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571A -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571A
KR20060080571A KR1020060053953A KR20060053953A KR20060080571A KR 20060080571 A KR20060080571 A KR 20060080571A KR 1020060053953 A KR1020060053953 A KR 1020060053953A KR 20060053953 A KR20060053953 A KR 20060053953A KR 20060080571 A KR20060080571 A KR 20060080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king
information
service
service provider
electronic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467B1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786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8057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ublication of KR2006008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은, 복수의 서비스업체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기 설정된 랭킹부여 방식에 따라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소정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상에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도에 이들과 관련된 자들의 랭킹(ranking)를 표시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들 간 경쟁을 유도하여 고품질의 서비스 차출을 도모하고, 서비스 수요자들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PROVIDING METHOD OF SERVICE RANKING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MAP AND SYSTEM OF PROVIDING THE SAME}
도 1은 제품 및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상거래 서비스업체 상호 작용에 관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학습자가 다중의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
도 9는 선택된 목적 카테고리가 확장 또는 축소될 때, 서비스업체의 등위를 전자지도상에 표현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
도 10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작성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상에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도에 이들과 관련된 자들의 랭킹(ranking)를 표시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들 간 경쟁을 유도하여 고품질의 서비스 차출을 도모하고, 서비스 수요자들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품 및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상거래 서비스업체에 대해 어느 업체의 어느 상품이 우수한 지에 대한 지역 단위 기반에서의 상대적 평가 체계가 없었다.
이에, 소비자가 주문과 선택을 할 경우 임의로 또는 광고를 통해서 노출된 것들을 기반으로 하여 의사결정을 하였다. 따라서, 상품 또는 서비스가 만족시럽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어디의 누가 잘하는지, 얼마나 잘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 공공 기관 등의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어느 단체, 기관이 우수한가에 대한 실시간의 평가 및 표시(display) 체제가 없어서 소비자, 사용자들에게 제대로된 순위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네트워크상에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도에 이들과 관련된 자들의 랭킹(ranking)를 표시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들 간 경쟁을 유도하여 고품질의 서비스 차출을 도모하고, 서비스 수요자들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은, (A) 복수의 서비스업체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기 설정된 랭킹부여 방식에 따라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와; (C)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소정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역정보를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세분화되는 계층적 행정구역정보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행정구역을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단계 적으로 세분화하여 각 계층별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는, 상기 서비스업체의 고유정보를, 서비스의 종류, 위치, 크기, 체인점 여부 등의 복수개의 카테고리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각 지역 내에서의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상기 고유정보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해당 지역의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의 상기 각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상기 고유정보를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상기 서비스업체에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소정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서비스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서비스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해당 서비스업체의 친절도, 상품의 품질, 서비스 품질 등의 세분화된 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역의 세분화된 각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평가정보를 입력한 평가자에 대해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C)단계는, 상기 랭킹이 기준 랭킹 이상인 서비스업체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자지도의 색깔, 기호, 형상, 무늬, 그림, 상징, 도형, 마크, 문자, 영상, 소리 등의 표시설정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정 사용자가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된 소정 랭킹의 서비스업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업체의 고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각 서비스업체의 개점 여부, 잔여 좌석 여부, 예약 여부 등의 현재상태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단계와; 소정 사용자가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된 소정 랭킹의 서비스업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업체의 상기 현재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정 사용자가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된 소정 랭킹의 서비스업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업체로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정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보기를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서비스업체들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표시 후, 해당 서비스업체의 광고를 표시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복수의 서비스업체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고유정보 관리서버와; 전자지도제공을 위한 지리정보DB서버와;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기 설정된 랭킹부여 방식에 따라 랭킹을 부여하고, 상기 지리정보DB로부터 상기 서비스업체의 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지도를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서비스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평가정보 획득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랭킹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평가정보를 입력한 평가자에 대해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보기를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정보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서비스업체들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업체의 광고를 위한 광고DB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랭킹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표시 후, 상기 광고DB로부터 해당 서비스업체의 광고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품 및 서비스 등의 거래를 위한 서비스업체와 랭킹관리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모식도이다.
상거래 서비스에 대한 랭킹 시스템은 랭킹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이 광고효과를 나타내고 사용자를 랭킹의 상위 업소에서의 상거래를 유도함으로 이에 대한 혜택이 따를 수 있고, 랭킹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 정보 역시 사용자의 입력으로 해결하는 경우, 통합적인 시스템에서 랭킹정보의 신뢰성 구축, 랭킹에 대한 관심 유도 및 평가 정보 입력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의 각 사용자와 상거래 업체, 랭킹관리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은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거래 사용자가 랭킹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얻고자 한다.(255-1) 그리고, 전자지도상에 표시된 랭킹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255-2) 이에, 전달된 랭킹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상거래업소를 선택하고, 상거래 업소와 거래를 한다.(255-3)
한편, 랭킹시스템을 이용한 거래의 경우에는 광고의 대가 또는 랭킹 시스템 을 통한 업체 선택의 대가로 할인 혜택이 부여된다(255-4). 여기서 할인 금액, 비율은 랭킹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시, 제공해 줄 수도 있으며, 각 상거래 업체가 개별적으로 제공, 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평가 시스템에 입력한다.(255-5) 이 과정은 넷째 과정과 동시 또는 이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당한 시간의 경과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서비스 사용자, 즉 평가자가 입력된 평가 정보는 랭킹관리시스템에 전송되고 랭킹 DB가 갱신된다.(255-6) 이에, 평가정보 입력의 대가로 보상이 평가자에게 주어진다.(255-7)
여기서, 서비스(Service) 기반 상거래 업체로 예를 들면, 학교, 학원, 병원, 약국, PC방, 오락실, 여관 등등이 있다. 이를을 다시 개념적으로 세분화시킨다면 서비스 공급자가 이동하는 요소가 강한 과외, 교습, 강연, 컨설팅, 안마사, 도배 등의 서비스와 서비스 사용자가 이동하는 요소가 강한 병원, 스포츠 센터, 이발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제품(Product) 또는 독립 거래 가능한 유체물을 대상으로 하는 상거래 업체로 예를 들면, 꽃집, 책방, 문구점, 철물점, 전자상가, 가구점, 일식집, 한식집, 중식집, 분식집, 빵집, 커피샵, 주점, 호프집 등등이 있다. 또한, 음식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이라는 제품과 음식을 먹기 좋게 하는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여 이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평가자란 서비스업체를 사용하는 일반인이든 혹은 그 분야에 대하 전문가이건 그 업체의 서비스 또는 상품을 이용, 사용한 후 그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자를 말한다.
평가정보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음식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이를 객관적인 점수로 수치화하거나 맛에 관한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집단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조사를 의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음식점의 점수를 바탕으로 세밀한 등위를 매기거나, 혹은 수준을 레벨화할 수 있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수집, 유지, 관리하여 음식점에 관한 DB를 생성하고 음식점의 지역별 카테고리에 의한 혹은 종류별 카테고리에 의한 랭킹 정보를 전자 지도상에서 사용자들의 선택에 의해서 비쥬얼하게 혹은 인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랭킹관리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전자지도상에서 신림동이라는 세부 지역 카테고리를 선정하고, 중국집이라는 속성 카테고리를 선택한다면 전자 지도상에 팝업되는 것과 같은 여러가지 형식으로 1 위 중국관, 2 위 회빈루 3 위 청룡각....과 같은 랭킹정보가 나오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업체에 대한 랭킹관리시스템의 동작의 기본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첫째, 랭킹관리시스템에 음식점에 관한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 즉, 종류, 위치, 크기, 체인점 여부 등이 입력되고 유지, 관리된다. 유지 관리의 의미는 신규 업체의 입점과 매출 실적이 부진한 등의 이유로 폐점한 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유지관리를 의미한다.
둘째, 일반 사용자 평가나 전문가 평가에 의해 랭킹정보획득시스템에 음식점 랭킹을 형성할 수 있는 기초 자료에 관한 정보가 전달된다.
셋째, 관리 시스템이 전송 된 결과를 분석, 자료 처리(통계처리를 포함)하여 전자 지도와 연동하여 DB로 저장한다.
넷째, 사용자가 전자 지도 상의 음식점에 관려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이 선택이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다섯째, 관리 시스템은 이 선택한 특정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DB 상의 자료를 전송하여 참가자의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지역기반 상거래 서비스업체에 대해 랭킹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지역 기반 상거래는 물리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면서(즉, 온라인 상의 website 는 제외된다. 하나의 업체가 오프라인 상의 가게와 온라인 상의 website 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면 가게는 포함되고 website 는 제외된다.) 지역 기반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프라인상거래 업체를 말한다. 취급하는 서비스나 상품의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가능하다.
지역(로컬) 기반 상거래를 위한 하드웨어적 시스템 구성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데, 랭킹 관리 시스템(111)은 기본적으로 메인서버(112), 랭킹 DB서버(113)로 구성되어 있다. 랭킹 DB서버에는 각 서비스업체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각종 카테고리결과 DB, 평가결과, 각 카테고리별 상세 순위 DB 등의 각종 Database 가 저장 되고, 메인서버는 서비스업체, 각종 DB 서버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자료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중추가 되는 서버이다. 선택적으로 각 서비스업체나 평가자를 위한 홈페이지 또는 개인 공간(114)(114')을 포함하며, 복잡한 전자지도를 원할 경우 지리정보 DB서버(117)가 별도로 구현되며, 이는 외부에서(117') 가져올 수도 있다. 그리고, 평가자는 랭킹관리시스템의 내부(115')나 외부(115)에 마련된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을 통해서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이를 대신하는 대리인이 평가결과 수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평가 결과는 참가자(116)(116')나 평가자(118)(118')의 컴퓨터상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랭킹정보획득시스템(115)(115')에 연동되는 평가자 인증 및 보상처리시스템(119)은 평가정보를 입력한 상거래의 사용자나 평가자에 대한 신원인증 및 보상체계를 담당하게 된다. 이들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을 통해 서비스 랭킹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랭킹의 참가자인 로컬기반 상거래업체가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를 입력한다. 혹은,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의 관리자가 이러한 업체정보를 수집한다. (101) 이 과정은 이후의 과정과 시간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입력된 업체정보를 바탕으로 랭킹관리시스템은 참가자의 다양한 세부카테고리를 생성하거나, 혹은 기 생성된 카테고리에 소속시킨다.(102)
익명의 평가자 시스템이 아닌 경우에, 평가자는 평가 이전에 자신의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를 입력한 후 평가자 신원인증 및 보상관리 시스템(119)에 접속하여 신원 인증을 받는다. 그 시스템은 랭킹관리시스템 내부에 구현되거나(119) 외부에 별도로 존재(119')한다. (103)
평가자가 서비스업체를 이용한 후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가 랭킹정보획득시스템(105)에 입력된다. 그러한 평가는 온라인으로 마련되어 랭킹관리 시스템과 별도로 존재하는 랭킹정보획득시스템(105)나 랭킹관리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랭킹정보획득시스템(105')에서 수행되거나 혹은, 그러한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의 동작을 대신하는 대리자에 의해서 수행된다.(104)
한편, 평가결과가 랭킹 관리 시스템에 전송되고(105), 입력된 평가결과를 처리하여 카테고리가 반영된 순위 랭킹이 생성된다.(106)
이 후, 서비스업체나 평가자가 전자지도 등의 매체에서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면(107),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 DB가 전자지도에 표시되도록 전송된다.(108)
따라서, 서비스업체나 평가자가 전자지도 상에서 원하는 카테고리별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109))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비지역 기반 상거래 서비스업체에 대해 랭킹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비지역 기반 상거래란 상거래 대상이 되는 지리적 영역이 도, 광역시 이상 또는 전국 규모 이상이 되는 식으로 일반 상식으로 판단할 때 매우 넓은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전자 제품의 수요는 전국적으로 고르게 퍼져 있고, 이에 대한 판 매망과 서비스망, 고객에 대한 마케팅 모두 전국민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랭킹의 대상이 되는 많은 카테고리 중에서 지역별 카테고리에 관해서라면, 일곱째의 로칼 기반 상거래에서는 평가의 대상이 되는 서비스업체와, 평가자가 일반인일 경우의 평가자의 지역적 기반은 일치하게 된다. 반면, 비지역 기반 상거래의 경우에는 서비스업체의 지역적 기반이 없기 때문에 전자지도상에서 랭킹이 표시될 때 서비스업체의 지역 기반으로서가 아니라 평가자의 지역 기반으로서 랭킹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 대우, LG의 전자 제품으로 세탁기가 있다고 하자. 이 때, 랭킹 정보 시스템이 지역별 평가자의 평가 정보를 습득하여, DB 로서 보유하고 있다면, 이를 지역별로 각 회사의 고객 만족도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비지역 기반 상거래라 할지라도 각 제품의 카테고리는 다양한 수직적, 수평적 카테고리에 종속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세탁기는 공산품 밑에 전자제품 밑에 가전제품 밑의 수직적 카테고리에 종속되어 있으며, 세탁기 자체도 가격별로 고가, 중가, 저가의 가격별 카테고리의 분류가 가능하고 기능별로 탈수기능이 있는 모델, 없는 모델 등의 기능별 카테고리의 분류가 가능하며, 냉장고, 장롱, 이불, 보석반지 등과 같이 혼수용품 밑의 수평적 카테고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메이커별로 회사의 고객 만족도를 전자지도상에 표시 할 수도 있고, 각 제품별 카테고리의 개념적 지도상에서 순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이 간단한 저가형 모델의 카테고리에서는 삼성이 1 위를 차지하고, 복합 기능을 보유한 고가형 모델의 카테고리에선 대우의 제품이 1 위를 차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전자지도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평가자의 카테고리 역시, 지역별의 수직적 카테고리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나이별로 20대, 30대, 40대 이상의 분류 혹은 남성, 여성의 성별 분류 혹은 기혼, 미혼의 분류 등과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지도를 지리적인 개념의 전자지도가 아니라 가상성이 높은 카테고리에 대한 개념 지도라고 할 때 다양한 제품별 카테고리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별 카테고리의 선호도, 고객만족도, 제품구입량 등의 정보가 전자지도상에 순위별로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느 것이며, 이는 각 회사의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 Management)의 도구로 쓰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데, 랭킹 관리 시스템(201)은 기본적으로 메인서버(202), 랭킹 DB서버(203)로 구성되어 있다. 랭킹 DB서버에는 각 서비스업체의 신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각종 카테고리결과 DB, 평가결과, 각 카테고리별 상세 순위 DB 등의 각종 Database 가 저장되고, 메인서버는 서비스업체, 각종 DB 서버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자료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중추가 되는 서버이다. 선택적으로 각 서비스업체나 평가자를 위한 홈페이지 또는 개인 공간(204)(204')을 포함하며, 복잡한 전자지도를 원할 경우 지리정보 DB서버(207)가 별도로 구현되며, 이는 외부에서(207') 가져올 수도 있다. 그리고, 평가자는 랭킹관리시스템의 내부(205')나 외부(205)에 마련된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을 통해서 평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이를 대신하는 대리인이 평가결과수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평가 결과는 참가자(206)(206')나 평 가자(208)(208')의 컴퓨터상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랭킹정보 획득시스템(205)(205')에 연동되는 평가자 인증 및 보상처리시스템(209)은 평가정보를 입력한 상거래의 사용자나 평가자에 대한 신원인증 및 보상체계를 담당하게 된다. 이들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을 이용한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랭킹의 참가자인 비지역기반 상거래 업체가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를 입력한다. 혹은,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의 관리자가 이러한 업체 정보를 수집한다.(191)
입력된 업체정보를 바탕으로 랭킹관리시스템은 서비스업체의 다양한 세부 카테고리를 생성하거나, 혹은 기생성된 카테고리에 소속시킨다.(192)
익명의 평가자 시스템이 아닌 경우에, 평가자는 평가 이전에 자신의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를 입력한 후 평가자 신원인증 및 보상관리 시스템(209)에 접속하여 신원 인증을 받는다. 그 시스템은 랭킹관리시스템 내부에 구현되거나(209) 외부에 별도로 존재(209')한다. (193)
평가자가 서비스업체를 이용한 후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가 랭킹정보획득시스템(205)에 입력된다. 그러한 평가는 온라인으로 마련되어 랭킹관리시스템과 별도로 존재하는 랭킹정보획득시스템(205)나 랭킹관리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는 랭킹정보획득시스템(205')에서 수행되거나 혹은, 그러한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의 동작을 대신하는 대리자에 의해서 수행된다.(194)
이에, 평가결과가 랭킹 관리 시스템에 전송되고(195), 입력된 평가결과를 처 리하여 카테고리가 반영된 순위 랭킹이 생성된다.(196)
이 후, 서비스업체나 평가자가 전자지도 등의 매체에서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면(197),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 DB가 전자지도에 표시되도록 전송된다.(198)
따라서, 서비스업체나 평가자가 전자지도 상에서 원하는 카테고리별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199)
이와 같이, 비지역기반 상거래의 경우에는 지역별 제한이 없으므로 온라인 상의 구매 행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즉, 상거래를 이용하는 고객의 이동이 필요로 하지 않거나, 상거래의 대상 품목에 대한 배송이 가능한 경우 중에서 짜장면의 경우처럼 배달 시간과 배달에 들어가는 비용 요소가 상품에 미치는 영향이 큰 상품을 제외한 거래일 경우에는 오프라인 상의 구매와 온라인상의 구매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여 전자지도에 표시되는 랭킹정보를 온라인 구매행위로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상거래 포탈 사이트에 랭킹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거래 포탈 사이트는. 모든 지역기반 상거래를 아우르는 포탈 사이트를 구축하는데, 이는 제품별 서비스별로 세부 카테고리를 나누고 디렉토리 형식으로 분류하여 각 분야에 대한 지역별 랭킹을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디렉토리 형식이란 개별 내용을 상세히 분류하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의 다단계로 분류하고 가장 앞 페이지에는 최상위 단계에 대한 카테고리를 제시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그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음 단계의 분류를 보여 주는 것으로, 모든 단계별로 이러한 링크를 연동하는 것이다. 특정한 카테고리 밑에 각종 상품, 서비스의 공급자들에 대한 목록형의 정보가 나오는 경우, 통상의 검색 엔진의 검색 수행 결과들처럼 단순히 목록형 정보가 나열되는 것이 아니라, 이 목록형의 정보를 랭킹 정보를 연동하여, 랭킹이 높은 순서 대로 목록에 랭킹을 붙여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상기의 특성을 가지는 본 디렉토리를 상품만을 가지고 만들면 상품의 하이어라키(hierarchy)를 가지는 DB 가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서비스만 가지고 만들면 서비스의 하이어라키(hierarchy)를 가지는 DB 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람(법인 포함)이나 집단만 가지고 만들면 사람이나 집단의 하이어라키(hierarchy)를 가지는 DB 가 만들어질 수 있다.
목록(list)에 랭킹 정보를 표시해 줄 때, 그 랭킹 정보는 일종의 디지털 콘텐츠의 양식(그림, 텍스트, 도표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콘텐츠의 존재 양식)으로 존재하고, 이 디지털 콘텐츠에는 하이퍼링크가 되어 있어 이 디지털 콘텐츠에 클릭 등의 상호작용을 하면 그 랭킹이 만들어진 기초 자료 및 랭킹 결정 과정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랭킹 정보의 옆 또는 주위에는 그 상품 또는 서비스 및 그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나 사람에 대한 언론 등의 보도 자료 또는 타인 등의 평가 정보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디지털 콘텐츠에는 하이퍼링크가 되어 있어 이 디지털 콘텐츠에 클릭 등의 상호작용을 하면 주위에는 그 상품 또는 서비스 및 그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나 사람에 대한 보도 자료, 평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소비자 또는 수요자의 선택을 도와 줄 수 있다.
이처럼 비지역기반 상거래 품목에 대한 거래가 일어날 때의 시스템 구성은 도 6과 같다.
비지역기반 상거래 중개 시스템(373)은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에 대한 랭킹관리시스템(371)과 연동되어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의 생산자 및 제공자(372)로부터 디지털콘텐츠를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사용자(374)는 비지역기반 상거래 랭킹관리시스템 (351)에서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에 대한 랭킹을 제공받아서 이를 구매의 선택기준으로 활용한다. 또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을 구매하고 이를 이용한 후 이에 대한 평가의 피드백을 랭킹관리시스템(371)에 제공한다.(375-1)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의 생산자, 중개자, 공급자 등을 통칭하는 제공자(372)는 비지역기반 상거래 랭킹관리시스템(371)에 각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를 등록시키고, 이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입력하며, 사용자(374)의 구매욕구를 자극하고, 거래를 유도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품목인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의 선명한 화질의 사진, 3차원 입체 정보 등을 제공한다. 랭킹관리시스템(371)은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의 제공자(372)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375-2)
사용자가 비지역기반 상거래 랭킹관리시스템(371)이 제공하는 전자지도에서 각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에 대한 랭킹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세부정보를 얻고, 이의 구매를 결정하게 되면, 비지역기반 상거래 랭킹관리시스템(371)은 사용자(374)가 비지역기반상거래 중개 시스템(373)에 접속하게 하는 링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는다. 비지역기반상거래 중개 시스템(373)은 비지역기반 상거래 랭킹관리시스템(371)의 내부에 구현(implemented)될 수 있고, 이와는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존재할 수 있다.(375-3)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여 비지역기반상거래 중개 시스템(373)에 접속하여 원하는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를 주문하게 되면,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의 제공자(372)가 제공한 정식의 각종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을 구매하게 되는데, 비지역기반상거래 중개 시스템(373)은 제공자(372)로부터 사용자(374)로 상거래품목을 운송하고, 결제의 방법을 사용자(374)에게 제공하여 결제금액이 사용자(374)로부터 제공자(372)로 전달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비지역기반상거래 중개 시스템(373)은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 제공자(372)가 개별소유 및 운영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고, 비지역기반 상거래품목 제공자(372)의 모임이 소유 및 운영하는 시스템이거나, 이와는 독립적인 주체에 의해서 소유 및 운영될 수 있다.(375-4)
이러한 시스템을 통한 랭킹정보 제공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비지역기반 상거래 상품에 대한 랭킹 사이트에 사용자가 접속하고(361), 접속한 사이트에서 서핑 및 검색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카테고리로 이동한다.(362)
여기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에 대한 랭킹 정보가 전자지도상에 표시되는 데, 이는 상품의 가격, 디자인, 품질, 소비자 선호도, A/S 등의 다양한 기준에 의해서 평가되고 사용자는 상품의 여러 측면에 대한 정보를 경쟁 대상이 되는 상품들과 비교하면서 고르게 된다.(363)
이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제시되고, 미리 정해진 상호작용, 예를 들면,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주문 메뉴, 윈도우의 특정 위치에 자리 잡은 주문용 버튼 등을 누르면 상거래 중개시스템(373)으로 연동된다.(364)
이 후, 사용자가 미리 입력해 놓은 기본 정보를 토대로 한 번의 클릭만으로 주문이 완료된다. 사용자에 대한 인식은 개인에게 부여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나 컴퓨터의 고정형 IP 주소, 주문결제를 위해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 사이트에 대한 쿠키 정보 등을 이용하며, 기본 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문, 결제, 배송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게 한다. 랭킹 시스템의 이용의 대가로 할인 혜택이 부여될 수 있다.(365)
한편, 상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된 후(366), 사용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하고, 이것이 랭킹에 반영된다.(366)
여기서 배송은 상거래 업체가 직접 할 수도 있지만, 상거래 업체의 위탁을 받은 제 3자(랭킹 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는 자가 또는 랭킹 관리 시스템의 운영 주체 및 이들로부터 재위임 또는 재위탁을 받은 자를 포함한다.)가 할 수도 있다. 이 때는 거래 체결의 정보 및 위탁에 대한 정보가 제 3자에게 전달되고, 제 3자가 배송 업무를 처리한다. 이 경우가 포함된 때의 장점은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며(즉, 다수의 업체들의 주문을 모아서 처리하기 때문에 구매 비용(상품이 표준화 된 경우(예, 삼성 17인치 모니터 등)에는 대량 주문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매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의 절감 및 한 번의 배송 차량이 다수 업체의 배송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배송의 효율성이 올라가며, 비용이 절감된다.
도 8은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 카테고리가 확장 또는 축소될 때, 서비스 랭킹을 전자지도상에 표현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는 특정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주위를 선택하여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과정 이외에 다중의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적으로 계열화되어 종속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대하여 단순 축소, 확장하는 것 이 외에, 주위를 선택하여 카테고리를 확장하고 상위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소속의 여러 카테고리 중에서 사용자가 관심 있는 여러 카테고리를 다중 선택하면 다중 영역에 대한 서비스 랭킹이 표시된다. 영역 축소시에 특정 세부 카테고리를 마우스로 클릭하는 등의 행위로 선택할 수 있다면, 다중 카테고리는 미리 정해진 규약대로 Shift 키를 누르고 마우스로 여러 영역을 선택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쓸 수 있다.
도 9는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 카테고리가 지역적 단위로 확장되거나 축소될 때는 주위(surrounding)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한다. 서비스 사용자가 서울 관악구 신림 9동(34)을 선택했다면 신림 9동에 대한 전자지 도가 표시되고, 이 신림 9동과 다른 동이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구분 장치로 구분되는 영역이 나타나고, 신림 9동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 신림동은 주위(33)(surrounding)를 형성하는 영역이 나타난다.
구분 장치는 각각의 영역을 구별하는 것으로서, 형태(색깔, 모양(선도, 색 구분, 색 흐림), 형상)를 사용하여 서비스 사용자의 출력장치에 나타내어 주는 것으로서, 각 영역을 구별하는 형태는 관리 시스템에 의해 주어질 수도 있으며, 서비스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다.
서비스 사용자가 다시 목적 카테고리를 확장하여 신림동(36)이 되면 관악구 전체는 주위(35)가 되고, 관악구 전체(38)의 카테고리가 선택된다면, 서울 전체(37)의 지도가 나타나고, 앞에서 언급한 방식대로 자신의 랭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확장하는 방식은 포인팅 디바이스 등으로 주위를 클릭하는 등의 약속된 상호 작용 방식을 실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0은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작성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역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km 이내의 지역을 가리키는 목적 카테고리 1(222)를 형성할 수 있고, 서울대입구역-신림역-서울대를 잇는 지도상에서 목적카테고리 2(223)를 형성할 수 있다. 목적카테고리 2(2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비스 사용자는 행정 구역 등의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가 아니라 지도상에서 자신이 그리는 영역을 새로운 카테고리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먼저, 행정구역의 카테고리와 같은 경우. 이것이 정확하게 서비스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범위와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실제의 영역과 동일 한 축척 비율로 축소된 전자지도상에서 서비스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한 지점을 선택하고. 그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심형, 사각형, 삼각형, 고리 형 등의 모양에 대하여 그 크기를 정하는 반지름, 가로, 세로 등을 정하게 한다. 이 도형에 의해서 표시되는 전자지도상의 영역이 서비스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목적 카테고리로서 쓰이게 된다.
이렇게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서 작성된(created) 카테고리는 랭킹관리시스템에 저장되어서 이 서비스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이 카테고리 상에서의 서비스업체에 대한 랭킹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전자지도상의 랭킹을 보는 것은 서비스 사용자뿐 아니라 서비스업체에서도 가능하다. 서비스업체의 경우 각 카테고리의 상위에 있는 업체들과 자신과의 순위가 표시되며, 특별히 관심 있는 서비스업체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각 카테고리에서 미리 정해놓은 상위의 랭킹에 도달하지 못한 서비스업체는 자신의 랭킹이 남들에게 관찰될 수 없도록 설정하는 것을 기본 옵션으로 한다. 이 옵션의 변경 권한은 하위의 랭킹에 올라 있는 서비스업체, 랭킹관리시스템의 관리자, 각 카테고리의 관리자로 한정하는데, 각 카테고리의 관리자란 공식적인 카테고리로의 관리자와 랭킹관리시스템의 관리자가 인정하는 카테고리의 관리자로 한정되는데 예를 들어, 정부 조직이라는 카테고리가 있을 경우 각 조직의 기관장의 경우에는 해당 조직 카테고리에 소속해 있는 모든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열람할 권리를 가진다.
전자지도상에서 주위나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영역확장, 영역축소(Zoom-in, Zoom-out)함으로써 원하는 수직적, 수평적 카테고리를 선택하였을 때 카테고리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각 응용대상의 순위 정보 DB 연동을 논하고자 한다. 먼저, 각 서비스업체가 속해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DB정보는 랭킹관리시스템에 존재한다. 각 카테고리는 전자지도상에서 시각적으로 그려지는 닫힌 영역으로 표시되는 지리정보 DB의 카테고리와 일대일 대응관계를 가지게 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카테고리를 클릭 등의 상호 작용으로 선택하게 되면 랭킹관리시스템은 기존에 생성되어 저장된 카테고리별 순위 DB를 불러오거나,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을 때 소팅(Sorting)하여 순위 DB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서비스업체 순위 정보를 불러와서 이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게 된다.
앞에서 정의한바 대로 목적 카테고리와 주위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영역을 직접 포인팅하여 내비게이션 할 수 있고, 또는, 카테고리 수축, 확장을 위한 줌업, 줌인(Zoom Up, Zoom In)버튼을 활용하거나, 가상성이 낮은 카테고리의 경우 수축확장의 비율을 직접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기가 원하는 지역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임의로 작성한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 정의 카테고리를 생성하게 되고, 랭킹 응용 대상의 사용자는 반드시 전자지도상(개념적 지도 포함)의 어떠한 지점을 차지하게 되므로, 먼저 새로 작성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서비스업체 리스트가 작성된다.
이 후, 작성된 서비스업체 리스트에 평가정보 처리를 거쳐 분류되면(Sorting) 순위 정보가 생성되며, 이러한 순위정보가 전자지도상에 표시된다. 이 러한 순위 정보는 표시되어 있는 전자지도의 목적 카테고리와 같이 보여 지게 되는데, 이를 구현하는 개념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지도상의 그래픽부분과 별도로 텍스트로 처리된 순위 정보가 전자지도와 같이 화면상에 배치되어 표시된다. 즉, 전자지도의 관심영역 아래, 좌, 우, 위의 특정 위치를 점하고 텍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말하는데 텍스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즉, 폰트, 크기, 색상, 명함, 글자체 처리 등을 거칠 수 있다. 혹은 전자지도와는 완전히 별도의 브라우저를 띄우게 하거나 같은 브라우저 안에서도 프레임을 다르게 처리하는 등의 기법으로 전자지도와 시각적으로 분리된 채로 표시될 수 있고, 전자지도의 목적 카테고리의 시각적인 점유 영역에 덧씌워져서 마치 전자지도상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게 할 수 있다.
둘째, 순위 정보는 평가정보 입력 시 처리하여 DB 형태로 저장되고, 이를 전자지도상의 목적카테고리에 그래픽하게 덧씌우거나 합성하여 하나의 레이어를 이루고 전자지도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DB 서버(117)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순위 정보 그래픽은 사용자가 클릭 등의 상호작용으로 전자지도의 목적카테고리를 선택할 때 대신하여 나타나서 표시되게 된다.
셋째, 순위 정보가 텍스트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순위에 올라 있는 랭킹의 서비스업체를 상징하는 아이콘, 심벌 등의 상징물, 그림 등으로 처리되고 이것이 전자지도의 그래픽과 합성되어서 표시된다.
이러한 처리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에서 정보를 서버로 보내고 모든 처리를 서버에서 구현하는 HTTP 나 CGI 와 같은 방식과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 서버에서 보낸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작동하므로 필요시 모든 자료 처리를 웹브라우저 상에서 처리하는 Active X 나 자바애플릿과 같은 클라이언트 기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념을 응용하여, 랭킹관리시스템은 각 서비스업체의 홈페이지, 사이트, 전자 우편 주소, 기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공간(개인이 가지고 있는 컴퓨터의 HDD, 핸드폰 등의 메모리 등) 등의 관리 공간(이하 ‘홈페이지 homepage’라는 용어로 이들 온라인 오프라인상의 개인을 위한 표시 공간을 통칭한다.)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홈페이지에는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표시해 주는 전자지도, 다이어그램 등 각 카테고리가 있고, 선택적으로, 랭킹에 대한 사이버 표장(훈장, 마크, 상징물, 그림 문자, 표장, 표창 등, 이하 통칭하여 '표장'이라 한다.)을 제공해 준다. 또한, 관리시스템이 홈페이지를 개인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관리하는 홈페이지에 관리시스템의 DB 와 전자지도 등의 자료에 대한 연동(link)를 달거나 원하는 자료를 복사해서 붙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홈페이지나 관리시스템의 사이트의 전자지도에서 랭킹을 표시할 때, 랭킹 표시부분에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와 약속된 상호작용에 대한 규약으로, 예를 들면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했을 때는 여러 메뉴가 팝업되게 할 수 있는데, 카테고리의 일 단계 확장/축소, 이전 카테고리로의 이동, 표시된 상위의 랭커나 서비스업체의 세부 정보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퍼링크의 개념을 활용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랭킹의 결과를 전자지도상에서 표시할 때 몇 개의 순위 리스트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적 장식을 할 수 있다. 그러한 장식의 목적은 다중 랭킹을 제공함으로써 얻는 랭킹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목적과 그 흐름을 같이한다. 서비스업체는 특정한 카테고리에 랭킹된 경우 자신의 전자지도로 대응되는 자신의 랭킹 등이 있는 가상의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다. 자신의 랭킹이 1 위인 경우에는 자신이 1 위인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전자지도에 자신이 원하는 색깔, 기호, 형상, 무늬, 그림, 상징, 도형, 마크, 문자, 영상, 소리 등을 한가지 또는 이들의 결합 방식으로 표시 또는 장식할 수 있다. 이들 장식에 필요한 각종 요소들은 관리 시스템이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서비스업체 자신이 관리 시스템이 제공해 주는 각종 요소와 호환하는 요소들만으로 또는 관리 시스템이 제공해 주는 것과 함께 서비스업체의 랭킹 등이 있는 전자지도상의 가상 공간을 디자인 또는 장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랭킹관리시스템(071)이 제공하는 랭킹정보가 서비스업체가 자체 관리하는 홈페이지에 전자지도가 나타난다고 할 때 특정 카테고리의 1위 랭커는 그 카테고리의 지배자로 선정하여 그 영역이 그 1위 랭커의 지배영역임을 표시한다. 또한, 자신의 홈페이지에 나타나는 전자지도상에서의 장식물의 경우에는 등수에 따라 차별적인 장식을 하게 한다. 예를 들어서, 1등은 원하는 종류의 어떠한 아이템으로도 치장할 수 있게 하고 그 외 등수는 등수에 따라 차별적인 아이템만 선택하게 한다. 화려하고 대중의 주목을 받을 만한 아이템에 대해서는 장식의 대가를 지불하게 한다.
이러한 장식은 전자지도상에서 무조건 나타나게 하거나, 상위의 랭커들에게는 장식을 표시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하위의 랭킹에 올라 있는 자들에게는 기본적인 전자지도만을 표시할 수 있다.
랭킹관리시스템(071) 혹은 그 운영자가 인증하고 발부하는 사이버 인증서(Cyber Certificate)나 그의 표시가 되는 장식을 발부하여 서비스업체의 순위나 그 수준을 표시하게 한다. 즉, 서비스업체의 홈페이지나 디지털 명함 등의 서비스업체를 표시하고 나타내는 사이버 공간상의 위치나 표상에 인증서를 달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음식점을 대상으로 하는 랭킹의 경우 그 음식점의 홈페이지 "OOOOO 선정 대부도 고객만족도 1위 횟집"과 같은 표시를 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표와 문양은 랭킹관리하는 자의 창작물로서 디자인과 사용권한, 배포 및 양도 권한에 대하여 독점적 권리를 갖게 되고, 랭킹관리시스템(071)이 인정하는 자에게만 부여 및 대여한다. 이때, 이러한 표시를 다른 사용자가 클릭하여 상호작용하면, 랭킹관리시스템(071)이 관리하는 홈페이지가 나타나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 즉, 상거래와 같이 일반 사용자의 평가정보가 필요한 경우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이 수월하게 동작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장식 개념을 좀 더 확장하여, 사이버 공간상에 서비스업체의 사이버 분신 캐릭터, 즉 아바타를 만들어서 사이버 공간상에 활동한다고 할 때, 이 캐릭터를 치장하는 옷이나 도구, 치장 아이템 등이 랭킹의 순위에 따라서 차별화되게 입혀질 수 있다.
랭킹관리시스템(071)의 평가자에 관해 기존에 입력된 주소, 소속, 나이, 성별, 등의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정보는 전자지도상에서 랭킹이 효율적으로 표시되게 하는 기본 데이터로 쓰일 수 있다. 랭킹시스템 관리자는 평가자가 속한 여러 수 직적, 수평적 계층과 그 계층에서의 순위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들의 이용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이 나타나는 전자지도상의 위치를 기본 출발선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랭킹의 출발 위치를 정하는 방법은 서비스에 대한 랭킹을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그 사용자가 접속한 컴퓨터의 IP 주소를 분석하여 원하는 지역별 서비스에 대한 랭킹을 표시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응용하여 쓰여질 수 있다.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는 마우스 클릭. 더블클릭. 버튼. 메뉴바 선택, 조이스틱이나 키패드 등의 주변 입력기기를 통한 내비게이션, 터치스크린, 단축키를 응용한 키보드입력 방법, VR 을 이용한 가상공간의 경우에는 현실에서의 오감의 감각을 투영한 입력방법 등의 여러 입력방법을 통하여 전자지도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 전자지도 위의 각 카테고리별의 랭킹을 볼 수 있다. 즉, 전자지도상의 특정 지점을 클릭 등을 하면 그 특정 지점이 속한 1 개 또는 복수개의 카테고리가 표시되고, 그 카테고리에서의 서비스업체 랭킹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랭킹의 경우와 같이 원하는 종류의 유형이 다양한 응용대상의 경우에는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렉토리형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생활문화 → 음식점 → 한식집→ 갈비집 와 같은 트리형 구조의 서비스 계층을 표현하기 위해서 디렉토리형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디렉토리 구조를 따라 가다 보면 원하는 랭킹 응용대상에 도달하게 된다.
디렉토리 구조의 시각적 한계를 보완하고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서 내부 검색 엔진을 랭킹표시시스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색창에서 중국집이라는 키워드를 넣게 되면 바로 중국집이라는 카테고리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속한 지리적 영역의 지도가 표시되면서 그 지역별 랭킹이 표시되게 할 수있다. 이러한 검색엔진을 지능화하면 문장형의 자연어 검색엔진을 사용하게 할수 있다 "신림동에서 가장 고객 서비스가 훌륭한 중국집과 짜장면이 가장 맛있는 중국집은?" 이라는 문장형 질문에 대하여 검색엔진은 랭킹관리시스템의 여러 DB 를 뒤지고 연합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전자지도상에 표현하게 할수 있다.
이러한 검색 과정을 최대한 자동화, 효율화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신상 정보나 접속한 네트웍의 살제 공간 상 위치, 즉 컴퓨터의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 위치 정보, 무선 네트웍의 해당 기지국의 위치, 혹은 GPS(Global Positioning Sysytem)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토대로 지역 카테고리를 시작하고, 사용자의 활동 로그분석을 통하여 즐겨 찾는(Favorite) 카테고리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가 접속시 제안하는 것이다.
랭킹 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하며 광범위한 축적 및 갱신을 위하여 랭킹 정보 제공자에 대한 보상 체계를 생각할 수 있다. 랭킹정보 획득시스템과 연동되어질 수 있는 평가정보제공 보상체계의 유형을 서술하고자 한다. 제공되는 보상의 대가의 형태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첫째, 간단하게는 사용자가 그 대상을 이용하고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대가로 사용 경비를 즉석에서 일정 비율로 감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폰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 장치로 랭킹정보획득시스템에 접속하거 나 평가 대상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등의 단말 장치로 평가대상을 이용하는 그 자리에서 접속하였을 경우에 적용 가능한 모델이다.
둘째,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공간적 위치와 평가 대상을 이용하는 위치가 달라서 첫째와 같이 즉석에서 경비를 감해주지 못할 경우에는, 할인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할인 쿠폰은 디지털화하여 네트웍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발행되는데 평가자에게 발행된 할인 쿠폰을 종이에 인쇄하거나 평가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장치에 저장되어서 이를 랭킹응용대상의 시스템이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는, 평가자신원인증 및 보상관리 시스템이 랭킹 응용대상의 시스템으로 직접 할인쿠폰을 발행하고 이 쿠폰의 소유자에 대한 신원확인정보를 넘겨서, 사용자가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폰 단말기에 평가 정보 제공의 대가로 할인쿠폰 넘버가 SMS 나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고 이를 거래의 상대방에게 보여줄 수 있고, 거래시 결제금액을 정산할 때, 할인을 받게 된다. 혹은, 이러한 할인 쿠폰을 거래에 사용하게 한 후, 할인 쿠폰의 고유 넘버가 서비스 제공자가 평가정보보상시스템에 전송되면, 할인 쿠폰만큼의 금액을 차후에 보상시스템이 거래 사용자에게 보상하게 된다.
셋째, 보다 정교하고 광범위한 보상 체계 운용을 위해서 사용자에 대한 신원등록 및 인증을 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사용자 DB 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및 보상관리 시스템이 누적되는 랭킹정보 제공에 대한 대가로 적립할 수 있는 사이버포인트(사이버 머니, 전자 화폐 등의 온라인 상에서 전자적으로 누적될 수 있는 일체의 포인트 체계)를 부여 하는 것이다. 누적되는 사이버 포이트는 평가 횟수와 평가 내용의 성실도에 따른다. 이 때 쓰이는 단말 장치는 랭킹정보획득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말장치와 마찬가지 개념으로, 물리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별개로 운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부여된 사이버 포인트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 쌓이게 되면, 거래대상을 이용한 후 거래 대금을 결제시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누적된 사이버 포인트는 평가자료를 입력한 그 응용 대상을 이용할 때만 쓸 수 있게 만들거나 가맹점 개념을 도입하여 미리 약속되고 모아진 임의의 거래 대상에게 쓰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 제공되는 보상의 직접적인 제공자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첫째, 랭킹관리시스템의 관리자가 평가정보의 제공자에게 대가를 지불한다. 지불되는 대가의 원천은 랭킹관리시스템이 자체적으로 만드는 재원으로부터 나오거나, 평가정보의 대상이 되는 개인, 단체, 조직, 업소 등으로부터 나온다. 혹은, 랭킹 정보의 사용자로부터 나오는데, 이러한 경우는 전자지도에 게시되어 공개되는 랭킹정보가 매우 가치있는 정보이어서 랭킹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보의 대가를 지불하는 경우이다.
둘째, 평가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입력된 평가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전자지도상의 랭킹을 보고, 서비스를 이용했을 경우 서비스의 해당 업소가 보상한다. 이는 거래 후 결제시에 계산되거나, 이를 모아서 차후에 지불된다.
한편, 평가정보 수집에 따른 랭킹부여 방법은, 일정 기간 동안의 평가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일시에 랭킹을 결정하고 이 랭킹을 바탕으로 할 수 있으며, 다시 비교, 평가 등의 각종 과정을 진행시켜 새롭게 변동된 랭킹등을 조정할 수 있 다.
이미 존재하고 있는 대상들에 대해서 랭킹관리시스템의 관리자가 대상의 리스트를 선정하고, 그 대상을 사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사람 혹은 사람의 집합을 선정하거나 혹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불특정다수를 선정하여 직접적인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랭킹에 관한 DB를 축적하는 방법이 있다. 직접적인 설문 조사란 순위를 직접 나열하게 하거나 각 리스트의 대상 개체에 대해서 적당한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이의 점수 처리를 통하여 순위를 결정하게 할 수 있는 일체의 오프라인의 조사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조사행위는 관리시스템의 관리자나 이를 대신하는 대리인이 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응용대상을 경험한 후 경험에 의한 주관적 평가정보를 시스템관리자에게 전달하고 이를 시스템 관리자가 처리하여 순위에 대한 점수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는 시스템관리자가 사용자가 객관적인 평가를 용이하게 내리도록 평가 대상의 리스트를 나열하고 평가에 대한 세부 항목을 기술하며, 평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평가를 용이하게 도와 줄 수 있는 평가정보획득시스템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정해진 절차에 따라 평위를 하면 이것이 자동적으로 랭킹 DB 에 축적되는 방법이 있다.
첫째의 주관적 피드백의 구현 방식은 관리시스템의 운영 주체에 평가에 관한 정보를, 직접적인 방문이나 편지, 전화 등의 일반적인 통신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수단에는 e-mail, 인스턴트 메신저, 쪽지, SMS, Wap Push, 무선망에서의 mail service, 게시판에서의 글쓰기 등 일체의 전자적 의사전 달 수단 역시 포괄한다.
둘째의 객관적 평가정보획득시스템을 마련한 경우에 사용자는 응용대상의 사용 직후에 대상물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혹은 사용 경험의 축적 후에 원하는 임의의 장소에서 단말장치(핸드폰, PDA, 노트북, PC. 네트웍 컴퓨터, 전자카드, IC 카드. 각종 복합 디지털 단말기 등의 네트웍 상에서 End User 용으로 쓰이는 임의의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를 사용하여 네트웍을 경유하여 랭킹 관리시스템의 평가정보획득시스템에 접속하고 정보획득시스템의 절차에 따른 평가행위를 하게 된다.
한편 평가자의 카테고리는 여러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세부화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대한 세부화된 응용대상의 카테고리별 랭킹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음식점을 이용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만족(satisfied) 또는 불만족(not satisfied) 여부로 질문하거나,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좀더 복잡하게는 첫째, Excellent, 둘째, Very Good 셋째, Good 넷째 Bad 다섯째 Very Bad 와 같은 방식으로 세분화 하여 질문하거나 입력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중에서 하나의 보기를 고르거나 선택하여 입력하게 되고, 랭킹관리시스템은 이를 점수화하고(예를 든다면 만족 10점, 불만족 1점 등), 다수인의 동일 대상에 대한 평가의 누적화된 점수 데이터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하여 그 음식점의 총점수 등을 알 수 있고, 이것들을 카테고리별 또는 속성별로 비교, 분석하여 랭킹을 결정하게 된다.
보다 정교한 순위 평가를 위해서 그러한 응용대상의 여러 측면의 가치, 효용성, 만족도를 묻는 일련의 평가질문묶음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평가질문들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이 쌓이게 되면 보다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음식점의 경우, 종업원 서비스, 메뉴의 다양성, 각 메뉴의 맛, 청결도, 좌석 및 식사공간의 아늑함, 배달 시간 등의 요소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종합적인 점수는 가중치를 고려하게 되는데 가중치의 선택은 랭킹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의해서 정해지거나, 랭킹 관리 시스템이 가중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정해지게 된다. 이른 가중치 등을 기준을 부여하는 것은 동적으로(dynamically) 변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측면을 묻는 질문들을 사용하게 되면 각 측면 별로의 다중 랭킹이 매겨지는 것이 가능해 지는 또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집을 이용한 고객들에 대한 질문 묶음을 다양화 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점수화해서 합산한다면, "신림동에서 가장 고객 만족도가 우수한 중국집은 회빈루이고. 그 중 가장 짜장면이 맛있는 중국집은 중국관이다"와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는 랭킹 정보를 이용하려는 자의 검색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또는 상품의 제공자를 찾기 위하며 랭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 또는 공간에 접속하여 검색 창 등에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담은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 이 사이트 또는 공간에서 그 검색어를 분석한 다음, 자신 또는 외부의 랭킹 정보 DB 에 문의하여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한 최적 대응(best matching)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접속 위치를 사용자의 IP 주소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 DB(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접속자는 프로토콜 상의 주소를 가지게 되고 인터넷 프로토콜 또한 IP 주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IP 주소에 해당하는 지역(local area) 또는 접속점이 할당되어 있다.) 핸드폰 등으로 접속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 추적 정보를 활용하여(예를 들면, 서울대 내에서 핸드폰을 통화하는 경우, 서울대 주변에 있는 기지국에서는 그 핸드폰 사용자의 위치를 반경 수 킬로미터 이내의 수준에서 파악해 낼 수 있다. 즉, 정확하게 서울대 내의 어느 곳이라는 것까지는 몰라도 적어도 관악구(서울대가 속해져 있는 행정 구역)정도라는 것은 알수 있다.) 사용자의 대략의 위치를 파악해 낼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파악을 통해서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에서 사용자가 위치를 입력하는 수고를 줄여 줄 수 있다. 즉, 위치 입력에 대해서 default 위치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지게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default 위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또는 위치로 수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은 교육콘텐츠의 서비스에도 응용될 수 있다.
교육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평가정보로 각종의 카테고리로 특정된 전자 지도 상에 랭킹이 표시되고 이 랭킹에 대한 정보를 피교습자가 인지한다.
피교습자는 교습자에게 교습의 의사를 통지한다. 이때, 이 교습의 통지는 관리시스템을 거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관리 시스템은 교습의 통지를 자신을 거칠 경우, 교습자 및 피교습자에 대한 정보를 양방에 제공해 줄 수 있다.
교습자와 피교습자 사이에 교습의 조건이 합의되고, 교급과 피교습의 의사의 합치에 의해 교습의 계약이 체결된다. 관리 시스템은 교습의 조건 및 계약에 개입할 수도 있으며, 조건의 타결 및 계약 관계에 조언하거나 계약서의 작성 등의 계약 의 성사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계약의 성실한 이행 과정을 감독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관리 시스템이 주체가 되어 계약을 성사시킬 때 더욱 의미가 있다. 교습 등의 결과(교습에 대한 평가적 판단 및 교습 후의 각종 변화 등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를 교습 등의 결과라 한다)
관리 시스템이 교습자와 피교습자의 계약에 기여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과 이하에서 '계약'이라는 과정이 존재하거나 매개 될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이 대등한 또는 균등 한 범위에서 교습자의 자리에 상품 또는 서비스의 수요자, 피교습자의 자리에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 관리 시스템 자리에 '제 3자', 교습 자리에 상품 또는 서비스가 치환 또는 준용되어 적용된다.
첫째, 피교습자가 관리시스템에게 교습자를 지정하여 교습을 요청하는 경우이다. 이때, 관리 시스템은 교습자에게 교습의 의사 및 교습에 관계된 자신의 게임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게임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의 수행 결과 및 이들을 분석한 결과 자료를 어느 정도까지 피교습자에게 공개할 수 있는가를 타진한다. 물론, 교습의 의사와 관계없이 관리시스템이 랭킹을 부여할 때, 공개할 수 있는 정보의 한계를 정할 수도 있으며, 가입 등의 절차에서 개별적으로 정보 공개의 수준 등을 정할 수도 있다.
둘째, 피교습자가 관리시스템에게 교습자를 특정하지 않고, 교습을 요청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관리 시스템은 피교습자가 요청하는 교습 내용 및 조건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교습자를 자신이 관리하는 교육콘텐츠의 참가자의 DB 에서 검색하 여 교습자의 후보를 선정하고, 이를 후보에게 교습의 의사 여부를 조건과 함께 통지하며, 이 정보를 교습자에게도 제공한다. 교습자와 피교습자, 관리시스템의 3 자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습자의 범위를 축소시켜 나가면서 교습자가 결정된다. 교습자 또는 피교습자는 복수인일 수 있다.
교습과 관계하여 관리시스템이 피교습자의 랭킹을 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종의 세부적인 카테고리별로 교습자의 평가결과에 대해 랭킹을 매긴다. 이는, 토익이나 토플, 퀴츠, 온라인 게임, 수학이나 과학 등의 문제 풀기 등의 승패가 결정되거나 또는 내부적인 기준에 의해서 수치화 될 수 있는 점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둘째, 외부에서 평가적 판단을 내려야 하는 경우가 있다. 즉, 강의의 품질이나 교습 내용, 교습 방법 등은 자체적으로 승패가 결정되거 내부적인 기준으로 수치화시키기가 어렵다. 즉, 이들에 대해서는 외부에서 평가적 판단을 내려야 한다.
외부에서 평가적 판단을 내려서 승패, 수치화, 랭킹 등을 매기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관리 시스템이 교습자의 교습과 관련되는 각종 콘텐츠(교습물, 교습 방법, 교습 내용, 교습 조건, 교습 기간 등, 교습 서비스, 교습자에 대한 일체의 공개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을 관리시스템에 공시하고, 관리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참가자의 판단을 묻는다. 참가자의 판단에는 점수를 주는법, 대립되는 각종 교습자가 여러명 있을 때에 순위를 매기는 법, 양 교습자가 자신이 제공하는 교습 콘텐츠를 걸고 대결할 때 참가자의 평가적 판단에 의해 1위는 승, 2위는 패 등의 순위를 통해 승과 패를 주는 법 등이 있을 수 있다. 평가자들은 복수명이 있으며, 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평가자의 수는 늘어난다. 이들 평가자들이 내린 교습자들에 대한 점수 등의 결과는 참가자로부터 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자료 처리하여 DB로 저장되고, 랭킹에 반영되며, 이들 랭킹이 그 교습자가 특정하는 카테고리별로 전자 지도상에 표시된다. 이런 평가적 판단의 내용 중에서는 교습자가 잘생겼다. 목소리가 좋다는 등의 교습과 간접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둘째, 교습이 수행 중이거나, 수행 후에 대한 평가적 판단도 모집될 수 있다. 이는 최초의 교습 후에 추후에 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피교습자나 교습 희망자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교습자의 교습 콘텐츠에 대해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각종 항목에 대하여 또는 교습자, 피교습자가 주관식의 방법으로 내리는 판단 등을 피교습자는 교습자에 대해 평가적 판단을 할 수 있으며, 교습자 또한 피교습자에 대하여 평가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이들에 대한 판단은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며 사전에 교습자, 피교습자와 합의된 수준에 의하여 공개 수준을 결정하고, 이 수준대로 공개한다.
평가의 결과 관리 시스템이 저장하고 있는 DB 및 전자 지도 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 시스템은 세부적인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교습자에 대한 랭킹 및 이 랭킹을 발생시켰던 각종 평가 들의 결과를 저장하고 있으며, 교습을 희망하는 피교습자가 전자 지도상에 포인팅 디바이스로 카테고리를 특정하여 지정하면, 피교 습자가 원하는 교습자에 대한 랭킹 및 관련 자료가 피교습자에게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둘째, 피교습자는 검색의 방법으로 관리 시스템에 자신의 조건(게임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게임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의 종류, 카테고리, 관심 분야 또는 지역, 영역, 기타 조건)을 입력하고 그 결과를 요청할 수도 있다. 즉, 자신이 원하는 조건에 맞는 교습자를 관리 시스템의 DB로부터 검색하여 최적화된 교습자 군(teacher group or teacher candidates)를 찾아내어, 더 적확한 교습자의 선정에 참고할 수 있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습에서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00%, 온라인으로만 진행되는 교습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지역의 구별이 없어지는 것이 원칙이므로, 누구든지 자기가 원하는 교습 콘텐츠를 전국 또는 세계 1 위로부터 교습받을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번역의 필요성이 있다. 즉, 교습자의 교습 언어와 피교습자가 희망하는 언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관리 시스템은 번역 또는 자막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특정한 교습에 대한 수요가 그 콘텐츠를 공급하는 서버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캐쉬 서버 또는 미러 사이트를 활용하거나, 교습이 실시간 상호작용(interaction)이 아닌 경우, 교습 콘텐츠를 전자 우편 등의 방식으로 시간을 달리하여 전송해 주거나, 타 교습자의 교습 콘텐츠를 추천해줄 수 있다.
둘째, 교습이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에서 병행하여 진행될 경우이다. 즉, 교습자와 피교습자가 특정한 물리적 공간(학원, 게임방, 물리적 실체를 지닌 장소)에서 만나 교습의 일부 내용이 오고 가는 경우이다. 이 경우, 오프라인적 요소 때문에 전국 1위 또는 세계 1위에 대하여 모든 희망자가 교습 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관리 시스템은 교습 내용의 특징에 따라 100% 온라인으로 되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구별지어, 교습자의 조건 입력에 대응하여야 한다. 교습자는 피교습자의 물리적 위치를 고려하여 자신의 교습 내용 중 오프라인을 통해서 하여야 할 것을 공시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 시스템이 교습자의 정보에 반영하여야 한다.
교육 기관과 본 발명 시스템에 연동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지닌다. 물론, 교육이란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유치원, 컴퓨터 교육, 자격증 교육, 요리 교육, 예절 교육 등 교육 총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교육 기관은 입시학원, 보습학원, 컴퓨터 학원, 자격증 학원, 꽃꽂이 학원, 요리학원 등 일체의 교육 콘텐츠(서비스 포함) 제공 단체을 포괄하며, 일체의 교육 콘텐츠 제공 단체및 교육 단체에 속하는 개인, 단체에 속하지 않는 교습자 개인을 포괄하여 교육 기관이라 한다.
교육 기관의 각 종사자는 본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참가자의 일원이 되며, 이들은 콘텐츠 제공자가 된다. 이들이 제공하는 콘텐츠는 관리 시스템에 제공되고, 관리 시스템은 이들이 제공한 콘텐츠, 평가 정보 등을 반영하여 카테고리별로 랭킹을 부여하고, 이를 전자 지도 상에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여 피교습자의 정보 요구에 응한다. 이때, 관리 시스템과 교육 기관은 사전에 맺은 계약에 따라 피교습자 교습자를 매개시켜 준다. 이 때 교습 기관의 물리적 수용한계를 넘을 경우, 더 이상의 피교습자를 매개시키지 않고 이들에게는 다른 교육 기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들과 매개시킨다.
관리 시스템은 교습 기관과 피교습자를 중개하여 그들 사이에서 교습이 발생하도록 매개한다.
각 교습자 또는 교육 기관이 제공하는 콘텐츠의 랭킹은 평가 등에 의해서 수시로 변하여 이 결과는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자 지도 상에서 또는 검색 등의 방법에 의해 교습자 및 피교습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을 수학 교육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교 1 학년 수학에서 삼각함수라는 카테고리가 있다고 가정하자. 수학은 게임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게임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에서 학습에 해당하고, 여러 학습 내용 중 교과목으로서의 수학이며, 유치원 산수부터 대학교 수학 중에서 고교 1 년 과정의 수학이며, 집합 수와 식 함수 도형등등의 수학의 고교 1 학년 교과 과정 중에서 삼각함수편이라는 카테고리가 만들어 진다. 물론, 삼각함수라는 카테고리 밑에는 삼각함수 기본, 삼각함수의 그래프, 삼각 방정식, 도형에의 응용 등 세부 항목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서울 관악구에 사는 교습자 A 와 부산에 사는 교습자 B가 각각 이 삼각함수에 대한 자신의 교습 콘텐츠를 관리 시스템에 올렸고, 관리 시스템은 피교습자의 접속 및 평가에 의해 A 와 B의 교습 콘텐츠에 대하여 순위 또는 승패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결과가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다. A 가 승자(더 나은 평가를 받은 자)라 하자. 그러면, 전국 단위일 경우 누가 정보를 요청하든지에 상관 없이 전국 1 위의 랭킹은 교습자 A 가 차지하게 되고, 이 정보는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다. 만약 부산에 사는 피교습자 b가 부산을 특정하여 전자 지도 상의 랭킹에 대해 문의한다면 관리 시스템은 부산 1 위인 B를 전자 지도 상에 표시해 준다.
만약, 서울 강남구에 사는 C가 이후에 삼각함수에 대한 교습 콘텐츠를 올려전국 1 위를 차지 했다고 하면, 전국 단위에서는 C가, 관악구 단위에서는 A가, 부산에서는 역시 B가 1 위를 차지하게 된다. 이때, A와 B의 순위는 관리 시스템이 내부적으로 정하는 순위 결정 방식이 따라 정한다.
서울 관악구에 사는 피교습자 a는 교습자의 교습 위치에 대한 조건으로 관악구를 특정하면, 전자 지도 또는 검색에서 교습자 A를 C에 우선하여 연결시키고, 아울러 C에 대한 정보도 A에 연동하여 제공해 주어, a가 교습 위치의 불편함을 감수하고라도 C의 교습 콘텐츠를 원할 경우에 대비하게 한다. 만약 각 교습 콘텐츠가 100% 온라인 상에서 일어난다면, 관악구의 특정에도 불구하고 피교습자가 교습 콘텐츠가 100% 온라인 상에서 제공된다는 정보를 모를 경우를 감안하며, C를 A나 B에 우선하여 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한 피교습자들은 전자 지도 상에서 자신에게 최적인 교습자 즉, 학원 강사, 과외 선생, 게임을 가르쳐 줄 사람, 유치원, 학원, 교습자 집단 등 각종의 교습자를 찾을 수 있다.
교육 관련 콘텐츠 제공자에 대해서는 교육 매니저(education manager)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교육 매니저가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맨 콘텐츠는 교습자의 교육 에 대한 계획, 관리, 상담, 컨설팅, 분석, 조언 등을 총괄하는 것으로서 교습 내용 자체(예를 들면 삼각함수)가 아닌, 교육을 지원하는 총괄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말한다. 이하 교육 매니저가 제공하는 교육 관련 콘텐츠를 교육서비스 콘텐츠(education service contents)라 하고, 이 서비스를 받는 사람을 교육 서비스 콘텐츠 수요자라 정의한다.
교육 매니저를 희망하는 자는 자신의 교육 서비스 콘텐츠를 관리 시스템에 제공하고, 관리 시스템은 이를 공시하며, 참가자들은 이들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DB로 구축하고, 각 교육 매니저의 각 카테고리별 랭킹 등을 부여하고, 이를 전자 지도 상의 위치에 연동시켜 참가자들에게 보여 주며(display), 참가자들의 검색 요청에 응답해 준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참가자 또는 평가자들의 반응(feedback)을 반영하여 그 결과를 DB로 구축하고, 그 결과를 랭킹 등에 반영하여 자료를 갱신(update)한다.
관리 시스템과 교육 서비스 콘텐츠 제공자와의 상호 작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관리 시스템은 교육 서비스 콘텐츠 제공자에게 관리 시스템 내부에 가상 공간을 부여한다. 이 가상 공간에는 교육 서비스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콘텐츠의 내용, 서비스 콘텐츠 제공자의 관련 정보, 하거나,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콘텐츠 및 이를 바탕으로 하여 DB를 구축한다. 교육 매니저가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 콘텐츠가 100% 온라인에서만 작동할 때 및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해서 작동하는 경우는 상기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습에서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방식을 따른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교육 서비스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교육매니저의 서비스는 장소적 제약을 받게 된다. 즉, 교육 서비스 콘텐츠 수요자를 만나거나, 방문하거나, 일정한 장소에서 여러 수요자를 모아서 교육에 대한 계획, 관리, 상담, 컨설팅, 분석, 조언 등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교육 서비스 콘텐츠 제공자는 장소적 제약을 받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최상위 랭킹에 속하지 않더라도, 특정한 카테고리의 특정 지역에서 최상위의 랭킹 등을 유지하는 경우, 그가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적정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입시나 자격증, 육아 교육, 전문 지식의 교육 등 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설계와 계획 등이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더욱 잘 적용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교육 서비스 콘텐츠 수요자와 제공자를 전자 지도 및 검색을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고, 계약 체계을 도와주고, 대가가 있을 경우 그 대가를 매개해 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그 공급자인 서비스업체의 랭킹정보를 전자지도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들 간 경쟁을 유도할 수 있으며, 서비스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은, 네트워크상에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도에 이들과 관련된 자들의 랭킹(ranking)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들 간 경쟁을 유도하여 고품질의 서비스 차출을 도모하고, 서비스 수요자들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A) 복수의 서비스업체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기 설정된 랭킹부여 방식에 따라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와;
    (C)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소정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역정보를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세분화되는 계층적 행정구역정보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행정구역을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단계적으로 세분화하여 각 계층별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서비스업체의 고유정보를, 서비스의 종류, 위치, 크기 및 체인점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 고,
    상기 (C)단계는, 상기 각 지역 내에서의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상기 고유정보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해당 지역의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의 상기 각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상기 고유정보를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상기 서비스업체에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소정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서비스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서비스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해당 서비스업체의 친절도, 만족도, 상품의 품질 및 서비스 품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세분화된 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지역의 세분화된 각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를 입력한 평가자에 대해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랭킹이 기준 랭킹 이상인 서비스업체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자지도의 색깔, 기호, 형상, 무늬, 그림, 상징, 도형, 마크, 문자,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설정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가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된 소정 랭킹의 서비스업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업체의 고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업체의 개점 여부, 잔여 좌석 여부 및 예약 가능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현재상태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단계와;
    소정 사용자가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된 소정 랭킹의 서비스업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업체의 상기 현재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가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된 소정 랭킹의 서비스업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업체로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랭킹정보 제공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보기를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서비스업체들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표시 후, 해당 서비스업체의 광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14. 복수의 서비스업체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고유정보 관리서버와;
    전자지도제공을 위한 지리정보DB서버와;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기 설정된 랭킹부여 방식에 따라 랭킹을 부여하고, 상기 지리정보DB로부터 상기 서비스업체의 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지도를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소정 평가자로부터 상기 각 서비스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평가정보 획득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각 서비스업체를 상기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의 서비스업체에 대해 상기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랭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를 입력한 평가자에 대해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보기를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정보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영역 내에 위치한 상기 서비스업체들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업체의 광고를 위한 광고DB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랭킹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업체의 랭킹표시 후, 상기 광고DB로부터 해당 서비스업체의 광고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 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53A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0834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71777 2000-11-29
KR1020000071777 2000-11-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30A Division KR100837295B1 (ko) 2000-11-29 2001-03-13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793A Division KR20080015494A (ko) 2000-11-29 2008-01-28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571A true KR20060080571A (ko) 2006-07-10
KR100834467B1 KR100834467B1 (ko) 2008-06-05

Family

ID=27678674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30A KR100837295B1 (ko) 2000-11-29 2001-03-13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53A KR100834467B1 (ko)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50A KR100774377B1 (ko)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제공시스템
KR1020060053976A KR100834459B1 (ko) 2000-11-29 2006-06-15 쌍방향 텔레비전 수신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72A KR100807877B1 (ko) 2000-11-29 2006-06-15 이동통신단말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80004150A KR100946724B1 (ko) 2000-11-29 2008-01-14 전자지도 기반 시험랭킹정보 제공방법
KR1020080008793A KR20080015494A (ko) 2000-11-29 2008-01-28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30A KR100837295B1 (ko) 2000-11-29 2001-03-13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950A KR100774377B1 (ko)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제공시스템
KR1020060053976A KR100834459B1 (ko) 2000-11-29 2006-06-15 쌍방향 텔레비전 수신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72A KR100807877B1 (ko) 2000-11-29 2006-06-15 이동통신단말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80004150A KR100946724B1 (ko) 2000-11-29 2008-01-14 전자지도 기반 시험랭킹정보 제공방법
KR1020080008793A KR20080015494A (ko) 2000-11-29 2008-01-28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08372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77B1 (ko) * 2000-11-29 2008-02-27 강민수 이동통신단말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0848452B1 (ko) * 2006-12-05 2008-07-28 주식회사 케이티 지도 기반의 컨텐츠 등록/표시 방법
WO2009055501A1 (en) * 2007-10-22 2009-04-30 Pelago, Inc. Providing aggregate user-supplied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s on a map
WO2010090433A2 (ko) * 2009-02-06 2010-08-12 팅크웨어(주) 상대적인 관심 증가 영역에 대한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12077852A1 (ko) * 2010-12-10 2012-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9233A (ko) * 2021-02-19 2022-08-2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정당의 지지정보 및 설문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786A (ko) * 2006-11-29 2008-06-03 팅크웨어(주) 목적지 주변의 관심지점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43045B1 (ko) * 2008-05-26 2010-02-19 주식회사 넥슨 온라인 게임 로컬 랭킹 검색 시스템
KR100987034B1 (ko) * 2010-01-11 2010-10-12 강민수 전자 지도 활용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1128407B1 (ko) * 2010-04-26 2012-03-27 주식회사 에스원 전자지도의 다자참여 지역등급 설정방법
KR101262361B1 (ko) 2011-06-28 2013-05-08 하희주 누적 투표점수에 의한 순위에 따라 상품을 전시하는 상품비교방법
KR101394969B1 (ko) * 2012-02-07 2014-05-15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38011B1 (ko) * 2012-05-23 2013-02-27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지도 광고 장치 및 지도 광고 방법
KR101662585B1 (ko) * 2014-02-17 2016-10-05 식신 주식회사 위치기반 sns를 이용한 서비스제공업체 추천 방법
KR20180044683A (ko) * 2016-10-24 2018-05-03 윤종민 랭킹에 대응한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252B1 (ko) * 2017-03-08 2019-10-17 전천광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CN110852778B (zh) * 2019-09-30 2021-03-26 口口相传(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针对业务对象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809B2 (ja) * 1994-09-05 1999-02-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システム
KR19990045807A (ko) * 1999-01-13 1999-06-25 송한영 인터넷상에서의전자교과서를이용한초.중.고교수-학습방법및수행평가시스템
KR19990064794A (ko) * 1999-05-10 1999-08-05 이강민 온라인 게임용 랭킹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00054164A (ko) * 2000-05-24 2000-09-05 김병남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KR20000058731A (ko) * 2000-06-27 2000-10-05 전우철 컴퓨터 게임 리그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092A (ko) * 2000-07-15 2002-01-26 양호철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게임매칭 및 승패인식 기능을 갖는네트웍 게임대회 운영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100837295B1 (ko) * 2000-11-29 2008-06-12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77B1 (ko) * 2000-11-29 2008-02-27 강민수 이동통신단말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0848452B1 (ko) * 2006-12-05 2008-07-28 주식회사 케이티 지도 기반의 컨텐츠 등록/표시 방법
WO2009055501A1 (en) * 2007-10-22 2009-04-30 Pelago, Inc. Providing aggregate user-supplied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s on a map
WO2010090433A2 (ko) * 2009-02-06 2010-08-12 팅크웨어(주) 상대적인 관심 증가 영역에 대한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10090433A3 (ko) * 2009-02-06 2010-11-18 팅크웨어(주) 상대적인 관심 증가 영역에 대한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12077852A1 (ko) * 2010-12-10 2012-06-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9233A (ko) * 2021-02-19 2022-08-2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정당의 지지정보 및 설문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391A (ko) 2002-06-05
KR100946724B1 (ko) 2010-03-12
KR100774377B1 (ko) 2007-11-08
KR100834459B1 (ko) 2008-06-05
KR100807877B1 (ko) 2008-02-27
KR100834467B1 (ko) 2008-06-05
KR20080009241A (ko) 2008-01-25
KR20080015494A (ko) 2008-02-19
KR100837295B1 (ko) 2008-06-12
KR20060080570A (ko) 2006-07-10
KR20060079176A (ko) 2006-07-05
KR20060081677A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467B1 (ko)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Buhalis et al. Progres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urism management: 20 years on and 10 years after the Internet—The state of eTourism research
US20020169665A1 (en) In-channel marketing and product testing system
KR20150000418A (ko) 쇼핑객 헬퍼
Nayebpour et al. Customers satisfaction by fuzzy synthetic evaluation and genetic algorithm (case study) travel websites in Iran
JP2000207334A (ja) インタ―ネットにおけるアクセス指向分類装置およびアクセス指向を分類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KR100953872B1 (ko)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1199825B1 (ko)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정보 제공 방법
Sari et al. E-tourism as a promotion media for Cimande tourism village
KR101140319B1 (ko)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0969229B1 (ko) 랭킹 정보를 활용한 가치물의 전자 상거래 제공 방법
JP6661739B1 (ja) 人材採用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人材採用支援装置
KR100771762B1 (ko) 휴대형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카드의관리와 제휴매장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서비스 시스템
Chiang et al. Measurement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for museum websites displaying artifacts
KR100926120B1 (ko) 전자 지도 기반 게임 랭킹 정보 처리 방법
Nuseir et al. Effects of Social Media Marketing on Consumer Perception in Liverpool, UK
KR20200135035A (ko)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00953873B1 (ko) 전자 지도 학습 랭킹 정보 제공 방법
Güdük et al. Evaluation of the websites of the first-class restaurants in terms of design and marketing activities
KR100987034B1 (ko) 전자 지도 활용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0924809B1 (ko) 전자 지도 활용 게임 랭킹 정보 제공 방법
Taiwo et al. An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and Finnish students' online shopping behavior
KR100953874B1 (ko) 전자 지도 활용 게임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1140320B1 (ko)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랭킹 정보 제공 방법
Scheffelmaier Methods used to evaluate and design a successful Web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2