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401B1 -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401B1
KR100903401B1 KR1020040071137A KR20040071137A KR100903401B1 KR 100903401 B1 KR100903401 B1 KR 100903401B1 KR 1020040071137 A KR1020040071137 A KR 1020040071137A KR 20040071137 A KR20040071137 A KR 20040071137A KR 100903401 B1 KR100903401 B1 KR 100903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otor housing
support
housing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915A (ko
Inventor
신무라나오히사
구지라유키노부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터(3)는 모터하우징(9, 10) 및 상기 모터하우징(9, 1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자(R)를 포함한다. 지지부(16, 17, 19, 20)는 상기 모터하우징(9, 10)이 상기 모터(3)의 축방향(A)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상기 모터(3)의 축방향(A)에 직교된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도록 상기 모터(3)를 지지한다.
모터, 모터하우징, 고정자, 지지부

Description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MOTOR HOLDING ARRANGEMENT AND MOTOR ACTUATOR HAV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2a는 모터하우징의 케이싱의 커버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2b는 케이싱의 케이스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3a는 모터 액추에이터의 모터지지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3b는 모터지지장치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4는 도3b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변형예의 모터지지장치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액추에이터 3: 모터
10: 단부프레임 10b: 지지돌기
11: 영구자석 14: 모터단자
15: 자극중심선 16, 17: 모터지지부
18: 지지홈 18c: 개구부
26: 전력공급단자
본 발명은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actuator)에 관한 것이다.
모터가 작동되거나 정지될 경우, 회전자(rotor)에 토크가 가해진다. 회전자에 토크가 가해질 경우, 반력이 발생된다. 이 반력은 고정자(stator) 및 대향되는 방향의 모터하우징에 토크를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하우징은 반력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수용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하우징은 이 반력에 의해 상기 모터하우징이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모터지지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 액추에이터에 구비된 모터지지장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전력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모터하우징 내에 구비된 모터의 단자(terminal)가 모터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전력공급부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모터하우징을 지지한다. 그런 모터지지장치를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제8-70553호에 제안되었다.
각 전력공급부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전력공급부는 반력에 의해 모터하우징이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반력에 의한 모터하우징의 회전은 충분히 제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의 단자가 편평한 형상을 갖도록 벤딩될 경우, 모터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해 단자들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런 경우에, 별도의 모터지지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모터의 작동시 또는 모터의 정지시 부과되는 반력에 의한 모터하우징의 회전을 충분히 제한할 수 있는 모터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지지장치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 및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모터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는 모터하우징 및 고정자(stator)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소정 방향, 즉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직교된 방향으로의 상기 모터하우징의 움직임은 허용되도록 상기 모터를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 및 케이싱을 포함하는 모터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는 모터하우징 및 고정자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모터를 수용하고,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소정 방향, 즉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직교된 방향으로의 상기 모터하우징의 움직은 허용되도록 상기 모터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부가된 목적, 특징 및 그에 따른 장점들과 함께, 후술될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들, 참조도면들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차량 공조장치에 구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실시예의 모터 액추에이터(1)는 이를 개폐하기 위한 흡기구 전환도어, 온도조절도어 및 배기구 전환도어와 같은 차량공조장치의 각종 도어들 각각에 구비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액추에이터(1)는 케이싱(2), 모터(3), 제1감속기어(5), 제2감속기어(6), 제3감속기어(7) 및 도전유닛(conducting unit)(8)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감속기어(5), 제2감속기어(6) 및 제3감속기어(7)는 감속기구(speed reducing mechanism)를 이룬다.
도2a 및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2)은 수지로 이루어지고, 케이스부(제1케이싱부)(2a) 및 커버부(제2케이싱부)(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싱 부(2a)는 상기 각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싱부(2b)는 상기 제1케이싱부(2a)의 개구부(opening)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싱부(2a)의 개구부에 끼워진다. 상기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제1케이싱부(2a)의 저면(base)에 수용홈(3a)을 구비한다. 도3a 및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3)는 컵 형상의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end frame)(10)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단부프레임(10)은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크하우징(9)의 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요크하우징(9)의 내주면에는 두 개의 아치형 영구자석들(두 개의 자극들)(11)이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고정된다. 상기 영구자석들(11)의 반경방향 내측에 회전자(rotor)(R)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요크하우징(9)의 저면에 베어링부(9a)가 일체로 형성되고,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자(R)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부(9a)에 베어링(미도시)이 수용된다. 상기 베어링부(9a)의 중심을 통해 수용관통공(미도시)이 관통된다. 상기 회전자(R)의 회전축은 상기 베어링부(9a)의 수용관통공을 통해 상기 요크하우징(9)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자(R)의 회전축의 돌출부에 웜(12)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부(9a)의 외주면에 고무링(탄성부재)(13a)이 끼워진다.
상기 단부프레임의 중심에 베어링부(10a)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자(R)의 회전축에 지지되는 베어링(미도시)은 상기 베어링부(10a)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부(10a)의 외주면에 고무링(탄성부재)(13b)이 끼워진다. 상기 단부프레임(1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모터단자들(14)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단자들(14)은 상기 제2케이싱부(2a)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away from) 방향으로 벤딩된다.
또한,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부프레임(1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단부프레임(10)의 외부 단면에 원통형의 지지돌기(제1결합부)(10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되고, 상기 영구자석들(자극)(11)의 자극중심선(15)에 평행한 가상선 상에 위치된다. 상기 자극중심선(15)은 상기 두 개의 자극들 각각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다. 도3b에서, 이 가상선은 상기 모터(3)의 축방향으로 서로 겹치므로, 상기 자극중심선(15)과 일치된다.
상기 모터(3)를 지지하기 위한 제1케이싱부(2a)의 내면에 수용홈(3a)의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두 개의 모터지지부(16, 17)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지지부(16, 17)는 상기 제1케이싱부(2a)의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모터(3)의 단부프레임(10) 측 상에 상기 모터(3)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16) 내에 상기 제1결합부(10)가 결합되는 지지홈(제2결합부)(1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되고, 상기 영구자석(11)의 자극중심선(15)에 평행한 가상선 상의 위치에 노치(notch) 또는 홈(recess)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된 방향으로 홈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은 상기 회전축(A)을 따라 연장되고, 도3a의 평면에 직교된다. 상기한 방식 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회전축(A)에 대해 상기 지지돌기(10b)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회전축(A)에 직교된 방향으로 상기 지지돌기(10b)의 이동을 허용한다. 즉,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지지돌기(10b)와 결합되어, 상기 지지홈(18)이 상기 모터(3)의 회전축(A) 주위에서 지지돌기(10b)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된 방향으로 상기 지지돌기(10b)의 이동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A)에 직교된 방향은 상기 제2케이싱부(2b)가 상기 제1케이싱부(2a)에 설치되는 방향과 일치된다.
도3b에서 좌우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지지홈(18)의 폭은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돌기(10b)의 외경과 같다. 도3b에서 직교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지지홈(18)의 길이는 상기 지지돌기(10b)의 외경 보다 길다. 상기 지지홈(18)과 결합된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지지홈(18)의 길이 중심(도3b에서 수직방향중심) 또는 그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홈(18)의 개구부(18a)에서 상기 링(13b)을 따라 상기 지지부(16)에 아치형의 지지홈(16a)이 형성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홈(1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내부모서리(내면)(18b)는, 상기 자극 중심선(15)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모서리(18b)를 바라볼 경우, 상기 내부 모서리(18b)의 다른 하나를 향해 볼록하게 이루어진(bulge) 아치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각 내부 모서리(18b)와 지지돌기(10b) 사이의 연결은 점접촉으로 이루어진다.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요크 하우징(9)의 저면에서 상기 모터(3)를 지지하는 상기 모터지지부(17)에 지지홈(17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7a)은 상 기 지지홈(16a)과 유사하고, 상기 링(13a)을 따라 만곡된 아치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케이싱부(2b)에 수용홈(3b)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b)은 상기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a)과 협동한다. 두 개의 모터지지부(19, 20)는 상기 제2케이싱부(2b)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각 수용홈(3b)의 길이 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지지부(19, 20)는 상기 모터(3)를 지지하도록 상기 모터지지부(16, 17)와 협동한다.
상기 모터지지부(19, 20) 각각에 지지홈(19a, 20a)이 형성된다. 각 지지홈(19a, 20a)은 상기 지지홈(16a)과 유사하고, 대응되는 상기 링(13a, 13b)을 따라 만곡된 아치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모터(3)는 상기 링(13a, 13b)을 통해 상기 모터지지부(16, 17, 19, 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모터(3)(모터하우징)는 상기 모터지지부(16, 17, 19, 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링(13a, 13b)은 진동을 흡수하거나 감쇄시킨다. 따라서, 상기 모터(3)에서 상기 케이싱(2)까지 진동이 유도(conduction)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모터(3)에서, 상기 모터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모터지지부(16)에 형성된 상기 지지홈(18)에 수용된다.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모터(3)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지지홈(18)과 결합된다.
도1, 도2a 및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제1감속기어(5), 제2감속기어(6) 및 제3감속기어(7)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케이싱부(2a)에 베어링들(21a, 22a, 2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들(21, 22a)과 협동되고, 각각 상기 제1감속기어(5) 및 제2감속기어(6)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케이싱부(2b)에 베어링들(21b, 22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23)과 협동되고, 상기 제2감속기어(7)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케이싱부(2b)에 베어링공(24)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감속기어(5)는 그것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3)의 회전축에 연결된 상기 웜(12)과 맞물린다. 상기 제2감속기어(6)는 상기 제1감속기어(6)와 맞물리고, 상기 제3감속기어(7)는 상기 제2감속기어(6)와 맞물린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감속기어(5)는 일체로 형성된 대경기어(large diameter gear)(5a), 소경기어(small diameter gear)(5b) 및 지지축(5c)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감속기어(5)는 상기 베어링들(21a, 2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유사하게, 상기 제2감속기어(6)는 일체로 형성된 대경기어(6a), 소경기어(6b) 및 지지축(6c)을 포함한다. 상기 제2감속기어(6)는 상기 베어링들(22a, 22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3감속기어(7)에 출력축(7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3감속기어(7) 출력축(7a)의 일단은 상기 베어링(2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출력축(7a)의 타단은 상기 베어링공(24)을 통해 수용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제3감속기어(7)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출력축(7a)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공(24)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출력축(7a)의 단부에 출력부(7b)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부(7b)는 D형상의 단면적을 갖고, 그 편평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에 의해 구동된 상기 웜(12)의 회전은 상기 제1감속기어(5)의 대경기어(5a)에 전달되고(conduct), 그런 다음 상기 제1감속기어(5)의 소 경기어(5b)를 통해 상기 제2감속기어(6)의 대경기어(6a)에 전달된다. 그후에, 상기 회전은 상기 제2감속기어(6)의 소경기어(6b)로부터 상기 제3감속기어(7)까지 전달되고, 상기 출력축(7a)의 출력부(7b)에서 출력된다.
상기 제1케이싱부(2a)에 수용된 상기 도전유닛(8)은 상기 모터 액추에이터(1)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도전유닛(8)은 전력공급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공급부(25)의 전력공급단자(26)는 상기 모터(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모터단자들(14) 각각에 결합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모터 액추에이터(1)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모터(3)가 작동될 경우, 상기 회전자(R)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진다. 그런 다음, 상기 회전자(R)의 회전방향과 대향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토크가 상기 회전축(A) 주위에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예를 들면,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10))을 회전시키는 고정자(요크하우징(9) 및 영구자석(11))에 반력으로써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돌기(10b)는 그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지지홈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예를 들면,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10))의 회전이 유리하게 제한된다.
상기 모터(3)가 정지할 경우에 같은 일이 발생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장점들을 설명한다.
(1)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지지홈(18)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가 작동되거나 정지할 경우, 상기 회전자(R)에 가해지는 토크에 반응하여 발생되는 반력에 의해 야기된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예를 들면,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2)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을 포함하는 면에 직교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를 포함하는 면에 직교된 소정 방향으로 상기 모터(3)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런 소정 방향은 상기 제1케이싱부(2a)에 상기 모터(3)를 설치할 경우, 상기 모터(3)의 설치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제1케이싱부(2a)에 상기 제2케이싱부(2b)의 설치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3)는 상기 제1케이싱부(2a)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 상기 모터(3)는 모터 조립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홈(18)에 상기 지지돌기(10b)를 삽입함에 의해 상기 제1케이싱부(2a)에 수용될 수 있다.
(3)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되고, 상기 자극 중심선(15)과 평행한 가상선을 따라 상기 모터지지부(16)에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모터(3)의 자기진동(magnetic vibration)은 상기 자극 중심선(15) 방향으로 발생되기 쉽다. 상기 지지홈(18)이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되고, 상기 자극 중심선(15)과 평행한 가상선을 따라 구비될 경우, 자기진동에 의해 야기된 상기 지지돌기(10b)의 진동방향은 상기 지지홈(18)의 연장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지지홈(18) 내에서 진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홈(18)을 통해 상기 지지돌기(10b)로부터 상기 케이싱(2)으로의 자기진동의 전달은 제한되고, 상기 케이싱(2)의 진동에 의해 야기되는 소음(noise)의 발생이 유리하게 제한될 수 있다.
(4)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모터단자(14)와 대응되는 전력공급단자(26) 사이의 각 연결부 근방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홈(18)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단자(14)와 상기 전력공급단자(26) 사이의 보다 정확한 연결은 상기 모터(3)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안정화할 수 있다.
(5) 지지돌기(10b) 및 지지홈(18)은 모두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지지돌기(10b)와 지지홈(18) 사이에 수지 대 수지(resin-to-resin) 접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10b)에서 상기 지지홈(18)으로 진동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돌기(10b)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돌기(10b)에 접촉되는 각 내부 모서리(18b)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10b)와 상기 내부 모서리(18b) 간에는 점접촉되고, 그에 따라 그들 간의 접촉면적은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10b)로부터 상기 케이싱(2)으로의 진동의 전달은 최소화될 수 있다.
(6)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단부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다.
(7) 상기 모터(3)는 상기 링(13a, 13b)을 통해 상기 모터지지부(16, 17, 19, 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모터(3)(모터하우징)는 상기 모터지지부(16, 17, 19, 2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링(13a, 13b)은 진동을 흡수하거나 감쇄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3)로부터 상기 케이싱(2)으로의 진동의 전달은 최소화된다.
(8) 상기 모터(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토크에 근거해서, 상기 지지돌기(18b)는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모터하우징(예를 들면,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10))의 회전을 야기하는 회전력은 상기 지지돌기(18b)에 의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예를 들면,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10))의 회전은 보다 효율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18b)는 상기 각 내부 모서리(18b)와 직접 접촉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지돌기(18b) 주위에 진동흡수부재 또는 탄성부재로서 제공되는 고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수지소재 지지돌기(18b)는 상기 수지소재 내부 모서리(18b)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18b) 주위에 구비된 링은 진동을 흡수하거나 감쇄시켜서, 상기 지지돌기(18b)로부터 상기 케이싱(2)으로의 진동 전달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지지부(16)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되고, 상기 자극 중심선(15)과 평행한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되고, 상기 자극 중심선(15)과 평행한 가상선을 따라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자극 중심선(15)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모터(3)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지지돌기(10b)와 하나의 지지홈(18)이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둘 이상의 지지돌기 및 둘 이상의 지지홈 구비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은 상기 모터(3)의 작동 및 정지 시,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단부프레임(10)에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요크하우징(9)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지지돌기(10b)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한 단락 (4)에 서술된 것과 유사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지지부(16)에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지지부(16) 외 다른 모터지지부(17, 19, 20)의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돌기(10b)는 이런 지지홈(18)에 결합되도록 바뀔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각 내부 모서리(18b)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각 내부 모서리(18b)는, 예를 들면 삼각형 형상이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내부 모서리(18b)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아치형 내부 모서리(18b)에 대해 서술된 것과 유사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각 내부 모서리(18b)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원통형 지지돌기(10b)는 상기 평면형 내부 모서리(18b)와 선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아치형 내부 모서리(18b)에 대해 서술된 것과 유사한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아치형 영구자석(11)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두 개의 자극들을 가진 원통형 영구자석(11)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영구자석(11)은 페라이트(ferrite) 자석 또는 고무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자석이 영구자석(11)으로 사용될 경우, 두 개의 자극들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도5에서, 두 개의 자극들을 포함하는 고무자석(11)은 하나의 판에 구비된다. 상기 고무자석(11)은, 그런 다음 상기 요크하우징(9)의 내주면을 따라 강제적으로 벤딩되고, 상기 고무자석(11)의 단부는 도5의 점선(11a)에서 서로 대향된다. 상기 고무자석(11)이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영구자석(11)은 접착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그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요크하우징(9)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의 제조비용이 영구자석(11)으로 페라이트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자석의 탄성 때문에, 상기 모터(3)의 진동은 상기 모터(3)가 회전되는 동안 제한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단부프레임(10)의 제1결합부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홈(18)은 상기 모터지지부(16)의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상기 단부프레임(10)에 상기 모터(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부로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지지부(16)에 제2결합부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10b)는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예를 들면,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홈(18)과 결합되고, 상기 모터(3)의 회전축(A)에 직교된 소정 방향으로의 상기 모터(3)의 이동은 허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단부프레임(10)의 베어링부는 상기 단부프레임(10)의 베어링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가진 상기 모터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모터(3)는 그 회전축(A)에 직교된 소정 방향으로 상기 모터지지부에 대 해 이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런 구조로,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모터지지부의 홈에 결합될 경우, 상기 회전축(A) 주위로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예를 들면, 요크하우징(9) 및 단부프레임(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의 작동 또는 정지시에 발생된 반력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모터(3)의 모터하우징의 회전은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는 모터의 작동시 또는 모터의 정지시 부과되는 반력에 의한 모터하우징의 회전을 충분히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모터하우징 및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자를 구비한 모터; 및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상기 회전자와 함께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에 직교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
    를 포함하는 모터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두 개의 자극들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지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두 개의 자극의 각각의 중심을 통해 연장된 자극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와 함께 모터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는
    모터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은 하나 이상의 고무자석을 포함하는
    모터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무자석은 두 개의 자극을 갖는 하나의 고무자석을 포함하는
    모터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의 외부 단면에 제1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 중 하나에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상기 회전자와 함께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에 직교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
    모터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돌기이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모터의 축방향에 직교된 방향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 중 하나에 수용되는 홈인
    모터지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그 내주면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두 개의 자극들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지지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모터의 축방향에 직교되고, 상기 두 개의 자극들의 각 중심을 거쳐 연장되는 자극 중심선과 평행한 가상선 상에 위치된
    모터지지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그 내주면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두 개의 자극들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지지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두 개의 자극들의 각 중심을 거쳐 연장되는 자극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와 함께 모터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는
    모터지지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의 외부 단면은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력공급단자들과 접촉된 복수의 모터단자들을 구비한
    모터지지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모터의 축방향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모터지지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연결은 점접촉 및 선접촉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모터지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 중 하나 이상 간에 각각 지지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지지장치.
  13. 모터하우징 및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자를 구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고,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상기 회전자와 함께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에 직교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구비한 케이싱
    을 포함하는 모터 액추에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축방향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구를 더 포함하는
    모터 액추에이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의 외부 단면에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 중 하나에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상기 회전자와 함께 모터하우징이 상기 모터의 축방향에 직교된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그 내주면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두 개의 자극들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지지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두개의 자극들의 각 중심을 거쳐 연장되는 자극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모터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는
    모터 액추에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은 하나 이상의 고무자석을 포함하는
    모터 액추에이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무자석은 상기 두 개의 자극들을 구비한 하나의 고무자 석을 포함하는
    모터 액추에이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제1케이싱부 및 서로 연결된 제2케이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제2케이싱부가 상기 제1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설치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모터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는
    모터 액추에이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부 중 하나 이상 간에 각각 지지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 액추에이터.
KR1020040071137A 2003-09-08 2004-09-07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KR100903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5919 2003-09-08
JP2003315919 2003-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915A KR20050025915A (ko) 2005-03-14
KR100903401B1 true KR100903401B1 (ko) 2009-06-18

Family

ID=3422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137A KR100903401B1 (ko) 2003-09-08 2004-09-07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03401B1 (ko)
CN (1) CN1312827C (ko)
DE (1) DE102004042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9136B (zh) * 2015-12-21 2019-12-06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执行器
EP3447888B1 (en) * 2017-08-22 2021-07-14 Vitesco Technologies GmbH Rotor for an electric machine of a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3670A (ja) * 1995-12-11 1997-06-20 Harada Ind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H10322967A (ja) 1997-05-12 1998-12-04 Asmo Co Ltd 小型アクチュエータ
JP2001258199A (ja) 2000-03-10 2001-09-21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のモータ取付構造
KR100302285B1 (ko) 1998-09-04 2001-10-19 엄기화 모터축의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1449A (ja) * 1985-09-20 1987-04-02 Matsushita Seiko Co Ltd 天井扇風機
JPH0715926A (ja) * 1993-06-22 1995-01-17 Hitachi Ltd 回転電機の軸心調整方法
CN2390344Y (zh) * 1999-07-02 2000-08-02 浙江卧龙电机股份有限公司 弹性安装式塑封电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3670A (ja) * 1995-12-11 1997-06-20 Harada Ind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H10322967A (ja) 1997-05-12 1998-12-04 Asmo Co Ltd 小型アクチュエータ
KR100302285B1 (ko) 1998-09-04 2001-10-19 엄기화 모터축의지지장치
JP2001258199A (ja) 2000-03-10 2001-09-21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のモータ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42340A1 (de) 2005-03-31
KR20050025915A (ko) 2005-03-14
CN1595770A (zh) 2005-03-16
CN1312827C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2605B2 (en) Dynamo-electric machine
US7579730B2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190095B2 (en) Motor
JP5239186B2 (ja) 回転電機
JP2006296020A (ja) 回転電機のロータ及び回転電機
KR20120094771A (ko) 내전형 bldc 모터
US7235908B2 (en) Motor actuator having motor holding arrangement
KR100903401B1 (ko) 모터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모터 액추에이터
JPH09322468A (ja) 電動機の防音構造
JP2010178469A (ja) モータ
US11742714B2 (en) Motor and driving member
JP3624321B2 (ja) 電動機の回転子
JP7330010B2 (ja) ロータ、モータ及びブラシレスワイパーモータ
JP7330011B2 (ja) ロータ、モータ及びブラシレスワイパーモータ
JP3517763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6068593A (ja) 振動モータ
KR101100038B1 (ko) 스큐구조를 갖는 스테이터 및 이를 채용한 모터
JP2005218169A (ja) 電動モータ
KR101104072B1 (ko) 모터
JPH0746049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送風電動機
KR101090679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CN219322162U (zh) 一种定子固定结构以及带有该结构的电机、园林设备
JP4545354B2 (ja) モータ及び封止構造
JP4457449B2 (ja) モータのロータ
JP2005348538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