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964A -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964A
KR19990033964A KR1019970055417A KR19970055417A KR19990033964A KR 19990033964 A KR19990033964 A KR 19990033964A KR 1019970055417 A KR1019970055417 A KR 1019970055417A KR 19970055417 A KR19970055417 A KR 19970055417A KR 19990033964 A KR19990033964 A KR 1999003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ush
holder
connection structur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964A/ko
Publication of KR1999003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964A/ko

Links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의 연결 작업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러쉬(54)가 끼워지는 홀더(56)의 배면에 직립 형성된 끼움홈(1)과, 상기한 끼움홈(1)에 삽입되어 홀더(56) 배면을 차폐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전류가 인가되는 단자(2)와, 상기한 단자(2)에 일측이 밀착됨과 아울러 타측이 브러쉬(54)의 배면에 밀착되고 도전체인 스프링(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본 발명은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동작 전원에 따라 직류, 교류 모터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직류 모터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정류자와 브러쉬를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한 정류자와 브러쉬가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게 되고, 상기한 직류 전원으로 모터가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직류 모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스테이터(미 도시)가 설치된 원통형상 하우징(50)과, 상기한 스테이터에 동심축상으로 끼워짐과 아울러 정류자(51)가 설치되어 있는 로우터 어셈블리(52)와, 상기한 로우터 어셈블리(52)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하우징(50)에 결합된 베어링 커버(53)와, 상기한 베어링 커버(53)에 고정됨과 아울러 정류자(51)에 밀착되도록 브러쉬(54)가 삽입되어 있고 그 대향측에 터미널 단자(55)가 설치된 브러쉬 홀더(56)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브러쉬 홀더(56)와 브러쉬(54)의 결합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결합공(57)이 형성된 브러쉬(54)와, 상기한 브러쉬(54)가 삽입됨과 아울러 터미널 단자(55)가 배면에 고정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홀더(56)와, 상기한 터미널 단자(55)와 브러쉬(54)의 결합공(57)을 납땜등으로 연결한 리드 와이어(58)와, 상기한 브러쉬(54)의 배면을 탄성 지지하여 정류자(51)측으로 밀도록 홀더(56)에 삽입된 스프링(59)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리드 와이어(58)를 통해 터미널 단자(55)와 브러쉬(5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프링(59)이 브러쉬(54)를 정류자(51)에 압착시키면서 전류 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 와이어 일측을 브러쉬의 결합공에 삽입 고정하고 타측을 터미널 단자에 고정하여 터미널 단자와 브러쉬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한 리드와이어 연결 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홀더에 스프링을 수납한 후 리드 화이어로 터미널 단자와 브러쉬를 연결하고, 상기한 브러쉬를 홀더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의 연결 작업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러쉬가 끼워지는 홀더의 배면에 직립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되어 홀더 배면을 차폐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전류가 인가되는 단자와, 상기한 단자에 일측이 밀착됨과 아울러 타측이 브러쉬의 배면에 밀착되고 도전체인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모터 사시도,
도 2는 도1의 조립 정면도,
도 3은 도1의 조립 횡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식품 가공기용 직류 모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브러쉬와 홀더 그리고 터미널 단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끼움홈 2 : 단자
3 : 스프링 4 : 걸림 돌기
5 : 걸림부
도 1과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정면도와 단면도로서, 홀더(56)의 배면에 직립 형성된 끼움홈(1)과, 상기한 끼움홈(1)에 삽입되어 홀더(56) 배면을 차폐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단자(2)와, 상기한 단자(2)에 일측이 밀착됨과 아울러 타측이 브러쉬(54)의 배면에 밀착되고 도전체로 제작된 스프링(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스프링(3)이 단자(2)와 브러쉬(54)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브러쉬(54)에 전류를 인가함과 아울러 브러쉬(54)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상기한 단자(2)에 대향 형성된 상대로 일측이 들어 올려진 2개의 걸림 돌기(4)와, 상기한 2개의 걸림 돌기(4) 사이에 걸리도록 홀더(56)에 형성된 걸림부(5)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걸림 돌기(4)는 단자(2)에 드로잉 형성되는 바, 들어 올려진 부분이 서로 근접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걸림부(5)를 통과할 때 일측 걸림 돌기(4)가 압박되면서 통과되고, 통과 후 상승하면서 걸림 돌기(4) 사이에 걸림부(5)가 끼워져 제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홀더(56)화 브러쉬(54)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단자(2)를 홀더(56)의 끼움홈(1)에 삽입시키게 된다.
끼움홈(1)에 단자(2)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한 단자(2)의 걸림 돌기(4)와 홀더(56)의 걸림부(5)에 의해 단자(2)가 고정되는 바, 상기한 단자(2)의 대향측에서 홀더(56)에 스프링(3)을 삽입시키게 된다.
스프링(3)이 홀더(56)에 삽입되면 다시 브러쉬(54)를 삽입시키면서 홀더(56)와 브러쉬(54)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홀더(56)에 터미널 단자(55)를 고정시킨 후 리드 와이어(58)의 일측을 납땜등으로 고정시키고, 홀더(56)에 스프링(59)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브러쉬(54)의 결합공(57)에 리드 와이어(58)의 타측을 고정시킴으로써 홀더(56)에 브러쉬(54)를 삽입시키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조립 공정이 매우 단순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단자(2)를 홀더(56)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걸림 돌기(4)를 압박한 상태로 상향시키면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한 단자(2)와 밀착되어 있는 스프링(3)으로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한 스프링(3)의 일측이 밀착된 브러쉬(54)에 전류가 공급된다.
브러쉬(54)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한 브러쉬(54)와 접촉되어 있는 정류자(51)에 전류가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한 로우터 어셈블리(52)가 일정 속도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터가 회전 동작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홀더의 끼움홈에 단자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걸림 돌기와 걸림부로 고정시키고, 상기한 단자와 브러쉬의 사이에 도전체인 스프링을 개재시킴으로써 브러쉬와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브러쉬가 끼워지는 홀더의 배면에 직립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되어 홀더 배면을 차폐함과 아울러 고정 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전류가 인가되는 단자와, 상기한 단자에 일측이 밀착됨과 아울러 타측이 브러쉬의 배면에 밀착되고 도전체인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상기한 단자에 대향 형성된 상태로 일측이 들어 올려진 다수의 걸림 돌기와, 상기한 다수의 걸림 돌기 사이에 걸리도록 홀더에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KR1019970055417A 1997-10-27 1997-10-27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KR19990033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417A KR19990033964A (ko) 1997-10-27 1997-10-27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417A KR19990033964A (ko) 1997-10-27 1997-10-27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964A true KR19990033964A (ko) 1999-05-15

Family

ID=6604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417A KR19990033964A (ko) 1997-10-27 1997-10-27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9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25B1 (ko) * 2010-11-05 2012-05-09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101144907B1 (ko) * 2010-11-05 2012-05-14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20190136668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만도 측면으로 브러쉬 교체가 가능한 모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25B1 (ko) * 2010-11-05 2012-05-09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101144907B1 (ko) * 2010-11-05 2012-05-14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20190136668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만도 측면으로 브러쉬 교체가 가능한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1730A (en) Brush holder assembly for electric motor
JP2768927B2 (ja) 整流子モータ用カーボンブラシホルダ
US5753993A (en) Adjusting apparatus for carbon brushes on an electric motor
US5194772A (en) A-c driven motor and method for forming input terminals thereof
KR19990033964A (ko)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US20050134140A1 (en) Motor mounting base
CN210157008U (zh) 直流电机及其胶盖组件
KR900003401Y1 (ko) 모터
JP2501469B2 (ja) 電動機
EP4044409B1 (en) Motor brush, motor and washing machine
GB2059178A (en) Electric motor
JPH076686Y2 (ja) 整流子電動機
JP2000014073A (ja) 電動機
KR200239956Y1 (ko) 모터의브러시조립체
KR20040003411A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CN210246547U (zh) 一种有刷直流电机
KR950006651Y1 (ko) 모터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GB2203294A (en) Terminal in an electric motor
JP2529169Y2 (ja) 電動工具の内部配線
KR960003946B1 (ko) D.C 코어레스 모터(Coreless Moter)의 접속단자 접속방법
KR890003168Y1 (ko) 정류자 모우터
JPH083177Y2 (ja) モータのブラシホルダー構造
JP3619109B2 (ja) 整流子電動機
CN110556961A (zh) 一种直流电机及其胶盖组件
KR20010098000A (ko) 스타터의 브러시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