게,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이 변화되면, 매체로의 인자가 불안정하게 되고, 인자가 희미해지게 되어, 인자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잉크리본이 원활히 주행할 수 없게 되어, 잉크리본 감음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단, 정기적으로 또는 매체에 접촉하는 면의 마모량이 커졌을 경우에, 리본 가이드를 교환하도록 하면,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리본 가이드는 인자헤드에 볼트, 나사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고 있기 때문에, 리본 가이드를 교환하려면 시간과 수고가 들게 된다. 그 때문에 리본 가이드를 교환하려면 프린터를 장시간에 걸쳐 정지시켜야 하므로, 프린터의 스루풋이 저하된다.
또한 리본 가이드 전체를 또는 적어도 매체에 접촉하는 면을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매체에 접촉하는 면의 마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은 고가이며, 또한 가공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리본 가이드의 원가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프린터의 원가도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프린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리본 가이드를 인자헤 드 또는 상기 인자헤드를 탑재하는 캐리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잉크리본 교환시에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리본 가이드의 매체에 접촉하는 면의 마모량이 커져서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자품질이 저하되지 않고, 잉크리본 감음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매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탑재되어 상기 매체 위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헤드와, 상기 인자헤드의 선단면에 잉크리본을 가이드하는 리본가이드를 갖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가이드는, 상기 매체에 접촉하는 매체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 또는 인자헤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기 리본 가이드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결합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캐리지 또는 인자헤드의 피결합부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기 리본 가이드는, 상기 잉크리본을 가이드하는 리본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리본 가이드 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조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프린터에 있어서는, 상기 리본 가이드는, 상기 인자헤드의 선단면이 삽입되는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매체 가이드면은 상기 개구 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프린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리본 가이드는, 상기 잉크리본의 교환시에 교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 가이드가 장착된 캐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래튼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 1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래튼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 2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자헤드의 지지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의 A시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입체도이며, 잉크리본을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프린터이며, 매체(18)를 삽입하는 매체 삽입구(11), 매체(18)가 반송되는 매체 반송로(12), 상기 매체 반송로(12)를 따라 여러 개 마련된 반송 롤러(13) 및 압축 롤러(14), 상기 매체 반송로(12)의 중간의 인자부(20)에 마련된 인자헤드(15), 후술하는 캐리지(23)에 장착된 리본가이드(16) 및 인자부(20)에 마련된 플래튼(17)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프린터(10)는, 은행, 우체국, 신용 금고 등의 금융기관에 있어서, 예금통장 등의 통장에 기장하기 위한 통장 기장기 등이다. 또, 상기 프린터(10)는, 통장 기장기로서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도 좋고, ATM(Automatic Teller Machine :현금자동인출기), CD(Cash Dispenser :현금자동지불기)등의 자동거래 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된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매체(18)는 프린터(10)에 의해 인자되는 대상이다. 또한 매체(18)의 종류별로는, 예금통장 등의 통장 및 금융거래의 명세가 기입된 고객용 거래 명세표로서 사용되거나, 금융기관 내부에서의 업무용으로 사용되거나, 프린터(10)의 보수 등을 위해 사용되는 단표가 있다. 여기에서는, 여러장의 종이 등을 겹친 책자 모양으로 되어있는 매체(18)를 통장으로 칭하고, 한 장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매체(18)를 단표라고 칭한다. 또, 보통, 단표에는 통장을 덮은 사이즈의 덮은 사이즈 단표와 통장을 벌린 사이즈의 벌린 사이즈 단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반송 롤러(13)는, 매체 반송로(12)의 상측 가이드(12a)에 형성 된 구멍부로부터 매체 반송로(12)내로 외주부가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도시되지 않은 스텝핑 모터 등의 반송용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은 기어, 톱니가 있는 벨트 등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회전된다. 또, 상기 압축 롤러(14)는, 매체 반송로(12)의 하측 가이드(12b)에 형성된 구멍부로부터 매체 반송로(12)내로 외주부가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반송 롤러(13)에 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18)는, 반송 롤러(13)와 압축 롤러(14)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져서 반송된다. 이 경우, 상기 반송 롤러(13)는, 동심도(同心度), 외형치수 등이 엄밀히 관리되어 제조된 것으로, 예를 들면 단위 스텝당 1/180[인치]의 이송량으로 매체(18)를 스텝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반송 롤러(13)의 표면은 고마찰 부재로 형성되어 매체(18)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자헤드(15)는, 감열방식, 와이어 도트 방식, 열전사 방식 등의 기록방식을 채용하는 것으로, 잉크리본을 사용하는 것이면 어떠한 기록방식이라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와이어 도트 방식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인자헤드(15)내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 구동장치가 인자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하여 소정의 인자 와이어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인자 와이어의 선단이 후술과 같이 잉크리본(21)을 통해 매체(18)을 타격함으로써, 매체(18)위에 인자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10)는, 인자헤드(15)가 매체(18)의 반송 방향(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에 있어서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주사함으로써, 상기 매체(18)위에 인자를 행하는 시리얼 타입이다. 이 경우, 상기 인자헤드(15)는 , 후술과 같이 주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샤프트(24)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된 캐리지(23)에 탑재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 샤프트(24)는 프린터(10)의 프레임(2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매체(18)가 소정위치에 셋트되면, 상기 캐리지가 매체(18)를 따라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인자헤드(15)가 상기 매체(18)위에 인자를 행한다. 이에 따라, 1행 분의 인자가 종료되면, 반송 롤러(13)와 압축 롤러(14)가 상기 매체(18)를 소정거리만큼 반송하고, 소정 위치에 셋트하여 행바꿈을 행한다. 계속해서, 다시, 상기 캐리지가 매체를 따라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인자 헤드(15)가 상기 매체(18)위에 인자를 행한다. 이후,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매체(18)위에 소정 행의 인자를 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린터(10)는, 통장이나 단표와 같이, 두께가 다른 매체(18)에 인자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매체(18)가 통장인 경우, 벌린 페이지에 의해 두께가 다르거나, 부분적으로 두께가 바뀌거나 한다. 예를 들면 최초의 페이지를 벌린 상태로 기장기에 삽입된 통장의 경우, 반송 방향에 관한 앞 절반은 두께가 얇지만, 접은 자국 이후 즉 뒤 절반은 두께가 두껍다. 한편, 최종 페이지를 벌린 상태에서 기장기에 삽입된 통장의 경우, 반송 방향에 관한 앞 절반은 두께가 두껍지만, 접은 자국 이후, 즉 뒤 절반은 두께가 얇다.
그래서, 인자헤드(15)가 매체(18)를 따라 주사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인자헤드(15)와 매체(18)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캐리지에 매체(18)의 윗면을 안내하는 리본 가이드(16)가 장착되고 있다. 또 , 상기 리본 가이드(16)는 인자헤드(15)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매체(18)의 이면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서 플래튼(17)이 인자헤드(15)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플래튼(17)은, 도시되지 않은 플래튼 상하 이동장치에 의해 인자헤드(15)에 대하여 상하 이동되고, 매체(18)가 인자부(20)에 도달하면,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플래튼(17)은 매체(18)를 아래쪽에서 리본 가이드(16)로 민다. 이렇게, 플래튼(17)과 리본 가이드(16) 사이에 매체(18)를 끼움으로써, 상기 인자헤드(15)와 매체(18)와의 간격을 인자에 적절한 소정거리를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프린터(10)는, 인자헤드(15) 또는 리본 가이드(16)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자헤드(15)와 매체(18)의 간격을 인자에 적합한 소정 거리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플래튼(17)을 이동시키고, 매체(18)의 위치를 규제한다. 상기 인자헤드(15)와 매체(18)의 간격이 인자에 적합한 소정거리로 유지되므로, 인자헤드(15)에 의한 매체(18)로의 인자가 안정되게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플래튼(17)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래튼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 1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래튼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 2의 도면이다.
우선, 매체(18)가 매체 삽입구(11)에 삽입되면, 반송용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이 반송 롤러(13)에 전달되고, 상기 반송 롤러(13)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18)는, 도 3과 같이, 반송 롤러(13)와 압축 롤러(14)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 짐으로써, 매체 반송로(12)내를 인자부(20)를 향해 반송된다.
이 경우, 인자헤드(15)는, 매체(18)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매체맞이 위치에 있다. 그리고, 플래튼 상하 이동장치는, 인자헤드(15)와 연동하고, 상기 인자헤드(15)가 매체(18)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플래튼(17)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즉, 플래튼(17)을 하강시키도록 되어있다. 그 때문에, 도 3과 같이 플래튼(17)과 리본 가이드(16)와의 사이가 넓어져, 매체(18)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매체(18)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반송 롤러(13)가 회전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매체(18)의 반송 방향에 관한 위치가 셋트된다. 계속 해서 상기 캐리지가 매체(18)를 따라 상기 매체(18)의 폭방향 즉 주사방향으로 이동하고, 인자헤드(15)가 상기 매체(18) 상의 인자 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인자헤드(15)가 상기 매체(18)위로 이동하면, 플래튼 상하 이동 장치는, 인자헤드(15)와 연동하고, 플래튼(17)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즉, 상기 플래튼(17)을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체(18)는 플래튼(17)과 리본 가이드(16)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인자헤드(15)와 매체(18)와의 간격이 인자에 적합한 소정거리로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인자 와이어의 선단이 잉크리본(21)을 통해 매체(18)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매체(18)위에 인자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인자헤드(15)와 매체(18)와의 간격이 소정거리로 유지되므로, 상기 인자 와이어의 선단이 적절한 거리만큼 돌출한 상태에서 매체(18)를 타격할 수 있고, 고품질의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잉크리본(21)은, 도시되지 않는 잉크리본 카세트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이 경우, 잉크리본(21)은, 카세트 케이스내에 수납되고, 인자헤드(15)가 이동하면 도시되지 않는 감는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기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잉크리본(21)의 전체 길이를 전부 사용하여 인자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한 후에 잉크리본(21)의 농도가 저하된 경우에는, 잉크리본 카세트를 교환함으로써, 잉크리본(21)을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플래튼(17)은, 도시하고 있지 않은, 스프링 부재(22)를 통해 지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플래튼(17)은 스프링 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어 매체(18)의 밑면으로 눌리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22)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플래튼(17)과 리본 가이드(16) 사이에 매체(18)를 끼움으로써, 상기 인자헤드(15)와 매체(18)와의 간격을 인자에 적합한 소정거리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매체(18)의 두께가 변화되어도 상기 플래튼(17)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매체(18)의 두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주사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인자헤드(15)의 지지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자헤드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의 A시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24)는 양단이 프린터(10)의 프레임(22)에 고정되고, 플래튼(17)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24)에는, 캐리지(23)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체(18)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캐리지(23)는 도시되지 않은 스텝핑 모터 등의 이동용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이 피드스크류, 기어, 톱니가 있는 벨트 등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가이드 샤프트(24)에 따라 왕복된다. 이 경우, 상기 캐리지(23)는 예를 들면 단위 스텝당 1/180〔인치〕의 이송량으로 가이드 샤프트(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지(23)에는 인자헤드(15) 및 리본 가이드(16)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용 구동원이 인자 데이터를 기초로 동작하여 소정의 이동량만큼 캐리지(23)를 이동시킴으로써, 인자헤드(15)가 매체(18)위에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캐리지(23)에는 매체(18)의 측단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장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리본 가이드(16)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 가이드가 장착된 캐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입체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입체도이며, 잉크리본을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 가이드(16)는, 본체부재(31)와 보조부재(44)를 갖는다. 또, 상기 리본 가이드(16)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상관없지만,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구비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재(31)와 보조부재(44)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재(31)와 보조부재(44)는 각각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부재(31)는, 개략 직방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인자헤드(15)의 앞면 및 상기 앞면의 양측면을 덮도록 앞면부(31a)와 상기 앞면부(31a)의 양측에 접속된 각각의 측면부(31b)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인자헤드(15)의 앞면이라 함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인자 와이어가 돌출하는 선단면(15a)을 구비하는 면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재(31)의 각각의 측면부(31b)에는, 결합 부재(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부재(32)의 도 6에 있어서의 하측의 단부에는, 내측중심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형상의 결합 돌기부(32a)가 결합부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32)는, 중심부근에 형성된 연결부(32b)에 의해 상기 측면부(31b)에 연결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32b)는 비교적 얇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탄성 변형되기 쉽다. 그 때문에 결합 부재(32)의 도 6에 있어서의 상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조작부(32c)를 오퍼레이터가 손가락으로 상기 측면부(31b)를 향해 누름으로써 연결부(32b)가 탄성변형되고, 결합 돌기부(32a)가 조작부(32c)와 반대 방향으로, 즉 외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조작부(32c)의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에 의하여 원래 상태에 복귀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23)의 측면에 형성된 피결합부로서의 결합 오목부(26)에 상기 결합 부재(32)의 결합 돌기부(32a)를 결합시키고, 리본 가이드(16)를 캐리지(23)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손가 락으로 상기 결합 부재(32)의 조작부(32c)를 상기 측면부(31b)를 향해 누름으로써, 결합 돌기부(32a)가 이동하고, 상기 결합 돌기부(32a)와 결합 오목부(26)와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리본 가이드(16)를 캐리지(2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본 가이드(16)는, 캐리지(23)에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다. 또, 도 1에 있어서, 부호 25는 캐리지(23)에 형성된 가이드 샤프트 삽입구멍이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 삽입구멍(25)에 가이드 샤프트(24)가 삽입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결합 오목부(26)와 같은 결합 오목부를 인자헤드(15)에 형성하고, 리본 가이드(16)를 인자헤드(15)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31)의 앞면부(31a)에는 하측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돌출부(34)의 중심에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이 삽입되는 개구로서의 선단면 삽입 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면 삽입 개구(35)의 양측에는, 잉크리본(21)을 가이드하는 리본 가이드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본 가이드 홈(36)은, 하측 돌출부(34)의 중심에 접근할 만큼 얕게 되어 있다. 즉, 리본 가이드 홈(36)의 바닥면은, 하측 돌출부(34)의 중심에 접근할 만큼 전진하고,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과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잉크리본(21)은 원활히 가이드되고,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의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하측 돌출부(34)에 있어서의 선단면 삽입 개구(35)의 하측에는, 매체에(18)에 접촉하는 매체 가이드면(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체 가이드면(37)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자헤드(15)가 탑재된 캐리지(23)에 리본가이드 (16)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보다도 앞쪽으로 돌출한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체(18)가 플래튼(17)과 리본 가이드(16) 사이에 끼워진 경우, 매체 가이드면(37)에 접촉하는 매체(18)의 윗면과 상기 선단면(15a)과의 간격을 소정거리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소정거리라 함은, 인자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선단면(15a)으로부터 돌출하여 매체(18)를 타격하기 위해 적절한 거리, 즉, 핀 스트로크이다. 또, 상기 매체(18)의 윗면과 선단면(15a)과의 간격에는, 잉크리본(21)이 주행한다. 이렇게, 상기 매체 가이드면(37)은 선단면 삽입 개구(35) 측에 위치하고, 상기 매체(18)의 윗면과 선단면(15a) 사이에 핀 스트로크를 확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31)의 앞면부(31a)에는 상측 돌출부(41)가 형성되고, 상기상측 돌출부(41)의 중심에는, 매체(18)에 접촉하는 매체 가이드면(42)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매체 가이드면(42)은 선단면 삽입 개구(35)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 돌출부(34)에 형성된 매체 가이드면(37)과 같은 위치까지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의 상측 및 하측 즉, 양측에 있어서, 선단면 삽입 개구(35) 측에 위치하는 매체 가이드면(42) 및 매체 가이드면(37)이 매체(18)의 윗면에 접촉하므로, 매체(18)의 윗면과 선단면(15a)과의 사이에 핀 스트로크가 확실하게 확보된다.
한편, 보조부재(44)는, 본체부재(31)의 앞면부(31a)에 형성된 리본 가이드 홈 (3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재(44)의 아래쪽 면에는, 끼워 맞추는 돌기(46) 및 끼워 맞추는 돌기(47)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끼워 맞추는 돌기(46) 및 끼워 맞추는 돌기(47)를 본체부재(31)의 위쪽 면에 형성된 끼워 맞추는 구멍(38) 및 끼워 맞추는 구멍(43)에 맞춰짐으로써 보조부재(44)가 본체부재(31)에 장착되도록 되어있다. 이 경우, 끼워 맞추는 돌기(46) 및 끼워 맞추는 돌기(47)는, 끼워 맞추는 구멍(38) 및 끼워 맞추는 구멍(43)에,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있다. 그 때문에 본체부재(31)에 장착된 보조부재(44)는 프린터(10)의 동작 중에 빠지는 경우가 없다. 본체부재(31)와 보조부재(44)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끼워 맞추는 돌기(46) 및 끼워 맞추는 돌기(47)와 끼워 맞추는 구멍(38) 및 끼워 맞추는 구멍(43)을 가열 등의 수단에 의해 용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끼워 맞추는 돌기(46) 및 끼워 맞추는 돌기(47) 및 끼워 맞추는 구멍(38) 및 끼워 맞추는 구멍(43)의 수는, 도면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 각각 2씩이지만 몇 개라도 좋으며,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워 맞추는 돌기(46) 및 끼워 맞추는 돌기(47) 및 끼워 맞추는 구멍(38) 및 끼워 맞추는 구멍(43)을 형성하는 위치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재(44)를 본체부재(31)에 장착하기 전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리본(21)을 리본 가이드 홈(36)내에 셋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보조부재(44)를 본체부재(31)에 장착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부재(44)가 리본 가이드 홈(36)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므로, 잉크리본(21)이 리본 가이드 홈(36)에서 빠지는 경우가 없다. 즉, 상기 보조부재(44)는, 잉크리본(21)이 리본 가이드(16)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리고, 상기 리본 가이드 홈(36)의 바닥면과 보조부재(44)의 도시되지 않은 내측 면과의 사이의 공간을 잉크리본(21)이 주행한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잉크리본(21)의 도시가 생략되고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재(44)의 앞면의 중심으로부터의 부분에는, 좌우에 매체 가이드면(45)이 형성된다. 또, 좌우의 매체 가이드면(45)끼리의 간격은,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의 폭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체 가이드면(4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자헤드(15)가 탑재된 캐리지(23)에 리본 가이드(16)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의 좌우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매체 가이드면(45)은 선단면 삽입 개구(35)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부재(31)에 형성된 매체 가이드면(42) 및 매체 가이드면(37)과 같은 위치까지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의 좌우, 즉, 주사방향 양측에 있어서, 상기 매체 가이드면(45)이 매체(18)의 윗면에 접촉하므로, 캐리지(23)가 매체(18)를 따라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인자헤드(15)가 상기 매체(18)위에 인자를 행할 경우에, 매체(18)의 윗면과 선단면(15a)과의 사이에 핀 스트로크가 확실하게 확보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 부재(32)의 조작부(32c)를 측면부(31b)를 향해서 누름으로써, 연결부(32b)가 탄성변형하고, 결합돌기부(32a)가 외측을 향해 이동하며, 조작부(32c)의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에 의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손가락으로 조작부(32c)를 조작함으로써, 캐리지(23)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26)에 상기 결합 부재(32)의 결합 돌 기부(32a)를 결합시키고, 리본 가이드(16)를 캐리지(23)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오퍼레이터가 손가락으로 상기 결합 부재(32)의 조작부(32c)를 상기 측면부(31b)를 향해 누름으로써, 결합 돌기부(32a)가 이동하고, 상기 결합 돌기부(32a)와 결합 오목부(26)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리본 가이드(16)를 캐리지(2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본 가이드(16)를 인자헤드(15)가 탑재되는 캐리지(23)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오목부(26)와 동일한 결합 오목부를 인자헤드(15)에 형성하고, 리본 가이드(16)를 인자헤드(15)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상기 리본 가이드(16)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한 후에 잉크리본(21)의 농도가 저하하여 잉크리본의 교환을 위해 잉크리본 카세트를 교환할 때 등에, 리본 가이드(16)도 동시에 교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본 가이드(16)의 매체 가이드면(37), 매체 가이드면(42), 매체 가이드면(45) 등의 마모량이 커지기 전에 리본 가이드(16)를 교환할 수 있고, 매체 가이드면(37), 매체 가이드면(42), 매체 가이드면(45)등의 마모에 의해 매체(18)의 윗면과 인자헤드(15)의 선단면(15a)과의 간격이 변화되는 경우가 없다. 이에 따라 매체(18)의 윗면과 선단면(15a)과의 사이에 핀 스트로크가 확실하게 확보되므로, 인자품질이 저하되지 않으며, 잉크리본(21) 감음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도 없다.
또한 매체 가이드면(37), 매체 가이드면(42), 매체 가이드면(45) 등의 마모에 의해 리본 가이드(16)가 매체(18)에 닿는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가 없다. 그 때문에 매체(18)가 항상 적절한 힘으로 리본 가이드(16)에 눌리기 때문에, 매체(18)의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매체(18)가 떠올라, 이른바 공타(空打)현 상이 생기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공타음과 같은 인자에 따르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매체(18)가 통장이더라도 이 통장 속지의 절곡이나 인자 피치의 어긋남이 일어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리본 가이드(16)는, 본체부재(31)와 보조부재(44)를 조합하도록 되어있다. 그 때문에 리본 가이드(16)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상기 리본 가이드(16)의 원가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10)의 원가가 상승하지 않는다.
또한, 끼워 맞추는 돌기(46) 및 끼워 맞추는 돌기(47)를 끼워 맞추는 구멍(38) 및 끼워 맞추는 구멍(43)에 끼워 맞추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 단시간에 본체부재(31)와 보조부재(44)를 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본 가이드(16)의 교환 시에, 새로운 리본 가이드(16)를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캐리지(23)에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하여 여러가지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본 가이드를 인자헤드 또는 상기 인자헤드를 탑재하는 캐리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잉크리본의 교환시에 있어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본 가이드의 매체에 접촉하는 면의 마모량이 커져서 매체의 윗면과 인자헤드와의 간격 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자품질이 저하되지 않으며, 잉크리본 감음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Claims (5)

  1. (a)매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와,
    (b)상기 캐리지에 탑재되어, 상기 매체 위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헤드와,
    (c)상기 인자헤드의 선단면에 잉크리본을 가이드하는 리본 가이드를 갖는 프린터에 있어서,
    (d)상기 리본가이드는, 상기 매체에 접촉하는 매체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 또는 인자헤드에 착탈가능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가이드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부가 상기 캐리지 또는 인자헤드의 피결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가이드는 상기 잉크리본을 가이드하는 리본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리본 가이드 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보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가이드는, 상기 인장 헤드의 선단면이 삽입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매체 가이드면은 상기 개구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가이드는, 상기 잉크리본의 교환시에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57025032A 2003-07-23 2004-06-15 프린터 KR100896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0221 2003-07-23
JP2003200221A JP4050665B2 (ja) 2003-07-23 2003-07-23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267A true KR20060086267A (ko) 2006-07-31
KR100896022B1 KR100896022B1 (ko) 2009-05-11

Family

ID=3410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032A KR100896022B1 (ko) 2003-07-23 2004-06-15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050665B2 (ko)
KR (1) KR100896022B1 (ko)
CN (1) CN1809467B (ko)
TW (1) TWI295638B (ko)
WO (1) WO20050097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60B1 (ko) * 2013-11-14 2014-12-08 김재호 프린터용 리본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633A (ja) * 2007-06-29 2009-01-15 Oki Data Corp リボンガイドユニット及び印刷装置
JP5853630B2 (ja) * 2011-11-21 2016-02-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印字ヘッド機構
JP2013177219A (ja) * 2012-02-28 2013-09-09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5875A (ja) * 1992-11-26 1994-06-03 Tokyo Electric Co Ltd プリンタ
TW577828B (en) * 2000-02-18 2004-03-01 Max Co Ltd Printer
JP2003080812A (ja) * 2001-09-13 2003-03-19 Oki Electric Ind Co Ltd リボンカセットおよびプリンタ
JP4325156B2 (ja) * 2002-08-19 2009-09-02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60B1 (ko) * 2013-11-14 2014-12-08 김재호 프린터용 리본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40987A (ja) 2005-02-17
CN1809467A (zh) 2006-07-26
TWI295638B (en) 2008-04-11
JP4050665B2 (ja) 2008-02-20
KR100896022B1 (ko) 2009-05-11
TW200508045A (en) 2005-03-01
CN1809467B (zh) 2011-07-27
WO2005009740A1 (ja) 200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876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EP2535198B1 (en) Platen gap adjustment mechanism and printer
EP1174276A1 (en) Recording apparatus with gap lever position detected through serial carriage position
US6360657B1 (en) Printer
US5000598A (en) Guide mechanism for dot matrix printer
KR100896023B1 (ko) 프린터
KR100896022B1 (ko) 프린터
JP2920895B2 (ja) プリンタ
CN102139580B (zh) 压印平板及记录装置
JPH04135769A (ja) ピンチローラとキャリッジガイドを組み合わせてなるプリンタ
US7997579B2 (en) 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41299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laten with a plurality of impact surfaces
JPH10309842A (ja) 記録装置
JP4089536B2 (ja) プリンタ
JPH10250184A (ja) 記録装置
US8419015B2 (en) Image recording device
JP4353622B2 (ja) プリンタ
JP2000225740A (ja) 冊子印字装置
KR101016225B1 (ko) 수직형 통장 프린터
KR200364014Y1 (ko) 강제이송이 가능한 통장프린터
KR200341062Y1 (ko) 통장프린터의 롤러지지구조
JP2002002056A (ja) プリンタ
JPH10329376A (ja) 冊子印字装置
JPH0647303B2 (ja) シリアルプリンタ
JP2011032003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