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598Y1 -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 Google Patents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98Y1
KR200330598Y1 KR20-2003-0024480U KR20030024480U KR200330598Y1 KR 200330598 Y1 KR200330598 Y1 KR 200330598Y1 KR 20030024480 U KR20030024480 U KR 20030024480U KR 200330598 Y1 KR200330598 Y1 KR 200330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rive motor
power
c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철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4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구동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체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조립성이 우수하고, 자동화공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는,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에 케이스의 전원입력부로부터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로 전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원공급용 접속부가 형성되는 도체의 플레이트가 각각 절곡형성되는 제 1, 제 2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판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는 구동모터와 단자판의 고정시 납땜구조를 탈피하여 압입구조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고, 구동모터와 함께 단자판의 케이스내에 장착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Connection terminal for motor}
본 고안은 구동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단자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체의 플레이트를 절곡한 전원연결단자를 통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장착이 용이하여 조립성이 개선되고,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에 압입구조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모터는 전기의 공급을 받아 기계적인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이며, 구동모터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회전중심에 고정 결합되는 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축이 상기 구동모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별도로 결합되는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어 액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로서, 이 도어액츄에이터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모터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컨넥터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컨넥터로부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의 선단부 피복을 벗겨 와이어가 노출되게 하고, 이 노출부위를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에 연결시킨 뒤, 이 연결부위를 납땜등으로 고정시키는데, 이와같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전선의 말단은 또다시 컨넥터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어진다. 이때, 상측커버와 하측커버를 닫을때, 작업자가 일일이 전선을 정리한 뒤 커버를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납땜작업을 해야 하는등 제조에 따르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동모터의 교환등 제품 수리시 구동모터와 전선이 연결된 납땜 부위를 제거하여야 하고, 수리한 뒤에는 또다시 납땜등으로 고정시켜야 하는 등 불편함이 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체의 플레이트를 절곡한 단자판으로 종래의 전선을 대신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 단자판의 형상을 케이스내부의 안착부위에 맞춰 절곡하여 사용함으로써 조립이 쉬운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단자판과 구동모터를 압입구조로 고정시켜 납땜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축되는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 액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가 적용된 액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의 사시도,
도 4a, 4b는 본 고안 구동모터의 전원연결단자가 적용된 도어 액츄에이터의 결합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단자판 110:제 1단자
112:연결부 114:접속부
120:제 2단자 122:연결부
124:접속부 130:고정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는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에 케이스의 전원입력부로부터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로 전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원공급용 접속부가 형성되는 도체의 플레이트가 각각 절곡형성되는 제 1, 제 2단자로 이루어지는 단자판을 포함하는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의 상기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판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결합공으로 압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의 상기 단자판의 접속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부위에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가 적용된 액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는 상부커버(11a) 및 하부커버(11b)의 전원입력부(11c)에 삽입되는 전원케이블(15)과 하부커버(11b)에 안착되는 구동모터(13)의 터미널단자(13a)를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단자판(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판은 양극과 음극의 제 1, 제 2단자(110,12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 1, 제 2단자(110,120)는 상기 구동모터(13)의 터미널단자(13a)에 형성된 결합공(16)에 대응하는 연결부(112,122)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원케이블(15)에 접속되는 접속부(114,124)가 형성되는 도체 플레이트가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판(100)은 제 1, 제 2단자(110,120)의 접속부(114,12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부위에 제 1, 제 2단자(110,120)를 상기 케이스(1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부(130)는 상기 제 1, 제 2단자(110,120)의 접속부(114,124)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공(132)을 형성한다.
첨부도면 도 4a, 4b는 본 고안 구동모터의 전원연결단자가 적용된 도어 액츄에이터의 결합단면도들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13)의 배면에는 결합공(16)이 형성된 복수의 터미널단자(13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터미널단자(13a)의 결합공(16)을 통해 제 1단자(110)의 연결부(112)와 제 2단자(120)의 연결부(122)가 전원을 통전시키도록 각각 압입고정되고, 제 1, 제 2단자(110,120)의 중앙은 수회 절곡되어 케이스(11)에 구동모터(13)와 함게 안착되며, 타단에는 접속부(114,124)가 형성되어 전원컨넥터(15)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접속부(114,124)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후방에는 고정부(130)가 형성되어 이 고정부(130)의 관통공(132)에 삽입된 제 1, 제 2단자(110,120)의 접속부(114,124)가 케이스(11)에 고정지지되어 전원컨넥터(15)를 접속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구조로 케이스(11)의 전원입력부(11c)에 삽입되는 전원컨넥터(15)로부터 제 1, 제 2단자(110,120)의 접속부(114,124)가 전원을 전달받아 구동모터(13)의 터미널단자(13a)와 압입고정된 연결부(112,122)를 통해 구동모터(13)에 전원을 연결하여 구동모터(13)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구동모터(13)의 터미널단자(13a)에 압입고정되어 구동모터(13)와 함께 케이스(11)에 안착되는 단자판(100)은 구동모터(13)를 지지하는 역할도 하므로 구동모터(13)의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전선을 수작업으로 구동모터의 터미널단자와 전원컨넥터에 납땜하여야 하는 공정과, 케이스내에서 전선을 정리한 뒤 상부케이스를 조립하여야 하는 공정등이 생략되며, 종래의 전선대신에 정형화된 단자판(100)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자동화공정을 도입할 수 있으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구동모터의 전원연결단자는, 도체의 플레이트를 절곡한 단자판으로 종래의 전선을 대신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 단자판의 형상을 케이스등에 맞춰 절곡하여 사용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판과 구동모터의 연결부위를 압입하는 방법으로 고정시켜 납땜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케이스(11) 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3)에 케이스(11)의 전원입력부(11c)로부터 구동모터(13)의 터미널단자(13a)로 전원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의 터미널단자(13a)에 연결되는 연결부(112,122)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원접속을 위한 접속부(114,124)가 형성되는 도체의 플레이트가 각각 절곡형성되는 제 1, 제 2단자(110,120)로 이루어지는 단자판(100)을 포함하는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의 터미널단자(13a)에는 결합공(16)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제 2단자(110,120)의 연결부(112,122) 선단이 상기 구동모터(13)의 결합공(16)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100)은 상기 제 1, 제 2단자(110,120)의 접속부(114,12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부위에 형성되어 케이스(11)에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KR20-2003-0024480U 2003-07-29 2003-07-29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KR200330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80U KR200330598Y1 (ko) 2003-07-29 2003-07-29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80U KR200330598Y1 (ko) 2003-07-29 2003-07-29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98Y1 true KR200330598Y1 (ko) 2003-10-17

Family

ID=4933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480U KR200330598Y1 (ko) 2003-07-29 2003-07-29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030A (ko) 2017-04-12 2018-10-22 박찬환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5031A (ko) 2017-04-12 2018-10-22 류동선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030A (ko) 2017-04-12 2018-10-22 박찬환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5031A (ko) 2017-04-12 2018-10-22 류동선 전원단자소켓이 스폿용접된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터 터미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5318A3 (en) Brush assembly
KR100948876B1 (ko) 모터 및 그의 제조방법
EP0142237A1 (en) Components for electric motors
WO2001039354A1 (fr) Moteur de petite taille
US20020133932A1 (en) Method for assembling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power tool
US20210242730A1 (en) Permanent magnet brush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AU2003260494A1 (en) Electric power connection for electrically assisted turbocharger
US4773828A (en) Blower
US7109616B2 (en) Electric motor with hall effect memory module
KR200330598Y1 (ko) 구동모터용 전원연결단자
KR100619129B1 (ko) 전기모터의 엔드커버
TW200506173A (en) Electric fan assembly and fan assembly method
US6616302B2 (en) Vehicle lamp
JP3569463B2 (ja) モータ
KR20060120330A (ko) 와이퍼모터
CN113422459B (zh) 一种电机结构
JP3811415B2 (ja) 直流モータ
JP2006121805A (ja) ブラシ装置
JPH0746058Y2 (ja) 電動工具の内部配線
KR100681316B1 (ko) 모터용 브러시 조립체
KR102552673B1 (ko) 직류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및 그 브러시 홀더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의 조립 방법
KR19990033964A (ko)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KR200239956Y1 (ko) 모터의브러시조립체
KR200142828Y1 (ko) 브러시레스 드럼모터의 로터 조립장치
JP2002017074A (ja) スターターのブラ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