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170B1 -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170B1
KR102363170B1 KR1020170079258A KR20170079258A KR102363170B1 KR 102363170 B1 KR102363170 B1 KR 102363170B1 KR 1020170079258 A KR1020170079258 A KR 1020170079258A KR 20170079258 A KR20170079258 A KR 20170079258A KR 102363170 B1 KR102363170 B1 KR 10236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elastic member
protrusion
contac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205A (ko
Inventor
심우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170B1/ko
Priority to PCT/KR2017/013169 priority patent/WO2018236008A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18Contact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 or slip-ring, e.g. contact brus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정류자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러시에 있어서, 몸체; 상기 정류자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밀착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균일한 하중이 인가되도록,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브러시는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탄성부재에 의해 균일한 하중을 인가받도록 한다.

Description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BRUSH AND MOTO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결합되는 로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가 마련되는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로터에 코일이 감긴 경우, 회전하는 로터에 감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는 정류자와 브러시(brush)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정류자는 코일과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에 결합하여 회전하고, 브러시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정류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브러시는 정류자에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브러시는 브러시 홀더 안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의 일측은 상기 브러시 홀더 안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의 타측은 정류자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브러시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브러시가 정류자에 밀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로는 코일형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를 원형의 코일 스프링이 밀어줄 때, 스프링을 잡아줄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스프링의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편하중이 상기 브러시에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의 편마모를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홀더에 스프링을 조립할 때, 상기 스프링의 꼬임 또는 꺾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은 균일한 하중을 브러시에 인가할 수 없기 때문에, 브러시의 내구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상기 모터의 신뢰성에 문제를 초래한다.
실시예는 브러시에 균일한 하중이 인가되도록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조가 형성된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정류자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러시에 있어서, 상부면, 하부면 및 측부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밀착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브러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마주하는 면의 중심(C)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면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면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상호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은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에서 상기 몸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곡면은 가상의 두 정점(F1, F2)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가압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마주하는 면의 중심(C)에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상기 코일형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정류자;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상기 정류자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부; 브러시 홀더; 상기 브러시 홀더 내에 배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를 상기 정류자에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부면, 하부면 및 측부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밀착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러시 홀더는, 내부에 상기 브러시가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측벽에서 상기 브러시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둘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기 설정된 이격간격(D1)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L1)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본체의 측벽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의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상기 브러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기 설정된 이격간격(D2)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L2)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브러시는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탄성부재에 의해 균일한 하중을 인가받도록 한다.
그에 따라, 브러시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기 설정된 위치에 탄성부재의 일측이 배치되게 함으로써, 브러시 홀더의 내부에 탄성부재를 조립할 때, 탄성부재가 꺾이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부에 배치되는 브러시, 브러시 홀더 및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브러시, 브러시 홀더 및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브러시 홀더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실시예이고,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브러시 홀더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e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도 3의 B-B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브러시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브러시와 탄성부재의 결합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d)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9의 (e)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9의 (f)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9의 (g)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9의 (h)에 도시된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부에 배치되는 브러시, 브러시 홀더 및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1)는 하우징(100), 커버부(200), 스테이터(300), 로터(400), 회전축(500), 정류자(600), 브러시 홀더(700), 브러시(800) 및 탄성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과 커버부(200)는 상기 모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과 커버부(20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300), 로터(400), 회전축(500), 정류자(600), 브러시 홀더(700), 브러시(800) 및 탄성부재(9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의 하면에는 브러시 홀더(700), 브러시(800) 및 탄성부재(90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400)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400)의 회전을 유도한다. 스테이터(3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테이터(300)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400)에 감긴 코일과 회전 자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마그넷은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N극과 S극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30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결합되어 제작되거나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는 단일 코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스테이터(300)는 로터(4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400)는 로터 코어와 코일(41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로터 코어는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슬롯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로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지름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롯은 상기 마그넷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슬롯에는 코일(410)이 감긴다. 이때, 슬롯에는 인슐레이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슬롯과 코일(410)을 절연시킨다.
코일(410)에 전류가 공급되면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작용이 유발되어 로터(400)가 회전할 수 있다. 로터(40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500)도 같이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정류자(600)는 회전축(500)에 결합한다. 그리고 정류자(600)는 로터(40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정류자(600)는 코일(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브러시 홀더(700)의 내부에는 브러시(8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8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방향(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800)는 소정의 폭(W), 높이(H) 및 길이(L)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홀더(700)는 커버부(200)의 하면(2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시 홀더(700)는 브러시(800) 및 탄성부재(90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브러시 홀더(700)는 본체(710) 및 접촉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700)는 결합부(730), 돌기(740) 및 지지 플레이트(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710)는 브러시(800)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710)의 내부에는 브러시(8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710)는 바닥 플레이트(711) 및 측벽(7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플레이트(711)는 두 개의 측벽(7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712)의 단부는 커버부(200)의 하면(210)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800)는 바닥 플레이트(711) 및 측벽(712)에 의해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접촉부(720)는 브러시(80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브러시(8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720)는 본체(710)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브러시(800)의 일면과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브러시(8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접촉부(720)는 본체(710)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브러시(8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본체(710)를 기준으로 브러시(800)의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이라 함은 내측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본체(710)와 브러시(800)는 접촉부(720)에 의해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720)는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720) 각각은 기 설정된 제1간격(D1)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러시(800)의 이동시, 브러시(8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브러시(800)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720)는 브러시(800)의 중심(C)을 브러시(800)의 폭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L3)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제1간격(D1) 및 가상의 선(L3)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접촉부(720)는 브러시(800)가 길이방향을 따라 기울어짐 없이 안내하기 때문에, 브러시(800)에 편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모터(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접촉부(720)는 브러시(8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L1)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720)의 길이(L1)는 브러시(800)의 길이(L)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접촉부(720)에 단락이 형성되게 되면, 상기 단락에 의해 브러시(800)의 이동이 방해될 수 있는바, 접촉부(720)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접촉부(720)는 소정의 길이(L1)를 갖는 리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제1간격(D1)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접촉부(720)는 브러시(80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800)의 일면과 접촉부(720) 사이에 제1 리세스(S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세스(S1)에는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로는 브러시(800)의 마모에 따른 브러시(800) 입자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은 우선적으로 제1 리세스(S1)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물질에 의한 브러시(800)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브러시 홀더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실시예이고,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브러시 홀더의 접촉부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720)는 측벽(712)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720)는 측벽(712)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접촉부(720)는 바닥 플레이트(711)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712)은 절개부(760)가 형성된 제1 측벽(712a)과 절개부(760)가 형성되지 않은 제2 측벽(712b)로 구분될 수 있는바, 접촉부(720)는 절개부(760)의 유무를 고려하여 제2 측벽(712b)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개부(760)는 브러시(800)에 연결된 와이어(20)를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접촉부(720) 중 어느 하나는 바닥 플레이트(711)에서 기 설정된 제2간격(D2)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세스(S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720) 중 다른 하나는 제2 측벽(712b)의 끝단에서 기 설정된 제3간격(D3)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리세스(S3)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물질은 제2 리세스(S2) 및 제3 리세스(S3)에도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간격(D1)은 상기 제2간격(D2) 또는 상기 제3간격(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간격(D3)은 상기 제2간격(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720)는 브러시(800)와 선접촉을 할 수 있다.
접촉부(720)는 브러시(800)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곡면(7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촉부(720)와 브러시(800)의 습동시, 접촉부(720)와 브러시(800)는 선접촉을 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721)은 가상의 점(P)을 기준으로 소정의 곡률(1/R1)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접촉부(720)는 브러시(800)와 면접촉할 수도 있다. 이때, 접촉부(720)와 브러시(800)의 마찰력 및 접촉부(720)의 지지력을 고려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 되게 접촉부(720)는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접촉부(720)는 면접촉의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마찰에 따른 접촉부(720)의 부러짐 또는 휨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촉부(720)의 피로 하중 및 습동을 고려하여 브러시(800)의 일면과 면접촉하는 접촉부(72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1)의 접촉부(720)는 측벽(712)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측벽(712)에서 외측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제1 리세스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에 따라 상기 홈을 제외한 측벽(712)이 상기 접촉부(7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부(730)는 측벽(712)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결합부(730)는 측벽(712)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730)는 커버부(200)의 결합홈(220)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220)은 커버부(200)의 하면(21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러시 홀더(700)는 커버부(200)의 하면(2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740)는 결합부(73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740)는 결합부(740)와 결합홈(22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돌기(740) 각각은 톱니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결합부(730)가 결합홈(220)에 삽입되면, 돌기(740)에 의해 결합부(73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740)는 결합부(730)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홀더(700)는 돌기(740)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730)를 이용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750)는 바닥 플레이트(711)에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750)는 내측을 향해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750)는 탄성부재(900)의 일측을 탄성지지 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900)가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750)는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 중 일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브러시(800)는 정류자(600)에 접촉하여 코일(410)에 전류가 인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1)는 터미널(미도시), 접지 단자(미도시), 커패시터(미도시) 및 와이어(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원과 브러시(8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러시(800)는 정류자(600)를 거쳐 코일(4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탄성부재(900)는 브러시(800)의 일측을 가압하여 브러시(800)의 타측이 정류자(600)에 접촉되게 한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9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커버부(200)에는 제1 지지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900)가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커버부(200)는 하면(210)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40)는 지지 플레이트(750)와 함께 탄성부재(9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9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900)가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지지부(240)는 지지 플레이트(750)와 함께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지지부(240)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24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하면(210)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리브(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브(250) 각각은 기 설정된 제4간격(D4)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브러시(800)의 이동시, 브러시의 중심(C)을 기준으로 브러시(800)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제4간격(D4)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리브(250)는 브러시(800)가 길이방향을 따라 기울어짐 없이 안내하기 때문에, 브러시(800)에 편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모터(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리브(250)는 브러시(8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L2)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리브(250)에 단락이 형성되게 되면, 상기 단락에 의해 브러시(800)의 이동이 방해될 수 있는바, 리브(2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브(250)의 길이(L2)는 브러시(800)의 길이(L)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800)의 일면과 리브(250) 사이에 제4 리세스(S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리세스(S4)에는 상기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물질은 제4 리세스(S4)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물질에 의한 브러시(800)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브러시와 탄성부재의 결합에 대한 브러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7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브러시(800)에 균일한 하중이 인가되도록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되는 브러시(800)의 구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구조는 브러시(800)의 일측에서 탄성부재(900)를 향해 돌출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7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브러시(800)는 정류자(600)와 탄성부재(9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9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브러시(800)는 몸체(810), 밀착부(820) 및 돌출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830)는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830)에는 탄성부재(900)에 의해 균일한 하중이 인가될 수 있다.
몸체(8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와이어(W)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820)와 돌출부(830)는 몸체(810)의 길이방향(x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몸체(810)는 두 개의 측부면(811), 상부면(812) 및 하부면(813)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820)는 정류자(600)에 밀착되도록 몸체(8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몸체(81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때, 밀착부(820)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나의 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820)는 탄성부재(900)에 의해 정류자(600)에 접촉될 수 있다.
돌출부(830)는 탄성부재(900)를 향해 몸체(810)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800)의 측부면(811)을 바라볼 때, 돌출부(830)는 밀착부(8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상의 선(L4)을 기준으로 몸체(810)의 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브러시(800)의 측부면(811)에서 바라볼 때, 돌출부(830)의 일부를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역사다리꼴 또는 타원형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절개하여 돌출부(8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의 (a) 및 도 10을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제1 면(831)과 제2 면(8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0)의 측부면(811)에서 바라볼 때,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810)의 일부를 삼각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는 탄성부재(900)를 마주하는 면에 대한 중심(C)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면(83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면(8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중심(C)을 지나는 가상의 선(L3)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하나의 모서리를 두고 상호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소정의 각도(θ1)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θ1)는 가상의 선(L3)을 기준으로 둔각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900)는 제1 면(831)과 제2 면(832)을 균일한 하중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둔각으로 형성된 상기 각도(θ1)에 의해 탄성부재(900)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각도(θ1)로 형성된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브러시(800)에 편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b) 및 도 11을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제1 면(831), 제2 면(832) 및 제3 면(8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면(833)은 제1 면(831)과 제2 면(83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면(831)과 제3 면(833)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제2 면(832)과 제3 면(833)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0)의 측부면(811)에서 바라볼 때,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810)의 일부를 사다리꼴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중심(C)을 지나는 가상의 선(L3)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제3 면(83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소정의 각도(θ2)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θ2)는 가상의 선(L3)을 기준으로 둔각을 형성한다.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831)에서 연장된 선과 제2 면(832)이 연장된 선이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소정의 각도(θ2)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900)는 제1 면(831)과 제2 면(832)을 균일한 하중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둔각으로 형성된 상기 각도(θ2)에 의해 탄성부재(900)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각도(θ2)로 형성된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브러시(800)에 편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θ2)는 상기 각도(θ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800)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면(831)과 제2 면(832)이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탄성부재(900)의 직경을 고려하여 제3 면(833)이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도 9의 (c) 및 도 12를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3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제1 면(831), 제2 면(832), 제3 면(833), 제1 면(831)에서 상부면(812)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제4 면(834) 및 제2 면(832)에서 하부면(813)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제5 면(8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0)의 측부면(811)에서 바라볼 때,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810)의 일부를 사다리꼴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와 달리 제3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는 제4 면(834) 및 제5 면(835)을 통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900)의 지지력에 의해 돌출부(830)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중심(C)을 지나는 가상의 선(L3)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제3 면(83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소정의 각도(θ3)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θ3)는 가상의 선(L3)을 기준으로 예각을 형성한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831)에서 연장된 선과 제2 면(832)이 연장된 선이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소정의 각도(θ3)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부재(900)는 제1 면(831)과 제2 면(832)을 균일한 하중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예각으로 형성된 상기 각도(θ3)에 의해 탄성부재(900)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각도(θ3)로 형성된 제1 면(831)과 제2 면(832)은 브러시(800)에 편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θ3)는 상기 각도(θ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800)의 제3 실시예의 경우, 제1 면(831)과 제2 면(832)이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탄성부재(900)의 직경을 고려하여 제3 면(833)이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돌출부(830)는 곡면(836)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836)은 상부면(812) 및 하부면(813)에서 몸체(810)와 멀어지는 방향(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9의 (d) 및 도 13을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4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곡면(8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0)의 측부면(811)에서 바라볼 때,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810)의 일부를 타원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곡면(836)은 가상의 두 정점(F1, F2)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836)은 탄성부재(9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탄성부재(900)가 곡면(836)에 균일한 하중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곡면(836)은 브러시(800)에 편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e) 및 도 14를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5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가압면(837)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830)는 가압면(837) 및 가압면(837)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적어도 둘의 제2 돌기(8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0)의 측부면(811)에서 바라볼 때,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810)의 일부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압면(837)은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900)는 이격되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돌기(838)에 의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데, 탄성부재(900)가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돌기(838)는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838)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900)의 지지력에 의해 돌출부(830)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5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는 가압면(837)의 가장자리에서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게 돌출될 수 있다.
도 9의 (f) 및 도 15를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6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가압면(837)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830)는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면(837) 및 가압면(837)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돌기(838)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돌기(838)의 내측에는 홈(8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840)에는 탄성부재(9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압면(837)은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900)는 제2 돌기(838)에 의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데, 탄성부재(900)가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돌기(838)는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g) 및 도 16을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7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가압면(837), 가압면(837)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적어도 둘의 제2 돌기(838) 및 이탈방지턱(8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10)의 측부면(811)에서 바라볼 때,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810)의 일부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개한 후 가압면(837)과 제2 돌기(838)가 만나는 모서리를 외측방향으로 더 절개하여 제7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810)의 일부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개하여 이탈방지턱(841)을 형성할 수 있다.
가압면(837)은 탄성부재(9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900)는 제2 돌기(838)에 의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데, 탄성부재(900)가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돌기(838)는 상기 스프링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두 개의 제2 돌기(838)는 상호 마주보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838)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900)의 지지력에 의해 돌출부(830)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턱(841)은 가압면(837)과 제2 돌기(838)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돌기(838)의 모서리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이탈방지턱(8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단부는 이탈방지턱(841)에 걸려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의 (h) 및 도 17을 참조하여 브러시(800)의 제8 실시예를 살펴보면, 돌출부(830)는 중심(C)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830)의 외측에는 코일형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부(830)는 탄성부재(900)를 마주하는 면의 중심(C)에서 돌출되고, 돌출부(830)의 외측에 코일형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는 가압면(837), 가압면(837)의 중심(c)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3 돌기(8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8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30)는 가압면(837)의 중심(c)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3 돌기(850)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900)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제공되며, 제3 돌기(850)의 외측에는 상기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내주면은 상기 제3 돌기(85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돌기(850)는 소정의 두께(T)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900)의 지지력에 의해 제3 돌기(850)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돌기(85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터 10: 베어링
100: 하우징
200: 커버부 210: 하면
220: 결합홈 250: 리브
300: 스테이터
400: 로터
500: 회전축
600: 정류자
700: 브러시 홀더 710: 본체
711: 바닥 플레이트 712: 측벽
720: 접촉부 730: 결합부
740: 돌기 750: 지지 플레이트
800: 브러시 810: 몸체
820: 밀착부 830: 돌출부
831: 제1 면 832: 제2 면
833: 제3 면 836: 곡면
837: 가압면 838: 제2 돌기
840: 홈
850: 제3 돌기
900: 탄성부재

Claims (10)

  1.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정류자;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상기 정류자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결합하는 브러시 홀더;
    상기 브러시 홀더 내에 배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를 상기 정류자에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부면, 하부면 및 측부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밀착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커버부를 향해 개구가 형성되도록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와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측벽에서 연장된 결합부, 및
    두 개의 상기 측벽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둘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기 설정된 제1간격(D1)으로 이격되게 상기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커버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브러시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마주하는 면의 중심(C)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면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면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은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에서 상기 몸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가압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배치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모터.
  7.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는 정류자;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 상기 정류자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부;
    브러시 홀더;
    상기 브러시 홀더 내에 배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를 상기 정류자에 접촉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부면, 하부면 및 측부면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밀착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커버부를 향해 개구가 형성되도록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와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측벽에서 연장된 결합부,
    두 개의 상기 측벽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적어도 둘의 접촉부,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내부에 상기 브러시가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측벽에서 상기 브러시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둘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기 설정된 이격간격(D1)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L1)로 길게 형성되는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측벽에서 연장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하는 모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브러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제4 리세스가 형성되게 기 설정된 이격간격(D2)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L2)로 길게 형성되는 모터.
KR1020170079258A 2017-06-22 2017-06-22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6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58A KR102363170B1 (ko) 2017-06-22 2017-06-22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CT/KR2017/013169 WO2018236008A1 (ko) 2017-06-22 2017-11-20 브러시 홀더,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58A KR102363170B1 (ko) 2017-06-22 2017-06-22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05A KR20190000205A (ko) 2019-01-02
KR102363170B1 true KR102363170B1 (ko) 2022-02-15

Family

ID=6502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58A KR102363170B1 (ko) 2017-06-22 2017-06-22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398A (ja) * 2001-04-23 2002-11-08 Asmo Co Ltd ブラシ保持装置
KR101143325B1 (ko) * 2010-11-05 2012-05-09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101172620B1 (ko) * 2011-02-11 2012-08-08 주식회사 만도 브러시형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727A (ko) * 1999-03-08 2000-10-05 이세용 소음 방지용 모터
KR100532061B1 (ko) * 2003-06-20 2005-1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브러시 조립체
KR102634200B1 (ko) * 2016-08-01 2024-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398A (ja) * 2001-04-23 2002-11-08 Asmo Co Ltd ブラシ保持装置
KR101143325B1 (ko) * 2010-11-05 2012-05-09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KR101172620B1 (ko) * 2011-02-11 2012-08-08 주식회사 만도 브러시형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05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922B1 (ko) 모터의 터미널 연결구조
US11616425B2 (en) Ground terminal, cover assembly and motor comprising same
JP2008141946A (ja) ブラシホルダ用案内枠及びブラシ組立体、並びにブラシ組立体付きブラシホルダを備える電気装置
KR102363170B1 (ko)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002050B2 (ja) ブラシホルダ装置及び回転電機
KR102489300B1 (ko) 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 조립체
KR20230164639A (ko) 모터
KR102613969B1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63169B1 (ko) 브러시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09155553B (zh) 旋转电机
CN111386650A (zh) 马达
KR102516545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081880B2 (ja) ブラシ装置及びモータ
US11128203B2 (en) Motor
KR100302327B1 (ko) 스켈리턴형브러시레스직류모터_
CN216929710U (zh) 具有导向功能的电机转子及电机
CN212518701U (zh) 端盖总成、电机和电动撑杆
JP2588238Y2 (ja) 回転電機のブラシホルダ
WO2023223662A1 (ja) 電動機
KR102639511B1 (ko) 모터
WO2020105501A1 (ja) 電動機及びブラシ収容部
CN108233583B (zh) 电机及其电刷
JP2007318869A (ja) 電動モータおよび燃料ポンプ
KR101894259B1 (ko) 브러시 전동기
KR19990051612A (ko) 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