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553B1 -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553B1
KR102064553B1 KR1020170047158A KR20170047158A KR102064553B1 KR 102064553 B1 KR102064553 B1 KR 102064553B1 KR 1020170047158 A KR1020170047158 A KR 1020170047158A KR 20170047158 A KR20170047158 A KR 20170047158A KR 102064553 B1 KR102064553 B1 KR 102064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tor
socket
power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030A (ko
Inventor
박찬환
Original Assignee
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석 filed Critical 강형석
Priority to KR102017004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55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 산업용 모터, 제어모터,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와이퍼 작동모터 또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와이퍼 작동모터 등과 같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터미널에 관한 것이고, 특히 모터 터미널에 결착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에 스폿용접 방식으로 소켓홈이 형성된 전원단자소켓을 결착시켜, 납땜 방식으로 리드 프레임에 전원단자소켓이 결착된 모터 터미널 보다 내구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Motor terminal with lead frame spot welded power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터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 산업용 모터, 제어모터,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와이퍼 작동모터 또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와이퍼 작동모터 등과 같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터미널에 관한 것이고, 특히 모터 터미널에 결착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에 스폿용접 방식으로 소켓홈이 형성된 전원단자소켓을 결착시켜, 납땜 방식으로 리드 프레임에 전원단자소켓이 결착된 모터 터미널 보다 내구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며, 납땜으로 인한 2차작인 품질문제(냉땜으로 인한 결손, 납땜시 발생되는 미세한 납의 알갱이가 보이지 않는 틈에 흡착되어 작동 시 내부열에 의해 마찰 및 회전부위에 흡착되어 모타과열로 인한 모타 소손 등)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자기적 상호 작용을 일으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로서, 이러한 모터는 다양한 산업 시설과 가정용 기기 등의 각종 구동장치에 동력 발생 수단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터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모터에 위치한 모터 연결단자와 배터리 등의 전원에 위치한 전원 커넥터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모터는 모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 터미널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커넥터를 꽂아져 전원을 공급받는데, 이때, 상기 모터 터미널에는 전원 커넥터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모터의 회전자 또는 고정자에 공급하기 위한 도체 재질의 리드 프레임이 구비되는 구성을 하였다.
하지만, 근래에는 부도체 성질을 가지는 모터 터미널과 도체 성질을 가지는 리드 프레임 간의 용이하고 견고한 조립 또는 결착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생산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최근까지는 각각의 전극 전원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이 단순히 합성수지 재질의 모터 터미널에 끼움방식으로 장착되거나 인서트 사출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다음은 모터 터미널의 리드 프레임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050호는 모터용 접촉단자의 제조방법, 모터용 접촉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환호(環弧)로 굴곡된 띠 형상의 단자몸체부와, 상기 단자몸체부의 일측선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굴곡관통부를 포함하는 모터용 접촉단자를 제공하고; 직선 띠 형상의 접촉단자 원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촉단자 원판의 일측선을 따라 수직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U'자 형상으로 돌출된 굴곡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굴곡관통부가 형성된 접촉단자 원판을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환호(環弧)로 굴곡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용 접촉단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용 접촉단자의 형상을 상기한 단자몸체부와 굴곡관통부와 같이 개선함으로써 접촉단자의 제조방법 측면에서 접촉단자 원판의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재료 평판의 손실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모터용 접촉단자는 일반적으로 모터 터미널에 끼움방식으로 단순 장착되거나,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모터 터미널에 결착되는 구성을 하는데, 상기 구성의 모터용 접촉단자(본 발명의 리드 프레임과 대응됨.)는 모터 터미널에 대한 결착력이 다소 미흡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050호(2011.08.29.)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653,754호(2003.11.25)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319629호(2009.06.05.) 대한민국 등롤실용신안공보 제20-0330598호(2003.10.08.)
본 발명은 모터 터미널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모터 터미널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 각각에 납땜 방식으로 전원단자소켓이 결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생산자가 직접 리드 프레임 각각에 전원단자소켓을 납땜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상기와 같은 납땜 과정 중에 가해진 열 및 슬러지에 의하여 모터 터미널 또는 리드 프레임이 소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납땜에 의한 용접물의 상부 일부분이 돌출되어 표면처리 가공을 하여야 하는 후처리 공정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모터의 케이싱에 일측에 체결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모터 터미널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이 결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 일측 각각에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끼워지는 소켓홈이 형성된 전원단자소켓이 소폿용접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을 제시하고;
일측에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의 일부분이 각각 결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과 각각 대응되어 스폿용접되는 고정핀이 돌출형성된 소켓바디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이 배치되는 모터 터미널을 터미널 지지대에 거치시키는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에 각각 구비된 고정핀을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 각각에 스폿용접시키는 스폿용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 지지대의 일부분에는 상기 소켓바디에 형성된 소켓홈에 내입되는 소켓홈 지지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 각각에 소켓홈이 형성된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되어 결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생산자가 스폿용접장치를 이용하여 전원단자소켓을 용이하게 리드 프레임에 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스폿용접 방식으로 리드 프레임과 전원단자소켓을 체결시키기 때문에, 용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열과 슬러지에 의하여 모터 터미널 또는 리드 프레임이 소손될 수 있는 근본 원인을 완벽하게 해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스폿용접단계에서의 리드 프레임과 전원단자소켓 간의 체결로서 모터 터미널의 제조를 완료 가능하여, 리드 프레임과 전원단자소켓 체결 이후의 후처리 공정이 불필요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이 장착된 자동차용 와이퍼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과 리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의 리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의 리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에 전원소켓단자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에 전원소켓단자가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의 리드 프레임에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의 리드 프레임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의 제조순서를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
도 9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이 터미널 지지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 단면도.
도 10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터 터미널이 터미널 지지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 단면도.
본 발명은 모터의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 산업용 모터, 제어모터, 전기 자동차의 구동모터, 와이퍼 작동모터 또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와이퍼 작동모터 등과 같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터미널(10)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모터 터미널(10)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일반 산업용 모터, 제어모터,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와이퍼 작동모터 또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와이퍼 작동모터 등과 같은 모터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의 예시 이외에서 전기자동차 또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장착되는 다양한 기능의 모터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퍼 작동모터에 사용되는 모터 터미널(10)을 바람직한 실시예하여 설명하겠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모터 터미널(10)과 모터 터미널(10)의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을 구분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본 발명은 모터의 케이싱(C)에 일측에 체결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터미널(10)에 있어서, 상기 모터 터미널(10)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이 결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일측 각각에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끼워지는 소켓홈(61)이 형성된 전원단자소켓(60)이 소폿용접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모터 터미널(10)은 모터의 회전자 또는 고정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의 회전자에 구비된 회전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을 구비한 체로 모터의 일측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1, 2와 같이 터미널 바디(11)와 터미널 레그(12)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터미널(10)은 거시적으로 터미널 바디(11)와 터미널 레그(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터미널 바디(11)와 터미널 레그(12)는 일정의 굴절각을 형성하며 굴절된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구성의 모터 터미널(10)은 모터 케이싱(C)의 일측에 체결되는 터미널 바디(11)와; 상기 터미널 바디(11)에 연결되어 모터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터미널 레그(12);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 바디(11)는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를 내입시키는 모터 케이싱(C)의 일측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터미널 바디(11)가 모터 케이싱(C)이 측부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터미널 바디(11)가 모터 케이싱(C)의 일측인 회전자의 일측 일부분을 내입시키며 모터 케이싱(C)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터미널 바디(11)의 외주가 모터 케이싱(C)의 일측 외주를 아우르며 모터 케이싱(C)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미널 레그(12)는 상기 터미널 바디(11)에 연결되어 모터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도 1, 2와 같이 상기 터미널 바디(11)가 모터 케이싱(C)의 일측 외주를 아우르며 모터 케이싱(C)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미널 바디(11)의 외부 일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의 길이방향(회전자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임.)과 상기 터미널 레그(12)의 돌출 방향은 동일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 바디(11)의 외부 일측면과 상기 터미널 레그(12)의 돌출 방향은 일정의 굴절각을 형성하고, 상기 리드 프레임(20)은 상기 터미널 레그(12) 및 터미널 바디(11)의 외부 일측면 모두의 일정부분에 길이를 형성하며 결착되고, 상기 터미널 바디(11)와 터미널 레그(12)의 연결부분은 굴절된 상태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상기 구성의 모터 터미널(10)에 결착되는 구성을 하여, 모터의 회전자 또는 고정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전기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는 도체이면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모터의 형태, 모터 터미널(10)의 형태 또는 모터 터미널(10)에 체결되어 리드 프레임(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이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재질을 주조성물로 하고, 상기와 같이 금속 재질을 가지는 단일의 판상 플레이트를 다양한 형태로 절단 가공하여 만들어진 것을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모터의 종류에 따라 직류 또는 교류의 전원을 모터의 회전자 또는 고정자에 공급할 수 있으면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모터에서 요구되는 전원을 구분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모터가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도 2와 같이 세 개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중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20a)는 음극(-)의 전류가 흐르고, 다른 두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은 전류의 세기가 서로 다른 양극(+)의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양극(+) 전류가 모터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을 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일측 각각에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끼워지는 소켓홈(61)이 형성된 전원단자소켓(60)이 스폿용접되어 구비되는 구성을 하는데, 이때,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은 전원 커넥터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전원단자를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에 연결시키는 도체이고, 전원단자소켓(60)에 형성된 소켓홈(61)은 상기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끼워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은 도 9와 같이 일정부분에는 소켓홈(61)이 형성되어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끼워져 각각의 전원단자소켓(60)에 전원이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다른 일정부분은 리드 프레임(20) 쪽으로 길이연장(또는 돌출)되어 스폿 용접장치에 의하여 리드 프레임(20)에 용접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원단자소켓(60)의 다른 일정부분이 리드 프레임(20)에 스폿용접되면, 리드 프레임(20)이 결착된 합성수지 재질의 모터 터미널(10)에 대한 용접열이 줄어들어 용접시에 발생하는 용접열로 인한 모터 터미널(10)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납땜 방식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전원단자소켓(60)과 리드 프레임(20)의 연결부분에 납땜(용접물)이 돌출되어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후처리 공정이 불필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리드 프레임(20)에 대한 전원단자소켓(60)의 스폿용접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부도체 성질을 가지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것을 만들어지는 모터 터미널(10)의 일정부분에 견고하게 결착되기 위하여 모터 터미널(10)에 결착되는 일측면에 내입되거가 돌출되는 엠보싱(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엠보싱(30)은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일측면의 엠보싱(30) 형성부분을 가압하거나 일측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리드 프레임(20)의 일측면의 일부분이 내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일측면이 엠보싱(30)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모터 터미널(10)에 결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30)은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일측면에 내입 또는 돌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의 것으로 구성되어, 용융된 모터 터미널(10) 원료가 상기 엠보싱(30)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돌출된 엠보싱(30)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모터 터미널(10)과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간의 결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모터 터미널(10)이 터미널 바디(11)와 터미널 레그(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은 상기 터미널 바디(11)에 결착되는 바디 프레임(21)과; 상기 바디 프레임(21)에 연결되어 모터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레그(12)에 결착되는 레그 프레임(22);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 프레임(21)은 상기 터미널 바디(11)에 결착되는 부분으로서, 리드 프레임(20)에 흐르는 전원을 모터의 회전자 또는 고정자에 공급하는 구성이고, 이때,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중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20a)은 상기 회전자 또는 고정자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모터 케이싱(C)과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케이싱(C)은 상기 회전자 또는 고정자 중 어느 하나와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도체의 재질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레그 프레임(22)은 상기 바디 프레임(21)에 연결되어 모터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레그(12)에 결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 프레임(21)에 연결된 부분은 터미널 바디(11)와 터미널 레그(12) 간의 굴곡각과 동일한 굴곡각을 가지도록 절곡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디 프레임(21)과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에는 리드 프레임(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바디 프레임(21)과 레그 프레임(22)은 모터 터미널(10)의 굴곡된 형태와 대응되도록 연결부분이 굴곡된 형태로 구성되면 다양한 방식으로 굴곡되며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원래 상기 바디 프레임(21)과 레그 프레임(22)의 형태를 모두 가지는 판상의 단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구성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일정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구성의 바디 프레임(21)과 레그 프레임(22)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절곡기를 이용하여 일정부분이 절곡됨으로써 바디 프레임(21)과 레그 프레임(22)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절곡된 일정부분은 바디 프레임(21)과 레그 프레임(22)의 연결부분에 해당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일측, 즉, 상기 레그 프레임(22)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용이하게 레그 프레임(22)과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원단자소켓(60)에 형성된 소켓홈(61)에는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 끼워지는 구성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터 터미널(10)은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이 합성수지 재질의 모터 터미널(10)의 성형시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단일체의 형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모터 터미널(10)에 결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모터 터미널(10)에 결착되는 구성을 하고,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상기 모터 터미널(10)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결착 위치에 적합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을 단일체의 형태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 프레임(50a, 50b)으로 상호 연결되어 모터 터미널(1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은 각각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중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20a)과 인접된 다른 리드 프레임(20a, 20b)은 연결 프레임(50a, 50b)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20a)과 상호 이격되며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은 모터 터미널(10)에 대한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인서트 사출 이후 절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은 도 6과 같이 전류가 각각 흐를 수 있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을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의 일측은 상호 이격된 상태의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중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20a)의 측부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의 타측은 상기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20a)과 인접된 다른 리드 프레임(20a, 20b)의 측부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은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길이 방향으로 해당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이 바디 프레임(21)과 레그 프레임(22)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21) 또는 레그 프레임(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들이 상호 일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단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모터 터미널(10)의 사출시에 인서트 사출되게 되면,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이 마치 단일체와 같이 금형의 성형홈에 내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모터 터미널(10)의 성형시에 모터 터미널(10)에 결착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이 용융된 모터 터미널(10) 원료의 가압력에 의하여 정해진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위치에서 각각(또는 전체)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모터 터미널(10)에 대한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결착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모터 터미널(10)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착된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들 사이에 구비된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은 모터 터미널(10)이 완전히 경화된 이후에 절단되어,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에 흐르는 전류가 합선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이 위치되는 모터 터미널(10)의 일정 부분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절단공구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빈 공간(13)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빈 공간(13)은 연결 프레임(50a, 50b)이 위치되는 모터 터미널(10)의 일정부분으로서, 비어 있는 공간(13)이기 때문에, 연결 프레임(50a, 50b)이 모터 터미널(10)에 결착되지 않고 떠있는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모터 터미널(10)이 터미널 바디(11)와 터미널 레그(12)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바디(11) 또는 터미널 레그(1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50a, 50b)이 위치되는 부분에 빈 공간(13)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상기 빈 공간(13)은 연결 프레임(50a, 50b)을 절단하는 절단공구의 절단날이 인입 가능하도록 하여, 모터 터미널(10)의 손상없이 연결 프레임(50a, 50b)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이 바디 프레임(21)과 레그 프레임(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은 소켓홈(61)이 형성된 소켓바디(62)와; 상기 소켓바디(62)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6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그 프레임(22)은 터미널 레그(12)의 일측면에 결착되고,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소켓바디(62)는 터미널 레그(12)의 타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고정핀(63)의 말단 일부분은 상기 터미널 레그(12)를 관통하여 레그 프레임(22)의 일부를 감싸며 소폿용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전원단자소켓(60)은 거시적으로 소켓바디(62)와 고정핀(6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바디(62)에는 소켓홈(6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63)은 리드 프레임(20)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레그 프레임(22)과 스폿용접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소켓바디(62)와 레그 프레임(22)의 사이에는 터미널 레그(12)가 위치되고, 상기 소켓바디(62)의 일면에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핀(63)은 상기 터미널 레그(12)를 관통한 후 레드 프레임 쪽으로 말단 일부분이 위치되며, 상기 고정핀(63)의 말단 일부분은 스폿용접시에 가해지는 전극헤드 및 터미널 지지대(70)에 의한 가압력으로 레그 프레임(22) 쪽으로 구부려져 레그 프레임(22)의 일부를 감싸며 레그 프레임(22)에 스폿용접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레그(12)에는 상기 고정핀(63)이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 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소켓바디(62)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고정핀(63)은 소켓바디(62)의 일면에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고정핀(63)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레그(12)의 일부분이 대칭 위치에서 감싸지면서 스폿용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은 소켓바디(62)에 소켓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바디(62)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핀(63)은 상기 전극헤드 및 터미널 지지대(70)의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전극헤드의 승하강 이동에 의한 가압력을 받으며 구부러지며 스폿용접되는데, 이때, 상기 소켓바디(62)는 상기 가압력에 의하여 찌그러져 소켓홈(61)의 형태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소켓홈(61)에 소켓홈(61)의 내주 형태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소켓홈 지지팁(73)을 내입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스폿용접 공정(하기의 스폿용접단계(S200))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설명은 하기 모터 터미널(10)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에서 다시 하겠다.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측에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일부분이 각각 결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과 각각 대응되어 스폿용접되는 고정핀(63)이 돌출형성된 소켓바디(62)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60)이 배치되는 모터 터미널(10)을 터미널 지지대(70)에 거치시키는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S100); 상기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60)에 각각 구비된 고정핀(63)을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에 스폿용접시키는 스폿용접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 지지대(70)의 일부분에는 상기 소켓바디(62)에 형성된 소켓홈(61)에 내입되는 소켓홈 지지팁(7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모터 터미널(10) 제조방법은 거시적으로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S100)와 스폿용접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S100)는 일측에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의 일부분이 각각 결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과 각각 대응되어 스폿용접되는 고정핀(63)이 돌출형성된 소켓바디(62)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60)이 배치되는 모터 터미널(10)을 터미널 지지대(70)에 거치시키는 과정으로서, 스폿용접되는 모터 터미널(10)을 터미널 지지대(70)에 거치시키는 공정이다.
보다 상세하면, 본 발명에 의한 모터 터미널(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에는 전원단자소켓(60)이 구비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소켓바디(62), 모터 터미널(10)(바람직하게는 모터 터미널(10)의 터미널 레그(12)) 및 리드 프레임(2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터미널 지지대(70)에 거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 지지대(70)의 일정부분(바람직하게는 하기 하부 지지대(71))의 상부에는 상기 소켓바디(62)에 해당하는 모터 터미널(10)의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20)이 최상단에 위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지지대(70)의 상부에는 스폿용접을 위한 어느 한쪽의 전극이 노출되는 전극헤드(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터미널 지지대(70)의 상부에서 이격된 일정부분에는 상기 어느 한쪽의 전극과 대응되는 전극을 가지는 다른 전극헤드(2)가 위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한쪽의 전극헤드는 프레스의 하부 말단에 구비되어 프레스의 하강 이동에 의하여 리드 프레임(20)의 외주에 돌출된 고정핀(63)을 구부리며 리드 프레임(20)과 고정핀(63)을 스폿용접시킨다.
아울러 상기 스폿용접단계(S200)는 상기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60)에 각각 구비된 고정핀(63)을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에 스폿용접시키는 과정으로서, 상기 소켓바디(62)와 고정핀(63)에 서로 다른 전극의 전원을 각각 가하여 리드 프레임(20)과 고정핀(63)을 용접시키는 공정이다.
즉, 상기 터미널 지지대(70)의 상부에 거치된 모터 터미널(10)의 소켓바디(62)는 터미널 지지대(70)에 구비된 어느 한쪽 전극헤드(미도시)의 전극에 연결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소켓바디(62)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고정핀(63)은 레그 프레임(22)을 관통한 후 리드 프레임(20)의 레그 프레임(22)의 외주에서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한쪽 전극헤드(미도시)가 구비된 프레스의 하강 이동에서 의하여 다른 한쪽의 전극이 연결된다.
이후, 상기 프레스의 하강 이동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고정핀(63)은 레그 프레임(22)을 감싸며 구부러지고, 동시에 어느 한쪽의 전극과 다른 한쪽의 전극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가열된 고정핀(63)은 레그 프레임(22)과 용접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전원단자소켓(60)의 소켓홈(61)이 형성된 소켓바디(62)는 상기 프레스에 의한 가압력으로 인하여 찌그러질 수 있는 우려가 있는데, 이때, 상기 소켓바디(62)의 소켓홈(61)에는 소켓홈(61)의 내주 형태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소켓홈 지지팁(73)이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켓홈 지지팁(73)은 스폿용접시에 가해지는 프레스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소켓바디(62)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시켜, 상기 소켓홈(61)의 형태가 기설계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소켓홈(61)에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과 스폿용접되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60)은 상기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S100)에서 모터 터미널(10)에 모두 장착된 상태로 단일 번의 스폿용접단계(S200) 처리에 의하여 리드 프레임(20)에 용접될 수도 있고, 일부 개의 전원단자소켓(60)만이 상기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S100)에서 모터 터미널(10)에 장착된 상태로 거치되어 복수 번의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S100) 및 스폿용접단계(S200) 처리에 의하여 리드 프레임(20)에 용접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터미널 지지대(70)는 상기 모터 터미널(10)의 하부를 거치시키는 하부 지지대(71)와; 상기 하부 지지대(71)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홈 지지팁(73)이 구비되는 측부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지지대(71)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소켓(60)과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이 구비된 모터 터미널(10)을 안착 거치시키는 구성으로서, 상부는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이 위치된 부분의 모터 터미널(10)의 일부분을 안착시킬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하부 지지대(71)의 상부에는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이 구비되는 모터 터미널(10)의 터미널 레그(12)가 안착되어 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부 지지대(72)는 상기 하부 지지대(71)의 측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소켓홈 지지팁(73)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소켓홈(61)에 상기 소켓홈 지지팁(73)을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소켓홈 지지팁(73)의 일측은 상기 측부 지지대(7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소켓홈 지지팁(73)의 타측 일부분은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소켓홈(61)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대(71) 또는 측부 지지대(7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지대에는 스폿용접시에 발생하는 용접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유로(74)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유로(74)에는 냉각수가 유동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71) 또는/및 측부 지지대(72)를 냉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 지지대(71)와 측부 지지대(72) 각각은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거치대(75a, 75b)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성을 하여 지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스폿용접단계(S200)는 상기 터미널 지지대(7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 가능한 프레스(미도시)의 하부 말단에 구비되고, 음극 전극헤드(81)와 양극 전극헤드(82)가 모두 구비되는 용접팁(80)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극 전극헤드(81)와 양극 전극헤드(82)에서 각각 통전되는 음극 전원과 양극 전원은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고정핀(63)에 인가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20)에 스폿용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스폿용접 방식에 의하여 용접되는 모재(본 발명의 리드 프레임(20)과 대응됨.)와 피용접물(본 발명의 전원단자소켓(60)의 고정핀(63)과 대응됨.)은 상기 모재에 어느 한쪽의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피용접물에 다른 한쪽의 전극의 전원이 공급되며, 양쪽 전극의 전원이 통전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용접열로 상호 용접되는 구성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폿용접단계(S200)에서 리드 프레임(20)에 스폿용접되는 전원단자소켓(60)의 고정핀(63)은 가느다란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리드 프레임(20)에 대한 용접면적이 좁아,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폿용접 방식으로 용접하게 되면 스파크가 원활하게 생성되지 않아 리드 프레임(20)에 원활하게 용접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폿용접단계(S200)는 상기와 같이 프레스에 의하여 승하강 이동하는 용접팁(80)에 음극 전극헤드(81)와 양극 전극헤드(82) 모두를 구비시키고, 상기 음극 전극헤드(81)는 어느 하나의 고정핀(63)에 음극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양극 전극헤드(82)는 다른 하나의 고정핀(63)에 양극 전원을 인가하여 전원단자소켓(60)에 양쪽 전극의 전원이 통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고정핀(63)은 프레스의 하강 이동에 의한 용접팁(80)의 하강 이동시에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구부러지며 말단 일부분이 리드 프레임(20)의 표면에 닿으면서 강력한 스파크가 발생하여 리드 프레임(20)에 용접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리드 프레임(20)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는 용접팁(80)에 의한 양쪽 전극의 전원 인가와 가압력으로 고정핀(63)이 리드 프레임(20)에 스폿용접되면, 어느 한쪽 전극의 전원은 전원단자소켓(60)에 인가되고 다른 한쪽 전극의 전원은 리드 프레임(20)에 인가되어 스폿용접되는 경우보다, 전원의 원활한 공급과 가느다란 형태의 고정핀(63)과 리드 프레임(20)의 좁은 용접부분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여, 스파크를 더욱 극대화시켜 우수한 스폿용접을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모터 터미널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모터 터미널(10)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1.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S100)
① 음극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1 리드 프레임(20a), 양극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2 리드 프레임(20b) 및 상기 제2 리드 프레임(20b)보다 더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제3 리드 프레임(20c) 각각이 일측면에 결착된 모터 터미널(10)을 준비한다.
② 상기 모터 터미널(10) 타측면에 전원단자소켓(60)의 소켓바디(6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원단자소켓(60)의 고정핀(63) 복수 개를 모터 터미널(10)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삽입하여 복수 개의 고정핀(63) 말단의 일부분이 리드 프레임(20)의 외주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③ 상기 ②의 전원단자소켓(60)이 임시 결합된 모터 터미널(10)을 터미널 지지대(70)의 하부 지지대(71) 상부에 거치시킨다. 이때, 전원단자소켓(60)은 하부 지지대(71)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소켓바디(62)에 형성된 소켓홈(61)에는 측부 지지대(72)의 소켓홈 지지팁(73)이 끼워진 상태를 가진다.
2. 스폿용접단계(S200)
① 하부 지지대(71)의 상부에 위치된 프레스를 하강 이동시켜 프레스의 하부 말단에 구비된 용접팁(80)이 상기 하부 지지대(71)에 거치된 전원단자소켓(60)의 고정핀(63)을 하방으로 가압하며 구부러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용접팁(80)의 하부에는 음극 전극헤드(81)와 양극 전극헤드(82)가 모두 구비되고, 상기 음극 전극헤드(81)는 복수 개의 고정핀(63) 중 어느 하나의 고정핀(63)에 음극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양극 전극헤드(82)는 복수 개의 고정핀(63) 중 다른 하나의 고정핀(63)에 양극 전원을 공급하며 고정핀(63)들을 하방으로 가압하며 구부린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접팁(80)이 하강 이동하면서 고정핀(63)들에 가해진 전원에 의하여, 상기 고정핀(63)들은 리드 프레임(20)의 표면쪽으로 구부러지면서 리드 프레임(20)과의 사이에 스파크를 생성시켜 리드 프레임(20)에 용접된다.
② 상기 ①에서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을 터미널 거치대에서 분리하여, 모터 터미널(10)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모터 터미널 11 : 터미널 바디
12 : 터미널 레그 13 : 빈 공간
20, 20a, 20b, 20c : 리드 프레임 21 : 바디 프레임
22 : 레그 프레임 30 : 엠보싱
50a, 50b : 연결 프레임 60 : 전원단자소켓
61 : 소켓홈 62 : 소켓바디
63 : 고정핀 70 : 터미널 지지대
71 : 하부 지지대 72 : 측부 지지대
73 : 소켓홈 지지팁 74 : 냉각수 유로
75a, 75b : 거치대 80 : 용접팁
81 : 음극 전극헤드 82 : 양극 전극헤드
C : 모터의 케이싱
S100 : 모터 터미널 거치단계
S200 : 스폿용접단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모터의 케이싱(C)에 일측에 체결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터미널(10)에 있어서,
    상기 모터 터미널(10)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이 결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일측 각각에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커넥터의 전원단자가 끼워지는 소켓홈(61)이 형성된 전원단자소켓(60)이 소폿용접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 터미널(10)은,
    모터 케이싱(C)의 일측에 체결되는 터미널 바디(11)와; 상기 터미널 바디(11)에 연결되어 모터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터미널 레그(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드 프레임(20a, 20b, 20c) 각각은,
    상기 터미널 바디(11)에 결착되는 바디 프레임(21)과; 상기 바디 프레임(21)에 연결되어 모터 길이방향의 후방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레그(12)에 결착되는 레그 프레임(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은,
    소켓홈(61)이 형성된 소켓바디(62)와; 상기 소켓바디(62)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6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그 프레임(22)은 터미널 레그(12)의 일측면에 결착되고,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소켓바디(62)는 터미널 레그(12)의 타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전원단자소켓(60)의 고정핀(63)의 말단 일부분은 상기 터미널 레그(12)를 관통하여 레그 프레임(22)의 일부를 감싸며 소폿용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47158A 2017-04-12 2017-04-12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58A KR102064553B1 (ko) 2017-04-12 2017-04-12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58A KR102064553B1 (ko) 2017-04-12 2017-04-12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30A KR20180115030A (ko) 2018-10-22
KR102064553B1 true KR102064553B1 (ko) 2020-01-20

Family

ID=6410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58A KR102064553B1 (ko) 2017-04-12 2017-04-12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5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2942A (ja) * 2011-04-07 2012-11-12 Kokusan Denki Co Ltd 電動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8852A (ja) 2000-03-16 2001-09-28 Asmo Co Ltd モータ及びワイパ用モータ
KR200330598Y1 (ko) 2003-07-29 2003-10-17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JP4319629B2 (ja) 2005-01-21 2009-08-26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及びワイパ装置
KR101098748B1 (ko) * 2009-10-01 2011-12-23 (주) 디에이치홀딩스 브러쉬리스 직류모터
KR101062050B1 (ko) 2010-07-20 2011-09-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모터용 접촉단자의 제조방법, 모터용 접촉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45928B1 (ko) * 2015-05-27 2022-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2942A (ja) * 2011-04-07 2012-11-12 Kokusan Denki Co Ltd 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30A (ko) 201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12166A (zh) 金属件与同轴电缆焊接的自动化系统及实现方法
JP2011212735A (ja) 抵抗溶接構造及び抵抗溶接方法並びに被溶接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602655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matu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US20120032550A1 (en) Electric connection of conductor ends arranged in pair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he connection
CN102773648A (zh) 锂离子电池断路器的焊接夹具
CN109860497A (zh) 一种多层极耳电池的焊接方法
CN109482994A (zh) 使用集磁棒的马达转子部件的焊接装置及方法
KR102064553B1 (ko)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111958A (ja) 電気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670706B (zh) 转子通风槽片与通风槽条的点焊夹具及使用方法
CN103015972B (zh) 一种油基泥浆测量极板
CA1045358A (en) Welding leads to commutator bars
CN104798295B (zh) 整流装置的制造方法及整流装置
KR101999166B1 (ko)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의 제조방법
US11207845B2 (en) Inductive thermo-crimping apparatus
CN206894465U (zh) 永磁有刷直流电机
EP1359659A2 (en) Alternator for vehicle
CN205996345U (zh) 金属件与同轴电缆焊接的自动化系统
CN201227717Y (zh) 平行焊、对焊一体机
CN210878069U (zh) 一种马蹄刹车件焊接专机
CN209140061U (zh) 一种电池电极焊接工装
CN210587631U (zh) 一种电芯与极板焊接工装
CN208276377U (zh) 一种自动打磨焊头的焊接机构
JP2017060988A (ja) 電気抵抗溶接用電極
JP2004146178A (ja) 鉛蓄電池の端子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