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407A -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407A
KR20060084407A KR1020060056243A KR20060056243A KR20060084407A KR 20060084407 A KR20060084407 A KR 20060084407A KR 1020060056243 A KR1020060056243 A KR 1020060056243A KR 20060056243 A KR20060056243 A KR 20060056243A KR 20060084407 A KR20060084407 A KR 20060084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component
correlation value
target torqu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데 토가이
최경곤
타다시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66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 B60W2720/106Longitudinal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13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 F02D2041/1431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the system including an input-output de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33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using a model or simulation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02D2250/21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during a transition between engine operation modes or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28Control for reducing torsional vibrations, e.g. at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0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셀을 밟을 때에 있어서의 진동(가속 쇼크)을 저감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액셀을 밟을 때의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는 진동 성분 예측부(2)와, 진동 성분 예측부(2)에서 예측된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는 피드백 보정부(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 예측 보상기, 진동 성분 예측부, 피드백 보정부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Output power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의 구동계 모델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목표 가속도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2차 지연계의 스텝 응답과 고차원의 스텝 응답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주요부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 어 방법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고유 진동수의 변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고유 진동수의 변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오차의 영향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제어 게인 가변 설정부(제어 게인 가변 스텝)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제어 게인 가변 설정부(제어 게인 가변 스텝)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에 적용한 경우의 제어 대상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종래의 기술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종래의 기술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트롤러(제어수단 또는 ECU)
1a : 예측 보상기(Prediction Compensator)
2 : 진동 성분 예측부(진동 성분 예측 스텝)
3 : 피드백 보정부(피드백 보정 스텝)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셀을 밟을 때 진동(가속 쇼크)이나 변속시에 있어서의 진동(변속 쇼크)을 저감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액셀을 밟을 때(특히, 급격히 액셀을 밟을 때)에는 진동(가속 쇼크)이 생긴다. 이와 같은 가속 쇼크는, 급격한 액셀의 밟음에 의해 엔진 토오크가 급변하고, 그 결과 구동계에 비틀림 진동이 발생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동계의 비틀림 진동이 차체 전후 방향의 진동 현상으로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액셀 조작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구동계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는, 스로틀을 천천히 개방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가속감을 손상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진동을 억제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 개방도 - 구동 토오크 사이의 고유 전달 특성[즉 진동을 여기시키는 차량의 모델(Gp(s))]에 대해 역함수의 보상기(인버스 필터;inverse filter)(W(s))를 마련하고, 이와 같은 전치(前置) 보상기를 이용하여 스로틀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비틀림 진동을 억제하면서 또한 응답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기술도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이외에도, 스텝적인 입력 신호(액셀 개방도 변화)를 2단계로 나누어 입력하는 소위 2단계 토오크 입력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중, 인버스 필터(W(s))를 마련한 경우에는, 출력의 진동 성분을 상쇄할 수는 있지만, 차량의 모델(Gp(s))이 복잡하게 되면, 최적의 인버스 필터(W(s))를 설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2단계 토오크 입력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의 억제에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목표치를 항상 미리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 아니었다.
그런데, 일본 특개2001-132501호 공보에는, 특정 차량 상태량을 검출하고, 특정 차량 상태량에 포함되는 차량 구동계의 회전 진동 성분을 검지하고, 검지한 회전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엔진 토오크나 변속비를 변경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서는 특정한 차량 상태량을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태량이 발생하는 타이밍과, 그 상태량을 발생시킴에 기인한 제 어 조정량을 출력한 타이밍과의 어긋남, 즉 낭비 시간의 존재를 고려할 필요가 있어서, 낭비 시간을 포함하여 정밀도가 높은 제어 처리를 행하고자 하는 제어 처리 장치의 부담이 극히 높아져 실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액셀을 밟을 때의 진동이나 변속시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는,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는 진동 성분 예측부와, 상기 진동 성분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는 피드백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고 해당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기 때문에, 미리 진동을 예측하고 그것을 억제하도록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보정할 수 있고, 진동의 발생을 효과적이면서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기 때문에, 실제 진동을 피드백하는 경우와 같이 낭비 시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제어 처리를 간략화 할 수 있고,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조정 부재란, 예를 들면 스로틀, 점화 코일, 인젝터이다.
또한, 상기 소정의 예측 모델을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에 의거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는, 스텝적인 목표 토오크 상관치의 변화에 대해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는 근사성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전달 함수를 사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달 함수를 1/(s2 + 2ζωns + ωn 2), 피드백 보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게인(K)을 K = (ζ' - ζ)·2ωn(단, ζ'는 목표 차량 감쇠 계수, ζ는 실제 차량 감쇠 계수, ωn은 변속비에 따라 설정되는 고유 진동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드백 보정부는 상기 진동 성분 예측부에 의해 예측되는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제어 게인을 크게 설정하는 제어 게인 가변 설정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진동을 억제하는 방향의 제어 게인이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성분 예측 및 상기 피드백 보정을 기관 출력 발생의 적어도 3행정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낭비 시간 등의 지연 요소를 가미하여 예측에 의한 피드백 보정을 미리 행하기 때문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액셀 개방도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상기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은 보정 후의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가속시의 쇼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방법은,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는 진동 성분 예측스텝과, 상기 진동 성분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는 피드백 보정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텝에 의하면,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고 해당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기 때문에, 미리 진동을 예측하고 그것을 억제하도록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보정할 수 있고, 진동의 발생을 효과적이면서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기 때문에, 실제 진동을 피드백하는 경우와 같이 불필요한 시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제어 처리를 간략화 할 수 있으며,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조정 부재란, 예를 들면 스로틀, 점화 코일, 인젝터이다.
또한, 상기 소정의 예측 모델을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에 의거하여 설정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는, 스텝적인 목표 토오크 상관치의 변화에 대해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는 근사성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전달 함수를 사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달 함수를 1/(s2 + 2ζωns + ωn 2), 피드백 보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게인(K)을 K = (ζ' - ζ)·2ωn(단, ζ'는 목표 차량 감쇠 계수, ζ는 실제 차량 감쇠 계수, ωn은 변속비에 따라 설정되는 고유 진동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드백 보정스텝은 상기 진동 성분 예측부에 의해 예측되는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제어 게인을 크게 설정하는 제어 게인 가변 설정스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진동을 억제하는 방향의 제어 게인이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성분 예측 및 상기 피드백 보정을 기관 출력 발생의 적어도 3행정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낭비 시간 등의 지연 요소를 가미하여 예측에 의한 피드백 보정을 미리 행하기 때문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액셀 개방도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상기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은 보정 후의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에도 가속시의 쇼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해 설명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액셀 페달과 스로틀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소위 스로틀 바이 와이어식 스로틀 장치를 구비한 엔진(가솔린 엔진)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관해 설명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차량에는, 액셀 개방도 정보(목표 토오크 상관치 : Target)(APS)를 입력 신호로 하고, 이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스로틀(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출력 신호(TPS)를 보내는 컨트롤러(제어 수단 또는 ECU)(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1)에는 예측 보상기(Prediction Compensator)(1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예측 보상기(1a) 내에는, 입력 신호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Gp(s))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는 진동 성분 예측부(진동 성분 예측 스텝)(2)와, 이 진동 성분 예측부(2)에서 예측된 진동 성분(예측치)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입력 신호를 피드백 보정하는 피드백 보정부(피드백 보정 스텝)(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 성분 예측부(2)에 있어서의 소정의 예측 모델(Gp(s)')이란, 구체적으로는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G(s))로서, ζ를 실제 차량 감쇠 계수, ωn을 변속비에 따라 설정되는 고유 진동수로 하였을 때, G(s) = 1/(s2 + 2ζωns + ωn 2)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보정부(3)에 의해 보정되는 제어 게인(K)은, ζ'를 목표 차량 감쇠 계수로 하면, K = (ζ' - ζ)·2ωn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측 보상기(1a) 내의 함수(C(s))는 입력(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 개방도(APS))를 출력(마찬가지로 스로틀 개방도(TPS))으로 변환하는 함수로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함수가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략화 하기 위해 이하 C(s) = 1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예측 보상기(1a)는 상술한 일본 특개2001-132501호 공보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낭비 시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 예측 보상기(1a)가 간소화 될 수 있고, 목표치(Target)로부터 예측치(Prediction)와의 사이에 여러가지의 제어 방법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피드백에 의해 차량의 진동을 보다 한층 저감하기 위해 임의의 댐핑(damping)을 부가할(Pole assignment)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선형성이 있는 경우도 고려하여(자동차용의 엔진에서는 액셀 조작에 대해 발생 토오크에는 비선형성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도에 대해 역으로 힘을 가한다는 간소한 댐핑을 부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차량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엔진 출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3은 일반적인 가속시의 차체 전후 가속도의 파형이다. 이 파형으로부터, 보상기(1a)를 부가하는 경우에, ① 내지 ③의 3개의 요소에 주목하여 목표 가속도를 설정한다. 또한, 하기한 ① 내지 ③은 도 3의 ① 내지 ③에 대응하고 있다.
① 쇼크의 저감 : 가속하고자 하는 의지에 반하는 부방향의 가속이기 때문에, 감쇠를 부가하여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0.1G 이하로 한다.
② 상승시간의 유지 : 상승시간(목표치의 10%로부터 90%까지 이르는 시간)은, 가속감을 주는 요인이므로, 가능한 한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③ 목표치의 추종 : 드라이버가 운전할 수 있기 위한 조건. 제어 결과의 목표치 부족에 의한 드라이버의 피드백 조작이 없도록, 어느 정도의 시간 후에는 액셀로 지시된 값으로 수속시킨다.
(1) 차량 모델의 작성
도 2에 의거하여, 차량 모델을 작성하였다. 이 차량 모델은, 엔진(11) ∼ 트랜스미션(12) ∼ 데후(13) ∼ 타이어(14)까지의 구동계 비틀림 모델과, 구동계 비틀림 진동을 차체에 전달하기 위한 각 마운트나 서스펜션 등의 탄성을 고려한 차량 운동 모델로 구성되고, 플라이휠, 기어, 타이어의 3자유도, 서스펜션은 1자유도, 파워 플랜트(엔진 및 트랜스미션)와 강체의 보디는, 전후, 상하, 회전의 3자유도를 갖고, 합계 10자유도의 2차원 비선형 모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감쇠를 고려하여, 매트릭스로 나타내면 아래 식(1)으로 된다.
Figure 112006044064154-PAT00001
단,
[M] : 10×10 관성 매트릭스
[C] : 10×10 감쇠 매트릭스
[K] : 10×10 강성 매트릭스
{F} : 10×1 힘 벡터
{X} : 10×1 변위 벡터
Figure 112006044064154-PAT00002
윗 수학식의 각 매트릭스는 실제차 테스트에 의해 파라미터 보정을 행하였다.
도 4에 전체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요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모델은, 모델 예측 보상기(1a)와, 엔진 모델(EM)과, 10자유도의 차량 모델(VM)의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 모델(EM)로서, 엔진 전성능 특성 맵과 지연 요소가 이용되고 있다. 지연 요소에는 흡입관에서의 흡입 지연(1차 지연)과, 흡기로부터 연소 행정까지 3행정 지연되어 토오크로서 변환되는 행정 지연(낭비 시간)을 고려하였다. 또한, 엔진 전성능 맵에는, 차량 모델(VM)로부터 트랜스미션 부하 정보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 모델(VM)은, 차량 전후 진동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2) 예측 모델의 저차원화
일반적으로 n차계의 입력(u(s))으로부터 출력(y(s))으로의 전달 함수는, 아래 식(2)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44064154-PAT00003
그러나, 리얼 타임 제어성이 요구되는 제어에 있어서, 보급형의 MPU(Micro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식(2)의 고차원의 전달 함수를 연산하는 것은, 연산 속도나 정밀도의 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모델의 본래의 특성을 희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저차원화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스텝적인 액셀 개방도 변화(APS) 또는 스로틀 개방도 변화(TPS)에 대해, 출력이 되는 차체 전후 가속도(또는 드라이브 샤프트각 가속도)의 출력 파형은, 그 파형의 특징으로부터 2차 지연계의 응답으로서 근사할 수 있다(도 5 참조). 즉, APS로부터 차체 전후 가속도까지의 전달 특성을 G(s)라고 하면, G(s)는 다음 식(3)으로 근사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4064154-PAT00004
단, 식(3)에 있어서, KP는 비례 게인이고, ζ, ωn은 각각 차체 전후 진동의 감쇠 계수와 고유 진동수(기본 차수), s는 라플라스 연산자이다.
그리고, 식(3)을 예측 모델으로 하여, 예측 모델 보상기(1a)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 모델 보상기(1a)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드백 제어계 를 생각한다. 도 6에 있어서, 함수(F(s))는 입력된 액셀 개방도(APS)를 출력 토오크로 환산하는 것이고, 함수(F-1(s))는 입력된 토오크를 스로틀 개방도(TPS)로 환산하는 것이다.
또한, 이 피드백 제어계에 있어서의 진동 성분 예측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 G(s) = 1/(s2 + 2ζωns + ωn 2)와, 전달 함수(G(s))로부터 출력되는 변위(x)를 미분하여 변위 속도(dx/dt)(도면중에서는 「x」의 위에 「·」를 붙이여서 나타낸다)를 출력하는 미분부를 갖고 있다. 또한, 피드백 보정부(3)는, 진동 성분 예측부(2)에서 예측된 진동 성분(dx/dt)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함수(F(s))로부터의 출력에 대해 감쇠 토오크를 피드백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 신호(u(s))는 입력 신호(r(s))를 이용하여 아래 식(4)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44064154-PAT00005
따라서 입력 신호(r(s))로부터 출력 신호(u(s))까지의 폐(閉)루프 전달 함수는, 아래 식(5)으로 된다.
Figure 112006044064154-PAT00006
그리고, 입력(r(s))으로부터 출력(y(s))까지의 전달 함수는, 식(3)과 식(5)에 의해, 다음 식(6)이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6044064154-PAT00007
또한, 식(6)에 있어서,
ζ' = ζ + K/2ωn …(7)
로 치환함에 의해, 게인(K)를 조정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감쇠 계수(ζ')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피드백 보정부(3)에, 제어 게인(K)을 설정하는 제어 게인 가변부(제어 게인 가변 스텝)(도시 생략)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인(K)은 식(7)으로부터, 목표 감쇠 계수(ζ')와 고유 진동수수(ωn)가 정해지면, 일률적으로 정해지는 값이지만, 이에 더하여 또한 목표 감쇠 계수(ζ')를 차체 진동 진폭의 속도에 따라 변화시켜서, 게인(K)의 효과 상태(작용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진동 속도 범위 내에서는 목표 감쇠(ζ') = 1의 게인이 작용하도록 설정하여도 좋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진동 속도 범위 내에서는 게인이 작용하지 않도록 불감대를 마련하도록 설정하 여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진동을 억제하는 방향의 제어 게인이 크게 되도록 가변 설정함으로써, 진동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시뮬레이션에 의한 예측 모델 보상기의 효과 확인
가속 쇼크가 가장 문제로 되는 최대 변속비(예를 들면 1속(速))에 있어서의 보상기(1a)에 의한 진동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시뮬레이션 조건은, 보상기(1a)를 이산화(샘플링 시간 = 10ms) 하고, 입력으로 되는 APS를 0.1초간에 목표치까지 스텝적으로 변화시켜서 제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상기(1a)의 삽입에 의해 차체 전후 진동의 진폭이 대폭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파선은 액셀 개방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이와 같은 스텝적인 액셀 개방도 변화에 대해, 보상기(1a)를 마련하여 진동을 억제한 경우,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은 특성에 의해 스로틀 개방도가 제어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상기(1a)에서는, 승차 인원의 증감이나 적재에 의한 차중 변동이나 실제 변속비와 목표 변속비와의 차에 의한 공진 주파수의 오차 등이 있면, 보상기(1a)에 의한 진동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것도 생각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오차에 기인하는 보상기의 성능 열화에 관해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승차 인원 증가 등에 의해 260kg(1인당의 체중을 65kg으로 하고, 드라이버를 제외한 4인이 승차하였다고 상정)의 차중 증가가 있은 경우의 공진 주파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도 9는 변속비 2.3, 도 10은 변속비 1인 경우 를 나타낸다. 이 결과, 각 변속비 모두 2% 미만의 진동수 변화가 있고, 대폭적인 공진 주파수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에, 계측 오차나 다른 외란 등에 의해, 실제 공진 주파수에 대해 -30% 내지 +3O%의 오차가 생긴 경우를 상정하고, 이산 보상기의 성능 열화를 조사하였다(도 11 참조). 이 결과, 가속성을 고려하면 +측의 오차, 즉 계측 공진 주파수가 실제 공진 주판수보다 높은 쪽이 성능 열화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소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보상기(1a)의 삽입에 의해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실제차 테스트에 의한 진동 억제 확인
다음에, 실제차 테스트를 행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조건은 가장 가속 쇼크가 크게 되는 최저단(변속비 = 2.3)으로 고정하고, 완만 감속 상태로부터 토오크 컨버터의 직결 클러치가 직결 상태인 것을 확인하여 직결 클러치에서 가속 쇼크가 저감되는 영향을 배재하고, 엔진 회전수가 1500rpm으로 된 때에 재가속을 행하였다. 기속 조건을 정돈하기 위해, 토오크 변화의 최대치를 110Nm으로 고정하였다. 도 12는 차체 전후 가속도를, 도 13은 엔진 토오크 변화를 각각 도시한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가속성을 악화시키지 않고서, 진동(쇼크)을 허용 범위 내인 0.08G까지 저감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입력의 액셀 개방도 정보(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고,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액셀 개방도를 피드백 보정하기 때문에, 미리 진 동을 예측하고 그것을 억제하도록 액셀 개방도를 보정할 수 있고, 진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셀 개방도 정보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기 때문에, 실제 진동을 피드백한 경우와 같이 낭비 시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제어 처리를 간략화 할 수 있고,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예측 모델을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에 의거하여 설정하고 있는데, 스텝적인 입력의 변화에 대해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는 근사성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전달 함수를 사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보정부(3)에 마련된 제어 게인 가변 설정부에 의해, 진동 성분 예측부(2)에서 예측되는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제어 게인이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진동을 억제하는 방향의 제어 게인이 크게 설정되게 되어,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성분 예측 및 상기 피드백 보정을 기관 출력 발생의 적어도 3행정 전에 실시하면, 낭비 시간 등의 지연 요소를 가미하여 예측에 의한 피드백 보정을 미리 시행하기 때문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액셀 개방도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상기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은 보정 후의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가속시의 쇼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조정 부재의 한 예로서 스로틀을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출력 조정 부재로서 점화 코일이나 인젝터 등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솔린 엔진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디젤엔진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이 연료 분사량으로 치환되는 이외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은 제어로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고 해당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기 때문에, 미리 진동을 예측하고 그것을 억제하도록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보정할 수 있고, 진동의 발생을 효과적이면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기 때문에, 실제 진동을 피드백하는 경우와 같이 낭비 시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제어 처리를 간략화 할 수 있고, 진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예측 모델을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에 의거하여 설정함으로써, 스텝적인 목표 토오크 상관치의 변화에 대해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는 근사성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전달 함수를 사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진동을 억제하는 방향의 제어 게인이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액셀 개방도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은 보정 후의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조정함으로써, 변속시나 가속시의 쇼크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전달 함수를 사용하면서 목표 차량 감쇠 계수를 실현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4)

  1.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는 진동 성분 예측부(2)와,
    상기 진동 성분 예측부에 의해 예측되는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는 피드백 보정부(3)를 구비하며,
    상기 피드백 보정부(3)는 상기 진동 성분 예측부에 의해 예측되는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제어 게인을 크게 설정하는 제어 게인 가변부를 구비하며,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r(s))는 액셀 개방도(APS)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은 보정 후의 목표 토오크 상관치(u(s))에 의거하여 조정되며,
    상기 소정의 예측 모델은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G(s))에 의거하여 설정되고,
    ζ'을 목표 차량 감쇠 계수, ζ를 실제 차량 감쇠 계수, ωn을 변속비에 따라 설정되는 고유 진동수, s를 라플라스 연산자로 하였을 때,
    상기 전달 함수가 1/(s2 + 2ζωns + ωn 2)이고,
    상기 피드백 보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게인(K)이,
    K = (ζ' - ζ)·2ω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2. 목표 토오크 상관치에 의거하여 출력 조정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로부터 소정의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에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예측하는 진동 성분 예측스텝(2)과,
    상기 진동 성분 예측스텝에 의해 예측되는 진동 성분에 의거하여 진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를 피드백 보정하는 피드백 보정스텝(3)과,
    상기 피드백 보정스텝은 상기 진동 성분 예측스텝에 의해 예측되는 진동 성분의 증가에 따라 제어 게인을 크게 설정하는 제어 게인 가변 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목표 토오크 상관치(r(s))는 액셀 개방도(APS)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출력 조정 부재는 보정 후의 목표 토오크 상관치(u(s))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예측 모델은 2차 지연계의 전달 함수(G(s))에 의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ζ'을 목표 차량 감쇠 계수, ζ를 실제 차량 감쇠 계수, ωn을 변속비에 따라따라는 고유 진동수, s를 라플라스 연산자로 하였을 때,
    상기 전달 함수가 1/(s2 + 2ζωns + ωn 2)이고,
    상기 피드백 보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게인(K)이,
    K = (ζ' - ζ)·2ω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방법.
KR1020060056243A 2002-08-06 2006-06-22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84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8839A JP2004068702A (ja) 2002-08-06 2002-08-06 内燃機関の出力制御装置
JPJP-P-2002-00228839 2002-08-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175A Division KR100602360B1 (ko) 2002-08-06 2003-07-29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407A true KR20060084407A (ko) 2006-07-24

Family

ID=314922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175A KR100602360B1 (ko) 2002-08-06 2003-07-29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KR1020060056243A KR20060084407A (ko) 2002-08-06 2006-06-22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175A KR100602360B1 (ko) 2002-08-06 2003-07-29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1133B2 (ko)
JP (1) JP2004068702A (ko)
KR (2) KR100602360B1 (ko)
CN (1) CN1474046A (ko)
DE (1) DE10335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2391B2 (ja) * 2003-12-24 2008-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統合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4055730B2 (ja) * 2004-03-24 2008-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4539846B2 (ja) * 2005-03-30 2010-09-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出力制御装置
WO2007096768A1 (en) 2006-02-23 2007-08-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riving for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4780003B2 (ja) * 2007-03-09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325701B2 (ja) * 2007-05-16 2009-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941235B2 (ja) * 2007-10-31 2012-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車両の制振制御を行う駆動制御装置
JP4872884B2 (ja) * 2007-11-01 2012-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車両の制振制御装置
JP4986074B2 (ja) * 2008-03-31 2012-07-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パワートレイン制御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ATE544054T1 (de) * 2008-05-01 2012-02-15 Lms Internat Nv Schwingungs- und/oder akustische übertragungsweganalyse
FR2933142A1 (fr) * 2008-06-30 2010-01-01 Renault Sas Procede de reglage des fonctions de controle des a-coups d'un vehicule lors d'une phase d'appui ou de levee du pied sur l'accelerateur du vehicule
JP4561889B2 (ja) * 2008-07-01 2010-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出力トルクの算出装置
FR2935442B1 (fr) * 2008-09-01 2010-09-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commande du couple d'un moteur de vehicule.
CN102159819A (zh) * 2008-10-31 2011-08-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减振控制装置
WO2010082303A1 (ja) * 2009-01-13 2010-07-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4938809B2 (ja) * 2009-01-27 2012-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4678444B2 (ja) * 2009-04-09 2011-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N102713364B (zh) * 2009-12-21 2015-07-22 沃尔沃拉斯特瓦格纳公司 操作多离合变速器的方法
US8355879B2 (en) * 2010-01-06 2013-01-15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Trending of vibration data taking into account torque effect
JP5494047B2 (ja) * 2010-03-15 2014-05-14 株式会社明電舎 車体振動の評価を行う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および車体振動の評価方法
JP5613321B2 (ja) * 2011-03-28 2014-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863345B2 (en) 2012-11-27 2018-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weighting values assigned to errors in target actuator values of an engine when controlling the engine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US9605615B2 (en) * 2015-02-12 2017-03-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del Predictiv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computational efficiency
US9784198B2 (en) 2015-02-12 2017-10-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del predictiv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computational efficiency
US9732688B2 (en) 2014-03-26 2017-08-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a catalyst when an engine is started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US9920697B2 (en) 2014-03-26 2018-03-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future torque request increases
US9714616B2 (en) 2014-03-26 2017-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n-model predictive control to model predictive control transitions
US9797318B2 (en) 2013-08-02 2017-10-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 predictive controllers
SE538993C2 (sv) * 2014-05-30 2017-03-14 Scania Cv Ab Reglering av ett från en motor begärt moment
SE538118C2 (sv) * 2014-05-30 2016-03-08 Scania Cv Ab Styrning av ett fordons drivlina baserat på en tidsderivataför dynamiskt vridmoment
DE102015204218A1 (de) * 2015-03-10 2016-09-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chnen eines Funktionswerts eines invertierten datenbasierten Funktionsmodells
JP6380661B2 (ja) * 2015-04-07 2018-08-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空燃比制御装置及び空燃比制御方法
KR101734718B1 (ko) * 2015-12-14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용 모터의 외란 보상 시스템
US9938908B2 (en) 2016-06-14 2018-04-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 pedal position based on driver behavior and controlling one or more engine actuators based on the predicted pedal position
CN106362404B (zh) * 2016-11-18 2024-02-09 广州卓远虚拟现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游戏设备的脚踏平台结构
SE541437C2 (en) * 2017-03-24 2019-10-01 Scania Cv Ab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torque in a vehicle
CN110567727B (zh) * 2019-08-13 2021-10-01 北京化工大学 一种基于振动加速度信号的柴油机输出功率评估方法
KR20220164278A (ko) * 2021-06-04 2022-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N113484031B (zh) * 2021-06-30 2022-08-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悬置接附点噪声传递函数目标的设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6967A (en) * 1985-12-27 1988-08-30 Eaton Corporation Oscillation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tor drive
GB2262818B (en) * 1991-12-24 1995-06-21 Ricardo International Plc Oscillation reduction
JP2001132501A (ja) 1999-11-08 2001-05-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車両駆動系回転振動抑制装置
DE60226807D1 (de) * 2001-05-25 2008-07-10 Mazda Motor Steuerungs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35841A1 (de) 2004-06-17
KR20040014220A (ko) 2004-02-14
US20040107034A1 (en) 2004-06-03
CN1474046A (zh) 2004-02-11
JP2004068702A (ja) 2004-03-04
US6871133B2 (en) 2005-03-22
KR100602360B1 (ko) 200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360B1 (ko) 내연기관의 출력 제어 장치
JP3405163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US7318408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throttle trouble handling method
KR101167879B1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US7317978B2 (en) Driving forc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6405587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astdown of a vehicle
JP5347702B2 (ja) 車両のバネ上制振制御装置
EP1097834A2 (en) Vehicle drive train torsional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11565591B2 (en)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vibration effec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electric vehicle
EP1185772B1 (en) Controlling undesired fore and aft oscillations of a motor vehicle
CN112297873B (zh) 电动车辆系统和控制电动车辆的控制方法
JP4793304B2 (ja) 車両の制振制御を行う駆動制御装置
US687033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drive system
JP2009121427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車両の制振制御装置
GB2332070A (en) Controlling a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compensate for bucking vibrations
US5470289A (en) Method for smoothing out acceleration jerks of a vehicle propelled by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JP337475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駆動系の制振装置
JP3316867B2 (ja) 車両のトルク制御装置
CN113428157B (zh) 一种混动汽车传动系扭振自适应前馈主动控制方法及系统
JP4867735B2 (ja) 車両の制振制御を行う駆動制御装置
JP2005054645A (ja) 内燃機関の出力制御装置
JP2009121426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車両の制振制御装置
Chen Active control of torsional vibration for vehicle drive trains
JP5920147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2919868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