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325B1 -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325B1
KR101143325B1 KR1020100109761A KR20100109761A KR101143325B1 KR 101143325 B1 KR101143325 B1 KR 101143325B1 KR 1020100109761 A KR1020100109761 A KR 1020100109761A KR 20100109761 A KR20100109761 A KR 20100109761A KR 101143325 B1 KR101143325 B1 KR 10114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using
brush holder
holder
commu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신
안상혁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5Means for mechanical fixation of the brush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03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said electric motor being also used as a drive for auxiliaries, e.g. for driving transmission pumps or fuel pumps during engine s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1Brush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pressure to brus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와 정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브러시와 정류자의 접촉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정류자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가 상기 정류자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는 브러시 홀더와, 상기 브러시 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브러시 홀더에 형성되는 홀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면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BRUSH HOLDER ASSEMBLY OF START MOTOR}
본 발명은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시와 정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브러시와 정류자의 접촉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은 자가 구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에 시동을 걸 때 외력으로 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크랭크축의 회전 속도를 일정회전수 이상으로 구동시켜 주어야 한다.
그래서 자동차는 엔진에 시동을 걸어주기 위하여 엔진의 크랭크축을 가동시킬 수 있는 스타트 모터가 사용된다. 스타트 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후 회전되면서 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타트 모터는 마그네틱 스위치부와 회전부와 이 회전부의 구동력을 엔진의 크랭크축에 전달하기 위한 오버러닝클러치(ORC: OVER RUNNING CLUTCH)로 구성된다. 이때, 스타트 모터는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회전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회전부에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이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가 브러시 홀더에 의해 회전부의 요크에 결합된다.
또한,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는 회전부의 정류자에 접촉되는 브러시와 이 브러시를 지지하기 위한 브러시 홀더를 가지며, 브러시가 정류자에 접촉될 수 있도록 브러시가 스프링에 의해 정류자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때,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는 스프링이 브러시와 브러시 홀더 사이에 마련되며, 요크와의 절연을 위하여 브러시와 브러시 홀더가 절연 플레이트에 설치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타트 모터는 요크에서 발생되는 열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 홀더가 고정된 절연 플레이트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면서 브러시 홀더가 요크측으로 기울어져 브러시와 정류자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접촉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 홀더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브러시와 정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브러시와 정류자의 접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정류자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가 상기 정류자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는 브러시 홀더와, 상기 브러시 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브러시 홀더에 형성되는 홀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스프링의 축방향 중심선상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 홀더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브러시와 정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브러시와 정류자의 접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스타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와 브러시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 모터(10)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아마추어 어셈블리(13)와, 이 아마추어 어셈블리(13)가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아마추어 어셈블리(13)로 전류를 인가하는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100)로 구성된다. 이때, 아마추어 어셈블리(13)에는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100)와 접촉되는 정류자(13a)가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접합되는 절연보드(120), 정류자(13a)에 접촉되는 브러시(130)와, 이 브러시(130)가 설치되는 브러시 홀더(140)와, 이 브러시 홀더(140)를 를 하우징(11)에 지지하기 위한 홀더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하우징(11)에 체결되는 볼트와 나사에 의해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절연보드(120)는 브러시(130) 및 브러시 홀더(140)가 하우징(11)과 절열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며, 브러시 홀더(140)가 리베팅을 통해 고정된다.
브러시(130)는 정류자(13a)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며, 정류자(13a)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정류자(13a)에 접촉된다. 이러한, 브러시(130)는 정류자(13a)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브러시 홀더(14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브러시(130)는 배터리(도시생략)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정류자(13a)로 안정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그 높이(H)가 길이(L)보다 크게 형성된다.
브러시 홀더(140)는 절연보드(120)에 고정되는 리베팅부(141)와, 브러시(130)가 삽입되는 브러시 지지부(143) 및 스프링(16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브러시 지지부(143)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부(145)를 포함한다. 스프링 고정부(145)는 원형의 스프링(160)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면에 스프링(160)이 삽입되는 삽입홈부(145a)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시 홀더(140)는 브러시 지지부(143)에 설치되는 브러시(130)를 스프링(160)의 탄성을 이용하여 정류자(13a)에 밀착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홀더 지지부(150)는 하우징(11)의 내면과 반지름 방향으로 대응되는 브러시 홀더(14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하우징(11)의 내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홀더 지지부(150)는 하우징(11)에 지지되어 스프링(160)의 탄성, 스타트 모터(100)의 내부 열 및 정류자(13a)의 진동에 의해 절연보드(120)가 변형되거나, 브러시 홀더(14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홀더 지지부(150)는 스프링(160)의 탄성력과, 하우징(11) 내부의 열에 의해 절연보드(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분리되어 브러시 홀더(140)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게 된다.
또한, 홀더 지지부(150)는 브러시 홀더(140)가 하우징(11)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160)의 축방향 중심선상(C)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브러시 홀더(140)에 스프링(160)의 탄성력이 가해지면 홀더 지지부(150) 하측은 하우징(11)측으로 힘을 받게 되지만 홀더 지지부(150) 상측은 정류자(13a) 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홀더 지지부(150)를 기준으로 브러시 홀더(140)의 하측에 스프링(160)의 탄성력이 가해지면 브러시 홀더(140)의 하측은 하우징(11)의 외측방향으로 홀더 지지부(150)의 상측은 정류자(13a)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또한, 홀더 지지부(150)는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1)에 조립될 때 하우징(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진입부측에 유도면(151)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유도면(151)은 하우징(11)에 접촉되는 면적이 홀더 지지부(150)에서 돌출되는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홀더 지지부(150)에서 하우징(11)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홀더 지지부(150)와 하우징(11)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홀더 지지부(150)가 하우징(1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도면(151)은 홀더 지지부(150)가 하우징(11)에 삽입될 때 하우징(11)의 단부에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100)는 홀더 지지부(150)의 유도면(151)이 하향 경사지게 돌출됨과 동시에 "??"로 형성되어 있어 브러시 홀더(140)가 하우징(11)에 삽입될 때 하우징(11)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된다. 이로 인하여 홀더 지지부(150)가 하우징(11)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100)가 하우징(11)에 완전하게 조립되면 홀더 지지부(150)를 기준으로 브러시 홀더(140)의 하측은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1)의 외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브러시 홀더(140)의 상측은 하우징(11)의 내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스프링(160)의 탄성력 및 브러시(130)의 진동에 의해 절연보드(120)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절연보드(120)의 변형으로 인한 브러시 홀더(14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과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 홀더(14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브러시(130)가 정류자(13a)에 안정되게 접촉되어 브러시(130)와 정류자(13a)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스타트 모터 11 : 하우징
13 : 아마추어 어셈블리 13a : 정류자
100 :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절연보드 130 : 브러시
140 : 브러시 홀더 150 : 홀더 지지부

Claims (4)

  1. 하우징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정류자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가 상기 정류자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는 브러시 홀더; 및
    상기 브러시 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브러시 홀더에 형성되는 홀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부는 상기 스프링의 축방향 중심선상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00109761A 2010-11-05 2010-11-05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10114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61A KR101143325B1 (ko) 2010-11-05 2010-11-05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761A KR101143325B1 (ko) 2010-11-05 2010-11-05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325B1 true KR101143325B1 (ko) 2012-05-09

Family

ID=4627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761A KR101143325B1 (ko) 2010-11-05 2010-11-05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3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008A1 (ko) * 2017-06-22 2018-1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홀더,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90000205A (ko) * 2017-06-22 2019-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90000204A (ko) * 2017-06-22 2019-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897U (ko) * 1995-03-03 1996-10-24 시동모우터의 브러쉬홀더
KR19990033964A (ko) * 1997-10-27 1999-05-15 윤종용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JP2003289651A (ja) 2002-03-28 2003-10-10 Mitsuba Corp モータのブラシホルダ固定構造
KR200342855Y1 (ko) 1999-02-12 2004-02-27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브러시홀더의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897U (ko) * 1995-03-03 1996-10-24 시동모우터의 브러쉬홀더
KR19990033964A (ko) * 1997-10-27 1999-05-15 윤종용 모터용 브러쉬와 터미널 단자 접속 구조
KR200342855Y1 (ko) 1999-02-12 2004-02-27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브러시홀더의 지지구조
JP2003289651A (ja) 2002-03-28 2003-10-10 Mitsuba Corp モータのブラシホルダ固定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008A1 (ko) * 2017-06-22 2018-1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홀더,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90000205A (ko) * 2017-06-22 2019-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90000204A (ko) * 2017-06-22 2019-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63169B1 (ko) 2017-06-22 202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63170B1 (ko) * 2017-06-22 202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5627B (zh) 电动马达,尤其是泵马达
US6922003B2 (en) Brush holder device for dynamoelectric machine
US8803390B2 (en) Dynamo-electric machine
US20200373820A1 (en) Electric motor
JPH10201185A (ja) ケーシング接触接続手段を有する整流子型機械
JP4996696B2 (ja) 電気機械を振動遮断しながら保持するための装置
KR101143325B1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CN111712997B (zh) 具有改进接地结构的无刷直流电机
GB2433651A (en) Vibration decoupling mounting of brushes or brush holders
KR20130007793A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조립체
JP6341230B2 (ja) モータ
KR101078205B1 (ko) 플라스틱 부재
KR101330050B1 (ko) 스타트모터용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방열장치
US10862364B2 (en) Connection plate for an electric machine
KR101144907B1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101365507B1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101789818B1 (ko) 모터 브러시 어셈블리
KR101376539B1 (ko) 스타트모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밀봉장치
JP2003274614A (ja) 直流モータ
CN220629015U (zh) 一种干衣风机用电机
JP2006121805A (ja) ブラシ装置
KR101639745B1 (ko) 전기모터용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JPH03207234A (ja) 回転電機のブラシ装置
KR100903401B1 (ko)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KR10104765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