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192A -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 - Google Patents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192A
KR20060085192A KR1020060005991A KR20060005991A KR20060085192A KR 20060085192 A KR20060085192 A KR 20060085192A KR 1020060005991 A KR1020060005991 A KR 1020060005991A KR 20060005991 A KR20060005991 A KR 20060005991A KR 20060085192 A KR20060085192 A KR 20060085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connector
control unit
drive
brush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504B1 (ko
Inventor
히데유키 야기
세이이치 무라카미
마사노리 다케우치
나오히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1/00Locks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other than pad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03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6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a motor-reduction unit and a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into oscill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wip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에 따르면, 커넥터부(7e)는 홀더베이스부(7b)로부터 요크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전기신호를 제공받도록 외부커넥터(12)와 연결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접점 베이스부(7f)는 홀더베이스부(7b)로부터 기어하우징(41)의 요크하우징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통공(51d)을 통해 기어하우징(41)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접점 베이스부(7f)는 고정접점(31 내지 33)과 브러시(10a, 10b)간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단자(21 내지 25)를 지지한다. 구동단속유닛(13)은 외부커넥터(12)로부터 제공받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브러시(10a, 10b)를 통해 전기자(6)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도록 커넥터부(7e)에 장착된다.
와이퍼, 와이퍼모터, 단자, 요크하우징, 외부커넥터, 구동단속유닛

Description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WIPER MOTOR FOR DRIVING WIP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의 사시도.
도2는 본 실시예의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홀더의 측면도.
도4는 본 실시예의 브러시홀더장치의 저면도.
도5는 본 실시예의 브러시홀더장치 및 구동단속유닛을 나타낸 분해도.
도6은 본 실시예의 모터의 개략도.
도7은 본 실시예의 가동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8b는 도8a의 원형부 ⅧB의 확대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와이퍼모터 4: 요크하우징
6: 전기자 7: 브러시홀더장치
7b: 홀더베이스부 7e: 커넥터부
7f: 접점 베이스부 7g: 브러시홀더부
10a, 10b: 브러시 12: 외부커넥터
12a: 외부측 연결부 13: 구동단속유닛
21 내지 25: 단자 21t 내지 24t: 홀더측 단자연결부
22a 내지 24a: 접점측 단자연결부 31 내지 33: 접점부재
36: 구동단속회로 37: 회로기판
38: 구동단속회로 연결부 39a 내지 39d: 커넥터측 연결부
41: 기어하우징 42: 웜샤프트
43: 웜휠 44: 섹터기어
45: 공간유지플레이트 46: 출력샤프트
51d: 연통공 54: 가동플레이트
E: 전원 W: 와이퍼
본 발명은 와이퍼를 구동하기 위한 와이퍼모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 등에 설치되는 종래 제안된 와이퍼시스템의 와이퍼모터는 자동 정지스위치(소정 위치에서 와이퍼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자동정지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퍼모터에서, 상기 와이퍼(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한 와이퍼)를 정지시키도록 와이퍼 스위치가 턴오프(turn off)되더라도, 상기 와이퍼는 즉각적으로 무조건 정지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와이퍼 스위치의 턴오프에 따라 상기 와이퍼는 소정 위치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된다. 상기 자동정지 스위치는 가동플레이트(가동접점) 및 복수 개의 고정콘택트(고정접점)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는 와이퍼모터의 감속장치의 휠기어에 고정되고, 소정의 도전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접점은 가동플레이트(가동접점)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가동접점)과 고정접점 간의 접속/분리를 통해 상기 와이퍼모터로의 전력공급은 와이퍼스위치의 턴오프 후에 와이퍼가 소정정지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자동정지스위치를 통해 유지된다.
또한 종래 제안된 와이퍼모터는 와이퍼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단속회로를 포함한다(일본특허공개 제2001-289286호 공보 참조). 상기 와이퍼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자동정지스위치와의 협력이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단속회로와 고정접점 간의 연결이 필요로 된다. 그러므로 일본공개특허 제2001-289286호 공보에는 구동단속회로와 고정접점 간의 전기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휠기어를 수용하는 기어하우징의 외면에 구동단속회로를 포함하는 유닛이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퍼모터에서, 상기 구동단속회로와 고정접점 간의 전기접속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와이퍼모터에서, 모터본체의 전력공급 브러시와 자동정지스위치(고정접점) 간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도전성 배선 및 상기 브러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도전성 배선은 기어하우징의 외면에 별개의 접속유닛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구성부품수 및 조립작업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와이퍼모터에서, 기어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고 외측으로 돌출하는 출력샤프트는 차량본체에 형성된 장착공을 통해 차량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차량본체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출력샤프트를 따라 차량본체의 내측으로 물(예를 들면, 빗방울 또는 세차시의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기어하우징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단속회로 및 접속유닛을 구비한 유닛이 기어하우징의 외면에 제공되는 상기한 방식의 와이퍼모터에서, 도전성 배선의 방수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대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조립작업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도전성 배선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퍼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를 제공한다. 상기 와이퍼모터는 요크하우징, 전기자, 기어하우징, 휠기어, 출력샤프트, 브러시홀더장치 및 구동단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는 요크하우징에 회전가능 하게 수용된다. 상기 기어하우징은 요크하우징에 연결된다. 상기 휠기어는 기어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전기자의 회전을 감속시킨다. 상기 휠기어는 휠기어의 일단면에 고정되고 전기전도성 패턴을 구비한 가동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샤프트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휠기어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출력샤프트는 와이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브러시홀더장치는 요크하우징과 기어하우징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브러시홀더장치는 복수개의 브러시, 홀더 베이스부, 커넥터부, 접점 베이스부 및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는 전기자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홀더 베이스부는 복수개의 브러시를 유지하는 브러시홀더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부는 홀더 베이스부로부터 요크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부커넥터로부터 전기신호를 제공받도록 외부커넥터와 연결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접점 베이스부는 기어하우징의 요크하우징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통해 홀더 베이스부로부터 기어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점 베이스부는 가동플레이트의 전기전도성 패턴과 슬라이딩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고정접점을 지지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접점은 소정 위치에서 와이퍼를 정지시키도록 휠기어의 회전에 응답하여 가동플레이트의 전기전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 및 비접속된다.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배선은 복수개의 고정접점과 복수개의 브러시 사이에 전기접속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브러시홀더장치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외부커넥터로부터 제공받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브러시를 통해 전기자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동단속유닛이 브러시홀더장치에 장착됨에 따 라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동단속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를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퍼모터는 차량의 후방 와이퍼시템의 와이퍼모터로서 적용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시스템은 와이퍼모터(이하, 간단히 "모터"라 칭함)(1) 및 와이퍼(W)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는 모터본체(2) 및 기어부(3)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해 보면, 상기 모터본체(2)는 요크하우징(이하, 간단히 "요크"라 칭함)(4), 2개의 자석(5) 및 전기자(6)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4)는 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5)은 요크(4)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전기자(6)는 요크(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요크(4)는 2개의 아치형부(4a)(도1 및 도2) 및 2개의 평면형부(도1)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아치형부(4a)는 전기자(6)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전기자(6)의 회전축 Y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다. 상기 자석(5)은 각각 상기 아치형부(4a)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평면형부(4b)는 상기 아치형부(4a)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요크(4)는 전기자(6)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축되는 대략 편평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평면형부(4b)의 대향방향(평면형부(4b)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4)의 개방부에는 플랜지부(4c)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4c)는 요크(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요크(4)에는 브러시홀더장치(7)가 배치된다. 도2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홀더장치(7)는 전기절연을 제공하는 수지재료(전기절연성 수지재료)로 몰딩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브러시홀더수지부(7a)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홀더수지부(7a)는 홀더베이스부(7b), 플랜지부(7c)(도3), 연장부(7d), 커넥터부(7e) 및 접점베이스부(7f)를 포함하며 이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베이스(7b)는 요크(4)의 개방부로 수용되는, 즉 요크(4)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베이스부(7b)의 중앙홀에는 베어링(8)(도2)이 유지되고, 상기 전기자(6)의 회전샤프트(9)의 선단측은 상기 베어링(8)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요크(4)의 내측 홀더베이스부(7b)에는 브러시홀더(7g)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자(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홀더부(7g)에 전력공급브러시(10a, 10b)가 유지된다. 상기 브러시(10a, 10b)는 회전샤프트(9)에 고정되는 정류자(11)에 대하여 가압된다. 상기 플랜지부(7c)는 홀더베이스부(7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장부(7d)는 아치형부(4a)의 일측에서 플랜지부(7c)의 일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연장부(7d)는 회전샤프트(9)의 반경방향으로 아치형부(4a)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부(7e)는 연장부(7d)의 선단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커넥터부(7e)는 외부커넥터(12)(도4)가 평면형부(4b)의 대향방향, 즉 상기 평면형부(4b)의 어느 하나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 도4에서 상방향으로 커넥터부(7e)에 연결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부(7e)에는 대략 사각관형 커넥터 끼워맞춤부(7h)(도5)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부(7h)는 평면형부 (4b)의 대향방향, 즉 평면형부(4b)의 어느 하나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 도4에서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커텍터(12)는 커넥터 끼워맞춤부(7h)에 연결가능하게(삽입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넥터부(7e)에는 홀더베이스부(7b)의 평면에 대략 평행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부를 갖는 커넥터 끼워맞춤부(7h)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부(7h)의 개방부의 개방방향으로부터 대향되는 대향측(도4에서 하부측)의 커넥터부(7e)에 장착부(7i)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7i)에는 후술할 구동단속유닛(13)이 장착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7i)는 상기 커넥터부(7e)의 각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결합클로오(7j)를 구비한다.
상기 접점베이스부(7f)는 홀더베이스부(7b)로부터 기어하우징(41)측 후방향(도2 또는 도3에서 하방향)으로 돌출하여 브러시홀더부(7g)와 커넥터부(7e) 사이에 형성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베이스부(7f)는 평면형부(4b)(도1)의 어느 하나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얇게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베이스부(7f)는 전기자(6)의 회전축(X) 측의 평면형부(4b)에 위치된다. 즉 상기 커넥터 베이스부(7f)는 평면형부(4b) 중 하나에 보다 가깝고 도4의 하부측에 있는 전기자(6)의 회전축(X) 측에 위치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홀더장치(7)에서, 홀더측 도전성 배선으로서 제공되는 복수개의 단자(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단자)(21 내지 25)는 그 각 단자(21 내지 25)의 일부분이 브러시홀더 수지부(7a)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블러시홀더 수지부(7a)에 인서트-몰딩된다. 상기 각 단자(21 내지 25)는 전기도 전성 금속플레이트(판형 도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 중 하나의 단자(21)는 제1전력공급단자(고전위 전력단자)로서 제공된다. 상기 단자(21)의 일단부는 커넥터부(7e)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단자(21)의 타단부는 홀더베이스부(7b)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베이스부(7b)에 설치되는 쵸크코일(26)을 통해 브러시(10a)에 연결된다(도4에서 단순한 형태로 나타내며, 보다 자세히는 도9 참조). 또한 상기 단자(21)의 타단부는 상기 홀더베이스부(7b)에 설치되는 캐패시터(C)(도4에서 단순한 형태로 나타내고, 도9에는 나타내지 않음)의 제1단자 연결부에 연결된다.
상기 단자 중 다른 단자(22)는 제2전력공급단자(저전위 전력단자)로서 제공된다. 상기 단자(22)의 일단부는 커넥터부(7e)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단자(22)의 타단부는 홀더베이스부(7b)로 연장되고 그 홀더베이스부(7b)에 설치되는 브레이커(braker)(27)(도4에서 단순한 형태로 나타내며, 보다 자세하게는 도9 참조)의 제1단자 연결부에 연결된다. 상기 단자(22)의 일단부 및 타단부 사이에는 그 단자(22)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기되는 방식으로 접점측 단자연결부(22a)가 형성된다. 상기 접점측 단자연결부(22a)는 접점 베이스부(7f)의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그 접점측 단자 연결부(22a)의 선단부에 돌기(22b)(도3)를 구비한다. 상기 접점측 단자연결부(22a)는 전기자(6)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점측 단자연결부(22a)는 그 접점측 단자연결부(22a)의 플레이트 두께방향이 상기 평면형부(4b)(도1)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상기 접점측 단자연결부(22a)의 평면이 평면형성부(4b)의 평면과 대략 평행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22b) 는 벤딩되어 접점베이스부(7f)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도3의 평면의 전방측)으로 돌출된다. 도3은 돌기(22b)의 두 편의 선단팁부를 대향방향으로 각각 벤딩하는 분할 벤딩에 의하여 고정되는 돌기(22b)를 나타내고 있다.
제1고정접점측 단자(23)의 일단부는 상기 커넥터부(7e)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고정접점측 단자(23)의 타단부는 접점측 단자연결부(22a)에 평행하고 접점측 단자연결부(22a)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접점측 단자연결부(23a)로 형성된다. 상기 접점측 단자연결부(23a)의 선단 팁부에는 상기 돌기(22b)와 유사한 돌기(23b)(도3)가 형성된다.
제2고정접점측 단자(24)의 일단부는 커넥터부(7e)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고정접점측 단자(24)의 타단부는 접점측 단자연결부(22a)에 평행하고 접점측 단자연결부(22a)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접점측 단자연결부(23a)로 형성된다. 상기 접점측 단자연결부(24a)의 선단 팁부에는 상기 돌기(22b)와 유사한 돌기(24b)(도3)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베이스부(7b)에는 중간연결단자(25)가 배치된다. 상기 중간연결단자(25)의 일단부는 브레이커(27)의 제2단자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연결단자(25)의 중간부는 브러시(10b)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단자(25)의 타단부는 캐패시터(C)의 제2단자 연결부에 연결된다(도4에 간단히 나타내고 도9에는 나타내지 않음). 본 실시예의 캐패시터(C), 쵸크코일(26) 및 브레이커(27)는 홀더베이스부(7b)에 배치되고, 연결구성의 명확한 이해를 돕도록 도4에 간단히 나타내었다. 상기 커넥터부(7e)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자(21 내지 24)의 노출단부는 커넥 터 끼워맞춤부(7h)의 개방부의 개방방향으로부터 대향되는 대향측(도4에서 하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자(21 내지 24)의 노출단부는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를 형성한다.
상기 브러시홀더장치(7)는 접점부재(31 내지 33)을 포함한다. 상기 접점부재(31 내지 33)는 접점측 단자연결부(22a 내지 24a)의 선단 팁부, 즉 돌기(22b 내지 24b)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접점부재(31 내지 33)는 동일 형태로 형성된다(즉 단일 부품번호를 갖는다). 상기 각 접점부재(31 내지 33)는 전기전도성 탄성(스프링)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단부(31b 내지 33b), 경사부(31c 내지 33c) 및 접촉부(31d 내지 33d)를 구비한다. 상기 각 접점부재(31 내지 33)의 베이스단부(31b 내지 33b)를 통해 관통공(31a 내지 33a)(도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31c 내지 33c)는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접점부재(31 내지 33)의 베이스단부(31b 내지 33b)로부터 경사지게 벤딩된다. 상기 접촉부(31d 내지 33d)는 경사부(31c 내지 33c)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22b 내지 24b)는 접점부재(31 내지 33)의 관통공(31a 내지 33a)을 통해 수용되고, 상기 접점부재(31 내지 33)에 대하여 돌기(22b 내지 24b)를 고정하도록 대응하는 접점부재(31 내지 33)의 면에 대한 대향방향으로 각 돌기(22b 내지 24b)의 2개의 선단 팁부를 벤딩하여 이루어진 분할벤딩부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점부재(31 내지 33)는 돌기(22b 내지 24b)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접점부재(31 내지 3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점측 단자연결부(22a 내지 24a) 및 접점부재(31 내지 33)는 평면형부(4b)의 평면에 평행 한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고정접점을 형성한다.
상기 브러시홀더장치(7)(브러시홀더 수지부(7a)에는 실부재(seal)(34)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부재(34)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부재(34)는 대략 플랜지부(7c)와 연장부(7d)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러시홀더장치(7)에 구동단속유닛(13)이 장착된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단속유닛(13)은 구동단속유닛커버(35) 및 회로기판(37)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37)은 와이퍼(W)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단속회로(36)를 제공한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단속회로(36)는 외부커넥터(12)를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모터본체(2)에 구동전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와 같은 다양한 회로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단속유닛커버(35)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커넥터부(7e)의 장착부(7i)에 장착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단속유닛커버(35)는 플레이트부(35a) 및 암 결합부(35b)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35a)는 커넥터 끼워맞춤부(7h)의 개방방향으로부터 대향되는 커넥터부(7e)의 대향측(도4에서 하부측)을 대체로 커버한다. 상기 암결합부(35b)는 결합클로오(7j)와 결합된다. 상기 회로기판(37)은 구동단속유닛커버(35)의 플레이트부(35a)에 위치된다. 상기 구동단속유닛커버(35)가 커넥터부(7e)의 장착부에 장착될 경우, 상기 회로기판(37)은 커넥터부(7e)의 장착부(7i) 내측에 수용되고 유지된다. 상기 구동단속유닛(13)(구동단속유닛커버(35))는, 상기 암결합부(35b)가 커넥터부(7e)의 결합클로오(7j)와 결합될 때, 커넥터부(7e)(브러시홀더장치(7))에 분리가능하게 연결, 즉 장착된다.
상기 회로기판(37)에는 복수개의 구동단속회로 연결부(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구동단속회로 연결부)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구동단속유닛(13)(구동단속유닛커버(35))가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장착될 때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회로기판(37)의 평면에 직교하고 상기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대하여 구동단속유닛(13)의 장착방향(전술한 출력샤프트(46)의 회전축에 대략 평행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37)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수 연결부인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에 대응하는 암 연결부로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7)은 복수개의 커넥터측 연결부(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는 외부커넥터(12)가 커넥터부(7e)의 장착부(7i)에 연결될 때 외부커넥터(12)의 외부측 연결부(12a)(암 연결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는 회로기판(37)의 평면에 직교하고,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대하여 구동단속유닛(13)의 장착방향과 일치하는 방향(도4에서 상방향)으로 회로기판(37)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의 선단부는 구동단속유닛(13)(구동단속유닛커버(35))가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연결될 때 커넥터 끼워맞춤부(7h)에 수용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해 보면, 상기 기어부(3)는 기어하우징(31), 웜샤프트(42), 웜휠(43)(휠기어로서 제공됨), 섹터기어(44), 공간유지플레이트(45) 및 출력샤프트(4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웜샤프트(42) 및 웜휠(43)은 전기자(6)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전달하는 감속장치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섹터기어(44) 및 공간유지플레이트(45)는 웜휠(43)의 회전운동을 출력샤프트(46)의 왕복피벗운동으로 전환하는 왕복구동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기어하우징(41)은 하우징본체(51)와 커버(52)(도2에서는 커버의 일부분만을 나타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본체(51)는 수용홈(51a)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51a)의 개방부는 타측의 평면형부(4b)에 보다 가깝고 도2의 평면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측에서 전기자(6)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커버(52)는 상기 수용홈(51a)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51)는 전기전도성 재료인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 다이캐스트 제품이다. 상기 수용홈(51a)의 외벽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51)의 요크(4)측 단부는 요크(4)의 개방부 형태(플랜지부(4c))에 대응하는 대응형태를 갖는 고정부(51b)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51)는 브러시홀더장치(7)의 플랜지부(7c)가 고정부(51b)와 요크(4)의 플랜지부(4c) 사이에서 실부재(34)를 통해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스크류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부(51b)를 플랜지부(4c)에 고정시킴으로써 요크(4)에 고정된다. 즉 상기 요크(4)와 기어하우징(41)이 서로 고정되게 연결될 경우, 상기 브러시홀더장치(7)는 그들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회전샤프트(9)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우징 본체(51)의 고정부(51b)에는 중앙홀(51c)(도6)이 형 성된다. 상기 중앙홀(51c)은 수용홈(51a)의 내측과 요크(4) 사이를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접점 베이스부(7f)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 본체(51)의 고정부(51b)에는 연통공(51d)(도6)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51d)은 수용홈(51a)의 내측과 요크(4) 사이를 연통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요크, 브러시홀더장치(7) 및 하우징 본체(51)(기어하우징(41))가 서로 조립될 경우, 상기 회전샤프트(9)의 선단부는 중앙홀(51c)을 통해 수용홈(51a)의 내측(기어하우징(41)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점 베이스부(7f)(고정접점)는 연통공(51d)를 통해 수용홈(51a)의 내측(기어하우징(4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51a)의 개방부는 타측의 평면형부(4b)에 보다 가깝고 도2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측에서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접점 베이스부(7f)(고정접점)은 일측의 평면형부(4b)에 보다 가깝고 도2의 평면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측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접점 베이스부(7f)(고정 접점)는 웜휠(43)에 비하여 수용홈(51a)의 베이스(저부)에 보다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수용홈(51a)은 웜수용부(51e), 휠수용부(51f) 및 출력샤프트 수용부(51g)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웜수용부(51e)는 회전샤프트(9)의 회전축(Y)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하는 연장선을 따라 위치되는 웜샤프트(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웜샤프트(42)는 웜수용부(51e)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지지된다. 상기 웜샤프트(42)는 회전샤프트(9)와 웜샤프트(42)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인트부(53)를 통해 회전샤프트(9)에 결합된다.
상기 휠수용부(51f)는 커넥터부(7e)가 위치되는 웜수용부(51e)의 일측(도2의 좌측)에 형성된다. 상기 웜휠(43)은 휠수용부(51f)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웜휠(43)의 일부분은 웜샤프트(42)와 치합된다. 상기 웜휠(42)의 회전축은 평면형부(4b)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도전성 패턴을 구비하는 가동플레이트(54)는 웜휠(43)의 일단면(수용홈(51a)의 저부가 존재하는 측에 위치되는 면)에 제공된다. 도7에서 상기 가동플레이트(54)의 전기전도성 패턴은 웜휠(43)의 외주연의 방사상 내측으로 위치되는 2개의 이점쇄선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점부재(31 내지 33)의 접촉부(31d 내지 33d)는 접점부재(31 내지 33)의 탄성으로 인하여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가동플레이트(54)(구체적으로 가동플레이트(54)를 포함하는 웜휠(43)의 일단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종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도전성 패턴은 웜휠(43)의 회전(회전각)에 응답하여 가동플레이트(54)의 도전성패턴에 대하여 접점부재(31 내지 33)의 접촉부(31d 내지 33d)를 전기적으로 접속/비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샤프트 수용홈(51g)은 커넥터부(7e)가 위치되지 않는, 즉 휠수용부(51f)로부터 대향되는 측의 웜수용부(51e)의 타측에 형성된다. 원통형 출력샤프트 지지부(51h)(도1)는 상기 출력샤프트 수용부(51g)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연장한다. 상기 출력샤프트(46)의 베이스단부는 출력샤프트 수용부(51g)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샤프트(46)는 그 출력샤프트(46)의 선단부가 출력샤프트 지지부(51h)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출력샤프트 지지부(51h)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웜휠(43) 및 출력샤프트(46)는 그 웜휠(43)과 출력샤프트(46) 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섹터기어(44)와 공간유지플레이트(45)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섹터기어(44)는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섹터기어(44)의 베이스 단부는 웜휠(43)의 중앙으로부터 이동된 위치에서 웜휠(4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섹터기어(44)의 선단에는 기어부(44a)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샤프트(46)의 베이스단부에 형성되는 기어부(46a)와 치합된다. 상기 섹터기어(44)는 수용홈(51a)의 개방부에 보다 가까운 웜휠(43)의 일측(도2의 평면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공간유지플레이트(45)는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유지플레이트(45)의 일단부는 섹터기어(44)의 기어부(44a)의 기어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공간유지플레이트(45)의 타단부는 출력샤프트(46)의 베이스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유지플레이트(45)는 기어부(44a)의 기어중심과 출력샤프트(46) 사이에서 축선 간격(거리)을 유지한다. 상기 공간유지플레이트(45)는 수용홈(51a)의 개방부에 보다 가까운 섹터기어(44) 측(도2의 평면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웜휠(43)이 회전될 경우, 상기 출력샤프트(46)는 섹터기어(44)의 작용(및 공간유지플레이트(45)의 작용)을 통해 왕복가능하게 피벗된다(왕복가능하게 회전된다).
도8a 및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는 차량본체의 내측(후방 해치도어(hatch door))(55)에 대략 전체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출력샤프트(46)의 선단부만이 차량본체(55)에 형성된 장착개방부(55a)를 통해 차량본체(55)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후방 윈도우창(와이핑면)(55b)을 와이핑하기 위한 상기 와이퍼(후방 와이 퍼)(W)는 차량본체(5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출력샤프트(46)의 선단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출력샤프트(46)가 왕복 피벗될 경우, 상기 와이퍼(W)는 후방 윈도우창(55b)을 와이핑하도록 왕복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9를 참조하여 차량본체(55)에 모터(1)가 장착되고, 커넥터부(7e)(커넥터 끼워맞춤부(7h))에 차량본체(55)측 외부커넥터(12)가 설치됨에 따른 모터(1)의 전기적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회로기판(37)은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 및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로기판측 도전성 배선(36b)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커넥터측 연결부(39a)는 퓨즈 및 점화스위치를 통해 전원(고전위측 전원)(E)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측 연결부(39b, 39c)는 차량 운전석에 배치되는 선택스위치(61)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측 연결부(39d)는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상기 선택스위치(61)는 정지위치(P1)(OFF), 통상작동위치(P2)(ON) 및 동작단속위치(P3)(INT)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위치(P1)(OFF)는 모터(1)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상동작위치(P2)(ON)는 모터(1)를 연속해서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동작단속위치(P3)(INT)는 소정의 정지간격으로 모터(1)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지간격은 요구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지위치(P1)에서 상기 선택스위치(61)는 어떠한 커넥터측 연결부(39b, 39c)도 그라운드에 연결하지 않는다(전기적으로 플로팅(floating) 상태를 이룬다). 상기 통상동작상태(P2)에서 상기 선택스위치(61)는 커넥터측 연결부(39b)를 그라운드에 연결한다. 상기 동작단속위치(P3)에서 상기 선택스위치(61)는 커넥터측 연결 부(39c)를 그라운드에 연결한다.
상기 모터(1)에서 상기 선택스위치(61)가 통상동작위치(P2)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전원(고전위측 전원)은 커넥터측 연결부(39a), 릴레이 코일(RY), 다이오드(A) 및 선택스위치(61)를 통해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릴레이 접점c의 연결은 릴레이 접점b로부터 릴레이 접점a로 전환되고, 상기 전원(E)은 릴레이 접점a. 릴레이 접점c 및 쵸크코일(26)을 통해 커넥터측 연결부(39a)로부터 브러시(10a)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력은 가동플레이트(54)와 접점부재(31 내지 33) 간의 접촉상태와 관계없이 모터(1)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도록 모터(1)로 공급된다. 즉 상기 출력샤프트(46)(와이퍼(W))는 와이퍼(W)로 윈도우창을 연속적으로 와이핑하도록 왕복 회전된다.
상기 선택스위치(61)가 동작단속위치(P3)로 전환될 경우, 구동단속회로(36)의 동작단속회로(36a)로부터 제공받은 동작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짧은 시간 동안 스위칭소자(S)는 턴온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소정의 짧은 시간 동안, 상기 전원(고전위측 전원)(E)은 커넥터측 연결부(39a), 릴레이 코일(RY), 다이오드(B) 및 선택스위치(61)를 통해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릴레이 접점a의 연결은 릴레이 접점b로부터 릴레이 접점a로 임시적으로 전환되고, 상기 전원(E)은 가동플레이트(54)와 접점부재(31 내지 33) 간의 접촉상태에 관계없이 릴레이 접점a, 릴레이 접점c 및 쵸크코일(26)을 통해 커넥터측 연결부(39a)로부터 브러시(10a)로 연결된다. 그 결과 상기 모터(1)는 소정의 짧은 시간 동안 회전된다. 이러한 소정의 짧은 시간 동안의 모터(1)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가동플레이트(54)는 접점부재(32)와 접점부재(33) 간의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짧은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스위칭소자(S)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릴레이 코일(RY)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상기 릴레이 접점c의 연결은 릴레이 접점a로부터 릴레이 접점b로 전환된다. 그 결과 상기 가동플레이트(54)와 접점부재(31 내지 33) 간의 접촉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브러시(10a)에 연결된 전원(E)은 접점부재(33), 가동플레이트(54), 접접부재(32), 릴레이 접점b, 릴레이 접점c 및 쵸크코일(26)을 통해 브러시(10a)에 연결된다. 즉 전력은 가동플레이트(54)와 접점부재(31 내지 33) 간의 접촉상태에 따라 전원(E)으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54)가 와이퍼(W)의 소정 정지위치(Q)(도8a)에 대응하는 소정의 각도위치(가동플레이트(54)가 접점부재(31)와 접점부재(32) 간을 연결하는 위치)에 다다를 경우, 상기 가동플레이트(54)와 접점부재(31 내지 33) 간의 접촉상태에 따라 공급이 유지되는 상기 전원(E)의 전력공급은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1)는 정지되고, 상기 와이퍼(W)는 소정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상기 선택스위치(61)가 동작단속위치(P3)에 위치될 경우, 상기 동작구동회로(36)의 동작단속회로(36a)의 동작신호는 전술한 동작을 간헐적으로 반복하도록 소정의 정지시간에서 스위칭소자(S)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는 간헐적으로 동작된다. 즉 상기 출력샤프트(46)(와이퍼(W))는 와이퍼(W)가 윈도우창을 간헐적으로 와이핑하도록 간헐적으로 왕복하여 피벗된다.
상기 선택스위치(61)가 통상동작위치(P2) 또는 동작단속위치(P3)로부터 정지위치(P1)로 전환될 때, 상기 가동플레이트(54)가 소정 각도위치(가동플레이트(54)의 도전성 패턴이 접점부재(31)와 접점부재(32) 간을 연결하는 위치)에 위치될 경 우, 상기 전원(E)의 전력공급은 즉시 턴오프되고, 상기 브러시(10a)는 접접부재(31, 32)(도9 참조)를 통해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1)는 정지된다. 이 때 상기 가동플레이트(54)가 소정 각도위치에 위치되지 않고, 이에 따라 가동플레이트(54)의 도전성 패턴이 접점부재(32)와 접점부재(33) 간을 연결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릴레이 코일(RY)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릴레이 접점c의 연결은 릴레이 접점a로부터 릴레이 접점b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E)은 접점부재(33), 가동플레이트(54), 접점부재(32), 릴레이 접점b, 릴레이 접점c 및 쵸크코일(26)을 통해 브러시(10a)에 연결된다. 즉 전력은 가동플레이트(54)와 접점부재(31 내지 33) 간의 연결상태에 따라 전원(E)으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54)가 웜휠(43)과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 와이퍼(W)의 정지위치(Q)에 대응하는 소정 각도위치(가동플레이트(54)의 도전성 패턴이 접점부재(31)와 접점부재(32) 간을 연결하는 위치)에 다다를 경우, 상기 가동플레이트(54)와 접점부재(31 내지 33) 간의 접촉상태에 따라 공급이 유지되는 상기 전원(E)의 전력공급은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1)는 정지되고, 상기 와이퍼(W)는 소정 위치(Q)에서 정지된다. 즉 상기 선택스위치(61)가 정지위치(P1)로 전환될 경우, 상기 모터(1)로의 전력공급은 가동플레이트(54)가 와이퍼(W)의 소정 정지위치(Q)에 대응하는 소정 각도위치에 다다를 때까지 유지되고, 그런 다음 상기 소정 각도위치에서 자동적으로 턴오프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54)(웜휠(43))가 소정 각도위치(도9에 나타낸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와이퍼(W)는 예를 들면 후방 윈도우창(55b)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소정의 정지위치(Q)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선택스위치(61)가 통상동작위치(P2) 또는 동작단속위치(P3)로부터 정지위치(P1)로 전환될 경우, 상기 와이퍼(W)는 상기 소정의 정지위치(Q)에서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도8a에서 상기 소정 정지위치(Q)에서의 와이퍼(W)는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와이퍼(W)는 후방 윈도우창(55b)의 와이핑 경로(도8a에서 점선으로 나타냄)를 따라 회전된다. 도8a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와이퍼(W)는 윈도우창(55b)의 와이핑 경로에서의 방향전환지점에 위치된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1) 커넥터부(7e), 접점부재(31 내지 33)(고정접점) 및 브러시(10a, 10b)는 브러시홀더장치(7)의 단자(21 내지 25)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브러시홀더장치(7)에 장착되는 구동단속유닛(13)은 단자(21 내지 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각각 전기적 접속을 필요로 하는 전술한 다수의 부품은 브러시홀더장치(7)에서 일체화된 단자(21 내지 25)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연결유닛의 장착을 필요로 하는 종래 제안된 기술과 비교해 볼 때, 요구되는 부품수 및 조립작업수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구동단속유닛(13)은 (기어하우징(41)에 대하여) 출력샤프트(46)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된 브러시홀더장치(7)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물(예를 들면 빗방물 또는 세차시의 물)이 출력샤프트(46)를 따라 차량본체(55)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물은 구동단속유닛(13)으로의 침입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각 전기적 접속을 필요로 하는 전술한 다수의 부품은 브러시홀더장치(7)에 일체화된 단 자(21 내지 25)를 통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수의 부품에 대한 방수성은 각 개별 부품을 별개로 보호할 필요없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도전성 배선의 방수성은 단순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2) 구동단속유닛(13)은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구동단속회로(36)는 다른 설계사양에 따라 설계된 다른 구동단속회로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구동단속회로(36) 고장의 수리작업과 같은 보수관리 작업성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3)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구동단속유닛(13)의 장착상태에서,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단자(21 내지 24)의 홀더측 단자 연결부(21t 내지 24t)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그 결과 장착단계와 별개로 실행되는 전기접속을 이루기 위한 별도의 연결단계를 불필요 함). 그러므로 제조(조립)은 용이해진다.
(4) 구동단속유닛(13)은 외부커넥터(12)의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구동단속회로(36)를 통해 상기 외부커넥터(12)(외부측 연결부(12a))를 단자(21 내지 25)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은 단순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측 연결부가 커넥터부에 미리 제공되는 경우, 커넥터측 연결부와 구동단속회로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구성(전기적 접속)이 필요로 된다. 이는 전기 연결부의 신뢰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전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구동단속회로(36)는 외부커넥터(12)의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전기 연결부의 개수는 감소된다. 따라서 전기 연결부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고, 필요한 부품수는 감소될 수 있다.
(5) 외부커넥터(12)의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는 모두 구동단속유닛(13)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 및/또는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39d)의 형태 및/또는 구성은 예를 들면 이들 부품의 제조성을 용이할 수 있도록 단일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전원(저전위측 전원)의 단자(22)는 그라운드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9). 그러므로 홀더측 단자연결부(22t)는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벤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이 이루어질 경우, 단자(22)는 구동단속유닛(13)의 다른 단자(21, 23, 24)와 다르게 다른 형태를 구비하고, 단자(22)의 커넥터측 연결부의 상대적 위치는 구동단속유닛(13)의 다른 커넥터측 연결부로부터 쉽게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 대응하는 전기 연결부는 단일화된 형태로 이루어져 동일 부품(동일 부품번호를 갖는 부품)이 사용될 수 있어 부품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6)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대하여 구동회로유닛(13)의 장착방향(도4에서 상방향)으로 회로기판(37)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므로 구동단속유닛(13)이 커넥터부(7e)에 장착될 때,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7)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는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대하여 구동단속유닛(13)의 장착방향(도4에서 상방향)으로 회로기판(37)으로부터 돌출된 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단속유닛(13)이 커넥터부(7e)에 장착될 때, 상기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는 커넥터부(7e)의 커넥터 끼워맞춤부(7h)로 용이하게 가이드된다.
(8) 편평 도전성부재(탄성 도전성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단자(21 내지 25)는 브러시홀더장치(7)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재료(브러시홀더 수지부(7a))에 임베딩(embedding)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각 전기적 연결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부품은 브러시홀더장치(7)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단자(21 내지 25)는 서로 가깝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자(21 내지 25)들 간의 전기절연은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예는 다음과 같다.
앞의 실시예에서 암 결합부(35b) 및 커넥터부(7e)의 결합클로오(7j) 때문에 상대적으로 용이한 방식으로 구동단속유닛(13)은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단속유닛(13)은 커넥터부(7e)로부터 구동단속유닛(13)의 분리를 제한하도록 예를 들면 본딩재료에 의하여 커넥터부(7e)에 분리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앞의 분리가능한 장착은 암 결합부(35b)와 결합클로오(7j) 이외에 스크류와 같은 어떠한 다른 구성부품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앞의 실시예에서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구동단속유닛(13)의 장착상태에서,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어떠한 별도의 연결단계 필요없이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부(7e)(장착부(7i))에 구 동단속유닛(13)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단계와는 별개로 홀더측 단자연결부(21t 내지 24t)에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구동단속유닛(13)은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는 커넥터부에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커넥터측 연결부는 구동단속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는 모두 구동단속유닛(13)에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전원(저전위 전원)의 단자(22)의 홀더측 단자연결부(22t)는 대응하는 외부측 연결부(12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측 연결부로 더 연장되고 벤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구동단속회로 연결부(38)는 구동단속유닛(13)이 커넥터부(7e)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회로기판(37)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단속유닛(13)은 기판(37)이 구동단속유닛(13)에 구비되지 않고 구동단속회로가 구동단속유닛커버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구동단속회로 연결부가 구동단속유닛커버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커넥터측 연결부(39a 내지 39d)는 구동단속유닛(13)이 커넥터부(7e)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회로기판(37)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단속유닛(13)은 회로기판(37)이 구동단속유닛(13)에 구비되지 않고 구동단속회로가 구동단속유닛커버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커넥터측 연결부가 구동단속유닛커버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자(21 내지 25)는 편평한 도전성 부재(전기전도성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브러시홀더장치(7)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절연수지재료(브러시홀더 수지부(7a))에 임베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다른 적절한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측 도전성 배선(편평한 도전성 부재로 각각 이루어진 단자(21 내지 25))은 절연수지재료(브러시홀더 수지부(7a))에 홀더측 도전성 배선을 임베딩(embedding)하는 대신에 절연수지재료(브러시홀더 수지부(7a))에 외부로 전체적으로 노출되게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본체(51)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우징 본체(51)는 알루미늄 합금 이외의 어떠한 다른 적절한 금속이나 어떠한 적절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셔모터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와셔액을 공급하기 위한 와셔연동모드(와셔연동 동작위치)는 와셔모터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종래 제안된 와셔연동 구동회로의 와셔연동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차량 운전석에 배치된 전술한 실시예의 선택스위치(61)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차량 후방와이퍼 시스템(와이퍼 모터(1))에 적 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 전방와이퍼 시스템(와이퍼 모터)에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섹터기어(44) 및 공기유지플레이트(45)는 모터(1)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모터(1)의 출력샤프트는 웜휠(43)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링크메커니즘을 통해 전방와이퍼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요크(4)는 대략 편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단면을 갖는 원형과 같은 어떠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기자는 단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전기자의 회전운동은 출력샤프트의 왕복 피벗운동으로 전환된다. 또한 전기자는 공지의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와이퍼를 왕복 구동시키도록 전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모터는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조립작업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도전성 배선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에 있어서,
    요크하우징;
    상기 요크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전기자;
    상기 요크하우징에 연결되는 기어하우징;
    상기 요크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전기자의 회전을 감속시키며, 전기전도성 패턴을 구비한 가동플레이트가 일단면에 고정되는 휠기어;
    상기 휠기어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되며, 상기 와이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출력샤프트;
    상기 요크하우징과 기어하우징 사이에 장착되는 브러시홀더장치; 및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에 장착되는 구동단속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홀더장치는 상기 전기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브러시,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를 유지하는 브러시홀더를 구비한 홀더베이스부, 상기 홀더베이스부로부터 요크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부커넥터에 연결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외부커넥터로부터 전기신호를 제공받는 커넥터부, 상기 홀더베이스부로부터 상기 기어하우징의 요크하우징측 단부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통해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부로 연장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전기전도성 패턴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고정접점을 구비하는 접점베이스부, 및 적어도 두 개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접점과 복수개의 브러시 간을 전기접속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홀더 측 도전성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고정접점은 소정 위치에서 와이퍼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휠기어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전기전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비접속되며,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상기 외부커넥터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를 통해 상기 전기자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에 구동단속유닛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동단속회로를 구비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에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의 커넥터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두 개의 배선 각각은 홀더측 단자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의 커넥터부에 상기 구동단속유닛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배선의 홀더측 단자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구동단속회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상기 커넥터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외부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외부측 연결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구동단속회로;
    상기 복수개의 구동단속회로 연결부;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측 연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구동단속회로 연결부와 하나 이상의 커넥터측 연결부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측 도전성 배선을 구비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동단속회로 연결부 및 상기 구동단속유닛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측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대하여 구동단속유닛의 장착방향으로 돌출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연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배선 각각은 편평한 도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홀더측 도전성 배선 중 적어도 두 개의 도전성 배선 각각의 일부분은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의 절연수지재료에 임베딩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휠기어의 회전운동을 출력샤프트의 왕복피벗운동으로 전환하는 왕복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출력샤프트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샤프트는 상기 전기자의 회전축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전기자의 회전축의 타측에 위치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휠은 상기 전기자의 회전축의 타측에 위치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속유닛은
    상기 출력샤프트의 회전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브러시홀더장치에 장착되는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 모터.
KR1020060005991A 2005-01-21 2006-01-19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 KR101098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4363 2005-01-21
JP2005014363A JP4319629B2 (ja) 2005-01-21 2005-01-21 ワイパモータ及びワイ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192A true KR20060085192A (ko) 2006-07-26
KR101098504B1 KR101098504B1 (ko) 2011-12-26

Family

ID=3608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991A KR101098504B1 (ko) 2005-01-21 2006-01-19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71021B2 (ko)
EP (1) EP1683694B1 (ko)
JP (1) JP4319629B2 (ko)
KR (1) KR101098504B1 (ko)
CN (1) CN100553075C (ko)
DE (1) DE60200600056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95Y1 (ko) * 2010-07-16 2011-08-09 계양전기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5981B1 (fr) * 2004-02-06 2006-04-21 Valeo Systemes Dessuyage Moto-reducteur notamment pour mecanisme d'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FR2897484A1 (fr) * 2006-02-15 2007-08-1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Dispositif d'entrainement,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ligne equipotentielle dans un dispositif d'entrainement
JP4886431B2 (ja) * 2006-08-31 2012-02-29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モ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DE102006045929A1 (de) * 2006-09-28 2008-04-03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träger zur Aufnahme von Motorelektronik
DE102006045928A1 (de) * 2006-09-28 2008-04-03 Robert Bosch Gmbh Anschlusssystem mit außenliegender Leitungsführung an Wischermotorgehäusen
DE102006057282A1 (de) * 2006-12-05 2008-06-12 Robert Bosch Gmbh Antriebsvorrichtung von Fahrzeugaggregaten
JP4914261B2 (ja) * 2007-03-23 2012-04-11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
KR100887535B1 (ko) * 2007-04-10 2009-03-09 주식회사 아모텍 어스피레이션 모터용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어스피레이션모터 및 인카 센서
JP5185676B2 (ja) * 2008-03-28 2013-04-17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ホルダ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JP5227657B2 (ja) * 2008-05-20 2013-07-03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5173668B2 (ja) * 2008-08-18 2013-04-03 株式会社ミツバ 減速機構付モータ
DE102009000458A1 (de) * 2009-01-28 2010-07-29 Robert Bosch Gmbh Leistungselektronik für Schalenantrieb
RU2510561C2 (ru) 2009-07-30 2014-03-27 Мицуба Корпорейшн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с редуктором
US10320265B2 (en) 2009-07-30 2019-06-11 Mitsuba Corporation Wiper motor
DE102010063018A1 (de) * 2010-12-14 2012-06-14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JP5926892B2 (ja) 2011-04-11 2016-05-2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の製造方法
FR2982220B1 (fr) * 2011-11-07 2014-01-10 Valeo Systemes Dessuyage Commutateur electrique pour systeme d'entrainement de balai d'essuyage et systeme d'entrainement associe
CN102501831A (zh) * 2011-11-17 2012-06-2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雨刮装置
DE102012102811A1 (de) * 2012-03-30 2013-10-02 Valeo Wischersysteme Gmbh Scheibenwischermotor und Entstörbaugruppe für einen Scheibenwischermotor
JP6091160B2 (ja) * 2012-10-25 2017-03-08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装置
DE102012224494A1 (de) 2012-12-28 2014-07-03 Robert Bosch Gmbh Getriebeanordnung für einen Wischermotor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2224489A1 (de) 2012-12-28 2014-07-03 Robert Bosch Gmbh Getriebeanordnung für einen Wischermotor eines Kraftfahrzeuges
BR112015024313B1 (pt) * 2013-03-22 2021-11-23 Mitsuba Corporation Aparelho motor
JP5889237B2 (ja) * 2013-03-29 2016-03-22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装置
US9837776B2 (en) 2013-07-11 2017-12-05 Mitsuba Corporation Electric motor
CN104309581A (zh) * 2014-10-28 2015-01-28 成都峰达科技有限公司 实用的刮水器控制线路
KR20160066723A (ko) 2014-12-03 2016-06-13 (주) 보쉬전장 차량의 와이퍼 모터의 자동정지 토크 조절 방법
KR102064553B1 (ko) 2017-04-12 2020-01-20 강형석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166B1 (ko) 2017-04-12 2019-07-11 류동선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의 제조방법
RU2762001C1 (ru) * 2021-03-01 2021-12-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у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ТулГУ) Корпус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1948A1 (de) * 1980-06-12 1981-12-24 Rau Swf Autozubehoer Elektrische antriebseinheit, insbesondere fuer scheibenwischer eines kraftfahrzeuges
DE3235622A1 (de) * 1982-09-25 1984-03-29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Elektrischer kleinmotor, insbesondere fuer scheibenwischanlagen in kraftfahrzeugen
JPS59141478A (ja) 1983-01-31 1984-08-14 長谷川 杢治 液体肥料の製法
JPS61169355A (ja) * 1985-01-22 1986-07-31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ワイパ−装置
JPS6490849A (en) * 1987-09-30 1989-04-07 Asmo Co Ltd Wiper device
DE3838285C2 (de) * 1988-11-11 1996-09-12 Teves Gmbh Alfred Elektromotor, insbesondere elektrischer Kleinmotor zum Antrieb von Scheibenwischeranlagen in Kraftfahrzeugen
JPH04128069U (ja) * 1991-05-14 1992-11-20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
JP3268014B2 (ja) 1992-07-24 2002-03-25 株式会社東芝 色抽出装置
FR2699758B1 (fr) * 1992-12-17 1995-02-03 Valeo Systemes Dessuyage Unité d'entraînement pour un 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JP3568415B2 (ja) 1999-03-30 2004-09-22 アスモ株式会社 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のモータユニット
DE60041683D1 (de) * 1999-11-11 2009-04-16 Mitsuba Corp Wasserdichte Stuktur für einen Wischermotor
JP3764839B2 (ja) 2000-04-07 2006-04-12 株式会社ミツバ ウオーム歯車減速装置付きモータ
DE10129234A1 (de) * 2000-06-21 2002-02-07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Antriebseinheit
US6481550B2 (en) * 2000-07-25 2002-11-19 Asmo Co., Ltd. Motor having clutch provided with stopper
US6727613B2 (en) * 2001-04-25 2004-04-27 Asmo Co., Ltd. Motor having rotatable shaft coupled with worm shaft
JP2003299315A (ja) 2002-04-01 2003-10-17 Asmo Co Ltd 駆動装置及び車両用ワイパ駆動装置
JP3934523B2 (ja) * 2002-10-08 2007-06-20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2004159433A (ja) 2002-11-06 2004-06-03 Asmo Co Ltd モータ及びワイパモ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95Y1 (ko) * 2010-07-16 2011-08-09 계양전기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19629B2 (ja) 2009-08-26
JP2006199193A (ja) 2006-08-03
EP1683694B1 (en) 2008-02-27
DE602006000565T2 (de) 2009-03-19
US7471021B2 (en) 2008-12-30
US20060163958A1 (en) 2006-07-27
KR101098504B1 (ko) 2011-12-26
EP1683694A1 (en) 2006-07-26
CN1808850A (zh) 2006-07-26
DE602006000565D1 (de) 2008-04-10
CN100553075C (zh)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504B1 (ko) 와이퍼 구동용 와이퍼모터
US8076807B2 (en) Connection system comprising an external cable guide on wiper motor housings
KR101087701B1 (ko) 회전위치 검출기를 갖는 모터장치
US7554235B2 (en) Motor cover and electric motor equipped with the same
JPH10225048A (ja) 減速機付き小型モータ
KR100633570B1 (ko) 모터
JP4713240B2 (ja) モータ及びワイパ装置用モータ
EP1396923B1 (en) Geared motor
JP3685915B2 (ja) モータ装置
JP2016000555A (ja) ワイパモータ
JP2015016805A (ja) ワイパモータ
CN101522482B (zh) 用于安装电机电子设备的连接支架
KR100925671B1 (ko) 와이퍼모터
JP5596405B2 (ja) モータ
JP2004159433A (ja) モータ及びワイパモータ
EP1630052B1 (en) Motor apparatus having rotational position detector
CN212125065U (zh) 刮拭器系统和车辆
JPH11134973A (ja) 多重通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6544450B2 (ja) ワイパモータ
JP2006180634A (ja) 電動モータユニット
KR100336538B1 (ko) 와이퍼 모터용 브러시 조립체
JP2597369Y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JP3650261B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0535127B1 (ko) 와이퍼 바디 구조
KR20010064464A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